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7411A - 재질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극저탄소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질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극저탄소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7411A
KR20130017411A KR1020110079806A KR20110079806A KR20130017411A KR 20130017411 A KR20130017411 A KR 20130017411A KR 1020110079806 A KR1020110079806 A KR 1020110079806A KR 20110079806 A KR20110079806 A KR 20110079806A KR 20130017411 A KR20130017411 A KR 20130017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rolled
steel sheet
rolled steel
less
work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808B1 (ko
Inventor
권세웅
박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79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808B1/ko
Publication of KR20130017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7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8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4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질 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극저탄소강의 냉연강판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중량 %로, C: 0.0005~0.0015%, Mn: 0.05~0.2%, P: 0.08%이하, S: 0.008%이하, Si: 0.003~0.007%, Al: 0.02~0.05%, Ti: 0.02~0.07%, N: 0.01~0.05%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 결정립의 평균입도는 7~11㎛이고, 입도가 10㎛ 이하인 결정립의 점유면적율이 전체 결정립 점유면적율의 30~60%이고, 종횡비(aspect ratio)가 3.5 이하인 석출물이 전체 석출물의 개수의 80% 이상인 것으로, 조압연기 입측에서의 상기 슬라브 표면온도가 950~1100℃가 되도록 하고, 조압연된 바(bar)를 다시 950~1160℃의 온도로 가열 및 보열한 후, 텐덤형식의 압연기로 마무리 압연하며, 상기 마무리 압연시에는, 한 스트립 내에서의 압연 속도차가 15%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하는 재질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극저탄소강의 냉연강판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재질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극저탄소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ULTRA LOW CARBON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UNIFORMITY AND WORK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가전제품 등의 소재로 사용되는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결정립과 석출물의 제어를 통한 재질균일성 및 가공성을 개선시킨 극저탄소 냉연강판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가전제품 등에 사용되는 냉연강판은 강도와 더불어 우수한 성형성이 요구된다. 종래, 자동차 차체의 경량화 및 승객 안정성 확보를 위해 높은 인장강도를 가진 고강도 강판 채용에 적극적이며, 이러한 고강도 강판은 자동차 안전 규제법, 연비 규제법, 배기가스 규제법 등 자동차 산업을 둘러싼 각종 법률 규제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개발되어 왔으며, 고유가에 의한 연비 규제가 강화되어 자동차의 경량화가 자동차 업계의 주요 관심사로 부각되면서 연구 개발이 한정 가속화되어 많은 종류의 고강도 강판이 개발되어 왔다.
그리고, 가공성이 요구되는 강판에서는 P첨가 Al 킬드(killed)강과 심가공용 고장력강이 있다. 상기 Al 킬드강은 상소둔을 행하여 제조되는 바, 상소둔은 소둔시간이 길고, 생산성이 낮고 부위별로 재질편차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다.
냉연강판의 비시효성은 알루미늄 킬드강의 상소둔에 의해 확보 가능하나, 상소둔은 소둔시간이 길어 생산성이 낮고 부위별로 재질편차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강력한 탄, 질화물 형성 원소를 첨가하여 연속소둔의 방법으로 가공성을 향상시킨 고장력강인 IF(Interstitial Free Steel)강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0382414호 에서는 극저탄소강에 니오븀(Nb)을 첨가한 냉연강판을 780~880℃의 온도로 이러한 방법의 경우에는 연속풀림하는 공정을 가지는 고강도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연속풀림을 780~880℃의 높은 온도로 행하기 때문에 가열로의 수명이 짧아지고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는 한편, 강판의 평탄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특허공보 1996-111646호에는 극저탄소강에 티타늄(Ti)을 첨가한 냉연강판을 열연권취하고 냉간압연한 후 재결정 소둔을 특정한 조건으로 행한 것에 의해,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은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방법은 고용탄소를 유효 티타늄(Ti) 양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적정 고용탄소를 확보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다.
본 발명은 C의 함량이 낮은 극저탄소강에서 Ti의 함량을 적정화하고, 제조조건을 적정화하여 결정립 및 석출물을 제어함으로써, 재질 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량%로, C: 0.0005~0.0015%, Mn: 0.05~0.2%, P: 0.08%이하, S: 0.008%이하, Si: 0.003~0.007%, Al: 0.02~0.05%, Ti: 0.02~0.07%, N: 0.001~0.005%,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 결정립의 평균입도는 7~11㎛이고, 입도가 10㎛이하인 결정립의 점유면적율이 전체 결정립 점유면적율의 30~60%이고, 석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석출물 중 종횡비(aspect ratio)가 3.5이하인 석출물이 전체 석출물의 개수의 80% 이상인, 재질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을 제공한다.
상기 냉연강판은 △EI<5%이고 △TS<20MPa을 만족하는 길이방향 재질편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로, C: 0.0005~0.0015%, Mn: 0.05~0.2%, P: 0.08%이하, S: 0.008%이하, Si: 0.003~0.007%, Al: 0.02~0.05%, Ti: 0.02~0.07%, N: 0.001~0.005%,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슬라브를 가열하여 조압연 및 Ar3점 이상의 온도에서 마무리 열간압연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열연강판을 650-750℃이하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단계;
상기 권취 후 50~90%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여 냉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냉연강판을 800~900℃의 온도에서 소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질 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압연 및 마무리 열간 압연시 조압연기 입측에서의 상기 슬라브 표면온도가 950-1100℃가 되도록 하고, 조압연된 바(bar)를 다시 950-1150℃의 온도로 가열 및 보열한 후, 텐덤형식의 압연기로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압연된 바(bar)를 마무리 압연하는데 있어서, 한 스트립 내에서의 압연 속도차는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소의 함량을 15중량ppm이하로 가지면서, Ti에 의한 석출물로 강의 미세조직을 제어함으로써 동시에 길이방향 연신율 및 인장강도 편차가 적고, 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연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재질 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냉연강판의 조성범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이하, 중량%).
탄소(C)의 함량은 0.0005~0.00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의 함량이 0.0005% 미만에서는 열연판의 결정립이 조대하여 강도가 낮아지고 면내이방성이 높아진다. 또한, C의 함량이 0.001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 중 고용탄소의 양이 많아 내시효성의 확보가 곤란하고, 소둔판의 결정립이 미세하게 되어 연성이 크게 낮아지므로, 상기 C의 함량은 0.0005~0.00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간(Mn)의 함량은 0.05~0.2%인 것이 바람직하다. Mn은 강중 고용황을 MnS로 석출하여 고용 황에 의한 적열취성(Hot shortness)을 방지하는 원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Mn과 S의 함량을 적절하게 함으로써, 미세한 MnS가 석출되어 내시효성을 기본적으로 확보하면서 항복강도, 면내이방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0.05~0.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n의 함량이 0.05% 이상이 되어야만 미세한 MnS 석출물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0.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Mn의 함량이 높아 조대한 MnS가 석출되어 내시효성이 열악해진다.
인(P)의 함량은 0.0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의 함량이 0.08%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연성 및 성형성이 저하되므로, 그 함량은 0.08%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S)의 함량은 0.008%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의 함량이 0.008%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용된 황의 함량이 많아 연성 및 성형성이 크게 낮아지며, 적열취성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그 함량은 0.008%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Si)의 함량은 0.003~0.007%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i는 고용강화 원소로서, 강도 향상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소둔시 표면에 Si계 산화물이 용출되어 표면특성을 열화시키므로, 0.003~0.007%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Al)의 함량은 0.02~0.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l은 탈산제로 첨가되는 원소로서, 강 중 질소를 석출하여 고용질소에 의한 시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Al의 함량이 0.02% 미만에서는 고용질소의 양이 많아 시효 현상을 방지할 수 없고, 0.0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용 상태로 존재하는 알루미늄의 양이 많아 연성이 저하된다.
티타늄(Ti)의 함량은 0.02~0.07%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Ti는 석출물을 형성하여, 미세조직의 입계 및 입내에 위치하여 결정립의 성장을 억제하여 결정립을 미세화시킴으로서,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원소이다. 이러한, Ti는 가공성 확보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원소로서, 가공성 상승효과와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0.02~0.07%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Ti의 함량이 0.02% 미만에서는 TiC 석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그 함량이 0.07%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제적으로 불리할 뿐만 아니라, 도금시 도금성에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므로, 0.02~0.07%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소(N)의 함량은 0.001~0.0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질소는 제강 중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원소이나, 그 함량이 0.00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시효지수가 높아지고, 성형성 및 가공성이 저하되므로 그 상한을 0.00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오븀(Nb)는 Ti와 마찬가지로 가공성 확보에 도움을 주는 원소로서, 가공성 상승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0.001%이상 첨가되어야 하나, 0.0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제적으로 불리하고 도금성에 좋지 않기 때문에, 0.001~0.0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 이외에 본 발명의 냉연강판은 Cu: 0.01~0.3%, Cr: 0.01~0.03%, Mo: 0.001~0.005%, Ni: 0.001~0.03% 및 V: 0.0001~0.01%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리(Cu)는 고용강화 원소로서 이러한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0.01%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0.3%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열간압연시 저융점상을 형성하여 표면결함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상기 크롬(Cr) 및 몰리브덴(Mo)은 강도를 확보하는데 유효한 원소로서, 이를 위해서는 각각 0.01% 및 0.001% 이상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Cr의 함량이 0.03%를 초과하면 성형성 및 가공성을 저하시키고, Mo의 함량을 0.005% 초과하여 첨가하면, 열간압연시에 r영역(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의 재결정을 지연시켜 압연부하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니켈(Ni)은 고용강화효과를 위해 0.001%이상 첨가될 수 있으나, 0.03%를 초과하여 첨가하면 변태점이 크게 저하하고, 열간압연시에 저온변태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바나듐(V)는 고용C를 석출하여 비시효특성을 확보하는데 유효한 성분으로, 이를 위해 0.0001%이상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0.01%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소성이방성지수가 낮아져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이 이외에 다른 원소가 첨가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 냉연강판의 미세조직 및 석출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냉연강판의 미세조직은 페라이트 단상조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C의 함량이 15ppm 이하인 극저탄소(ultra low carbon)강에 해당되므로, 미세조직은 페라이트 단상조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냉연강판의 미세조직은 평균 결정입도는 7~11㎛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조직은 10㎛ 이하의 결정입도를 갖는 결정립의 점유면적율이 전체 결정립 점유면적율의 30~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조직의 평균 결정입도가 7㎛ 미만에서는 조직의 미세화에 의한 강도향상은 있으나, 가공성 측면에서 불리하고, 11㎛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대한 결정립에 의해서는 원하는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평균 결정입도가 7~11㎛를 만족하는 동시에, 결정립 중 10㎛ 이하의 결정입도를 갖는 결정립의 점유면적율이 30~6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10㎛ 이하의 미세한 결정립이 60%를 초과하면 전체적인 조직이 너무 미세하여 요구되는 연신율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고, 30% 미만으로 너무 적게 되면, 전체적인 조직이 조대하여 원하는 강도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냉연강판은 석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석출물은 종횡비(aspect ratio)가 3.5이하인 석출물이 전체 석출물 개수의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냉연강판에 포함된 석출물은 Ti 탄, 질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석출물은 석출강화 효과 즉, 상기 석출물이 결정립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피닝(pinning)효과를 통해 강도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석출강화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석출물의 종횡비가 3.5 이하인 석출물이 전체 석출물 개수의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횡비가 3.5을 초과하는 석출물은 미세조직의 성장시에 결정립계에 위치되어 오히려 결정립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위치로 작용하여, 오히려 결정립을 미세화시키기 보다는 결정립의 조대화를 도모하기 때문에 그 종횡비가 3.5 이하인 석출물이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냉연강판은 △El<5%이고 △TS<20MPa을 만족하는 길이방향 재질 편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강 슬라브를 5.0m/min 이상의 주속으로 연속주조한 후, 곧바로 2~4 스탠드의 조압연기에서 조압연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조압연기 입측에서의 슬라브 표면온도가 950-1100℃의 온도로 가열 및 보열하고 곧이어 텐덤형식의 압연기로 마무리 압연한다.
상기 조압연 입측에서의 슬라브의 표면온도가 950℃ 미만인 경우에는 조압연시 압연하중 및 에지크랙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하고, 11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산수형 스케일이 발생할 위험이 있으므로, 상기 슬라브의 표면 온도는 950~1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압연된 바를 마무리 압연하는데 있어서, 한 스트립 내에서의 압연 속도차는 15%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연속도가 달라지면 런아웃테이블 상에서의 균일한 냉각속도와 목표권취온도를 얻기가 어려워서, 결국 압연속도가 달라짐으로 인해 재질 편차가 크게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한 스트립 내에서의 압연 속도차를 15% 이하로 제한하였다.
상기 슬라브의 열간압연시, 마무리 압연은 Ar3이상의 온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무리 압연이 Ar3 미만의 온도에서 행해지면 열간 변형 저항이 급격히 증가될 가능성이 높고 고온 취성에 따른 미세크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상기 열간압연된 열연강판을 650~750℃의 온도에서 권취한다. 상기 권취온도가 650℃미만이면, 열연강판의 결정립의 권취 후의 냉각과정에서 충분히 성장하지 않기 때문에 강의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권취온도가 7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석출물이 너무 조대하게 성장하여 가공성을 저하시키고, 강판 표면에 스케일이 다량 발생하여 산세과정에서 산세 불량의 요인이 되기 때문에, 650~750℃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 후 냉간압연을 행한다. 냉간압연은 50~90%의 압하율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간압하율이 50% 미만의 경우에는 소둔재결정 핵생성양이 적기 때문에 소둔시 결정립이 너무 크게 성장하여 소둔 재결정립의 조대화로 강도 및 가공성이 저하되고, 9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공성은 향상되지만 핵생성 양이 너무 많아 소둔 재결정립은 오히려 너무 미세하여 연성을 저하한다.
상기 냉간압연 후 760~830℃의 온도에서 소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둔온도가 760℃ 미만인 경우에는 재결정이 완료되지 않아 목표로 하는 연성값을 확보할 수 없으며, 소둔온도가 83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결정립의 조대화로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소둔은 연속소둔방법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둔시간은 재결정이 완료되도록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 10초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초~30분의 범위로 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것으로, 하기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표 1(발명강 및 비교강의 소강 성분 목표치: 단위 wt%)의 조성을 갖는 강 슬라브를 제조하고, 상기 강 슬라브를 1200℃로 재가열하고 하기 표 2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따라 강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냉연강판에 대하여,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연신율을 측정하고, 미세조직을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C Mn P S Si Al Ti Cu Cr Mo N Ni Nb
A 0.0005 0.15 0.0067 0.0021 0.0040 0.037 0.02 0.018 0.014 - 0.0021 - 0.0029
B 0.0006 0.14 0.0057 0.0034 0.0068 0.029 0.04 0.013 0.017 - 0.0032 - 0.0017
C 0.0015 0.18 0.0076 0.0051 0.0039 0.045 0.05 0.026 0.021 - 0.0023 - -
D 0.0010 0.07 0.0079 0.0029 0.0038 0.027 0.03 0.017 0.029 - 0.0019 - 0.0011
E 0.0010 0.10 0.0061 0.0076 0.0051 0.021 0.06 0.014 0.011 - 0.0032 - 0.0021
F 0.0011 0.08 0.0054 0.0079 0.0062 0.032 0.07 0.022 - 0.0001 0.0025 - -
G 0.0014 0.19 0.0045 0.0067 0.0047 0.039 0.02 0.019 - 0.0002 0.0028 - 0.0027
H 0.0012 0.11 0.0034 0.0054 0.0042 0.049 0.04 0.015 - 0.0003 0.0026 - -
I 0.0014 0.13 0.0032 0.0072 0.0042 0.026 0.06 0.011 - 0.0004 0.0023 - 0.0013
J 0.0011 0.06 0.0039 0.0067 0.0039 0.029 0.02 0.018 - 0.0005 0.0028 0.012 -
K 0.0009 0.09 0.0042 0.0061 0.0053 0.031 0.04 0.029 - - 0.0018 0.029 -
L 0.0008 0.14 0.0049 0.0057 0.0051 0.029 0.05 0.015 - - 0.0025 0.021 0.017
M 0.0005 0.11 0.0059 0.0054 0.0048 0.032 0.06 0.026 - - 0.0034 0.017 0.015
N 0.0009 0.06 0.0067 0.0045 0.0037 0.023 0.03 0.022 - - 0.0032 0.021 -
O 0.0007 0.05 0.0072 0.0061 0.0035 0.027 0.05 0.026 - - 0.0022 - 0.0028
구분 평균주속
(m/min)
마무리
압연온도(℃)
권취
온도(℃)
소둔
온도(℃)
스트립내
압연속도차(%)
냉간
압하율(%)
A 발명예1 5.2 785 654 777 15 51
비교예1 1.4 765 634 757 33 67
B 발명예2 5.7 794 663 797 11 63
비교예2 1.5 775 642 778 37 87
C 발명예3 5.9 789 672 794 2 89
비교예3 1.5 774 652 773 45 56
D 발명예4 6.5 801 710 811 5 75
비교예4 1.6 771 681 791 51 67
E 발명예5 7.0 782 701 805 13 72
비교예5 1.4 821 741 795 34 62
F 발명예6 7.4 799 725 812 7 66
비교예6 1.6 832 764 792 47 74
G 발명예7 5.8 793 729 823 9 81
비교예7 1.3 843 789 803 32 77
H 발명예8 6.7 787 689 772 8 77
비교예8 1.6 852 776 752 29 81
I 발명예9 6.2 802 741 783 13 79
비교예9 1.4 832 771 763 52 56
J 발명예10 7.1 786 712 801 4 71
비교예10 1.5 823 752 781 33 78
K 발명예11 7.4 799 699 767 3 59
비교예11 1.4 834 739 746 41 74
L 발명예12 5.9 791 691 788 6 67
비교예12 1.5 865 759 768 29 56
M 발명예13 6.2 784 667 796 9 78
비교예13 1.7 887 785 776 56 59
N 발명예14 7.1 796 664 809 10 87
비교예14 1.4 854 761 789 26 80
O 발명예15 6.8 805 741 803 11 62
비교예15 1.2 845 792 783 39 81
구분 평균결정립
Size(㎛)
10㎛이하
결정립 면적율(%)
전체 석출물의종횡비 3.5 이하인 석출물의 개수(%) TS
(MPa)
El
(%)
△El(%) △TS
(MPa)
A 발명예1 10.2 189 81 56 45 4 19
비교예1 11.8 161 92 58 34 4 25
B 발명예2 10.8 231 89 55 60 3 3
비교예2 11.8 176 89 57 44 9 36
C 발명예3 10.9 241 91 51 31 2 7
비교예3 11.2 167 96 58 27 6 32
D 발명강4 7.9 199 98 53 56 3 11
비교예4 6.8 301 88 44 63 8 23
E 발명예5 8.8 196 82 54 46 4 5
비교예5 6.7 296 91 44 62 10 19
F 발명예6 10.2 232 81 53 42 2 2
비교예6 6.5 312 93 43 64 8 24
G 발명예7 8.1 249 88 52 59 1 17
비교예7 6.9 288 88 47 61 7 31
H 발명예8 8.9 212 92 53 54 0 11
비교예8 5.8 261 91 48 60 6 30
I 발명예9 8.2 247 89 52 58 0 5
비교예9 11.5 177 98 59 57 7 19
J 발명예10 7.1 234 89 53 32 3 6
비교예10 6.1 287 91 44 68 8 25
K 발명예11 9.9 212 84 55 35 2 9
비교예11 6.4 277 93 43 61 7 26
L 발명예12 8.9 201 91 55 43 2 3
비교예12 6.9 291 86 42 62 9 22
M 발명예13 9.6 187 93 57 56 3 2
비교예13 5.2 284 94 46 62 4 28
N 발명예14 8.4 201 88 54 42 1 9
비교예14 6.4 290 82 45 64 6 27
O 발명예15 7.4 191 95 55 49 0 19
비교예15 11.4 165 96 57 45 3 29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적정한 강도와 연신율을 확보하고, 우수한 재질 균일성을 갖는 동시에, 가공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0)

  1. 중량%로, C: 0.0005~0.0015%, Mn: 0.05~0.2%, P: 0.08%이하, S: 0.008%이하, Si: 0.003~0.007%, Al: 0.02~0.05%, Ti: 0.02~0.07%, N: 0.01~0.05%,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고,
    미세조직 결정립의 평균입도는 7~11㎛이고, 입도가 10㎛이하인 결정립의 점유면적율이 전체 결정립 점유면적율의 30~60%이고, 석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석출물 중 종횡비(aspect ratio)가 3.5이하인 석출물이 전체 석출물의 개수의 80% 이상인 재질 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연강판은 Nb: 0.001~0.02%를 더 포함하는 재질 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연강판은 Cu: 0.01~0.03%, Cr: 0.01~0.03%, Mo: 0.001~0.005%, Ni: 0.001~0.03% 및 V: 0.0001~0.01%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재질 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연강판의 미세조직은 페라이트인 재질 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연강판은 △El<5%이고 △TS<20MPa을 만족하는 길이 방향 재질 편차를 갖는 재질 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6. 중량%로, C: 0.0005~0.0015%, Mn: 0.05~0.2%, P: 0.08%이하, S: 0.008%이하, Si: 0.003~0.007%, Al: 0.02~0.05%, Ti: 0.02~0.07%, N: 0.001~0.005%,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강 슬라브를 가열하여 조압연 및 Ar3점 이상의 온도에서 마무리 열간압연하며, 한 스트립내에서의 압연 속도차는 15% 이하로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열연강판을 650-750℃이하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단계;
    상기 권취 후 50~90%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여 냉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냉연강판을 760~830℃의 온도에서 소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질 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강 조압연 및 마무리 열간 압연시 조압연기 입측에서의 상기 슬라브 표면온도가 950-1100℃가 되도록 하고, 조압연된 바(bar)를 다시 950-1150℃의 온도로 가열 및 보열한 후, 텐덤형식의 압연기로 마무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질 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강 슬라브는 Nb: 0.001~0.02%를 더 포함하는 재질 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강 슬라브는 Cu: 0.01~0.03%, Cr: 0.01~0.03%, Mo: 0.001~0.005%, Ni: 0.001~0.03% 및 V: 0.0001~0.01%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재질 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소둔은 연속소둔 방법으로 행하고, 10초~30분 동안 행하는 재질 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20110079806A 2011-08-10 2011-08-10 재질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극저탄소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04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806A KR101304808B1 (ko) 2011-08-10 2011-08-10 재질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극저탄소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806A KR101304808B1 (ko) 2011-08-10 2011-08-10 재질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극저탄소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7411A true KR20130017411A (ko) 2013-02-20
KR101304808B1 KR101304808B1 (ko) 2013-09-05

Family

ID=4789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806A KR101304808B1 (ko) 2011-08-10 2011-08-10 재질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극저탄소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8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1589A (zh) * 2021-11-26 2022-04-22 安阳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经济型货架用钢的制备方法
WO2022131802A1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포스코 재질 균일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도금 강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3505B2 (ja) * 2000-11-27 2007-11-28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極低炭素薄鋼板とその製造方法
KR101228746B1 (ko) * 2009-02-09 2013-01-31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0510A (ko) * 2009-07-24 2011-02-01 현대제철 주식회사 재질균일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의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1802A1 (ko)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포스코 재질 균일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도금 강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20230113515A (ko) 2020-12-16 2023-07-31 주식회사 포스코 재질 균일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 도금 강판 및 이들의제조 방법
CN114381589A (zh) * 2021-11-26 2022-04-22 安阳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经济型货架用钢的制备方法
CN114381589B (zh) * 2021-11-26 2024-04-16 安阳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环保经济型货架用钢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808B1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286B1 (ko) 내지연파괴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고망간강 및 제조방법
KR101256523B1 (ko) 저항복비형 고강도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연강판
KR20120074798A (ko) 인장강도 1.5GPa급의 초고강도 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판
KR20150108396A (ko) 초고강도 냉간 압연 내후성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4520961A (ja) 熱間プレス成形用鋼板、それを用いた成形部材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747034B1 (ko) 항복비가 우수한 초고강도 고연성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70510A (ko) 구멍확장성이 우수한 고강도 고망간강, 열연강판,냉연강판, 도금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090070502A (ko)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고망간강 및 고망간 도금강판의제조방법
KR101299896B1 (ko) 인장강도 1.5GPa급의 초고강도 강판의 제조방법
KR100957967B1 (ko) 항복강도 이방성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04808B1 (ko) 재질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극저탄소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43857B1 (ko) 가공성이 우수한 복합조직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49135B1 (ko) 가공성 및 내파우더링성이 우수한 소부경화형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57965B1 (ko) 냉각 및 권취시 크랙발생이 저감된 고강도 열간성형용열연강판 및 제조방법
KR20150039008A (ko) 항복강도 및 항복비가 우수한 석출강화형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85233B1 (ko) 산세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극저탄소 냉연용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43086B1 (ko) 소부경화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의 제조방법
KR101051206B1 (ko) 도금특성과 내2차 가공취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7931A (ko) 가공성이 우수한 합금화 용융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29923B1 (ko) 가공성이 우수한 극저탄소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6331A (ko) 소부경화성이 우수한 복합조직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1819B1 (ko) 가공성이 우수한 저탄소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53345B1 (ko) 표면특성 및 소부경화 특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04703B1 (ko) 가공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60559B1 (ko) 극저탄소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