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0773A -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 달성 방법 - Google Patents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 달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0773A
KR20130020773A KR1020127025518A KR20127025518A KR20130020773A KR 20130020773 A KR20130020773 A KR 20130020773A KR 1020127025518 A KR1020127025518 A KR 1020127025518A KR 20127025518 A KR20127025518 A KR 20127025518A KR 20130020773 A KR20130020773 A KR 20130020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optical element
output laser
polarization output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5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얀 클라이네르트
Original Assignee
일렉트로 싸이언티픽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렉트로 싸이언티픽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렉트로 싸이언티픽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20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G02B26/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by periodically varying the intensity of light, e.g. using chopp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attenuating light intensity, e.g. comprising rotatable polaris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01Lasers provided with means to change the location from which, or the direction in which, laser radiation is emit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 Lasers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의 고속 강도 변화 달성 방법은, 여러 각도 위치들 사이에서 광 입사각 민감성 광학 요소의 고속 전이를 제공하는 갈바노미터 시스템(200)에 대해 광 입사각 만감성 광학 요소(104)를 고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갈바노미터 시스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고속 전이는 입력 레이저 빔(102)과 광 입사각 민감성 광학 요소 사이의 입사각(θ1)을 변화시키며 이에 따라 광 입사각 민감성 광학 요소에 의해 생성되는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 달성 방법{METHOD FOR ACCOMPLISHING HIGH-SPEED INTENSITY VARIATION OF A POLARIZED OUTPUT LASER BEAM}
본 명세서는 광학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강도를 변화시키는 레이저 빔 광학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많은 레이저 처리 응용분야에서, 편광 레이저 빔의 강도는 광학 감쇠기를 사용하여 변화된다(즉, 감쇠된다). 하나의 종래 접근법에서, 회전 웨이브플레이트{또는 전기-광학 모듈레이터(EOM)}와 후속 편광기의 조합이 변화가능한 강도를 가지는 편광 레이저 빔을 생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회전 웨이브플레이트 및 후속 편광기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회전 웨이브플레이트 및 후속 편광기는 레이저 빔의 빔 경로 내에 위치되며, 회전 웨이브플레이트는 빔에 대하여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편광 벡터를 회전시키며, 이것은 후속 편광기를 통과하여 나가는 편광 레이저 빔의 강도를 변화시킨다. 다른 하나의 종래 접근법에서, 변화가능한 강도를 가지는 편광 레이저 빔을 생성하기 위하여 음향-광학 모듈레이터(AOM)가 이용된다. AOM을 이용하는 시스템에서, 음향-전기 트랜스듀서(예컨대 압전 트랜스듀서)가 매체(예컨대 유리, 석영) 내에서 생성된 음파의 강도를 변화시키며, 이에 의하여 그 매체에 입사하여 그 매체에 의해 굴절되는 레이저 빔의 강도를 변화시킨다.
종래 접근법들은 수많은 단점들을 가진다. 예를 들어, 회전 웨이브플레이트 및 후속 편광기를 포함하는 광학 감쇠기는 빔 강도를 변화시키는데 있어서 상대적으로 느리다. 비록 AOM은 신속하게 빔 강도를 변화시킬 수 있지만(약 100 나노초 이하로), AOM을 구현한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복잡하고, 이 시스템의 광학적 정렬 은 상대적으로 어려우며, 또한 빔 경로가 상대적으로 길다. 더 나아가 AOM은 통상적으로 90% 미만의 피크 회절 효율을 가진다.
레이저 빔의 강도를 신속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광학적으로 단순하다는 특징을 가지며,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피크 투과 효율을 가지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 달성을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작업대상 위의 타겟 위치를 향하는 빔 경로의 제 1 부분을 따라 전파되는 입력 레이저 빔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또한 빔 경로의 제 1 부분을 수직 횡단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이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와 협력하는 갈바노미터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갈바노미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갈바노미터 구동 부재는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가 선택된 각도 위치들 사이에서 고속 전이되도록 하기 위해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의 회전을 제어한다.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에 고정된 광 입사각 민감성 광학 요소는 광 입사각 민감성 광학 요소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광 입사각 민감성 광학 요소는 빔 경로의 제 1 부분을 가로지르도록 위치된 평면형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데, 이에 따라 입력 레이저 빔은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의 각도 위치에 의하여 결정되는 입사각으로 평면형 광학 필름 상에 입사된다. 평면형 광학 필름은 입력 레이저 빔으로부터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을 생성하며, 이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은 작업 대상 상의 타겟 위치를 향하는 빔 경로의 제 2 부분을 따라 전파된다.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은 그 강도가 입력 레이저 빔과 평면형 광학 필름 사이의 입사각의 함수로서 변화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갈바노미터 구동 부재에 의한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의 고속 전이는 입력 레이저 빔과 평면형 광학 필름 사이의 입사각을 변화시키며, 이에 따라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가 달성된다.
추가적인 양상들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 달성을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라인 2-2를 따라 취해진 시스템의 다양한 부품들의 저면도.
도 3은 도 1의 시스템의 광 입사각 민감성 광학 요소의 투과율 대 광 입사 민감 광학 요소의 평면형 광학 필름과 입사 레이저 빔 사이의 입사각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은 강도(예를 들어 전력 레벨)가 변화되는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입력 레이저 빔(102)을 선택적으로 감쇠하기 위한 시스템(100)의 일 실시예의 하드웨어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입력 레이저 빔(102)은 p-편광 광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모든 s-편광 광이 실질적으로 제거되어 있다. 입력 레이저 빔(102)은 자외선(UV) 레이저 소스(예컨대 355 nm 레이저)와 같은,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닌, 기존의 레이저 소스(미도시됨)에 의해 생성된다. 시스템(100)은 빔 경로(108)의 제 1 부분(106)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하는 광 입사각 민감성 광학 요소(104)를 포함하는데, 이 빔 경로를 따라 입력 레이저 빔(102)이 작업대상(미도시됨) 위의 타겟 위치를 향하여 전파된다. 일 예에서, 광학 요소(104)는 편광기, 바람직하게는 박막 편광기이다. 그렇지만,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광학 요소와 입사 광 사이의 입사각의 함수로서 변화하는 입사 광 투과율이라는 특징을 가지는 임의의 다른 광학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광학 요소(104)는 유리 또는 유리-같은 물질로 만들어진 기판(112)과 그 위에 형성된 평면형 광학 필름(114)(예컨대 광학 코팅)을 포함한다. 기판(1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판(112)은 쐐기-형태일 수 있고, 이것이 두번째 쐐기-형태의 기판에 고정됨으로써(예컨대 접합됨으로써), 평면형 광학 필름(114)이 그 중심을 가로질러 대각으로 절단하는 정육면체를 형성할 수 있다.
평면형 광학 필름(114)은 입력 레이저 빔(102)을,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에 상응하는 투과된 광 성분, 및 반사된 광 성분(118)으로 분리한다.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은, 변화가능하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평면형 광학 필름(114)과 입력 레이저 빔(102) 사이의 입사각(θ1)에 종속하는 강도 레벨을 가지는 p-편광 광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은 s-편광 광을 가지고 있지 않다. 또한 반사된 광 성분(118)은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의 강도 변화에 역비례 관계로 변화하는 강도 레벨을 가지는 p-편광 광을 포함한다. 만약 입력 레이저 빔(102)이 p-편광 광에 추가하여 s-편광 광을 포함한다면,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과 반사된 광 성분(118)은 또한 입사각(θ1)의 함수로 변화가능한 강도 레벨을 가지는 s-편광 광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된 광 성분(118)은 반사된 빔 경로(120)를 따라 레이저 수거 요소(122)로 전파되고, 이 레이저 수거 요소는 작업대상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반사된 광 성분(118)을 흡수한다. 제 1 실시예에서,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은 빔 경로(108)의 제 2 부분(124)을 따라 이동하여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을 가로지르도록 위치된 제 2 광학 요소(126)에 도달한다. 제 2 광학 요소(126)는 광학 요소(104)에 의하여 도입된,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빔 오프셋(127)을 보상하기 위해 제공되는 빔 변위 광학 요소이다. 대안적인 제 2 실시예(미도시됨)에서, 제 2 광학 요소(126)가 생략되고,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은 빔 경로(108)의 제 2 부분(124)을 따라 계속해서 이동하여 후속하는 기존 광학기구(128)(예컨대 집속 렌즈, 빔 포지셔너)까지 도달하며, 이들은 작업대상 위의 타겟 위치에 입사하도록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을 조절한다. 아래의 설명은 제 1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제 2 광학 요소(126)는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을 수신하고 이것{또는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의 일부}을 투과시켜 광학기구(128)를 향하는 빔 경로(108)의 제 3 부분(129)을 따르게 한다. 광학 요소(104)와 마찬가지로, 제 2 광학 요소(126)는, 반사된 광 빔(130)을 생성하기 위하여 빔 경로(108)로부터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의 광 중 일부를 분리하며, 다른 한편으로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 중 나머지 광(참조번호 103'으로 표현되어 있는)은 제 2 광학 요소(126)를 투과하여 빔 경로(108)의 제 3 부분(129)을 따르도록 하는 평면형 광학 필름을 포함한 광 입사각 민감성 광학 요소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제 2 광학 요소(126)는 박막 편광기이다. 제 2 광학 요소(126)가 반사된 광 빔(130)을 생성하는 평면형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제 2 레이저 수거 요소(132)가 제공되어 반사된 광 빔(130)을 흡수한다. 대안적으로, 제 2 광학 요소(126)는 안티-반사 코팅된 플레이트일 수 있는데, 이 경우 반사된 광 빔(130)은 생성되지 않으며, 제 2 레이저 수거 요소(132)는 생략되고, 또한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 중 실질적으로 모든 광이 제 2 광학 요소(126)를 투과하여 빔 경로(108)의 제 3 부분(129)을 따르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경로(108)의 제 2 부분(124)은 빔 오프셋(127)에 대응하는 양만큼 제 1 부분(106)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제 2 광학 요소(126)가 시스템(100) 내에 제공되어, 빔 경로(108)의 제 3 부분(129)이 제 1 부분(106)에 대해 정렬될 수 있도록 빔 오프셋(127)과는 반대 방향과 동일한 크기인 변위량(134)만큼 제 2 부분(124)으로부터 빔 경로(108)의 제 3 부분(129)을 이동시킨다. 다시 말해서, 제 2 광학 요소(126)는 광학 요소(104)에 의하여 도입된 빔 오프셋(127)을 보상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제공된다.
도 2는 시스템(100)의 저면도{간단히 하기 위해 수거 요소들(122 및 132)은 미도시됨}로서, 입사각(θ1)을 조절하고, 또한, 그에 따라,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의 강도 레벨을 제어하기 위하여 광학 요소(104)와 협력하는 갈바노미터 시스템(200)을 보여주고 있다. 갈바노미터 시스템(200)은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204)와 협력하는 갈바노미터 구동 부재(202)를 포함한다. 종래의 갈바노미터 시스템들은 통상적으로 작업대상 위의 여러 타겟 위치들에 레이저 빔을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구동 샤프트에 고정된 미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4,532,402, 발명의 명칭 "집적 회로 상에 집속 빔을 포지셔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은 기존의 갈바노미터 시스템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갈바노미터 시스템(200)에서, 기존의 미러는 광학 요소(104)에 의해 대체되어 있는데, 이 광학 요소는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의 고속 감쇠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마운팅 슈와 같은 마운트(206)를 개재하여 구동 샤프트(204)의 일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프로세서(209)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208)에 반응하여, 갈바노미터 구동 부재(202)는 샤프트(204)와 광학 요소(104)를 빔 경로(108)의 제 1 부분(106)을 수직으로 횡단하는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도 1에서, 회전축(210)은 도면의 평면의 내부쪽으로 및 외부쪽으로 연장한다. 프로세서(209)는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의 선택된 강도 레벨들을 샤프트(204)와 광학 요소(104)의 대응하는 각도 위치들에 연관시키는 정보(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을 위해 임의의 선택된 강도 레벨이 요구되는 경우, 프로세서(209)는 상기 선택된 강도 레벨에 연관된 대응하는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208)를, 갈바노미터 구동 부재(202)로 전송한다. 갈바노미터 구동 부재(202)는 제어 신호(208)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각도 위치로 샤프트(204)와 광학 요소(104)를 회전시킨다.
갈바노미터 시스템(200)은 프로세서(209)에 의해 지시된 대응하는 각도 위치에 상대적으로 고속의 및 정밀한 정확도를 가지고 샤프트(204)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동작한다. 이에 따라, 광학 요소(104)를 샤프트(204)에 고정함으로써, 갈바노미터 시스템(200)은 평면형 광학 필름(114) 및 입력 레이저 빔(102) 사이의 입사각(θ1)을 신속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의 선택된 강도 레벨들과 연관되는 대응하는 각도 위치들에 광학 요소(104)를 정확하게 포지셔닝할 수 있다. 일 예에서, 갈바노미터 시스템(200)은 10 밀리초(ms)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200 마이크로초(㎲) 미만 안에 대응하는 각도 위치들의 서로 다른 위치들 사이에서 광학 요소(10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입사각(θ1)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갈바노미터 시스템(200)은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의 p-편광 광의 강도 레벨을 제어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평면형 광학 필름(114)은 입력 레이저 빔(102)의 p-편광 광 중 일부를 투과하고 일부는 반사하도록 동작한다. 평면형 광학 필름(114)에 의하여 투과된 p-편광 광의 양은 평면형 광학 필름(114)과 입력 레이저 빔(102) 사이의 입사각(θ1)에 종속한다. 다시 말해서,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의 p-편광 광의 강도 레벨은 입사각(θ1)의 함수로서 변화한다. 일 예에서,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의 p-편광 광의 강도 레벨은 입사각(θ1)이 브루스터 각(Brewster's angle)에 대응할 때 최대이다. 평면형 광학 필름(114)에 의해 반사된 p-편광 광의 양도 역시 입사각(θ1)에 종속하지만, 평면형 광학 필름(114)에 의해 투과된 p-편광 광의 양에 대해 반비례적으로 변화한다. 이에 따라, 일 예에서, 반사된 광 성분(118)의 p-편광 광의 강도 레벨은 입사각(θ1)이 브루스터 각일 때 최소이다.
도 3은 광학 요소(104)가 박막 편광기이고 입력 레이저 빔(102)이 약 355 nm의 파장을 가지는 일 예에 따른 광학 요소(104)의 p-편광 광 투과율 대 입사각(θ1)을 나타내는 곡선(300)을 도시한다. 도 3에서, 세로축(즉 투과율 축)은 0.0001 - 1의 범위를 가지는데, 여기서 0.0001은 투과되는 p-편광 입사광의 0.01%를 나타내며 1은 투과되는 p-편광 입사광의 100%에 대응한다. 이 예에서, 브루스터 각은 약 56.6도의 각도에 대응하며, 광학 요소(104)는 입사각(θ1)이 브루스터 각일 때 입력 레이저 빔(102)의 p-편광 광의 거의 100%(예컨대 95%보다 더 크게)를 투과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곡선(300)은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의 p-편광 광의 강도 레벨은, 입사각(θ1)이 브루스터 각으로부터(예컨대 그것보다 더 작게 되도록) 달라지는 경우에,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의 p-편광 광의 강도 레벨은, 입사각(θ1)이 약 25도일 때 입력 레이저 빔(102)의 p-편광 광의 강도 레벨의 0.1%보다 더 작다. 그러므로, 갈바노미터 시스템(200)은 광학 요소(104)를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선택된 각도 위치까지 회전시킴으로써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을 원하는 강도 레벨까지 신속하고 정확하게 감쇠시킬 수 있다. 시스템(100)이 광학 요소(104)를 신속하게 회전시키도록 동작가능한 갈바노미터 시스템(200)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시스템(100)은 종래의 회전 웨이브플레이트 및 후속 편광기보다 훨씬 더 빠르게 동적 레이저 빔 감쇠를 달성할 수 있다. 더우기, AOM 시스템에 비교하여, 시스템(100)은 더 큰 최대 투과율을 성취할 수 있으며 또한 더 적은 광학적 복잡도를 가지고 구현될 수 있는데, 이것은 시스템(100)이 더 쉽게 배열될 수 있게 하며 또한 시스템(100)이 더 짧은 필요 빔 경로를 가질 수 있게 한다.
갈바노미터 시스템(200)이 입사각(θ1)을 변화시킬 때, 빔 오프셋(127)의 크기도 역시 변화한다. 그러므로, 시스템(100)은 빔 오프셋(127)의 변화를 보상하기 위하여 제 2 광학 요소(126)와 협력하는 제 2 갈바노미터 시스템(400)을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제 2 갈바노미터 시스템(400)은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404)와 협력하는 갈바노미터 구동 부재(402)를 포함한다. 제 2 광학 요소(126)는 마운팅 슈와 같은 마운트(406)를 개재하여 구동 샤프트(404)의 일단부에 고정된다. 프로세서(209)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408)에 반응하여, 갈바노미터 구동 부재(402)는, 제 2 광학 요소(126) 및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 사이의 입사각(θ2)을 변화시키기 위해 빔 경로(108)의 제 2 부분(124)에 대해 수직으로 횡단하는 회전축(410)을 중심으로 샤프트(404)와 제 2 광학 요소(126)를 회전시킨다. 입사각(θ2)이 변화할 때, 변위량(134)의 크기가 변화한다. 그러므로, 프로세서(209)는 빔 경로(108)의 제 3 부분(129)이 제 1 부분(106)에 대해 정렬되도록 광학 요소(104)의 회전과 함께 제 2 광학 요소(126)의 회전을 조절하는 정보(예컨대 컴퓨터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프로세서(209)가 광학 요소(104)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갈바노미터 구동 부재(202)에 제어 신호(208)를 전송할 때, 프로세서(209)는 또한 제 2 광학 요소(126)의 각도 위치를 나타내는 지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408)를 갈바노미터 구동 부재(402)로 전송하며, 그리고 갈바노미터 구동 부재(402)는 빔 경로(108)의 제 3 부분(129)이 제 1 부분(106)에 대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광학 요소(104)에 맞추어 제 2 광학 요소(126)를 회전시킨다. 더 나아가, 제 2 광학 요소(126)가 광학 요소(104)와 마찬가지로 광 입사각 민감성 광학 요소인 경우, 갈바노미터 시스템(400)은 또한, 시스템(100)이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을 감쇠시킬 수 있는 크기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회전축(410)을 중심으로 제 2 광학 요소(12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입사각(θ1)이 광학 요소(104)의 회전에 기인하여 변화할 때, 반사된 빔 경로(120)는 도 1에서 그 위치로부터 왼쪽 또는 오르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일 실시예에서, 레이저 수거 요소(122)는 반사된 광 성분(118)이 반사된 빔 경로(120)가 이동하는 크기를 극복하고 레이저 수거 요소(122) 상에 입사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레이저 수거 요소(122)는 반사된 광 성분(118)이 레이저 수거 요소(122) 상에 입사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반사된 빔 경로(120)의 이동에 따라 움직인다. 더 나아가, 제 2 광학 요소(126)가 반사된 광 빔(130)을 생성하는 평면형 광학 필름을 포함할 때, 레이저 수거 요소(132)는 반사된 광 빔(13)이 입사각(θ2)에서의 변화에 반응하여 이동함에 따라 반사된 광 빔을 수집하기 위해 레이저 수거 요소(122)의 실시예들 중 하나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적인 원리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위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의 세부 사항에 대해 많은 변화가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반사된 광 성분(118)은 편광 출력 레이저 빔(103)에 대신하여 또는 그것에 추가적으로 변화되는 강도가 처리되는 빔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 달성 방법으로서:
    작업대상 위의 타겟 위치를 향하는 빔 경로의 제 1 부분을 따라 전파하는 입력 레이저 빔을 생성하는 단계와;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를 상기 빔 경로의 제 1 부분에 대해 수직으로 횡단하는 회전축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와 협력하는 갈바노미터 구동 부재를 포함하는 갈바노미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갈바노미터 구동 부재는 선택된 각도 위치들 사이에서 상기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의 고속 변화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갈바노미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광 입사각 민감성 광학 요소의 회전이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에 상기 광 입사각 민감성 광학 요소를 고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광 입사각 민감성 광학 요소는 상기 빔 경로의 제 1 부분을 가로지르도록 위치되는 평면형 광학 필름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의 각도 위치에 의하여 결정되는 입사각에서 상기 입력 레이저 빔이 상기 평면형 광학 필름 상에 입사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평면형 광학 필름은 상기 입력 레이저 빔으로부터 상기 작업대상 위의 타겟 위치를 향하는 상기 빔 경로의 제 2 부분을 따라 전파하는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을 생성하고, 상기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은 상기 입력 레이저 빔과 상기 평면형 광학 필름 사이의 입사각의 함수로서 변화하는 강도를 특징으로 하며, 상기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의 고속 변화는 상기 입력 레이저 빔과 상기 평면형 광학 필름 사이의 입사각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를 달성하는 상기 갈바노미터 구동 부재에 의하여 제공되는,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에 광 입사각 민감성 광학 요소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 달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형 광학 필름은 상기 입력 레이저 빔을 제 1 광 성분 및 제 2 광 성분으로 분리함으로써 상기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을 생성하며, 상기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은 상기 제 1 광 성분에 대응하는,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 달성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형 광학 필름은 상기 평면형 광학 필름을 통과하여 상기 제 1 광 성분을 투과시킴으로써 그리고 상기 평면형 광학 필름으로부터 상기 제 2 광 성분을 반사시킴으로써 상기 입력 레이저 빔을 상기 제 1 빔 성분 및 제 2 광 성분으로 분리하는,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 달성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형 광학 필름으로부터 반사된 상기 제 2 광 성분과 교차하도록 하는 위치에 놓인 레이저 수거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수거 요소는 상기 제 2 광 성분이 상기 작업대상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광 성분을 흡수하는,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 달성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입사각 민감성 광학 요소는 박막 편광기인,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 달성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입사각 민감성 광학 요소는 상기 빔 경로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에 빔 오프셋을 도입하며, 상기 방법은 빔 변위 광학 요소가 상기 빔 경로의 제 2 부분과 교차하도록 포지셔닝함으로써 상기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이 상기 빔 변위 광학 요소 상에 입사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빔 변위 광학 요소는 상기 타겟 위치를 향하는 상기 빔 경로의 제 3 부분을 따라 상기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며, 그리고 상기 빔 변위 광학 요소는 상기 빔 경로의 제 1 및 제 2 부분 사이의 상기 빔 오프셋을 보상하는 변위량만큼 상기 빔 경로의 제 2 부분으로부터 상기 빔 경로의 제 3 부분을 변위시키는,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 달성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갈바노미터 구동 부재는 제 1 갈바노미터 구동 부재이고, 상기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는 제 1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이고, 상기 평면형 광학 필름 및 상기 입력 레이저 빔 사이의 입사각은 제 1 입사각이며, 또한 상기 회전축은 제 1 회전축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빔 경로의 제 2 부분에 수직으로 횡단하는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 2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와 협력하는 제 2 갈바노미터 구동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빔 변위 광학 요소는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빔 변위 광학 요소의 회전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에 고정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갈바노미터 구동 부재는 상기 빔 변위 광학 요소와 상기 편광 출력 레이저 빔 사이의 제 2 입사각을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 2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와 상기 빔 변위 광학 요소를 회전시키는,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 달성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빔 경로의 제 1 및 제 2 부분 사이의 상기 빔 오프셋의 크기는 상기 제 1 입사각의 함수이며 또한 상기 빔 경로의 제 2 및 제 3 부분 사이의 상기 변위량은 상기 제 2 입사각의 함수이고, 상기 제 2 갈바노미터 구동 부재는 상기 제 2 회전가능 구동 샤프트 및 상기 빔 변위 광학 요소를 상기 제 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빔 오프셋의 변화에 대한 반응으로 상기 변위량을 조정하는,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 달성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빔 변위 광학 요소는 안티-반사 코팅된 플레이트인,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 달성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빔 변위 광학 요소는 박막 편광기인,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 달성 방법.
KR1020127025518A 2010-04-02 2011-03-17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 달성 방법 KR201300207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53,578 2010-04-02
US12/753,578 US8553311B2 (en) 2010-04-02 2010-04-02 Method for accomplishing high-speed intensity variation of a polarized output laser beam
PCT/US2011/028812 WO2011123250A2 (en) 2010-04-02 2011-03-17 Method for accomplishing high-speed intensity variation of a polarized output laser be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773A true KR20130020773A (ko) 2013-02-28

Family

ID=44709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5518A KR20130020773A (ko) 2010-04-02 2011-03-17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 달성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53311B2 (ko)
JP (1) JP2013524512A (ko)
KR (1) KR20130020773A (ko)
CN (1) CN102934299A (ko)
WO (1) WO201112325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6039B1 (en) * 2011-06-30 2014-10-2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Laser ignitability systems and methods
JP6323747B2 (ja) * 2014-02-25 2018-05-16 株式会社リコー 光照射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WO2016135965A1 (ja) 2015-02-27 2016-09-01 ギガフォトン株式会社 ビームダンプ装置、それを備えたレーザ装置および極端紫外光生成装置
US10583484B2 (en) 2015-10-30 2020-03-10 Seurat Technologies, Inc. Multi-functional ingester system for additive manufacturing
KR102515643B1 (ko) 2017-05-11 2023-03-30 쇠라 테크널러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적층 가공을 위한 패턴화된 광의 스위치야드 빔 라우팅
CN112436371B (zh) * 2020-11-19 2022-05-10 中国科学院西安光学精密机械研究所 一种大倍率且倍率连续可调激光衰减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5567B2 (ja) * 1975-06-06 1983-12-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ジヨウホウサイセイホウシキ
US4532402A (en) 1983-09-02 1985-07-30 Xr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 focused beam on an integrated circuit
US5611946A (en) 1994-02-18 1997-03-18 New Wave Research Multi-wavelength laser system, probe station and laser cutter system using the same
US6229638B1 (en) 1997-04-28 2001-05-08 Ricoh Company, Ltd. Optical scann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variations in shading and improving light usage
US6717706B2 (en) 2000-08-31 2004-04-06 Cambridge Research And Instrumentation, Inc. State of polarization detector
US6492635B2 (en) * 2001-01-09 2002-12-10 Dror Simchoni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polarizing filter
US6900899B2 (en) * 2001-08-20 2005-05-31 Agilent Technologies, Inc. Interferometers with coated polarizing beam splitters that are rotated to optimize extinction ratios
JP4515136B2 (ja) 2003-04-21 2010-07-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レーザビーム照射装置、薄膜トランジスタの作製方法
US7103077B2 (en) 2004-04-29 2006-09-05 20/10 Perfect Vision Optische Geraete Gmbh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an energy of an ultra-short pulse of a laser beam
US7959305B2 (en) * 2007-07-02 2011-06-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ight recycling in a micromirror-based projection displ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23250A2 (en) 2011-10-06
US20110242639A1 (en) 2011-10-06
CN102934299A (zh) 2013-02-13
WO2011123250A3 (en) 2012-01-19
US8553311B2 (en) 2013-10-08
JP2013524512A (ja) 201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0773A (ko) 편광 출력 레이저 빔의 고속 강도 변화 달성 방법
JP2018513556A5 (ko)
TWI665470B (zh) 用於極化控制之系統,方法及裝置
CN107102436B (zh) 一种补偿任意光学相位延迟的波片组设计方法
JPH10244390A (ja) レーザ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WO2010075809A1 (zh) 光纤磁光探测装置
JP2010054915A (ja) 光位相制御装置、及び光位相制御方法
TWI738675B (zh) 偏振器配置、極紫外線輻射產生裝置及用於雷射光束之線性偏振之方法
KR20200015538A (ko) 광학적으로 접촉된 음향-광학 디바이스 및 이를 만드는 방법
KR101212527B1 (ko) 편광 레이저 빔 간의 간섭을 이용한 레이저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US9256066B2 (en) Laser beam irradiance control systems
JP6424364B2 (ja) レーザレンジファインダ、3次元スキャナおよびレーザ光偏向装置
JP5923132B2 (ja) レーザ加工装置用の偏光状態変換素子
CN109844615B (zh) 光学隔离装置
EP1936434B1 (en) Active temporal modulation of ultrashort pulse trains using reconfigurable optical gratings
JP2000221436A (ja) 露光記録装置
CN210090832U (zh) 一种激光分光和独立输出控制装置
JPH0894969A (ja) 光サーキュレータおよび光の制御方法
US20240033849A1 (en) Attenuator device and laser processing apparatus
JPH0410041B2 (ko)
KR101113109B1 (ko) 배향막의 배향 상태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US202101486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yclic error correction in a heterodyne interferometer
TW202240142A (zh) 用於改進的光散射偏振量測的光源強度控制系統和方法
JP2009042521A (ja) 反射型可変光アッテネータ
JPH11231359A (ja) 表面弾性波高速光偏向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