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782A -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782A
KR20130017782A KR1020110080419A KR20110080419A KR20130017782A KR 20130017782 A KR20130017782 A KR 20130017782A KR 1020110080419 A KR1020110080419 A KR 1020110080419A KR 20110080419 A KR20110080419 A KR 20110080419A KR 20130017782 A KR20130017782 A KR 20130017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silicon rubber
ligh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9694B1 (ko
Inventor
조장형
전완호
박준철
Original Assignee
쎄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쎄딕(주) filed Critical 쎄딕(주)
Priority to KR102011008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694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은,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제1면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이 부착된 조명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명부와,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한쪽 면에 하나 이상의 돌출선을 갖는 밀폐용 실리콘 러버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덮도록 배치되며 가장자리가 상기 실리콘 러버에 밀착되는 투광판과, 일단이 상기 투광판의 상기 실리콘 러버와 밀착되는 면의 반대쪽 면에 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면에 밀착되는 밀폐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리콘 러버의 돌출선에 의하여 습기가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으며, 밀폐 프레임을 이용해 실리콘 러버를 손상하지 않은 채로 볼트를 사용해 밀착할 수 있어 기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러버의 높이를 렌즈 높이와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 모듈 하부의 열전도성 절연 패드와 조명부 프레임을 밀착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Street lamp with light emitting diode}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방수를 위한 기밀 구조를 갖춘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의 광원으로는 나트륨등이나 메탈할라이드등, 수은등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전력 소비량이 많고 수명이 짧은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수은 가스를 이용하는 광원의 경우 폐기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력소모가 적고 수명이 긴 발광 다이오드(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조명 장치가 개발,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가로등의 광원으로 이용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는 반도체의 P-N 접합 구조를 이용하여 전극으로부터 반도체에 주입된 전자나 정공이 다른 에너지띠를 흘러 P-N 접합부 부근에서 띠간격을 넘어 재결합할 때 많은 에너지가 빛으로 방출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서, 빠른 반응속도, 저 전력 소모, 긴 수명 등의 장점이 있다.
한편, 실외 장치인 가로등은 장시간 강우나 강설 등에 노출되므로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방수 구조, 즉 기밀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종래의 나트륨등이나 메탈할라이드등, 수은등 등을 광원으로 하는 가로등과는 달리,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가로등의 경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전면적으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배선 역시 전면적으로 배치되므로, 형태와 구성이 다른 기밀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효과적인 기밀 구조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돌출선을 갖는 밀폐용 실리콘 러버와 밀폐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의 조명부의 기밀 구조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은,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제1면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이 부착된 조명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명부와,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한쪽 면에 하나 이상의 돌출선을 갖는 밀폐용 실리콘 러버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덮도록 배치되며 가장자리가 상기 실리콘 러버에 밀착되는 투광판과, 일단이 상기 투광판의 상기 실리콘 러버와 밀착되는 면의 반대쪽 면에 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면에 밀착되는 밀폐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조명부는 다수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발광 다이오드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조명부는 두 개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은 각각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덮는 다수의 렌즈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 러버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의 상기 실리콘 러버의 높이가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상단까지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 프레임은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투광판 및 상기 제1면에 밀착되며, 상기 볼트는 상기 투광판 또는 상기 실리콘 러버를 관통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선은 상기 밀폐 프레임과 상기 투광판 측면의 접촉면보다 안쪽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리콘 러버의 돌출선에 의하여 습기가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으며, 밀폐 프레임을 이용해 실리콘 러버를 손상하지 않은 채로 볼트를 사용해 밀착할 수 있어 기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러버의 높이를 렌즈 높이와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 모듈 하부의 열전도성 절연 패드와 조명부 프레임을 밀착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의 조립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의 기밀 구조를 위한 밀폐용 실리콘 러버의 확대도로서,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의 밀폐용 실리콘 러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의 밀폐용 실리콘 러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의 기밀 구조를 위한 밀폐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의 가장자리 부분의 단면도로서, 조명부와 밀폐용 실리콘 러버, 투광판 및 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을 나타내며, 각각 볼트를 이용해 조립하기 전과 조립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의 가장자리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의 가장자리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의 단면도로서, 가로등의 가장자리 부분과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함께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한편, 도 1 및 도 2는 실제 가로등의 사용상태와는 상하면이 바뀐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실제로 가로등은 일정 높이에 설치되어 가로등 아래쪽의 거리를 조명하도록 되어 있으나,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은 조명하는 쪽이 위쪽을 향하도록 도시하였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위쪽 면을 상면, 아래쪽 면을 하면이라 부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10)은 크게 조명부(100), 밀폐용 실리콘 러버(210, 220), 투광판(300), 밀폐 프레임(400)으로 나눌 수 있다.
조명부(100)는 가로등의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조명부 프레임(110),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 전원 공급부(140), 기둥 결합부(150) 등을 포함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은,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122)가 형성되어 있는 LED 기판과, 각 발광 다이오드(12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가 인쇄되어 있으며 각 발광 다이오드가 관통하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PCB와, 각 발광 다이오드(122)를 덮는 다수의 렌즈(124)를 포함한다. PCB의 회로는 각 발광 다이오드(122)의 단자에 연결되며,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은 열전도성 절연패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조명부 프레임(110)의 상면에 부착된다.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은 외부로부터 발광 다이오드(122)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를 위하여 전원 공급선(160)이 기둥 결합부(150)를 통해 조명부 프레임(110) 내부로 들어와 조명부 프레임(110)에 형성된 전원 공급부(140)를 통해 양쪽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가로등의 조명부 프레임(110) 상에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은 커넥터(13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발광 다이오드 모듈이 반드시 이러한 구성을 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의 형태 및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조명부 프레임(110)은 프레임으로서의 역할과 함께 방열부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의 단점인 열적 스트레스로 인한 특성 열화 및 고장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조명부 프레임을 따라 전달되고, 방열부의 양 측면에 형성된 냉각홀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고 열기가 배출된다.
방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조명부 프레임(110)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이 부착되는 상면과 그 측면이 일체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명부 프레임(110)의 측면에 형성된 냉각홀은,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이 형성된 상면측과 이에 대향하는 하면측에 각각 형성된 상부 냉각홀과 하부 냉각홀이 쌍을 이루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냉각홀과 하부 냉각홀 사이에서 유로가 형성되어, 상부 냉각홀을 통해 유입된 외기가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에 의해 발생한 열기를 하부 냉각홀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조명부 프레임(110)이 반드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밀구조는 다양한 형태의 조명부 프레임(110)을 갖는 가로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조명부(100) 위에 각각 조명부 프레임의 내주와 외부를 둘러싸는 밀폐용 실리콘 러버(210, 220)가 위치한다.
실리콘 러버(210, 220)는 둘레 방향으로 다수 개의 돌출선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3은 도 1에서 실리콘 러버(210)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실리콘 러버(21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리콘 러버(2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세 개씩의 돌출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돌출선은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실리콘 러버와 투광판 사이 또는 실리콘 러버와 조명부 사이의 틈으로 습기가 들어올 때 이를 삼중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에서는 실리콘 러버(210, 220) 상하면의 돌출선을 각 세 개씩 형성하였지만 돌출선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수로 형성하면 된다.
한편, 돌출선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에 같은 형태와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의 밀폐용 실리콘 러버의 단면도이다.
돌출선의 위치와 개수는 실리콘 러버(210, 220)와 투광판(300) 및 밀폐 프레임(400)을 조명부(100)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어느 부분을 통하여 습기가 스며들도록 형성되어 있는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습기가 스며들 수 있는 틈이 생기는 위치보다 안쪽으로 형성하여야 기밀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실리콘 러버(210), 220)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그러나, 밀폐 프레임(400)을 이용하여 투광판(300)과 실리콘 러버(210, 220)를 눌러 조립상태로 되었을 때, 즉 압력장의 상태로 되었을 때의 실리콘 러버(210, 220)의 두께를 조명부(100)로부터 발광 다이오드(122)를 덮는 렌즈(124)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렌즈(124)의 높이가 압력장에서의 실리콘 러버(220)의 두께와 같아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할 경우, 실리콘 러버(210, 220)와 투광판(300) 및 밀폐 프레임(400)을 조명부(100)와 결합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을 조명부 프레임(110)에 고정시키는 결과를 얻게 되므로,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 하면에 부착되는 열전도성 절연패드와 조명부 프레임(110) 사이에 별도의 접착층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는 열전도성 절연패드로부터 조명부 프레임으로의 열 전달을 용이하게 하므로, 방열 성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투광판(300)은 조명부(100)의 발광 다이오드 모듈(120), 커넥터(130), 전원 공급부(140)를 외부에서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과 유수의 유입으로부터 보호하면서 발광 다이오드(122)로부터 나오는 빛을 통과시키는 부분으로, 투명한 아크릴판 등으로 형성된다.
밀폐 프레임(400)은 조명부 프레임(100)의 내주와 외부를 둘러싸도록 내주측 4면 및 외주측 4면에 각각 대응하는 8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밀폐 프레임(400)은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명부(100)가 ㅁ 자 형태로 구성되어 밀폐 프레임(400)이 조명부 프레임(100)의 내주와 외부를 둘러싸는 8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지만, 밀폐 프레임(400)의 형태와 개수가 조명부(100)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가운데가 뚫리지 않은 직사각형의 조명부를 갖는 가로등이라면 밀폐 프레임이 4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에서 조명부(100)와 밀폐용 실리콘 러버(210, 220), 투광판(300) 및 프레임(400)의 결합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의 가장자리 부분의 단면도로서, 조명부와 밀폐용 실리콘 러버, 투광판 및 프레임이 결합되는 부분을 나타내며, 각각 볼트를 이용해 조립하기 전과 조립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명부(100)와 투광판(300) 사이에 실리콘 러버(220)가 위치하며, 투광판(300) 위를 밀폐 프레임(400)이 덮도록 배치한다.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가정할 때, 외부로부터 습기가 침투할 수 있는 부분은 투광판(300)의 상면과 밀폐 프레임(400)이 만나는 B 부분과, 볼트(500)를 조이기 위하여 밀폐 프레임(400) 상에 형성된 홀과 볼트(500) 사이의 C 부분이므로, 실리콘 러버(220)의 돌출선이 B 부분과 C 부분보다 안쪽에 위치하도록 실리콘 러버(220)를 배치한다.
또한, 밀폐 프레임(400)의 가장자리는 조명부(100)의 외곽선과 일치하거나 조명부(100)의 외곽선보다 약간 안쪽으로 배치하여 밀폐 프레임(400)의 하단이 조명부(10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볼트(500)를 조이지 않은 상태에서 밀폐 프레임(400)은 투광판(300)과의 접촉면이 정확히 접촉하지 않고 살짝 위로 들린 상태이며, 이후 볼트(500)를 조임으로써 밀폐 프레임(400)과 투광판(300)이 접촉하게 된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500)에 힘(F1)을 가하여 아래쪽으로 조이면, 밀폐 프레임(400)이 조명부(100)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밀폐 프레임(400)이 투광판(300)과 접촉하는 면으로도 힘(F2)이 전달된다. 이에 따라, 밀폐 프레임(400)에 의하여 투광판(300) 및 실리콘 러버(220)가 힘을 받게 되고 실리콘 러버(220)의 높이가 줄어들면서 조명부(100)와 투광판(300) 사이가 밀폐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밀폐 프레임(400)을 이용하여 조명부(100)와 투광판(300) 사이를 밀폐함으로써 실리콘 러버(220)의 밀폐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실리콘 러버만을 사용하거나, 프레임을 사용하더라도 볼트가 실리콘 러버를 관통하도록 될 경우라면,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리콘 러버(20)에 형성된 돌출선 중 일부는 볼트(50) 구멍에 의해 손상되고, 또 일부는 볼트(50) 구멍보다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어 방수 효과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수 없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경우에는 실리콘 러버(20)에 형성된 세 개의 돌출선 중 맨 안쪽에 위치하는 하나의 돌출선만이 결과적으로 방수를 위한 밀폐 기능을 위해 사용되므로 밀폐 기능이 저하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의 가장자리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광판(300)의 측면과 프레임(410)이 접촉하는 부분이 실리콘 러버(230)의 외측면보다 안쪽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실리콘 러버(230) 상부의 돌출선을 모두 접촉 부분보다 안쪽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3개의 돌출선이 모두 방습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상술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 100: 조명부
110: 방열부 120: 발광 다이오드 모듈
122: 발광 다이오드 124: 렌즈
130: 커넥터 140: 전원 공급부
150: 기둥 결합부 160: 전원 공급선
210, 220, 230: 밀폐용 실리콘 러버 300, 30: 투광판
400, 410: 밀폐 프레임 500, 50: 볼트

Claims (6)

  1.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제1면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이 부착된 조명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명부와,
    상기 제1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적어도 한쪽 면에 하나 이상의 돌출선을 갖는 밀폐용 실리콘 러버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덮도록 배치되며 가장자리가 상기 실리콘 러버에 밀착되는 투광판과,
    일단이 상기 투광판의 상기 실리콘 러버와 밀착되는 면의 반대쪽 면에 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면에 밀착되는 밀폐 프레임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다수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발광 다이오드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두 개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 모듈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덮는 다수의 렌즈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실리콘 러버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의 상기 실리콘 러버의 높이가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상단까지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프레임은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투광판 및 상기 제1면에 밀착되며,
    상기 볼트는 상기 투광판 또는 상기 실리콘 러버를 관통하지 않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선은,
    상기 밀폐 프레임과 상기 투광판 측면의 접촉면보다 안쪽에 형성되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
KR1020110080419A 2011-08-12 2011-08-12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 KR101269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419A KR101269694B1 (ko) 2011-08-12 2011-08-12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0419A KR101269694B1 (ko) 2011-08-12 2011-08-12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782A true KR20130017782A (ko) 2013-02-20
KR101269694B1 KR101269694B1 (ko) 2013-06-17

Family

ID=4789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0419A KR101269694B1 (ko) 2011-08-12 2011-08-12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69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034B1 (ko) * 2009-08-17 2010-02-05 주식회사 파인테크닉스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가로등기구
KR101050081B1 (ko) * 2010-12-24 2011-07-19 주식회사 금영 엘이디 가로등의 방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694B1 (ko) 201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2716B2 (en) LED heat sink module, LED module for LED heat sink module
US7837362B2 (en) LED lamp with an improved sealed structure
CN101566325B (zh) 发光二极管灯具
JP2012084511A (ja) 発光ダイオードランプ
TWI461629B (zh) 照明裝置及其照明模組
KR101310365B1 (ko) 발광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US9115874B2 (en) Optical semiconductor illuminating apparatus
US20110051415A1 (en) Convective heat-dissipating LED illumination lamp
WO2017092579A1 (zh) 一种led照明装置
US20140353711A1 (en) Optical semiconductor lighting apparatus
EP2522901A1 (en) Luminaire
EP3919813A1 (en)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KR101879137B1 (ko) 엘이디 램프를 보호한 터널등
KR101269694B1 (ko)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가로등
KR101262661B1 (ko) 방수형 항공등화 모듈
KR101983579B1 (ko) 엘이디 조명등기구
JP2011204845A (ja) 発光装置
KR101821683B1 (ko) 방수 및 방열기능을 구비한 엘이디모듈장치
KR101580672B1 (ko) 방수 및 방열 기능을 구비한 발광다이오드 조명 모듈
KR101591769B1 (ko) 발광 다이오드 가로등
KR101879216B1 (ko) 조명 장치
KR20100116883A (ko) 발광 장치
KR101800376B1 (ko) 조명 장치
KR101823135B1 (ko) 조명 장치
KR101157020B1 (ko) 발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