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541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541B1
KR101818541B1 KR1020110073015A KR20110073015A KR101818541B1 KR 101818541 B1 KR101818541 B1 KR 101818541B1 KR 1020110073015 A KR1020110073015 A KR 1020110073015A KR 20110073015 A KR20110073015 A KR 20110073015A KR 101818541 B1 KR101818541 B1 KR 101818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member
light guide
light emitt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687A (ko
Inventor
김정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3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5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54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렌즈, 원형인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렌즈 둘레의 전방에 배치되는 광가이드부재, 및 광가이드부재의 일측에 배치된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Lamp of vehicle}
실시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 주행방향의 사물을 잘 볼 수 있도록 조명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상태를 알리기 위한 용도의 등화장치를 구비한다. 전조등이라고도 하는 헤드 램프(head lamp)는 차량이 진행하는 전방의 진로를 비추는 기능을 하는 조명등으로서, 야간에 전방 100m의 거리에 있는 도로상의 장애물을 확인할 수 있는 밝기를 필요로 하고 있다. 헤드램프의 규격은 국가마다 기준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특히 우측 통행(좌측 운전)인가 좌측 통행(우측 운전)인가에 따라서 헤드 램프 빔의 조사 방향이 다르게 설정된다.
차량용 헤드 램프는 일반적으로 대상물을 보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조명기능과,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상태를 알리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지시, 신호, 경고 기능 및 장식 기능 등으로 사용된다.
헤드램프는 광원으로서 벌브(Bulb)를 사용하고 있으나, 벌브는 사용 수명이 짧고 내충격성이 떨어지므로 근래에 들어 고휘도의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나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해가는 추세에 있다.
실시예는 배광패턴을 개선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렌즈, 원형인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렌즈 둘레의 전방에 배치되는 광가이드부재, 및 광가이드부재의 일측에 배치된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원형인 테형태인 광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배광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가이드부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발광소자를 하부에 배치하여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발광소자의 방열기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가이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가이드부재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램프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렌즈(130), 원형인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렌즈(130) 둘레의 전방에 배치되는 광가이드부재(140), 및 광가이드부재(140)의 일측에 배치된 발광소자(142)을 포함한다.
광원(110)은 반사체(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110)은 반사체(120)의 오목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110)은 외부에서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광원(110)은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미도시)를 포함한 발광소자 패키지일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미도시)는 화합물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해 전기 신호를 적외선, 가시광선 또는 빛의 형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미도시)는 발광소자 패키지(미도시)의 리드프레임(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미도시)는 지지기판(미도시)상에 발광구조물(미도시)이 성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미도시)는 열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지지기판(미도시)을 열전도성이 높은 탄화규소(SiC)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발광구조물(미도시)은 지지기판(미도시)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구조물(미도시)은 제1 반도체층(미도시), 활성층(미도시), 및 제2 반도체층(미도시)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반도체층(미도시), 활성층(미도시), 및 제2 반도체층(미도시)은 예를 들어, 유기금속 화학 증착법(MOCVD; Metal 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화학 증착법(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플라즈마 화학 증착법(PECVD;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분자선 성장법(MBE; Molecular Beam Epitaxy), 수소화물 기상 성장법(HVPE; Hydride Vapor Phase Epitaxy)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발광구조물(미도시)은 제1 반도체층(미도시) 및 제2 반도체층(미도시) 내의 도전형 도펀트의 도핑 농도가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발광구조물(미도시)의 층간구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아니한다.
광원(110)으로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미도시)는 배면으로 열이 배출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으므로 내열문제에 의한 공간이 요구되지 않으며, 발광다이오드(미도시) 배면에 설치되는 방열핀 및 방열팬은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원(110)은 반사체(120)의 반사면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 광원(110)은 렌즈(130)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 광원(110)은 빛을 반사체(120)에 제공하여 빛을 반사시켜 렌즈(130)에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반사체(120)는 포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체(120)는 타원포물면을 갖거나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반사체(120)는 밑면과 윗면의 넓이가 상이하고 옆면의 단면이 포물선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반사체(120)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반사체(120)는 관통된 부분이 두 개일 수 있다. 반사체(120)는 관통된 개구부 두개가 서로 일직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체(120)는 개구부 두개의 직경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반사체(120)는 내부벽면에 반사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되거나, 반사체(120) 자체를 반사도가 높은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반사체(120)는 내부 벽면에 알루미늄(Al)이 도포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반사체(120)는 광원(110)으로부터 빛을 제공받을 수 있다. 반사체(120)는 광원(110)에서 입사된 빛을 포물면을 이용하여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체(120)는 포물면을 이용하여 렌즈(130)방향으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렌즈(130)는 비구면 렌즈일 수 있다. 렌즈(130)는 빛을 받아들이는 면과 빛을 방출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렌즈(130)는 빛을 받아들이는 입사면이 평면인 단면 비구면렌즈일 수 있다. 렌즈(130)는 빛을 방출하는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렌즈(130)는 유리나 플라스틱 같은 투명한 광학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렌즈(130)는 반사체(120)의 일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130)는 반사체(120)의 관통되어 형성된 두개의 개구부 중에 직경이 더 큰 개구부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130)는 빛을 굴절시킬 수 있다. 렌즈(130)는 반사체(120)에서 반사되어 입사된 빛을 굴절 시킬 수 있다. 렌즈(130)는 빛을 집중시켜 외부로 발산시킬 수 있다. 렌즈(130)는 광원(110)에서 발생시킨 빛을 받아 광속(Luminous flux : 光束)을 높여 출사시킬 수 있다. 렌즈(130)는 광원(110)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직진시킬 수 있다.
광가이드부재(140)는 원형인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광가이드부재(140)는 렌즈(1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광가이드 부재(140)는 직경이 렌즈(13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광가이드부재(140)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렌즈(130)를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다. 광가이드부재(140)는 내부에 반사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광가이드부재(140)는 내부에 프리즘 구조인 반사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광가이드부재(140)는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가이드부재(14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형성될 수 있다.
광가이드부재(140)는 발광소자(142)에서 빛을 받아들일 수 있다. 광가이드부재(140)는 발광소자(142)에서 입사된 빛을 내부에서 전반사시킬 수 있다. 광가이드부재(140)는 내부에 프리즘 구조인 반사패턴을 구비하여 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보낼 수 있다. 광가이드부재(140)는 내부에 입사된 빛을 이용하여 차량용 램프(100)의 배광패턴을 만들 수 있다.
도 2a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가이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b는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가이드부재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광가이드부재(210)는 일측이 돌출될 수 있다. 광가이드부재(210)는 일측이 돌출된 입사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광가이드부재(210)는 원형이고 원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입사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광가이드부재(210)는 일측이 각도를 가진 형태로 돌출되어 반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광가이드부재(210)는 입사부(212)의 일영역에 발광소자(220)가 배치될 수 있다.
광가이드부재(210)는 입사부(212)가 아랫쪽에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가이드부재(210)는 차량용램프(미도시)의 하단에 입사부(212)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광가이드부재(210)는 입사부(212)를 통하여 발광소자(220)로부터 빛을 제공받을 수 있다. 광가이드부재(210)는 입사부(212)를 통하여 내부에서 빛이 전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광가이드부재(210)는 39도보다 큰각으로 입사되는 빛은 전반사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입사부(212)에서 내부로 빛을 입사 시킬 수 있다.
입사부(212)는 광가이드부재(210)의 일영역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입사부(212)는 광가이드부재(210)의 원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입사부(212)는 윗면에서 봤을 때 한변이 굴곡진 6각형 형태일 수 있다. 입사부(212)는 광가이드부재(210)의 몸체와 접하는 상면의 한 변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입사부(210)는 광가이드부재(210)의 몸체와 접하는 측면에 발광소자(220)가 배치될 수 있다. 입사부(210)는 광가이드부재(210)가 형성하는 원과 평행한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측면이 5개의 사각형의 면이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입사부(210)는 복수의 측면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서 빛의 입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입사부(210)는 측면의 각도를 이용하여 광가이드부재(210)의 내부로 빛을 전반사시킬 수 있다.
입사부(212)는 광가이드부재(210)의 아랫쪽에 형성될 수 있다. 입사부(212)는 차량용램프의 하단쪽에 배치될 수 있다. 입사부(212)는 차량용램프의 하단에 배치되어 열방출을 최대화할 수 있다. 차량용램프(미도시)는 상단에 열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발광소자(220)은 열에 민감한 소자일 수 있다. 입사부(212)는 차량용 램프(미도시)의 하단에 배치됨으로써 발광소자(220)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발광소자(220)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일 수 있다. 발광소자(220)는 광가이드부재(21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220)는 광가이드부재(210)의 일영역이 돌출되어 형성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220)는 광가이드부재(210)의 돌출된 부분을 입사부(212)로 하여 입사부(212)에 빛을 제공할 수 있다. 발광소자(220)는 입사부(212)의 광가이드부재(212)의 몸체와 연결되는 측면과 대향할 수 있다. 발광소자(220)는 입사부(212)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220)는 발광면이 입사부(212)의 측면과 대향할 수 있다. 발광소자(220)는 열에 취약할 수 있다. 발광소자(220)는 차량용 램프(미도시)의 하단에 배치되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광원 120 : 반사체
130 : 렌즈 140 : 광가이드부재

Claims (9)

  1. 렌즈;
    원형인 고리형태로 형성되고 원의 바깥쪽으로 일영역이 돌출된 입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의 전방에 배치되는 광가이드부재; 및
    상기 입사부에 인접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입사부는,
    상기 광가이드부재의 외주면 일부와 접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외부면과, 상기 접촉면 및 외부면의 원주방향 양끝단을 각각 연결하는 양측면과, 상기 접촉면과 외부면 및 양측면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폐쇄하는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양측면에 각각 상기 발광소자가 배치되어 상기 입사부와 상기 발광소자의 발광면이 상호 대향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비구면 렌즈인 차량용 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재는 상기 발광소자에서 입사된 빛을 내부에서 전반사시키는 차량용 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재는 내부에 반사패턴을 구비한 차량용 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패턴은 프리즘구조인 차량용 램프.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부는 상기 광가이드부재의 하부에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부의 상면과 하면은 육각형형태인 차량용램프.

KR1020110073015A 2011-07-22 2011-07-22 차량용 램프 KR101818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015A KR101818541B1 (ko) 2011-07-22 2011-07-22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015A KR101818541B1 (ko) 2011-07-22 2011-07-22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687A KR20130011687A (ko) 2013-01-30
KR101818541B1 true KR101818541B1 (ko) 2018-01-15

Family

ID=47840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015A KR101818541B1 (ko) 2011-07-22 2011-07-22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5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7108A (ja) 2002-04-02 2003-10-17 Bridgestone Corp リング状発光体
JP2004014122A (ja) * 2002-06-03 2004-01-15 Bridgestone Corp リング状発光体
JP2004087435A (ja) * 2002-08-29 2004-03-18 Stanley Electric Co Ltd ヘッドラン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7108A (ja) 2002-04-02 2003-10-17 Bridgestone Corp リング状発光体
JP2004014122A (ja) * 2002-06-03 2004-01-15 Bridgestone Corp リング状発光体
JP2004087435A (ja) * 2002-08-29 2004-03-18 Stanley Electric Co Ltd ヘッド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687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2768B2 (en) Light emitting device
US7635206B2 (en)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 having a lens connected to a hood
US10414329B2 (en) LED fog lamp
US8297797B2 (en) Lighting apparatus
KR101772644B1 (ko) 조명 장치
US8622597B2 (en) Vehicle lighting device
US8696172B2 (en) Lens and lamp using the same
US20190063694A1 (en) Optical lens, and light unit and lighting device having same
US20110140149A1 (en) Optical device for semiconductor based lamp
KR101665760B1 (ko) 발광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
KR101785046B1 (ko) 차량용 램프
US10151439B2 (en) Dual beam headlamp
US20130242566A1 (en) Light emitting diode lamp
KR20130019982A (ko) 차량용 램프
JP5686198B2 (ja) 電球形ledランプ
US20170130921A1 (en) Vehicle lighting fixture
KR101755783B1 (ko) 차량 램프용 레이저 광학계
KR101818541B1 (ko) 차량용 램프
US10295152B2 (en) LED lamp
JP2013186988A (ja) 発光装置
KR101812252B1 (ko) 차량용 램프
KR20130011686A (ko) 차량용 램프
KR102635362B1 (ko)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JP6711189B2 (ja) 車両用灯具
KR20130019984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