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521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521A
KR20130012521A KR1020110073801A KR20110073801A KR20130012521A KR 20130012521 A KR20130012521 A KR 20130012521A KR 1020110073801 A KR1020110073801 A KR 1020110073801A KR 20110073801 A KR20110073801 A KR 20110073801A KR 20130012521 A KR20130012521 A KR 20130012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frame
case
terminal
circuit board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6752B1 (ko
Inventor
임성근
이규호
강동국
추지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3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752B1/ko
Priority to US13/470,060 priority patent/US8885333B2/en
Priority to EP12168770.1A priority patent/EP2552086B1/en
Priority to CN201210192935.5A priority patent/CN102904986B/zh
Publication of KR20130012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H04M1/185Improving the rigidity of the casing or resistance to sh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78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the article consisting of a material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porous, britt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05/00Use of 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31Telephones, Earphones
    • B29L2031/3437Cellular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며,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케이스 및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며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메탈 프레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와 메탈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외관에 독특한 패턴을 구현하여, 개성있는 미감을 불러일으키고, 외관을 고급화한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동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단말기 내부에 실장되는 부품을 지지할 수 있는 케이스 및 프레임의 구성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왔다.
특히, 이동 단말기의 제작에 있어서, 외관의 미감을 향상시키고, 강성을 증가시키고자, 케이스 등의 외관에 특징을 주는 방안들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기존과는 다른 형태의 외관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케이스를 이종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구조를 갖으며,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단말기의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며,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케이스 및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며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메탈 프레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와 메탈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외측으로 연장되는 메탈 프레임의 노출부는 일정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와 함께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일정 패턴은, 상기 바디의 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스트라이프(stripe) 패턴이며,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패턴들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메탈 프레임은, 일면에 적층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면에는 회로기판이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된 전기 소자들을 덮도록 형성되는 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탈 프레임은 중앙 부분에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쉴드 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메탈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메탈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상기 회로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지 연결되고, 상기 메탈 프레임은 접지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상기 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의 그라운드의 일부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바디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탈 프레임은 상기 개구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에는 조작부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넥터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내 어느 일측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바디의 일부분을 주방사방향으로 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배치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메탈 프레임은 상기 안테나의 방사 효율을 저해하지 않도록, 상기 일부분을 제외한 다른 방향들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메탈 프레임은, 복수의 메탈 멤버들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메탈 멤버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되는 안테나의 방사체로 일부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모듈과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외측을 관통하며, 상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메탈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메탈 프레임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회로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외관에 독특한 패턴을 구현하여, 개성있는 미감을 불러일으키고, 외관을 고급화한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의 케이스를 이종 재질로 구현함으로써, 케이스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이종 재질의 프레임에 급전 또는 접지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여, 안테나의 방사체로도 활용할 수 있는 단말기의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
도 6a 내지 도 6c 는 케이스의 변형 실시예와 관련된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
도 7은 프레임의 변형 실시예와 관련된 프레임, 쉴드 부재 및 회로기판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케이스의 제1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케이스의 제2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실시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상기 단말기의 본체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 음향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제1 조작부(116), 음향 입력부(117)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141, 도 3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 조작부(116)는 윈도우부 상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도록 형성되는 키 영역일 수 있다. 또는 제1 조작부(116)는 윈도우부 하단에, 푸쉬 입력받을 수 있게 돔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입력부(117)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배면 측에 장착된 리어 케이스(112)에는 제2 조작부(123), 인터페이스(124), 전원 공급부(12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작부(123)는 프론트 케이스(111)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와 더불어 제2 조작부(123)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등과 같은 메뉴 등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제2 조작부(123)는 스크롤 기능 외에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부(116, 123)이 예시된 바와 같이 최소화된다면, 전화 번호나 문자 등은 디스플레이부(113)에 구비되는 터치 스크린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4)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25)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25)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어 케이스(112)에는 제2 영상 입력부(127), 제2 음향출력부(130),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1) 등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7)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7)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 입력부(127)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8)와 거울부(129)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8)는 제2 영상 입력부(127)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29)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7)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 음향출력부(130)는 제1 음향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1)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와 별도로 리어 케이스(112)의 일 측에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1)는 리어 케이스(112)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1 조작부(116) 등은 프론트 케이스(111)에, 제2 조작부(123) 등은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위치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조작부(123)가 제1 조작부(116)와 인접하게 프론트 케이스(111)에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7)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7)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11)의 일면을 덮도록 윈도우부(140)가 결합된다. 윈도우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외부에서 인지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41)의 일면을 덮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141)과 윈도우부(140)가 디스플레이부(113, 도 1 참조)를 이룬다.
윈도우부(140)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정보(명령, 신호 등)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윈도우부(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윈도우부(140)에는 빛이 투과되지 않거나 빛의 투과율이 아주 낮은 불투명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부(140)의 가장자리를 따라 빛이 투과할 수 없도록 표면 처리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제1 조작부(116)에 대응하여 조작 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작 패드는 사용자가 터치 또는 누름 조작하는 대상이 된다. 이러한 조작 패드는 윈도우부(140)의 일부분에 조작 영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음향홀, 윈도우홀, 그리고 영상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음향홀은 음향출력부(114)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이동 단말기의 음향, 예를 들어 벨소리, 음악 등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다. 윈도우홀은 디스플레이부(11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제1 영상 입력부(115, 이상 도 1 참조)에 대응하여서는 광 투과성의 영상윈도우가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21)에는 회로기판(170), 디스플레이 모듈(141), 스피커 모듈, 카메라 모듈, 그리고 스위치 등이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170)은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부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170)은 사용자가 윈도우부(140)를 터치함에 따라 발생하는 윈도우부(140)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변화, 예를 들어 정전용량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윈도우부(140)의 내부에는 전극이 내장되도록 형성된다. 전극은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극에는 전하가 충전될 수 있으며, 도전체가 가까운 거리에서 움직이면 그에 따라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의 변화할 수 있다. 도전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윈도우를 터치하면 전극에 충전된 전하량이 변하며, 이는 결국 손가락과 전극 사이의 정전용량이 변하는 것과 같다.
윈도우부(140)의 전극은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제어부, 예를 들어 회로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연성회로기판(150)이 홀(152)을 관통하여 회로기판(170, 이상 도 3 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전하량의 변화의 감지에 따라 회로기판(170)은 이동 단말기(100)와 관련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50)는 윈도우부(140)의 일단에서 연장된다. 연성회로기판(150)의 일단에는 연결부(151)가 형성되어 전극과 연결되며 타단은 커넥터에 의해 회로기판(170)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51)는 일정 강성(stiffness)와 탄성을 유지하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 케이스(111)는 단말기 바디의 측면의 대부분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 이하 편의상 케이스라고 한다.)에는 금속 재질의 프레임(180)이 노출되어 특정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으로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스트라이프(Stripe) 패턴일 수 있다.
상기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먼저 메탈 프레임(180)을 금형 내에 고정하고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케이스(111)를 제작하는 인서트 사출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케이스(111) 및 메탈 프레임(180)을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가공 또는 레이저 가공 등의 형상 가공을 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11) 및 메탈 프레임(180)이 곡면을 갖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케이스(111) 및 메탈 프레임(180)은 일체화된 구조로 인하여, 케이스(111) 및 메탈 프레임(180)을 서로 접착하는 구조에 비해, 방수성이 높고, 단말기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갈 우려가 없다.
또한, 다소 내구성이나 강성이 떨어지는 합성 수지에 일정 강도를 갖는 메탈이 보강됨으로써, 케이스(111)의 전체적인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케이스(111)는 탄성 부재로 형성하고, 메탈 프레임(180)은 강성의 금속으로 형성하게 되면, 완충 작용을 하면서도 일정 강성을 가지는 케이스(111)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1의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 는 케이스의 변형 실시예와 관련된 도 4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케이스(111)와 함께 일체로 제작된 메탈 프레임(180)은 케이스(11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케이스(111)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즉, 비금속 재질인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111)를 금속재질인 메탈 프레임(180)이 케이스(111)를 관통하면서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케이스(111)와 메탈 프레임(180)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11)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메탈 프레임(180)은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거나, 일부만이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메탈 프레임(180)이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에 해당한다. 메탈 프레임(180)은 상면에 적층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메탈 프레임(180)의 하면에는 회로기판(170)이 적층되는데, 하면에 배치된 회로기판(170)을 덮도록 메탈 프레임(180)이 배치된다.
메탈 프레임(180)이 케이스(111)와 일체화되며 결합하는 결합부(182)는 프레임 바디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결합부(182)의 전체적인 크기는 케이스(111)의 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게 된다.
또한, 결합부(182)의 일단 즉, 케이스(111)를 관통하며, 케이스(111)에 외측으로 형성되는 부분은 노출부(183)에 해당한다. 노출부(183)는 단말기의 외부로 드러나는 부분이므로, 별도로 도금을 하거나 산화 피막을 입혀 특징을 줄 수 있다. 이외에도, 노출부(183)은 결합부(182)와 다른 금속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산화 피막을 입히는 방법으로는 아노다이징 공법을 들 수 있다. 아노다이징(anodizing) 공법은 금속 표면에 산화막을 형성시킴으로써 산화막으로 인해 대기 중에서 더 이상의 산화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아노다이징 공법은 특히, 소재가 연약하기 때문에 산화되면 잘 부서지는(부식되는) 특성을 갖는 알루미늄 소재를 메탈 프레임으로 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프레임 바디의 주면(111)은 가장자리로부터 리세스되어 형성된다. 이렇게 리세스된 프레임 바디의 주면(111)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41)이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메탈 프레임(180)은 디스플레이 모듈(141)이 배치되는 영역과 회로기판(170) 등이 배치되는 영역을 공간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회로기판(170)에 배치되는 단말기 구동과 관련되는 전기적 소자들을 보호할 수 있다.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메탈 프레임(180)은 디스플레이 모듈(141)이나 회로기판(170)의 그라운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메탈 프레임(180)의 일단은 디스플레이 모듈(141) 또는 회로기판(170) 중 어느 하나에 접지 연결된다.
메탈 프레임(180)은 디스플레이 모듈(141) 및 회로기판(170) 모두에 접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메탈 프레임(180)의 주면(181)에 해당하는 프레임 바디(181a, 181b)는 복수로 분리되고, 분리된 각각이 디스플레이 모듈(141) 또는 회로기판(17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프레임 바디(181a, 181b) 사이에는 절연 물질(181c)이 배치되어, 제1 및 제2 프레임 바디(181a, 181b) 간의 전기의 흐름을 막을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 바디로부터 제2 프레임 바디로 전달되는 전기의 흐름을 막을 수 있다.
도 5 및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111, 211) 및 메탈 프레임(180, 280)은 가공에 의하여 단말기의 측면에 유선형 외관을 형성하거나, 단말기의 측면을 각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케이스(111, 211) 및 메탈 프레임(180, 280)으로 이루어진 단말기 측면은 절삭의 방법 또는 절삭 정도에 따라, 보다 다양한 외관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b와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611, 711) 및 메탈 프레임(680, 780)은 가공에 의하여 단말기의 측면에 유선형 외관을 형성하지만, 도 5 및 도 6a에서와 달리 메탈 프레임(680, 78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은 그 주면이 없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변형예에 따르면, 메탈 프레임(680, 780)은 단말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탈 프레임(680)은 케이스(61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케이스(611)를 관통하여 연장되지만, 메탈 프레임의 내측으로 연장된 부분은 단말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모듈(641)의 측면만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탈 프레임(780)은 내측으로 연장되지 않고, 케이스(7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와 함께 단말기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케이스의 돌출된 일부분이 디스플레이 모듈(741)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프레임의 변형 실시예와 관련된 프레임(380), 쉴드 부재(370) 및 회로기판(370)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에서, 케이스(311)와 함께 일체로 제작된 메탈 프레임(380)은 케이스(31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케이스(311)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즉, 비금속 재질인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311)를 금속재질인 메탈 프레임(380)이 케이스(311)를 관통하면서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케이스(311)와 메탈 프레임(380)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311)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메탈 프레임(380)은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거나, 일부만이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와 달리, 변형예에서는 메탈 프레임(380)의 중앙 부분에는 리세스된 주면 대신에 관통홀(30)이 형성된다. 또한, 일부에만 리세스된 주면이 배치되고, 또 다른 부분에는 관통홀(30)이 형성될 수 있다. 메탈 프레임(380)과 쉴드 부재(371)가 결합하면, 쉴드 부재(371)의 돌출면(372)이 상기 관통홀(30)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쉴드 부재(371)는 회로 기판의 일면에 배치된 전기적 소자들을 덮어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회로 기판(370)은 마운트된 전자회로를 포함하고, 이 회로는 전자파 장애(EMI)와, 전자 방해 잡음(RFI)에 민감하다. 특히, 전자 방해 잡음은 단말기 내의 간섭원 또는 외부 간섭원으로부터 발생하므로, 이러한 간섭을 차단하고 전기적 소자(374)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차폐구조가 요구된다. 이러한 차폐구조의 하나로서 도시한 바와 같은 쉴드 부재(371)가 고려될 수 있다. 쉴드 부재(371)는 도금이 필요없는 스테인레스나 티타늄 재질로 이루어지며, 프레스 공법을 이용하여 단계별 성형작업에 의해 가공된다.
또한, 쉴드 부재(371)는 각 전기적 소자(374)들을 덮도록 형성되어 SAR(전자파 인체 흡수율, Specific Absorption Rate)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케이스의 제1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에서, 케이스(411)와 함께 일체로 제작된 메탈 프레임(480)은 케이스(41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케이스(411)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즉, 비금속 재질인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411)를 금속재질인 메탈 프레임(480)이 케이스(411)를 관통하면서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케이스(411)와 메탈 프레임(480)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411)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메탈 프레임(480)은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거나, 일부만이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단말기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안테나는 단말기의 상단 또는 하단에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안테나(461)에 근접하여 전기 소자들이 배치되거나, 금속 부재가 안테나의 방사 방향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안테나의 방사효율이 저해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안테나(461)의 방사 방향에 근접하는 케이스(411)에는 메탈 프레임(480)이 배치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안테나의 주방사 방향(B)을 제외한 다른 방향에 메탈 프레임(480)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탈 프레임(480)은 안테나가 배치되는 하단을 제외한 양 측면과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안테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단말기 외관의 차별화, 즉 단말기에 독특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형성되는 케이스(411)는 바디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개구부(4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메탈 프레임(480) 즉, 메탈 프레임(480)의 노출부(483)는 개구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에는 조작부(432) 또는 인터페이스(4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단말기에 개성있는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도 9는 케이스의 제2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에서, 케이스(511)와 함께 일체로 제작된 메탈 프레임(580)은 케이스(51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케이스(511)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즉, 비금속 재질인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511)를 금속재질인 메탈 프레임(580)이 케이스(511)를 관통하면서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케이스(511)와 메탈 프레임(580)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511)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메탈 프레임(580)은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거나, 일부만이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1 변형 실시예와 달리, 안테나(561)에 근접한 케이스(511)에는 메탈 프레임(590)이 형성된다. 메탈 프레임(590)은 안테나의 방사체의 일부로 동작하도록 안테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안테나의 방사효율이 저해되는 공간내에서는 전기 소자들이 장착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9와 같이 단말기 본체의 측면을 따라 형성된 케이스(511)에 메탈 프레임(590)을 형성하고, 메탈 프레임(590)을 안테나 방사체의 일부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기 소자와 안테나가 근접하여 배치됨으로써 작용하는 효율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단말기 내 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탈 프레임(580, 590)을 복수로 형성하고, 어느 한 메탈 프레임(590)을 안테나의 방사체로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외관에 독특한 미감을 부여하면서도 단말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형성되는 케이스(511)는 바디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메탈 프레임(580) 즉, 메탈 프레임(580)의 노출부(583)는 개구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에는 조작부(532) 또는 인터페이스(570)가 형성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들과 달리, 메탈 프레임(180, 280, 380, 480, 580, 680, 780)의 일부 또는 전부는 케이스의 내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메탈 프레임은 케이스의 강성을 높이고, 단말기의 외관에 독특한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6)

  1.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며,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케이스; 및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며 상기 단말기 바디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메탈 프레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와 메탈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으로 연장되는 메탈 프레임의 노출부는 일정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와 함께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패턴은, 상기 바디의 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스트라이프(stripe) 패턴이며,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패턴들은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프레임은,
    일면에 적층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면에는 회로기판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된 전기 소자들을 덮도록 형성되는 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탈 프레임은 중앙 부분에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쉴드 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메탈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상기 회로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지 연결되고,
    상기 메탈 프레임은 접지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상기 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의 그라운드의 일부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바디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탈 프레임은 상기 개구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는 조작부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넥터 단자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내 어느 일측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바디의 일부분을 주방사방향으로 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배치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메탈 프레임은 상기 안테나의 방사 효율을 저해하지 않도록, 상기 일부분을 제외한 다른 방향들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프레임은,
    복수의 메탈 멤버들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메탈 멤버는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되는 안테나의 방사체로 일부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디스플레이 모듈과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외측을 관통하며, 상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메탈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메탈 프레임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회로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메탈 프레임의 노출부는 일정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와 함께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상기 회로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지 연결되고,
    상기 메탈 프레임은 접지 연결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상기 회로기판 중 어느 하나의 그라운드의 일부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바디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탈 프레임을 상기 개구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에는 조작부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커넥터 단자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에 장착된 전기 소자들을 덮도록 형성되는 쉴드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탈 프레임은 중앙 부분에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쉴드 부재는 상기 관통홀을 덮도록, 상기 메탈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10073801A 2011-07-25 2011-07-25 이동 단말기 KR101886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801A KR101886752B1 (ko) 2011-07-25 2011-07-25 이동 단말기
US13/470,060 US8885333B2 (en) 2011-07-25 2012-05-11 Mobile terminal
EP12168770.1A EP2552086B1 (en) 2011-07-25 2012-05-21 Mobile terminal
CN201210192935.5A CN102904986B (zh) 2011-07-25 2012-06-12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801A KR101886752B1 (ko) 2011-07-25 2011-07-25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521A true KR20130012521A (ko) 2013-02-04
KR101886752B1 KR101886752B1 (ko) 2018-08-08

Family

ID=46146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801A KR101886752B1 (ko) 2011-07-25 2011-07-25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85333B2 (ko)
EP (1) EP2552086B1 (ko)
KR (1) KR101886752B1 (ko)
CN (1) CN102904986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004A (ko) * 2013-09-17 201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론트 케이스 프레임을 갖지 않는 전자 장치
KR20150044739A (ko) * 2013-10-17 2015-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60019833A (ko) * 2014-08-12 201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153799B2 (en) 2015-10-15 2018-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ase and material layer details of the same
KR20200047045A (ko) * 2018-10-26 202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금속 구조물 및 비금속 구조물의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2668B2 (en) * 2012-09-28 2016-03-08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9137918B2 (en) 2012-09-28 2015-09-15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D738361S1 (en) * 2013-01-04 2015-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KR20140103789A (ko) * 2013-02-19 2014-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709295B2 (en) 2013-03-15 2017-07-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FR3003963B1 (fr) * 2013-03-29 2016-12-30 Dav Module d interface
US10082312B2 (en) 2013-04-30 2018-09-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VAC controller with multi-region display and guided setup
TWI617082B (zh) * 2013-05-03 2018-03-01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無線通訊裝置
CN104244648B (zh) * 2013-06-17 2018-08-10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用于电子设备的壳体和制作该壳体的方法
KR102208686B1 (ko) * 2014-08-11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TWI631887B (zh) * 2014-10-28 2018-08-01 富智康(香港)有限公司 散熱結構及具有所述散熱結構的電子裝置
CN112346197B (zh) * 2014-12-19 2023-05-09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移动装置和相机模块
KR102376981B1 (ko) * 2015-04-22 2022-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CA162810S (en) 2015-06-02 2016-02-16 Gecko Alliance Group Inc Media player docking station for bathing unit or watercraft
USD842818S1 (en) 2015-06-23 2019-03-12 Gecko Alliance Group Inc. Top-side control panel for bathing unit
US20170017315A1 (en) * 2015-07-14 2017-01-19 Gecko Alliance Group Inc. Topside control panel for bathing unit system
KR20170023481A (ko) * 2015-08-24 2017-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5242803B (zh) * 2015-09-07 2018-09-14 深圳市财富之舟科技有限公司 一种触控芯片的安装方法和一种移动终端
EP3352542A4 (en) * 2015-09-18 2019-05-08 Toray Industries, Inc. CASING
CN105182591B (zh) 2015-10-19 2018-10-1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US9799948B2 (en) 2015-10-30 2017-10-24 Essential Products, Inc. Optically transmissive antenna break structures for wireless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processes
KR102447757B1 (ko) * 2015-11-06 2022-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48304B1 (ko) * 2016-02-04 2022-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금속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7142870A1 (en) * 2016-02-15 2017-08-24 Neocoil, Llc Magnetic resonance imaging compatible mobile computing device
WO2018097340A1 (ko) * 2016-11-22 2018-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6657505B (zh) * 2017-02-09 2023-08-18 深圳市欢太科技有限公司 终端的壳体及终端
KR102424424B1 (ko) * 2017-03-28 2022-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07241471A (zh) * 2017-07-24 2017-10-1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中框组件及电子设备
KR20190037739A (ko) * 2017-09-29 2019-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392246B1 (ko) * 2017-11-13 2022-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가지는 전자 장치
CN116828092A (zh) * 2019-05-14 2023-09-29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及便携式通信装置
KR102612938B1 (ko) * 2019-10-23 2023-1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92213A (ko) * 2020-12-24 2022-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
KR20220092214A (ko) 2020-12-24 2022-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
KR20230027446A (ko) * 2021-08-19 2023-02-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1006A (ko) * 2004-06-21 2005-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씨디 모듈
JP2009117863A (ja) * 2005-08-25 2009-05-28 Nec Corp 携帯機器の筐体
KR20090079720A (ko) * 2008-01-18 2009-07-22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외장 케이스 일체형 방송 수신용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KR20110002731A (ko) * 2009-07-02 2011-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2152B1 (en) * 1998-11-16 2003-03-11 Intermec Ip Corp. Ruggedized hand held computer
US20030050091A1 (en) * 2001-09-10 2003-03-13 Wen-Sung Tsai Wireless module structure of notebook-type computer
US20050146475A1 (en) * 2003-12-31 2005-07-07 Bettner Allen W. Slot antenna configuration
US7385806B2 (en) * 2005-07-27 2008-06-10 Kim Liao Combination housing of a notebook computer
JP5159485B2 (ja) * 2007-09-03 2013-03-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146286B2 (ja) 2008-11-28 2013-02-20 富士通株式会社 装置筐体及び携帯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21006A (ko) * 2004-06-21 2005-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씨디 모듈
JP2009117863A (ja) * 2005-08-25 2009-05-28 Nec Corp 携帯機器の筐体
KR20090079720A (ko) * 2008-01-18 2009-07-22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외장 케이스 일체형 방송 수신용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
KR20110002731A (ko) * 2009-07-02 2011-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004A (ko) * 2013-09-17 201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론트 케이스 프레임을 갖지 않는 전자 장치
KR20150044739A (ko) * 2013-10-17 2015-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567561B2 (en) 2013-10-17 2020-02-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0827049B2 (en) 2013-10-17 2020-11-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11019187B2 (en) 2013-10-17 2021-05-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20160019833A (ko) * 2014-08-12 2016-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699279B2 (en) 2014-08-12 2017-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using,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housing
US10003679B2 (en) 2014-08-12 2018-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using,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housing
US10153799B2 (en) 2015-10-15 2018-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ase and material layer details of the same
USRE49451E1 (en) 2015-10-15 202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ase and material layer details of the same
KR20200047045A (ko) * 2018-10-26 202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금속 구조물 및 비금속 구조물의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27892A1 (en) 2013-01-31
CN102904986B (zh) 2017-05-10
EP2552086A3 (en) 2013-03-20
US8885333B2 (en) 2014-11-11
KR101886752B1 (ko) 2018-08-08
EP2552086A2 (en) 2013-01-30
CN102904986A (zh) 2013-01-30
EP2552086B1 (en)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2521A (ko) 이동 단말기
US20160323429A1 (en) Mobile terminal
AU2013251253B2 (en) Electronic device
KR101437991B1 (ko) 휴대 단말기
US20120268879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10652374B2 (en) Mobile terminal having cas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30076450A (ko) 이동 단말기
US20170215273A1 (en) Circuit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KR101772078B1 (ko) 이동 단말기
KR2021004632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결합하는 보조 장치
KR20140094428A (ko) 모듈 장착 구조 및 그것을 갖는 전자 장치
KR101604749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1922006B1 (ko) 이동 단말기
KR101850387B1 (ko) 이동 단말기
KR1015619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마이크 노이즈 저감방법
KR101789536B1 (ko) 이동 단말기
KR101604753B1 (ko) 이동 단말기
KR101474443B1 (ko) 휴대 단말기
KR101789537B1 (ko) 이동 단말기
KR102153954B1 (ko) 노이즈 저감 안테나
KR101910381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05575A (ko) 이동 단말기
KR101484537B1 (ko) 휴대 단말기
KR101960513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53618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