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9426A - 피어 투 피어(p2p) 통신 및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의 다중화 - Google Patents

피어 투 피어(p2p) 통신 및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의 다중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9426A
KR20130019426A KR1020127029994A KR20127029994A KR20130019426A KR 20130019426 A KR20130019426 A KR 20130019426A KR 1020127029994 A KR1020127029994 A KR 1020127029994A KR 20127029994 A KR20127029994 A KR 20127029994A KR 20130019426 A KR20130019426 A KR 20130019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wa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7454B1 (ko
Inventor
런추 왕
덩 응옥 두안
라비 팔란키
나가 부샨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19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22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using time-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피어 투 피어(P2P) 통신 및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시된다. 한 양상에서,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해 P2P 통신이 지원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UE)는 (ⅰ) WAN 통신을 위해 다운링크 스펙트럼과 업링크 스펙트럼 모두를 통해 기지국과 그리고 (ⅱ) P2P 통신을 위해 업링크 스펙트럼만을 통해 다른 UE와 통신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2개의 UE들에 대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또는 전송 링크 및 수신 링크)를 시분할 다중화함으로써 P2P 통신이 지원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WAN 통신 및 P2P 통신이 UE에 의해 동시에 지원될 수 있도록 WAN 통신 및 P2P 통신이 시분할 다중화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WAN 송신들과 P2P 송신들 사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이러한 송신들 사이에 송신 갭들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어 투 피어(P2P) 통신 및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의 다중화{MULTIPLEXING OF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AND WIDE AREA NETWORK (WAN) COMMUNICATION}
본 출원은 "PEER-TO-PEER COMMUNICATIONS IN LONG TERM EVOLUTION SYSTEM"이라는 명칭으로 2010년 4월 15일자 제출된 미국 가출원 일련번호 제61/324,612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가출원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어 투 피어(P2P: peer-to-peer)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음성, 비디오, 패킷 데이터, 메시징, 브로드캐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폭넓게 사용된다. 이러한 무선 네트워크들은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들, 직교 FDMA(OFDMA: Orthogonal FDMA) 네트워크들 및 단일 반송파 FDMA(SC-FDMA: Single-Carrier)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또한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로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다수의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수의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UE는 또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다른 UE들과 피어 투 피어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UE들에 대한 P2P 통신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P2P 통신 및 WAN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들이 설명된다. 한 양상에서,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전개에서 WAN에 의해 사용되는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해 P2P 통신이 지원될 수 있다. 한 설계에서, UE는 WAN 통신을 위해 다운링크 스펙트럼과 업링크 스펙트럼 모두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UE는 P2P 통신을 위해 업링크 스펙트럼만을 통해 다른 UE와 통신할 수 있다. P2P 송신들은 업링크 스펙트럼 상에서 WAN 송신들과 시분할 다중화(TDM)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2개의 UE들에 대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또는 전송 링크 및 수신 링크)를 시분할 다중화함으로써 P2P 통신이 지원될 수 있다. 한 설계에서, 제 1 UE는 P2P 통신을 위해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스펙트럼을 통해 제 2 UE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UE는 P2P 통신을 위해 제 2 서브프레임에서 동일한 스펙트럼을 통해 제 2 UE에 의해 제 1 UE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서브프레임은 제 2 서브프레임과 시분할 다중화될 수 있다. 스펙트럼은 업링크 스펙트럼, 전용 스펙트럼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WAN 통신 및 P2P 통신이 UE에 의해 동시에 지원될 수 있도록 WAN 통신 및 P2P 통신이 시분할 다중화될 수 있다. 한 설계에서, 제 1 UE는 WAN 통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제 1 UE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제 2 UE와 통신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서브프레임과 시분할 다중화될 수 있다. 제 1 UE는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들에서 기지국 및 제 2 UE와 동시에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WAN 송신들과 P2P 송신들 사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이러한 송신들 사이에 송신 갭들이 제공될 수 있다. 한 설계에서, 제 1 UE는 WAN 통신을 위해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제 1 데이터 송신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UE는 P2P 통신을 위해 제 2 UE에 의해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제 1 UE로 전송된 제 2 데이터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제 2 데이터 송신은 제 1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송신 갭만큼 떨어질 수 있으며, 송신 갭은 뒤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들로 획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은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P2P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2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에 대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시분할 듀플렉싱(TDD: time division duplexing)에 대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HARQ에 의한 데이터 송신의 두 가지 예들을 나타낸다.
도 5는 인터레이스 송신 구조를 나타낸다.
도 6a - 도 6c는 P2P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3가지 자원 분할 방식들을 나타낸다.
도 7은 FDD에서의 P2P 통신에 대한 서브프레임들의 할당을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서브프레임 할당에 대한 동시 P2P 통신 및 WAN 통신을 나타낸다.
도 9a - 도 9c는 TDD에서의 P2P 통신에 대한 서브프레임들의 할당을 나타낸다.
도 10a - 도 10d는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서브프레임 할당에 대한 동시 P2P 통신 및 WAN 통신을 나타낸다.
도 11은 TDD에서 송신 갭들을 획득하기 위한 일부 방식들을 나타낸다.
도 12a - 도 12c는 FDD에서 송신 갭들을 획득하기 위한 일부 방식들을 나타낸다.
도 13은 업링크 스펙트럼 상에서 P2P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14는 P2P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15는 WAN 통신 및 P2P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16은 WAN 송신들과 P2P 송신들 사이의 송신 갭들을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도 17a는 UE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7b는 기지국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기지국과 UE의 다른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CDMA, TDMA, FDMA, OFDMA, SC-FDMA 및 다른 네트워크들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에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및 "시스템"이라는 용어들은 흔히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네트워크는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광대역 CDMA(WCDMA: Wideband CDMA), 시분할 동기 CDMA(TD-SCDMA: Time Division Synchronous 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글로벌 모바일 통신 시스템(GSM: Global System for Moble Communications)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진화형 UTRA(E-UTRA: Evolved 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UMB: 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플래시-OFDM?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범용 모바일 통신 시스템(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이다. FDD와 TDD 모두에서 3GPP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및 LTE-어드밴스드(LTE-A: LTE-Advanced)는 다운링크에는 OFDMA를 그리고 업링크에는 SC-FDMA를 이용하는 E-UTRA를 사용하는 UMTS의 새로운 릴리스(release)들이다. UTRA, E-UTRA, UMTS, LTE, LTE-A 및 GSM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라는 명칭의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cdma2000 및 UMB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GPP2)라는 명칭의 조직으로부터의 문서들에 기술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위에서 언급된 무선 네트워크들 및 무선 기술들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 및 무선 기술들에도 사용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이러한 기술들의 특정 양상들은 아래에서 LTE에 관해 설명되며, 아래 설명의 대부분에서 LTE 전문 용어가 사용된다.
도 1은 WAN(100)을 보여주며, 이는 LTE 네트워크 또는 다른 어떤 WAN일 수도 있다. WAN(100)은 다수의 진화형 노드 B(eNB)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순성을 위해, 도 1에는 단지 3개의 eNB들(110a, 110b, 110c) 및 하나의 네트워크 제어기(130)만 도시된다. eNB는 UE들과 통신하는 엔티티일 수 있으며, 또한 기지국, 노드 B,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각각의 eNB는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UE들에 대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3GPP에서, "셀"이라는 용어는 그 용어가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eNB의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이러한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eNB 서브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3GPP2에서, "섹터" 또는 "셀-섹터"라는 용어는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 및/또는 이러한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기지국 서브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아래 설명에서는 "셀"의 3GPP 개념이 사용된다.
eNB는 매크로 셀, 피코셀, 펨토셀, 및/또는 다른 타입들의 셀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매크로셀은 비교적 넓은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반경 수 킬로미터)을 커버할 수 있고 서비스에 가입한 UE들에 의한 무제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피코셀은 비교적 작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할 수 있으며 서비스에 가입한 UE들에 의한 무제한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펨토셀은 비교적 작은 지리적 영역(예를 들어, 집)을 커버할 수 있으며 펨토셀과의 연관을 갖는 UE들(예를 들어, 폐쇄 가입자 그룹(CSG: Closed Subscriber Group) 내의 UE들)에 의한 제한적인 액세스를 허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WAN(100)은 매크로 셀들에 대한 매크로 eNB들(110a, 110b, 110c)을 포함한다. WAN(100)은 또한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피코 셀들에 대한 피코 eNB들 및/또는 펨토 셀들에 대한 홈 eNB들(HeNB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WAN(100)은 또한 중계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기는 업스트림 엔티티(예를 들어, eNB 또는 UE)로부터 데이터의 송신을 수신하고 다운스트림 엔티티(예를 들어, UE 또는 eNB)로 데이터의 송신을 전송하는 엔티티일 수 있다. 중계기는 또한 다른 UE들에 대한 송신들을 중계하는 UE일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가 한 세트의 eNB들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eNB들에 대한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130)는 백홀을 통해 eNB들과 통신할 수 있다. eNB들은 또한 백홀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UE들(120)은 WAN(100) 도처에 분산될 수 있으며, 각각의 UE는 고정적이거나 이동할 수도 있다. UE는 또한 스테이션(station), 이동국, 단말, 액세스 단말, 가입자 유닛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UE는 셀룰러 전화, 개인 디지털 보조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랩톱 컴퓨터, 코드리스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스마트폰, 넷북, 스마트북, 태블릿 등일 수 있다. UE는 eNB들, 중계기들, 다른 UE들 등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WAN 통신은 예를 들어, 다른 UE와 같은 원격 엔티티와의 호를 위한 UE와 eNB 간의 통신을 의미한다. P2P 통신은 eNB를 거치지 않는 2개 또는 그보다 많은 UE들 간의 직접 통신을 의미한다. WAN UE는 WAN 통신에 관심이 있거나 관여하는 UE이다. P2P UE는 P2P 통신에 관심이 있거나 관여하는 UE이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UE들(120a, 120b)은 eNB(110a)의 커버리지 내에 있으며 피어 투 피어 통신한다. UE들(120c, 120d)은 eNB(110b)의 커버리지 내에 있으며 피어 투 피어 통신한다. UE들(120e, 120f)은 서로 다른 eNB들(110b, 110c)의 커버리지 내에 있으며 피어 투 피어 통신한다. UE들(120g, 120h, 120i)은 eNB(110c)의 커버리지 내에 있으며 피어 투 피어 통신한다. 도 1의 다른 UE들(120)은 WAN 통신에 관여한다.
2개 또는 그보다 많은 UE들의 그룹은 P2P 통신에 관여할 수 있으며 P2P 그룹으로 지칭될 수 있다. 협력적(coordinated) P2P로 지칭될 수 있는 한 설계에서, P2P 그룹 내의 하나의 UE가 P2P 그룹 소유자(또는 P2P 서버)로 지정될 수 있으며, P2P 그룹 내의 각각의 나머지 UE는 P2P 클라이언트로 지정될 수 있다. P2P 서버는 WAN에 의한 시그널링 교환, P2P 서버와 P2P 클라이언트(들) 간의 데이터 송신 조정 등과 같은 특정 관리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애드 혹 P2P로 지칭될 수 있는 다른 설계에서, P2P 그룹 내의 모든 UE들은 P2P 통신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유사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설계에서는, P2P 그룹 내의 어떠한 UE에도 P2P 그룹에 대한 관리 기능들의 임무가 주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P2P 그룹 소유자가 있는 협력적 P2P와 P2P 그룹 소유자가 없는 애드 혹 P2P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아래 설명의 대부분은 P2P 그룹 소유자가 P2P 클라이언트와 피어 투 피어 통신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상에서의 송신들을 통해 통신이 가능해질 수 있다. WAN 통신의 경우, 다운링크(또는 순방향 링크)는 eNB들로부터 UE들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하고, 업링크(또는 역방향 링크)는 UE들로부터 eNB들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한다. WAN 통신을 위한 다운링크는 또한 WAN 다운링크로 지칭될 수도 있고, WAN 통신을 위한 업링크는 또한 WAN 업링크로 지칭될 수도 있다. 협력적 P2P 통신의 경우, P2P 다운링크는 P2P 그룹 소유자들로부터 P2P 클라이언트들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하고, P2P 업링크는 P2P 클라이언트들로부터 P2P 그룹 소유자들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한다. 애드 혹 P2P 통신의 경우, P2P 다운링크는 하나의 특정 UE로부터 그의 피어 UE(들)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할 수 있고, P2P 업링크는 이 특정 UE의 피어 UE(들)로부터 이 특정 UE로의 통신 링크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애드 혹 P2P를 위한 P2P 다운링크와 P2P 업링크는 대칭적일 수 있으며 단지 방향만이 서로 다를 수 있다.
WAN(100)은 FDD 또는 TDD를 이용할 수 있다. FDD의 경우, 다운링크와 업링크에는 2개의 개별 주파수 채널들이 할당될 수 있는데, 이러한 주파수 채널들은 다운링크 스펙트럼 및 업링크 스펙트럼으로 지칭될 수 있다. 송신들은 다운링크 스펙트럼과 업링크 스펙트럼 상에서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TDD의 경우, 다운링크와 업링크는 동일한 주파수 채널 또는 스펙트럼을 공유할 수 있다. 송신들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상에서 동일한 스펙트럼을 통해 서로 다른 시간 간격들로 전송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펙트럼"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주파수들의 범위를 의미하며, 이는 주파수 채널, 부대역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는 LTE에서 FDD에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200)를 나타낸다. 다운링크 및 업링크 각각에 대한 송신 타임라인은 무선 프레임들의 단위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미리 결정된 듀레이션(예를 들어, 10 밀리초(㎳))을 가질 수 있고 0 내지 9의 인덱스들을 갖는 10개의 서브프레임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0 내지 19의 인덱스들을 갖는 20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슬롯은 L개의 심벌 기간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규 주기적 프리픽스에 대한 7개의 심벌 기간들 또는 확장된 주기적 프리픽스에 대한 6개의 심벌 기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의 2L개의 심벌 기간들에는 0 내지 2L-1의 인덱스들이 할당될 수 있다. FDD의 경우, 다운링크 스펙트럼에 대한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업링크 스펙트럼에 대한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3은 LTE에서 TDD에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300)를 나타낸다. 송신 타임라인은 무선 프레임들의 단위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각의 무선 프레임은 0 내지 9의 인덱스들을 갖는 10개의 서브프레임들로 분할될 수 있다. LTE는 TDD에 대한 다수의 다운링크-업링크 구성들을 지원한다. 모든 다운링크-업링크 구성들에 대해 서브프레임 0과 서브프레임 5는 다운링크(DL)에 사용되고 서브프레임 2는 업링크(UL)에 사용된다. 서브프레임 3, 서브프레임 4, 서브프레임 7, 서브프레임 8 및 서브프레임 9는 각각 다운링크-업링크 구성에 따라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에 사용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1은 데이터 송신뿐 아니라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에도 사용되는 다운링크 파일럿 타임 슬롯(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 송신이 없는 보호 구간(GP: Guard Period), 및 랜덤 액세스 채널(RACH: random access channel)이나 사운딩 기준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들에 사용되는 업링크 파일럿 타임 슬롯(UpPTS: Uplink Pilot Time Slot)으로 구성된 3개의 특별한 필드들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 6은 다운링크-업링크 구성에 따라, DwPTS만, 또는 3개의 특별한 필드들 전부,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wPTS, GP 및 UpPTS는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 구성들에 대해 서로 다른 듀레이션들을 가질 수 있다. TDD의 경우, 다운링크에 사용되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업링크에 사용되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으로 지칭될 수 있다.
LTE는 FDD와 TDD 모두에서 다운링크에 대해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를 그리고 업링크에 대해서는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화(SC-FDM)를 이용한다. OFDM 및 SC-FDM은 주파수 범위를 다수(NFFT개)의 직교 부반송파들로 분할하며, 이러한 부반송파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톤들, 빈들 등으로도 지칭된다. 각각의 부반송파는 데이터로 변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벌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는 OFDM에 의해 그리고 시간 도메인에서는 SC-FDM에 의해 전송된다. 인접한 부반송파들 간의 간격은 고정적일 수 있으며, 부반송파들의 총 개수(NFFT개)는 시스템 대역폭에 좌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반송파 간격은 15 킬로헤르츠(㎑)일 수 있고, NFFT는 1.25, 2.5, 5, 10 또는 20 메가헤르츠(㎒)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각각 128, 256, 512, 1024 또는 2048과 같을 수 있다. 시스템 대역폭은 또한 부대역들로 분할될 수 있다. 각각의 부대역은 어떤 범위의 주파수들, 예를 들어 1.08㎒를 커버할 수 있다.
FDD와 TDD 모두에서, OFDM 심벌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심벌 기간에서 전송될 수 있다. SC-FDMA 심벌은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각각의 심벌 기간에서 전송될 수 있다.
WAN(100)은 신뢰도를 향상시키도록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HARQ: 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에 의한 데이터 송신을 지원할 수 있다. HARQ를 위해, 송신기는 데이터 패킷의 최초 송신을 전송할 수 있고, 패킷이 수신기에 의해 정확히 디코딩되거나, 패킷에 대해 최대 횟수의 송신들이 전송되었거나, 아니면 다른 어떤 종료 조건이 닥칠 때까지 필요에 따라 패킷의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추가 송신들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a는 HARQ에 의한 다운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신의 일례를 나타낸다. UE는 eNB에 대한 다운링크의 채널 품질을 추정할 수 있고 다운링크 채널 품질을 나타내는 채널 품질 표시자(CQI: channel quality indicator)를 eNB에 전송할 수 있다. eNB는 다운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신을 위해 UE를 스케줄링할 수 있고 CQI를 기초로 변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을 선택할 수 있다. eNB는 다운링크 승인 및 패킷의 송신을 UE에 전송할 수 있다. 다운링크 승인은 선택된 MCS, 할당된 자원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eNB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처리할 수 있거나, 패킷이 정확히 디코딩된다면 확인 응답(ACK: acknowledgement)을 전송할 수 있거나, 패킷이 잘못 디코딩된다면 부정 응답(NACK: negative acknowledgement)을 전송할 수 있다. eNB는 NACK가 수신된다면 패킷의 다른 송신을 전송할 수 있고 ACK가 수신된다면 패킷의 송신을 종료할 수 있다. 다운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신 및 업링크를 통한 ACK/NACK 피드백이 유사한 방식으로 계속될 수 있다.
도 4b는 HARQ에 의한 업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신의 일례를 나타낸다. UE는 전송할 데이터를 가질 수 있으며 eNB에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eNB는 업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신을 위해 UE를 스케줄링할 수 있고 UE에 업링크 승인을 전송할 수 있다. 업링크 승인은 선택된 MCS, 할당된 자원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UE는 업링크 승인에 따라 패킷의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eNB는 UE로부터의 데이터 송신을 처리할 수 있고 디코딩 결과에 따라 ACK 또는 NACK를 전송할 수 있다. UE는 NACK가 수신된다면 패킷의 다른 송신을 전송할 수 있고 ACK가 수신된다면 패킷의 송신을 종료할 수 있다. 업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신 및 다운링크를 통한 ACK/NACK 피드백이 유사한 방식으로 계속될 수 있다.
도 5는 다운링크와 업링크 각각에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인터레이스 송신 구조(500)를 나타낸다. 0 내지 M-1의 인덱스들을 갖는 M개의 인터레이스들이 정의될 수 있으며, 여기서 M은 4, 6, 8 또는 다른 어떤 값과 같을 수 있다. 각각의 인터레이스는 M개의 서브프레임들만큼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레이스 m은 서브프레임 m, 서브프레임 m+M, 서브프레임 m+2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개의 인터레이스들은 HARQ에 사용될 수 있으며 HARQ 인터레이스들, HARQ 프로세스들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HARQ를 위해, 송신기는 동일한 인터레이스의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들에서 패킷의 모든 송신들을 전송할 수 있다. 송신기는 서로 다른 인터레이스들에서 서로 다른 패킷들의 송신들을 전송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링크 및/또는 업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신은 각각의 링크에 대해 하나의 인터레이스로 지원될 수 있다. 다운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신의 경우, 다운링크에 대한 인터레이스의 서브프레임들에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고, 업링크에 대한 인터레이스의 서브프레임들에서 ACK/NACK 피드백이 전송될 수 있다. 업링크를 통한 데이터 송신의 경우, 업링크에 대한 인터레이스의 서브프레임들에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고, 다운링크에 대한 인터레이스의 서브프레임들에서 ACK/NACK 피드백이 전송될 수 있다. 용량을 증가시키고, 지연을 감소시키며, 그리고/또는 다른 이득들을 얻기 위해 각각의 링크에 더 많은 인터레이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P2P 통신은 WAN 통신에 비해, 특히 서로 가까이 위치하는 UE들에 대해 어떤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2개의 UE들 간의 경로 손실은 어느 하나의 UE에서부터 그 서빙 eNB 사이의 경로 손실보다 상당히 작을 수도 있기 때문에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2개의 UE들은 WAN 통신을 위해 2개의 송신 호핑들― 하나의 UE로부터 그의 서빙 eNB로의 업링크에 대한 하나의 호핑 및 동일한 또는 다른 eNB로부터 다른 UE로의 다운링크에 대한 다른 하나의 호핑 ―을 통하는 대신에, P2P 통신을 위해 단일 송신 "호핑"을 통해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로드를 P2P 통신으로 옮김으로써 P2P 통신이 사용되어 UE 용량을 개선하고 또한 네트워크 용량을 개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일 채널(co-channel) P2P 전개에서 WAN(100)에 의해 사용되는 동일한 스펙트럼을 통해 또는 WAN(100)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다른 스펙트럼을 통해 P2P 통신이 지원될 수 있다. 동일 채널 P2P 전개는 예를 들어, 개별 스펙트럼이 P2P 통신의 지원에 이용 가능하지 않을 때 사용될 수 있다. 아래 설명의 대부분은 동일 채널 P2P 전개를 가정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또한 전용 스펙트럼을 갖는 P2P 전개에도 역시 적용될 수 있다.
한 양상에서, FDD 전개에서 WAN에 의해 사용되는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해 P2P 통신이 지원될 수 있다. 규제 제약들로 인해, FDD에서 WAN에 의해 사용되는 다운링크 스펙트럼과 업링크 스펙트럼 모두에서 P2P 통신을 지원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업링크 스펙트럼 상의 이용 가능한 시간-주파수 자원들의 일부를 P2P 통신에 할당함으로써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해 P2P 통신이 지원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WAN 통신과 P2P 통신 사이의 TDM 분할에 의해 프레임 구조가 정의될 수 있으므로, WAN 통신과 P2P 통신 모두 UE에 의해 동시에 지원될 수 있다. 이는 일부 서브프레임들을 P2P 통신에 할당하고 나머지 서브프레임들을 WAN 통신에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TDM 분할이 P2P 다운링크 및 P2P 업링크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UE가 P2P 다운링크와 P2P 업링크 모두에 대해 동일한 스펙트럼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P2P 통신에 할당된 일부 서브프레임들을 P2P 다운링크에 사용하고 나머지 할당된 서브프레임들을 P2P 업링크에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a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에 의해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한 P2P 통신을 지원하는 설계를 나타낸다. 이 설계에서, 업링크 스펙트럼의 일부가 P2P 통신의 전체 듀레이션 동안 한 그룹의 UE들에 할당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그룹들의 UE들에 업링크 스펙트럼의 서로 다른 비중첩 부분들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그룹의 UE들에 업링크 스펙트럼의 제 1 부분(612)이 할당될 수 있고 제 2 그룹의 UE들에 제 2 부분(614)이 할당될 수 있다. 업링크 스펙트럼의 나머지 부분은 WAN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b는 시분할 다중화(TDM)에 의해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한 P2P 통신을 지원하는 설계를 나타낸다. 이 설계에서, 업링크 스펙트럼에 대한 일부 서브프레임들이 P2P 통신을 위해 UE들에 할당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그룹들의 UE들에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들이 할당될 수 있거나 또는 동일한 서브프레임들이 서로 과도한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면 가능한 대로 동일한 서브프레임들이 할당될 수 있다. 업링크 스펙트럼들에 대한 나머지 서브프레임들은 WAN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c는 FDM 및 TDM 모두에 의해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한 P2P 통신을 지원하는 설계를 나타낸다. 이 설계에서, 일부 서브프레임들에서 업링크 스펙트럼의 일부가 P2P 통신을 위해 한 그룹의 UE들에 할당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그룹들의 UE들에 업링크 스펙트럼의 서로 다른 비중첩 부분들 및/또는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들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그룹의 UE들(G1)에는 서브프레임 0 및 서브프레임 2에서 업링크 스펙트럼의 제 1 부분이 할당될 수 있다. 제 2 그룹의 UE들(G2)에는 서브프레임 0, 서브프레임 1 및 서브프레임 5에서 업링크 스펙트럼의 제 2 부분이 할당될 수 있다. 업링크 스펙트럼들에 대한 나머지 시간-주파수 자원들은 WAN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FDM 설계에서는, TDD 프레임 구조가 P2P 다운링크 및 P2P 업링크에 사용될 수 있다. 각각의 P2P 그룹에 대해, 일부 서브프레임들이 P2P 다운링크에 할당될 수 있고, 나머지 서브프레임들이 P2P 업링크에 할당될 수 있다. 각각의 P2P UE는 일부 서브프레임들에서 업링크 스펙트럼의 할당된 부분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다른 서브프레임들에서 업링크 스펙트럼의 할당된 부분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P2P UE는 (ⅰ) P2P 통신을 위해 다른 UE로부터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ⅱ)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WAN 통신을 위해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해 eNB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요구될 수 있기 때문에 P2P UE가 P2P 통신 및 WAN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P2P UE는 UE 내에서의 송신기로부터 수신기로의 신호 누설로 인해 동일한 스펙트럼을 통해 동시에 전송 및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도 6b에 도시된 TDM 설계 및 도 6c에 도시된 FDM-TDM 설계에서, TDD 프레임 구조는 또한 P2P 다운링크 및 P2P 업링크에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면, 각각의 P2P UE는 일부 서브프레임들에서 업링크 스펙트럼의 전부 또는 일부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다른 서브프레임들에서 업링크 스펙트럼의 전부 또는 일부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P2P UE는 또한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P2P 통신과 WAN 통신이 시분할 다중화(TDM)되어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들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P2P 통신과 WAN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a - 도 6c에 도시된 설계들이 FDD 전개에 사용될 수 있고,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해 P2P 통신이 지원될 수 있다. 도 6a - 도 6c에 도시된 설계들은 또한 TDD 전개에 사용될 수도 있으며, 업링크 서브프레임들(또는 일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P2P 통신이 지원될 수 있다.
명확성을 위해, 아래 설명의 대부분은 P2P 통신이 (ⅰ) FDD 전개에서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해 또는 (ⅱ) TDD 전개에서 단지 업링크 서브프레임들만 또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들 모두에서 지원된다고 가정한다. 아래 설명의 대부분은 또한 P2P 통신에 대한 TDD 프레임 구조 및 도 6c에 도시된 FDM-TDM 설계의 사용을 가정한다.
FDD 전개에서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링크와 업링크 각각에 대해 M개의 인터레이스들이 정의될 수 있다. 업링크에 대한 하나의 인터레이스가 P2P 통신에 할당될 수 있다. 이 인터레이스의 서브프레임들 중 1/2이 P2P 다운링크에 사용될 수 있고, 이 인터레이스의 서브프레임들 중 나머지 다른 1/2이 P2P 업링크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프레임 t에서 데이터의 송신이 전송될 수 있고, 서브프레임 t+M에서 ACK/NACK 피드백이 전송될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 t+2M에서 데이터의 다른 송신이 전송될 수 있는 식이다. 데이터 송신 이후에 M개의 서브프레임들에서 ACK/NACK 피드백을 전송하는 것은 지연에 민감한 서비스들(예를 들어, 음성)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해 P2P 통신에 다수의 인터레이스들이 할당될 수 있다.
도 7은 FDD 전개에서 업링크 스펙트럼에 대한 서브프레임들의 P2P 통신으로의 예시적인 할당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8개의 인터레이스 0 내지 인터레이스 7이 업링크에 이용 가능하고, 2개의 인터레이스 3과 인터레이스 7이 P2P 통신에 할당되며, 나머지 6개의 인터레이스들이 WAN 통신에 사용된다. 인터레이스 0 내지 인터레이스 2 및 인터레이스 4 내지 인터레이스 6의 서브프레임들은 WAN 업링크에 사용될 수 있다. 인터레이스 3의 서브프레임들은 P2P 다운링크에 사용될 수 있다. 인터레이스 7의 서브프레임들은 P2P 업링크에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등한 간격을 둔 2개의 인터레이스들(예를 들어, 인터레이스 3 및 인터레이스 7)이 P2P 통신에 할당될 수 있다. 더욱이, 2개의 할당된 인터레이스들의 서브프레임들이 P2P 다운링크와 P2P 업링크에 균등하게 할당될 수 있다. 다음에, 8㎳ HARQ 송신 타임라인이 P2P 통신에 할당될 수 있다.
P2P 그룹 소유자와 P2P 클라이언트가 P2P 다운링크 및 P2P 업링크에 할당된 서브프레임들에서 통신할 수 있다. eNB는 동일한 인터레이스 또는 서로 다른 인터레이스들의 서브프레임들이 P2P 다운링크 및 P2P 업링크에 대한 서브프레임들과 상이한 이상은, 이러한 동일한 인터레이스 또는 서로 다른 인터레이스들의 서브프레임들에서 P2P 그룹 소유자 및 P2P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서브프레임 할당을 위한 동시 P2P 통신 및 WAN 통신의 한 설계를 나타낸다. 도 8a에 도시된 설계에서, eNB는 서브프레임 0에서 P2P 그룹 소유자에게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 4에서 P2P 그룹 소유자로부터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 8에서 P2P 그룹 소유자에게 다른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eNB는 서브프레임 0에서 P2P 클라이언트에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 4에서 P2P 클라이언트로부터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 8에서 P2P 클라이언트에 다른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8a에서 eNB는 동일한 인터레이스에서 P2P 그룹 소유자와 P2P 클라이언트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서브프레임 할당을 위한 동시 P2P 통신 및 WAN 통신의 다른 설계를 나타낸다. 도 8b에 도시된 설계에서, eNB는 서브프레임 1에서 P2P 그룹 소유자에게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 5에서 P2P 그룹 소유자로부터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 9에서 P2P 그룹 소유자에게 다른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eNB는 서브프레임 0에서 P2P 클라이언트에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 4에서 P2P 클라이언트로부터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 8에서 P2P 클라이언트에 다른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8b에서 eNB는 서로 다른 인터레이스들에서 P2P 그룹 소유자와 P2P 클라이언트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8a와 도 8b 모두에서, P2P 그룹 소유자는 서브프레임 3에서 P2P 클라이언트에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 7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으며, 다음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1에서 다른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P2P 클라이언트는 서브프레임 7에서 P2P 그룹 소유자에게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고, 다음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1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으며, 다음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5에서 다른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도 9a는 TDD 전개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로의 서브프레임들의 예시적인 할당을 나타낸다. 도 9a에 도시된 예에서는, 사용을 위해 다운링크-업링크 구성 1이 선택되며, 도 9a에서 각각의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0, 서브프레임 4, 서브프레임 5 및 서브프레임 9가 다운링크에 할당되고 "D" 라벨로 표기된다. 각각의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2, 서브프레임 3, 서브프레임 7 및 서브프레임 8이 업링크에 할당되며 "U" 라벨로 표기된다. 서브프레임 1과 서브프레임 6은 특별한 서브프레임들이며 "S" 라벨로 표기된다.
도 9b는 TDD 전개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과 업링크 서브프레임들 모두를 P2P 통신에 할당하는 설계를 나타낸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다운링크-업링크 구성 1이 사용을 위해 선택된다고 가정한다. 도 9b에 도시된 예에서는, 각각의 무선 프레임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3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9가 P2P 통신에 할당될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 3은 P2P 다운링크에 사용되고, 서브프레임 9는 P2P 업링크에 사용된다. 이 설계는 P2P 통신을 위한 HARQ 송신 타임라인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을 통한 P2P UE들로부터의 송신들이 WAN UE들에 과도한 간섭을 일으키지 않음을 보장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도 9c는 TDD 전개에서 업링크 서브프레임들만 P2P 통신에 할당하는 설계를 나타낸다.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다운링크-업링크 구성 1이 사용을 위해 선택된다고 가정한다. 도 9c에 도시된 예에서는, 각각의 무선 프레임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2와 업링크 서브프레임 7이 P2P 통신에 할당될 수 있으며, 서브프레임 2는 P2P 다운링크에 사용되고, 서브프레임 7은 P2P 업링크에 사용된다. 이 설계는 다운링크 상에서 P2P UE들로부터 WAN UE들로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은 일부 다운링크-업링크 구성들에 대한 무선 프레임에 걸쳐 분산되지 않을 수도 있고, P2P 통신에 할당된 서브프레임들 또한 무선 프레임에 걸쳐 분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P2P 통신을 위한 HARQ 송신 타임라인은 P2P 통신에 할당된 서브프레임들을 기초로 필요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도 10a은 도 9b에 도시된 서브프레임 할당을 위한 동시 P2P 통신 및 WAN 통신의 한 설계를 나타낸다. eNB는 서브프레임 4에서 P2P 그룹 소유자 및 P2P 클라이언트에 데이터 송신들을 전송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 8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으며, 다음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4에서 P2P 그룹 소유자 및 P2P 클라이언트에 추가 데이터 송신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0a에서 eNB는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P2P 그룹 소유자와 P2P 클라이언트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b는 도 9b에 도시된 서브프레임 할당을 위한 동시 P2P 통신 및 WAN 통신의 다른 설계를 나타낸다. eNB는 서브프레임 0에서 P2P 그룹 소유자에게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 7에서 P2P 그룹 소유자로부터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으며, 다음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0에서 P2P 그룹 소유자에게 다른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eNB는 서브프레임 4에서 P2P 클라이언트에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 8에서 P2P 클라이언트로부터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으며, 다음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4에서 P2P 클라이언트에 다른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0b에서 eNB는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P2P 그룹 소유자와 P2P 클라이언트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a와 도 10b 모두에서, P2P 그룹 소유자는 서브프레임 3에서 P2P 클라이언트에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 9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으며, 다음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3에서 다른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P2P 클라이언트는 서브프레임 9에서 P2P 그룹 소유자에게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고, 다음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3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으며, 다음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9에서 다른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0c는 도 9c에 도시된 서브프레임 할당을 위한 동시 P2P 통신 및 WAN 통신의 한 설계를 나타낸다. eNB는 서브프레임 4에서 P2P 그룹 소유자 및 P2P 클라이언트에 데이터 송신들을 전송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 8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으며, 다음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4에서 P2P 그룹 소유자 및 P2P 클라이언트에 추가 데이터 송신들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0c에서 eNB는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P2P 그룹 소유자와 P2P 클라이언트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d는 도 9c에 도시된 서브프레임 할당을 위한 동시 P2P 통신 및 WAN 통신의 다른 설계를 나타낸다. eNB는 서브프레임 0에서 P2P 그룹 소유자에게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 7에서 P2P 그룹 소유자로부터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으며, 다음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0에서 P2P 그룹 소유자에게 다른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eNB는 서브프레임 4에서 P2P 클라이언트에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고, 서브프레임 8에서 P2P 클라이언트로부터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으며, 다음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4에서 P2P 클라이언트에 다른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0d에서 eNB는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P2P 그룹 소유자와 P2P 클라이언트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c와 도 10d 모두에서, P2P 그룹 소유자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2에서 P2P 클라이언트에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고, 업링크 서브프레임 7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으며, 다음 무선 프레임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2에서 다른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P2P 클라이언트는 업링크 서브프레임 7에서 P2P 그룹 소유자에게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고, 다음 무선 프레임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2에서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으며, 다음 무선 프레임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7에서 다른 데이터 송신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0c와 도 10d에서 업링크 서브프레임들만을 사용하는 P2P 통신에 대한 HARQ 송신 타이밍은 도 10a와 도 10b에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들 모두를 사용하는 P2P 통신에 대한 HARQ 송신 타이밍과 상이하다. P2P 그룹 소유자와 P2P 클라이언트는 차이를 알 수 있으며 적절한 서브프레임들에서 데이터 및 ACK/NACK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
FDD 전개와 TDD 전개 모두에서, 예를 들어 LTE 표준에 명시된 바와 같이, eNB와 UE 간의 WAN 통신을 위한 HARQ 송신 타임라인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eNB들과의 통신을 위해 UE들을 적절히 스케줄링하고 그리고/또는 P2P 통신에 인터레이스들을 할당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eNB와 UE 간의 WAN 통신을 위한 업링크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인터레이스를 예비함으로써 동시 P2P 통신 및 WAN 통신이 지원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d는 P2P 통신에 2개의 인터레이스들이 할당되는 예들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어 P2P 통신에 대한 스루풋을 증가시키기 위해 2개보다 더 많은 인터레이스들이 P2P 통신에 할당될 수도 있다. P2P 통신에 대한 HARQ 송신 타임라인은 2개보다 더 많은 인터레이스들이 P2P 통신에 할당되는 경우들로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2P 통신에 대한 HARQ 송신 타임라인은 3-서브프레임 처리 시간 요건을 충족하도록 정의될 수 있는데, 이는 데이터 송신보다 적어도 3개의 서브프레임들 더 뒤에 ACK/NACK 피드백이 있어야 하고 그리고/또는 ACK/NACK 피드백보다 적어도 3개의 서브프레임들 더 뒤에 다른 데이터 송신이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ⅰ) 서로 다른 인터레이스들 상에서 전송된 데이터 송신들에 대한 ACK들 및/또는 NACK들을 번들링 또는 결합하고 (ⅱ) 번들링된 ACK/NACK를 처리 시간 요건을 충족할 서브프레임들에서 전송함으로써 처리 시간 요건을 충족하도록 ACK 번들링이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UE는 간섭 그리고 또한 UE에서 송신기로부터 수신기로의 누설을 피하기 위해 동일한 스펙트럼을 통해 동시에 신호들을 전송 및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이는 UE가 동일한 스펙트럼 상에서 전송과 수신 사이(TX/RX) 또는 수신과 전송 사이(RX/TX)로 전환할 때마다 송신에 갭(즉, 송신 갭)을 가짐으로써 보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동일한 스펙트럼 상에서의 각각의 TX/RX 전환점에서 또한 각각의 RX/TX 전환점에서 송신 갭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송신 갭 요건들은 FDD 전개와 TDD 전개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갭들을 얻기 위한 기술들은 아래에서 FDD와 TDD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명된다.
명확성을 위해, 아래 설명의 대부분은 동시 P2P 통신 및 WAN 통신을 수행하는 특정 UE에 대한 것이다. 아래 설명에서 다음의 용어가 사용된다:
Figure pct00001
WAN TX - UE가 WAN 통신을 위해 eNB에 데이터를 전송함,
Figure pct00002
WAN RX - UE가 WAN 통신을 위해 eN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함,
Figure pct00003
P2P TX - UE가 P2P 통신을 위해 피어 UE에 데이터를 전송함,
Figure pct00004
P2P RX - UE가 P2P 통신을 위해 피어 UE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함,
Figure pct00005
WAN TX 타이밍 - WAN 통신을 위한 UE의 타이밍을 전송함,
Figure pct00006
WAN RX 타이밍 - WAN 통신을 위한 UE의 타이밍을 수신함,
Figure pct00007
P2P 타이밍 - P2P 통신을 위한 UE의 타이밍을 전송 및 수신함.
WAN TX, WAN RX, P2P TX 및 P2P RX는 UE의 관점이다. WAN TX 타이밍, WAN RX 타이밍 및 P2P 타이밍은 UE를 위해 주어진다.
TDD의 경우, WAN 통신과 P2P 통신 모두에 동일한 스펙트럼이 사용된다. 더욱이, WAN 다운링크, WAN 업링크, P2P 다운링크 및 P2P 업링크에 동일한 스펙트럼이 사용된다. 따라서 WAN 통신은 P2P 통신과 잠재적으로 간섭할 수 있고, 그 역도 가능하다. 표 1은 한 설계에 따라, TDD에서 서로 다른 TX/RX 및 RX/TX 전환점들에 대한 송신 갭들을 확보하는 여러 가지 방식들을 기재하고 있다.
Figure pct00008
도 11은 TDD에서의 서로 다른 TX/RX 및 RX/TX 전환점들에 대한 송신 갭들을 확보하는 여러 가지 설계들을 나타낸다. 도 11은 사용을 위해 다운링크-업링크 구성 1이 선택된다고 가정하며, 여기서는 각각의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0, 서브프레임 4, 서브프레임 5 및 서브프레임 9가 다운링크에 할당되고, 각각의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2, 서브프레임 3, 서브프레임 7 및 서브프레임 8이 업링크에 할당되며, 서브프레임 1과 서브프레임 6은 특별한 서브프레임들이다. 각각의 특별한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부분을 포함하는데, 다음에 Tgap의 갭이 이어지고, 그 다음에 업링크 부분이 이어지며, 여기서 Tgap은 구성 가능할 수 있으며 TDD에서 사용하기 위해 선택된 서브프레임 구성에 좌우될 수 있다. 도 11은 일부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 P2P 통신에 할당된다고 가정한다. 도 11은 또한 단순성을 위해 0의 왕복 지연(RTD: round trip delay)을 가정한다.
WAN RX 타임라인(1112)은 UE가 각각의 무선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0,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4,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5 및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9에서 그리고 또한 특별한 서브프레임 1과 특별한 서브프레임 6의 다운링크 부분에서 eNB로부터 잠재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함을 보여준다. WAN TX 타임라인(1114)은 UE가 각각의 무선 프레임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2, 업링크 서브프레임 3, 업링크 서브프레임 7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 8에서 그리고 또한 특별한 서브프레임 1과 특별한 서브프레임 6의 업링크 부분에서 eNB로 잠재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함을 보여준다. WAN TX 타임라인(1114)은 UE가 WAN 통신에만 관여할 때(그리고 P2P 통신에는 관여하지 않을 때) 적용 가능할 수 있다.
한 설계에서, 도 11의 타임라인(1114)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UE의 WAN TX 타이밍은 UE의 WAN RX 타이밍에 대해 Delta1 ㎳만큼 앞설 수 있다. 다음에, UE의 업링크/전송 서브프레임들은 UE의 다운링크/수신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Delta1만큼 앞설 수 있다. WAN TX와 WAN RX 사이에, 예를 들어 업링크 서브프레임 8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9 사이에 Delta1의 송신 갭이 획득될 수 있다. WAN RX와 WAN TX 사이에, 예를 들어 특별한 서브프레임 6에서 Delta2의 송신 갭이 획득될 수 있으며, 여기서 Delta2는 (Tgap - Delta1)과 같을 수 있다. Delta1은 Delta2와 같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타임라인(1116)은 P2P TX 서브프레임들, P2P RX 서브프레임들 및 WAN TX 서브프레임들을 번들링함으로써 송신 갭들을 획득하는 설계를 나타낸다. 타임라인(1116)으로 도시된 설계에서, UE의 P2P 타이밍은 WAN TX 타이밍과 비슷할 수 있다. 각각의 그룹의 연속한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은 타임라인(1114)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획득된 송신 갭들만큼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UE는 각각의 그룹의 연속한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서 (ⅰ) eNB에 그리고/또는 피어 UE에 전송하거나 (ⅱ) 피어 UE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하면, 이는 임의의 그룹의 연속한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서 TX/RX 또는 RX/TX 전환점을 피할 것이며, 이는 또한 임의의 그룹의 연속한 업링크 서브프레임들 내에서 송신 갭에 대한 필요성을 피할 것이다. HARQ 송신 타임라인은 서브프레임 번들링으로 인해 P2P 통신에 대해 더 길 수도 있다. 적당한 다운링크-업링크 서브프레임 구성이 선택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충분한 수의 인터레이스들이 P2P 통신에 할당되어 원하는 HARQ 송신 타임라인을 얻을 수 있다.
타임라인(1118)은 심벌들을 펑처링함으로써 송신 갭들을 획득하는 설계를 보여준다. 타임라인(1118)으로 도시된 설계에서, UE의 P2P 타이밍은 WAN TX 타이밍과 비슷할 수 있다. 각각의 그룹의 연속한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 WAN TX, P2P TX 및/또는 P2P RX에 사용될 수 있다. 주어진 그룹 내의 모든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 (ⅰ) WAN TX 및/또는 P2P TX에 또는 (ⅱ) 단지 P2P RX에만 사용된다면 송신 갭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주어진 그룹 내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 WAN/P2P TX와 P2P RX 모두에 사용된다면 송신 갭이 제공될 수 있다. 제 1 설계에서, (ⅰ) P2P RX를 그룹의 마지막 업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8)에서 발생하도록 스케줄링하고 (ⅱ) 바로 이전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7)에서 전송된 데이터 송신의 마지막 심벌을 펑처링하거나 삭제함으로써 송신 갭이 획득될 수 있다. 제 2 설계에서는, (ⅰ) WAN/P2P TX를 그룹의 마지막 업링크 서브프레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8)에서 발생하도록 스케줄링하고 (ⅱ) WAN/P2P TX에 대해 전송된 데이터 송신의 첫 번째 심벌을 펑처링함으로써 송신 갭이 획득될 수 있다. 그러나 처음 몇 개의 심벌들은 일반적으로 제어 데이터를 전달하고 나머지 심벌들이 일반적으로 트래픽 데이터를 전달하기 때문에, 제 2 설계의 첫 번째 심벌 대신에 제 1 설계의 마지막 심벌을 펑처링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다.
한 설계에서, 사운딩 기준 신호(SRS)를 전송하도록 UE를 구성함으로써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의 마지막 심벌이 펑처링될 수 있는데, SRS는 통상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벌 기간에 업링크를 통해 전송된다. 그러나 UE는 송신 갭을 획득하기 위해 실제로는 SRS를 전송하지 않을 것이다. SRS를 전송하도록 UE를 구성함으로써, UE는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심벌 기간을 제외한 모든 심벌 기간에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으며, 이는 펑처링으로 인한 데이터 송신 성능에 대한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SRS를 전송하도록 UE를 구성하는 것은 LTE에 명시된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송신의 마지막 심벌을 편리하게 펑처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타임라인(1120)은 WAN TX 타이밍에 대해 (Delta1 - Delta3)만큼 P2P 타이밍을 지연시킴으로써 송신 갭들을 획득하는 설계를 보여준다. 각각의 그룹의 연속한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 WAN TX, P2P TX 및/또는 P2P RX에 사용될 수 있다. 주어진 그룹 내의 모든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 (ⅰ) WAN TX 및/또는 P2P TX에 또는 (ⅱ) 단지 P2P RX에만 사용된다면 송신 갭들이 요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주어진 그룹 내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이 WAN/P2P TX와 P2P RX 모두에 사용된다면 송신 갭이 제공될 수 있다. P2P TX 또는 P2P RX가 한 그룹의 연속한 업링크 서브프레임 중 마지막 서브프레임에 스케줄링될 수 있다. WAN TX 타이밍에 대해 (Delta1 - Delta3)만큼 지연되는 P2P 타이밍으로 인해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1과 서브프레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WAN TX 이후에 발생하는 P2P RX에 대해 (Delta1 - Delta3)의 송신 갭이 획득될 수 있다. (ⅰ) WAN RX 타이밍에 대해 Delta1만큼 앞서는 WAN TX 타이밍 및 (ⅱ) WAN TX 타이밍에 대해 (Delta1 - Delta3)만큼 지연되는 P2P 타이밍으로 인해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3과 서브프레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WAN RX 이전에 발생하는 P2P TX에 대해 Delta3의 송신 갭이 획득될 수 있다. Delta3은 Delta1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이 경우, P2P TX에서 WAN RX로의 전이 및 WAN TX에서 P2P RX로의 전이에 대해 서로 다른 보호 구간들이 생성될 수 있다.
FDD의 경우, WAN 다운링크 및 WAN 업링크에 각각 서로 다른 다운링크 스펙트럼 및 업링크 스펙트럼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WAN TX와 WAN RX 사이에 송신 갭들이 요구되지 않는다. 업링크 스펙트럼에 대한 일부 서브프레임들은 P2P 통신에 할당될 수도 있다. 따라서 WAN TX는 P2P 통신과 잠재적으로 간섭할 수 있고, 그 역도 가능하다. 표 2는 한 설계에 따라, FDD에서 서로 다른 TX/RX 및 RX/TX 전환점들에 대한 송신 갭들을 확보하는 여러 가지 방식들을 기재하고 있다.
Figure pct00009
도 12a는 FDD에서의 관심 있는 TX/RX 및 RX/TX 전환점들에 대한 송신 갭들을 획득하는 여러 가지 설계들을 나타낸다. 도 12a는 도 7에 도시된 서브프레임 할당을 가정하며, 여기서 업링크 스펙트럼에 대한 인터레이스 3과 인터레이스 7이 P2P 통신에 할당된다. 도 12a는 또한 단순성을 위해 0의 왕복 지연을 가정한다.
WAN RX 타임라인(1212)은 UE가 다운링크 스펙트럼에 대한 모든 서브프레임들에서 eNB로부터 잠재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함을 보여준다. WAN TX 타임라인(1214)은 UE가 인터레이스 0 - 인터레이스 2 및 인터레이스 4 - 인터레이스 6의 서브프레임들에서 eNB로 잠재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함을 보여준다.
P2P 타임라인(1216)은 UE가 자신의 P2P 타이밍을 WAN TX 타이밍에 대해 Delta1만큼 앞서게 한 것을 보여준다. UE는 잠재적으로 업링크 스펙트럼에 대한 일부 서브프레임들에서 피어 UE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업링크 스펙트럼에 대한 다른 서브프레임들에서 피어 UE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P2P 타이밍을 WAN TX 타이밍에 대해 Delta1만큼 전진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7과 서브프레임 8에서) P2P RX와 WAN TX 사이에 Delta1의 송신 갭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6에서) eNB로 전송된 데이터 송신의 마지막 심벌을 펑처링함으로써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6과 서브프레임 7에서) WAN TX와 P2P RX 사이에 Delta2의 송신 갭이 획득될 수 있으며, 여기서 Delta2 = Tsym - Delta1이고, Tsym은 하나의 심벌 기간의 듀레이션이다. Delta1은 Delta2와 같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Delta1과 Delta2의 합이 작다면(예를 들어, 약 5 내지 10 마이크로초), (전체 심벌 기간 대신에) 주기적 프리픽스의 일부가 송신 갭을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반대로, Delta1과 Delta2의 합이 크다면, 하나의 심벌 기간이 송신 갭을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WAN TX 타임라인(1218)은 UE가 임의의 WAN 송신들의 마지막 부분을 삭제할 필요 없이, 인터레이스 0 - 인터레이스 2 및 인터레이스 4 - 인터레이스 6의 서브프레임들에서 eNB로 잠재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함을 보여준다. P2P 타임라인(1220)은 UE가 자신의 P2P 타이밍을 WAN TX 타이밍에 대해 Delta1만큼 지연시킨 것을 보여준다. P2P 타이밍을 WAN TX 타이밍에 대해 Delta1만큼 지연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6과 서브프레임 7에서) WAN TX와 P2P RX 사이에 Delta1의 송신 갭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7에서) P2P 통신을 위해 전송된 데이터 송신의 마지막 심벌을 펑처링함으로써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7과 서브프레임 8에서) P2P RX와 WAN TX 사이에 Delta2의 송신 갭이 획득될 수 있다.
P2P 타임라인(1214)으로 도시된 설계는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2와 서브프레임 6에서) WAN 송신들의 마지막 심벌들을 펑처링함으로써 WAN 통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P2P 타임라인(1220)으로 도시된 설계는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3과 서브프레임 7에서) P2P 송신들의 마지막 심벌들을 펑처링함으로써 WAN 통신에 대한 영향을 피할 수 있다. 두 설계들 모두, 송신 갭을 획득하기 위해 실제로는 SRS를 전송하지 않더라도, SRS를 전송하도록 UE를 구성함으로써 서브프레임에서의 송신의 마지막 심벌이 펑처링될 수 있다.
도 12b는 P2P TX 서브프레임들과 P2P RX 서브프레임들을 번들링함으로써 TX/RX 및 RX/TX 전환점들의 수를 줄이는 설계를 나타낸다. 도 12b에 도시된 예에서는, 업링크 스펙트럼에 대한 2개의 연속한 인터레이스 3과 인터레이스 4가 P2P 통신에 할당될 수 있다. UE는 인터레이스 3과 인터레이스 4의 2개의 연속한 서브프레임들에서 피어 UE에 전송한 다음, 인터레이스 3과 인터레이스 4에 대한 2개의 연속한 서브프레임들에서 피어 UE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식이다. P2P TX 서브프레임들과 P2P RX 서브프레임들을 번들링함으로써, 송신 갭들의 수가 1/2로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HARQ 송신 타임라인은 도 12a에 도시된 설계들에 비해 확장될 수 있다(예를 들어, 2배가 될 수 있다).
도 12c는 특별한 서브프레임들을 사용하여 TX/RX 및 RX/TX 전환점들에 대한 송신 갭들을 획득하는 설계를 나타낸다. 도 12c에 도시된 예에서는, 업링크 스펙트럼에 대한 2개의 인터레이스 2와 인터레이스 6이 P2P 통신에 할당될 수 있다. 인터레이스 3과 인터레이스 7은 특별한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WAN RX 타임라인(1232)은 UE가 다운링크 스펙트럼에 대한 모든 서브프레임들에서 eNB로부터 잠재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함을 보여준다. WAN TX 타임라인(1234)은 UE가 인터레이스 0, 인터레이스 1, 인터레이스 4 및 인터레이스 5의 서브프레임들에서 그리고 또한 인터레이스 3과 인터레이스 7의 특별한 서브프레임들의 업링크 부분에서 잠재적으로 eNB로 데이터를 전송함을 보여준다.
P2P 타임라인(1236)은 UE가 자신의 P2P 타이밍을 자신의 WAN TX 타이밍에 대해 Delta1만큼 지연시킨 것을 보여준다. UE는 잠재적으로 업링크 스펙트럼에 대한 일부 서브프레임들에서 피어 UE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업링크 스펙트럼에 대한 다른 서브프레임들에서 피어 UE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P2P 타이밍을 WAN TX 타이밍에 대해 Delta1만큼 지연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5와 서브프레임 6에서) WAN TX와 P2P RX 사이에 Delta1의 송신 갭이 획득될 수 있다. 특별한 서브프레임에 갭을 갖고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7에서) WAN TX와 P2P RX 사이에 Delta2의 송신 갭이 획득될 수 있으며, 여기서 Delta2 = Tgap - Delta1이다.
도 11 내지 도 12c는 TDD 전개 및 FDD 전개에서의 동시 WAN 통신 및 P2P 통신을 위해 TX/RX 및 RX/TX 전환점들에서 송신 갭들을 획득하는 다양한 설계들을 나타낸다. 송신 갭들은 또한 다른 방식들로 획득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WAN 통신에 사용되는 물리 채널들 및 신호들이 P2P 통신에 재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2P 다운링크 및/또는 P2P 업링크는 물리적 제어 포맷 표시자 채널(PCFICH: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물리적 HARQ 표시자 채널(PHICH: 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셀 특정 기준 신호(CRS: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UE 특정 기준 신호(UE-RS: UE-specific reference signal), 및/또는 LTE에서 다운링크에 사용되는 다른 물리 채널들과 신호들을 사용할 수 있다. P2P 업링크 및/또는 P2P 다운링크는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SRS, 및/또는 LTE에서 업링크에 사용되는 다른 물리 채널들과 신호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물리 채널들과 신호들은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이라는 제목의 3GPP TS 36.211에 기술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다양한 이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첫째, WAN 물리 채널들과 신호들을 P2P 통신에 재사용함으로써, P2P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UE들의 복잡도가 비교적 낮을 수 있다. 둘째, P2P 통신에 WAN 프레임 구조 및 타임라인을 사용함으로써,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WAN 통신과 P2P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셋째, 이 기술들은 FDD 전개와 TDD 전개 모두에서 P2P 통신을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넷째, 이 기술들은 WAN 통신에 사용되는 스펙트럼(예를 들어, FDD 전개에서의 업링크 스펙트럼)이나 P2P를 위한 전용 스펙트럼, 또는 무허가 스펙트럼을 통한 P2P 통신을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섯째, 이 기술들은 서로 다른 시스템들 내의 UE들이 직접 P2P 통신할 수 있도록 P2P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다른 통신 시스템들(예를 들어, Wi-Fi)에 의해 채택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또한 다른 이점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3은 WAN 통신 및 P2P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세스(1300)의 설계를 나타낸다. 프로세스(1300)는 (뒤에 설명되는 것과 같이) 제 1 UE에 의해 또는 다른 어떤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 1 UE는 WAN 통신을 위해 다운링크 스펙트럼과 업링크 스펙트럼 모두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블록(1312)). 블록(1312)에서, 제 1 UE는 다운링크 스펙트럼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UE는 P2P 통신을 위해서는 업링크 스펙트럼만을 통해 제 2 UE와 통신할 수 있다(블록(1314)). 블록(1314)에서, 제 1 UE는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해 제 2 UE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제 2 UE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 설계에서, WAN 통신 및 P2P 통신은 업링크 스펙트럼 상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화될 수 있다. 이 설계에서, 제 1 UE는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 블록(1312)에서는 업링크 스펙트럼의 제 1 부분을 통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ⅱ) 블록(1314)에서는 업링크 스펙트럼의 제 2 부분을 통해 제 2 UE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설계에서, WAN 통신 및 P2P 통신은 업링크 스펙트럼 상에서 시분할 다중화될 수 있다. 이 설계에서, 제 1 UE는 예를 들어, 도 6b 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 블록(1312)에서는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ⅱ) 블록(1314)에서는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해 제 2 UE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4는 P2P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세스(1400)의 설계를 나타낸다. 프로세스(1400)는 (뒤에 설명되는 것과 같이) 제 1 UE에 의해 또는 다른 어떤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 1 UE는 P2P 통신을 위해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지정된 스펙트럼을 통해 제 2 UE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블록(1412)). 제 1 UE는 P2P 통신을 위해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지정된 스펙트럼을 통해 제 2 UE에 의해 제 1 UE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블록(1414)). 제 1 서브프레임은 제 2 서브프레임과 시분할 다중화될 수 있다.
한 설계에서, 제 1 서브프레임 및 제 2 서브프레임은 TDD를 이용하는 기지국에 대한 2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 설계에서, 지정된 스펙트럼은 다운링크와 업링크 모두에 사용되는 스펙트럼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설계에서, 제 1 서브프레임 및 제 2 서브프레임은 FDD를 이용하는 기지국에 대한 업링크 스펙트럼의 2개의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이 설계에서, 지정된 스펙트럼은 업링크 스펙트럼에 대응할 수 있다.
한 설계에서, 제 1 UE는 WAN 통신을 위해 제 3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WAN 통신 및 P2P 통신은 시분할 다중화될 수 있으며, 제 3 서브프레임이 제 1 서브프레임 및 제 2 서브프레임과 시분할 다중화될 수 있다.
도 15는 WAN 통신 및 P2P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세스(1500)의 설계를 나타낸다. 프로세스(1500)는 (뒤에 설명되는 것과 같이) 제 1 UE에 의해 또는 다른 어떤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 1 UE는 WAN 통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서브프레임에서 기지국과 통신(예를 들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리고/또는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블록(1512)). 제 1 UE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제 2 UE와 통신할 수 있는데,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서브프레임과 시분할 다중화될 수 있다(블록(1514)). 한 설계에서, 제 1 UE는 기지국 및 제 2 UE와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한 설계에서, 기지국은 FDD를 이용할 수 있고 다운링크 스펙트럼 및 업링크 스펙트럼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서브프레임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은 업링크 스펙트럼에 대한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설계에서, 기지국은 TDD를 이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은 기지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6은 P2P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세스(1600)의 설계를 나타낸다. 프로세스(1600)는 (뒤에 설명되는 것과 같이) 제 1 UE에 의해 또는 다른 어떤 엔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 1 UE는 WAN 통신을 위해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제 1 데이터 송신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블록(1612)). 제 1 UE는 P2P 통신을 위해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제 2 UE에 의해 제 1 UE로 전송된 제 2 데이터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블록(1614)). 제 2 데이터 송신은 제 1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제 1 송신 갭만큼 떨어져 WAN TX와 P2P RX를 구분할 수 있다.
제 1 송신 갭은 다양한 방식들로 획득될 수 있다. 한 설계에서, 전송될 제 2 데이터 송신을 (ⅰ) 제 1 데이터 송신보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더 뒤에 또는 (ⅱ) 서브프레임의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갭을 포함하는 특별한 서브프레임에 스케줄링함으로써 제 1 송신 갭이 획득될 수 있다. (ⅰ)의 경우는 도 11의 타임라인(1116)에서 서브프레임 8에서의 WAN TX 및 다음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 2에서의 P2P RX로 도시될 수 있다. 다른 설계에서, 제 1 UE는 예를 들어, 도 11의 타임라인(1118)에서 서브프레임 7에서의 WAN TX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송신 갭을 획득하기 위해 제 1 데이터 송신의 마지막 부분을 삭제할 수 있다. 제 1 UE는 제 1 UE에 대한 SRS 구성을 기초로 제 1 데이터 송신의 마지막 심벌 기간을 삭제할 수 있다. 또 다른 설계에서, 제 1 UE는 예를 들어, 도 11의 타임라인(1120)에서 서브프레임 7에서의 WAN TX 및 서브프레임 8에서의 P2P RX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송신 갭을 획득하기 위해 WAN 통신을 위한 자신의 전송 타이밍에 대해 P2P 통신을 위한 자신의 송신 타이밍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설계에서, 제 1 UE는 WAN 통신을 위한 자신의 전송 타이밍에 대해 P2P 통신을 위한 자신의 전송 타이밍을 앞서게 할 수 있다. 제 1 UE는 예를 들어, 도 12a의 타임라인들(1214, 1216)에서 서브프레임 6에서의 WAN TX 및 서브프레임 7에서의 P2P RX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데이터 송신의 마지막 부분을 삭제함으로써 제 1 송신 갭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설계에서는, 예를 들어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의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갭을 포함하는 특별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제 1 또는 제 2 데이터 송신에 의해 제 1 송신 갭이 획득될 수도 있다. 제 1 송신 갭은 또한 예를 들어, 표 1과 표 2에 기재되고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른 방식들로 획득될 수도 있다.
한 설계에서, 제 1 UE는 P2P 통신을 위해 제 3 서브프레임에서 제 2 UE에 의해 제 1 UE로 전송된 제 3 데이터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블록(1616)). 제 1 UE는 WAN 통신을 위해 제 4 서브프레임에서 제 4 데이터 송신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블록(1618)). 제 4 데이터 송신은 제 3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제 2 송신 갭만큼 떨어져 P2P RX와 WAN TX를 구분할 수 있다. 제 2 송신 갭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들로 획득될 수 있다.
한 설계에서, 제 1 UE는 예를 들어, 도 11의 타임라인(1114)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WAN 통신을 위한 자신의 수신 타이밍에 대해 WAN 통신을 위한 자신의 전송 타이밍을 앞서게 할 수 있다. 이는 제 1 UE에 대한 WAN TX와 WAN RX 사이에 송신 갭을 제공할 수 있다. WAN RX와 WAN TX 사이의 송신 갭은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별한 서브프레임의 사용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도 17a는 도 1의 UE들 중 하나일 수 있는 UE(120x)의 설계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UE(120x) 내에서, 수신기(1712)는 P2P 통신을 위해 다른 UE들에 의해 전송된 P2P 신호들 및 WAN 통신을 위해 eNB에 의해 전송된 다운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송신기(1714)는 P2P 통신을 위해 다른 UE들로 P2P 신호들을 그리고 WAN 통신을 위해 eNB로 업링크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모듈(1716)은 P2P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P2P 통신에 사용되는 신호들을 생성 및 처리할 수 있다. 모듈(1718)은 WAN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WAN 통신에 사용되는 신호들을 생성 및 처리할 수 있다. 모듈(1720)은 P2P 통신에 할당되는 서브프레임들, P2P 다운링크에 사용되는 서브프레임들, 및 P2P 업링크에 사용되는 서브프레임들을 결정할 수 있다. 모듈(1722)은 WAN 통신에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들을 결정할 수 있다. 모듈(1724)은 UE(120x)의 P2P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 P2P 타이밍은 WAN TX 타이밍에 대해 정렬, 전진 또는 지연될 수 있다. 모듈(1726)은 UE(120x)의 WAN TX 타이밍 및 WAN RX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UE(120x) 내의 다양한 모듈들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1728)는 UE(120x) 내의 다양한 모듈들의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메모리(1730)는 UE(120x)에 대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7b는 도 1의 eNB들 중 하나일 수 있는 eNB(110x)의 설계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eNB(110x) 내에서, 수신기(1752)는 WAN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UE들에 의해 전송된 업링크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송신기(1754)는 WAN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UE들로 다운링크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모듈(1756)은 UE들에 대한 WAN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WAN 통신에 사용되는 신호들을 생성 및 처리할 수 있다. 모듈(1758)은 백홀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예를 들어, eNB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모듈(1760)은 WAN 통신에 이용 가능한 서브프레임들을 결정할 수 있다. 모듈(1762)은 P2P 통신에 서브프레임들을 할당할 수 있다. 모듈(1764)은 eNB(110x)의 WAN TX 타이밍 및 WAN RX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eNB(110x) 내의 다양한 모듈들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1768)는 eNB(110x) 내의 다양한 모듈들의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메모리(1770)는 eNB(110x)에 대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스케줄러(1766)는 WAN 통신 및/또는 P2P 통신을 위해 UE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고 스케줄링된 UE들에 자원들을 할당할 수 있다.
도 17a의 UE(120x) 및 도 17b의 eNB(110x) 내의 모듈들은 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하드웨어 디바이스들, 전자 컴포넌트들, 로직 회로들, 메모리들, 소프트웨어 코드들, 펌웨어 코드들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의 eNB들 중 하나 그리고 UE들 중 하나일 수 있는 eNB(110y)와 UE(120y)의 설계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eNB(110y)는 T개의 안테나들(1834a-1834t)을 구비할 수 있고, UE(120y)는 R개의 안테나들(1852a-1852r)을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일반적으로 T≥1 그리고 R≥1이다.
eNB(110y)에서, 송신 프로세서(1820)는 데이터 소스(1812)로부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UE들에 대한 데이터를 그리고 제어기/프로세서(1840)로부터 제어 정보(예를 들어, P2P 통신, WAN 통신 등을 지원하는 메시지들)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820)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처리(예를 들어, 인코딩 및 변조)하여 각각 데이터 심벌들 및 제어 심벌들을 얻을 수 있다. 프로세서(1820)는 또한 동기 신호들, 기준 신호들 등에 대한 기준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TX)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프로세서(1830)는 적용 가능하다면, 데이터 심벌들, 제어 심벌들 및/또는 기준 심벌들에 대한 공간 처리(예를 들어, 프리코딩)를 수행할 수 있고, T개의 변조기들(MOD들; 1832a-1832t)에 T개의 출력 심벌 스트림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1832)는 (예를 들어, OFDM 등을 위해) 각각의 출력 심벌 스트림을 처리하여 출력 샘플 스트림을 얻을 수 있다. 각각의 변조기(1832)는 출력 샘플 스트림을 추가 처리(예를 들어,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상향 변환)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변조기들(1832a-1832t)로부터의 T개의 다운링크 신호들은 T개의 안테나들(1834a-1834t)을 통해 각각 전송될 수 있다.
UE(120y)에서, 안테나들(1852a-1852r)은 eNB(110y) 및 다른 eNB들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들 및/또는 다른 UE들로부터의 P2P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 신호들을 복조기들(DEMOD들; 1854a-1854r)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1854)는 각각의 수신 신호를 조정(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하향 변환 및 디지털화)하여 입력 샘플들을 얻을 수 있다. 각각의 복조기(1854)는 (예를 들어, OFDM, SC-FDM 등에 대한) 입력 샘플들을 추가 처리하여 수신 심벌들을 얻을 수 있다. MIMO 검출기(1856)는 R개의 모든 복조기들(1854a-1854r)로부터 수신 심벌들을 획득하고, 적용 가능하다면 수신 심벌들에 대해 MIMO 검출을 수행하여, 검출된 심벌들을 제공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1858)는 검출된 심벌들을 처리(예를 들어, 복조 및 디코딩)하여, UE(120y)에 대한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186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1880)에 제공할 수 있다. 채널 프로세서(1884)는 P2P UE들로부터의 P2P 신호들 및 eNB들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884)는 검출된 P2P 신호들 및 다운링크 신호들의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고 검출된 P2P UE들 및 eNB들에 대한 채널 이득들을 결정할 수 있다.
업링크 상에서, UE(120y)에서는 송신 프로세서(1864)가 데이터 소스(1862)로부터의 데이터 및 제어기/프로세서(1880)로부터의 제어 정보(예를 들어, P2P 통신, WAN 통신 등에 대한 메시지들)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864)는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처리(예를 들어, 인코딩 및 변조)하여 각각 데이터 심벌들 및 제어 심벌들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864)는 또한 기준 신호, 근접도 검출 신호 등에 대한 심벌들을 생성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1864)로부터의 심벌들은 적용 가능하다면 TX MIMO 프로세서(1866)에 의해 프리코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SC-FDM, OFDM 등을 위해) 변조기들(1854a-1854r)에 의해 추가 처리되어 eNB(110y), 다른 eNB들 및/또는 다른 UE들로 전송될 수 있다. eNB(110y)에서, UE(120y) 및 다른 UE들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들은 안테나들(1834)에 의해 수신되고, 복조기들(1832)에 의해 처리되며, 적용 가능하다면 MIMO 검출기(1836)에 의해 검출되고, 수신 프로세서(1838)에 의해 추가 처리되어, UE(120y) 및 다른 UE들에 의해 전송된 디코딩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프로세서(1838)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싱크(1839)에 그리고 디코딩된 제어 정보를 제어기/프로세서(184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기들/프로세서들(1840, 1880)은 각각 eNB(110y) 및 UE(120y)에서의 동작을 지시할 수 있다. UE(120y)에서 프로세서(1840) 및/또는 다른 프로세서들과 모듈들은 도 13의 프로세스(1300), 도 14의 프로세스(1400), 도 15의 프로세스(1500), 도 16의 프로세스(1600), 및/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에 관한 다른 프로세스들을 수행 또는 지시할 수 있다. 메모리들(1842, 1882)은 각각 eNB(110y) 및 UE(120y)에 대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Comm) 유닛(1844)은 eNB(110y)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통신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스케줄러(1846)는 WAN 통신 및 P2P 통신을 위해 UE들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한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120x 및/또는 120y)는 WAN 통신을 위해 다운링크 스펙트럼과 업링크 스펙트럼 모두를 통해 제 1 UE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 및 P2P 통신을 위해 업링크 스펙트럼만을 통해 제 1 UE에 의해 제 2 UE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120x 및/또는 120y)는 P2P 통신을 위해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지정된 스펙트럼을 통해 제 1 UE로부터 제 2 UE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P2P 통신을 위해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지정된 스펙트럼을 통해 제 2 UE에 의해 제 1 UE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서브프레임은 제 2 서브프레임과 시분할 다중화(TDM)된다.
또 다른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120x 및/또는 120y)는 WAN 통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제 1 UE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제 1 UE에 의해 제 2 UE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 1 서브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과 시분할 다중화(TDM)된다.
또 다른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120x 및/또는 120y)는 WAN 통신을 위해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제 1 UE에 의해 기지국으로 제 1 데이터 송신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 P2P 통신을 위해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제 2 UE에 의해 제 1 UE로 전송된 제 2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P2P 통신을 위해 제 3 서브프레임에서 제 2 UE에 의해 제 1 UE로 전송된 제 3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WAN 통신을 위해 제 4 서브프레임에서 제 1 UE에 의해 기지국으로 제 4 데이터 송신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데이터 송신은 제 1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제 1 송신 갭만큼 떨어질 수 있다. 제 3 데이터 송신은 제 3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제 2 송신 갭만큼 떨어질 수 있다.
한 양상에서, 전술한 수단은 전술한 수단에 의해 언급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UE(120y)의 프로세서(들)(1858, 1864 및/또는 1880)일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전술한 수단은 전술한 수단에 의해 언급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모듈들 또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다른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지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벌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파들, 자기 필드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 필드들 또는 광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추가로, 본 명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상호 호환성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각종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좌우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설명된 기능을 특정 애플리케이션마다 다른 방식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된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예시적인 설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면, 이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될 수 있거나 이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전달(carry)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컴퓨터나 범용 또는 특수 목적용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꼬임 쌍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디스크(disk 및 disc)는 콤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 광 디스크(optical 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를 포함하며, 디스크(disk)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들은 데이터를 레이저들에 의해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상기 설명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임의의 자가 본 개시를 실시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 개시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이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일반 원리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변형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시들 및 설계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원리들 및 새로운 특징들에 부합하는 가장 넓은 범위에 따르는 것이다.

Claims (55)

  1.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통신을 위해 다운링크 스펙트럼과 업링크 스펙트럼 모두를 통해 제 1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계; 및
    피어 투 피어(P2P: peer-to-peer) 통신을 위해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만을 통해 상기 제 1 UE에 의해 제 2 UE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의 제 1 부분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UE와 통신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의 제 2 부분을 통해 상기 제 2 UE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계는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UE와 통신하는 단계는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해 상기 제 2 UE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4.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을 위해 다운링크 스펙트럼과 업링크 스펙트럼 모두를 통해 제 1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 및
    피어 투 피어(P2P) 통신을 위해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만을 통해 상기 제 1 UE에 의해 제 2 UE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의 제 1 부분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UE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의 제 2 부분을 통해 상기 제 2 UE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UE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은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해 상기 제 2 UE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7.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을 위해 다운링크 스펙트럼과 업링크 스펙트럼 모두를 통해 제 1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고, 그리고 피어 투 피어(P2P) 통신을 위해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만을 통해 상기 제 1 UE에 의해 제 2 UE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의 제 1 부분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리고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의 제 2 부분을 통해 상기 제 2 UE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리고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을 통해 상기 제 2 UE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0.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을 위해 다운링크 스펙트럼과 업링크 스펙트럼 모두를 통해 제 1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피어 투 피어(P2P) 통신을 위해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만을 통해 상기 제 1 UE에 의해 제 2 UE와 통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11.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피어 투 피어(P2P) 통신을 위해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지정된 스펙트럼을 통해 제 1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제 2 UE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P2P 통신을 위해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지정된 스펙트럼을 통해 상기 제 2 UE에 의해 상기 제 1 UE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 2 서브프레임과 시분할 다중화(TDM: time division multiplex)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 2 서브프레임은 시분할 듀플렉싱(TDD: time division duplexing)을 이용하는 기지국에 대한 2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 2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을 이용하며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 및 다운링크 스펙트럼 상에서 동작하는 기지국에 대한 업링크 스펙트럼의 2개의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을 위해 제 3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 1 UE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 2 서브프레임과 시분할 다중화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15.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피어 투 피어(P2P) 통신을 위해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지정된 스펙트럼을 통해 제 1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제 2 UE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P2P 통신을 위해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지정된 스펙트럼을 통해 상기 제 2 UE에 의해 상기 제 1 UE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 2 서브프레임과 시분할 다중화(TDM)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 2 서브프레임은 시분할 듀플렉싱(TDD)을 이용하는 기지국에 대한 2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 2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을 이용하며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 및 다운링크 스펙트럼 상에서 동작하는 기지국에 대한 업링크 스펙트럼의 2개의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8.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피어 투 피어(P2P) 통신을 위해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지정된 스펙트럼을 통해 제 1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제 2 UE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리고 P2P 통신을 위해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지정된 스펙트럼을 통해 상기 제 2 UE에 의해 상기 제 1 UE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 2 서브프레임과 시분할 다중화(TDM)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 2 서브프레임은 시분할 듀플렉싱(TDD)을 이용하는 기지국에 대한 2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 2 서브프레임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을 이용하며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 및 다운링크 스펙트럼 상에서 동작하는 기지국에 대한 업링크 스펙트럼의 2개의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1.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피어 투 피어(P2P) 통신을 위해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지정된 스펙트럼을 통해 제 1 사용자 장비(UE)로부터 제 2 UE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P2P 통신을 위해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지정된 스펙트럼을 통해 상기 제 2 UE에 의해 상기 제 1 UE로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서브프레임은 상기 제 2 서브프레임과 시분할 다중화(TDM)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22.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제 1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 1 UE에 의해 제 2 UE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서브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과 시분할 다중화(TDM)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을 이용하고 다운링크 스펙트럼 및 업링크 스펙트럼 상에서 동작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은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에 대한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시분할 듀플렉싱(TDD)을 이용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은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둘 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UE와 통신하는 단계는 동시에 일어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26.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제 1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 1 UE에 의해 제 2 UE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서브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과 시분할 다중화(TDM)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을 이용하고 다운링크 스펙트럼 및 업링크 스펙트럼 상에서 동작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은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에 대한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시분할 듀플렉싱(TDD)을 이용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은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둘 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의 통신과 상기 제 2 UE와의 통신은 동시에 일어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0.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제 1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 1 UE에 의해 제 2 UE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서브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과 시분할 다중화(TDM)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을 이용하고 다운링크 스펙트럼 및 업링크 스펙트럼 상에서 동작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은 상기 업링크 스펙트럼에 대한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시분할 듀플렉싱(TDD)을 이용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은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상기 기지국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서브프레임 둘 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제 2 UE와 동시에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34.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제 1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기지국과 통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 1 UE에 의해 제 2 UE와 통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서브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서브프레임과 시분할 다중화(TDM)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35.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을 위해 제 1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제 1 데이터 송신을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피어 투 피어(P2P) 통신을 위해 제 2 UE에 의해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 1 UE로 전송된 제 2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데이터 송신은 상기 제 1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송신 갭만큼 떨어진,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송신보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프레임 뒤에 전송되도록, 또는 서브프레임의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갭을 포함하는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도록 상기 제 2 데이터 송신을 스케줄링함으로써 상기 송신 갭이 획득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갭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 1 데이터 송신의 마지막 부분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송신의 마지막 부분을 삭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UE에 대한 사운딩 기준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구성을 기초로 상기 제 1 데이터 송신의 마지막 심벌 기간을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39. 제 35 항에 있어서,
    WAN 통신을 위한 상기 제 1 UE의 전송 타이밍에 대해 P2P 통신을 위한 상기 제 1 UE의 전송 타이밍을 지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40. 제 35 항에 있어서,
    WAN 통신을 위한 상기 제 1 UE의 전송 타이밍에 대해 P2P 통신을 위한 상기 제 1 UE의 전송 타이밍을 전진시키는(advance)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데이터 송신의 마지막 부분을 삭제함으로써 상기 송신 갭이 획득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42. 제 35 항에 있어서,
    서브프레임의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갭을 포함하는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되는 상기 제 1 데이터 송신 또는 상기 제 2 데이터 송신에 의해 상기 송신 갭이 획득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43. 제 35 항에 있어서,
    P2P 통신을 위해 상기 제 2 UE에 의해 제 3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 1 UE로 전송된 제 3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 및
    WAN 통신을 위해 상기 제 1 UE에 의해 제 4 서브프레임에서 제 4 데이터 송신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 데이터 송신은 상기 제 3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제 2 송신 갭만큼 떨어진,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44. 제 35 항에 있어서,
    WAN 통신을 위한 상기 제 1 UE의 수신 타이밍에 대해 WAN 통신을 위한 상기 제 1 UE의 전송 타이밍을 전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45.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을 위해 제 1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제 1 데이터 송신을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 및
    피어 투 피어(P2P) 통신을 위해 제 2 UE에 의해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 1 UE로 전송된 제 2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데이터 송신은 상기 제 1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송신 갭만큼 떨어진,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갭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 1 데이터 송신의 마지막 부분을 삭제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7. 제 45 항에 있어서,
    WAN 통신을 위한 상기 제 1 UE의 전송 타이밍에 대해 P2P 통신을 위한 상기 제 1 UE의 전송 타이밍을 지연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8. 제 45 항에 있어서,
    WAN 통신을 위한 상기 제 1 UE의 전송 타이밍에 대해 P2P 통신을 위한 상기 제 1 UE의 전송 타이밍을 전진시키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49. 제 45 항에 있어서,
    P2P 통신을 위해 상기 제 2 UE에 의해 제 3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 1 UE로 전송된 제 3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WAN 통신을 위해 상기 제 1 UE에 의해 제 4 서브프레임에서 제 4 데이터 송신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4 데이터 송신은 상기 제 3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제 2 송신 갭만큼 떨어진,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0.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을 위해 제 1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제 1 데이터 송신을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그리고 피어 투 피어(P2P) 통신을 위해 제 2 UE에 의해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 1 UE로 전송된 제 2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데이터 송신은 상기 제 1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송신 갭만큼 떨어진,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갭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 1 데이터 송신의 마지막 부분을 삭제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2.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WAN 통신을 위한 상기 제 1 UE의 전송 타이밍에 대해 P2P 통신을 위한 상기 제 1 UE의 전송 타이밍을 지연시키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3.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WAN 통신을 위한 상기 제 1 UE의 전송 타이밍에 대해 P2P 통신을 위한 상기 제 1 UE의 전송 타이밍을 전진시키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4.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P2P 통신을 위해 상기 제 2 UE에 의해 제 3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 1 UE로 전송된 제 3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고, 그리고 WAN 통신을 위해 상기 제 1 UE에 의해 제 4 서브프레임에서 제 4 데이터 송신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4 데이터 송신은 상기 제 3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제 2 송신 갭만큼 떨어진,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55.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을 위해 제 1 사용자 장비(UE)에 의해 제 1 서브프레임에서 제 1 데이터 송신을 기지국으로 전송하게 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피어 투 피어(P2P) 통신을 위해 제 2 UE에 의해 제 2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제 1 UE로 전송된 제 2 데이터 송신을 수신하게 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데이터 송신은 상기 제 1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송신 갭만큼 떨어진,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KR1020127029994A 2010-04-15 2011-04-15 피어 투 피어(p2p) 통신 및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의 다중화 KR101457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2461210P 2010-04-15 2010-04-15
US61/324,612 2010-04-15
US13/085,322 2011-04-12
US13/085,322 US8811359B2 (en) 2010-04-15 2011-04-12 Multiplexing of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and wide area network (WAN) communication
PCT/US2011/032681 WO2011130626A1 (en) 2010-04-15 2011-04-15 Multiplexing of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and wide area network (wan) 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426A true KR20130019426A (ko) 2013-02-26
KR101457454B1 KR101457454B1 (ko) 2014-11-03

Family

ID=4478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994A KR101457454B1 (ko) 2010-04-15 2011-04-15 피어 투 피어(p2p) 통신 및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의 다중화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811359B2 (ko)
EP (1) EP2559307B1 (ko)
JP (4) JP5852098B2 (ko)
KR (1) KR101457454B1 (ko)
CN (1) CN102845118B (ko)
BR (1) BR112012025951B1 (ko)
DK (1) DK2559307T3 (ko)
ES (1) ES2902973T3 (ko)
HU (1) HUE057303T2 (ko)
PL (1) PL2559307T3 (ko)
SI (1) SI2559307T1 (ko)
TW (1) TWI444057B (ko)
WO (1) WO201113062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8075A1 (ko) * 2014-07-29 2016-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572048B2 (en) 2013-08-08 2017-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D2D)
KR20170028926A (ko) * 2014-07-11 2017-03-1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피어-투-피어(p2p) 통신 및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의 멀티플렉싱
US9722839B2 (en) 2013-05-21 2017-08-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in mixed cellular and D2D networ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4240B2 (en) 2010-04-15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of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and wide area network (WAN) communication
KR20240037368A (ko) * 2010-12-06 2024-03-2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허가 면제 스펙트럼에서의 무선 동작을 가능케 하는 방법
US8670357B2 (en) * 2011-01-19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eer to peer communications
CN102307060B (zh) * 2011-08-31 2015-08-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传输数据的方法和设备
US9137655B2 (en) * 2011-10-07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eer to peer communications
US20150057006A1 (en) * 2011-11-08 2015-02-26 Chunyan Gao Method and Apparatus for D2D Transmission
DE102011090110A1 (de) * 2011-12-29 2013-07-04 Robert Bosch Gmbh Kommunikationssystem mit Steuerung des Zugriffs auf ein gemeinsames Kommunikationsmedium
WO2013125842A1 (ko) * 2012-02-21 201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수신확인응답 전송 방법 및 장치
US9019921B2 (en) * 2012-02-22 2015-04-2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wireless devi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298113B (zh) 2012-02-23 2016-08-10 华为技术有限公司 端到端d2d通信方法和d2d通信设备
US9763272B2 (en) * 2012-02-27 2017-09-12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ime resource allocation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overlaid on a cellular network
US9209945B2 (en) 2012-02-27 2015-12-0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timing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overlaid on a cellular network
US9769857B2 (en) 2012-02-27 2017-09-19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network resources
US8848591B2 (en) * 2012-02-27 2014-09-3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 acknowledgment feedback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overlaid on a cellular network
US9185690B2 (en) * 2012-02-29 2015-11-10 Sharp Kabushiki Kaisha Allocating and determining resources for a device-to-device link
US9125183B2 (en) 2012-03-01 2015-09-01 Futurewei Technologies, Inc. Compact transceiver architecture for achieving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using uplink and downlink carrier frequencies
US9883496B2 (en) 2012-03-06 2018-01-3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or device to device (D2D)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3368713B (zh) * 2012-03-26 2017-03-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设备到设备的通信方法及装置
US9585176B2 (en) * 2012-04-17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opportunistic scheduling of peer to peer links in wide area network
US9485794B2 (en) * 2012-05-23 2016-11-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to support IMS based services
EP3396995B1 (en) 2012-06-27 2020-07-08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CN104380778B (zh) * 2012-06-27 2018-10-09 索尼公司 通信控制装置、通信控制方法以及通信装置
CN103546254B (zh) 2012-07-09 2017-09-15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执行混合式自动重送请求的方法及其基站与移动装置
EP2883330A4 (en) * 2012-08-09 2016-04-13 Qualcomm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VICE DEVICE COMMUNICATIONS
US9398630B2 (en) * 2012-08-10 2016-07-19 Alcatel Lucent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and schedul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9402261B2 (en) * 2012-08-14 2016-07-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uplink data signals simultaneously with device to device data signals
US9730082B2 (en) * 2012-08-24 2017-08-08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to relay packets via Wi-Fi direct
EP2903377B1 (en) * 2012-09-26 2017-08-02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124377B2 (en) * 2012-11-07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in LTE time division duplex (TDD) system
CN103857042B (zh) * 2012-12-04 2017-08-25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在对称频谱上传输tdd帧的方法
DK3478014T3 (da) 2012-12-13 2021-08-30 Ericsson Telefon Ab L M Design af fysisk kanal til netværksunderstøttet d2d
US9872290B2 (en) * 2012-12-14 2018-01-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erminal cooperation based on sparse multi-dimensional spreading
MX344867B (es) * 2012-12-14 2017-01-11 Ericsson Telefon Ab L M Un nodo de red, un dispositivo inalámbrico y métodos en los mismos para habilitar y realizar transmisiones harq en una comunicación de d2d entre dispositivos inalámbricos en una red de telecomunicaciones inalámbrica.
US9185697B2 (en) * 2012-12-27 2015-11-1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WO2014112802A1 (ko) 2013-01-16 2014-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간 통신 수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3974419B (zh) * 2013-01-29 2018-06-26 华为技术有限公司 降低干扰的方法和设备
US9451629B2 (en) 2013-02-26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for the coexistence of peer discovery and legacy LTE traffic
US9628212B2 (en) * 2013-03-14 2017-04-18 Fujitsu Limited Signal timing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9306721B2 (en) * 2013-03-15 2016-04-0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10499277B2 (en) 2013-04-10 2019-12-03 Sony Corporation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CN104125039B (zh) 2013-04-28 2017-11-1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确定传输链路的类型的方法、系统及设备
HUE044270T2 (hu) 2013-05-08 2019-10-28 Ericsson Telefon Ab L M A hálózati kommunikációs kapcsolatok és a D2D kommunikációs kapcsolatok ütemezési politikájának jobb kiválasztása
WO2014180517A1 (en) * 2013-05-08 2014-11-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mproved handling of simultaneous network communication transmission and d2d communication reception or simultaneous network communication reception and d2d communication transmission
DK2995155T3 (da) 2013-05-08 2019-05-27 Ericsson Telefon Ab L M Forbedret håndtering af samtidig netværkskommunikationstransmission og d2d-kommunikationstransmission
US9112685B2 (en) * 2013-05-10 2015-08-18 Blackberry Limited Mechanisms for direct inter-device signaling
CN105247799B (zh) * 2013-05-21 2018-06-1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混合蜂窝和d2d网络中的通信方法和用户设备
JP6108980B2 (ja) 2013-06-27 2017-04-05 京セラ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ユーザ端末
KR20150007220A (ko) * 2013-07-09 2015-01-20 (주)휴맥스 홀딩스 Lte d2d 통신에서의 주파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7218A (ko) * 2013-07-09 2015-01-20 (주)휴맥스 홀딩스 Lte d2d 통신에서의 하향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7222A (ko) * 2013-07-09 2015-01-20 (주)휴맥스 홀딩스 Lte d2d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7221A (ko) * 2013-07-09 2015-01-20 (주)휴맥스 홀딩스 Lte 셀룰러 커버리지 내의 d2d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07219A (ko) * 2013-07-09 2015-01-20 (주)휴맥스 홀딩스 Lte d2d 통신에서의 방송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9325480B2 (en) 2013-07-10 2016-04-2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s and device for perform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KR20150007753A (ko) * 2013-07-12 201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간 단말의 단말 대 단말 발견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9591681B2 (en) 2013-07-24 2017-03-07 Htc Corporation Method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for configuring timing resource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US9608710B2 (en) * 2013-08-08 2017-03-28 Intel IP Corporation Technique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CN104581834A (zh) * 2013-10-16 2015-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协同处理无线数据的方法、相应装置及系统
JP6183148B2 (ja) * 2013-10-24 2017-08-23 富士通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通信制御方法
US10687218B2 (en) 2013-12-03 2020-06-1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metric optimization and uplink DM-RS design for LTE/LTE-A uplink transmissions in unlicensed spectrum
JP6381152B2 (ja) * 2014-01-28 2018-08-29 華為終端(東莞)有限公司 リソース割振り方法およびユーザ機器
US9491725B2 (en) * 2014-01-30 2016-11-08 Intel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over an LTE air interface
US9838863B2 (en) 2014-03-12 2017-12-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N106797551A (zh) * 2014-03-12 2017-05-31 瑞典爱立信有限公司 蜂窝通信系统中的装置到装置通信
US20150264552A1 (en) * 2014-03-14 2015-09-17 Gang Xiong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evice-to-device discovery and communication
CN106165481B (zh) * 2014-04-02 2020-01-03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收发信号的方法及其设备
US10542548B2 (en) * 2014-04-29 2020-01-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ceiving device-to-devi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and apparatus therefor
CN106256160B (zh) 2014-04-30 2019-12-24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和接收设备到设备通信的信号的方法及其装置
US9775151B2 (en) * 2014-07-21 2017-09-26 Intel IP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DD communications
JP6458385B2 (ja) 2014-07-29 2019-01-30 ソニー株式会社 装置及び方法
EP3179801B1 (en) * 2014-08-05 2020-10-28 Sharp Kabushiki Kaisha Interference mitigation betwee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cellular communication
EP2983440A1 (en) * 2014-08-07 2016-02-10 Alcatel Lucent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KR102289116B1 (ko) 2014-08-08 2021-08-12 주식회사 아이티엘 단말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787742B2 (en) * 2014-09-29 2017-10-10 Intel Corporation Optimizing synchronization of audio and network tasks in voice over packet switched networks
US20170339679A1 (en) 2014-10-21 2017-11-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2d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2287370B1 (ko) * 2014-12-23 2021-08-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 및 그것의 자원 할당 방법
US9883485B2 (en) * 2015-01-08 2018-01-30 Qualcomm Incorporated 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on enhanced component carriers
US10314094B2 (en) 2015-02-26 2019-06-04 Nec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CN104780034A (zh) * 2015-04-01 2015-07-1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数据传输的方法及系统
WO2018124776A1 (ko) * 2016-12-29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276881B2 (ja) * 2017-03-07 2018-02-07 京セラ株式会社 ユーザ端末及びプロセッサ
JP6527933B2 (ja) * 2017-12-26 2019-06-12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ネットワーク支援型d2dのための物理チャネル設計
JP2018088690A (ja) * 2018-01-12 2018-06-07 京セラ株式会社 ユーザ端末及びプロセッサ
US10972229B2 (en) * 2019-05-03 2021-04-06 Qualcomm Incorporated HARQ feedback for sidelink communication
US11722971B2 (en) * 2020-03-27 2023-08-0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determining sidelink resources for multip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s enabled user equipment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5087B1 (en) * 1999-09-20 2005-01-18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Wideband wireless communications architecture
JP2003078957A (ja) * 2001-08-31 2003-03-14 Nec Corp 複合情報端末、移動通信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
EP1320271B1 (de) * 2001-12-04 2004-02-25 Alcatel Basisstation für UMTS zur Übertragung von Zeitschlitztypen
JP3912118B2 (ja) * 2002-01-21 2007-05-09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および制御局
CN1549474A (zh) 2003-05-19 2004-11-24 �ʼҷ����ֵ��ӹɷ����޹�˾ 在tdd cdma通信体系中支持p2p通信的方法和装置
US7548758B2 (en) 2004-04-02 2009-06-16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eer-to-peer communication in cellular systems
CN101513114A (zh) * 2006-06-30 2009-08-19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本地设备间高速本地连接的系统和方法
US8923267B2 (en) * 2006-06-30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high speed peer-to-peer connectivity between wireless devices
US7760694B2 (en) * 2006-07-19 2010-07-20 Intel Corporation Deviating from a transmission map to communicate in a wireless network
US20080165881A1 (en) * 2007-01-08 2008-07-10 Zhifeng Tao Method for Accessing Channels in OFDMA Mobile Multihop Relay Networks
KR101498968B1 (ko) 2007-07-05 2015-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피어 투 피어 통신을 위한 자원 결정 방법및 장치
US9264907B2 (en) 2007-07-10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management between networks sharing a frequency spectrum
US7876701B2 (en) 2007-07-10 2011-01-25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channel design to support one-to-one, many-to-one, and one-to-many peer-to-peer communications
KR101046697B1 (ko) * 2007-08-03 2011-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중계기를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피어투피어통신을 위한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
CN101472169B (zh) * 2007-12-29 2012-04-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为媒体流内嵌于控制流传输提供支持的方法、装置
WO2010026287A1 (en) 2008-09-08 2010-03-11 Nokia Corporation Adaptive transmission modes for transparent relay
US9294219B2 (en) * 2008-09-30 2016-03-2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upporting relay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2839B2 (en) 2013-05-21 2017-08-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in mixed cellular and D2D network
US9572048B2 (en) 2013-08-08 2017-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D2D)
KR20170028926A (ko) * 2014-07-11 2017-03-1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피어-투-피어(p2p) 통신 및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의 멀티플렉싱
WO2016018075A1 (ko) * 2014-07-29 2016-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187903B2 (en) 2014-07-29 2019-01-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signal for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25951B1 (pt) 2021-09-28
JP5852098B2 (ja) 2016-02-03
US8811359B2 (en) 2014-08-19
CN102845118B (zh) 2016-03-16
JP2016015731A (ja) 2016-01-28
CN102845118A (zh) 2012-12-26
JP2016187179A (ja) 2016-10-27
TW201204072A (en) 2012-01-16
EP2559307A1 (en) 2013-02-20
WO2011130626A1 (en) 2011-10-20
HUE057303T2 (hu) 2022-05-28
BR112012025951A2 (pt) 2016-06-28
JP2014212541A (ja) 2014-11-13
SI2559307T1 (sl) 2022-02-28
TWI444057B (zh) 2014-07-01
ES2902973T3 (es) 2022-03-30
JP6426062B2 (ja) 2018-11-21
PL2559307T3 (pl) 2022-02-21
US20110255450A1 (en) 2011-10-20
JP2013530570A (ja) 2013-07-25
DK2559307T3 (da) 2022-01-17
EP2559307B1 (en) 2021-12-15
KR101457454B1 (ko) 201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454B1 (ko) 피어 투 피어(p2p) 통신 및 광역 네트워크(wan) 통신의 다중화
JP5944548B2 (ja) サブフレーム依存の物理アップリンク制御チャネル(pucch)領域の設計
KR101432186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비동기 시분할 듀플렉스 동작
US9313782B2 (en) Enhanced PDSCH operation
US8953507B2 (en) Frequency and time domain range expansion
US9031010B2 (en) Separate resource partitioning management for uplink control and uplink data signals
JP6239638B2 (ja) 中継バックホールのための制御チャネル管理
JP2014180037A (ja) 物理ダウンリンク共有チャネル(pdsch)保護
KR20130043115A (ko) 간섭 시나리오들에서 업링크 커버리지를 강화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20130020670A (ko) Tdd에서의 효율적인 자원 활용
US201401208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new carrier type in wirelss communication systems
JP7100675B2 (ja) ピアツーピア(p2p)通信およびワイドエリアネットワーク(wan)通信の多重化
CN111357215A (zh) 参考信号传输期间的波束确定
US9084240B2 (en) Multiplexing of peer-to-peer (P2P) communication and wide area network (WAN) communication
US20210235299A1 (en) Indication of single or dual receive beams in group-based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