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748A - 착즙기 - Google Patents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748A
KR20130016748A KR1020110078834A KR20110078834A KR20130016748A KR 20130016748 A KR20130016748 A KR 20130016748A KR 1020110078834 A KR1020110078834 A KR 1020110078834A KR 20110078834 A KR20110078834 A KR 20110078834A KR 20130016748 A KR20130016748 A KR 20130016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shaft
blade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7801B1 (ko
Inventor
김성문
김종길
Original Assignee
김성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문 filed Critical 김성문
Priority to KR1020110078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801B1/ko
Publication of KR20130016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 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축의 양 측에 하나씩 배치되고 각각 상기 구동축에 나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축을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구동축이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될 때 지면에 접촉하는 수평방향지지면과 상기 구동축이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될 때 지면에 접촉하는 수직방향지지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수평방향분쇄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수평방향지지면을 통해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을 때 상기 수평방향분쇄공간이 상기 구동축의 전방에서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태로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평방향분쇄통과, 수평방향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와 상기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의 수평방향배출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로부터 절곡 형성되고 수평방향즙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방향배출통바디부를 가지고 상기 수평방향즙배출공이 지면을 향하고 상기 수평방향배출통바디부가 상기 수평방향분쇄공간에 연통한 상태로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평방향배출통과, 절두된 고깔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의 수평방향즙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방향배출통바디부의 내부에서 상기 수평방향분쇄공간과 상기 수평방향즙통과공에 연통하고 협개구(狹開口)가 상기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를 향한 상태로 양단이 상기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와 상기 수평방향분쇄통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평방향압착통과, 외표면에 헬리컬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방향원동분쇄부와 상기 수평방향원동분쇄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외표면에 스크류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방향원동압착부를 가지고 상기 수평방향원동분쇄부가 상기 수평방향분쇄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방향원동압착부가 상기 수평방향압착통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수평방향원동분쇄부를 통해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수평방향원동가공체와, 외표면에 헬리컬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방향종동분쇄부를 가지고 상기 수평방향종동분쇄부가 상기 수평방향분쇄공간에서 상기 수평방향원동분쇄부에 치합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수평방향압착통과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평방향종동가공체와, 중심에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와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에 인접한 영역에 수직방향즙배출공과 수직방향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와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의 중앙영역에 요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수집통안착공간부와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의 개구영역을 밀폐하도록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방향가공통개폐판부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수직방향지지면을 통해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을 때 상기 축공을 통해 상기 구동축이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로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와 상기 수직방향가공통개폐판부가 각각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직방향가공통과, 절두된 고깔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의 수직방향즙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방향압착관과 상기 수직방향압착관의 협개구(狹開口)에 연통하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상기 수직방향압착관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측면에는 찌꺼기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찌꺼기수집통을 가지고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의 내부에서 상기 찌꺼기수집통이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를 향한 상태로 상기 수집통안착공간부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직방향압착통과, 상기 찌꺼기안내공을 통해 배출되는 찌꺼기를 상기 수직방향찌꺼기배출공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수직방향가공통에 형성된 수직방향찌꺼기안내유로부와, 상기 수직방향즙통과공을 통해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로 낙하하는 즙을 상기 수직방향즙배출공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수직방향가공통에 형성된 수직방향즙안내유로부와, 폐루프 형태의 날지지프레임과 상기 날지지프레임의 중심을 향해 배치되도록 상기 날지지프레임의 내주면에 결합된 수직방향분쇄날을 가지고 상기 수직방향분쇄날이 상기 수직방향가공통개폐판부와 상기 수직방향압착통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날지지프레임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방향분쇄가공체와, 외표면에 스크류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방향압착부를 가지고 상기 수직방향압착부가 상기 수직방향압착통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로 상기 수직방향압착부의 하단이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수직방향압착가공체와,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날지지프레임로 전달하는 분쇄날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착즙재료에 따라 착즙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즙기{Juicer}
본 발명은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채, 과일 등의 재료를 분쇄한 다음, 최종적으로 즙형태로 음식을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재료를 일단 분쇄하는 과정을 거친 후, 즙형태로 음식물을 가공하는 착즙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19는 종래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착즙기는,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1)과, 하우징(211)의 일 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221)을 갖는 구동부(220)와, 하우징(211)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축(212)과, 지지축(2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분쇄압착통(240) 및 배출통(250)과, 분쇄압착통(240)에 삽입되는 압착보조통(260)과, 분쇄압착통(240)의 상면에 기립형성된 투입관(214)과, 구동축(221)에 결합되는 원동가공체(270)와, 원동가공체(270)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종동가공체(280)와, 분쇄압착통(240) 및 배출통(250)을 둘러싸도록 지지축(212)에 설치되는 보호커버(215)를 갖고 있다.
하우징(211)에는 구동축(221)이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될 때 지면에 접촉하는 수평방향지지면(211a)이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후방지지홈(211b)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220)는 구동축(221)에 더하여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모터의 회전력을 구동축(221)에 전달하는 구동축전동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각 지지축(212)은 자유단부로부터 소정의 분리구간을 두고 핀홈(212a)이 둘레방향을 따라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분쇄압착통(240)은 길이방향을 따라 대략 “8”자 형상단면 터널형태의 헬리컬기어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분쇄통부(241)와, 분쇄통부(241)의 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압착통부(242)를 갖고 있다.
분쇄통부(241)는 측면에 원호상의 가이드부(241a)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분쇄압착통(240)은 가이드부(241a)를 통해 지지축(2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배출통(250)은 양측에 각각 결합돌부(251)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고, 각 결합돌부(251)의 중앙영역에는 결합공(25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통(250)은 전면에 찌꺼기배출구(250a)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즙배출구(250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출통(250)은 결합공(251a)을 통해 지지축(2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투입관부(214)는 분쇄통부(241)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압착보조통(260)은 원형단면의 스크류수용공간이 전 길이구간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압착작업통부(261)와, 압착작업통부(261)와 협조하여 대략 8자형상단면을 형성하도록 압착작업통부(261)의 측면에 결합된 지지통부(262)를 갖고 있다.
압착작업통부(261)는 둘레면에 즙통과공(261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통부(262)는 후단에 전방지지홈(26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압착보조통(260)은 압착작업통부(261)가 압착통부(242)에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원동가공체(270)는 외표면에 헬리컬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원동헬리컬기어부(271)와, 원동헬리컬기어부(271)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외표면에 스크류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원동스크류기어부(272)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원동가공체(270)는 원동헬리컬기어부(271)를 통해 구동축(221)에 결합된다.
종동가공체(280)는 외표면에 헬리컬치형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동가공체(280)는 후방지지홈(211a)과 전방지지홈(262a)에 양단이 지지되고 원동헬리컬기어부(271)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보호커버(215)는 상측에 안내관부(215a)가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한 쌍의 걸림핀(215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보호커버(215)는 안내관부(215a)에 투입관부(214)가 진입하고, 걸림핀(215b)이 핀홈(212a)에 억지로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착즙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온오프스위치(262)을 구동부(220)에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축(221)은 회전한다. 구동축(221)이 회전함에 따라 원동가공체(270)와 종동가공체(280)는 맞물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원동가공체(270)와 종동가공체(280)가 회전하면, 안내관부(215a)와 투입관(214)에 재료(야채 또는 과일)를 투입한다.
투입관(214)을 통해 투입된 착즙재료는 원동헬리컬기어부(271)와 종동가공체(280)에 의해 압착통부(242)의 내부로 진입한다.
압착통부(242)의 내부로 진입한 착즙재료는 원동스크류기어부(272)와 압착통부(242)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압착되어 즙과 찌꺼기가 생성된다.
생성된 즙은 즙통과공(261a)과 즙배출구(250b)를 통해 수납컵(도시되지 않음)으로 낙하하고, 찌꺼기는 찌꺼기배출구(250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종래의 착즙기에 따르면, 착즙재료를 가공하는 원동가공체(270)와 종동가공체(280)가 하나로 제한되기 때문에 착즙재료에 따라서는 착즙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즙재료에 따라 착즙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착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 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축의 양 측에 하나씩 배치되고 각각 상기 구동축에 나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축을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구동축이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될 때 지면에 접촉하는 수평방향지지면과 상기 구동축이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될 때 지면에 접촉하는 수직방향지지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수평방향분쇄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수평방향지지면을 통해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을 때 상기 수평방향분쇄공간이 상기 구동축의 전방에서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태로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평방향분쇄통과, 수평방향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와 상기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의 수평방향배출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로부터 절곡 형성되고 수평방향즙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방향배출통바디부를 가지고 상기 수평방향즙배출공이 지면을 향하고 상기 수평방향배출통바디부가 상기 수평방향분쇄공간에 연통한 상태로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평방향배출통과, 절두된 고깔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의 수평방향즙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방향배출통바디부의 내부에서 상기 수평방향분쇄공간과 상기 수평방향즙통과공에 연통하고 협개구(狹開口)가 상기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를 향한 상태로 양단이 상기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와 상기 수평방향분쇄통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평방향압착통과, 외표면에 헬리컬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방향원동분쇄부와 상기 수평방향원동분쇄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외표면에 스크류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방향원동압착부를 가지고 상기 수평방향원동분쇄부가 상기 수평방향분쇄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방향원동압착부가 상기 수평방향압착통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수평방향원동분쇄부를 통해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수평방향원동가공체와, 외표면에 헬리컬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방향종동분쇄부를 가지고 상기 수평방향종동분쇄부가 상기 수평방향분쇄공간에서 상기 수평방향원동분쇄부에 치합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수평방향압착통과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평방향종동가공체와, 중심에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와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에 인접한 영역에 수직방향즙배출공과 수직방향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와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의 중앙영역에 요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수집통안착공간부와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의 개구영역을 밀폐하도록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방향가공통개폐판부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수직방향지지면을 통해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을 때 상기 축공을 통해 상기 구동축이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로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와 상기 수직방향가공통개폐판부가 각각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직방향가공통과, 절두된 고깔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의 수직방향즙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방향압착관과 상기 수직방향압착관의 협개구(狹開口)에 연통하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상기 수직방향압착관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측면에는 찌꺼기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찌꺼기수집통을 가지고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의 내부에서 상기 찌꺼기수집통이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를 향한 상태로 상기 수집통안착공간부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직방향압착통과, 상기 찌꺼기안내공을 통해 배출되는 찌꺼기를 상기 수직방향찌꺼기배출공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수직방향가공통에 형성된 수직방향찌꺼기안내유로부와, 상기 수직방향즙통과공을 통해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로 낙하하는 즙을 상기 수직방향즙배출공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수직방향가공통에 형성된 수직방향즙안내유로부와, 폐루프 형태의 날지지프레임과 상기 날지지프레임의 중심을 향해 배치되도록 상기 날지지프레임의 내주면에 결합된 수직방향분쇄날을 가지고 상기 수직방향분쇄날이 상기 수직방향가공통개폐판부와 상기 수직방향압착통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날지지프레임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방향분쇄가공체와, 외표면에 스크류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방향압착부를 가지고 상기 수직방향압착부가 상기 수직방향압착통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로 상기 수직방향압착부의 하단이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수직방향압착가공체와,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날지지프레임로 전달하는 분쇄날전동부를 포함하는 착즙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수직방향압착통을 회전시켜 수직방향압착관과 수직방향압착가공체 사이로 분쇄된 착즙재료가 빠르고 고르게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분쇄날전동부는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를 관통하고 상기 구동축에 나란하도록 설치된 중간축과 상기 수직방향가공통의 하측에서 상기 중간축에 결합된 중간축원동스퍼기어와 상기 수직방향가공통의 내부에서 상기 중간축에 결합된 중간축종동스퍼기어를 갖는 중간전동부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축원동스퍼기어를 가지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중간축에 전달하는 구동축전동부와, 중앙에 압착통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둘레연부로부터 폐루프를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고 내주면에 폭방향을 따라 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분쇄날지지체기어와 상기 압착통통과공의 둘레영역에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의 상단에 결합된 폐루프형태의 분쇄날지지링을 가지고 상기 분쇄날지지체기어가 상기 중간축종동기어에 치합하고 상기 분쇄날지지체기어의 하단이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방향가공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쇄날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방향분쇄가공체는 상기 날지지프레임을 통해 상기 분쇄날지지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직방향압착통은 하단이 상기 압착통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직방향압착가공체와 수직방향압착통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착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전동부는 상기 구동축원동스퍼기어에 치합하도록 설치된 구동축종동스퍼기어와, 상기 구동축종동스퍼기어에 대하여 동일한 축선을 갖도록 상기 구동축종동스퍼기어의 기어축에 형성된 방향전환원동스퍼기어와, 상기 방향전환원동스퍼기어와 상기 중간축원동스퍼기어에 치합하도록 설치된 방향전환종동스퍼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즙동작과 함께 수직방향압착통의 청소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탄성재질의 탄성편을 가지고 상기 탄성편이 상기 수직방향즙통과공에 탄성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벽에 고정된 청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방향분쇄가공체에 의해 분쇄된 착즙재료가 수직방향압착통의 내부에 골고루 분배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방향압착가공체는 상기 수직방향압착부에 결합된 연결축과 나선형태의 안내날개를 가지고 상기 안내날개가 상기 수직방향압착부의 스크류치형에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축에 결합된 안내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방향분쇄날의 분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방향분쇄날은 복수 개가 단차를 갖도록 상기 날지지프레임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방향분쇄날의 분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방향분쇄날은 날부가 볼록한 곡선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날부가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날지지프레임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방향분쇄날의 분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방향분쇄날은 날부가 오목한 곡선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날부가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날지지프레임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축이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착즙재료를 분쇄하고 압착하는 수평방향원동분쇄부와 수평방향원동압착부에 더하여 구동축이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착즙재료를 분쇄하고 압착하는 수직방향분쇄가공체와 수직방향압착가공체를 추가하고 구동축의 회전력을 수직방향분쇄가공체와 수직방향압착가공체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착즙재료에 따라 착즙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수평설치상태 결합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수평설치상태 분해사시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구동축의 상세도,
도4는 수평방향원동가공체와 수평방향종동가공체의 상세도,
도5는 도2에 도시된 수평방향분쇄통의 상세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수직설치상태 결합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수직설치상태 분해사시도,
도8은 도7에 도시된 수직방향가공통의 평면도,
도9는 도8의 A-A선단면도,
도10 및 도11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날전동부의 상세도,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방향압착통과 분쇄날지지체 영역의 상세도,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방향분쇄가공체의 상세도,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방향압착가공체와 수직방향압착통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5 및 도16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찌꺼기수집통의 상세도,
도17 및 도18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방향분쇄가공체의 상세도,
도19는 종래 착즙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수평설치상태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수평설치상태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2에 도시된 구동축의 상세도이고, 도4는 수평방향원동가공체와 수평방향종동가공체의 상세도이고, 도5는 도2에 도시된 수평방향분쇄통의 상세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수직설치상태 결합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수직설치상태 분해사시도이고, 도8은 도7에 도시된 수직방향가공통의 평면도이고, 도9는 도8의 A-A선단면도이고, 도10 및 도11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쇄날전동부의 상세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방향압착통과 분쇄날지지체 영역의 상세도이고,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방향분쇄가공체의 상세도이고,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방향압착가공체와 수직방향압착통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5 및 도16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찌꺼기수집통의 상세도이고, 도17 및 도18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방향분쇄가공체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일 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21)을 갖는 구동부(20)와, 하우징(11)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축(12)과, 지지축(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평방향분쇄통(13)과, 수평방향분쇄통(13)의 상면에 기립형성된 수평방향투입관(14)과, 지지축(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평방향배출통(30)과, 수평방향분쇄통(13)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평방향압착통(40)과, 구동축(21)에 결합되는 수평방향원동가공체(50)와, 수평방향압착통(40)과 하우징(11)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평방향종동가공체(15)와, 지지축(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직방향가공통(60)과, 수직방향가공통(60)에 형성된 수직방향투입관(19)과, 수직방향가공통(6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방향압착통(80)과, 수직방향가공통(60)에 각각 형성된 수직방향찌꺼기안내유로부(16) 및 수직방향즙안내유로부(17)와, 수직방향가공통(60)의 내부에 설치되는 수직방향분쇄가공체(18)와, 구동축(21)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수직방향압착가공체(100)와, 구동축(21)의 회전력을 수직방향분쇄가공체(18)로 전달하는 분쇄날전동부(110)와, 수직방향압착통(80)에 접촉하도록 설치된 청소부재(161)와, 하우징(11)에 설치된 온오프스위치(162)를 갖고 있다.
하우징(11)에는 구동축(21)이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될 때 지면에 접촉하는 수평방향지지면(11a)과, 구동축(21)이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될 때 지면에 접촉하는 수직방향지지면(11b)과, 구동축(21)이 통과하는 구동축면(11c)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면(11c)에는 종동가공체하우징지지홈(11d)과 한 쌍의 지지축고정홈(11e)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축고정홈(11e)은 구동축(21)의 양 측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구동부(20)는 구동축(21)에 더하여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모터의 회전력을 구동축(21)에 전달하는 구동축전동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구동축(21)에는 널링부(21a), 동력전달돌기(21b), 하부실링접촉부(21d), 상부실링접촉부(21e) 및 팔각축부(21f)가 형성되어 있다.
동력전달돌기(21b)는 구동축(21)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각 동력전달돌기(21b)에는 정렬경사면(21c)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실링접촉부(21d)는 원형단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실링접촉부(21e)는 하부실링접촉부(21d)보다 작은 직경의 원형단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구동축(21)은 널링부(21a)를 통해 구동축전동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각 지지축(12)은 직선상의 지지축바디부(12a)와, 지지축바디부(12a)의 전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지지레버(12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지지축(12)은 지지축바디부(12a)의 후단을 지지축고정홈(11e) 삽입하는 방법으로 구동축(21)에 나란하도록 하우징(11)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지지축(12)은 구동축(21)의 양 측에 하나씩 배치된다.
수평방향분쇄통(13)은 대략 눈사람 종단면도 형태의 수평방향분쇄공간(13a)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방향분쇄통(13)은 양 측면에 반원단면의 수평방향분쇄통축걸림홈(13b)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평방향분쇄통(13)은 하우징(11)이 수평방향지지면(11a)을 통해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을 때 지지축(12)이 수평방향분쇄통축걸림홈(13b)에 안착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수평방향분쇄통(13)은 수평방향분쇄공간(13a)이 구동축(21)의 전방에서 구동축(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태로 지지축(12)에 지지된다.
수평방향투입관(14)은 수평방향분쇄공간(13a)에 연통하도록 수평방향분쇄통(13)에 형성된다.
수평방향배출통(30)은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31)와,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3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의 수평방향배출공간(32a)을 형성하도록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31)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있는 수평방향배출통바디부(32)를 갖고 있다.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31)는 중앙영역에 수평방향원동가공체지지홈(31a)이 형성되어 있고, 수평방향원동가공체지지홈(31a)의 둘레영역에는 수평방향찌꺼기배출공(31b)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방향배출통바디부(32)는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3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의 수평방향배출공간(32a)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하측 영역에는 수평방향즙배출공(3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방향배출통바디부(32)는 양 측면에는 수평방향배출통축걸림홈(32c)과 수평방향배출통레버걸림홈(32d)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수평방향배출통축걸림홈(32c)은 반원단면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수평방향배출통레버걸림홈(32d)은 수평방향배출통축걸림홈(32c)에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평방향배출통(30)은 하우징(11)이 수평방향지지면(11a)을 통해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을 때 지지축바디부(12a)가 수평방향배출통축걸림홈(32c)에 안착하고 지지레버(12b)가 수평방향배출통레버걸림홈(32d)에 안착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수평방향배출통(30)의 설치는 수평방향즙배출공(31b)이 지면을 향하고 수평방향배출통바디부(32)가 수평방향분쇄공간(13a)에 연통하도록 이루어진다.
수평방향압착통(40)은 상호 나란하도록 연결된 다수의 링형태 수평방향압착프레임(41)과, 수평방향압착프레임(41)에 결합된 수평방향압착관(42) 및 종동가공체압착통지지홈부(43)를 갖고 있다.
수평방향압착프레임(41)은 앞쪽에 위치할수록 점점 직경이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평방향압착관(42)에는 다수의 수평방향즙통과공(42a)이 형성되어 있다.
종동가공체압착통지지홈부(43)에는 종동가공체압착통지지홈(4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평방향압착통(40)은 수평방향배출공간(32a)의 내부에서 수평방향분쇄공간(13a)과 수평방향즙통과공(42a)에 연통하고 협개구(狹開口)가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31)를 향한 상태로 양단이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31)와 수평방향분쇄통(13)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수평방향원동가공체(50)는 외표면에 헬리컬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방향원동분쇄부(51)와, 수평방향원동분쇄부(51)로부터 연장 형성된 수평방향원동압착부(52)와, 수평방향원동분쇄부(51)와 수평방향원동압착부(52)에 각각 형성된 수평방향원동축부(53)를 갖고 있다.
수평방향원동압착부(52)는 외표면에 스크류치형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평방향원동가공체(50)는 수평방향원동축부(53)을 통해 구동축(21)에 결합된다. 여기서 수평방향원동가공체(50)의 결합은 수평방향원동분쇄부(51)가 수평방향분쇄공간(13a)에 배치되고 수평방향원동압착부(52)가 수평방향압착통(40)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수평방향종동가공체(15)는 외표면에 헬리컬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방향종동분쇄부(15a)와, 수평방향종동분쇄부(15a)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수평방향종동축부(15b)를 갖고 있다.
수평방향종동분쇄부(15a)는 수평방향원동분쇄부(51)보다 작은 피치원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평방향종동가공체(15)는 수평방향종동분쇄부(15a)가 수평방향분쇄공간(13a)에서 수평방향원동분쇄부(51)에 치합하고 수평방향종동축부(15b)가 종동가공체하우징지지홈(11d)과 종동가공체압착통지지홈(43a)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수직방향가공통(60)은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61)와,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61)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된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62)와,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61)에 형성된 수집통안착공간부(63), 기어안착공간부(64), 밀폐판지지홈부(65) 및 중간축실링안착부(66)와, 수집통안착공간부(63)에 형성된 구동축통과관(67) 및 구동축실링안착부(68)와, 기어안착공간부(64)에 형성된 기어안착공간지지홈부(69)과,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62)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찌꺼기안내슈트(70) 및 즙안내슈트(71)와, 즙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6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방향가공통개폐판부(72)를 갖고 있다.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61)는 중심에 밀폐판축공(61a)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62)는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6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의 수직방향가공공간(62d)과 부품실장공간(62e)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62)는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61)에 인접한 영역에 수직방향즙배출공(62a)과 수직방향찌꺼기배출공(6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62)는 양 측면에 수직방향가공통바디축걸림홈(62c)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방향가공통바디축걸림홈(62c)은 반원단면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수집통안착공간부(63)는 요형(凹形)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집통안착공간부(63)는 측벽 상단이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61)의 상면보다 돌출되고 바닥부 저면은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61)의 저면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수집통안착공간부(63)는 측벽에 3개의 안착요홈(63a)과 1개의 즙안내개구(62b)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안착공간부(64)는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61)의 저면에 기립형성된 기어안착공간둘레벽부(64a)와, 기어안착공간둘레벽부(64a)의 개구영역을 밀폐하도록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61)에 결합된 기어안착공간마개부(64b)를 갖고 있다.
밀폐판지지홈부(65)는 수집통안착공간부(63)의 둘레영역에서 방향전환원동스퍼기어(123)와 방향전환종동스퍼기어(124)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중간축실링안착부(66)는 수집통안착공간부(63)의 둘레영역에서 개폐가능한 중공(中空)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과 저면에는 중간축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중간축실링안착부(66)에는 중간축실링부재(66a)가 장착된다.
구동축통과관(67)은 수집통안착공간부(63)의 상면 중앙에 기립 형성되어 있다.
구동축실링안착부(68)는 수집통안착공간부(63)의 바닥부 저면에서 개폐가능한 중공(中空)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면과 저면에는 구동축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구동축실링안착부(68)에는 구동축실링부재(68a)가 장착된다.
기어안착공간지지홈부(69)는 기어안착공간마개부(64b)에 3개가 기립 형성되어 있다.
기어안착공간지지홈부(69)중 2개는 중간축원동스퍼기어(111b)와 방향전환원동스퍼기어(123)를 지지할 수 있도록 나머지 1개(구동촉종동스퍼기어를 지지함)보다 큰 높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찌꺼기안내슈트(70)는 수직방향찌꺼기배출공(62b)에 연결되어 있다.
즙안내슈트(71)는 수직방향즙배출공(62a)에 연결되어 있다.
수직방향가공통개폐판부(72)는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62)의 개구영역을 밀폐하도록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62)에 결합된다.
그리고 수직방향가공통개폐판부(72)는 저면에 캡지지홈(7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직방향가공통개폐판부(72)는 양 측면에 수직방향개폐판축걸림홈(72b)과 수직방향개폐판레버걸림홈(72c)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수직방향개폐판축걸림홈(72b)은 반원단면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수직방향개폐판레버걸림홈(72c)은 수직방향개폐판축걸림홈(72b)에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직방향가공통(60)은 하우징(11)이 수직방향지지면(11b)을 통해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을 때 지지축바디부(12a)가 수직방향가공통바디축걸림홈(62c)과 수직방향개폐판축걸림홈(72b)에 안착하고 지지레버(12b)가 수직방향개폐판레버걸림홈(72c)에 안착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수직방향가공통(60)의 설치는 밀폐판축공(61a)을 통해 구동축(21)이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62)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수직방향투입관(19)은 수직방향가공공간(62d)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수직방향압착통(80)은 상호 나란하도록 연결된 다수의 링형태 수직방향압착프레임(81)과, 수직방향압착프레임(81)에 결합된 수직방향압착관(82)과, 수직방향압착프레임(81)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재료안내깔때기부(83) 및 찌꺼기수집통(90)을 갖고 있다.
수직방향압착프레임(81)은 위쪽에 위치할수록 점점 직경이 증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직방향압착관(82)에는 다수의 수직방향즙통과공(82a)이 형성되어 있다.
찌꺼기수집통(90)은 폐루프형태의 수집통측면부(91)와, 수집통측면부(9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 형태를 이루도록 수집통측면부(9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수집통바닥면부(92)를 갖고 있다.
수집통측면부(91)는 3개의 안착돌부(91a)와 찌꺼기안내공(91b)이 형성되어 있다.
찌꺼기안내공(91b)은 수집통바닥면부(92)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집통바닥면부(92)는 중앙영역에 수집통축통과공(9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직방향압착통(80)은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62)의 내부에서 구동축통과관(67)이 수집통축통과공(92a)을 통과하고, 안착돌부(91a)가 안착요홈(63a)에 진입하며, 수집통바닥면부(92)의 저면이 수집통안착공간부(63)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수직방향압착통(80)이 설치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수직방향압착부(101)와 수직방향압착관(82)에 의해 착즙재료가 압착되면서 생성되는 찌꺼기는 수집통바닥면부(92)에 수집된 후, 찌꺼기안내공(91b)을 통해 수직방향찌꺼기안내유로부(16)로 안내된다.
한편 수직방향압착통(80)이 설치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수직방향압착부(101)와 수직방향압착관(82)에 의해 착즙재료가 압착되면서 생성되는 즙은 수직방향즙통과공(82a)을 통과해서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61)의 상면에 수집된 후 수직방향즙안내유로부(17)로 안내된다.
수직방향찌꺼기안내유로부(16)는 수직방향압착통(80)이 설치될 때 찌꺼기안내공(91b)과 수직방향찌꺼기배출공(62b) 사이를 연결하는 관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직방향찌꺼기안내유로부(16)에 의해 찌꺼기안내공(91b)을 통과한 찌꺼기는 찌꺼기안내슈트(70)로 안내될 수 있다.
수직방향즙안내유로부(17)는 즙안내개구(62b)와 수직방향즙배출공(62a) 사이영역에서 디귿자 단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직방향즙안내유로부(17)는 바닥면이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61)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직방향즙안내유로부(17)에 의해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61)의 상면에 수집되는 즙은 즙안내슈트(71)로 안내될 수 있다.
수직방향분쇄가공체(18)는 폐루프 형태의 날지지프레임(18a)과, 날지지프레임(18a)의 내주면에 결합된 3개의 수직방향분쇄날(18b)과, 수직방향분쇄날(18b)의 종단에 결합된 축지지관(18c)을 갖고 있다.
날지지프레임(18a)에는 4개의 걸림홈(18d)이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수직방향분쇄날(18b)은 종단이 축지지관(18c)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직방향분쇄날(18b)은 날지지프레임(18a)의 중심을 향해 배치된다.
그리고 각 수직방향분쇄날(18b)은 각 수직방향분쇄날(18b)의 날부는 볼록한 곡선형태(도17 참조) 또는 오목한 곡선형태(도18 참조)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각 수직방향분쇄날(18b)은 단차를 갖도록 날지지프레임(18a)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있다(도17 및 도18 참조).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직방향분쇄가공체(18)는 걸림홈(18d)과 후술하는 걸림돌기(134a)의 상호작용에 의해 분쇄날지지링(13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수직방향분쇄날(18b)이 수직방향가공통개폐판부(72)와 수직방향압착통(80)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날지지프레임(18a)이 회전가능하게 된다.
수직방향압착가공체(100)는 외표면에 스크류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방향압착부(101)와, 수직방향압착부(101)에 결합된 연결축(102)과, 연결축(102)에 결합된 안내날개부(103)와, 연결축(102)의 상단에 결합된 엔드캡(104)을 갖고 있다.
수직방향압착부(101)에는 저면으로부터 상부실링홈(101a), 팔각축홈(101b) 및 구동축고정홈(101c)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실링홈(101a)에는 상부실링부재(101d)가 설치된다.
안내날개부(103)는 나선형태의 안내날개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안내날개부(103)는 안내날개가 수직방향압착부(101)의 스크류치형에 연결되도록 연결축(102)에 결합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수직방향압착가공체(100)는 구동축통과관(67)이 상부실링홈(101a)에 진입하고, 구동축고정홈(101c)에 구동축(21)의 상단이 진입되며, 팔각축홈(101b)에 팔각축부(21f)가 진입하도록 구동축(21)에 결합된다.
그리고 수직방향압착가공체(100)는 수직방향압착부(101)가 수집통바닥면부(92)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수직방향압착부(101)는 수직방향압착통(8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또한 수직방향압착가공체(100)는 연결축(102)이 축지지관(18c)을 통과하고 엔드캡(104)이 캡지지홈(72a)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분쇄날전동부(110)는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61)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중간축(111a)을 갖는 중간전동부(111)와, 구동축(21)의 회전력을 중간축(111a)으로 전달하는 구동축전동부(120)와, 중간축(111a)의 회전력을 수직방향분쇄날(18b)에 전달하는 분쇄날지지체(130)를 갖고 있다.
중간전동부(111)는 중간축(111a)에 더하여 중간축(111a)에 각각 결합된 중간축원동스퍼기어(111b) 및 중간축종동스퍼기어(111c)를 갖고 있다.
중간축(111a)은 구동축(21)에 나란하도록 설치된다.
중간축종동스퍼기어(111c)는 수직방향가공통(60)의 내부에서 중간축(111a)에 결합된다.
중간축원동스퍼기어(111b)는 수직방향가공통(60)의 하측에서 중간축(111a)에 결합되고, 일단이 기어안착공간지지홈부(69)의 하나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구동축전동부(120)는 구동축(21)에 결합된 구동축원동스퍼기어(121)와, 구동축원동스퍼기어(121)에 치합하도록 설치된 구동축종동스퍼기어(122)와, 구동축종동스퍼기어(122)의 기어축에 형성된 방향전환원동스퍼기어(123)와, 방향전환원동스퍼기어(123)와 중간축원동스퍼기어(111b)에 치합하도록 설치된 방향전환종동스퍼기어(124)를 갖고 있다.
구동축원동스퍼기어(121)는 중앙에 동력전달돌기(21b)에 대응하는 동력전달홈(1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구동축원동스퍼기어(121)는 동력전달홈(121a)에 동력전달돌기(21b)가 삽입되도록 구동축(21)에 결합된다.
구동축종동스퍼기어(122)는 일단이 기어안착공간지지홈부(69)의 하나에 지지되도록(베어링을 통해) 설치된다.
방향전환원동스퍼기어(123)는 구동축종동스퍼기어(122)에 대하여 동일한 축선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방향전환원동스퍼기어(123)는 밀폐판지지홈부(65)의 하나에 지지되도록(베어링을 통해) 설치된다.
방향전환종동스퍼기어(124)는 양단이 기어안착공간지지홈부(69)의 하나와 밀폐판지지홈부(65)의 하나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구동축전동부(120)에 의해 구동축(21)의 회전력이 중간축(111a)에 전달된다.
분쇄날지지체(130)는 중앙에 압착통통과공(131c)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131)과, 지지판(131)의 둘레연부로부터 폐루프를 이루도록 절곡 형성된 분쇄날지지체기어(132)와, 압착통통과공(131c)의 둘레영역에서 지지판(131)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지지벽(133)과, 지지벽(133)의 상단에 결합된 폐루프형태의 분쇄날지지링(134)을 갖고 있다.
지지판(131)에는 즙안내공(131a)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하부청소부재고정홈(131b)이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분쇄날지지체기어(132)는 내주면에 폭방향을 따라 치형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벽(133)은 내경이 점점 증가하도록 형성된 하부지지벽부(133a)와, 하부지지벽부(133a)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상향경사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된 상부지지벽부(133b)를 갖고 있다.
하부지지벽부(133a)에는 청소부재장착홈(133c)과 상부청소부재고정홈(133d)이 형성되어 있다.
분쇄날지지링(134)은 상면에 4개의 걸림돌기(134a)가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분쇄날지지체(130)는 분쇄날지지체기어(132)가 중간축종동스퍼기어(111c)에 치합하고, 압착통통과공(131c)에 수직방향압착통(80)이 진입하고, 분쇄날지지체기어(132)의 하단이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61)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수직방향가공통(60)의 내부에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분쇄날전동부(110)에 의해 구동축(21)의 회전력이 날지지프레임(18a)으로 전달됨으로써, 구동축(21)이 회전하면 수직방향분쇄날(18b)도 회전하게 된다.
각 청소부재(161)는 탄성재질의 탄성편(161a)과, 탄성편(161a)을 지지하는 탄성편홀더(161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청소부재(161)는 탄성편(161a)이 청소부재장착홈(133c)을 통과해서 수직방향즙통과공(82a)에 탄성 접촉한 상태에서 탄성편홀더(161b)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부청소부재고정홈(133d)과 하부청소부재고정홈(131b)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즙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착즙재료의 종류에 따라 하우징(11)을 수평방향지지면(11a) 또는 수직방향지지면(11b)이 지면에 접촉하도록 설치한다.
하우징(11)이 수평방향지지면(11a)을 통해 지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평방향분쇄통(13), 수평방향배출통(30), 수평방향압착통(40), 수평방향원동가공체(50) 및 수평방향종동가공체(15)를 설치한다.
다음에 온오프스위치(162)를 온상태로 조작하여 구동부(20)에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축(21)은 회전한다.
구동축(21)이 회전하면, 수평방향원동가공체(50)와 수평방향종동가공체(15)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에 수평방향투입관(14)을 통해 재료(야채 또는 과일)를 투입한다.
수평방향투입관(14)을 통해 투입된 착즙재료는 수평방향원동분쇄부(51)와 수평방향종동분쇄부(15a)에 의해 분쇄된 후 수평방향압착관(42)의 내부로 진입한다.
수평방향압착관(42)의 내부로 진입한 착즙재료는 수평방향원동압착부(52)와 수평방향압착관(42)에 의해 압착되어 즙과 찌꺼기가 생성된다.
생성된 즙은 수평방향즙통과공(42a)과 수평방향즙배출공(31b)을 통해 수납컵(도시되지 않음)으로 낙하하고, 찌꺼기는 수평방향찌꺼기배출공(31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하우징(11)이 수직방향지지면(11b)을 통해 지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직방향가공통(60), 수직방향압착통(80), 수직방향분쇄가공체(18) 및 수직방향압착가공체(100)를 설치한다.
다음에 온오프스위치(162)를 온상태로 조작하여 구동부(20)에 전원을 공급하면, 구동축(21)은 회전한다.
구동축(21)이 회전하면 수직방향압착가공체(100), 분쇄날지지체(130) 및 수직방향분쇄날(18b)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분쇄날지지체(130)와 수직방향분쇄날(18b)은 방향전환원동스퍼기어(123)와 방향전환종동스퍼기어(124)에 의해 수직방향압착가공체(10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에 수직방향투입관(19)을 통해 재료(야채 또는 과일)를 투입한다.
수직방향투입관(19)을 통해 투입된 착즙재료는 수직방향분쇄날(18b)에 의해 분쇄된 후 수직방향압착관(82)의 내부로 진입한다.
수직방향압착관(82)의 내부로 진입한 착즙재료는 수직방향압착부(101)와 수직방향압착관(82)에 의해 압착되어 즙과 찌꺼기가 생성된다.
생성된 즙은 수직방향즙통과공(82a), 즙안내공(131a)을 통해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61)의 상면으로 안내된 후, 수직방향즙안내유로부(17), 수직방향즙배출공(62a) 및 즙안내슈트(71)를 거쳐 수납컵(도시되지 않음)으로 낙하한다.
그리고 생성된 찌꺼기는 수직방향압착관(82)의 하단을 통해 찌꺼기수집통(90)의 내부로 안내된 후, 수집통바닥면부(92), 찌꺼기안내공(91b), 수직방향찌꺼기안내유로부(16), 수직방향찌꺼기배출공(62b) 및 찌꺼기안내슈트(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분쇄날지지체(130)가 수직방향압착가공체(10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청소부재(161)에 의해 수직방향즙통과공(82a)에 끼어있는 찌꺼기가 제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축(21)이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착즙재료를 분쇄하고 압착하는 수평방향원동분쇄부(51)와 수평방향원동압착부(52)에 더하여 구동축(21)이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착즙재료를 분쇄하고 압착하는 수직방향분쇄가공체(18)와 수직방향압착가공체(100)를 추가하고 구동축(21)의 회전력을 수직방향분쇄가공체(18)와 수직방향압착가공체(10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착즙재료에 따라 착즙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직방향압착통(8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분쇄날전동부(110)를 구성함으로써, 수직방향압착관(82)과 수직방향압착가공체(100) 사이로 분쇄된 착즙재료가 빠르고 고르게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착즙효율이 향성된다.
또한 수직방향압착가공체(100)와 수직방향압착통(8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축전동부(120)를 구성함으로써, 착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수직방향압착통(80)에 대한 수직방향압착가공체(100)의 상대적 회전속도가 커져 착즙량이 증가됨).
또한 탄성편(151a)이 수직방향즙통과공(82a)에 탄성 접촉하는 청소부재(161)를 추가함으로써, 착즙동작과 함께 수직방향압착통(80)의 청소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착즙효율이 향상된다(수직방향즙통과공에 끼는 찌꺼기가 즉시 제거됨).
또한 안내날개부(103)를 포함하도록 수직방향압착가공체(100)를 구성함으로써, 수직방향분쇄가공체(18)에 의해 분쇄된 착즙재료가 수직방향압착통(80)의 내부에 골고루 분배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착즙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수직방향분쇄날(18b)이 복수 개가 단차를 갖도록 날지지프레임(18a)의 내주면에 결합하거나 또는 수직방향분쇄날(18b)의 날부를 볼록한 곡선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수직방향분쇄날(18b)의 날부를 오목한 곡선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수직방향분쇄날(18b)의 분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1, 211 : 하우징 12, 212 : 지지축
13 : 수평방향분쇄통 14 : 수평방향투입관
15 : 수평방향종동가공체 16 : 수직방향찌꺼기안내유로부
17 : 수직방향즙안내유로부 18 : 수직방향분쇄가공체
19 : 수직방향투입관 20, 220 : 구동부
21, 211 : 구동축 30 : 수평방향배출통
31 :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 32 : 수평방향배출통바디부
40 : 수평방향압착통 41 : 수평방향압착프레임
42 : 수평방향압착관 50 : 수평방향원동가공체
51 : 수평방향원동분쇄부 52 : 수평방향원동압착부
53 : 수평방향원동축부 54 : 재료안내홈부
60 : 수직방향가공통 61 :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
62 :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 63 : 수집통안착공간부
64 : 기어안착공간부 65 : 밀폐판지지홈부
66 : 중간축실링안착부 67 : 구동축통과관
68 : 구동축실링안착부 69 : 기어안착공간지지홈부
70 : 찌꺼기안내슈트 71 : 즙안내슈트
72 : 수직방향가공통개폐판부 80 : 수직방향압착통
81 : 수직방향압착프레임 82 : 수직방향압착관
83 : 재료안내깔때기부 90 : 찌꺼기수집통
91 : 수집통측면부 92 : 수집통바닥면부
100 : 수직방향압착가공체 101 : 수직방향압착부
102 : 연결축 103 : 안내날개부
104 : 엔드캡 110 : 분쇄날전동부
111 : 중간전동부 120 : 구동축전동부
121 : 구동축원동스퍼기어 122 : 구동축종동스퍼기어
123 : 방향전환원동스퍼기어 124 : 방향전환종동스퍼기어
130 : 분쇄날지지체 131 : 지지판
132 : 분쇄날지지체기어 133 : 지지벽
134 : 분쇄날지지링 161 : 청소부재
162, 262 : 온오프스위치 240 : 분쇄압착통
241 : 분쇄통부 242 : 압착통부
250 : 배출통 260 : 압착보조통
270 : 원동가공체 271 : 원동헬리컬기어부
272 : 원동스크류기어부 280 : 종동가공체

Claims (8)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 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 구동축을 갖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축의 양 측에 하나씩 배치되고 각각 상기 구동축에 나란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축을 갖는 착즙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구동축이 지면에 수평으로 배치될 때 지면에 접촉하는 수평방향지지면과 상기 구동축이 지면에 수직으로 배치될 때 지면에 접촉하는 수직방향지지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수평방향분쇄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수평방향지지면을 통해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을 때 상기 수평방향분쇄공간이 상기 구동축의 전방에서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태로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평방향분쇄통과, 수평방향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와 상기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의 수평방향배출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로부터 절곡 형성되고 수평방향즙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방향배출통바디부를 가지고 상기 수평방향즙배출공이 지면을 향하고 상기 수평방향배출통바디부가 상기 수평방향분쇄공간에 연통한 상태로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평방향배출통과, 절두된 고깔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의 수평방향즙통과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방향배출통바디부의 내부에서 상기 수평방향분쇄공간과 상기 수평방향즙통과공에 연통하고 협개구(狹開口)가 상기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를 향한 상태로 양단이 상기 수평방향배출통밀폐판부와 상기 수평방향분쇄통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평방향압착통과, 외표면에 헬리컬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방향원동분쇄부와 상기 수평방향원동분쇄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외표면에 스크류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방향원동압착부를 가지고 상기 수평방향원동분쇄부가 상기 수평방향분쇄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방향원동압착부가 상기 수평방향압착통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수평방향원동분쇄부를 통해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수평방향원동가공체와, 외표면에 헬리컬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방향종동분쇄부를 가지고 상기 수평방향종동분쇄부가 상기 수평방향분쇄공간에서 상기 수평방향원동분쇄부에 치합하고 양단이 각각 상기 수평방향압착통과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평방향종동가공체와, 중심에 축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와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에 인접한 영역에 수직방향즙배출공과 수직방향찌꺼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와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의 중앙영역에 요형을 이루도록 형성된 수집통안착공간부와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의 개구영역을 밀폐하도록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방향가공통개폐판부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수직방향지지면을 통해 지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을 때 상기 축공을 통해 상기 구동축이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로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와 상기 수직방향가공통개폐판부가 각각 상기 지지축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직방향가공통과, 절두된 고깔 형태로 형성되고 다수의 수직방향즙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방향압착관과 상기 수직방향압착관의 협개구(狹開口)에 연통하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상기 수직방향압착관으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측면에는 찌꺼기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찌꺼기수집통을 가지고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바디부의 내부에서 상기 찌꺼기수집통이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를 향한 상태로 상기 수집통안착공간부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수직방향압착통과, 상기 찌꺼기안내공을 통해 배출되는 찌꺼기를 상기 수직방향찌꺼기배출공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수직방향가공통에 형성된 수직방향찌꺼기안내유로부와, 상기 수직방향즙통과공을 통해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로 낙하하는 즙을 상기 수직방향즙배출공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수직방향가공통에 형성된 수직방향즙안내유로부와, 폐루프 형태의 날지지프레임과 상기 날지지프레임의 중심을 향해 배치되도록 상기 날지지프레임의 내주면에 결합된 수직방향분쇄날을 가지고 상기 수직방향분쇄날이 상기 수직방향가공통개폐판부와 상기 수직방향압착통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날지지프레임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직방향분쇄가공체와, 외표면에 스크류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방향압착부를 가지고 상기 수직방향압착부가 상기 수직방향압착통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로 상기 수직방향압착부의 하단이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수직방향압착가공체와,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날지지프레임로 전달하는 분쇄날전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전동부는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를 관통하고 상기 구동축에 나란하도록 설치된 중간축과 상기 수직방향가공통의 하측에서 상기 중간축에 결합된 중간축원동스퍼기어와 상기 수직방향가공통의 내부에서 상기 중간축에 결합된 중간축종동스퍼기어를 갖는 중간전동부와, 상기 구동축에 결합된 구동축원동스퍼기어를 가지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중간축에 전달하는 구동축전동부와, 중앙에 압착통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둘레연부로부터 폐루프를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고 내주면에 폭방향을 따라 치형이 형성되어 있는 분쇄날지지체기어와 상기 압착통통과공의 둘레영역에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기립 형성된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의 상단에 결합된 폐루프형태의 분쇄날지지링을 가지고 상기 분쇄날지지체기어가 상기 중간축종동기어에 치합하고 상기 분쇄날지지체기어의 하단이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방향가공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쇄날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방향분쇄가공체는 상기 날지지프레임을 통해 상기 분쇄날지지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직방향압착통은 하단이 상기 압착통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수직방향가공통밀폐판부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전동부는 상기 구동축원동스퍼기어에 치합하도록 설치된 구동축종동스퍼기어와, 상기 구동축종동스퍼기어에 대하여 동일한 축선을 갖도록 상기 구동축종동스퍼기어의 기어축에 형성된 방향전환원동스퍼기어와, 상기 방향전환원동스퍼기어와 상기 중간축원동스퍼기어에 치합하도록 설치된 방향전환종동스퍼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4. 제2항에 있어서,
    탄성재질의 탄성편을 가지고 상기 탄성편이 상기 수직방향즙통과공에 탄성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벽에 고정된 청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압착가공체는 상기 수직방향압착부에 결합된 연결축과 나선형태의 안내날개를 가지고 상기 안내날개가 상기 수직방향압착부의 스크류치형에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축에 결합된 안내날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분쇄날은 복수 개가 단차를 갖도록 상기 날지지프레임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분쇄날은 날부가 볼록한 곡선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날부가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날지지프레임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방향분쇄날은 날부가 오목한 곡선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날부가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날지지프레임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
KR1020110078834A 2011-08-09 2011-08-09 착즙기 KR101267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834A KR101267801B1 (ko) 2011-08-09 2011-08-09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834A KR101267801B1 (ko) 2011-08-09 2011-08-09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748A true KR20130016748A (ko) 2013-02-19
KR101267801B1 KR101267801B1 (ko) 2013-05-31

Family

ID=4789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834A KR101267801B1 (ko) 2011-08-09 2011-08-09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8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153A1 (ko) * 2014-11-25 2016-06-02 최길윤 착즙기
WO2016089108A1 (ko) * 2014-12-04 2016-06-09 주식회사 엔젤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RU2756050C1 (ru) * 2020-03-05 2021-09-24 Анджел Ко., Лтд. Сокоотжимная машин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40B1 (ko) 2006-06-21 2007-09-05 김영기 착즙주스기
KR200437750Y1 (ko) 2007-01-15 2007-12-27 주식회사 그린파워켐포 착즙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5153A1 (ko) * 2014-11-25 2016-06-02 최길윤 착즙기
WO2016089108A1 (ko) * 2014-12-04 2016-06-09 주식회사 엔젤 착즙 성능이 향상된 착즙기
RU2756050C1 (ru) * 2020-03-05 2021-09-24 Анджел Ко., Лтд. Сокоотжимная машин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801B1 (ko) 201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850B1 (ko) 주서 모듈
KR20120012040A (ko) 망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483171Y1 (ko) 신속하고 자동적으로 공급되는 압착 유형 주스 추출기
KR20110138108A (ko) 브러쉬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471831Y1 (ko) 분쇄장치가 구비된 착즙기
KR101267801B1 (ko) 착즙기
KR101480934B1 (ko) 전동식 푸드 그레이터
KR20110138107A (ko) 유성기어조립체를 포함하는 주서기
KR200437750Y1 (ko) 착즙기
WO2018006609A1 (zh) 挤压螺杆、挤压组件及食物料理机
KR100308413B1 (ko) 다용도 액즙(液汁) 추출기
KR20190022835A (ko) 드라이브모듈 및 음식물 조리기기
KR102125788B1 (ko) 스파이럴 헤드, 분쇄모듈 및 푸드프로세서
KR20120014348A (ko) 착즙기
CN107581931B (zh) 挤压螺杆、挤压组件及食物料理机
KR200322266Y1 (ko) 착즙 분쇄기
CN215077444U (zh) 食品料理机
KR101267805B1 (ko) 착즙기
KR200466655Y1 (ko) 착즙기
KR101267806B1 (ko) 착즙기
KR20170033141A (ko) 채소 분쇄장치
KR200463923Y1 (ko) 착즙기
KR200362953Y1 (ko) 착즙기
KR101580558B1 (ko) 주서기의 착즙모듈
KR200463924Y1 (ko)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