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3802A - 차량용 비상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비상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3802A
KR20130013802A KR1020110075626A KR20110075626A KR20130013802A KR 20130013802 A KR20130013802 A KR 20130013802A KR 1020110075626 A KR1020110075626 A KR 1020110075626A KR 20110075626 A KR20110075626 A KR 20110075626A KR 20130013802 A KR20130013802 A KR 20130013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vehicle
pad
wheel
roa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7745B1 (ko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김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호 filed Critical 김정호
Priority to KR1020110075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7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3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1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otherwise than by retarding wheels, e.g. jet action
    • B60T1/14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otherwise than by retarding wheels, e.g. jet action directly on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9/00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9/02Vehicle fittings for scattering or dispensing material in front of its wheels
    • B60B39/12Vehicle fittings for scattering or dispensing material in front of its wheels the material being sheet-like or web-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제동장치에 고장이 발생되었거나, 차량의 제동장치로는 차량을 충분히 제동시키기 어려운 상황에서 차량을 효과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비상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제동장치는 차량의 제동장치(3,4)가 고장나거나 제동장치(3,4)가 충분한 제동력을 발휘하기 어려울 때 제어유닛(3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장치(20)가 작동되어 제동패드(10)를 차량의 바퀴(2)와 노면(5) 사이에 끼워 넣어, 제동패드(10)의 마찰력에 의해 제동력이 발휘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을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비상제동장치{EMERGENCY BRA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의 제동장치에 고장이 발생되었거나, 차량의 제동장치로는 차량을 충분히 제동시키기 어려운 상황에서 차량을 효과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비상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제동장치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원할 때 차량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동장치는 차량의 운전석에 설치된 브레이크페달과, 바퀴에 연결되며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으면 작동되어 바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유닛으로 구성되어,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으면 이에 연동하여 제동유닛이 바퀴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이에 따라 바퀴와 도로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되어 차량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동장치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차량용 브레이크는 언제든지 고장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의 바퀴는 내구성을 비롯한 다양한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제작되므로 형태와 재질에 제한이 있으며, 원형의 바퀴와 노면 사이의 접촉면적이 매우 작으므로, 바퀴와 노면 사이의 마찰력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제동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을 급정지시킬 때 바퀴가 미끄러져 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특히, 눈이나 빗물이 있는 곳이나 모래나 흙이 깔려 있는 곳에서는 바퀴와 노면 사이의 마찰력이 매우 작아지므로 바퀴가 더욱 쉽게 미끄러져 사고가 발생되는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페달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차량의 풋브레이크 뿐만 아니라, 차량이 정차 또는 주차된 상태에서 사용하는 주차브레이크에도 동일하게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의 제동장치에 고장이 발생되었거나, 차량의 제동장치로는 차량을 충분히 제동시키기 어려운 상황에서 차량을 효과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비상제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측에 구비된 바퀴(2)와, 상기 바퀴(2)를 제동하는 제동장치(3,4)를 포함하는 차량에 장착되되, 상기 바퀴(2)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는 제동패드(10)와, 상기 제동패드(10)와 연결되어 제동패드(10)를 전후진시켜 제동패드(10)가 바퀴(2)와 노면(5) 사이로 삽입되도록 하는 구동장치(20)와, 상기 구동장치(20)에 연결되어 구동장치(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제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동패드(10)는 플렉시블하면서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제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다르면, 상기 제동패드(10)는 노면(5)과 밀착되는 하측면은 마찰계수가 높고, 차량의 바퀴(2)가 밀착되는 상측면은 하측면에 비해 마찰계수가 낮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제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유닛(30)은 차량의 제동장치(3,4)에 연결되어 제동장치(3,4)의 고장 또는 제동력 부족이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장치(2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제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구동장치(20)는 상기 본체(1)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바퀴(2)와 노면(5) 사이의 공간을 향하는 개구부(24a)가 형성된 하우징(24)과, 상기 하우징(24)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면에 상기 제동패드(10)가 권취되는 권취롤(25)과, 상기 권취롤(25)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유닛(30)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권취롤(25)을 정, 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26)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패드(10)는 기단부가 상기 권취롤(25)에 고정되며 상기 권취롤(25)이 정, 역회전됨에 따라 권취롤(25)에서 풀려 나와 상기 개구부(24a)를 통과하여 바퀴(20)와 노면(5)의 사이로 삽입되거나 권취롤(25)에 감겨 하우징(24)의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제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장치(20)는 선단부가 상기 바퀴(2)와 노면(5) 사이의 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본체(1)에 설치된 슬라이딩가이드(21)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동패드(10)가 고정되는 슬라이딩블록(22)과, 상기 슬라이딩블록(22) 또는 제동패드(1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유닛(30)의 신호에 따라 제동패드(10)를 전후진시켜 제동패드(10)가 바퀴(2)와 노면(5) 사이로 삽입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제동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제동장치는 차량의 제동장치(3,4)가 고장나거나 제동장치(3,4)가 충분한 제동력을 발휘하기 어려울 때 제어유닛(3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장치(20)가 작동되어 제동패드(10)를 차량의 바퀴(2)와 노면(5) 사이에 끼워 넣어, 제동패드(10)의 마찰력에 의해 제동력이 발휘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을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제동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제동장치의 제동패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제동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제동장치를 도시한 회로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제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제동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제동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제동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제동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제동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제동장치(3,4)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제동장치(3,4)의 제동력이 부족할 경우 작동되어 차량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차량은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측에 구비된 바퀴(2)와, 상기 바퀴(2)를 제동시키는 제동장치(3,4)가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상기 제동장치(3,4)는 차량의 운전석에 설치된 브레이크페달(3)과, 상기 바퀴(2)에 연결되며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3)을 밟으면 작동되어 바퀴(2)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동유닛(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비상제동장치는 상기 바퀴(2)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동패드(10)와, 상기 제동패드(10)와 연결되어 제동패드(10)를 전후진시켜 제동패드(10)가 바퀴(2)와 노면(5) 사이로 삽입되도록 하는 구동장치(20)와, 상기 구동장치(20)에 연결되어 구동장치(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동패드(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길고 두께가 얇은 매트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노면(5)과 밀착되는 하측면은 마찰계수가 높고, 차량의 바퀴(2)가 밀착되는 상측면은 마찰계수가 낮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동패드(10)는 마찰계수가 높고 플렉시블한 고무재질로 구성된 하부패드(11)와, 마찰계수가 낮고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패드(11)의 상면을 덮는 상부패드(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동패드(10)의 폭은 차량의 바퀴(20)의 폭에 비해 조금 넓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동패드(10)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돌기(13)가 형성되어, 제동패드(10)와 노면(5) 사이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장치(20)는 상기 본체(1)에 설치된 하우징(24)과, 상기 하우징(24)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권취롤(25)과, 상기 권취롤(25)에 연결된 구동모터(26)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24)은 차량의 폭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퀴(2)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본체(1)의 하측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된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바퀴(2)와 노면(5) 사이의 공간을 향하는 개구부(24a)가 형성된다.
상기 권취롤(25)은 상기 하우징(24)의 내부에 차량의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둘레면에는 상기 제동패드(10)가 권취된다. 이때, 상기 제동패드(10)의 기단부는 상기 권취롤(25)의 둘레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제동패드(10)의 선단부는 상기 개구부(24a)에 걸쳐지도록 배치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26)로 권취롤(25)을 정회전시켜 제동패드(10)를 풀어내면, 제동패드(10)의 선단부가 개구부(24a)를 통해 바퀴(2)와 노면(5) 사이로 연장된다.
상기 구동모터(2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롤(25)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유닛(30)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권취롤(25)을 정, 역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6)를 정회전시키면, 상기 권취롤(25)에 권취된 제동패드(10)가 풀려나오면서 제동패드(10)의 선단부가 바퀴(2)와 노면(5) 사이로 삽입되고, 구동모터(26)를 역회전시키면, 제동패드(10)가 권취롤(25)의 둘레면에 감기면서 제동패드(10)가 하우징(24)의 내부로 수납된다.
상기 제어유닛(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동장치(3,4)에 연결되어 제동장치(3,4)의 고장 또는 제동력 부족이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장치(20)의 구동모터(26)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유닛(30)에는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3)을 밟는 것을 감지하는 페달감지센서(31)와, 바퀴(2)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32)가 연결되어,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3)을 밟은 상태에서 바퀴(2)가 비정상적인 상태로 회전될 경우, 즉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3)을 밟았음에도 불구하고 바퀴(2)의 회전속도가 대응하여 낮아지지 않거나, 비정상적으로 빠른 속도로 바퀴(2)의 회전속도가 낮아질 경우, 제동장치(3,4)가 고장났거나 바퀴(2)가 노면(5)에서 미끄러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모터(26)를 정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30)에는 별도의 제어스위치(33)가 연결되어, 운전자가 제어스위치(33)를 누르면, 상기 제어유닛(30)이 상기 구동모터(26)를 역회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구동모터(26)가 권취롤(25)을 역회전시켜 제동패드(10)를 감아서 제동패드(10)가 하우징(24) 내부로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페달감지센서(31)와 회전감지센서(32)를 이용한 차량의 미끄러짐 감지기능이나 고장감지기능은 차량의 자세제어장치나 ABS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자세제어장치나 ABS가 구비된 차량의 경우 상기 페달감지센서(31)와 회전감지센서(32)가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페달감지센서(31)와 회전감지센서(32)를 설치하지 않고, 자세제어장치나 ABS의 것을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비상제동장치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동패드(10)는 상기 권취롤(25)에 감겨 하우징(24)의 내부에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30)은 상기 페달감지센서(31)와 회전감지센서(32)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3)을 밟은 상태에서 제동장치(3,4)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유닛(30)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모터(26)가 정회전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동패드(10)가 권취롤(25)에서 풀려 나와 상기 개구부(24a)를 통해 바퀴(2)와 노면(5) 사이로 연장되고, 이와 같이 연장된 제동패드(10)의 선단부가 바퀴(2)와 노면(5) 사이에 끼워져 바퀴(2)에 의해 눌려지고 그에 따라 노면(5)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휘함으로써, 차량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차량의 제동장치(3,4)에 고장이 발생되거나, 모래나 얼음 또는 눈에 의해 차량의 바퀴(2)가 미끄러져 정상적인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제동패드(10)를 바퀴(2)와 노면(5) 사이에 끼워 안정적으로 차량을 정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제동패드(10)는 재질이나 형태에 한계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극히 좁은 면적만이 노면(5)과 접촉되는 바퀴(2)와 달리 넓은 면적으로 노면(5)과 접촉되므로, 마찰력을 극대화시켜 차량을 더욱 안정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동패드(10)는 플렉시블하면서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제동시 차량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는 노즈다운(nose down)이 발생되어 타이어가 본체(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제동패드(10)가 상하방향으로 휘어 변형됨으로써 이에 추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동패드(10)는 노면(5)과 밀착되는 하측면은 마찰계수가 높고, 차량의 바퀴(2)가 밀착되는 상측면은 마찰계수가 낮게 구성되어, 차량의 제동장치(3,4)에 고장이 발생되지 않고 바퀴(2)가 노면(5)에서 미끄러지는 경우에도 차량의 바퀴(2)와 노면(5) 사이에 제동패드(10)가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제동패드(10)의 상측면의 마찰계수가 높을 경우, 차량의 제동장치(3,4)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어 바퀴(2)가 회전되지 않도록 잠긴 상황에서 바퀴(2)와 노면(5) 사이에 제동패드(10)를 삽입하면, 제동패드(10)의 상면이 바퀴(2)에 걸려 제동패드(10)가 바퀴(2)의 하부로 잘 삽입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그런데, 본원발명에 따른 제동패드(10)는 상면의 마찰계수가 낮으므로, 바퀴(2)가 제동패드(10)의 상면에서 미끄러져 제동패드(10)가 바퀴(2)의 하측을 파고들어 손쉽게 제동패드(10)가 바퀴(2)와 노면(5) 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30)은 차량의 제동장치(3,4)에 연결되어 제동장치(3,4)의 고장 또는 제동력 부족이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장치(20)를 작동시키므로, 위험상황에서 신속하게 상기 제동패드(10)가 바퀴(2)와 노면(5) 사이로 삽입되어 차량을 제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동패드(10)가 권취롤(25)에 감긴 상태로 하우징(24)의 내부에 수납되므로, 차량용 비상제동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동패드(10)가 하우징(24)에 수납되어 비나 눈 등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아울러 차량의 주행중 튀어오르는 돌 등에 대해 보호되므로, 제동패드(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제동장치는 차량의 전륜과 후륜에 모두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전륜 또는 후륜 중에서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동패드(10)는 얇은 매트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동패드(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동패드(10)의 재질 역시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30)에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는 별도의 수동조작스위치를 연결하여, 운전자가 수동조작스위치를 눌러 상기 제동패드(10)가 바퀴(2)와 노면(5) 사이에 끼워지도록 수동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제동장치를 차량의 주차브레이크로서 적의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제동패드(10)와 구동장치(20)는 바퀴(2)의 전방에 설치되어 주행하는 도중에 제동장치(3,4)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 바퀴(2)와 노면(5) 사이에 제동패드(10)를 끼워 넣어 제동이 되도록 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동패드(10)와 구동장치(20)를 바퀴(2)의 후방에 설치하여, 바퀴(20)의 후방에서 상기 제동패드(10)를 삽입하여 차량이 후진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30)을 차량의 주차브레이크에 연결하면, 주차브레이크에 에러가 발생될 경우 작동되어 차량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동패드(10)와 구동장치(20)를 바퀴(2)의 전후방에 동시에 설치하여 차량의 전후진시 차량을 제동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구동장치(20)는 상기 본체(1)에 설치되는 슬라이딩가이드(21)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동패드(10)가 고정되는 슬라이딩블록(22)과, 상기 슬라이딩블록(22)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유닛(30)의 신호에 따라 제동패드(10)를 전후진시켜 제동패드(10)가 바퀴(2)와 노면(5) 사이로 삽입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23)로 구성되다.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는 좌우 한쌍으로 구성되어 선단부가 상기 바퀴(2)와 노면(5) 사이의 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본체(1)의 하부에 선단부가 하향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는 상호 제동패드(10)의 폭만큼 이격되어 그 사이에 상기 제동패드(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블록(22)은 좌우로 긴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양단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동패드(10)는 기단부가 상기 슬라이딩블록(22)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선단부는 상기 바퀴(2)와 노면(5) 사이의 공간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액츄에이터(23)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슬라이딩블록(22)의 일측에 결합된 리드스크류(23a)와, 상기 리드스크류(23a)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유닛(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 역회전되는 구동모터(23b)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23b)를 정, 역회전시키면 상기 리드스크류(23a)가 회전되면서 슬라이딩블록(20)과 제동패드(10)를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3b)를 정회전시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스크류(23a)에 의해 슬라이딩블록(20)과 제동패드(10)가 전진되어 제동패드(10)가 바퀴(2)와 노면(5) 사이로 삽입되며, 구동모터(23b)를 역회전시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2)와 노면(5) 사이에 삽입된 제동패드(10)가 후퇴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차량의 제동장치(3,4)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유닛(30)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모터(23b)를 정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동패드(10)가 전진되어 바퀴(2)와 노면(5) 사이로 삽입되어 제동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비상제동장치는 하우징(24)의 내부에 제동패드(10)가 감긴 채로 수납되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장치 전체를 매우 슬림하게 제작하여, 장치를 설치할 공간의 확보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제동패드(10)가 감겨지는 제1 실시예와 달리 제동패드(10)가 펴진 상태로 유지되고, 강도가 높은 재질을 이용하여 제동패드(10)를 제작할 수 있어서, 제동패드(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제동패드(10)가 감길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을 이용하여야 하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제동패드(10)가 직선적으로 펴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바퀴(2)의 승강에 추종할 수 있을 정도의 연성만 가질 수 있다면, 재질에 구애받지 않고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23)는 상기 슬라이딩블록(22)에 결합된 리드스크류(23a)와 구동모터(23b)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슬라이딩블록(22)에 연결되어 차량의 유압펌프에 의해 신축되는 유압실린더나, 차량의 배력장치에 연결되어 배력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실린더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액츄에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23)는 상기 슬라이딩블록(22)에 연결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23)를 상기 제동패드(10)에 직접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장치(20)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10. 제동패드 11. 하부패드
12. 상부패드 13. 돌기
20. 구동장치 30. 제어유닛

Claims (6)

  1.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측에 구비된 바퀴(2)와, 상기 바퀴(2)를 제동하는 제동장치(3,4)를 포함하는 차량에 장착되되,
    상기 바퀴(2)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되는 제동패드(10)와,
    상기 제동패드(10)와 연결되어 제동패드(10)를 전후진시켜 제동패드(10)가 바퀴(2)와 노면(5) 사이로 삽입되도록 하는 구동장치(20)와,
    상기 구동장치(20)에 연결되어 구동장치(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제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패드(10)는 플렉시블하면서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제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패드(10)는 노면(5)과 밀착되는 하측면은 마찰계수가 높고,
    차량의 바퀴(2)가 밀착되는 상측면은 하측면에 비해 마찰계수가 낮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제동장치.
  4. 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30)은 차량의 제동장치(3,4)에 연결되어 제동장치(3,4)의 고장 또는 제동력 부족이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장치(2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제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구동장치(20)는 상기 본체(1)에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바퀴(2)와 노면(5) 사이의 공간을 향하는 개구부(24a)가 형성된 하우징(24)과,
    상기 하우징(24)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면에 상기 제동패드(10)가 권취되는 권취롤(25)과,
    상기 권취롤(25)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유닛(30)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권취롤(25)을 정, 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26)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패드(10)는 기단부가 상기 권취롤(25)에 고정되며 상기 권취롤(25)이 정, 역회전됨에 따라 권취롤(25)에서 풀려 나와 상기 개구부(24a)를 통과하여 바퀴(20)와 노면(5)의 사이로 삽입되거나 권취롤(25)에 감겨 하우징(24)의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제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20)는 선단부가 상기 바퀴(2)와 노면(5) 사이의 공간을 향하도록 상기 본체(1)에 설치된 슬라이딩가이드(21)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동패드(10)가 고정되는 슬라이딩블록(22)과,
    상기 슬라이딩블록(22) 또는 제동패드(10)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유닛(30)의 신호에 따라 제동패드(10)를 전후진시켜 제동패드(10)가 바퀴(2)와 노면(5) 사이로 삽입되도록 하는 액츄에이터(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제동장치.
KR1020110075626A 2011-07-29 2011-07-29 차량용 비상제동장치 KR101297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626A KR101297745B1 (ko) 2011-07-29 2011-07-29 차량용 비상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626A KR101297745B1 (ko) 2011-07-29 2011-07-29 차량용 비상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802A true KR20130013802A (ko) 2013-02-06
KR101297745B1 KR101297745B1 (ko) 2013-08-20

Family

ID=47894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626A KR101297745B1 (ko) 2011-07-29 2011-07-29 차량용 비상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74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146B1 (ko) * 2014-10-16 2015-07-22 심정래 노면지지 방식의 긴급 제동 구조물
CN109334636A (zh) * 2018-11-19 2019-02-15 长安大学 一种汽车强制制动装置及重载机动车
CN110182188A (zh) * 2019-07-02 2019-08-30 杨彩冬 冰冻路面汽车辅助制动装置及使用该系统的汽车
CN110228455A (zh) * 2019-06-12 2019-09-13 吉林大学 一种带失效保护的可调踏板感觉的制动模拟器
CN114407843A (zh) * 2022-01-21 2022-04-29 楼珵鑫 一种紧急辅助刹车系统
CN115416625A (zh) * 2022-09-29 2022-12-02 侯占雪 冰雪路面制动防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6585A (ja) * 1993-04-01 1994-10-11 Akira Kawakami 四輪自動車の非常用停止装置
KR0167917B1 (ko) * 1996-06-29 1999-01-15 한승준 자동차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
JPH1120634A (ja) * 1997-06-30 1999-01-26 Isao Nishimori 自動車用緊急制動装置
JPH11321588A (ja) * 1998-05-20 1999-11-24 Kunihiro Imai 自動車の急停止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146B1 (ko) * 2014-10-16 2015-07-22 심정래 노면지지 방식의 긴급 제동 구조물
CN109334636A (zh) * 2018-11-19 2019-02-15 长安大学 一种汽车强制制动装置及重载机动车
CN110228455A (zh) * 2019-06-12 2019-09-13 吉林大学 一种带失效保护的可调踏板感觉的制动模拟器
CN110182188A (zh) * 2019-07-02 2019-08-30 杨彩冬 冰冻路面汽车辅助制动装置及使用该系统的汽车
CN114407843A (zh) * 2022-01-21 2022-04-29 楼珵鑫 一种紧急辅助刹车系统
CN114407843B (zh) * 2022-01-21 2023-11-17 楼珵鑫 一种紧急辅助刹车系统
CN115416625A (zh) * 2022-09-29 2022-12-02 侯占雪 冰雪路面制动防滑装置
CN115416625B (zh) * 2022-09-29 2024-05-10 侯占雪 冰雪路面制动防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7745B1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745B1 (ko) 차량용 비상제동장치
US20130314222A1 (en) Electronic parking brake system and method of indicating malfunction of parking brake switch
KR102249329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JP6129553B2 (ja) ブレーキシステム
US20110018337A1 (en) Braking system with linear actuator
KR101964597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70435A (ko) 브레이크 장치
KR102596596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417867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US20150275991A1 (en) Brake actuation device
US20150152928A1 (en) Electronic parking brake
KR20130037751A (ko) 차량용 제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5280640A (ja) 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
JP2007223457A (ja) 車両制動装置
KR20120102870A (ko)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의 고장 검출방법
KR20190088667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2007091217A (ja) ブレーキブースタを備えた車両用の駐車ブレーキ及び車両のブレーキ装置
KR101272592B1 (ko) 차량용 하이브리드 브레이크
KR101240893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모터구동회로 및 그 제어방법
US5257673A (en) Braking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driven by an electric motor
JP2006160204A (ja) 電動駐車ブレーキ装置
KR101182574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985922B1 (ko) 차량 브레이크 자동 잠금 및 해제장치
KR102121567B1 (ko) 차량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1319591A (zh) 一种用于无人驾驶车辆的驻车制动装置、控制方法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