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9529A - 건축 모듈 및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 모듈 및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9529A
KR20130019529A KR1020110081528A KR20110081528A KR20130019529A KR 20130019529 A KR20130019529 A KR 20130019529A KR 1020110081528 A KR1020110081528 A KR 1020110081528A KR 20110081528 A KR20110081528 A KR 20110081528A KR 20130019529 A KR20130019529 A KR 20130019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module
module
concrete
end plate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4909B1 (ko
Inventor
하태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81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909B1/ko
Publication of KR20130019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04B1/1903Connecting nod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3Connection of concrete parts using adhesive materials, e.g. mortar or glu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모듈 및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는 복수의 보가 결합되며, 하단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기둥을 갖는 상부 건축 모듈과, 복수의 보가 결합되며, 상단 내부에 충전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기둥을 갖는 하부 건축 모듈과, 상기 상부 건축 모듈과 상기 하부 건축 모듈을 접합하도록 상기 기둥 내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콘크리트부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충전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콘크리트가 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건축 모듈 및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에 의하면, 상, 하부 건축 모듈 간에 볼트 결합을 위해 볼트공의 위치를 맞추는 과정 없이, 상, 하부 기둥의 접합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상, 하부 건축 모듈을 접합하므로 현장에서의 시공이 용이해지며,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접합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접합부의 진동이나 지진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며, 볼트 결합에 비해 접합부의 휩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접합부에서 발생 가능한 기둥부재의 국부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 모듈 및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BUILDING MODULE AND JOINT STRUCTURE THEREOF}
본 발명은 건축 모듈 및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접합하는 건축 모듈 및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듈러 공법(Modular Construction)은 공장에서 제작 및 조립된 3차원적인 상자형의 모듈 유닛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하는 공법이다. 상기 모듈 유닛은 전기 및 기계설비, 창호를 포함한 내외장재, 바닥재, 천장재 등을 포함한다. 이에 건축 유닛의 대부분이 공장에서 완성되어 현장 조립되게 된다.
모듈러 공법을 적용한 모듈러 건축물은 공장에서 제작된 각 모듈 유닛을 현장에서 상하, 전후, 좌우로 조립하여 완성된다. 또한, 상기 모듈 유닛은 동일한 형태와 크기로 제작되어 조립 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모듈러 건축물은 공장생산을 통한 품질의 향상과 조립이 용이하여 현장시공시 공기 단축을 통한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어 최근 들어 다양한 유형의 건축물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건축물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성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듈러 유닛의 접합부 상세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종래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모듈러 유닛(10)은 기본적으로 웨브와 플랜지로 구성된 보(11)와 각관의 기둥(12)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에는 슬라브(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때, 상하부 모듈러 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 2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상, 하부 기둥(12)의 접합부에 별도로 접합철판인 엔드플레이트(15)를 용접접합하여 상, 하부 엔드플레이트(15)를 볼트(16)로 체결 조립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별도의 엔드플레이트를 이용한 상, 하부 모듈러 유닛의 접합방식은 기둥부재의 엔드플레이트와 별도로 엔드플레이트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골조물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용접 개소의 증대로 공장에서 유닛의 제작시간이 증대하며, 슬라브나 벽체 마감재를 설치하면 접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종래 상, 하부 모듈러 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접합부에 인접한 기둥에 내, 외부를 관통하는 통공인 마우스 홀을 형성하여 현장에서 작업자가 마우스 홀을 통해 기둥의 내부로 손을 넣어 상, 하부 기둥의 엔드플레이트를 볼트 접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우스홀을 이용하는 방법은 볼트 작업을 위해 마우스 홀을 형성하고 볼트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마우스 홀을 차폐시키는 바,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공장에서 모듈러 유닛의 바닥 및 벽체에 마감재를 부착하는 경우 현장에서 볼트조립작업을 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접합방식은 단위 모듈의 주요 구조부재인 기둥부재에 마우스 홀 절취에 따른 단면손실이 발생하여 구조내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상, 하부 기둥의 접합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상, 하부 건축 모듈을 접합하여 현장에서의 시공이 용이해지며, 공기가 단축되는 건축 모듈 및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면으로서, 접합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접합부의 진동이나 지진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며, 접합부의 구조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건축 모듈 및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측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 플레이트와, 하부 측면에 관통형성된 개구부 및 양단에 엔드 플레이트를 갖는 기둥;과, 상기 기둥에 접합되는 보;를 포함하는 건축 모듈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내부에 상,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의 보가 결합되며, 하단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기둥을 갖는 상부 건축 모듈;과, 복수의 보가 결합되며, 상단 내부에 충전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기둥을 갖는 하부 건축 모듈;과, 상기 상부 건축 모듈과 상기 하부 건축 모듈을 접합하도록 상기 기둥 내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콘크리트부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충전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건축 모듈과 상기 하부 건축 모듈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상, 하부 건축 모듈의 기둥의 양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하부를 관통하는 관통구와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형성되는 엔드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홀에 끼워져 상기 상부 건축 모듈과 상기 하부 건축 모듈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건축 모듈과 상기 하부 건축 모듈의 접합부를 보강하도록 상기 콘크리트부에 배근되며, 상기 엔드플레이트에 안착되는 보강철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 하부 건축 모듈의 기둥의 양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건축 모듈과 상기 하부 건축 모듈의 접합부를 보강하도록 상기 콘크리트부에 배근되며, 상기 엔드플레이트에 안착되는 보강철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 모듈 및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에 의하면, 상, 하부 건축 모듈 간에 볼트 결합을 하지 않고도, 상, 하부 기둥의 접합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상, 하부 건축 모듈을 접합하므로 현장에서의 시공이 용이해지며, 공기가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접합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접합부의 진동이나 지진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며, 볼트 결합에 비해 접합부의 휨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기둥부재의 접합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국부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위치고정부재와 상기 보강철근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부에 강합성이 일어나므로 접합부의 구조적 성능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건축물 모듈러 유닛의 접합구성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듈러 유닛간의 접합부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건축 모듈 및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모듈(100)은, 도 3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기둥(101)과 보(10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모듈(100)은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적층 및 접합되어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기둥(101)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기둥(101)은 서로 같은 길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101)은 상부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플레이트(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플레이트(131)를 통하여 상기 기둥(101)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깊이까지 충전재 등의 충진이 가능한 밀폐된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101)은 하부 측면에 관통 형성된 개구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111)를 통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2 이상의 건축 모듈(100)을 상하로 위치시킨 후 상기 기둥(101)의 접합부에 콘크리트 등의 충전재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 모듈(100)을 상하로 위치시킨 후 충전재를 투입하기 전에 상기 개구부(111)를 통하여 상, 하 건축 모듈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위치고정부재(235)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235)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상기 기둥(101)은 양단에 엔드플레이트(23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엔드플레이트(231)는 내부에 상,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구(2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2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구(232)를 통하여 상기 상, 하부 건축 모듈의 기둥(101)이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 하부의 건축 모듈 접합시, 상부 기둥(101) 하단과 하부 기둥(101) 상단에 설치된 상기 엔드플레이트(231)를 맞댄 후 상기 고정홀(233)에 예를 들어 철근, 스터드 볼트, 강선 등으로 형성된 위치고정부재(235)를 끼워 상, 하부 건축 모듈(110, 1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위치고정부재(235)는 철근 등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상, 하부 건축 모듈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즉, 상기 위치고정부재(235)는 볼트결합하지 않고 상기 고정홀(233)에 끼워넣음으로써 상, 하부 건축 모듈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접합방식과 같이 별도의 볼트 체결작업을 하지 않으므로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보(103)는 상기 기둥(101)에 결합되며,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보(103)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장변보와 단변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보(103)는 상기 기둥(101)의 상단에 배치되는 4개의 천장보와 상기 기둥(101)의 하단에 배치되는 4개의 바닥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웨브와 플랜지로 형성된 'ㄷ'형상의 보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보(10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둥(101)과 접합되어 건축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H' 형강보 또는 'I' 형강보가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200)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상부 건축 모듈(110)과 하부 건축 모듈(130)과 콘크리트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건축 모듈(110)은 복수의 보(103)가 결합되며, 하단 측면에 개구부(111)가 형성된 기둥(10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111)는 상기 상부 건축 모듈(110) 하단의 어느 일측면에 기둥(101)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둥(101)에 보(103)가 설치되는 위치를 회피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건축 모듈(130)은 복수의 보(103)가 결합되며, 상단 내부에 충전플레이트(131)가 설치되는 기둥(10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충전플레이트(131)는 상기 하부 건축 모듈(130)을 구성하는 기둥(101)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깊이를 갖도록 수평으로 결합설치되어 기둥(101)의 상단에 밀폐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부(210)는 상기 상부 건축 모듈(110)과 상기 하부 건축 모듈(130)을 접합하도록 상기 기둥(10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부(210)는 상기 개구부(111)와 상기 충전플레이트(131)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111)를 통하여 콘크리트가 충전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건축 모듈(130)에 상기 상부 건축 모듈(110)을 적층하여 상기 상, 하부 건축 모듈(130)의 기둥(101)의 위치를 맞춘 후, 상기 상부 건축 모듈(110)의 하단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111)를 통하여 콘크리트를 투입함으로써, 상기 상부 건축 모듈(110)과 하부 건축 모듈(130)의 기둥(101)을 접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건축 모듈(130)의 기둥(101) 상단에 설치된 충전플레이트(131)에 의하여 접합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를 충전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 하부 건축 모듈(110,130)을 상하로 위치시킨 후 충전재를 투입하기 전에, 상기 개구부(111)를 통하여 상, 하 건축 모듈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위치고정부재(235)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235)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를 이용한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200)는, 상, 하부 건축 모듈(110,130)간에 볼트 체결작업을 하지 않고, 상, 하부 기둥(101)의 접합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상, 하부 건축 모듈(110, 130)을 접합하므로 시공이 용이하며, 공기가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접합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접합부의 진동이나 지진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며, 볼트 결합에 비해 접합부의 휩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접합부에서 발생 가능한 기둥부재의 국부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200)는, 상기 상부 건축 모듈(110)과 상기 하부 건축 모듈(1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고정수단(230)은 상기 상, 하부 건축 모듈(110, 130)의 기둥(101)의 양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하부를 관통하는 관통구(232)와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233)이 형성되는 엔드플레이트(231)와, 상기 고정홀(233)에 끼워져 상기 상부 건축 모듈(110)과 상기 하부 건축 모듈(1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재(2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상부 건축 모듈(110)의 하단과 상기 하부 건축 모듈(130)의 상단에는 엔드플레이트(231)가 설치되며, 상기 엔드플레이트(231)는 상,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구(232)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 건축 모듈(110)의 개구부(111)에 투입된 콘크리트가 상기 하부 건축 모듈(130)의 상부까지 연통하여 충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엔드플레이트(231)의 관통구(232) 주변에는 고정홀(233)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233)에는 위치고정부재(235)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상, 하부 엔드플레이트(231)가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건축 모듈(110)과 상기 하부 건축 모듈(13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고정부재(235)에는 예를 들어 고정링(237)이 설치되어 위치고정부재(235)가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부재(235)에 의해서 상기 콘크리트부(210) 내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와 기둥(101) 사이에 강합성이 이루어져 모듈러 건축물이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인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200)는,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상, 하부 건축 모듈(110,130)의 기둥(101)의 양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구(232)가 형성된 엔드플레이트(231)와, 상기 상부 건축 모듈(110)과 상기 하부 건축 모듈(130)의 접합부를 보강하도록 상기 콘크리트부(210)에 배근되며, 상기 엔드플레이트(231)에 안착되는 보강철근(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철근(2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수직보강철근과 수평보강철근을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보강철근을 상기 엔드플레이트(231)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 후, 상기 콘크리트부(210)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상기 보강철근(250)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부(210)에 강합성이 일어나므로 접합부의 구조적 성능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강철근(250)은 도시된 경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콘크리트부(210)에 배근되어 콘크리트의 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200)는, 상, 하부 건축 모듈(110, 130)의 기둥(101)의 양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구(232)가 형성된 엔드플레이트(231)와 상기 엔드플레이트(231)에 안착되어 상기 콘크리트에 배근되는 보강철근(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엔드플레이트(231)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달리, 고정홀(233)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위치고정수단(230)을 구성하는 위치고정부재(235)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하,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200)의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다만, 후술하는 시공과정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에 적합한 일 예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시공과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시공과정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잘 나타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우선, 상기 상부 건축 모듈(110)과 상기 하부 건축 모듈(130)을 공장에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건축 모듈(110)의 기둥(101)의 하측면에는 개구부(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에는 관통구(232)가 형성된 엔드플레이트(231)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건축 모듈(130)의 기둥(101)의 상단 내부에는 충전플레이트(13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단에는 관통구(232)가 형성된 엔드플레이트(231)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엔드플레이트(231)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233)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상, 하부 건축 모듈(110, 130)을 현장으로 이송하여, 상기 하부 건축 모듈(130)의 기둥(101)에 상기 상부 건축 모듈(110)의 기둥(101)을 적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홀(233)에 고정링(237)에 설치된 위치고정부재(235)를 끼움으로써 상기 상부 건축 모듈(110)과 상기 하부 건축 모듈(13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철근(250)을 상기 상부 건축 모듈(110)의 상기 엔드플레이트(231)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 후, 상기 상부 건축 모듈(110)의 기둥(101)의 하측면에 형성된 개구부(111)를 통하여 상기 접합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이때, 콘크리트가 타설된 콘크리트부(210)는 상기 개구부(111)와 상기 충전플레이트(1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건축 모듈(110)의 기둥(101)의 일부와 상기 하부 건축 모듈(130)의 기둥(101)의 일부에 연통되도록 콘크리트부(21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 하부의 기둥(101)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부재(235)와 상기 보강철근(250)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부(210)에 강합성이 일어나므로 접합부의 구조적 성능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 모듈 및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에 의하면, 이와 같이 콘크리트를 이용한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는, 상, 하부 건축 모듈 간에 볼트 결합을 하지 않고도, 상, 하부 기둥의 접합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상, 하부 건축 모듈을 접합하므로 시공이 용이하며, 공기가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접합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접합부의 진동이나 지진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며, 볼트 결합에 비해 접합부의 휩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접합부에서 발생가능한 기둥부재의 국부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와 상기 보강철근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부에 강합성이 일어나므로 접합부의 구조적 성능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 : 기둥 20 : 보
100 : 건축 모듈 110 : 상부 건축 모듈
111 : 개구부 130 : 하부 건축 모듈
131 : 충전플레이트 200 :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
210 : 콘크리트부 230 : 위치고정수단
231 : 엔드플레이트 232 : 관통구
233 : 고정홀 235 : 위치고정부재
250 : 보강철근

Claims (7)

  1. 상측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플레이트와, 하부 측면에 관통형성된 개구부 및 양단에 엔드플레이트를 갖는 기둥; 및,
    상기 기둥에 접합되는 보;
    를 포함하는 건축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는 내부에 상,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모듈.
  3. 복수의 보가 결합되며, 하단 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기둥을 갖는 상부 건축 모듈;
    복수의 보가 결합되며, 상단 내부에 충전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기둥을 갖는 하부 건축 모듈; 및,
    상기 상부 건축 모듈과 상기 하부 건축 모듈을 접합하도록 상기 기둥 내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콘크리트부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충전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건축 모듈과 상기 하부 건축 모듈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상, 하부 건축 모듈의 기둥의 양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하부를 관통하는 관통구와 적어도 하나의 고정홀이 형성되는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홀에 끼워져 상기 상부 건축 모듈과 상기 하부 건축 모듈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건축 모듈과 상기 하부 건축 모듈의 접합부를 보강하도록 상기 콘크리트부에 배근되며, 상기 엔드플레이트에 안착되는 보강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건축 모듈의 기둥의 양단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 건축 모듈과 상기 하부 건축 모듈의 접합부를 보강하도록 상기 콘크리트부에 배근되며, 상기 엔드플레이트에 안착되는 보강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
KR1020110081528A 2011-08-17 2011-08-17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 KR101294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528A KR101294909B1 (ko) 2011-08-17 2011-08-17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528A KR101294909B1 (ko) 2011-08-17 2011-08-17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529A true KR20130019529A (ko) 2013-02-27
KR101294909B1 KR101294909B1 (ko) 2013-08-08

Family

ID=47897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528A KR101294909B1 (ko) 2011-08-17 2011-08-17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9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9647A (zh) * 2017-05-05 2017-07-11 山东小鹿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快速搭建的蜂巢结构的集成房屋
CN114856000A (zh) * 2022-05-27 2022-08-05 日照大象房屋建设有限公司 装配式冷弯薄壁轻钢组合建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326B1 (ko) * 2021-04-06 2021-09-29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바닥판이 구비된 수평부재 결합형 무용접 모듈러 구조물
KR102307324B1 (ko) * 2021-04-06 2021-09-29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내부 결합형 모듈러 유닛의 접합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0767A (ja) * 1993-02-18 1994-08-30 Daiwa House Ind Co Ltd ユニット工法建物のユニットボックス接合構造
JPH07279256A (ja) * 1994-04-08 1995-10-24 Daiwa House Ind Co Ltd 建物のユニットボックスフレームの補強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9647A (zh) * 2017-05-05 2017-07-11 山东小鹿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可快速搭建的蜂巢结构的集成房屋
CN114856000A (zh) * 2022-05-27 2022-08-05 日照大象房屋建设有限公司 装配式冷弯薄壁轻钢组合建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4909B1 (ko)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740B1 (ko)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의 상하 분리식 접합부구조
KR101335955B1 (ko) 입체 다이아프램을 가진 콘크리트 충전 원형 강관기둥 및 철골보와의 접합구조
KR101766806B1 (ko) Pc기둥에 설치된 임시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KR101617221B1 (ko) 내진 보강형 증축 리모델링 모듈러유닛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
KR101294909B1 (ko)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
KR101814506B1 (ko) 층고절감이 가능한 슬래브 플랜지를 갖는 충전형 보 및 이를 이용한 기둥 보 접합부 시공방법
JP6446593B1 (ja) ノンブレース鉄骨造建物その構築方法および柱脚ユニット
JP5275545B2 (ja) 耐震壁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4235079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の接合部の構造
KR20200089793A (ko) 보강강판 및 관통볼트를 사용한 충전형 합성 보-기둥의 무용접 접합 구조체
KR101521946B1 (ko)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src)의 확장된 주두부 구조
EP2729637B1 (en) Lattice member and self-supporting modular structure
KR20160015101A (ko) 보수, 보강 또는 리모델링시에 보의 단부에 작용하는 부모멘트에 대한 단면 내력을 증가시키는 방법
JP2008266902A (ja) 壁ユニットおよび耐震壁
KR100769154B1 (ko) 패널존의 좌굴방지 및 하부근과의 시공 향상을 위한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58226A (ko) 플레이트-각관 조립철골보에 의한 슬림플로어 합성구조
KR101778040B1 (ko) 충전 복합 조립부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공법
JP6849491B2 (ja) 鉄骨柱の露出型柱脚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954387B1 (ko)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JP5001897B2 (ja) 建物の構築方法
JP5870455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及び柱と梁との接合構造
KR101951095B1 (ko) 학교 건축물 창호 개구부를 활용한 내진보강공법
KR101327916B1 (ko) 복합 벽체거더용 중간격막프레임, 이를 이용한 복합 벽체거더 및 그 시공방법
JP5091624B2 (ja) 補強構造
KR20120037222A (ko) 내진 보강 접합구조를 갖는 pc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내진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