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0872A - 조명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전자 기기 및 도광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전자 기기 및 도광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0872A
KR20130010872A KR1020120078807A KR20120078807A KR20130010872A KR 20130010872 A KR20130010872 A KR 20130010872A KR 1020120078807 A KR1020120078807 A KR 1020120078807A KR 20120078807 A KR20120078807 A KR 20120078807A KR 20130010872 A KR20130010872 A KR 20130010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guide plate
light guide
light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6481B1 (ko
Inventor
요이찌 모모세
노부따까 우라노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5371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041803A/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0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6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6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23Arrangements for providing a switchable viewing ang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02B6/0043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02B6/0078Side-by-side arrangements, e.g. for large area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5Means for removing heat created by the light source from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도광판에 그루브를 적정하게 형성할 수 있는 조명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전자 기기, 및 도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조명 장치용 도광판(80)의 광 출사면(80b)에 대향하는 하면(80c)에 레이저 빔 La를 조사하여 제1 그루브(861)를 형성할 때, 우선, 외주 영역(80t)에 레이저 빔 La를 조사하여 제2 그루브(862)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2 그루브(862)를 검사한다. 다음으로, 제2 그루브(862)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레이저 빔 La의 조사 조건을 조정하고, 제2 그루브(862)의 형성 위치로부터 레이저 빔 La의 조사 위치를 직선 이동시켜, 산란 반사 영역(80s)에 대한 제1 그루브(861)의 형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전자 기기 및 도광판의 제조 방법{ILLUMINATING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GUIDE PANEL}
본 발명은, 도광판 및 광원을 구비한 조명 장치, 그 조명 장치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그 액정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및 도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과형 액정 패널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도광판의 광 입사부로 된 측단부면에 광원이 발광면을 향하는 조명 장치를 갖고 있고, 도광판의 광 출사면측에 액정 패널이 겹쳐져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조명 장치에 관해서는, 조명광의 출사 강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도광판에 있어서 광 입사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레이저 빔에 의해 그루브를 형성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8-20888호 공보
특허문헌 1과 같이, 레이저 빔에 의해 그루브를 형성하는 경우, 스테이지 상에 도광판을 재치한 상태에서, 도광판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면서 도광판을 이동시키게 된다. 그 때, 도광판의 표면에 레이저 빔의 초점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지 않으면, 그루브의 평면적이나 깊이 등의 사이즈가 변동하여, 도광판의 품질이 변동된다.
그러나 도광판은, 성형에 의해 형성된 투광성의 수지판이므로, 도광판마다 두께 편차가 있다. 이로 인해, 레이저 빔을 조사할 때, 스테이지 상의 도광판의 표면과 레이저 빔의 초점 위치와의 관계가 도광판마다 변동하여, 도광판의 품질이 변동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의 문제점에 비추어, 본 발명의 과제는, 도광판에 그루브를 적정하게 형성할 수 있는 조명 장치, 그 조명 장치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그 액정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및 도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광을 출사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과, 복수의 측면을 갖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상기 측면에 대향한 발광면을 각각 갖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도광판의 상기 제2면에는, 복수의 제1 그루브가 형성된 산란 반사 영역과, 그 산란 반사 영역과 상기 도광판의 상기 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제2 그루브가 형성된 외주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산란 반사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제1 그루브는, 각각 상기 제2면의 면내의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그루브 열을 구성하고 있고, 그 그루브 열이, 상기 제2면의 면내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복수개가, 병행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주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2 그루브는, 복수의 상기 그루브 열 중, 상기 제2 방향의 단부측에 위치하는 그루브 열의 연장선 상의 한쪽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용 도광판의 제조 방법에서는, 상기 도광판의 광 출사면에 대향하는 반대면에 설정된 산란 반사 영역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그 반대면의 면내 방향에서 교차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제1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그루브를 구비한 그루브 열을 상기 제2 방향에서 복수개가, 병행하도록 형성하는 데 있어서, 상기 반대면에서 상기 산란 반사 영역과 상기 도광판의 단부 사이에 끼워진 외주 영역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제2 그루브를 형성하는 제2 그루브 형성 공정과, 상기 제2 그루브의 형성 위치로부터 상기 레이저 빔의 조사 위치를 직선 이동시켜 상기 제1 그루브의 형성을 개시하는 제1 그루브 형성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광판의 광 출사면에 대향하는 반대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제1 그루브를 형성할 때, 우선, 산란 반사 영역과 상기 도광판의 단부 사이에 끼워진 외주 영역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제2 그루브를 형성한 후, 제2 그루브를 검사한다. 다음으로, 제2 그루브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레이저 빔의 조사 조건을 조정하고, 제2 그루브의 형성 위치로부터 레이저 빔의 조사 위치를 직선 이동시켜 제1 그루브의 형성을 개시한다. 이로 인해, 도광판에 이용한 투광성 수지판의 두께 등이 변동되어도, 평면적이나 깊이 등의 치수가 적정한 제1 그루브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광판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루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그루브 및 제2 그루브는, 어느 것을 형성할 때에도 레이저 빔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등, 형성시의 기본적인 조건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루브는, 상기 그루브 열의 연장선 상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그루브 열의 연장선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2 그루브를 이용하여 검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조 조건을 변경하여 복수의 제2 그루브를 형성하면, 제2 그루브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최적의 제조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루브는, 복수의 상기 그루브 열 중, 상기 제2 방향의 단부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그루브 열 각각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루브는, 복수의 상기 그루브 열 중, 상기 제2 방향의 가장 단부측에 위치하는 1개의 그루브 열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광면과 대향한 상기 측면인 광 입사부는, 상기 도광판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는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광원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측에 제2 그루브가 없으므로, 제2 그루브에서의 불필요한 산란 반사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적용한 조명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할 수 있고,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도광판의 광 출사면측에 겹쳐져 배치된 액정 패널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텔레비전 등의 전자 기기에 이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구비한 액정 텔레비전(전자 기기)의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더욱 미세하게 분해하였을 때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조명 장치에 이용한 광원용 기판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조명 장치에 이용한 도광판의 설명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제1 그루브의 설명도.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도광판(80)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도광판을 제조할 때에 레이저 빔을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조명 장치에 이용한 도광판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조명 장치에 이용한 도광판의 설명도.
도면을 참조하여, 액정 텔레비전용 액정 표시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참조하는 도면에서는, 각 층이나 각 부재를 도면 상에서 인식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하므로, 각 층이나 각 부재마다 축척을 다르게 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광판이나 액정 패널의 면내 방향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X축 방향(제1 방향) 및 Y축 방향(제2 방향)으로 하고,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Z축 방향(제3 방향)으로 한다. 또한, 이하에 참조하는 도면에서는, X축 방향의 한쪽 측을 X1측으로 하고, 다른 쪽 측을 X2측으로 하고, Y축 방향의 한쪽 측을 Y1측으로 하고, 다른 쪽 측을 Y2측으로 하고, Z축 방향의 한쪽 측을 Z1측(하측)으로 하고, 다른 쪽 측(조명광이나 표시광이 출사되는 측)을 Z2측(상측)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실시 형태 1]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구비한 액정 텔레비전(전자 기기)의 설명도로, 도 1의 (a), (b)는, 액정 텔레비전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전자 기기(2000)는 액정 텔레비전으로, 액정 표시 장치(100)나 텔레비전용 프레임(2010) 등을 갖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100)는, 후술하는 액정 패널(10)과, 액정 패널(10)에 화상 신호를 공급하는 화상 신호 공급부(270)와, 액정 패널(10)에 조명광을 공급하는 조명 장치(8)를 갖고 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100)는, 액정 패널(10)에 있어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사선을 구동시키는 주사선 구동 회로(104)와, 액정 패널(10)에 있어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데이터선을 구동시키는 데이터선 구동 회로(101)를 갖고 있다. 주사선 구동 회로(104) 및 데이터선 구동 회로(101)에 대해서는, 쌍방이 액정 패널(10)에 내장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주사선 구동 회로(104) 및 데이터선 구동 회로(101) 중 한쪽이 액정 패널(10)에 내장되고, 다른 쪽이 액정 패널(10)과는 별도의 구동용 IC에 내장된 구성이나, 주사선 구동 회로(104) 및 데이터선 구동 회로(101)의 쌍방이 액정 패널(10)과는 별도의 구동용 IC에 내장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용 IC로서는, 액정 패널(10)을 구성하는 기판에 COG 실장된 IC나, 액정 패널(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로 기판(도 2 참조) 등에 실장된 IC가 이용된다.
본 형태에 있어서, 조명 장치(8)는, 액정 패널(10)에 겹쳐져 배치된 도광판(80)과, 도광판(80)의 복수의 측단부면(단부면) 중, 광 입사부(80a)로 된 측단부면(단부면)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89)와, 복수의 발광 소자(89)가 실장된 광원용 기판(88)과, 발광 소자(89)를 구동시키는 광원 구동부(280)를 갖고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액정 패널(10)은 사각형이며, 4개의 변(10a, 10b, 10c, 10d)을 갖고 있다. 이들 변(10a, 10b, 10c, 10d) 중, 변(10a)은 Y축 방향의 한쪽 측 Y1에 위치하는 긴 변이고, 변(10b)은 Y축 방향의 다른 쪽 측 Y2에 위치하는 긴 변이고, 변(10c)은 X축 방향의 한쪽 측 X1에 위치하는 짧은 변이고, 변(10d)은 X축 방향의 다른 쪽 측 X2에 위치하는 짧은 변이다. 이러한 형상에 대응하여, 도광판(80)은, 4개의 측단부면(단부면)(801, 802, 803, 804)을 갖고 있다. 이들 측단부면(단부면)(801, 802, 803, 804) 중, 측단부면(단부면)(801)은 Y축 방향의 한쪽 측 Y1의 긴 변에 위치하고, 측단부면(단부면)(802)은 Y축 방향의 다른 쪽 측 Y2의 긴 변에 위치하고, 측단부면(단부면)(803)은 X축 방향의 한쪽 측 X1의 짧은 변에 위치하고, 측단부면(단부면)(804)은 X축 방향의 다른 쪽 측 X2의 짧은 변에 위치한다. 본 형태에서는, 도광판(80)의 4개의 측단부면(단부면)(801, 802, 803, 804) 중, 짧은 변 방향(Y축 방향)에서 대향하는 2개의 측단부면(단부면)(801, 802)이 광 입사부(80a)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발광 소자(89)는, 도광판(80)의 2개의 측단부면(단부면)(801, 802)[광 입사부(80a)]을 따라 배열되고, 광원용 기판(88)은, 도광판(80)의 2개의 측단부면(단부면)(801, 802)[광 입사부(80a)]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100)의 구체적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로, 도 2의 (a), (b)는, 액정 표시 장치(100)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를 더욱 미세하게 분해하였을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의 단면도로, 도 4의 (a), (b)는, 액정 표시 장치(100)를 도 1의 (a)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도, 및 액정 표시 장치(100)를 도 1의 (a)의 B-B′선을 따라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본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100)는 대체로, 소위 백라이트 장치라 칭해지는 조명 장치(8)와, 이 조명 장치(8)의 상면에 겹쳐져 배치된 투과형의 액정 패널(10)을 구비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 조명 장치(8)는, 하측(Z축 방향의 한쪽 측 Z1)에 배치되어 도광판(80)의 배면을 덮는 금속제의 제1 프레임(40)(하부 금속 프레임)과, 제1 프레임(40)의 상방에서 액정 패널(10)의 단부를 보유 지지함과 함께 조명 장치(8)를 둘러싸고 보유 지지하는 수지제의 제2 프레임(30)(수지 프레임)과, 제2 프레임(30)의 상측(Z축 방향의 다른 쪽 측 Z2)에 배치된 금속제의 제3 프레임(50)(상부 금속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제2 프레임(30)은, 액정 패널(10)을 주위에서 둘러싸는 사각형 프레임 형상을 갖고 있고, 본 형태에 있어서, 제2 프레임(30)은, 액정 패널(10)의 4개의 변마다 분할된 4개의 프레임판(31, 32, 33, 34)으로 이루어진다. 본 형태에 있어서, 제2 프레임(30)은 흑색이며, 광 흡수 부재로서 기능함으로써, 조명 장치(8) 내에서의 미광의 발생을 방지한다. 프레임판(31, 32, 33, 34)은 각각, 프레임판(31 내지 34)의 외면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판부(311, 321, 331, 341)와, 측판부(311, 321, 331, 341)의 상단부 모서리로부터 내측을 향해 굴곡된 상부 판부(315, 325, 335, 345)(단부 판부)와, 상부 판부(315, 325, 335, 345)의 높이 방향의 도중 위치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판부(312, 322, 332, 342)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프레임판(31 내지 34)의 내측에는, 돌출판부(312, 322, 332, 342)에 의해 단차부(313, 323, 333, 343)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단차부(313, 323, 333, 343)와 돌출판부(312, 322, 332, 342)에 의해 액정 패널(10)이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돌출판부(312, 322, 332, 342)의 하측에는, 조명 장치(8)의 도광판(80)이나 발광 소자(89) 등이 배치되어 있다.
제1 프레임(40)은, SUS판 등의 얇은 금속판에 대한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제1 프레임(40)은, 저판부(45)와, 저판부(45)의 외주연 중, Y축 방향의 한쪽 측 Y1을 제외한 3개의 변으로부터 기립하는 3개의 측판부(42 내지 44)를 구비하고 있고, 상면이 개구되는 사각형의 상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1 프레임(40)의 측판부(42 내지 44)의 외측에 제2 프레임(30)의 측판부(321, 331, 341)가 겹쳐져 있다. 또한, 제2 프레임(30)의 측판부(311)는, 제1 프레임(40)의 Y축 방향의 한쪽 측 Y1을 덮고 있다.
제3 프레임(50)도, 제1 프레임(40)과 마찬가지로, SUS판 등의 얇은 금속판에 대한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제3 프레임(50)은, 사각형의 상부 판부(55)(단부 판부)와, 상부 판부(55)의 외주연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4개의 측판부(51 내지 54)를 구비하고 있고, 하면이 개구되는 사각형의 상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측판부(51 내지 54)는, 제2 프레임(30)의 측판부(311, 321, 331, 341)의 외측에 겹쳐져 있다. 상부 판부(55)에는, 액정 패널(10)로부터 출사된 광을 출사하는 사각형의 창(550)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판부(55)는, 액정 패널(10)의 표시광 출사측 중, 외주 단부를 전체 둘레에 걸쳐 덮고 있다. 또한, 제3 프레임(50)의 상부 판부(55)는, 제2 프레임(30)의 상부 판부(315, 325, 335, 345)(단부 판부)의 상방을 완전하게 덮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3 프레임(50), 제2 프레임(30), 및 제1 프레임(40)은 볼트(도시 생략) 등에 의해 결합되어, 내측에 액정 패널(10)이나 조명 장치(8)를 보유 지지한다. 여기서, 제2 프레임(30)의 돌출판부(312, 322, 332, 342)의 하면 및 상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요성 시트(91, 92)가 부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액정 표시 장치(100)를 조립하였을 때, 액정 패널(10)은 가요성 시트(92)를 통해 돌출판부(312, 322, 332, 342)에 지지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100)를 조립하였을 때, 조명 장치(8)의 광학 시트[확산 시트(182), 프리즘 시트(183, 184) 등]는 가요성 시트(91)를 통해 부상이나 위치 어긋남이 발생되지 않도록 억제되어 있다.
(액정 패널(10)의 구성)
도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패널(10)은, 4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화소 전극(도시 생략) 등이 형성된 소자 기판(11)과, 소자 기판(11)에 대해 소정의 간극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된 대향 기판(12)과, 이 대향 기판(12)과 소자 기판(11)을 부착시키는 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시일재(14)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액정 패널(10)에서는, 시일재(14)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액정층(13)이 유지되어 있다. 소자 기판(11) 및 대향 기판(12)은 글래스 기판 등의 투광성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소자 기판(11)에서는, X축 방향으로 복수개의 주사선(도시 생략)이 연장되어 있는 한편, Y축 방향으로는 복수개의 데이터선(도시 생략)이 연장되어 있고, 주사선과 데이터선의 교차에 대응하여, 스위칭 소자(도시 생략) 및 화소 전극(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대향 기판(12)이 표시광의 출사측에 배치되고, 소자 기판(11)은 조명 장치(8)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대향 기판(12)에 있어서, 소자 기판(11)과 대향하는 면에는, 시일재(14)의 4개의 변의 내연을 따라, 사각형 프레임 형상의 차광층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층(120)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층(120)의 내연에 의해 규정된 영역이 화상 표시 영역(100a)이다. 또한, 제3 프레임(50)의 상부 판부(55)의 내연은, 프레임층(120)의 폭 방향의 도중 위치에 있고, 제3 프레임(50)의 창(550)은, 화상 표시 영역(100a) 및 프레임층(120)의 내주 부분과 겹쳐져 있다.
액정 패널(10)은, TN(Twisted Nematic) 방식,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방식, 혹은 VAN(Vertical Aligned Nematic) 방식의 액정 패널로서 구성되어 있고, 소자 기판(11)에 화소 전극이 형성되고, 대향 기판(12)에 공통 전극(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액정 패널(10)이 IPS(In Plane Switching) 방식이나, FFS(Fringe Field Switching) 방식의 액정 패널인 경우, 공통 전극은 소자 기판(11)측에 설치된다. 또한, 소자 기판(11)이 대향 기판(12)에 대해 표시광의 출사측에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 액정 패널(10)의 상면에는 상부 편광판(18)이 겹쳐져 배치되고, 액정 패널(10)의 하면과 조명 장치(8) 사이에는 하부 편광판(17)이 배치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소자 기판(11)은 대향 기판(12)보다 크다. 이로 인해, 소자 기판(11)은, 대향 기판(12)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돌출 부분(110)을 갖고 있고, 이러한 돌출 부분(110)의 상면에 복수매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200)이 접속되어 있다. 플렉시블 배선 기판(200)은 회로 기판(250)에 접속되어 있고, 플렉시블 배선 기판(200) 또는 회로 기판(250)에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화상 신호 공급부(270)를 구성하는 제어용 IC(도시 생략)나, 광원 구동부(280)를 구성하는 광원 구동용 IC(도시 생략)가 실장되어 있다.
(조명 장치(8)의 구성)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의 조명 장치(8)에 이용한 광원용 기판(88)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로, 도 5의 (a), (b)는, 광원용 기판(88)의 한쪽 면(881)측의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및 광원용 기판(88)의 다른 쪽 면(882)측의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광판(80)의 Y축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단부면(단부면)(801, 802)[광 입사부(80a)]에 배치된 발광 소자(89)나 광원용 기판(88)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도 5의 (a)에는, 도광판(80)의 측단부면(단부면)(802)에 배치된 발광 소자(89)나 광원용 기판(88)을 나타내고, 도 5의 (b)에는, 도광판(80)의 측단부면(단부면)(801)에 배치된 광원용 기판(88) 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 장치(8)는, 액정 패널(10)의 하면측에 겹쳐져 배치된 도광판(80)과, 도광판(80)의 광 입사부(80a)에 발광면(89a)을 향해 광 입사부(80a)의 한쪽 단부측(X축 방향의 한쪽 측 X1)으로부터 다른 쪽 단부측(X축 방향의 다른 쪽 측 X2)을 향해 배열된 복수의 발광 소자(89)를 구비하고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발광 소자(89)는, 광 입사부(80a)를 따라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원용 기판(88)의 한쪽 면(881)에 실장되어 있다. 발광 소자(89)는, 백색광을 출사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이며, 광원광을 발산광으로서 출사한다.
본 형태의 조명 장치(8)에 있어서, 도광판(80)의 측단부면(단부면)(801, 802, 803, 804) 중, Y축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측단부면(단부면)(801, 802)이 광 입사부(80a)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복수의 발광 소자(89)는, 도광판(80)의 2개의 광 입사부(80a)[측단부면/측면(801, 802)]에 발광면(89a)을 향해, 2개의 광 입사부(80a)[측단부면/측면(801, 802)] 각각의 한쪽 단부측으로부터 다른 쪽 단부측을 향해 배열되어 있다. 또한, 광원용 기판(88)은, 2개의 광 입사부(80a)[측단부면/측면(801, 802)]를 따라 2매가 연장되어 있고, 이러한 2매의 광원용 기판(88) 각각의 한쪽 면(881)에 복수의 발광 소자(89)가 실장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도광판(80)은, 아크릴 수지, 폴리메틸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광성의 수지판이며, 도광판(80)의 하면(제2면)(80c)[광 출사면(80b)과는 반대측의 면/반대면]과 제1 프레임(40)의 저판부(45) 사이에는 반사 시트(187)가 겹쳐져 배치되어 있다. 도광판(80)에 이용하는 수지판은, 압출 성형이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도광판(80)의 상면[광 출사면(80b)]과 액정 패널(10) 사이에는 확산 시트(182), 프리즘 시트(183, 184) 등의 광학 시트가 겹쳐져 배치되어 있다. 확산 시트(182)는,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투광성 수지에 실리카 입자 등을 분산시킨 코팅층을 구비한 시트로 이루어진다. 본 형태에 있어서, 2매의 프리즘 시트(183, 184)는, 서로의 능선이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광판(80)의 광 출사면(제1면)(80b)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은, 확산 시트(182)에 의해 모든 방향으로 확산된 후, 2매의 프리즘 시트(183, 184)에 의해, 액정 패널(10)의 정면 방향으로 피크를 갖도록 지향성이 부여되어 있다.
도 6 등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광판(80)에 있어서, 반사 시트(187)가 위치하는 하면(80c)에는, X축 방향(발광 소자의 배열 방향이며, 도광판 및 액정 패널의 긴 변 방향)으로 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미세한 오목부로 이루어진 복수의 제1 그루브(861)가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제1 그루브(861)의 X축 방향(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의 밀도는, 발광 소자(89)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높아져 있다. 이로 인해, 도광판(80)으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강도 분포는, 발광 소자(89)로부터의 거리에 관계없이, 균일화되어 있다.
제1 프레임(40)의 저판부(45)는, 도광판(80)에 있어서 광 입사부(80a)로 되는 측단부면(측면)(801, 802)이 위치하는 측과 겹쳐지는 영역에 있어서, 도광판(80)의 하면(80c)과 제1 프레임(40) 사이에 간극이 확보될 수 있도록 단차가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광판(80)을 향해 절곡되어 있다. 그에 따라, 도광판(80)의 하면(80c)과 저판부(45) 사이에 반사 시트(187)와 광원 지지 부재(60)의 하부 판부(61)를 간극 사이에서 협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프레임(40)의 저판부(45)를 도광판(80)을 향해 부분적으로 절곡한 것에 의해 제1 프레임(40)의 배면측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므로, 제1 프레임(40)의 저판부(45)의 하면(배면)까지 플렉시블 배선 기판(200)을 절곡하여 연장시킴과 함께, 이러한 오목부 내에 회로 기판(250)이 수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조명 장치(8)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광원용 기판(88)은, 발광 소자(89)가 실장되어 있는 한쪽 면(881)이 도광판(80)의 광 입사부(80a)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광원용 기판(88)은, 광 입사부(80a)를 따라 연장되는 판 형상의 금속판(887)의 한쪽 면(881)측에, 배선 패턴이나 랜드가 절연층과 함께 설치된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금속판(887)의 한쪽 면(881)측에, 수지 기재(基材)층, 배선 패턴 및 절연 보호층 등이 이 순서로 적층된 플렉시블 배선 기판(888)을 부착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금속판(887)과 배선 패턴 및 발광 소자(89)의 칩이 실장되는 랜드는 전기적으로 절연성이 확보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금속판(887)은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지고, 금속판(887)은, 광원용 기판(88)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함과 함께, 발광 소자(89)로부터 발열되는 열의 방열판으로서도 기능한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매의 광원용 기판(88) 각각의 다른 쪽 면(882)측에는, 광원용 기판(88)을 보유 지지하는 2개의 광원 지지 부재(60)가 배치되어 있고, 광원 지지 부재(60)는, 제1 프레임(40) 및 제2 프레임(30)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광원 지지 부재(60)는, 광원용 기판(88)의 다른 쪽 면(882)을 따라 연장되는 막대 형상의 금속 부품이며, 제1 프레임(40)의 저판부(45)에 겹쳐지는 하부 판부(61)와, 하부 판부(61)의 폭 방향의 도중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기판 지지판부(62)를 갖고 있다. 또한, 광원 지지 부재(60)는, 기판 지지판부(62)로부터 도광판(80)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절곡된 상부 판부(63)를 구비하고 있고, 상부 판부(63)는, 나사 등에 의해 제2 프레임(30) 등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광원 지지 부재(60)에 있어서, 기판 지지판부(62)의 도광판(80)이 위치하는 측의 면은, 광원용 기판(88)을 보유 지지하는 기판 보유 지지면(620)으로 되어 있고, 나사 등에 의해, 기판 보유 지지면(620)에는 광원용 기판(88)이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광원용 기판(88)은, 다른 쪽 면(882)[금속판(887)]이 광원 지지 부재(60)의 기판 보유 지지면(620)에 면 접촉 상태로 겹쳐져 있다. 또한, 광원 지지 부재(60)는, 알루미늄이나 철계 금속 등의 금속제이다. 이로 인해, 발광 소자(89)에서 발생된 열은, 광원용 기판(88)의 금속판(887)로부터 광원 지지 부재(60)에 전달되고, 광원 지지 부재(60)의 열은 제1 프레임(40)에 전달된다. 따라서, 발광 소자(89)의 온도 상승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도광판(80)의 구성)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의 조명 장치(8)에 이용한 도광판(80)의 설명도로, 도 6의 (a), (b)는, 도광판(80)을 하면(80c)측에서 본 저면도, 및 제1 그루브를 하면(80c)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제1 그루브(861)의 설명도로, 도 7의 (a), (b)는, 광이 제1 그루브(861)에서 반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 및 광이 제1 그루브(861)에서 반사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광판(80)의 하면(80c)의 중앙에는, 복수의 제1 그루브(861)가 형성된 산란 반사 영역(80s)이 설정되어 있고, 산란 반사 영역(80s)과 도광판(80)의 단부 사이는, 제1 그루브(86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외주 영역(80t)으로 되어 있다. 산란 반사 영역(80s)은, 조명광을 출사하는 영역이며, 액정 패널(10)의 화상 표시 영역(100a)과 겹쳐져 있다.
산란 반사 영역(80s)에서는, 복수의 제1 그루브(861)가 X축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는 그루브 열(86)이 Y축 방향에서 복수개가, 병행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본 형태에 있어서, 제1 그루브(861)는, 그루브 열(86) 내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X축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그루브(861)는, 발광 소자(89)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출사 방향과 교차하는 배치로 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도광판(80)의 하면(80c)에 있어서, 외주 영역(80t)에는, 제1 그루브(861)와 마찬가지의 제조·가공에 의해 형성된 제2 그루브(86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그루브(862)는, 복수의 그루브 열(86) 중, Y축 방향의 한쪽 단부측(Y축 방향의 다른 쪽 측 Y2의 단부)에 위치하는 그루브 열(86)의 연장선 상의 한쪽 측(X축 방향의 다른 쪽 측 X2)에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2 그루브(862)는, 외주 영역(80t) 중, 도광판(80)에 있어서 광 입사부(80a)로서 이용되고 있지 않은 측단부면(측면)(804)과, 산란 반사 영역(80s)에 의해 사이에 끼워진 부분에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위치는, 도광판(80)이나 산란 반사 영역(80s)의 코너에 근접하는 영역이다.
또한, 제2 그루브(862)는, 복수의 그루브 열(86) 중, Y축 방향의 한쪽 단부측(Y축 방향의 다른 쪽 측 Y2의 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그루브 열(86) 각각의 연장선 상의 한쪽 측(X축 방향의 다른 쪽 측 X2)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그루브(862)는, 복수의 그루브 열(86) 중, Y축 방향의 한쪽 단부측(Y축 방향의 다른 쪽 측 Y2의 단부)에 위치하는 4열분의 그루브 열(86) 각각의 연장선 상의 한쪽 측(X축 방향의 다른 쪽 측 X2)에 1개씩 형성되어 있고, 제2 그루브(862)의 수는 총 4개이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그루브(861)는, 도광판(80)의 하면(80c)에서 움푹 들어가는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X축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향한 홈 형상이다. 제1 그루브(861)의 YZ 횡단면은 대략 프리즘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저부는 30㎛ 내지 80㎛ 정도의 곡률 반경을 갖는 반원형이다. 제1 그루브(861)의 개구 폭은, 예를 들면 100㎛ 내지 300㎛이며, 측면의 경사각은 30˚ 내지 55˚이다. 제2 그루브(862)는, 제1 그루브(861)를 형성하기 전의 테스트용이며, 제1 그루브(86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조명 장치(8)에 있어서, 발광 소자(89)로부터 출사된 광은, 화살표 L1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광 입사부(80a)로부터 입사된 후, 도광판(80)의 내부에서 광 출사면(제1면)(80b)이나 하면(80c)에서 전반사를 반복하면서 도광판(80)의 내부를 진행한다. 그리고 화살표 L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그루브(861)에서 반사됨으로써, 화살표 L3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광 출사면(제1면)(80b)으로부터 조명광으로서 출사된다. 그 때, 제1 그루브(861)의 단부에서 반사된 광은, 여러 방향으로 확산 및 전파되면서 진행함으로써, 도광판(80)의 광 출사면(제1면)(80b)으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다.
(도광판(80)의 제조 방법)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도광판(80)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방법에 의해 도광판(80)을 제조할 때에 레이저 빔을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도광판(80)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출 성형이나 사출 성형에 의해 도광판용 수지판(80w)을 형성한 후, 수지판(80w)의 한쪽 면[도광판(80)의 하면(80c)이 상방을 향하도록 수지판(80w)을 XY 스테이지(도시 생략) 상에 재치한다. 그리고 탄산 가스 레이저나 펨토초 레이저의 레이저 빔 La를 수지판(80w)에 조사하고, 조사 위치에 있어서 수지판(80w)을 구성하는 고분자 재료를 용융, 휘발시킴으로써, 제1 그루브(861)를 형성한다. 본 형태에서는, 레이저 장치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으로부터 4개의 레이저 빔 La를 생성한다. 즉, 하나의 헤드(도시 생략)로부터 4개의 레이저 빔이 출사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4개의 레이저 빔 La를 소정의 타이밍에서 온-오프시키는 한편, 도 9에 화살표 S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판(80w)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레이저 빔 La의 조사 위치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4열분의 그루브 열(86)을 동시에 형성한다. 또한, 4열분의 그루브 열(86)을 형성한 후에는, 수지판(80w)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먼저 형성된 4열분의 그루브 열(86)에 대해 Y축 방향의 한쪽 측 Y1로 4열분 어긋난 위치에 새로운 4열분의 그루브 열(86)을 형성한다. 이러한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산란 반사 영역(80s) 전체에 걸쳐 제1 그루브(861)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도광판(80)을 제조할 때, 제1 그루브(861)의 평면적이나 깊이 등의 사이즈가 변동되면, 도광판(80)의 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제1 그루브(861)를 형성하기 전에, 외주 영역(80t) 중, 도 9에서 원(862a)에 의해 둘러싼 영역에 레이저 빔 La를 조사하여 제2 그루브(862)를 형성하는 제2 그루브 형성 공정을 행한다.
제2 그루브 형성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도 9에 화살표 T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판(80w)에 대한 레이저 빔 La의 조사 위치를, 산란 반사 영역(80s)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수지판(80w)의 단부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수지판(80w)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2 그루브(862)를 형성할 때, 화살표 T로 나타내는 방향과는 반대로, 수지판(80w)에 대한 레이저 빔 La의 조사 위치를, 수지판(80w)의 단부측으로부터 산란 반사 영역(80s)에 가까운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수지판(80w)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된다.
다음으로, 제2 그루브(862)의 사이즈[제2 그루브(862)의 길이, 폭, 깊이]나 형상 등을 검사하는 검사 공정을 행한다.
다음으로, 제1 그루브(861)를 형성하는 제1 그루브 형성 공정을 행한다. 이러한 제1 그루브 형성 공정에서는, 검사 공정에서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레이저 빔 La의 조사 조건을 조정하고, 제2 그루브(862)의 형성 위치로부터 레이저 빔 La의 조사 위치를 직선 이동시켜 제1 그루브(861)의 형성을 개시한다. 레이저 빔 La의 조사 조건이라 함은, 레이저 빔 La의 초점 위치, 파워, 온-오프의 타이밍 등이다. 또한, 제1 그루브(861)를 형성할 때의 수지판(80w)의 X축 방향의 이동 속도는, 제2 그루브(862)를 형성시킬 때의 수지판(80w)의 X축 방향의 이동 속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레이저 빔 La를 출사하는 헤드에 대해, 수지판(80w)[도광판(80)]측을 이동시켜 그루브[제1 그루브(861) 및 제2 그루브(862)]를 형성하였지만, 레이저 빔 La를 출사하는 헤드측을 이동시켜도 된다. 또한, 레이저 빔 La를 출사하는 헤드, 및 수지판(80w)[도광판(80)]의 쌍방을 이동시켜도 된다.
(본 형태의 주된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도광판(80)의 광 출사면(제1면)(80b)에 대향하는 하면(제2면)(80c)(반대면)에 레이저 빔 La를 조사하여 제1 그루브(861)를 형성할 때, 우선, 외주 영역(80t)에 레이저 빔 La를 조사하여 제2 그루브(862)를 형성한 후, 제2 그루브(862)를 검사한다. 다음으로, 제2 그루브(862)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레이저 빔 La의 조사 조건을 조정하고, 제2 그루브(862)의 형성 위치로부터 레이저 빔 La의 조사 위치를 직선 이동시켜 제1 그루브(861)의 형성을 개시한다. 이로 인해, 도광판(80)에 이용한 수지판(80w)의 두께 등이 변동되어도, 평면적이나 깊이 등의 치수가 적정한 제1 그루브(861)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광판(80)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 있어서, 제1 그루브(861) 및 제2 그루브(862)는 모두 X축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향하고 있다. 즉, 제1 그루브(861) 및 제2 그루브(862)는, 어느 것을 형성할 때에도 레이저 빔 La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등, 형성시의 기본적인 조건이 동일하다. 이로 인해, 제2 그루브(862)에 대한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레이저 빔 La의 조사 조건을 조정하면, 제1 그루브(861)를 적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광 입사부(80a)는, 도광판(80)에 있어서 Y축 방향에 위치하는 측단부면(측면)(801, 802)으로 이루어지고, 발광 소자(89)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측에 제2 그루브(862)가 없다. 그러므로, 제2 그루브(862)에서의 불필요한 산란 반사가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 형태 2]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의 조명 장치(8)에 이용한 도광판(80)의 설명도이다. 또한, 본 형태의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므로,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형태에서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외주 영역(80t)에 레이저 빔 La를 조사하여 제2 그루브(862)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실시 형태 1에서는, 그루브 열(86)의 연장선 상에 1개의 제2 그루브(862)를 형성하였지만, 본 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4열분의 그루브 열(86) 각각의 연장선 상에 복수의 제2 그루브(862)를 형성한다. 본 형태에서는, 그루브 열(86)의 연장선 상에 2개의 제2 그루브(862)를 형성한 예가 도 10에 나타내어져 있고, 제2 그루브(862)의 수는 총 8개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실시 형태 1에 비해, 검사에 이용할 수 있는 제2 그루브(862)의 수가 많으므로, 검사를 보다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그루브 열(86)의 연장선 상에 형성하는 복수의 제2 그루브(862) 각각에 있어서 제조 조건(레이저 빔 La)의 조사 조건을 변경하면, 제2 그루브(862)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최적의 제조 조건을 결정할 때, 보다 적정한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의 조명 장치(8)에 이용한 도광판(80)의 설명도이다. 또한, 본 형태의 기본적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이므로,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본 형태에서도,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레이저 빔 La를 조사하여 제1 그루브(861) 및 제2 그루브(862)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실시 형태 1, 2에서는, 4열분의 그루브 열(86)을 동시에 형성하였지만, 본 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루브 열(86)을 1열씩 형성한다. 이로 인해, 제2 그루브(862)는, 복수의 그루브 열(86) 중, Y축 방향의 가장 한쪽 단부측(Y축 방향의 가장 다른 쪽 측 Y2)에 위치하는 1개의 그루브 열(86)의 연장선 상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제2 그루브(862)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레이저 빔 La의 조사 조건을 조정한 후, 제1 그루브(861)를 형성할 수 있는 등,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형태는, 레이저 빔 La의 광로 도중에 미러를 배치하고, 이러한 미러의 방향을 절환함으로써, 레이저 빔 La의 조사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 등에 채용된다.
[다른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 1 내지 3에서는, 광원용 기판(88)의 한쪽 면(881)이 도광판(80)의 광 입사부(80a)에 대향하고 있는 구성이었지만, 광원용 기판(88)의 한쪽 면(881)이 도광판(80)의 광 입사부(80a)에 직교하고 있는 구성의 액정 표시 장치(100)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1 내지 3에서는, 도광판(80)의 측단부면(단부면)(801)측, 및 도광판(80)의 측단부면(단부면)(802)측의 쌍방을 광 입사부(80a)로 하였지만, 측단부면(단부면)(801, 802) 중 한쪽만이 광 입사부(80a)로 되어 있는 액정 표시 장치(100)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1 내지 3에서는, 수지판(80w)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레이저 빔 La의 조사 위치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Y축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4열분의 그루브 열(86)을 동시에 형성하고, 4열분의 그루브 열(86)을 형성한 후에는, 수지판(80w)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먼저 형성된 4열분의 그루브 열(86)에 대해 Y축 방향의 한쪽 측 Y1로 4열분 어긋난 위치에 새로운 4열분의 그루브 열(86)을 형성하고 있다. 단, 4개의 레이저 빔 La의 간격, 및 수지판(80w)의 Y축 방향의 이동량을 조정하면, 제1 그루브(861)를 소정의 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전자 기기에의 탑재예]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100)를 탑재한 전자 기기(2000)로서, 액정 텔레비전을 예시하였지만, 액정 텔레비전 이외에도 PC의 디스플레이, 디지털 사이니지,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 휴대용 정보 단말기 등의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본 발명을 적용한 액정 표시 장치(100)를 이용해도 된다.
8 : 조명 장치
10 : 액정 패널
80 : 도광판
80a : 광 입사부
80b : 광 출사면(제1면)
80c : 하면(반대면/제2면)
80s : 산란 반사 영역
80t : 외주 영역
80w : 수지판
86 : 그루브 열
89 : 발광 소자(광원)
100 : 액정 표시 장치
100a : 화상 표시 영역
861 : 제1 그루브
862 : 제2 그루브

Claims (11)

  1. 조명 장치로서,
    광을 출사하는 제1면과, 상기 제1면과 대향하는 제2면과, 복수의 측면을 갖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상기 측면에 대향한 발광면을 각각 갖는 복수의 발광 소자
    를 구비하고,
    상기 도광판의 상기 제2면에는,
    복수의 제1 그루브가 형성된 산란 반사 영역과,
    그 산란 반사 영역과 상기 도광판의 상기 측면 사이에 배치되고, 제2 그루브가 형성된 외주 영역
    이 형성되고,
    상기 산란 반사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제1 그루브는,
    각각 상기 제2면의 면내의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제1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그루브 열을 구성하고 있고,
    그 그루브 열이, 상기 제2면의 면내에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복수개가 병행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주 영역에 형성된 상기 제2 그루브는,
    복수의 상기 그루브 열 중, 상기 제2 방향의 단부측에 위치하는 그루브 열의 연장선 상의 한쪽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루브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루브는, 상기 그루브 열의 연장선 상에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루브는, 복수의 상기 그루브 열 중, 상기 제2 방향의 단부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그루브 열 각각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루브는, 복수의 상기 그루브 열 중, 상기 제2 방향의 가장 단부측에 위치하는 1개의 그루브 열의 연장선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면과 대향한 상기 측면인 광 입사부는, 상기 도광판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에 위치하는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명 장치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로서,
    상기 도광판의 광 출사면측에 겹쳐져 배치된 액정 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7항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조명 장치용 도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도광판의 광 출사면에 대향하는 반대면에 설정된 산란 반사 영역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고, 그 반대면의 면내 방향에서 교차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제1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그루브를 구비한 그루브 열을 상기 제2 방향에서 복수개가 병행하도록 형성하는 데 있어서,
    상기 반대면에서 상기 산란 반사 영역과 상기 도광판의 단부 사이에 끼워진 외주 영역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제2 그루브를 형성하는 제2 그루브 형성 공정과,
    상기 제2 그루브의 형성 위치로부터 상기 레이저 빔의 조사 위치를 직선 이동시켜 상기 제1 그루브의 형성을 개시하는 제1 그루브 형성 공정
    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루브 형성 공정 후에, 상기 제2 그루브를 검사하는 검사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루브 형성 공정은, 상기 검사 공정에서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저 빔의 조사 조건을 조정한 후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광판의 제조 방법.
KR1020120078807A 2011-07-19 2012-07-19 조명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전자 기기 및 도광판의 제조 방법 KR1020264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57591 2011-07-19
JPJP-P-2011-157591 2011-07-19
JP2011253719A JP2013041803A (ja) 2011-07-19 2011-11-21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導光板の製造方法
JP2011253718A JP5853628B2 (ja) 2011-07-19 2011-11-21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導光板の製造方法
JPJP-P-2011-253718 2011-11-21
JPJP-P-2011-253719 2011-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872A true KR20130010872A (ko) 2013-01-29
KR102026481B1 KR102026481B1 (ko) 2019-09-27

Family

ID=4753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807A KR102026481B1 (ko) 2011-07-19 2012-07-19 조명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전자 기기 및 도광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8823903B2 (ko)
KR (1) KR102026481B1 (ko)
CN (1) CN1028895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9512A (zh) 2011-07-19 2013-01-23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照明装置、液晶显示装置、电子设备以及导光板的制造方法
US9116267B2 (en) * 2012-09-28 2015-08-25 Apple Inc. Backlight structures and assemblies for electronic device displays
CN104282225B (zh) * 2013-07-01 2017-07-14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JP6318560B2 (ja) * 2013-11-11 2018-05-09 オムロン株式会社 導光体、発光装置および遊技機
CN104280933A (zh) 2014-10-21 2015-01-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用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4536202A (zh) * 2015-01-19 2015-04-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FR3068485B1 (fr) * 2017-06-30 2019-11-29 Valeo Vision Guide optique faconne au laser
JP7406972B2 (ja) * 2019-04-03 2023-12-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7692A (ja) * 2000-04-12 2001-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レーザ加工方法
JP2008020888A (ja) 2006-07-10 2008-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導光板と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49403A (ja) 1991-05-28 1992-12-03 T T T:Kk 導光板及びその導光板を使用した平面型表示装置
FR2802308B1 (fr) 1999-12-09 2002-03-08 Gc Comm Procede et dispositif d'usinage par laser de guides de lumiere, guides de lumiere obtenus et ecrans retro-elaires incorporant ces guides
ATE349027T1 (de) 1999-12-09 2007-01-15 Phlox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lichtleiterherstellung mit einem laser, lichtleiter und rückwärtig beleuchtete bildschirme mit diesen lichtleitern
JP4055056B2 (ja) * 2002-07-19 2008-03-05 ミネベア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KR100646137B1 (ko) * 2004-03-24 2006-11-15 토파즈엘시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용 도광판
JP5853628B2 (ja) 2011-07-19 2016-02-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導光板の製造方法
CN102889512A (zh) 2011-07-19 2013-01-23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照明装置、液晶显示装置、电子设备以及导光板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7692A (ja) * 2000-04-12 2001-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レーザ加工方法
JP2008020888A (ja) 2006-07-10 2008-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導光板と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97828B2 (en) 2015-08-04
US20140327859A1 (en) 2014-11-06
US20130021559A1 (en) 2013-01-24
KR102026481B1 (ko) 2019-09-27
US20150138836A1 (en) 2015-05-21
CN102889512A (zh) 2013-01-23
US8823903B2 (en) 2014-09-02
US8934071B2 (en) 201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6481B1 (ko) 조명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전자 기기 및 도광판의 제조 방법
US964529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illumination device
USRE45879E1 (en) Lighting unit, liquid crystal display,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117712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JP5747729B2 (ja)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30027977A1 (en) Illumination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5906595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961942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3026110A (ja)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026482B1 (ko) 조명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JP5853628B2 (ja)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導光板の製造方法
JP5821539B2 (ja)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2901004B (zh) 照明装置、液晶显示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