KR20130020909A -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및 유압 펌프의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및 유압 펌프의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909A
KR20130020909A KR1020127034113A KR20127034113A KR20130020909A KR 20130020909 A KR20130020909 A KR 20130020909A KR 1020127034113 A KR1020127034113 A KR 1020127034113A KR 20127034113 A KR20127034113 A KR 20127034113A KR 20130020909 A KR20130020909 A KR 20130020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ain shaft
groove
piece
hydraulic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4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사 츠츠미
다쿠 이치류우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0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9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8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 pump or a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9/00Priming; Preventing vapour 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70Bearing or lubric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20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 F03D9/25Wind motors characterised by the driven apparatus the apparatus being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00Key-type connections; K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8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 F16D1/087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axial keys and no other radial clamping
    • F16D1/0882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axial keys and no other radial clamping the key being axially tapered and tightening when loaded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5/00Transmission of mechanical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3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큰 토크의 전달이 가능하며, 용이하고 또한 저비용으로 가공이 가능한 유압 펌프의 고정 구조를 갖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및 그 유압 펌프의 장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주축(4)의 후단측의 단부에 복수의 키 홈(25)이 마련되어 있다. 각 키 홈(25)에는, 끼워지는 복수의 키(30A, 30B)가 끼워져 있다. 복수의 키(30A, 30B)는, 복수의 키 홈(25) 중 1개에 끼워지는 기준 키(30A)와, 나머지의 키 홈(25)에 끼워지는 복수의 키(30B)로 구성되어 있다. 분할 키(30B)는, 주축(4)에 형성된 제 1 홈(20)에 끼워져 볼록 형상을 갖는 제 1 키편(34)과, 원통 부재(10)에 형성된 제 2 홈(21)에 끼워져 오목 형상을 갖는 제 2 키편(36)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키편(34, 36)은, 제 1 키편(34)의 볼록부가 제 2 키편(36)의 오목부에 결합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 1 키편(34)의 볼록부 및 제 2 키편(36)의 오목부의 주축(4)의 직경 방향을 따른 측면(34A, 34B, 36A, 36B)은, 즉, 제 1 키편(34)과 제 2 키편(36)이 접촉하는 접촉면은, 주축(4)의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Description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및 유압 펌프의 장착 방법{RENEWABLE ENERGY GENERATOR DEVICE AND HYDRAULIC PUMP ATTACHMENT METHOD}
본 발명은 유압 펌프 및 유압 모터를 조합한 유압 트랜스미션을 거쳐서, 로터의 회전 에너지를 발전기에 전달하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및 그 유압 펌프의 장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는, 바람, 조류, 해류, 하류 등의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장치로서, 예를 들면, 풍력 발전 장치, 조류 발전 장치, 해류 발전 장치, 하류 발전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지구 환경의 보전의 관점으로부터, 풍력을 이용한 풍력 발전 장치나, 조류, 해류 또는 하류를 이용한 발전 장치를 포함하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의 보급이 진행되고 있다.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에서는, 바람, 조류, 해류 또는 하류의 운동 에너지를 로터의 회전 에너지로 변환하고, 또한 로터의 회전 에너지를 발전기에 의해서 전력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종류의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에서는, 종래, 로터의 회전수가 발전기의 정격 회전수에 비하여 작기 때문에, 로터와 발전기 사이에 기계식(기어식)의 증속기를 마련하고 있었다. 즉, 로터의 회전수는 증속기에서 발전기의 정격 회전수까지 증속된 후, 발전기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발전 효율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의 대형화가 진행됨에 따라, 증속기의 중량 및 비용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기계식의 증속기로 교체하여, 유압 펌프 및 유압 모터를 조합한 유압 트랜스미션을 채용한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가 주목을 받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에는, 주축 주위에 장착된 유압 펌프와, 유압 펌프의 압유에 의해서 구동되는 유압 모터로 이루어지는 유압 트랜스미션을 구비한 풍력 발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풍력 발전 장치는, 주축의 회전에 의해 유압 펌프를 구동시켜, 그 유압 펌프로부터 송급된 압유로 유압 모터를 회전시켜 해당 유압 모터의 회전에 의해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010/0032959 호 명세서 유럽 특허 출원 공개 제 09166576 호 명세서
그렇지만, 풍력 발전 장치의 주축의 토크는 매우 커서, 이 대토크를 주축으로부터 유압 펌프에 어떻게 전달하는지가 문제가 된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회전축의 토크를 전달하는 수법 중 하나로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키를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지만, 키로 상기 큰 토크를 확실히 전달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점, 특허문헌 1 및 2에는, 주축으로의 유압 펌프의 구체적인 고정 구조가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유압 트랜스미션을 이용한 풍력 발전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문제의 해결책이 조금도 나타나 있지 않다.
또한, 풍력 발전 장치 이외의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에 있어서도, 유압 트랜스미션을 이용하는 이상, 상기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은 큰 토크의 전달이 가능하며, 용이하거나 저비용으로 가공이 가능한 유압 펌프의 고정 구조를 갖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및 그 유압 펌프의 장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는, 회전 날개가 장착된 허브와, 상기 허브에 일단부가 연결된 주축과, 상기 주축의 주위에 마련된 원통 부재와, 상기 원통 부재를 거쳐서 상기 주축에 장착되는 유압 펌프와,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서 구동되는 유압 모터와, 상기 유압 모터에 연결된 발전기를 구비하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로서,
상기 주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홈 및 상기 원통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2 홈으로 이루어지는 키 홈이, 상기 주축의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상기 주축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며,
각 키 홈에 끼워지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에 의하면, 주축과 원통 부재를 복수의 키로 연결했으므로, 복수의 키를 거쳐서 큰 토크를 주축으로부터 유압 펌프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각 키는, 단시간에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복수 마련하여도 염가이면 족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키는, 상기 키 홈 중 1개에 끼워지는 기준 키와 다른 상기 키 홈에 끼워지는 한쌍의 키편으로 분할된 분할 키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쌍의 키편은, 각각, 상기 주축의 직경 방향을 따른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주축의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키편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키 홈 내에 있어서 상기 주축의 축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키편 이동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경사면을 갖는 한쌍의 키편으로 이루어지는 분할 키를 키 홈 내에 마련하고, 적어도 한쪽의 키편을 주축의 축 방향으로 진퇴시킴으로써, 이 진퇴시킨 키편의 주축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경사면의 작용에 의해서 주축의 둘레 방향으로 어긋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분할 키의 전체적인 단면 형상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 1 홈과 제 2 홈의 위치가 둘레 방향으로 다소 어긋나 있어도, 제 1 홈 및 제 2 홈으로 이루어지는 키 홈의 형상에 분할키의 단면 형상을 맞출 수 있다. 따라서, 분할 키의 측면을 키 홈의 측벽면에 피트시켜, 모든 키에 하중을 균등하게 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키 홈 중 1개에 끼워지는 기준 키는, 분할되어 있지 않은 일체의 키를 이용하여도 좋다.
상기 분할 키는, 상기 주축의 축 방향으로 평행하고 상기 주축의 직경 방향을 따른 분할면에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키편의 상기 측면 중,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 중 어느 한쪽 홈의 측벽면에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주축의 축 방향으로 평행한 측면이고,
상기 한쌍의 키편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의 다른쪽 홈의 측벽면에 접촉하는 부분이며,
상기 키편 이동 기구는, 상기 한쌍의 키편의 양쪽을 상기 키 홈 내에 있어 상기 주축의 축 방향으로 진퇴시켜도 좋다.
이와 같이, 상기 다른쪽 홈의 측벽면에 접촉하는 부분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주축의 직경 방향을 따른 분할면에서 한쌍의 키편으로 분할된 분할 키를 키 홈에 마련하고, 한쌍의 키편의 양쪽을 주축의 축 방향으로 진퇴시킴으로써, 이들의 키편의 주축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경사면의 작용에 의해서 어긋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분할 키의 전체적인 단면 형상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분할 키의 측면을 키 홈의 측벽면에 피트시켜, 모든 키에 하중을 균등하게 가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키편은, 상기 제 1 홈에 끼워지는 제 1 키편과, 상기 제 2 홈에 끼워지는 제 2 키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키편 및 상기 제 2 키편 중 어느 한쪽의 볼록부가 다른쪽의 키편의 오목부에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한쌍의 키편의 상기 경사면은, 서로 접촉하는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의 측면인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제 1 홈 및 제 2 홈에 각각 끼워져, 측면이 경사면인 볼록부와 오목부에서 서로 결합하는 제 1 키편과 제 2 키편으로 분할된 분할키를 키 홈에 마련하고, 제 1 키편 또는 제 2 키편을 주축의 축 방향으로 진퇴시킴으로써, 이 진퇴시킨 키편의 주축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경사면의 작용에 의해서 어긋나게 할 수 있다.
상기 유압 펌프는, 상기 원통 부재의 외주에 장착되는 링 형상 캠 부재와, 해당 링 형상 캠 부재에 의해서 작동하는 복수의 피스톤과, 해당 복수의 피스톤을 안내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 형상 캠 부재가 외주에 장착된 상기 원통 부재는, 상기 주축의 둘레 방향으로 분할되어, 각 키 홈에 대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분할편으로 이루어지며,
각 분할편의 인접하는 분할편과의 접촉면은, 상기 주축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주축의 회전 방향으로 어긋나도록, 상기 주축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원통 부재의 외주에 상기 유압 펌프를 마련하기 때문에, 유압 펌프의 피스톤으로부터의 힘이 링 형상 캠 부재를 거쳐서 원통 부재에 작용한다. 이 힘의 합력은 주축의 접선 방향 및 직경 방향에 각각 접선 방향 분력 및 반경 방향 분력으로서 작용한다.
이 접선 방향 분력에 의해서, 상기 분할편에는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여 분할편을 주축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들어올리려고 한다.
그래서, 각 분할편의 인접하는 분할편과의 접촉면을 경사시킴으로써, 반경 방향 분력이 분할편의 회전 방향측의 단부를 주축측에 가압하기 때문에, 분할편의 들려 올라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링 형상 캠 부재는, 상기 주축의 둘레 방향으로 분할되어, 복수의 원호 형상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원통 부재의 상기 분할편의 개수(n1)와 상기 원호 형상편의 개수(n2)와의 비(n1/n2)는 n1/n2=1/m(단, m은 자연수임)으로 나타나고,
상기 원통 부재의 상기 분할편의 분할 개소와 상기 링 형상 캠 부재의 상기 원호 형상편의 분할 개소와의 상기 주축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링 형상 캠 부재를 복수의 원호 형상편으로 분할하여, 이들 원호 형상편의 분할 개소와 원통 부재의 분할 개소와의 주축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일치시킴으로써, 원호 형상편의 분할 편측의 코너부가 분할편의 외주에 걸리거나, 분할편의 원호 형상 편측의 코너부가 원호 형상편에 걸리거나 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각 분할편의 외주에 접하는 원호 형상편의 수를 m개로 함으로써, 유압 펌프의 피스톤으로부터의 힘이 m개인 원호 형상편을 거쳐서 각 분할편에 균등하게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각 분할편을 거쳐서, 각 분할편에 대하여 각각 마련되어 있는 키에 작용하는 힘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링 형상 캠 부재는, 상기 주축의 둘레 방향으로 분할되고, 복수의 원호 형상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원통 부재의 상기 분할편의 개수(n1)와 상기 원호 형상편의 개수(n2)와의 비(n1/n2)는 n1/n2=1/m(단, m은 자연수임)으로 나타나고,
상기 원통 부재의 상기 분할편의 분할 개소와 상기 링 형상 캠 부재의 상기 원호 형상편의 분할 개소와의 상기 주축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링 형상 캠 부재를 복수의 원호 형상편으로 분할하여, 이들 원호 형상편의 분할 개소와 원통 부재의 분할 개소와의 주축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모든 원호 형상편의 분할 편측의 코너부를 분할편의 내주면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모든 분할편의 원호 형상 편측의 코너부를 원호 형상편의 외주면에 접촉 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원호 형상편의 분할 편측의 코너부가 분할편의 원호 형상 편측의 코너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분할편의 외주에 접하는 원호 형상편의 수를 m개로 함으로써, 유압 펌프의 피스톤으로부터의 힘이 m개인 원호 형상편을 거쳐서 각 분할편에 균등하게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각 분할편을 거쳐서, 각 분할편에 대하여 각각 마련되어 있는 키에 작용하는 힘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각 키 홈은, 상기 주축의 상기 허브에 연결된 상기 일단부와는 반대측의 타단부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으며,
상기 주축의 상기 타단부측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키 홈의 개구를 막는 덮개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키 홈은 개구를 갖고 있으므로, 유압 펌프가 장착되는 원통 부재를 주축 외주에 끼운 후에 키를 키 홈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유압 펌프의 장착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키가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키 홈의 상기 제 1 홈은, 상기 주축의 상기 허브에 연결된 상기 일단부와는 반대측의 타단부에 있어서 폐쇄되어 있으며,
각 키 홈의 상기 제 2 홈은, 상기 주축의 상기 타단부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고, 상기 주축의 상기 타단부측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홈의 개구를 막도록 상기 원통 부재를 보지하는 보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제 2 홈의 개구를 막도록 상기 원통 부재를 보지하는 보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유압 펌프의 빠져 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유압 펌프, 상기 원통 부재, 상기 키 홈 및 상기 키는, 상기 주축의 상기 허브에 연결된 상기 일단부와는 반대측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주축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주축을 장치 본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주축 베어링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원통 부재 및 유압 펌프를 한쌍의 주축 베어링보다 허브로부터 먼 측에 배치함으로써, 한쌍의 주축 베어링을 주축에 가진 상태로, 주축 베어링보다 유지 보수 빈도가 높은 유압 펌프의 탈착이 가능하게 된다. 주축 베어링을 분리하는 수고를 생략함으로써 유압 펌프의 탈착 작업을 단시간에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는, 상기 회전 날개에서 바람을 받아 상기 주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는 풍력 발전 장치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펌프의 장착 방법은, 회전 날개가 장착된 허브와, 상기 허브에 일단부가 연결된 주축과, 상기 주축의 주위에 마련된 원통 부재와, 상기 원통 부재를 거쳐서 상기 주축에 장착되는 유압 펌프와,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서 구동되는 유압 모터와, 상기 유압 모터에 연결된 발전기를 구비하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의 유압 펌프의 장착 방법으로서,
상기 주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홈 및 상기 원통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2 홈으로부터 되는 키 홈을, 상기 주축의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상기 주축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키 홈의 각각 키를 끼워 상기 원통 부재를 상기 주축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 펌프의 장착 방법에 의하면, 상기 주축과 상기 원통 부재를 복수의 키로 연결했으므로, 이들 키를 거쳐서 큰 토크를 주축으로부터 유압 펌프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각 키는, 단시간에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복수 마련하여도 염가이면 족하다.
각 키 홈은, 상기 주축의 상기 허브에 연결된 상기 일단부와는 반대측의 타단부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으며,
상기 유압 펌프 및 상기 원통 부재를 상기 주축의 상기 타단부로부터 삽입한 후,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키 홈에 상기 키를 끼우고, 상기 키 홈의 상기 개구를 덮개 부재에 의해서 막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키 홈은 개구를 갖고 있으므로, 유압 펌프가 장착되는 원통 부재를 주축에 끼운 후에 키를 키 홈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유압 펌프의 설치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키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키 홈은, 상기 주축의 상기 허브에 연결된 상기 일단부와는 반대측의 타단부에 있어서 폐쇄되어 있고,
각 키 홈의 상기 제 2 홈은, 상기 주축의 상기 타단부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으며,
상기 주축의 외주면의 상기 제 1 홈에 상기 키를 끼운 후, 상기 유압 펌프 및 상기 원통 부재를 상기 주축의 상기 타단부로부터 삽입하고, 상기 제 2 홈의 개구를 보지 부재에 의해서 막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키 홈의 상기 타단부는 폐쇄되어 있으므로, 키가 빠져나가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보지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개구를 막아, 유압 펌프의 빠져 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축이 대경인 경우라도, 대토크를 유압 펌프에 전달 가능한 고정 구조를 용이하게, 또한 저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풍력 발전 장치의 정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주축에 장착된 유압 펌프의 주변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분할 키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B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6a는 키 홈 내에서 제 1 키편을 주축의 축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b는 키 홈 내에서 제 1 키편을 주축의 축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c는 키 홈 내에서 제 1 키편을 주축의 축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유압 펌프를 주축에 장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주축에 장착된 유압 펌프의 주변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9는 도 8의 G-G 단면도,
도 10은 분할 키의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H 화살표에서 본 도면,
도 12a는 키 홈 내에서 제 1 키편 및 제 2 키편을 주축의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b는 키 홈 내에서 제 1 키편 및 제 2 키편을 주축의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유압 펌프가 장착된 주축의 단면도이며, 주축, 원통 부재, 링 캠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원통 부재의 분할편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유압 펌프가 장착된 주축의 단면도이며, 주축, 원통 부재, 다른 링 캠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풍력 발전 장치에 적용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수력 발전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에만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며,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풍력 발전 장치의 정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풍력 발전 장치(1)는, 회전 날개(2)가 장착된 허브(3)와, 허브(3)에 일단부가 연결된 주축(4)과, 주축(4)의 주위에 마련된 유압 펌프(5)와, 유압 펌프(5)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서 구동되는 유압 모터(6)와, 유압 모터(6)에 연결된 발전기(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주축(4), 유압 펌프(5), 유압 모터(6) 및 발전기(7)는, 타워(15)상에 설치된 나셀(16) 내에 마련된다. 유압 펌프(5)는, 주축(4)을 나셀(16)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주축 베어링(8, 9)의 허브측과 반대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유압 펌프(5)는, 주축(4)의 외주에 마련된 원통 부재(10)를 거쳐서 주축(4)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유압 펌프(5)는, 고압유 유로(17A) 및 저압유 유로(17B)를 거쳐서 유압 모터(6)에 접속되어 있다. 고압유 유로(17A)는, 유압 펌프(5)의 토출측과 유압 모터(6)의 흡입측 사이에 마련되며, 유압 펌프(5)에서 생성된 고압유가 흐른다. 한편, 저압유 유로(17B)는, 유압 모터(6)의 토출측과 유압 펌프(5)의 흡입측 사이에 마련되어, 유압 모터(6)에서 일을 한 후의 저압유가 흐른다.
도 2는 주축(4)에 장착된 유압 펌프(5)의 주변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유압 펌프(5)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축(4)의 허브(3)와는 반대측(이하, 후단측이라 함)의 단부에는, 복수의 키 홈(25)이 마련되어 있다.
각 키 홈(25)은, 주축(4)의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주축(4)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키 홈(25)은, 주축(4)의 후단측의 타단부에 개구를 갖고 있다. 이 개구를 막도록 주축(4)의 타단부에 덮개 부재(4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키 홈(25)은, 주축(4)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홈(20) 및 원통 부재(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2 홈(21)으로 이루어진다. 제 1 홈(20)과 제 2 홈(21)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키 홈(25)에는, 각각 기준 키(30A) 및 분할 키(30B)가 끼워져 있다.
기준 키(30A)는, 각기둥 형상을 갖는 1개의 키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키 홈(25) 중 한 개소에 끼워진다. 기준 키(30)는, 분할 키(30B)보다 전에 키 홈(25) 내에 삽입된다.
분할 키(30B)는, 한쌍의 키편(34, 3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머지의 키 홈(25)에 끼워져 있다.
도 4는 분할 키(30B)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3의 B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 키(30B)는, 주축(4)에 형성된 제 1 홈(20)에 끼워져 볼록 형상을 갖는 제 1 키편(34)과, 원통 부재(10)에 형성된 제 2 홈(21)에 끼워져 오목 형상을 갖는 제 2 키편(36)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할 키(30B)는, 제 1 키편(34)의 볼록부가 제 2 키편(36)의 오목부에 결합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 1 키편(34)의 볼록부 및 제 2 키편(36)의 오목부의 주축(4)의 직경 방향을 따른 측면(34A, 34B, 36A, 36B)은, 즉, 제 1 키편(34)과 제 2 키편(36)이 접촉하는 접촉면은, 주축(4)의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 1 키편(34)의 볼록부의 양측면(34A, 34B)은 평행이고, 양측면(34A, 34B) 사이의 폭은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키편(36)의 오목부의 양측면(36A, 36B)도 평행이며, 양측면(36A, 36B) 사이의 폭은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키편(36)의 주축(4)의 축 방향의 길이는, 키 홈(25)의 주축(4)의 축 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키편(36)은 키 홈(25) 내에 상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제 1 키편(34)의 주축(4)의 축 방향의 길이는, 제 2 키편(36)의 주축(4)의 축 방향의 길이보다 짧으며, 즉, 키 홈(25)의 주축(4)의 축 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키 홈(25)의 허브측의 선단면과 제 1 키편(34) 사이 및 제 1 키편(34)과 덮개 부재(4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분할 키(30B)는, 제 1 키편(34)을 키 홈(25) 내에 있어서 주축(4)의 축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키편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키편 이동 기구는, 제 1 키편(34)의 단면에 마련된 나사 구멍(38)에 나사 결합하는 조정 나사(39)로 이루어지며, 조정 나사(39)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간극 만큼 제 1 키편(34)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키 홈(25) 내에서 제 1 키편(34)을 주축(4)의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제 1 키편(34)의 각각의 위치에 대하여, 좌측에는 도 3의 C-C 화살표에서 본 도면, 우측에는 해당 화살표에서 본 도면의 단면도(D-D 단면도, E-E 단면도, F-F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6a에는 제 1 키편(34)이 키 홈(25)의 가장 안쪽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6b에는 제 1 키편(34)이 키 홈(25)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6c에는 제 1 키편(34)이 키 홈(25)의 입구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D-D 단면도, E-E 단면도 및 F-F 단면도는, 모두, 키 홈(25)의 중앙 위치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키편(34)의 볼록부의 측면(34A) 및 (34B)을 제 2 키편(36)의 오목부의 측면(36A) 및 (36B)에 접촉시키면서, 제 1 키편(34)을 주축(4)의 축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제 1 키편(34)의 주축(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CL)가 어긋난다. 이것은, 제 1 키편(34)의 측면(34A) 및 (34B)와, 제 2 키편(36)의 측면(36A) 및 (36B)가, 주축(4)의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할 키(32)의 전체적인 단면 형상을 임의로 조절하여, 분할 키(32)의 측면을 키 홈(25)의 주축(4)의 둘레 방향측의 벽면에 피트시켜, 모든 키(30)에 하중을 균등하게 가할 수 있다.
상술한 유압 펌프(5)의 고정 구조의 경우, 유압 펌프(5)의 주축(4)으로의 장착은 이하의 순서로 실행한다.
도 7은 유압 펌프(5)를 주축(4)에 장착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 부재(10)의 외주에 유압 펌프(5)를 미리 조립하고, 원통 부재(10)와 유압 펌프(5)가 일체가 된 유압 펌프 유닛(18)[원통 부재(10) 및 유압 펌프(5)]으로 한다.
그리고, 주축(4)에 형성된 제 1 홈(20)과 원통 부재(10)에 형성된 제 2 홈(21)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가 되도록 유압 펌프 유닛(18)[원통 부재(10) 및 유압 펌프(5)]을 주축(4)의 외주에 장착한다. 또한, 한쌍의 주축 베어링(8, 9)은 원통 부재(10)를 주축(4)의 외주에 마련하는 것보다도 전에 미리 주축(4)에 장착해 둔다.
다음에, 기준 키(30A)를 키 홈(25) 내에 장착한다. 이어서, 나머지의 키 홈(25) 내에도 분할 키(30B)를 각각 장착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키편(34)을 제 2 키편(36)에 대하여 주축(4)의 축 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분할 키(30B)를 키 홈(25) 내에 장착한다.
나머지 모든 키 홈(25) 내에 분할 키(30)를 마련하면, 다음에, 기준 키(30A) 및 분할 키(30B)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주축(4)의 후단측의 단부에 덮개 부재(40)를 장착한다.
마지막으로, 유압 펌프(5)를 지지하기 위한 펌프 베어링(28)을 장착한다.
또한, 유압 펌프(5)의 조립 장착은, 원통 부재(10)를 주축(4)에 장착하기 전에 미리 실행하여도 좋고, 원통 부재(10)를 주축(4)에 장착한 후에 실행하여도 좋다.
그런데, 유압 펌프(5)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 부재(10)의 본체부(11)의 외주에 장착된 링 캠(29)이나, 이 링 캠(29)에 의해서 작동하는 피스톤(26)이나, 링 캠(29) 및 피스톤(26)을 수납하는 케이싱(27), 케이싱(27)과 원통 부재(10) 사이에 마련되는 펌프 베어링(28) 등의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도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유압 펌프(5)는, 주축 베어링(8, 9)에 비하여 빈번히 유지 보수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원통 부재(10) 및 유압 펌프(5)를 한쌍의 주축 베어링(8, 9) 사이보다 후단측에 마련함으로써, 유지 보수 빈도가 높은 유압 펌프(5)를 포함하는 유압 펌프 유닛(18)을 탈착할 때에, 한쌍의 주축 베어링(8, 9)을 분리하는 일 없이, 그 탈착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압 펌프(5)의 고정 구조에 의하면, 주축(4)과 원통 부재(10)를 복수의 키(30A, 30B)로 연결했으므로, 큰 토크를 주축(4)으로부터 유압 펌프(5)에 전달할 수 있다. 이들 각 키(30A, 30B)는, 단시간에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복수 마련하여도 염가이면 족하다.
또한, 기준 키(30A)와 분할 키(30B)를 마련하고, 우선, 기준 키(30A)를 키 홈(25)에 장착하고, 이어서, 나머지의 키 홈(25)에 분할 키(30B)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키(30A, 30B)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또한 단시간에 장착할 수 있다. 즉, 첫번째의 키 홈(25)에 기준 키(30A)를 장착할 때는, 다른 키 홈(25)에 분할 키(30B)가 들어가 있지 않으며 주축(4) 및 원통 부재(10)를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기준 키(30A)를 단시간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어서, 예를 들면, 두번째의 키 홈(25)에도 기준 키(30A)를 장착하려고 하면, 이미 첫번째의 키 홈(25)에 기준 키(30A)가 들어가 있으므로, 주축(4) 및 원통 부재(10)를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제 1 홈(20)에 대한 제 2 홈(21)의 상대적인 위치가 다소 어긋나 있으면 장착 작업에는 매우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서는, 분할 키(30B)로서, 주축(4)의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측면(34A, 34B, 36A, 36B)을 갖는 한쌍의 키편(34, 36)을 마련함으로써, 제 2 키편(36)에 대하여 제 1 키편(34)을 주축(4)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제 1 홈(20)에 대한 제 2 홈(21)의 상대적인 위치가 다소 어긋나 있어도, 분할 키(30B)를 단시간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분할 키(30B)를 키 홈(25) 내에 장착할 때, 제 1 키편(34)을 주축(4)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둘레 방향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한쌍의 키편(34, 36)의 측면(34C, 34D, 36C, 36D)을 제 1 홈(20) 및 제 2 홈(21)의 둘레 방향측의 벽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준 키(30A) 및 분할 키(30B)에 하중을 균등하게 가할 수 있다.
또한, 키 홈(25)은 개구를 갖고 있으므로, 유압 펌프 유닛(18)[원통 부재(10) 및 유압 펌프(5)]을 장착한 후에, 기준 키(30A) 및 분할 키(30B)를 장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주축(4)에 이미 장착된 키에 유압 펌프 유닛(18)의 키 홈이 끼워 맞춤하도록 유압 펌프 유닛(18)을 장착하는 경우보다, 대폭 장착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 부재(40)를 구비함으로써, 기준 키(30A) 및 분할 키(30B)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의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하며, 주로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주축(4)에 장착된 유압 펌프(5)의 주변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의 G-G 단면도이다. 또한, 도 9에 있어서는, 유압 펌프(5)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축(4)의 후단측의 단부에는, 주축(4)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홈(50)과, 원통 부재(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2 홈(51)과, 기준 키(30A)와, 복수의 분할 키(54B)와, 유압 펌프(5)의 빠져나옴을 방지하기 위한 보지 부재(56)가 마련되어 있다.
제 2 홈(51)은, 주축(4)의 후단측의 타단부에 개구를 갖고 있다. 이 제 2 홈(51)의 개구를 막도록 주축(4)의 타단부에 보지 부재(56)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10은 분할 키(62)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도 9의 H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 키(54B)는, 주축(4)의 축 방향으로 평행하고 또한 주축(4)의 직경 방향을 따른 분할면에서 분할된 한쌍의 키편(64, 66)으로 이루어진다.
제 1 키편(64) 및 제 2 키편(66)의 측면 중, 제 2 홈(51)의 둘레 방향측의 벽면에 접촉하는 측면(64B, 66B)은, 주축(4)의 축 방향으로 평행한 측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키편(64) 및 제 2 키편(66)의 측면 중, 제 1 홈(50)의 둘레 방향측의 벽면에 접촉하는 측면(64A, 66A)은, 주축(4)의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측면(64A, 66A)의 경사각은, 후술하는 제 1 홈(50)의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홈(50)은, 주축(4)의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홈(50)의 축 방향의 길이는, 복수의 분할 키(54B)의 축 방향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분할 키(54B)가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홈(50)은, 주축(4)의 후단측의 타단부에 있어서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기준 키(30A) 및 복수의 분할 키(54B)가 후단측으로 빠져 나오지 않는다.
분할 키(54B)는, 제 1 키편(64) 및 제 2 키편(66)을 키 홈(55) 내에 있어서 주축(4)의 축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키편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키편 이동 기구는, 제 1 키편(34)의 단면에 마련된 나사 구멍(68)에 끼워맞추는 제 1 조정 나사(70)와, 제 2 키편(36)의 단면에 마련된 나사 구멍(68)에 끼워 맞추는 제 2 조정 나사(72)로 이루어진다.
제 1 홈(50) 및 제 2 홈(51)의 축 방향의 길이는, 제 1 키편(64) 및 제 2 키편(66)의 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제 1 조정 나사(70) 및 제 2 조정 나사(72)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키편(64) 및 제 2 키편(66)을 각각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조정 나사(70)를 체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키편(64)은 후단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 1 조정 나사(70)를 느슨하게 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키편(64)은 허브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 2 키편(64)도 제 1 키편(66)과 마찬가지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 1 조정 나사(70)와 제 2 조정 나사(72)를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키편(64) 및 제 2 키편(66)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2는 키 홈(55) 내에서 제 1 키편(64) 및 제 2 키편(66)을 주축(4)의 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제 1 키편(64) 및 제 2 키편(66)의 각각의 위치에 대하여, 우측에는 도 9의 J-J 화살표에서 본 도면, 좌측에는 해당 화살표에서 본 도면의 단면도(K-K 단면도, L-L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2a에는 제 1 키편(64) 및 제 2 키편(66)이 키 홈(55)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12b에는 제 1 키편(64) 및 제 2 키편(66)이 각각 키 홈(55)의 중앙부, 후단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K-K 단면도 및 L-L 단면도는, 키 홈(55)의 중앙 위치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키편(64) 및 제 2 키편(66)의 측면(64A, 66A)을 제 1 홈(50)의 주축(4)의 둘레 방향측의 벽면에 접촉시키면서, 제 1 키편(64) 및 제 2 키편(66)을 주축(4)의 축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제 1 키편(64) 및 제 2 키편(66)의 제 1 홈(50) 내에 삽입되어 있는 부위의 주축(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CL)가 어긋난다. 이것은, 제 1 홈(50)의 둘레 방향측의 벽면과, 제 1 키편(64)의 측면(64A)과, 제 2 키편(66)의 측면(66A)이, 주축(4)의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할 키(62)의 전체적인 단면 형상을 임의로 조절하고, 분할 키(62)의 측면을 키 홈(55)의 둘레 방향측의 벽면에 피트시켜, 모든 키(30A, 62)에 하중을 균등하게 가할 수 있다.
상술한 유압 펌프(5)의 고정 구조의 경우, 유압 펌프(5)의 주축(4)으로의 장착은 이하의 순서로 실행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제 1 홈(50) 내에 분할 키(62)를 끼운다. 이 때, 제 1 홈(50) 내의 허브측의 단면에 접촉하도록 제 1 키편(64)을 삽입하고, 다음에, 제 1 홈(50) 내의 후단측의 단부에 제 2 키편(66)을 삽입한다. 그리고, 제 2 키편(66)을 허브측으로 이동시켜 측면(66A)을 제 1 홈(50)의 둘레 방향 벽면에 밀착시킨다. 그 후, 미조정을 위해 제 1 키편(64)을 후단측으로 이동시키고 측면(64A)을 제 1 홈(50)의 둘레 방향 벽면에 밀착시킨다. 이 때, 분할 키(62)의 하부만이 제 1 홈(50) 내에 끼워지고, 상부는 주축(4)의 외주면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또한, 제 1 홈(50) 내에 최초로 삽입하는 키편은, 나사 구멍(68)을 갖는 단면과는 반대측의 단면의 면적이 큰 쪽의 키편을, 제 1 홈(50) 내의 허브측(안쪽)에 배치한다.
한편, 원통 부재(10)의 외주에 유압 펌프(5)를 미리 조립 장착하여, 원통 부재(10)와 유압 펌프(5)가 일체가 된 유압 펌프 유닛(18)[원통 부재(10) 및 유압 펌프(5)]으로 하여 둔다. 또한, 유압 펌프(5)의 조립 장착은, 분할 키(62)를 제 1 홈(50) 내에 끼우는 작업과 병행하여 실행하여도 좋고, 원통 부재(10)를 주축(4)에 장착한 후에 실행하여도 좋다.
다음에, 유압 펌프 유닛(18)[원통 부재(10) 및 유압 펌프(5)]을 주축(4)의 후단측으로부터 주축(4)의 외주에 장착한다. 이 때, 분할 키(62)의 상부를 원통 부재(10)의 제 2 홈(51) 내에 끼워 맞추면서 유압 펌프 유닛(18)을 장착한다.
다음에, 유압 펌프 유닛(18)[원통 부재(10) 및 유압 펌프(5)]이 후단측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보지 부재(56)를 주축(4)의 후단부에 장착한다.
마지막으로, 유압 펌프(5)를 지지하기 위한 펌프 베어링(28)을 장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압 펌프(5)의 고정 구조에 의하면, 한쌍의 키편(64, 66)으로 이루어지는 분할 키(54B)를 마련하여, 제 1 키편(64) 및 제 2 키편(66)을 주축(4)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1 키편(64) 및 제 2 키편(66)의 측면(64A, 66A)을 제 1 홈(50)의 둘레 방향측의 벽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준 키(30A) 및 분할 키(54B)에 하중을 균등하게 가할 수 있다.
또한, 제 2 홈(51)의 통로를 보지 부재(56)로 막고 있으므로, 유압 펌프 유닛(18)[원통 부재(10) 및 유압 펌프(5)]의 빠져나옴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유압 펌프(5)가 장착된 주축(4)의 단면도이며, 주축(4), 원통 부재(10), 링 캠(29)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축(4)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는 원통 부재(10)는, 주축(4)의 둘레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편(10A)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통 부재(10)는, 그 분할수가 키 홈(25)수와 동일해지도록 분할되고, 각 키 홈(25)에 대하여 각각 1개의 분할편(10A)이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각 분할편(10A)의 인접하는 분할편(10A)과의 접촉면(10B)은, 주축(4)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주축(4)의 회전 방향으로 어긋나도록, 주축(4)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유압 펌프(5)의 피스톤(26)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편(10A)에 작용하는 피스톤(26)의 하중의 합력은, 링 캠(29)의 외주에 작용한다. 이 때, 주축(4)의 접선 방향 및 직경 방향에 각각 접선 방향 분력(F2) 및 반경 방향 분력(F1)이 작용한다.
이 접선 방향 분력(F2)에 의해서, 분할편(10A)에는 굽힘 모멘트가 작용한다. 이 굽힘 모멘트는, 접선 방향 분력(F2)에 분할편(10)의 높이(H)를 곱한 것이며, 분할편(10)을 주축(4)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들어올리려고 한다.
또한, 반경 방향 분력(F1)은, 분할편(10A)을 주축(4)에 가압하는 것이다. 반경 방향 분력(F1)은, 분할편(10)의 외주의 둘레 방향의 가운데인 중앙부 부근에 작용한다. 반경 방향 분력(F1)은, 분할편(10)의 접촉면(10B)이 주축(4)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기준 키(30)보다 주축(4)의 회전 방향측의 위치에 작용한다.
한편, 주축(4)으로부터 반경 방향 분력(F1)의 반력 및 굽힘 모멘트의 반력으로 이루어지는 면압이 작용하고 있다. 이들 면압은,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는 만큼만 주축(4)의 회전 방향과 반대측의 단부 부근이 커진다. 따라서, 이들 면압의 합력(F3)은, 분할편(10)의 주축(4)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측의 단부 부근의 위치에 작용한다.
합력(F3)이 작용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거리(e) 만큼 멀어진 위치에 반경 방향 분력(F1)이 작용하기 때문에, 분할편(10A)을 주축(4)으로 가압하는 방향의 모멘트가 작용함으로써, 분할편(10A)의 들려 올라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 부재(10)의 외주에 마련되어 있는 링 캠(29)은, 주축(4)의 둘레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원호 형상편(29A)으로 구성되어 있다.
링 캠(29)의 원호 형상편(29A)의 분할 개소와 원통 부재(10)의 분할편(10A)의 분할 개소와의 주축(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일치하고 있다.
이 때의, 원통 부재(10)의 분할편(10A)의 개수(n1)와 원호 형상편(29A)의 개수(n2)와의 비(n1/n2)는 다음식(1)으로 나타난다.
n1/n2=1/m  (단, m은 자연수임)… 식 (1)
링 캠(29)이 원호 형상편(29A)으로 구성되며, 이들 원호 형상편(29A)의 분할 개소가 원통 부재(10)의 분할편(10A)의 분할 개소와의 주축(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일치함으로써, 원호 형상편(29A)의 분할 편측의 코너부가 분할편(10A)의 외주에 걸리거나, 분할편(10A)의 원호 형상 편측의 코너부가 원호 형상편(29A)에 걸리거나 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각 분할편(10A)의 외주에 접하는 원호 형상편(29A)의 수를 m개로 함으로써, 유압 펌프(5)의 피스톤(26)으로부터의 힘이 m개인 원호 형상편(29A)을 거쳐서 각 분할편(10A)에 균등하게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각 분할편(10A)을 거쳐서, 각 분할편(10A)에 대하여 각각 마련되어 있는 기준 키(30A) 및 분할 키(30B)에 작용하는 힘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링 캠(29)의 원호 형상편(29A)의 분할 개소와 원통 부재(10)의 분할편(10A)의 분할 개소와의 주축(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 캠(29)의 원호 형상편(29A)의 분할 개소와 원통 부재(10)의 분할편(10A)의 분할 개소와의 주축(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 있어도 좋다.
이 때의 원통 부재(10)의 분할편(10A)의 개수(n1)와 원호 형상편(29A)의 개수(n2)와의 비(n1/n2)도 상기 식(1)으로 나타난다.
링 캠(29)이 원호 형상편(29A)으로 구성되며, 이들 원호 형상편(29A)의 분할 개소가 원통 부재(10)의 분할편(10A)의 분할 개소와의 주축(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 있으므로, 모든 원호 형상편(29A)의 분할 편측의 코너부를 분할편(10A)의 내주면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모든 분할편(10A)의 원호 형상편측의 코너부를 원호 형상편(29A)의 외주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원호 형상편(29A)의 분할 편측의 코너부가 분할편(10A)의 원호 형상편측의 코너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호 형상편(29A)의 분할 개소와 분할편(10A)의 분할 개소와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 있는 경우도, 원호 형상편(29A)의 분할 개소와 분할편(10A)의 분할 개소와의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압 펌프(5)의 피스톤(26)으로부터의 힘이 m개인 원호 형상편(29A)을 거쳐서 각 분할편(10A)에 균등하게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각 분할편(10A)을 거쳐서 기준 키(30A) 및 분할 키(30B)에 작용하는 힘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의 구체적인 예로서 풍력 발전 장치(1)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풍력 발전 장치(1)이외의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류, 해류 또는 하류를 이용한 발전 장치에 있어서, 타워(15)가 해중 또는 수중에 가라앉아 있으며, 회전 날개(2)에 의해서 조류, 해류 또는 하류를 받음으로써 주축(4)이 회전하는 발전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여도 좋다.
1 : 풍력 발전 장치 2 : 회전 날개
3 : 허브 4 : 주축
5 : 유압 펌프 6 : 유압 모터
7 : 발전기 8 : 주축 베어링
9 : 주축 베어링 10 : 원통 부재
10A : 분할편 10B : 접촉면
11 : 본체부 15 : 타워
16 : 나셀 17A : 고압유 유로
17B : 저압유 유로 18 : 유압 펌프 유닛
20 : 제 1 홈 21 : 제 2 홈
25 : 키 홈 26 : 피스톤
27 : 케이싱 28 : 펌프 베어링
29 : 링 캠 29A : 원호 형상편
30 : 키 30A : 기준 키
30B : 분할 키 34 : 제 1 키편
34A, 34B : 측면 34C, 34D : 측면
36 : 제 2 키편 36A, 36B : 측면
36C, 36D : 측면 38 : 나사 구멍
39 : 조정 나사 40 : 덮개 부재
50 : 제 1 홈 51 : 제 2 홈
54B : 분할 키 55 : 키 홈
56 : 보지 부재 62 : 분할 키
64 : 제 1 키편 64A : 측면
64B : 측면 66 : 제 2 키편
66A : 측면 66B : 측면
68 : 나사 구멍 70 : 제 1 조정 나사
72 : 제 2 조정 나사

Claims (15)

  1. 회전 날개가 장착된 허브와,
    상기 허브에 일단부가 연결된 주축과,
    상기 주축의 주위에 마련된 원통 부재와,
    상기 원통 부재를 거쳐서 상기 주축에 장착되는 유압 펌프와,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서 구동되는 유압 모터와,
    상기 유압 모터에 연결된 발전기를 구비하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홈 및 상기 원통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2 홈으로 이루어지는 키 홈이, 상기 주축의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상기 주축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며,
    각 키 홈에 끼워지는 복수의 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는, 상기 키 홈 중 1개에 끼워지는 기준 키와, 다른 상기 키 홈에 끼워지는 한쌍의 키편으로 분할된 분할 키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쌍의 키편은, 각각, 상기 주축의 직경 방향을 따른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주축의 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키편의 적어도 한쪽을 상기 키 홈 내에 있어서 상기 주축의 축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키편 이동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키는, 상기 주축의 축 방향으로 평행하고 또한 상기 주축의 직경 방향을 따른 분할면에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키편의 상기 측면 중,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 중 어느 한쪽의 홈의 측벽면에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주축의 축 방향으로 평행한 측면이고,
    상기 한쌍의 키편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의 다른쪽 홈의 측벽면에 접촉하는 부분이며,
    상기 키편 이동 기구는, 상기 한쌍의 키편의 양쪽을 상기 키 홈 내에 있어서 상기 주축의 축 방향으로 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키편은, 상기 제 1 홈에 끼워지는 제 1 키편과, 상기 제 2 홈에 끼워지는 제 2 키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키편 및 상기 제 2 키편 중 어느 한쪽의 볼록부가 다른쪽 키편의 오목부에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한쌍의 키편의 상기 경사면은 서로 접촉하는 상기 볼록부 및 상기 오목부의 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키는 분할되어 있지 않은 일체의 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펌프는, 상기 원통 부재의 외주에 장착되는 링 형상 캠 부재와, 상기 링 형상 캠 부재에 의해서 작동하는 복수의 피스톤과, 상기 복수의 피스톤을 안내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 형상 캠 부재가 외주에 장착된 상기 원통 부재는, 상기 주축의 둘레 방향으로 분할되어, 각 키 홈에 대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분할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분할편의 인접하는 분할편과의 접촉면은, 상기 주축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상기 주축의 회전 방향으로 어긋나도록, 상기 주축의 직경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 캠 부재는, 상기 주축의 둘레 방향으로 분할되어, 복수의 원호 형상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원통 부재의 상기 분할편의 개수(n1)와 상기 원호 형상편의 개수(n2)의 비(n1/n2)는 다음식,
     n1/n2=1/m  (단, m은 자연수임)
    으로 표현되며,
    상기 원통 부재의 상기 분할편의 분할 개소와 상기 링 형상 캠 부재의 상기 원호 형상편의 분할 개소의 상기 주축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 캠 부재는, 상기 주축의 둘레 방향으로 분할되어, 복수의 원호 형상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원통 부재의 상기 분할편의 개수(n1)와 상기 원호 형상편의 개수(n2)의 비(n1/n2)는 다음식,
    n1/n2=1/m  (단, m은 자연수임)
    으로 표현되며,
    상기 원통 부재의 상기 분할편의 분할 개소와 상기 링 형상 캠 부재의 상기 원호 형상편의 분할 개소의 상기 주축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키 홈은, 상기 주축의 상기 허브에 연결된 상기 일단부와는 반대측의 타단부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으며,
    상기 주축의 상기 타단부측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키 홈의 통로를 막는 덮개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키 홈의 상기 제 1 홈은, 상기 주축의 상기 허브에 연결된 상기 일단부와는 반대측의 타단부에 있어서 폐쇄되어 있고,
    각 키 홈의 상기 제 2 홈은, 상기 주축의 상기 타단부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으며,
    상기 주축의 상기 타단부측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 2 홈의 개구를 막도록 상기 원통 부재를 보지하는 보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펌프, 상기 원통 부재, 상기 키 홈 및 상기 키는, 상기 주축의 상기 허브에 연결된 상기 일단부와는 반대측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주축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타단부 사이에 있어서, 상기 주축을 장치 본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주축 베어링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는,
    상기 회전 날개에서 바람을 받아 상기 주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발전기를 구동하는 풍력 발전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13. 회전 날개가 장착된 허브와, 상기 허브에 일단부가 연결된 주축과, 상기 주축의 주위에 마련된 원통 부재와, 상기 원통 부재를 거쳐서 상기 주축에 장착되는 유압 펌프와,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서 구동되는 유압 모터와, 상기 유압 모터에 연결된 발전기를 구비하는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의 유압 펌프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홈 및 상기 원통 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2 홈으로 이루어지는 키 홈을, 상기 주축의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상기 주축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키 홈의 각각에 키를 끼워서 상기 원통 부재를 상기 주축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의 장착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각 키 홈은, 상기 주축의 상기 허브에 연결된 상기 일단부와는 반대측의 타단부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으며,
    상기 유압 펌프 및 상기 원통 부재를 상기 주축의 상기 타단부로부터 삽입한 후,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키 홈에 상기 키를 삽입하여 끼우고, 상기 키 홈의 상기 개구를 덮개 부재에 의해서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의 장착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각 키 홈은, 상기 주축의 상기 허브에 연결된 상기 일단부와는 반대측의 타단부에 있어서 폐쇄되어 있고,
    각 키 홈의 상기 제 2 홈은, 상기 주축의 상기 타단부에 있어서 개구하고 있으며,
    상기 주축의 외주면의 상기 제 1 홈에 상기 키를 끼운 후, 상기 유압 펌프 및 상기 원통 부재를 상기 주축의 상기 타단부로부터 삽입하고, 상기 제 2 홈의 개구를 보지 부재에 의해서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펌프의 장착 방법.
KR1020127034113A 2011-04-05 2011-04-05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및 유압 펌프의 장착 방법 KR201300209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8646 WO2012137310A1 (ja) 2011-04-05 2011-04-05 再生エネルギー型発電装置及び油圧ポンプの取付け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909A true KR20130020909A (ko) 2013-03-04

Family

ID=4696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4113A KR20130020909A (ko) 2011-04-05 2011-04-05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및 유압 펌프의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97596B2 (ko)
JP (1) JP5615349B2 (ko)
KR (1) KR20130020909A (ko)
CN (1) CN102959247A (ko)
WO (1) WO20121373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1897B2 (en) * 2009-09-01 2013-09-24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Generation of electric energy using cable-supported windmills
JP6010732B2 (ja) * 2012-10-19 2016-10-19 太陽工業株式会社 プレス装置用歯車の調整構造
JP5627818B1 (ja) * 2013-02-18 2014-11-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再生可能エネルギ発電装置
KR101703891B1 (ko) * 2014-06-13 2017-0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
JP6251794B1 (ja) 2016-11-04 2017-12-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再生可能エネルギー型発電装置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63294C (de) * 1926-05-07 1928-07-27 Luiko Gowers Geteilter Laengskeil, insbesondere fuer Wellen
US2028448A (en) * 1935-04-03 1936-01-21 Leroy F Harza Hydraulic turbine
US4134708A (en) * 1976-12-22 1979-01-16 Brauser Bradley O Wind driven electric power plant
JPS5467852A (en) * 1977-11-09 1979-05-31 Hitachi Ltd Guide vane key for water wheel and pump water turbine
JPS58174719A (ja) 1982-04-07 1983-10-13 Hitachi Ltd 回転体と軸の締結構造
JPH0312962Y2 (ko) * 1985-11-26 1991-03-26
JPS6334308A (ja) * 1986-07-29 1988-02-15 東京自動機工株式会社 キ−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178518A (en) * 1990-05-14 1993-01-12 Carter Sr J Warne Free-yaw, free-pitch wind-driven electric generator apparatus
JP3192775B2 (ja) * 1992-10-14 2001-07-30 株式会社牧野フライス製作所 キー締結部の擦過腐食防止方法及びキー締結構造
JP2000161458A (ja) 1998-11-20 2000-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ム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部品実装装置
JP2002213842A (ja) 2001-01-17 2002-07-31 Calsonic Kansei Corp 膨張弁に対する二重管の接続構造及び膨張弁
JP2003278640A (ja) * 2002-03-20 2003-10-02 Kazumi Machida 風力発電装置
US7323792B2 (en) * 2005-05-09 2008-01-29 Chester Sohn Wind turbine
JP3118509U (ja) 2005-11-11 2006-01-26 興國機工株式会社 ツインスイベルジョイントの構造
US7861969B2 (en) 2007-05-24 2011-01-04 The Boeing Company Shaped composite stringers and methods of making
CN201129405Y (zh) * 2007-12-17 2008-10-08 南京高速齿轮制造有限公司 用于风力发电机的增速齿轮箱
JP4100520B1 (ja) * 2007-12-28 2008-06-1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アップウインド型風車及びその退避運転方法
JP2009162305A (ja) 2008-01-07 2009-07-23 Tgk Co Ltd フレキシブルホース
CN101655069A (zh) * 2008-08-08 2010-02-24 通用电气公司 风力涡轮机系统
US20100032959A1 (en) 2008-08-08 2010-02-11 General Electric Company Wind turbine system
US8074450B2 (en) * 2008-08-13 2011-12-13 General Electric Company Wind energy system with fluid-working machine with non-symmetric actuation
JP2010281274A (ja) * 2009-06-05 2010-12-16 Nbs Kk 風力ポンプ
CN201539365U (zh) * 2009-08-10 2010-08-04 广州红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小型风力发电机
CN101806281B (zh) * 2010-04-28 2011-11-02 哈尔滨工业大学 用于风力发电机组主轴制动的液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57994A1 (en) 2012-10-11
JPWO2012137310A1 (ja) 2014-07-28
JP5615349B2 (ja) 2014-10-29
CN102959247A (zh) 2013-03-06
US8497596B2 (en) 2013-07-30
WO2012137310A1 (ja)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31747B2 (ja) 風力発電用風車
KR101278816B1 (ko) 풍력 발전기 또는 조류 발전기용 유압 펌프 구조체 및 유압 펌프 설치 방법
KR20130059309A (ko)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및 그 회전 블레이드 착탈 방법
US10215260B2 (en) Integrative transmission chain of hybrid-drive wind turbine and a gearbox used by the transmission chain
KR20130020909A (ko) 재생 에너지형 발전 장치 및 유압 펌프의 장착 방법
WO2007119953A1 (en) Wind turbine with single main bearing
JP4969708B1 (ja) 再生エネルギー型発電装置及び油圧ポンプの取付け方法
KR20140108733A (ko) 풍력 터빈 회전자
EP3318753B1 (en) Renewable-energy type power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6820333B2 (en) Method of converting storage pumps into reversible pump-turbines
JP2008057350A (ja) 風力発電装置
WO2006137696A1 (en) Impulse turbine with rotor blade for prevention clearance flow loss
JP5863944B2 (ja) 再生エネルギー型発電装置及びその油圧ポンプ取付方法
JP5738476B2 (ja) 流体作動装置及び風力発電装置
JP6045605B2 (ja) 再生可能エネルギー型発電装置
KR20130073322A (ko) 풍력발전기
KR101337622B1 (ko) 풍력 발전기
KR20110063994A (ko)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조류력 발전장치
WO2014109043A1 (ja) 風力発電装置
KR20080101338A (ko) 수평 원통형 풍력발전기
JP5734506B2 (ja) 流体作動装置及び風力発電装置
EP4253795A1 (en) Transmission for a wind turbine
KR101345711B1 (ko) 풍력 발전기
CN209923552U (zh) 一种喷水/喷气织机主轴电机安装结构
JPS6375365A (ja) 水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