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9984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9984A
KR20130019984A KR1020110082314A KR20110082314A KR20130019984A KR 20130019984 A KR20130019984 A KR 20130019984A KR 1020110082314 A KR1020110082314 A KR 1020110082314A KR 20110082314 A KR20110082314 A KR 20110082314A KR 20130019984 A KR20130019984 A KR 20130019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ield
lens
reflector
vehicl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혁민
박인흠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2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9984A/ko
Priority to CN201210291632.9A priority patent/CN102954421B/zh
Publication of KR20130019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9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98Shaft-shaped screens rotating along its longitudin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빛을 통과시키는 렌즈, 렌즈의 후방에 배치되며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켜 렌즈의 초점을 지나게하는 반사체, 및 렌즈의 초점에 배치되고 바 형태의 몸체를 회전축으로 하며 일영역이 인입되어 평면이 형성되는 실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of vehicle}
실시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 주행방향의 사물을 잘 볼 수 있도록 조명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상태를 알리기 위한 용도의 등화장치를 구비한다. 전조등이라고도 하는 헤드 램프(head lamp)는 차량이 진행하는 전방의 진로를 비추는 기능을 하는 조명등으로서, 야간에 전방 100m의 거리에 있는 도로상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밝기를 필요로 하고 있다. 헤드램프의 규격은 국가마다 기준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특히 우측 통행(좌측 운전)인가 좌측 통행(우측 운전)인가에 따라서 헤드 램프 빔의 조사 방향이 다르게 설정된다.
차량용 헤드 램프는 일반적으로 대상물을 보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조명기능과,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상태를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지시, 신호, 경고 기능 및 장식 기능 등으로 사용된다.
헤드램프는 광원으로서 벌브(Bulb)를 사용하고 있으나, 벌브는 사용 수명이 짧고 내충격성이 떨어지므로 근래에 들어 고휘도의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나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해가는 추세에 있다.
실시예는 상태 변화시 분절감을 감소시킨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빛을 통과시키는 렌즈, 렌즈의 후방에 배치되며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켜 렌즈의 초점을 지나게하는 반사체, 및 렌즈의 초점에 배치되고 바 형태의 몸체를 회전축으로 하며 일영역이 인입되어 평면이 형성되는 실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실드의 형태를 변형하여 상향등과 하향등을 일체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실드를 회전시켜 빛이 발산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회전을 통하여 빔패턴을 조절하여 변화과정 중의 분절감을 줄인다.
도 1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실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a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실드의 상태에 따른 빔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실드의 상태에 따른 빔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3c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실드의 상태에 따른 빔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3d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실드의 상태에 따른 빔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3e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실드의 상태에 따른 빔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램프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빛을 통과시키는 렌즈(130), 렌즈(130)의 후방에 배치되며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110), 광원(110)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켜 렌즈(130)의 초점을 지나게 하는 반사체(120), 및 렌즈(130)의 초점에 배치되고 바 형태의 몸체를 회전축으로 하며 일영역이 인입되어 평면이 형성되는 실드(140)를 포함한다.
렌즈(130)는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렌즈(130)는 빛을 받아들이는 면과 빛을 방출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렌즈(130)는 빛을 받아들이는 입사면이 평면인 단면 비구면렌즈일 수 있다. 렌즈(130)는 빛을 방출하는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렌즈(130)는 유리나 플라스틱 같은 투명한 광학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렌즈(130)는 반사체(120)의 일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130)는 반사체(120)의 관통되어 형성된 두개의 개구부 중에 직경이 더 큰 개구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그 형태에 한정하지 않는다.
렌즈(130)는 빛을 굴절시킬 수 있다. 렌즈(130)는 반사체(120)에서 반사되어 입사된 빛을 굴절 시킬 수 있다. 렌즈(130)는 빛을 집중시켜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다. 렌즈(130)는 광원(110)에서 발생시킨 빛을 받아 광속(Luminous flux : 光束)을 높여 출사시킬 수 있다. 렌즈(130)는 광원(110)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직진시킬 수 있다.
광원(110)은 반사체(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110)은 반사체(120)의 오목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110)은 외부에서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광원(110)은 반사체(120)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10)은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미도시)를 포함한 발광소자 패키지일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미도시)는 화합물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해 전기 신호를 적외선, 가시광선 또는 빛의 형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미도시)는 발광소자 패키지(미도시)의 리드프레임(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미도시)는 지지기판(미도시)상에 발광구조물(미도시)이 성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미도시)는 열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지지기판(미도시)을 열전도성이 높은 탄화규소(SiC)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발광구조물(미도시)은 지지기판(미도시)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구조물(미도시)은 제1 반도체층(미도시), 활성층(미도시), 및 제2 반도체층(미도시)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미도시), 활성층(미도시), 및 제2 반도체층(미도시)은 예를 들어, 유기금속 화학 증착법(MOCVD;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화학 증착법(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플라즈마 화학 증착법(PECVD;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분자선 성장법(MBE; Molecular Beam Epitaxy), 수소화물 기상 성장법(HVPE; Hydride Vapor Phase Epitaxy)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발광구조물(미도시)은 제1 반도체층(미도시) 및 제2 반도체층(미도시) 내의 도전형 도펀트의 도핑 농도가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발광구조물(미도시)의 층간구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아니한다.
광원(110)으로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미도시)는 배면으로 열이 배출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으므로 내열문제에 의한 공간이 요구되지 않으며, 발광다이오드(미도시) 배면에 설치되는 방열핀 및 방열팬은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원(110)은 반사체(120)의 반사면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 광원(110)은 렌즈(130)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 광원(110)은 빛을 반사체(120)에 제공하여 빛을 반사시켜 렌즈(130)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반사체(120)는 포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체(120)는 타원포물면을 갖거나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반사체(120)는 밑면과 윗면의 넓이가 상이하고 옆면의 단면이 포물선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반사체(120)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반사체(120)는 관통된 부분이 두 개일 수 있다. 반사체(120)는 관통된 개구부 두개가 서로 일직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체(120)는 개구부 두개의 직경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반사체(120)는 내부벽면에 반사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되거나, 반사체(120)는 그 자체를 반사도가 높은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반사체(120)는 내부 벽면에 알루미늄(Al)이 도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반사체(120)는 광원(110)으로부터 빛을 제공받을 수 있다. 반사체(120)는 광원(110)에서 입사된 빛을 포물면을 이용하여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체(120)는 포물면을 이용하여 렌즈(130)방향으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실드(140)는 렌즈(130)의 초점에 배치될 수 있다. 실드(140)는 전방에 렌즈(130) 후방에 반사체(120)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실드(140)는 바(bar)의 양 끝이 차량용 램프(100)의 양 측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실드(140)는 바(bar)형태 일 수 있다. 실드(140)는 몸체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실드(140)는 바의 일영역이 인입될 수 있다. 실드(140)는 측면에서 봤을 때, 반원 형태일 수 있다. 실드(140)는 원기둥의 일측이 인입되어 평면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실드(140)는 일영역이 돌출될 수 있다. 실드(140)는 360° 회전할 수 있다. 실드(140)는 일영역이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실드(140)는 회전하여 하나의 차량용 램프(100)가 여러가지 형태의 빔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실드(140)는 회전을 하여 C 모드(C), E 모드(E), P 모드(P), L 모드(L), H 모드(H)로 차량용 램프(100)의 빔패턴을 조절할 수 있다.
C 모드(C)는 차량이 시골 도로를 주행할 때 또는 특별한 상황이 아니어서 다른 모드의 빔 패턴을 적용할 필요가 없을 때에 적합한 빔 패턴이다. C 모드(C)는 일반적인 하향등(low-beam)과 비교할 때, 대향 차로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광량을 향상시킨 패턴이다.
E 모드(E)는 차량이 고속도로나, 직선 구간이 길게 유지되는 도로에서 주행할 때 적합한 빔 패턴이다. E 모드(E)는 전방 원거리 시야가 C 모드(C)에 비하여 다소 긴 특성을 갖는다.
H 모드(H)는 원거리를 넓게 비춰주는 상향등(High-beam)으로 불리는 빔 패턴으로 전방에 타 차량이 없으면서 고속으로 주행하는 환경에 적합한 빔 패턴이다.
P 모드(P)는 차량용 램프(100)의 상향으로 발산되는 빛을 차단하여 하향등으로 기능하는 빔패턴으로 반대차선에서 마주오는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L 모드(L)는 하향으로 발산되는 빛에 추가하여 상부에서 왼쪽으로 발산되는 빛을 차단하여 반대차선으로 발산되는 빛은 차단하되 차량의 진행차선으로는 시야가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차량은 다향한 주행 환경에 따라 가변적으로 빔 패턴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실드(140)는 회전에 따라 빔패턴을 변경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e 는 실드(140)의 상태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의 빔 패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를 참조하면, 차량용 램프(100)는 C 모드(C)의 빔패턴을 가질 수 있다.
실드(140)는 평면이 형성된 부분이 렌즈(130) 방향을 바라보되 약간 경사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실드(140)는 광원(110)에서 발생되어 반사체(120)의 윗부분에 의해서 반사된 빛이 렌즈(130)의 초점을 지날 때 그대로 통과시켜 차량용 램프(100)가 하향으로 빛을 발산시키도록 할 수 있다. 실드(140)는 반사체(120)의 아랫부분에서 반사된 빛의 일부만 차단하여 대향차로에 대한 시야가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b 를 참조하면, 차량용 램프(100)는 H 모드(H)의 빔패턴을 가질 수 있다.
실드(140)는 평면이 형성된 부분이 차량용 램프(100)의 상부를 바라보도록 위치할 수 있다. 실드(140)는 반사체(120)의 아랫부분에 의해서 반사된 빛이 렌즈(130)의 초점을 지날 때 차량용 램프(100)의 상단으로 올라가는 빛을 그대로 통과시켜 상향으로 빛이 발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c 를 참조하면, 차량용 램프(100)는 L 모드(L)의 빔패턴을 가질 수 있다.
실드(140)는 돌출된 부분이 차량용 램프(100)의 상단쪽으로 올라가도록 위치될 수 있다. 실드(140)는 왼쪽의 일영역이 돌출될 수 있다. 실드(140)는 왼쪽에서 보았을 때 반원의 형태일 수 있다. 실드(140)는 일영역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왼쪽에서 측면을 보았을 때 반원의 형태일 수 있고, 오른쪽 방향에서 측면을 보았을 때 호의 각도가 90°인 부채꼴 형태일 수 있다. 실드(140)의 돌출된 부분은 상향으로 발산되는 빛의 왼쪽 영역을 차단시킬 수 있다. 실드(140)는 반대차선에서 다가오는 차량의 운전석 방향으로 차량용 램프(100)의 빛이 도달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도 3d 를 참조하면, 차량용 램프(100)는 P 모드(P)의 빔패턴을 가질 수 있다.
실드(140)는 평면이 형성된 부분이 차량용 램프(100)의 바닥을 향할 수 있다. 실드(140)는 반사체(120)의 하부에서 반사된 빛이 렌즈(130)의 초점을 지나 렌즈(130) 상단에 제공되는 것을 전체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실드(140)는 차량용 램프(100)가 차향등(low beam)으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e 를 참조하면, 차량용 램프(100)는 E 모드(E)의 빔패턴을 가질 수 있다.
실드(140)는 평면이 형성된 부분이 반사체(120)를 향할 수 있다. 실드(140)는 곡률이 형성된 부분이 렌즈(13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드(140)는 반사체(120)에 의해 반사되어 렌즈(130)의 상단으로 제공되는 빛의 일부를 차단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광원 120 : 반사체
130 : 렌즈 140 : 실드

Claims (5)

  1. 빛을 통과시키는 렌즈;
    상기 렌즈의 후방에 배치되며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발생된 빛을 반사시켜 상기 렌즈의 초점을 지나게하는 반사체; 및
    상기 렌즈의 초점에 배치되고 바 형태의 몸체를 회전축으로 하며 일영역이 인입되어 평면이 형성되는 실드;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는 일영역이 돌출된 차량용 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의 왼쪽 일영역이 돌출되어 'L' 빔형태를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는 회전함에 따라 발산하는 빛이 조사되는 범위를 조절하는 차량용 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는 360° 회전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10082314A 2011-08-18 2011-08-18 차량용 램프 KR20130019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314A KR20130019984A (ko) 2011-08-18 2011-08-18 차량용 램프
CN201210291632.9A CN102954421B (zh) 2011-08-18 2012-08-16 车辆用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314A KR20130019984A (ko) 2011-08-18 2011-08-18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984A true KR20130019984A (ko) 2013-02-27

Family

ID=47898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314A KR20130019984A (ko) 2011-08-18 2011-08-18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99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849B1 (ko) 차량 조명장치
US7972046B2 (en) Vehicle lighting device
JP4582190B2 (ja) 車両用灯具
KR101962298B1 (ko) 차량 조명장치
US7959336B2 (en) Vehicle lighting device
US20190017675A1 (en) Headlight module and headlight device
KR101382456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US10495277B2 (en) Headlight module with two light guides receiving light from two light sources
JP2010049886A (ja) 車両用前照灯ユニット及び車両用前照灯
JP2013546145A (ja) Ledランプモジュール
KR101785046B1 (ko) 차량용 램프
CN106090778A (zh) 双光源系统一体式led车灯
CN102954421A (zh) 车辆用灯及其控制方法
TWI627369B (zh) 光源模組及其配光方法、以及車燈裝置
KR20130019982A (ko) 차량용 램프
JP2011181277A (ja) 車両用前照灯
US8956029B2 (en) Vehicle lighting unit
JP2011181279A (ja) 車両用前照灯
KR101979571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50068141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30019984A (ko) 차량용 램프
CN105258060A (zh) 一种独立远光led汽车透镜
CN205118888U (zh) 一种独立远光led汽车透镜
KR20150068143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818541B1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