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9264A -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 Google Patents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9264A
KR20130009264A KR1020110070237A KR20110070237A KR20130009264A KR 20130009264 A KR20130009264 A KR 20130009264A KR 1020110070237 A KR1020110070237 A KR 1020110070237A KR 20110070237 A KR20110070237 A KR 20110070237A KR 20130009264 A KR20130009264 A KR 20130009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pace
opening
closing butt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6510B1 (ko
Inventor
김종문
Original Assignee
김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문 filed Critical 김종문
Priority to KR1020110070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510B1/ko
Publication of KR20130009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간편 착탈식 손잡이는 주방용기와 같은 취사도구에 사용되며, 손잡이 상에는 개폐버튼홈, 조임집게-유동공간부, 하부덮개판 자리지정홈, 유동홈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버튼은 개폐버튼홈 안에 위치해 있고, 상기 개폐버튼 상에는 핀축자리-공간부가 있으며, 핀축자리에는 핀축이 조립되어 있다. 집게 상에는 연결대홈과 유동공간부가 있으며, 상기 집게는 유동공간부 내에 위치해 있다. 상기 하부덮개 상에는 돌출부와 자리지정부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는 집게로 견고하게 잡을 수 있고 편리하게 주방용기에 탈부착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의 착탈식 손잡이와 비교했을 때 전체적인 메카니즘이 간단하고 부품이 적게 들고 중량이 가벼울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매우 높은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생산 제조원가가 적게들 뿐만 아니라 공간 점유율이 적고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CLAMPING STYLE HANDLE FOR KITCHEN VESSEL}
본 발명은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집게로 견고하게 잡을 수 있고 편리하게 주방용기에 탈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이 가볍고 안정성이 좋으며 또한 공간 점유율이 적고 보관이 용이한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주방용기는 대체로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하나는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이고 다른 하는 손잡이가 달리지 않은 주방용기이다. 상기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는 통상적으로 손잡이가 주방용기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는 손잡이를 탈부착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손잡이를 지속적으로 주방용기에 고정시켜 놓았을 때 주방용기가 차지하는 공간은 크며, 세척하기도 어렵고 보관에도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손잡이가 달리지 않은 주방용기는 전기밥솥의 내부통, 각종 탕냄비, 후라이팬 및 고압 냄비의 내부통 등이 있다. 일반소비자들이 이런 종류의 주방용기를 들고자 할 때 통상적으로 손이 데이지 않도록 받쳐들 수 있는 별도의 보조도구가 필요하다.
한편, 중국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 CN200954059Y 호에는 착탈식 손잡이가 공개되어 있는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나 잠금판의 구조가 핀을 삽입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주방용기 상에 잠금판과 조합이 되는 핀이 걸리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
상기 공개공보에서 제시하고 있는 도 16 내지 도 19와 상세한 설명서의 제4장의 가장 마지막 문단 내용을 살펴보면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주방용기 상에 설치를 하는 것은 주방용기 구조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에 불편함이 예상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탈식 손잡이의 구조에 대한 합리성 제공, 가격절감, 탈부착의 신속함, 어떠한 부품도 사용하지 않고 손잡이가 없는 주방용기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정성이 있고 주방용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하여 주방용기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의 상단부 중간에는 개폐버튼홈, 핀축자리공간부와 축홀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조임집게-유동공간부와 클립핑 커넥터홈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버튼은 핀축자리 공간부와 개폐버튼홈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심커넥터는 손잡이 상에 있으며, 상기 개폐버튼의 상단부 끝부분에는
Figure pat00001
홈 과 미끄럼방지홈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상에는 빈공간과 핀홀가 형성되며, 후부에는 핀축자리가 형성되고, 상기 핀축자리 상에는 핀축홀이 형성되며, 연결대는 공간부과 공간부 내에 있으며, 중심커넥터는 상기 개폐버튼과 조임집게 상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연결대 상에는 작은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집게와 유동공간부는 조입집게-유동공간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조입집게 상에는 유동홈홀과 빈공간부가 있으며, 상기 조임집게의 후단부에는
Figure pat00002
홈과 돌출부 가 서로 접합되어 있으며, 하부덮개판은 손잡이 상에 고정되어 있고 그 위에는 나사홀 및 클립핀 커넥트와 자리지정부, 그리고 클립핑 커넥트 및 조임집게-유동공간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손잡이가 없는 주방용기를 집은 후 지속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편리하며,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이 적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원재료가 적게 들고 중량이 가볍고 가격이 낮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부품이 적게 들어감으로써 전체적인 구조의 안정성이 높으며, 구조가 빈틈이 없고 조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주방용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고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손잡이가 없는 주방용기를 집은 후 지속이 가능하고 탈부착이 편리하며, 전체적으로 미끄럼방지 효과가 현저하게 드러날 뿐만 아니라 손에 물기가 있을 때에도 손잡이를 단단히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이 적게 들며 원재료가 적게 들고 중량이 가볍고 가격이 낮은 편이며, 내부에 부품이 적게 들어감으로써 전체적인 구조의 안정성이 더 높은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구조가 빈틈이 없고 조작이 간편하고, 주방용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들고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조립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단면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바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기술적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는 손잡이 3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3의 상단부 중간에는 개폐버튼홈 39와 핀축자리-공간부 32와 축홀 31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조임집게-유동공간부 35, 클립핑 커넥터홈 33과 34가 형성된다. 개폐버튼 1은 핀축자리-공간부 32과 개폐버튼홈 39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심커넥터는 손잡이 3 상에 있다. 상기 개폐버튼 1의 상단부 끝부분에는
Figure pat00003
홈 16과 미끄럼방지홈 14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돌출부 15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 15 상에는 빈공간 13과 핀홀 12가 형성되며, 후부에는 핀축자리가 있으며, 상기 핀축자리 상에는 핀축홀 11이 형성된다.
연결대 2는 공간 13과 공간 42 내에 있으며, 중심커넥터는 개폐버튼 1과 조임집게 4 상에 위치해 있다. 상기 연결대 2 상에는 작은 핀홀 21과 핀홀 22가 형성된다. 상기 조임집게 4와 유동공간은 조임집게-유동공간부 25 내에 위치하고, 상기 조임집게 4 상에는 유동홈홀 41과 빈공간 42가 있으며, 상기 조임집게 4의 후단에는
Figure pat00004
홈 43과 돌출부 15가 서로 접합되어 있다. 하부덮개판 5는 손잡이 3 상에 고정되어 있고, 그 위에는 나사홀 51과 52 및 클립핑 커넥트 53과 자리지정부 54 및 클립핑 커넥트 55, 조임집게-유동공간부 56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행 항목 중, 손잡이 3의 전단부 아래에 플레임가드 공간부 37이 있으며, 하부덮개판 5의 아래 부분에는 플레임가드 공간 57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임가드 공간 57 내에는 플레임가드 6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실행 항목 중, 플레임가드 6의 양단에는 삽입발 61이 있으며, 이와 서로 대응되도록 플레임가드 공간 37 상에는 삽입발 61이 삽입되는 삽입홈 37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발 61과 삽입홈 371의 삽입을 통해 플래임가드 6은 손잡이 3의 플레임가드 공간 37과 하부덮개판 57의 플레임가드 57 내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실행 항목 중, 핀축홀 11, 축홀 31은 핀축 111을 통해 손잡이 3과 개폐버튼 1을 연결한다. 이로 인해 상기 개폐버튼 1과 손잡이 3의 중심연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실행 항목 중, 핀홀 12, 작은 핀홀 21은 작은핀 211을 통해 개폐버튼 1과 연결대 2가 연결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개폐버튼 1과 연결대 2의 중심연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실행 항목 중, 연결대 2와 조임집게 4와 핀홀 22를 통해 유동홈홀 41과 작은 핀 411이 연결된다. 이로써 상기 연결대 2는 빈공간 42 내에서 유동홈홀 41을 따라 전후로 유동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실행 항목 중, 손잡이 3의 후단부에는 미끄럼방지선 38과 걸이홀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실행 항목 중, 하부덮개판 5 상에 있는 클립핑커넥트 53 및 55와 손잡이 3 상에 있는 클립핑커넥트홈 34과 33이 상호 조합이 된다. 이로써 하부덮개판 5가 손잡이 3 상에 있는 클립핑 커넥터에 잠겨서 고정이 된다. 또한 나사홀 51과 나사홀 52를 통해 나사 511을 사용하여 단단하고 고정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실행 항목 중, 개폐버튼1 상의 둘출부 15와 조임집게 4 상의 凹홈 43이 상호 조합이 된다. 상기 개폐버튼 1을 누르면 조임집게 4에 잠겨서 고정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실행 항목 중, 개폐버튼 1 의 상부에 凹홈 16과 凹자점 14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상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위에서 언급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기술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는 개폐버튼 1, 연결대 2, 손잡이 3, 조임집게 4, 하부덮개판 5와 플레임가드 6을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 3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해 성형을 하며, 잠금핀축공간 32, 클립핑커넥트홈 33, 클립핑커넥트홈 34, 조임집게-유동공간부 35, 걸이홀 36, 플레임가드공간, 미끄럼방지선 38, 개폐홈 39가 하나로 합쳐진 성형이다. 그 중에서 핀축자리공간 32, 클립핑커넥트홈 33, 클립핑커넥트홈 34, 조임집게-유동공간부 35, 플레임가드공간 37, 개폐홈 39는 손잡이 3의 전단부에 있다. 게다가 핀축자리공간 32, 조임집게-유동공간부 35, 개폐홈 39는 서로 통한다. 걸이홀 36, 미끄럼방지선 38은 손잡이 3의 후단부에 있다.
상기 개폐버튼 1은 일반적으로 베이클 라이트(Bake lite)를 사용해 성형을 한다. 상기 개폐버튼 1의 활동위치는 핀축자리공간 32와 개폐홈 39의 내부이다. 상기 개폐버튼 1의 상부에는 편한 그립감과 마찰력을 증가시켜주는 凹홈 16과 凹자점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버튼 1의 하부에는 조임집게 4 상의 凹홈43과 서로 조합되는 凸자부품이 있으며, 잠금조임집게 4, 핀축 111이 축홀 31과 핀축홀 11을 통과해 나와 개폐버튼 1과 손잡이 3이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대 2는 일반적으로 금속재질을 사용하며, 스텐레스 재질로 프레스성형을 한다. 상기 연결대 2는 작은핀 211, 작은핀 411을 통과해 개폐버튼 1, 조임집게 4를 서로 연결시킨다. 상기 작은핀 211은 핀홀 12와 작은핀홀 21을 통과해 나와 개폐버튼 1과 연결대 2를 연결시킨다. 상기 조임집게 4, 잠금유동홈홀 41, 빈공간 42, 홈 43은 일반적으로 베이클 라이트(Bake lite)를 사용하여 성형한다. 작은핀 411는 유동홈홀 41과 핀홀 22를 통과해 나와 조임집게 4와 연결대 2를 연결시킨다.
하부덮개판 5는 베이클 라이트(Bake lite)를 사용하며, 잠금나사홀 51, 나사홀 52, 클립핑커넥트 53, 자리지정부품 54, 클립핑커넥터 55, 조임집게-유동공간부, 플레임가드공간 56이 하나로 합쳐진 성형이다. 상기 하부덮개판 5 상에 클립핑커넥트 53, 클립핑커넥터 55가 서로 조합된 손잡이 3 상의 클핑커넥트홈 34, 클립핑커넥트홈 33 내에 끼워진다. 그 다음에 나사 511이 사용하여 나사홀 51과 나사홀 52를 통과해 하부덮개판 5를 손잡이 3 상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이로써 손잡이 3과 하부덮개판 5 사이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플레임가드 6은 일반적으로 금속재질을 사용하여 스텐레스 재질로 프레스 성형을 한다. 상기 플레임가드 6의 양단에는 삽입발 61이 있다. 이와 조합되는 삽입발 61의 삽입홈 371이 플레임가드공간 37 상에 있다. 삽입발 61과 삽입홈 371 간의 상호 삽입을 통해 플레임가드가 손잡이 3의 플레임가드홈 37과 플레임가드홈 57 내에 고정이 된다.
하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작동 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학자 한다.
먼저, 손잡이가 주방용기에서 해체된 상태를 가정한다. 이때 조임집게 4의 집게부분 44는 하부덮개판 5의 전단부에 밀착되어 있고 조임집게 4의 집게부분 44와 손잡이 3 상의 집게부분 310 간에 주방용기 7의 가장자리에 끼워 넣을 수 있는 공간이 유지되어 있다.
이후, 도 2와 같이 주방용기 7을 집으려고 할 때, 먼저 손잡이를 주방용기 7의 가장자리에 끼워 넣는다. 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엄지손가락으로 凹홈 16 부분을 아래방향으로 누른다. 이에 따라 개폐버튼 1이 핀축 111을 감으며 시계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연결대 2의 중심이 개폐버튼 1과 조임집게 4를 연결하기 때문에 연결대 2를 대동하여 운동을 한다. 이에 연결대 2는 다시 조임집게 4를 대동하여 앞쪽으로 유동을 한다. 그래서 집게 44와 손잡이 3 상의 집게 310은 같이 주방용기 7을 단단히 집는다. 상기 개폐버튼 1을 클립핑이 닫히는 지점까지 누를 때 개폐버튼1 상의 돌출부 15는 凹홈 43 내에 걸려서 연결이 된다. 조임집게가 고정이 되는 작용으로 인해 전체적인 구조가 잠김상태가 된다.
다음, 해체를 하려고 할 때에는 개폐버튼 1을 위로 당기면 개폐버튼 1이 핀축 111을 감으며 시계 정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개폐버튼 1은 연결대 2를 대동하여 운동을 한다. 상기 연결대 2는 조임집게 4를 대동하여 뒤쪽으로 유동을 하게 되고 주방용기 7의 가장자리를 집고 있는 집게가 풀리게 되어 한 번의 들어 옮기는 동작이 완료가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나하나 옮기고자 하는 주방용기 7을 옮기고자 하는 위치로 반복해서 옮길 수가 있다. 다 사용하고 나면 본 발명의 착탈식 손잡이를 손잡이의 뒤쪽 끝에 있는 걸이홀 3을 통해 걸고자 하는 위치에 걸고 다음 번의 사용을 위해 준비할 수 있다.
1: 개폐버튼 2:연결대
3: 손잡이 4: 조임집게
7: 주방용기

Claims (10)

  1.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있어서,
    손잡이 3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 3의 상단부 중간에는 개폐버튼홈 39, 핀축자리공간부 32와 축홀 31이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조임집게-유동공간부 35, 클립핑 커넥터홈 34 및 35가 형성되며;
    상기 개폐버튼 1은 핀축자리 공간부와 개폐버튼홈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심커넥터는 손잡이 3 상에 있으며;
    상기 개폐버튼 1의 상단부 끝부분에는
    Figure pat00005
    홈 16과 미끄럼방지홈 14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돌출부 15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15 상에는 빈공간 13과 핀홀 12가 형성되며, 후부에는 핀축자리가 형성되고, 상기 핀축자리 상에는 핀축홀 11이 형성되며;
    연결대 2는 공간부 13과 공간부 42 내에 있으며, 중심커넥터는 상기 개폐버튼 1과 조임집게 4 상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연결대 2 상에는 작은 핀홀 21과 핀홀 22가 형성되며;
    상기 조임집게 4와 유동공간부는 조입집게-유동공간부 25 내에 위치하고, 상기 조입집게 4 상에는 유동홈홀 41과 빈공간부 42가 있으며, 상기 조임집게 4의 후단부에는
    Figure pat00006
    홈 43과 돌출부 15가 서로 접합되어 있으며;
    하부덮개판 5는 손잡이 3 상에 고정되어 있고 그 위에는 나사홀 51과 52 및 클립핀 커넥트 53과 자리지정부 54, 그리고 클립핑 커넥트 55 및 조임집게-유동공간부 5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3의 전단부 아래부분에는 플레임가드-공간부 37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덮개판 5의 아래부분에는 플레임가드-공간부 57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가드-공간부 57 내에는 플레임가드 6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임가드 6의 양단에는 삽입발 61이 있으며, 이와 서로 대응되도록 플레임가드-공간부 37 상에는 상기 삽입발 61이 삽입되는 삽입홈 37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발 61과 삽입홈 371의 삽입을 통해 플레임가드 6은 손잡이 3의 플레임가드-공간부 37과 하부덮개판 57의 플레임가드 57 내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4. 제1항에 있어서,
    핀축홀 11과 축홀 31에 있으며, 핀출 111을 통해 손잡이 3과 개폐버튼 1을 연결되어 상기 개폐버튼 1과 손잡이 3의 중심 연결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5. 제1항에 있어서,
    핀홀 12와 작은 핀홀 21에 있으며, 작은핀 211을 통해 개폐버튼 1과 연결대 2가 연결되어 상기 개폐버튼 1과 연결대 2의 중심 연결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 2와 조임집게 4가 있으며, 핀홀 22를 통해 유동홈홀 41과 작은핀 411이 연결되며, 상기 연결대 2는 빈공간 42 내에서 유동홈홀 41을 따라 전후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3의 후단부에는 미끄럼방지선 38과 걸이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판 5에는 클립핑 커넥트 53과 55가 있으며, 상기 손잡이 3에는 클립핑 커넥트홈 34와 33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덮개판 5가 손잡이 3 상에 있는 클립핑 커넥터에 잠겨서 고정이 되고, 나사홀 51과 52를 통해 나사 511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버튼 1에는 돌출부 15와 조임집게 4 상의
    Figure pat00007
    홈 43의 상호 조합에 있으며, 상기 개폐버튼 1을 누르면 조임집게 4에 잠겨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버튼 1의 상부에는
    Figure pat00008
    홈 16과
    Figure pat00009
    자점 14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20110070237A 2011-07-15 2011-07-15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276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237A KR101276510B1 (ko) 2011-07-15 2011-07-15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237A KR101276510B1 (ko) 2011-07-15 2011-07-15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264A true KR20130009264A (ko) 2013-01-23
KR101276510B1 KR101276510B1 (ko) 2013-06-18

Family

ID=4783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237A KR101276510B1 (ko) 2011-07-15 2011-07-15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5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2361A (zh) * 2017-01-06 2018-07-13 Seb公司 配备有具有枢转按钮的打开系统的可拆卸手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19713B (zh) * 2013-10-22 2015-12-30 广东凌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无螺丝的把柄结构及采用该把柄结构的厨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866B1 (ko) * 2008-09-05 2011-07-06 김종득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2361A (zh) * 2017-01-06 2018-07-13 Seb公司 配备有具有枢转按钮的打开系统的可拆卸手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510B1 (ko)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9578B2 (en) Cookware article
JP5970616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KR101215223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JP6033964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KR101276510B1 (ko)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CN211299460U (zh) 一种可放置锅铲的平底锅
KR102486565B1 (ko) 착탈식 냄비 손잡이
CN201290603Y (zh) 家用蒸架
KR101215046B1 (ko) 주방용 조리기구
KR200468783Y1 (ko)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
KR101276476B1 (ko)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CN203244303U (zh) 一种立式取锅件
CN215650585U (zh) 一种可拆卸式锅把手
KR200469180Y1 (ko) 편수형 손잡이 냄비용 파지장치
KR20100003255U (ko) 분리형 손잡이를 구성한 조리용구
CN204541854U (zh) 高温碗碟叉式夹持器
CN219479903U (zh) 一种锅盖夹持支撑装置
CN216494995U (zh) 一种勺子、勺子组合以及厨具组合
CN219460865U (zh) 多功能锅具
JP3136410U (ja) 鍋敷
CN217610680U (zh) 一种锅用手柄
CN220757163U (zh) 一种具有新型手柄的锅具
RU2278777C1 (ru) Кухонно-столовый прибор с чехлом держателя
CN203634021U (zh) 一种厨具用蒸盘
KR20080081109A (ko) 조리기구용 탈부착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