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372A -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 방법 - Google Patents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372A
KR20130012372A KR1020110073526A KR20110073526A KR20130012372A KR 20130012372 A KR20130012372 A KR 20130012372A KR 1020110073526 A KR1020110073526 A KR 1020110073526A KR 20110073526 A KR20110073526 A KR 20110073526A KR 20130012372 A KR20130012372 A KR 20130012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paper medium
unit
medium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8809B1 (ko
Inventor
차진환
이우호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3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809B1/ko
Priority to EP12177256.0A priority patent/EP2551831B1/en
Priority to US13/557,082 priority patent/US9330518B2/en
Publication of KR20130012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6Inclined tape, roller, or like article-forwarding side registers
    • B65H9/166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30Orientation, displacement, position of the handled material
    • B65H2301/31Features of transport path
    • B65H2301/314Closed lo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2Roller pairs arranged on movable frame
    • B65H2404/1421Roller pairs arranged on movable frame rotating, pivoting or oscillating around an axis, e.g. parallel to the roller axis
    • B65H2404/14212Roller pairs arranged on movable frame rotating, pivoting or oscillating around an axis, e.g. parallel to the roller axis rotating, pivoting or oscill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roller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40Shafts, cylinders, drums,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 B65H2404/61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arranged to form a channel
    • B65H2404/611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arranged to form a channel and shaped for curvilinear transport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1Angle
    • B65H2511/216Orientation, e.g. with respect to direct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40Movement
    • B65H2513/42Rout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는, 종이매체를 입금하는 매체 입금부, 매체 입금부에 입금된 종이매체를 저장 공간인 카세트로 이송시키는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매체 이송부 및 매체 이송부의 경로 상에 개재되어 종이매체를 얼라인(align)시키는 매체 정렬부를 포함하며, 매체 정렬부는, 매체 이송부의 이송 경로와 연결되는 이송 경로가 형성되어 종이매체가 선회하면서 통과되며,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align)을 위한 얼라인 기준면을 구비하는 드럼(drum) 타입의 정렬몸체; 정렬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이송 경로를 따라 종이매체를 정방향으로 주행시키는 복수 개의 주행 롤러; 및 복수 개의 주행 롤러에 대응되도록 정렬몸체의 외측에 구비되며, 종이매체의 이송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 가능한 복수 개의 사행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크기 또는 종류가 다른 종이매체의 얼라인을 정확하게 수행하면서도 사이즈를 작게 구현할 수 있어 기기 내 원활한 설치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 방법{Automatic Teller Machine and Method to Align Media Thereof}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 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크기 또는 종류가 다른 종이매체의 얼라인을 정확하게 수행하면서도 사이즈를 작게 구현할 수 있어 기기 내 원활한 설치가 가능한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 방법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기기(ATM, Automatic Teller Machine)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제한 받지 않으며, 또한 은행 직원 없이도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최근에는,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금융 자동화기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금융 자동화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와 입금기 및 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최근 들어 금융 자동화기기는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또는 티켓 발매 등의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금융 자동화기기 중 입금기에 대해 설명하면, 최근 들어 입금기는 지폐 또는 수표와 같은 종이매체를 따로 입금하는 형태가 아니라 같이 입금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입금기로 사용되는 금융 자동화기기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금융 자동화기기는, 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지폐 또는 수표와 같은 종이매체가 입금되는 매체 입금부와, 다수의 롤러로 구성되어 매체 입금부로 입금된 매체를 이송시키는 매체 이송부와, 매체 이송부의 경로 상에 장착되어 종이매체의 2매 여부를 검지하는 매체 검지부와, 종이매체의 정보를 인식하는 매체 인식부와, 매체 인식부에 종이매체가 전달하기 전에 종이매체를 얼라인(align)하는 매체 정렬부와, 입금된 매체를 일시 저장하는 일시 스택부와, 종이매체 중 수취되지 않는 종이매체를 회수(retract)하는 리트랙트부와, 매체 검지부에 의해 이상이 감지되어 리젝트(reject)된 종이매체를 저장하는 리젝트부와, 입금된 종이매체를 최종적으로 저장하는 카세트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카세트는, 지폐만을 저장하는 지폐 카세트 그리고 수표만을 저장하는 수표 카세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종이매체는 매체 입금부를 통해 입금된 후 매체 이송부를 통해 일시 스택부를 거쳐 각각의 카세트로 이송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 중 매체 정렬부는, 상호 크기 및 종류가 다른 종이매체(지폐와 수표는 폭 및 길이가 상호 다름)들을 일측 기준으로 정렬시킴으로써 종이매체가 정렬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종이매체 중 수표의 얼라인으로 인해 수표의 정보가 정확하게 획득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입금기 타입의 금융 자동화기기에 있어서는, 매체 정렬부가 평면 구조를 갖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서 큰 부피를 차지할뿐더러 종이매체의 얼라인 시 종이매체에 구김이 발생될 수 있어 종이매체의 얼라인이 신뢰성 있게 수행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종이매체의 얼라인을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전체적인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는 매체 정렬 구조를 갖는 새로운 금융 자동화기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종이매체의 얼라인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어 크기와 종류가 다른, 예를 들면 지폐 또는 수표의 혼합 종이매체를 원활하게 얼라인시킬 수 있는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종래에 비해 작은 사이즈를 갖는 드럼 타입으로 마련되어 기기 내부에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는 금융 자동화기 기 및 그의 매체 정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주행 롤러와 사행 롤러의 상호 동작에 의해 얼라인이 진행될 때 종이매체에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어 종이매체의 구김 또는 찢김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는, 종이매체를 입금하는 매체 입금부, 상기 매체 입금부에 입금된 상기 종이매체를 저장 공간인 카세트로 이송시키는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매체 이송부 및 상기 매체 이송부의 경로 상에 개재되어 상기 종이매체를 얼라인(align)시키는 매체 정렬부를 포함하며, 상기 매체 정렬부는, 상기 매체 이송부의 이송 경로와 연결되는 이송 경로가 형성되어 상기 종이매체가 선회하면서 통과되며,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을 위한 얼라인 기준면을 구비하는 드럼(drum) 타입의 정렬몸체; 상기 정렬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상기 종이매체를 정방향으로 주행시키는 복수 개의 주행 롤러; 및 상기 복수 개의 주행 롤러에 대응되도록 상기 정렬몸체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종이매체의 이송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 가능한 복수 개의 사행 롤러;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크기 또는 종류가 다른 종이매체의 얼라인을 정확하게 수행하면서도 사이즈를 작게 구현할 수 있어 기기 내 원활한 설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체 정렬부는, 상기 주행 롤러 및 상기 사행 롤러의 상호 작동에 의해 상기 정렬몸체의 이송 경로를 따라 상기 종이매체가 통과할 때 상기 종이매체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주행 롤러는 상기 정렬몸체에 형성된 관통홀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상기 종이매체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정렬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사행 롤러는 상기 복수 개의 주행 롤러에 일부 접촉되도록 상기 정렬몸체의 외측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매체 정렬부는, 상기 복수 개의 사행 롤러의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종이매체의 주행 방향에 대한 상기 사행 롤러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사행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축을 구비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종이매체의 주행 방향에 대해 상기 사행 롤러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장착부재를 축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행 롤러는 상기 종이매체가 상기 정렬몸체를 통과하면서 얼라인이 완료되면 상기 주행 롤러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매체 정렬부의 출구 부분과 상기 매체 이송부의 연결 부분 사이에는 상기 종이매체의 이송 방향을 결정하는 게이트가 방향 전환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종이매체가 얼라인되었음을 감지한 경우 상기 게이트는 상기 종이매체가 다음의 상기 매체 이송부로 이송 가능하도록 방향 전환되고, 상기 종이매체가 얼라인되지 않았음을 감지한 경우 상기 게이트는 상기 종이매체가 다시 상기 정렬몸체를 선회하도록 방향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매체 정렬부는 하나의 상기 종이매체에 대해 얼라인을 수행한 후 얼라인 완료된 상기 종이매체를 상기 매체 이송부의 이송 경로로 이송시킨 다음 다른 상기 종이매체에 대해 얼라인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렬몸체는, 상기 종이매체가 선회하면서 통과하고, 내측에 상기 주행 롤러들이 장착되는 원통형의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제1 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를 향하는 면이 상기 얼라인 기준면이 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종이매체의 주행 속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상기 얼라인 기준면에는 상기 얼라인 기준면과 접촉되는 상기 종이매체의 일측 부분이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요철홈이 상기 얼라인 기준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 방법은, 상기 매체 이송부를 통해 상기 매체 정렬부로 상기 종이매체를 인입시킨 후 상기 주행롤러 및 상기 사행롤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을 수행하는, 얼라인 수행 단계;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이 이루어졌는지를 감지하는, 얼라인 감지 단계; 및 상기 얼라인 감지 단계 시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이 이루어졌음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종이매체를 상기 매체 정렬부로부터 배출하여 상기 매체 이송부로 이송시키는, 배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정렬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사행 롤러의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종이매체의 주행 방향에 대한 상기 사행 롤러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 조절부가 구비되며, 상기 얼라인 감지 단계 시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이 이루어졌음을 감지하면 상기 경사 조절부에 의해 상기 사행 롤러는 상기 주행 롤러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감지 단계 시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감지하는 경우 상기 종이매체는 상기 정렬몸체의 이송 경로를 재선회하며 다시 얼라인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이매체의 얼라인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어 크기와 종류가 다른, 예를 들면 지폐 또는 수표의 혼합 종이매체를 원활하게 얼라인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에 비해 작은 사이즈를 갖는 드럼 타입으로 마련되어 기기 내부에 원활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행 롤러와 사행 롤러의 상호 동작에 의해 얼라인이 진행될 때 종이매체에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어 종이매체의 구김 또는 찢김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체 정렬부를 부분적으로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주행 롤러 및 사행 롤러의 배치 상태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경사 조절부에 의한 사행 롤러의 경사 조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매체 정렬부의 정렬몸체를 가상의 평면으로 도시한 후 종이매체가 시작 부분에 개입된 상태일 때 사행 롤러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주행 롤러 및 사행 롤러에 의해 얼라인이 완료되었을 때 사행 롤러의 각도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지폐 또는 수표 등의 종이매체를 입금하기 위한 입금기 타입의 금융 자동화기기에 대해 설명할 것이나, 금융 자동화기기는 입출금기와 같은 다른 타입의 금융 자동화기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매체 정렬부를 부분적으로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주행 롤러 및 사행 롤러의 배치 상태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경사 조절부에 의한 사행 롤러의 경사 조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매체 정렬부의 정렬몸체를 가상의 평면으로 도시한 후 종이매체가 시작 부분에 개입된 상태일 때 사행 롤러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에서 주행 롤러 및 사행 롤러에 의해 얼라인이 완료되었을 때 사행 롤러의 각도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100)는, 하우징(101)과, 하우징(101)의 일측에 장착되어 종이매체(P)가 입금되는 매체 입금부(102)와, 매체 입금부(102)로 입금된 종이매체(P)를 낱장으로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매체 분리부(103)와, 매체 분리부(103)의 후미로부터 시작하여 종이매체(P)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매체 이송부(105)와, 매체 이송부(105)의 경로 상에 장착되어 매체 분리부(103)로부터 매체 이송부(105)로 이송된 종이매체(P)에 대해 2매 검지하는 매체 검지부(107)와, 종이매체(P)가 지폐인지 수표인지를 인식(감별)하는 매체 인식부(108)와, 매체 이송부(105)의 경로 상에 배치되어 종이매체(P)를 얼라인(align)하는 매체 정렬부(150)와, 종이매체(P) 중 수표의 정보를 인식하는 수표 인식부(110)와, 매체 인식부(108) 및 수표 인식부(110)의 인식 결과 정상이라고 판단되는 종이매체(P)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일시 스택부(111)와, 매체 인식부(108) 및 수표 인식부(110)의 인식 결과 이상이 있다고 판단되어 리젝트(reject)되는 종이매체(P)가 저장되는 리젝트부(113)와, 매체 인식부(108) 및 수표 인식부(110)에 의해 회수해야 할 종이매체(P)로 인식되는 경우 리트랙트(retract)하는 리트랙트부(115) 그리고 수표 및 지폐를 각각 최종적으로 저장하는 카세트(117)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하우징(101)은, 기기(100)의 기본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일측에 매체 입금부(102)가 구비되고 내측 공간에 전술한 구성들이 장착되고, 하부 공간에는 카세트(117)가 내장될 수 있다. 다만, 하우징(101) 내의 구성 배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배치 구조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의 매체 입금부(102)는 고객이 직접적으로 종이매체(P)를 입금하는 부분이다. 다만, 본 실시예의 입금부(102)는 지폐를 입금하는 입금 경로 그리고 수표를 입금하는 입금 경로가 별도로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지폐 및 수표가 동시에 입금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고객은 지폐와 수표를 무분별하게 합친 상태로 입금부(102)에 입금시킬 수 있으며, 입금된 지폐 및 수표를 포함한 종이매체(P)는 후술할 구성들을 통해 구별되어 각각의 카세트(117)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매체 분리부(103)는, 매체 입금부(102)로부터 예를 들면 번들(bundle) 상태의 종이매체(P)를 이송 받은 후 종이매체(P)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매체 이송부(105)의 시작 부분으로 종이매체(P)를 낱장씩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매체 분리부(103)는 종이매체(P)의 낱장 분리를 위한 롤러(104)들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매체 이송부(105)는, 종이매체(P)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다수의 이송 경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매체 이송부(105)는 매체 분리부(103), 매체 정렬부(150) 및 일시 스택부(111)를 잇는 경로를 형성하고, 아울러 일시 스택부(111)에 일시 저장된 종이매체(P)를 카세트(117)들로 이송시키는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매체 이송부(105)는 이상 여부가 감지된 종이매체(P)를 리젝트부(113)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경로뿐만 아니라 위권 또는 미수취된 종이매체(P)를 리트랙트부(115)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경로도 형성한다.
이러한 매체 이송부(105)는 종이매체(P)에 협지력을 제공하며 일정 방향으로 순환하는 벨트(105a) 그리고 벨트(105a)를 지지하고 구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롤러(105b)들을 포함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 분리부(103)와 매체 정렬부(150) 사이의 매체 이송부(105) 경로 상에는 매체 검지부(107)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매체 검지부(107)는 매체 분리부(103)로부터 매체 이송부(105)로 이송된 종이매체(P)가 낱장인지를 감지한다. 즉, 매체 검지부(107)가 매체 이송부(105)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매체(P)의 두께 변화를 감지하여 종이매체(P)의 낱장 여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 검지부(107)는 초음파 센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매체 인식부(108)는 매체 검지부(107)의 후미에 장착되어 종이매체(P)가 지폐인지 또는 수표인지를 인식(감별)하고 아울러 지폐인 경우 권종 및 위권 여부까지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매체 인식부(108)는 CIS 이미지 스캐너, IR 센서, MR 센서, UV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것처럼 지폐에 대해서는 진위 여부까지 판별이 가능하나 수표에 대해서는 수표 이미지를 통해 수표 여부만을 판별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수표 인식부(110)는, 매체 정렬부(150)에 의해 얼라인된 종이매체(P) 중 수표에 대해 인식하는 부분으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자기잉크문자인식수단(MICR)을 구비하여 수표에 기록된 데이터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수표 인식부(110)의 자기잉크문자인식수단은 특히 종이매체(P) 중 수표의 자기잉크문자를 인식함으로써 수표가 위조된 종이매체(P) 즉 위폐인지 진위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매체 인식부(108)에서 획득한 수표 이미지와 수표 인식부(110)의 자기잉크문자인식수단을 통해 획득된 수표 정보를 통해 상위단에서 진위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수표 인식부(110)가 종이매체(P) 중 수표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해서는 종이매체(P)가 얼라인된 상태로 수표 인식부(110)가 장착된 매체 이송부(105)의 경로를 통과하여야 하는데, 이는 후술할 매체 정렬부(15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리젝트부(113)는 매체 인식부(108)에 의해 리젝트 결정되어 이송되는 종이매체(P)를 저장할 수 있도록 카세트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우징(101)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결합 구조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일시 스택부(111)는, 매체 인식부(108)에 의해 정상이라고 인식된 종이매체(P)들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일종의 박스이다. 일시 스택부(111)에서 종이매체(P)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이유는 낱장의 종이매체(P)를 모아서 묶음 단위로 처리하여 입금 처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일시 스택부(111)는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드럼 및 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종이매체(P)를 쌓는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드럼 또는 밴드에 매체가 감기도록 하여 종이매체(P)를 일시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일시 스택부(111)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표 인식부(110)와 일시 스택부(111) 사이에 형성된 매체 이송부(105)의 이송 경로 상에는 수표 인식부(110)에 의해 인식된 종이매체(P) 중 수표의 기록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리트랙트부(11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표 인식부(110)와 일시 스택부(111) 사이에 형성된 매체 이송부(105)의 이송 경로로부터 분기된 이송 경로의 단부에 배치되어, 종이매체(P) 중 수취되지 않는 종이매체(P)를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리트랙트부(115) 역시 전술한 리젝트부(113)와 같이 카세트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우징(101)에 착탈 가능한 결합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카세트(117)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매체 이송부(105)에 의해 형성되는 이송 경로에 의해 일시 스택부(111)와 각각 연결되며, 지폐를 저장하는 지폐 카세트(118) 및 수표를 저장하는 수표 카세트(119)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매체 인식부(108) 및 수표 인식부(110)에 의해 인식된 정보를 토대로 본 실시예의 금융 자동화기기(100)의 제어부(미도시)는 일시 스택부(111)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종이매체(P)의 저장 순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에 의해 일시 스택부(111)로부터 지폐 카세트(118) 또는 수표 카세트(119)로 각각의 종이매체(P)가 이송되어, 지폐 카세트(118)에는 지폐에 해당하는 종이매체(P)가 그리고 수표 카세트(119)에는 수표에 해당하는 종이매체(P)가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100)는 매체 입금부(102)에 입금된 종이매체(P)가 여러 루트를 거쳐 카세트(117)에 저장될 수 있는데, 이때 매체 정렬부(150)에 의한 종이매체(P)의 얼라인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종이매체(P)의 기록 정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입금 과정에 오류가 발생될 수 있고, 또한 얼라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종이매체(P)가 이동하는 경우 종이매체(P)의 구김 또는 찢김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기기 멈춤과 같은 일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매체 정렬부(150)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종이매체(P)의 정확한 얼라인을 수행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매체 정렬부(15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매체(P)가 통과하면서 얼라인되도록 이송 경로를 제공하고 얼라인 기준이 되는 얼라인 기준면(155s)이 형성되는 정렬몸체(151)와, 정렬몸체(151)의 내측에 구비되어 이송 경로를 따라 종이매체(P)를 정방향으로 주행시키는 복수 개의 주행 롤러(160)와, 복수 개의 주행 롤러(160)에 대응되도록 정렬몸체(151)의 외측에 구비되어 종이매체(P)의 주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 가능한 복수 개의 사행 롤러(170)와, 사행 롤러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 조절부(175)와, 종이매체(P)의 얼라인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 정렬부(150)의 구성에 의해서, 종이매체(P)는 크기 또는 종류에 상관 없이 얼라인 기준면(155s)에 대해 얼라인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매체 인식부(108) 및 수표 인식부(110)에 의해 종이매체(P)의 인식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얼라인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이송 시 구김 등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기의 멈춤 현상 등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금융 자동화기기(100)의 매체 입금부(102)로 수표와 지폐가 혼합된 종이매체(P)들이 입금될 수 있다. 수표와 지폐는 크기 및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일측 기준으로 종이매체(P)를 얼라인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매체 인식부(108) 또는 수표 인식부(110)가 종이매체(P)가 일측 기준을 얼라인되었다는 것을 가정하고 그에 맞게 장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이매체(P)가 정확하게 얼라인되지 않는 경우, 종이매체(P)의 이상 유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을 우려가 있으며 아울러 특히 수표의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데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매체 정렬부(150)는 후술하겠지만 수표와 지폐가 섞인 종이매체(P)들을 일측 기준, 즉 얼라인 기준면(155s)으로 정확하게 얼라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발생 가능한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정렬몸체(151)는, 기본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종이매체(P)가 선회하면서 통과하는 드럼(drum) 타입의 제1 몸체(152)와, 제1 몸체(152)의 일측에서 제1 몸체(15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1 몸체(152)를 향하는 측면이 종이매체(P)의 얼라인 기준면(155s)이 되는 제2 몸체(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15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주행 롤러(16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관통홀(161)이 관통 형성되어 각각의 주행 롤러(160)의 일부분이 관통홀(16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몸체(152)의 외면으로 종이매체(P)가 이송되면 주행 롤러(160)의 회전에 의해 종이매체(P)는 일방향으로 주행, 즉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몸체(152)는 종이매체(P) 1매에 대한 얼라인이 매체 정렬부(1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종이매체(P) 1매의 길이보다 약간 더 큰 둘레 사이즈를 갖는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매의 종이매체(P)가 순차적으로 매체 정렬부(150)에 인입되어 복수 매의 종이매체(P)에 대한 얼라인을 수행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의 주행 롤러(160)는,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제1 몸체(152)의 내측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총 5개가 장착된다. 따라서 종이매체(P)가 제1 몸체(152) 상에서 주행 롤러(160)를 따라 이동할 때 멈춤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다만, 주행 롤러(160)의 장착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을 수도 있고 더 적을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각각의 주행 롤러(160)는 각각의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주행 롤러(160)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회전함으로써 종이매체(P)를 일 방향으로 주행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주행 중 주행 롤러(160)의 속도 차이에 따른 종이매체(P)의 구김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주행 롤러(160)가 각각의 구동 모터에 의해 개별 구동된다고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일의 구동 모터에 의해 복수 개의 주행 롤러(160)가 함께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2 몸체(15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52)의 측부에 형성되어 얼라인 기준면(155s)을 제공한다. 즉, 제1 몸체(152)를 향하는 제2 몸체(155)의 측면이 얼라인 기준면(155s)이 됨으로써 종이매체(P)는 이 기준면(155s)으로 주행 중 얼라인되고, 따라서 다음 단계로 얼라인된 종이매체(P)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제1 몸체(152)는 하우징(101)의 내측에서 고정되도록 결합되지만, 제2 몸체(155)는 제1 몸체(152)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는, 제2 몸체(155)의 얼라인 기준면(155s)에 종이매체(P)가 얼라인된 후 종이매체(P)가 주행 롤러(160)의 구동에 의해 주행할 때 종이매체(P)가 구겨지거나 찢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종이매체(P)의 얼라인이 이루어지면 종이매체(P)는 제2 몸체(155)의 얼라인 기준면(155s)에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제2 몸체(155)는 주행 롤러(160)의 구동에 의한 종이매체(P)의 주행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제1 몸체(152)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종이매체(P)와 얼라인 기준면(155s)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종이매체(P)의 구김 또는 찢김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얼라인 기준면(155s)에는 복수 개의 요철홈(156)이 얼라인 기준면(155s)의 둘레 방향을 따라 띠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얼라인 기준면(155s)에 종이매체(P)가 얼라인될 때 얼라인 기준면(155s)에 먼저 닿는 종이매체(P)의 일측 부분이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얼라인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사행 롤러(1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주행 롤러(160)에 대응되도록 정렬몸체(151)의 외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사행 롤러(170)는 전술한 주행 롤러(160)가 종이매체(P)의 주행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과는 달리 주행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시 말해, 사행 롤러(170)는 제2 몸체(155)의 얼라인 기준면으로 종이매체(P)를 가압함으로써 주행 롤러(160)에 의해 종이매체(P)가 이동할 때 종이매체(P)가 얼라인 기준면(155s) 방향, 즉 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주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종이매체(P)의 얼라인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사행 롤러(170)는 주행 롤러(160)의 외면과 부분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주행 롤러(160)의 회전 시 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따라서 회전력에 의해 종이매체(P)를 제2 몸체(155)의 얼라인 기준면(155s)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다. 다만, 사행 롤러(170) 각각에 사행 롤러(17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장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주행 롤러(160)의 구동에 의해 종이매체(P)가 주행할 때 사행 롤러(170)가 계속적으로 주행 방향의 경사진 방향으로 종이매체(P)를 미는 경우, 예를 들면 얼라인 기준면(155s)에 종이매체(P)가 얼라인된 이후에도 종이매체(P)를 미는 경우 종이매체(P)와 얼라인 기준면(155s)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어 구김 등의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매체 정렬부(150)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이매체(P)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종이매체(P)의 얼라인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 센서(미도시)와,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토대로 사행 롤러(170)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경사 조절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는, 정렬몸체(151)의 얼라인 기준면(155s)에 종이매체(P)가 얼라인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얼라인 기준면(155s)이 위치하는 정렬몸체(155)에 인접하게 장착되어 얼라인 여부에 대한 감지 정보를 획득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미도시)에 전송하여, 제어부가 경사 조절부(175)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복수 개의 감지 센서 중 적어도 2개의 감지 센서(미도시)는, 종이매체(P)의 이송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을 갖도록 제1 몸체(152) 상에 나란하게 장착되어 반송되는 종이매체(P)의 스큐(skew) 각도를 감지함으로써 종이매체(P)의 얼라인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에 전송되어 후술할 경사 조절부(175)에 의해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종이매체(P)의 스큐 각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2개의 감지 센서의 폭은 본 실시예의 매체 정렬부(150)를 통과하는 종이매체(P) 중 가장 작은 종이매체(P)의 폭보다도 작은 폭을 가지며, 따라서 매체 정렬부(150)를 통과하는 모든 종이매체(P)의 얼라인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사 조절부(17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행 롤러(17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축(177)을 구비하는 장착부재(176)와, 종이매체(P)의 주행 방향에 대해 사행 롤러(170)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해 회전축(177)을 중심으로 장착부재(176)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면 상에는 경사 조절부(175)가 장착되는 구성에 대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에 대해 설명하면 정렬몸체(151)의 외측에 이를 감싸는 몸체(미도시)가 구비되고, 이러한 몸체에 사행 롤러(170)가 결합된 경사 조절부(175)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부재(176)는, 사행 롤러(17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부분(176a)과, 제1 부분(176a)이 탄성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회전(177)축이 결합되는 제2 부분(176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부분(176a)이 제2 부분(176b)에 대해 탄성 지지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주행 롤러(160)와 사행 롤러(170) 사이로 종이매체(P)가 통과할 때 종이매체(P)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종이매체(P)의 주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이러한 장착부재(175)의 일측면, 즉 얼라인 기준면(155s)을 향하는 측면에는 탄성부재(178)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78)의 탄성력에 의해 장착부재(175)는 얼라인 기준면(155s)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으며, 따라서 후술할 회전 구동부재(179)가 별도로 구동되지 않는 한 사행 롤러(170)는 주행 롤러(160)에 대해 경사진 사행 방향으로 향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사행 롤러(170)는 종이매체(P)를 사행 방향, 즉 얼라인 기준면(155s)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178)가 장착부재(175)에 장착됨으로써, 종이매체(P)의 초기 얼라인 과정 중 별도로 회전 구동부재(179)를 구동시키지 않아도 돼 구동에 사용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종이매체(P)가 얼라인 기준면(155s)에 접촉되는 경우, 얼라인이 완료되었음을 감지 센서가 감지하고, 감지 정보에 기초하여 사행 롤러(170)의 경사 정도를 조절해야 하는데, 이는 회전 구동부재(179)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회전 구동부재(179)는 회전축(177)을 중심으로 장착부재(175)를 회전시킴으로써 장착부재(17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사행 롤러(170)의 경사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회전 구동부재(179)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재(175)에서 탄성부재(178)의 반대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 구동부재(179)는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하는 솔레노이드(solenoid)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행 롤러(170)가 장착된 장착부재(175)의 경사 정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매체 정렬부(150)로 종이매체(P)가 인입되어 아직 종이매체(P)의 얼라인이 이루어지지 않아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 정보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경사 조절부(175)는 사행 롤러(170)가 주행 롤러(160)에 대해 경사지도록 위치 조절함으로써 종이매체(P)가 주행 롤러(160) 및 사행 롤러(170)의 사이를 통과하면서 정렬몸체(151)의 얼라인 기준면(155s)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반면에,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매체 정렬부(150)로 종이매체(P)가 인입된 후 주행 롤러(160)와 사행 롤러(170)를 통과하면서 얼라인이 이루어져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 정보가 생성된 경우, 경사 조절부(175)는 사행 롤러(170)를 주행 롤러(1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행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종이매체(P)와 얼라인 기준면(155s)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매체 정렬부(150)의 출구 부분과 매체 이송부(105)의 연결 부분 사이에는 종이매체(P)의 이송 방향을 결정하는 게이트(120)가 방향 전환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가령, 감지 센서에 의해 종이매체(P)가 얼라인되었음을 감지한 경우 게이트(120)는 종이매체(P)가 다음의 매체 이송부(105)로 이송 가능하도록 방향 전환되고, 종이매체(P)가 얼라인되지 않았음을 감지한 경우 게이트(120)는 종이매체(P)가 다시 정렬몸체(151)를 선회하도록 방향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매체 정렬부(150)는, 먼저 종이매체(P)의 얼라인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어 크기와 종류가 다른, 예를 들면 지폐 또는 수표의 혼합 종이매체(P)를 원활하게 얼라인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작은 사이즈를 갖는 드럼 타입으로 마련되어 기기 내부에 원활하게 설치될 수 있고, 아울러 주행 롤러(160)와 사행 롤러(170)의 상호 작동에 의해 종이매체(P)의 원활한 이송은 물론 종이매체(P)의 구김, 찢김 등의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금융 자동화기기(100)의 매체 정렬 방법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100)의 매체 정렬 방법은, 매체 이송부(105)를 통해 매체 정렬부(150)로 종이 매체를 인입시킨 후 주행 롤러(160) 및 사행 롤러(170)의 작동에 의해 종이매체(P)의 얼라인을 수행하는 얼라인 수행 단계(S100)와, 감지 센서에 의해 종이매체(P)의 얼라인이 이루어졌는지를 감지하는 얼라인 감지 단계(S200)와, 얼라인이 이루어졌음을 감지하는 경우 종이매체(P)를 매체 정렬부(150)로부터 매체 이송부(105)로 이송시키는 배출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얼라인 수행 단계(S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행 롤러(160)에 의해 종이매체(P)가 주행 방향으로 이동할 때 사행 롤러(170)가 종이매체(P)를 정렬몸체(151)의 얼라인 기준면(155s)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종이매체(P)의 얼라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얼라인 수행 단계(S100) 중, 감지 센서에 의해 종이매체(P)의 얼라인이 이루어졌음을 감지할 수 있으며, 얼라인이 이루어졌음이 감지되면 경사 조절부(175)의 경사 조절에 의해 사행 롤러(170)는 주행 롤러(160)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 조절될 수 있다.
이후, 매체 정렬부(150)에서 종이매체(P)의 얼라인이 최종 완료되었음이 확인되면 게이트(120)는 종이매체(P)를 매체 정렬부(150)를 배출시키는 방향으로 위치 조절되고, 따라서 배출 단계(S300) 시 종이매체(P)는 매체 정렬부(150)로부터 매체 이송부(105)로 이송될 수 있다.
다만, 얼라인 감지 단계(S200) 시 감지 센서에 의해 얼라인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감지되는 경우, 종이매체(P)가 정렬몸체(151)의 이송 경로를 재선회하며 다시 얼라인이 수행될 수 있도록 게이트(120)는 위치 조절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매체 정렬 방법에 의해, 종이매체(P)는 그 크기 또는 종류에 상관 없이 얼라인 기준면(155s)에 대해 얼라인된 후 매체 이송부(105)로 전달될 수 있고, 이때 감지 센서의 감지 정보에 의해 경사 조절부(175)가 사행 롤러(170)의 경사각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어 얼라인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종이매체(P)에 구김 또는 찢김 현상 등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금융 자동화기기 101 : 하우징
102 : 매체 입금부 103 : 매체 분리부
105 : 매체 이송부 110 : 매체 인식부
111 : 일시 스택부 113 : 리젝트부
115 : 리트랙트부 117 : 카세트
120 : 게이트 150 : 매체 정렬부
151 : 정렬몸체 160 : 주행 롤러
170 : 사행 롤러 175 : 경사 조절부

Claims (14)

  1. 종이매체를 입금하는 매체 입금부, 상기 매체 입금부에 입금된 상기 종이매체를 저장 공간인 카세트로 이송시키는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매체 이송부 및 상기 매체 이송부의 경로 상에 개재되어 상기 종이매체를 얼라인(align)시키는 매체 정렬부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기기에 있어서,
    상기 매체 정렬부는,
    상기 매체 이송부의 이송 경로와 연결되는 이송 경로가 형성되어 상기 종이매체가 선회하면서 통과되며,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을 위한 얼라인 기준면을 구비하는 드럼(drum) 타입의 정렬몸체;
    상기 정렬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상기 종이매체를 정방향으로 주행시키는 복수 개의 주행 롤러; 및
    상기 복수 개의 주행 롤러에 대응되도록 상기 정렬몸체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종이매체의 이송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 가능한 복수 개의 사행 롤러;
    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정렬부는,
    상기 주행 롤러 및 상기 사행 롤러의 상호 작동에 의해 상기 정렬몸체의 이송 경로를 따라 상기 종이매체가 통과할 때 상기 종이매체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주행 롤러는 상기 정렬몸체에 형성된 관통홀에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상기 종이매체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정렬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사행 롤러는 상기 복수 개의 주행 롤러에 일부 접촉되도록 상기 정렬몸체의 외측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규칙적으로 장착되는 금융 자동화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정렬부는,
    상기 복수 개의 사행 롤러의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종이매체의 주행 방향에 대한 상기 사행 롤러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조절부는,
    상기 사행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회전축을 구비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종이매체의 주행 방향에 대해 상기 사행 롤러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장착부재를 축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행 롤러는 상기 종이매체가 상기 정렬몸체를 통과하면서 얼라인이 완료되면 상기 주행 롤러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 조절되는 금융 자동화기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정렬부의 출구 부분과 상기 매체 이송부의 연결 부분 사이에는 상기 종이매체의 이송 방향을 결정하는 게이트가 방향 전환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종이매체가 얼라인되었음을 감지한 경우 상기 게이트는 상기 종이매체가 다음의 상기 매체 이송부로 이송 가능하도록 방향 전환되고, 상기 종이매체가 얼라인되지 않았음을 감지한 경우 상기 게이트는 상기 종이매체가 다시 상기 정렬몸체를 선회하도록 방향 전환되는 금융 자동화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정렬부는 하나의 상기 종이매체에 대해 얼라인을 수행한 후 얼라인 완료된 상기 종이매체를 상기 매체 이송부의 이송 경로로 이송시킨 다음 다른 상기 종이매체에 대해 얼라인을 수행하는 금융 자동화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몸체는,
    상기 종이매체가 선회하면서 통과하고, 내측에 상기 주행 롤러들이 장착되는 원통형의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제1 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몸체를 향하는 면이 상기 얼라인 기준면이 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종이매체의 주행 속도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한 금융 자동화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기준면에는 상기 얼라인 기준면과 접촉되는 상기 종이매체의 일측 부분이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요철홈이 상기 얼라인 기준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금융 자동화기기.
  12. 제2항에 따른 금융 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체 이송부를 통해 상기 매체 정렬부로 상기 종이매체를 인입시킨 후 상기 주행롤러 및 상기 사행롤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을 수행하는, 얼라인 수행 단계;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이 이루어졌는지를 감지하는, 얼라인 감지 단계; 및
    상기 얼라인 감지 단계 시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이 이루어졌음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종이매체를 상기 매체 정렬부로부터 배출하여 상기 매체 이송부로 이송시키는, 배출 단계;
    를 포함하는 금융 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정렬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사행 롤러의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종이매체의 주행 방향에 대한 상기 사행 롤러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경사 조절부가 구비되며,
    상기 얼라인 감지 단계 시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이 이루어졌음을 감지하면 상기 경사 조절부에 의해 상기 사행 롤러는 상기 주행 롤러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 조절되는 금융 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감지 단계 시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상기 종이매체의 얼라인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감지하는 경우 상기 종이매체는 상기 정렬몸체의 이송 경로를 재선회하며 다시 얼라인이 수행되는 금융 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 방법.
KR1020110073526A 2011-07-25 2011-07-25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 방법 KR101258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526A KR101258809B1 (ko) 2011-07-25 2011-07-25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 방법
EP12177256.0A EP2551831B1 (en) 2011-07-25 2012-07-20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method to align media thereof
US13/557,082 US9330518B2 (en) 2011-07-25 2012-07-24 Automatic teller machine and method to align media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526A KR101258809B1 (ko) 2011-07-25 2011-07-25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372A true KR20130012372A (ko) 2013-02-04
KR101258809B1 KR101258809B1 (ko) 2013-04-26

Family

ID=46888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526A KR101258809B1 (ko) 2011-07-25 2011-07-25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30518B2 (ko)
EP (1) EP2551831B1 (ko)
KR (1) KR1012588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5259B2 (en) * 2012-06-15 2018-10-30 Ncr Corporation Item validation
KR101558229B1 (ko) 2013-11-27 2015-10-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 장치
KR101578771B1 (ko) * 2014-02-18 2015-12-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이매 검지용 초음파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이매 검지 방법
CN106296970B (zh) * 2016-08-11 2022-05-20 威海华菱光电股份有限公司 薄膜的检测系统与检测方法
CN107945361B (zh) * 2017-11-16 2020-03-27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用于自动柜员机的纸币传输方法及装置
JP2021105894A (ja) * 2019-12-27 2021-07-26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7525A (en) * 1944-03-30 1945-06-05 Remington Rand Inc Document feed for photographing machines
JPH0721832B2 (ja) * 1987-11-20 1995-03-08 インタ−ナシヨナル・ビジネス・マシ−ンズ・コ−ポレ−シヨン 紙幣処理装置
DE10117712A1 (de) * 2000-05-08 2001-11-15 Nexpress Solutions Llc Vorrichtung zum Ausrichten eines Druckträgers in einer drucktechnischen Maschine
DE10203177C1 (de) * 2002-01-28 2003-07-31 Wincor Nixdorf Int Gmbh Vorrichtung zum Ausrichten von Scheinen
KR20070072246A (ko) * 2005-12-31 2007-07-04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종이매체의 제공방법 및 그 제공장치
JP5312185B2 (ja) * 2009-05-08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074982B2 (en) * 2009-06-30 2011-12-13 Xerox Corporation Adjustable idler rollers for lateral registration
KR101120878B1 (ko) * 2009-12-31 2012-02-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기기
KR20110079206A (ko) * 2009-12-31 2011-07-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종이매체 이송 제어 방법
KR101581725B1 (ko) * 2011-07-21 2016-01-2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현금 및 수표 번들 입금기
KR101258773B1 (ko) * 2011-08-02 2013-04-2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매체 정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26004A1 (en) 2013-01-31
EP2551831B1 (en) 2020-12-16
US9330518B2 (en) 2016-05-03
EP2551831A1 (en) 2013-01-30
KR101258809B1 (ko) 201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9448B1 (en) BIll and cheque acceptor
KR101258809B1 (ko)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 방법
KR101258773B1 (ko) 매체 정렬 장치
KR20110056945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이송방법 및 그 장치
US20200082657A1 (en) A center de-skew subassembly to center align documents
US20200090471A1 (en) Contact Stripper/Feed Wheel Implementation
KR101527651B1 (ko) 매체 처리 장치
KR101120878B1 (ko) 금융 자동화기기
KR101408575B1 (ko) 수평방향으로 복수의 집적부를 갖는 매체집적장치 및 매체집적방법
KR101314388B1 (ko)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에 따른 게이트 제어 방법
JPH0323465B2 (ko)
US20200407181A1 (en) Center de-skew subassembly to center align documents
KR101527653B1 (ko) 매체 처리 장치
KR20140084742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 기구
KR100935756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99097B1 (ko)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인식 방법
KR20100079812A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3024B1 (ko) 금융 자동화기기
KR20140084752A (ko) 금융 자동화기기
KR20110079206A (ko)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종이매체 이송 제어 방법
KR101145052B1 (ko) 금융 자동화기기
KR10142354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장치
KR20150059187A (ko) 매체 처리 장치
KR20150059186A (ko) 매체 처리 장치
KR101314451B1 (ko) 금융자동화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