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858A -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858A
KR20130017858A KR1020110080541A KR20110080541A KR20130017858A KR 20130017858 A KR20130017858 A KR 20130017858A KR 1020110080541 A KR1020110080541 A KR 1020110080541A KR 20110080541 A KR20110080541 A KR 20110080541A KR 20130017858 A KR20130017858 A KR 20130017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abric
felt fiber
felt
drum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0923B1 (ko
Inventor
이호준
모상순
Original Assignee
(주)헤드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헤드라인 filed Critical (주)헤드라인
Priority to KR1020110080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9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용 건조기의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모, 면, 마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천연섬유 30 ~ 70중량% :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수지섬유 30 ~ 70중량%의 혼합비율을 갖는 펠트섬유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펠트섬유 원단의 일측 표면을 열처리하며 압축한 후 가스켓 패드를 제조하기 위한 폭을 갖도록 길이방향으로 재단하는 하는 단계; 상기 재단된 펠트섬유 원단의 열처리 된 표면 일측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밴드보호부재가 접착된 신축밴드를 재봉하는 단계; 상기 신축밴드가 재봉된 펠트섬유 원단의 표면 타측 가장자리를 열처리 되지 않은 이면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접어 중첩시킨 후 재봉하는 단계; 상기 타측 가장자리를 접어 재봉된 펠트섬유 원단을 드럼의 외경 길이와 준하는 길이를 갖도록 재단하는 단계; 상기 재단된 펠트섬유 원단의 양끝단을 상호 맞대기 접촉시킨 후 그 접촉된 양끝단을 상호 재봉하여 일체화시키는 단계; 상기 양끝단이 재봉된 펠트섬유 원단의 신축밴드가 재봉된 가장자리를 열처리 되지 않은 이면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접어 중첩시킨 후 재봉하되, 그 재봉 선에서부터 접은 가장자리 단부까지를 드럼의 외경을 감싸는 연장부로 형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Gasket pad for drum sealing}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용 건조기의 드럼 양단부에 설치되어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하여 드럼에 열풍을 공급할 때에 그 공급되는 열풍의 누기를 방지함은 물론, 내열성과 내마모성 및 정전기방지와 신축성을 갖도록 하는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는 그 내부에 드럼이 설치되게 되고, 그 드럼의 내부에는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열풍이 공급되어 상기 세탁물을 건조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드럼으로 공급되는 열풍이 외부로 누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드럼의 양단부에 실링용 가스켓 패드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세탁물 건조기는 세탁이 완료된 젖은 상태의 세탁물을 자동으로 건조시켜 주는 기기로서, 건조기 본체의 내부에 회동가능한 드럼과, 그 드럼을 회동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드럼의 앞쪽과 뒤쪽을 막아 건조공간을 형성하고 드럼의 선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프론트서포터 및 리어서포터와, 고온 건조한 열풍을 만드는 히터가 구비되어 세탁을 자동으로 건조시킨다.
상술된 구조를 갖는 세탁물 건조기의 프론트서포터와 드럼 및 리어서포터와 드럼 사이에는 열풍의 누기를 방지하기 위한 펠트(felt) 소재의 가스켓 패드가 설치된다.
이러한 가스켓 패드는 드럼의 선단과 후단의 외주 연을 감싼 채로 접착제로 접착되어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가스켓 패드가 열풍에 장시간 영향을 받으면 드럼에서 분리되거나 신축성이 상실되어 실링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60460호의 "건조기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설비"를 특허출원하여 등록받았고, 상기와 같은 기술 외에도 타인이 특허출원한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037382호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이로 제조된 드럼세탁기용 가스켓" 등이 제공되어 있으나, 이들은 모두 가스켓 패드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열변형 되거나 그로 인한 실링력의 저하로 일정주기마다 가스켓 패드를 교환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드럼의 선/후단을 감싸며 실링하는 가스켓 패드의 내마모성 및 내열성과 정전기방지 및 신축성을 부여하여 드럼의 실링 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은 모, 면, 마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천연섬유 30 ~ 70중량% :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수지섬유 30 ~ 70중량%의 혼합비율을 갖는 펠트섬유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펠트섬유 원단의 일측 표면을 열처리하며 압축한 후 가스켓 패드를 제조하기 위한 폭을 갖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재단하는 하는 단계; 상기 재단된 펠트섬유 원단의 열처리 된 표면 일측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밴드보호부재가 접착된 신축밴드를 재봉하는 단계; 상기 신축밴드가 재봉된 펠트섬유 원단의 표면 타측 가장자리를 열처리 되지 않은 이면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접어 중첩시킨 후 재봉하는 단계; 상기 타측 가장자리를 접어 재봉된 펠트섬유 원단을 드럼의 외경 길이와 준하는 길이를 갖도록 재단하는 단계; 상기 재단된 펠트섬유 원단의 양끝단을 상호 맞대기 접촉시킨 후 그 접촉된 양끝단을 상호 재봉하여 일체화시키는 단계; 상기 양끝단이 재봉된 펠트섬유 원단의 신축밴드가 재봉된 가장자리를 열처리 되지 않은 이면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접어 중첩시킨 후 재봉하되, 그 재봉 선에서부터 접은 가장자리 단부까지를 드럼의 외경을 감싸는 연장부로 형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펠트섬유 원단 제조는, 각각의 천연섬유와 수지섬유를 성형기를 이용하여 솜 형태로 분사 적층하여 천연섬유원단 층과 수지섬유원단 층을 마련하고, 그 각 섬유원단 층을 중첩시킨 후 상기 천연섬유와 수지섬유가 골고루 뒤엉키며 혼합되게 니들펀치기로 니들펀칭하여 펠트섬유 원단을 형성시키는 것이고, 상기 제조된 펠트섬유 원단의 일측 표면 열처리는, 200℃~300℃로 가열되는 가열 롤과 그 가열 롤의 상부에 가압 롤을 설치하여 된 열처리장치의 상기 가열 롤과 가압 롤의 사이로 펠트섬유 원단을 통과시키며 압축 열처리하는 것이다.
또 상기 맞대기 접촉된 펠트섬유 원단의 양끝단 재봉은, 상기 가장자리를 접어 재봉한 재봉 선의 연이어지는 방향으로 수회 반복하여 재봉하고, 그 후 맞대기 접촉 선을 따라 지그재그 방향으로 재봉하고, 상기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를 제조하기 위한 각 단계 중 어느 한 단계 후에 금속 편이 펠트섬유 원단 내에 들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금속탐지장치를 통과시키는 단계가 더 추가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은 첫째, 펠트섬유 원단을 천연섬유와 수지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정전기방지와 내마모성 및 내열성 그리고 신축성을 부여함으로써 가스켓 패드의 사용수명 연장은 물론, 드럼의 기밀성을 향상시켰고, 둘째, 펠트섬유 원단의 일 측에 신축밴드보호부재가 접착된 신축밴드를 재봉함으로써 가스켓 패드의 견고성을 향상시켰으며, 셋째, 천연섬유와 수지섬유를 중첩시킨 후 니들펀칭하고 열처리함으로써 천연섬유와 수지섬유의 뒤엉킴(혼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그 뒤엉킨 천연섬유와 수지섬유 안정적인 유지와 보푸라기 발생을 방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넷째, 가스켓 패드의 제조공정을 효율화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를 제조하기 위한 펠트섬유 원단을 중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중첩된 펠트섬유 원단을 니드펀칭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니드펀칭된 펠트섬유 원단을 열처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니드펀칭 된 펠트섬유 원단을 가스켓 패드를 제조하기 위한 폭을 갖도록 재단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재단된 펠트섬유의 일측 가장자리에 신축부재를 재봉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6의 펠트섬유 일 측을 접고 재봉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펠트섬유 양단부를 상호 재봉하여 일체화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8의 펠트섬유 타측 가장자리를 접고 재봉한 상태를 나타낸 일 요부 단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를 드럼에 적용시킨 상태의 사시도.
본 발명의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 면, 마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천연섬유 30 ~ 70중량% :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수지섬유 30 ~ 70중량%의 혼합비율을 갖는 펠트섬유 원단(10)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펠트섬유 원단(10)의 일측 표면을 열처리장치(20)를 이용하여 열처리하며 압축한 후 가스켓 패드를 제조하기 위한 폭을 갖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재단하는 하는 단계;
상기 재단된 펠트섬유 원단(10)의 열처리 된 표면 일측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밴드보호부재(41)가 접착된 신축밴드(40)를 재봉하는 단계;
상기 신축밴드(40)가 재봉된 펠트섬유 원단(10)의 표면 타측 가장자리를 열처리 되지 않은 이면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접어 중첩시킨 후 재봉하는 단계;
상기 타측 가장자리를 접어 재봉된 펠트섬유 원단(10)을 드럼(D)의 외경 길이와 준하는 길이를 갖도록 재단하는 단계;
상기 재단된 펠트섬유 원단(10)의 양끝단을 상호 맞대기 접촉시킨 후 그 접촉된 양끝단을 상호 재봉하여 일체화시키는 단계;
상기 양끝단이 재봉된 펠트섬유 원단(10)의 신축밴드(40)가 재봉된 가장자리를 열처리 되지 않은 이면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접어 중첩시킨 후 재봉하되, 그 재봉 선(15)에서부터 접은 가장자리 단부까지를 드럼의 외경을 감싸는 연장부(16)로 형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각 단계별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을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먼저 모, 면, 마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천연섬유 30 ~ 70중량% :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수지섬유 30 ~ 70중량%의 혼합비율을 갖도록 펠트섬유 원단(10)을 제조한다.
상기 펠트섬유 원단(10)을 제조함에 있어서, 모, 면, 마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천연섬유의 역할은 내열성의 향상과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수지섬유의 역할은 신축성과 내마모성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천연섬유 30 ~ 70중량% : 수지섬유 30 ~ 70중량%의 혼합비를 갖도록 하는 이유는, 내열성 및 정전기 발생 억제와, 신축성 및 내마모성을 부여하도록 하기 위함으로써, 수지섬유를 30중량% 미만 사용하게 되면 신축성 및 내마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7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내열성 및 정전기 발생 억제 효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함으로 천연섬유와 수지섬유의 혼합비율은 천연섬유 30 ~ 70중량% : 수지섬유 30 ~ 70중량%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펠트섬유 원단(10)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연섬유와 수지섬유를 솜틀기와 같은 섬유원단 성형기를 이용하여 상기 천연섬유와 수지섬유를 솜 형태로 분쇄하고 분사하여 천연섬유원단 층(11) 및 수지섬유원단 층(12)을 마련하고, 그 천연 및 수지섬유원단 층(11.12)을 중첩시킨 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니들펀치기(20)로 니들펀칭(Needle Punching)하여 상기 중첩된 각 원단을 서로 뒤엉키게 하여 일체화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하여 제조된 펠트섬유 원단(1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 표면을 열처리하며 압축한 후 가스켓 패드를 제조하기 위한 폭을 갖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재단하는데, 상기 열처리의 구체적인 실시 예는 200℃~300℃로 가열된 가열 롤(31)과, 그 가열 롤(31)의 상부에 가압 롤(32)을 설치하여 된 열처리장치(30)에서 상기 제조된 펠트섬유 원단을 상기 가열 롤(31)과 가압 롤(32)의 사이를 통과시키면 된다.
상기 가열 롤(31)을 이용하여 펠트섬유 원단(10)의 일측 표면을 열처리하는 이유는, 펠트섬유 원단(10)의 일측 표면을 미려하게 하여 보푸라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가열 롤(31)에 의해 펠트섬유 원단(10)의 일 측 표면이 직접 가열되면서 수지섬유가 열 수축되며 천연섬유를 잡아줌으로 천연섬유와 수지섬유 간의 견고한 엉킴 력의 발생으로 펠트섬유 원단(10)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가압 롤(32)은 펠트섬유 원단(10)을 가열 롤(31) 쪽으로 가압함으로 펠트섬유 원단(10)에 가열 롤(31)의 열 전달 효율을 높임으로써 수지섬유의 열 수축을 골고루 유도함은 물론, 펠트섬유 원단(10)을 압축하게 된다.
상기 펠트섬유 원단(10)의 일측 표면이 가열 롤(31)과 면 접촉되며 진행되면 그 면 접촉된 펠트섬유 원단(10)의 일측 표면은 가열 롤(32)에 의해 열 수축되면서 표면이 미려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펠트섬유 원단(10)의 일측 표면을 열처리하고 압축한 후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켓 패드를 제조하기 위한 폭을 갖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재단한다.
상기 재단된 펠트섬유 원단(1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처리 된 표면 일 측 가장자리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밴드(40)를 재봉하는데, 그 신축밴드(40)의 이면에는 신축밴드보호부재(41)가 접착된 것을 사용한다.
그 이유는 상기 신축밴드(40)의 재질은 신축성 즉 탄성력을 갖는 고무, 합성수지, 실리콘 중 어느 하나임으로 약하기 때문에 그 약한 신축밴드(40)에 견고함을 더해주기 위함이며, 또 상기 신축밴드(40)의 이면에 신축밴드보호부재(41)가 접착되지 않으면 신축밴드(40)가 열을 받고 냉각되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신축성이 저하됨은 물론, 크랙의 발생 또는 절단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함으로 그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신축밴드보호부재(41)는 망사형 섬유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신축성 즉 탄성력을 갖는 신축밴드(40)를 사용하는 이유는, 드럼(D)의 실링부위 즉 드럼(D)의 외주 연을 감싸며 실링될 때에 펠트섬유 원단(10)의 견고성을 부여함은 물론, 신축밴드(40)의 신축성으로 인하여 드럼(D)의 외주 연 실링 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신축밴드(40)를 재봉할 때에는 그 신축밴드(40)의 양측 가장자리를 재봉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하여 하여 펠트섬유 원단(10)의 일 측 표면 가장자리에 펠트섬유 원단(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밴드(40)가 재봉되면, 그 다음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신축밴드(40)가 재봉 되지 않은 펠트섬유 원단(10)의 타측 가장자리 일부를 펠트섬유 원단(10)의 열처리 되지 않은 이면 방향 길이방향을 따라 접고 재봉하는데, 그 이유는 펠트섬유 원단(10)을 중첩시켜 재봉함으로써 펠트섬유 원단(10)의 견고함을 증진시켜주고, 그와 아울러 드럼(D)의 선/후단부와 면 접촉되는 건조기 주변장치 즉 프론트 서포터 및 리어 서포터와의 면 접촉 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타측 가장자리를 접어 재봉되면 그 봉재된 펠트섬유 원단(10)을 드럼(D)의 외경 길이와 준하는 길이를 갖도록 재단하고 그 재단된 펠트섬유 원단의 양끝단을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 맞대기 접촉시킨 후 그 접촉된 양끝단을 상호 재봉하여 일체화시킨다.
상기 맞대기 접촉된 펠트섬유 원단(10)의 양끝단 재봉방법은 먼저 상기 가장자리를 접어 재봉한 재봉 선(14)의 연이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폭만 큼 수회 반복하여 재봉하고, 그 후 맞대기 접촉 선(13)을 따라 지그재그 방향으로 재봉하는데, 상기 재봉 선(14)의 연이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폭만 큼 수회 반복하여 재봉하는 이유는, 절단된 양끝단의 재봉 선(14)이 풀릴 수 있음으로 그 재봉 선(14)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절단된 양끝단을 맞대기 접촉시키고 그 맞대기 접촉 선(13)을 따라 지그재그 방향으로 재봉하는 이유는 재봉된 양끝단이 단턱 없이 평평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양끝단에 단턱이 발생하면 그 단턱으로 인한 실링 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맞대기 접촉 선(13)을 따라 지그재그 방향으로 재봉 완료되면 그 다음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신축밴드(40)가 재봉된 가장자리를 열처리 되지 않은 이면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접어 재봉하되, 그 재봉 선(15)에서부터 접은 가장자리 단부까지를 드럼(D)의 외경을 감싸는 연장부(16))로 형성시킨다.
상기 연장부(16)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D)의 외경을 견고히 감싸며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 상기 연장부(16)의 내면과 드럼(D)의 외경 간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 고정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를 제조하기 위한 각 단계 중 어느 한 단계 후에 금속 편이 펠트섬유 원단 내에 들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금속탐지장치를 통과시키는 단계가 더 추가된다.
상기 펠트섬유 원단을 금속탐지장치에 통과시키는 이유는, 본 발명의 가스켓 패드에 금속 편이 내재 된 상태로 드럼(D)에 적용하여 사용하게 되면 가스켓 패드의 마모를 촉진함은 물론, 금속 편과 드럼 간의 마찰음이 발생하여 소음이 됨으로 그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은 펠트섬유 원단을 천연섬유와 수지섬유를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정전기방지와 내마모성 및 내열성 그리고 신축성을 부여함으로써 가스켓 패드의 사용수명 연장은 물론, 드럼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고, 또 펠트섬유 원단의 일 측에 신축밴드보호부재가 접착된 신축밴드를 재봉함으로써 가스켓 패드의 견고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천연섬유와 수지섬유를 중첩시킨 후 니들펀칭하고 열처리함으로써 천연섬유와 수지섬유의 뒤엉킴(혼합)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고, 그 뒤엉킨 천연섬유와 수지섬유 안정적인 유지와 보푸라기 발생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으며, 가스켓 패드의 제조공정을 효율화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10 : 펠트섬유 원단 11 : 천연섬유 원단
12 : 수지섬유 원단 13 : 맞대기 접촉선
14.15 : 재봉 선 16 : 연장부
20 : 니들펀치기 30 : 열처리장치
31 : 가열 롤 32 : 가압 롤
40 : 신축밴드 41 : 신축밴드보호부재
D : 드럼

Claims (5)

  1. 모, 면, 마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천연섬유 30 ~ 70중량% :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중 어느 하나 또는 2가지 이상이 혼합된 수지섬유 30 ~ 70중량%의 혼합비율을 갖는 펠트섬유 원단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펠트섬유 원단의 일측 표면을 열처리하며 압축한 후 가스켓 패드를 제조하기 위한 폭을 갖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재단하는 하는 단계;
    상기 재단된 펠트섬유 원단의 열처리 된 표면 일측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밴드보호부재가 접착된 신축밴드를 재봉하는 단계;
    상기 신축밴드가 재봉된 펠트섬유 원단의 표면 타측 가장자리를 열처리 되지 않은 이면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접어 중첩시킨 후 재봉하는 단계;
    상기 타측 가장자리를 접어 재봉된 펠트섬유 원단을 드럼의 외경 길이와 준하는 길이를 갖도록 재단하는 단계;
    상기 재단된 펠트섬유 원단의 양끝단을 상호 맞대기 접촉시킨 후 그 접촉된 양끝단을 상호 재봉하여 일체화시키는 단계;
    상기 양끝단이 재봉된 펠트섬유 원단의 신축밴드가 재봉된 가장자리를 열처리 되지 않은 이면 방향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접어 중첩시킨 후 재봉하되, 그 재봉 선에서부터 접은 가장자리 단부까지를 드럼의 외경을 감싸는 연장부로 형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펠트섬유 원단 제조는, 각각의 천연섬유와 수지섬유를 성형기를 이용하여 솜 형태로 분사 적층하여 천연섬유원단 층과 수지섬유원단 층을 마련하고, 그 각 섬유원단 층을 중첩시킨 후 상기 천연섬유와 수지섬유가 골고루 뒤엉키며 혼합되게 니들펀치기로 니들펀칭하여 펠트섬유 원단을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펠트섬유 원단의 일측 표면 열처리는, 200℃~300℃로 가열되는 가열 롤과 그 가열 롤의 상부에 가압 롤을 설치하여 된 열처리장치의 상기 가열 롤과 가압 롤의 사이로 펠트섬유 원단을 통과시키며 압축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대기 접촉된 펠트섬유 원단의 양끝단 재봉은, 상기 가장자리를 접어 재봉한 재봉 선의 연이어지는 방향으로 수회 반복하여 재봉하고, 그 후 맞대기 접촉 선을 따라 지그재그 방향으로 재봉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를 제조하기 위한 각 단계 중 어느 한 단계 후에 금속 편이 펠트섬유 원단 내에 들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금속탐지장치를 통과시키는 단계가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
KR1020110080541A 2011-08-12 2011-08-12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 KR101260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541A KR101260923B1 (ko) 2011-08-12 2011-08-12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541A KR101260923B1 (ko) 2011-08-12 2011-08-12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858A true KR20130017858A (ko) 2013-02-20
KR101260923B1 KR101260923B1 (ko) 2013-05-06

Family

ID=4789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541A KR101260923B1 (ko) 2011-08-12 2011-08-12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9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29652A1 (de) * 2013-07-24 2015-01-28 Vereinigte Filzfabriken AG Dichtung für einen Wäschetrockner
KR101540025B1 (ko) * 2013-12-19 2015-07-28 국방과학연구소 회전체형 니들펀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회전체형 섬유제품 제조 방법과 그 섬유조성물
KR20230151598A (ko) * 2022-04-25 2023-11-02 서승범 건조기용 진동방지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334B1 (ko) * 2017-09-14 2019-05-23 (주)헤드라인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의 원단 제조방법 및 이 원단을 이용한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KR102535070B1 (ko) 2023-01-04 2023-05-26 (주)헤드라인 세탁물 건조기의 드럼 실링용 가스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8296A (ja) * 1996-07-22 1998-02-13 Fujikoo:Kk 電気カーペットの裏面材
KR100998341B1 (ko) * 2010-06-25 2010-12-03 (주)헤드라인 건조기용 가스켓 패드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설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29652A1 (de) * 2013-07-24 2015-01-28 Vereinigte Filzfabriken AG Dichtung für einen Wäschetrockner
KR101540025B1 (ko) * 2013-12-19 2015-07-28 국방과학연구소 회전체형 니들펀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회전체형 섬유제품 제조 방법과 그 섬유조성물
KR20230151598A (ko) * 2022-04-25 2023-11-02 서승범 건조기용 진동방지 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923B1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923B1 (ko)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제조방법
KR101073031B1 (ko) 드럼 실링용 가스켓 패드
CA1189274A (en) Nap mat or carpet of washable type
JP7354214B2 (ja) 圧縮バンド
US20150150401A1 (en) Carpet seam tape
WO2020136280A1 (en) Stretchable garments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1334624B1 (ko) 다운 누출 방지를 위한 다운의류의 퀼팅 구조
TWI428487B (zh) 彈性矽酮橡膠帶及其製造方法
CN106794086B (zh) 由无纺织物和纺织聚合物网组成的外科手术拭子
JP2019535912A (ja) ストレッチデニムや他の布地製品の縫目シ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EP2012608B1 (en) A method for joining two or more pieces of fabric and related items
BRPI0617082B1 (pt) correia têxtil de base múltipla
US11926938B2 (en) Absorbent stitchbonded fabrics and dimensionally set stitchbonded fabrics
US20140370230A1 (en) Insulation material structure having crimped continued filament tow interposed between staple fiber webs
JP5836546B2 (ja) 繊維質円筒体の製造方法
US2178633A (en) Laundry ironing and drying roll pad
KR101480071B1 (ko) 플리스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US1773455A (en) Roll padding for ironing machines and the like
CN209869586U (zh) 一种不易缩水的防辐射服装
CN207227652U (zh) 一种全尼的装饰用纱线结构
CN213372995U (zh) 一种透气性好的弹性粘合剂绷带
CN217293810U (zh) 一种氨纶复合弹性面料
KR102535070B1 (ko) 세탁물 건조기의 드럼 실링용 가스켓
JP3194799U (ja) 三重構造の布地
KR100479129B1 (ko) 중간보온층과 표면층을 가지는 패딩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