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9189A -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 Google Patents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9189A
KR20130009189A KR1020110070096A KR20110070096A KR20130009189A KR 20130009189 A KR20130009189 A KR 20130009189A KR 1020110070096 A KR1020110070096 A KR 1020110070096A KR 20110070096 A KR20110070096 A KR 20110070096A KR 20130009189 A KR20130009189 A KR 20130009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vacuum
lifting
lifting unit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로팩
Priority to KR1020110070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9189A/ko
Priority to PCT/KR2012/005139 priority patent/WO2013002581A2/ko
Publication of KR20130009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1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46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 B65B31/048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65B61/1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using heated wires or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08Opening and emptying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acuum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단이 개방된 비닐롤을 일단이 밀봉된 비닐봉투로 절단하여 자체 제조하고, 음식물 등이 삽입된 비닐봉투의 내부를 진공하여 밀봉시킬 수 있는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 VACUUM PACKING APPARATUS HAVING CUTTING FUNCTION }
본 발명은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단이 개방된 비닐롤을 일단이 밀봉된 비닐봉투로 절단하여 제조하고, 음식물 등이 삽입된 비닐봉투의 내부를 진공하여 밀봉시킬 수 있는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포장기는 내부에 음식물 등이 수납되어 있는 비닐봉투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형성한 후 열봉합하여, 음식물 등이 진공상태로 장시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진공포장기는 일반적으로 챔버식과 노즐식으로 구분되며, 현재 다양한 구조의 진공포장기가 공지되어 있다.
그리고, 진공포장기에는 상기 비닐봉투 내부의 진공완료 후 이를 밀봉하기 위한 히터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진공포장기는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비닐봉투를 사용한다.
상기 비닐봉투는 상기 진공포장기와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고, 상기 비닐봉투의 그 길이는 일정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길이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상의 비닐롤을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다양한 길이를 갖는 비닐봉투를 절단하여 제작하고, 또한 비닐봉투의 진공 및 밀봉이 가능하며, 진공포장된 비닐봉투를 절개하여 개방할 수 있는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는, 전면에 비닐봉투가 삽입 배치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진공펌프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챔버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챔버부의 전방에는 제1히터 또는 제1가압고무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된 하부진공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진공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면에 상기 하부챔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챔버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챔버부의 전방에서 상기 제1히터 또는 제1가압고무 중 나머지 하나가 장착된 상부진공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장착되고, 상승시 하면이 상기 본체의 상면과 이격되어 상기 본체와의 사이에 인출공을 형성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공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하면 또는 상기 본체의 상면 중 어느 하나에는 장착되는 제2히터와; 상기 제2히터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승강부의 하면 또는 상기 본체의 상면 중 나머지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부의 하강시 상기 제2히터와 접하는 제2가압고무와; 상기 승강부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여 상기 인출공을 형성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배치되어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장착된 커터와; 상기 승강부의 하강시 상기 승강부를 상기 본체에 고정 결합시키는 록킹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터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인출공에 배치되는 비닐봉투를 절단하고, 상기 상부진공부재의 하강시 상기 상부챔버부는 상기 하부챔버부와 접하여 내부에 밀폐된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삽입공을 통해 개구부가 상기 챔버에 삽입배치된 비닐봉투는 상기 하부챔버부와 상부챔버부에 의해 가압 밀폐된 후, 상기 챔버와 연통된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비닐봉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부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는 승강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승강부의 하강시 상기 승강돌기는 상기 상부진공부재를 눌러 하강시키고, 상기 상부진공부재의 하강에 의해 상기 상부챔버부와 상기 하부챔버부는 상호 접해 상기 챔버를 형성한다.
상기 승강돌기는, 상기 승강부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를 관통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가압스토퍼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면과 상기 승강부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스토퍼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의 상면 하부와 접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승강부가 상승높이를 일정거리 이내로 유지하며, 상기 승강부의 하강시 상기 가압스토퍼는 상기 상부진공부재를 눌러 하강시킨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승강부에 형성된 록킹돌기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돌기가 삽입되는 록킹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부의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되고, 상기 록킹돌기는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홈으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승강부는 상승한다.
일단이 상기 승강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부의 승강시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이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상부진공부재는 전방이 상기 삽입공 방향으로 배치되고, 후방이 상기 본체 또는 하부진공부재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되, 상기 상부진공부재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상기 승강부의 하강시 상기 상부진공부재는 상기 토션스프링을 압축하면서 후방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부챔버부와 하부챔버부가 상호 접한다.
상기 하부진공부재는 전방이 상기 삽입공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면이 전방에서 후방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의 하강시 상기 상부진공부재와 하부진공부재의 접촉면은 상기 삽입공이 배치된 전방에서 후방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승강부의 후방에 비닐롤이 내장된 롤케이스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롤케이스에는 상기 내부의 비닐롤이 상기 인출공으로 이동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부는, 하면에 상기 제2히터 또는 제2가압고무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와의 사이에 하부인출공이 형성된 제1승강부와; 상기 제1승강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승강부와의 사이에 상부인출공이 형성된 제2승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승강부 및 제2승강부에는 상기 커터가 관통하는 상기 가이드공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승강부의 하강시 상기 제1승강부도 함께 하강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상의 비닐롤을 단순히 절단하는 것이 아니라, 절단과 열봉합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일단이 밀봉된 비닐봉투를 자체적으로 제작할 수 있고, 또한 비닐봉투의 내부 진공 및 밀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진공포장기는 진공포장된 비닐봉투를 절개하여 내부가 개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측단면구조도,
도 4는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정단면구조도,
도 5는 도 3에서 롤케이스를 장착한 후 인출공을 통해 인출된 상태의 측단면구조도,
도 6은 도 5에서 승강부가 하강한 상태의 측단면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에서 록킹부의 잠금/해제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측면구조도,
도 8은 도 6에서 커터에 의해 비닐롤이 절단된 상태의 측단면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터에 의해 비닐롤이 절단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비닐봉투의 개구부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챔버에 삽입하여 진공시키는 상태의 측단면구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를 이용하여 비닐봉투의 밀봉부분을 절단한 상태의 측단면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C-C선을 취하여 본 측단면구조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측단면구조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정단면구조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C-C선을 취하여 본 측단면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는, 본체(10)와, 하부진공부재(20)와, 상부진공부재(30)와, 승강부(40)와, 탄성부재(50)와, 커터(60)와, 제어부(미도시)와, 스위치부(70)와, 롤케이스(80), 록킹부(9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前面)에 비닐봉투(85)가 삽입 배치되는 삽입공(11)이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진공펌프(15)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는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하부진공부재(20)는 대략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면에는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챔버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진공부재(20)는 전방이 상기 삽입공(11)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진공부재(20)는 상기 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대해 별도로 구성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장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하부챔버부(21)에 액체 등의 이물질 등 수용되면 이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상부진공부재(30)는 대략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면에 상기 하부챔버부(21)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챔버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챔버부(21)와 상부챔버부(31)는 상호 접하여 내부에 밀폐된 챔버(25)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진공부재(30)는 상기 하부진공부재(2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상부진공부재(30)는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면서 승강되게 장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전방이 상기 삽입공(11) 방향으로 배치되고 후방이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전방이 후방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상부진공부재(30)가 후방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하강하게 되면, 상기 상부챔버부(31)와 하부챔버부(21)는 상호 접하여 내부에 밀폐된 상기 챔버(25)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진공부재(30)와 하부진공부재(20)의 접촉면은 상기 삽입공(11)이 배치된 전방에서 후방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진공부재(20)는 상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진공부재(30)는 후방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는바, 상기 상부챔버부(31)와 하부챔버부(21)의 접촉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상부진공부재(30)가 하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상부챔버부(31)와 하부챔버부(21)의 접촉면이 전체적으로 거의 동시에 닿게 되어, 상기 상부챔버부(31)와 하부챔버부(21)의 접촉면 중 후방쪽이 먼저 닿고 전방쪽이 나중에 닿아 전방쪽이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챔버부(21)의 전방에는 제1히터(32) 또는 제1가압고무(22)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챔버부(31)의 전방에서 상기 제1히터(32) 또는 제1가압고무(22) 중 나머지 하나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히터(32)는 상기 상부진공부재(30)에 장착되어 있고, 제1가압고무(22)는 상기 하부진공부재(20)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히터(32)와 제1가압고무(22)는 상기 상부진공부재(30)의 하강시 상호 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상부진공부재(30)와 하부진공부재(20) 사이에는 비닐봉투(85)의 개구부가 상기 삽입공(11)을 통해 상기 챔버(25)에 삽입배치되고, 상기 비닐봉투(85)의 개구부는 상기 하부챔버부(21)와 상부챔버부(31)에 의해 가압 밀폐된 후, 상기 챔버(25)와 연통된 상기 진공펌프(15)의 작동에 의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상기 진공펌프(15)는 상기 챔버(25)와 연결되는 구조가 명확하게 나타나 있지 않지만, 이러한 연결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진공포장기의 구조를 이용하면 충분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진공부재(30)는 토션스프링(96)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자유상태에서 상기 챔버(25)가 외부로 개방된다.
이러한 상기 상부진공부재(30)는 위에서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토션스프링(96)을 압축하면서 후방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부챔버부(31)와 하부챔버부(21)가 상호 접하게 된다.
상기 승강부(40)는 좌우방향으로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장착된다.
상기 승강부(40)는 상승시 하면이 상기 본체(10)의 상면과 이격되어 상기 본체(10)와의 사이에 인출공(44)을 형성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공(42)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40)의 하부 양측에는 상기 본체(10)를 관통하는 승강돌기(41)가 하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승강돌기(41)는 상기 승강부(40)의 하강시 상기 상부진공부재(30)를 눌러 하강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상부진공부재(30)는 후방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부챔버부(31)와 하부챔버부(21)가 상호 접하여 상기 챔버(25)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돌기(41)의 하부는 상기 상부진공부재(30)와 결합됨이 없이 접촉하고만 있다.
상기 승강돌기(41)는 조립의 편의성 등을 위해, 지지대(41a)와, 가압스토퍼(41b)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41a)는 상기 승강부(4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단이 상기 본체(10)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가압스토퍼(41b)는 넓은 블록 또는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대(41a)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가압스토퍼(41b)는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41b)가 상승하려고 할 경우,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10)의 상면 하부와 접하여 상기 승강부(40)가 상승높이를 일정거리 이내로 유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가압스토퍼(41b)는 상면이 상기 본체(10)와 접하여 상기 승강부(40)가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려는 것을 일정거리 이내로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40)의 하강시 상기 가압스토퍼(41b)는 상기 상부진공부재(30)를 눌러 하강시킨다.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승강부(40)와 본체(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부(40)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여 상기 인출공(44)을 형성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50)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돌기(41)를 감싸면서 상기 승강부(40)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40)의 하면 또는 상기 본체(10)의 상면 중 어느 하나에는 제2히터(13)가 장착되고, 상기 제2히터(13)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승강부(40)의 하면 또는 상기 본체(10)의 상면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승강부(40)의 하강시 상기 제2히터(13)와 접하는 제2가압고무(43)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히터(13)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가압고무(43)는 상기 승강부(40)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1히터(32)와 제1가압고무(2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히터(13)와 제2가압고무(43)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여, 상기 승강부(40)의 하강시 상기 제1히터(32)는 상기 제1가압고무(22)와 접하고 동시에 상기 제2히터(13)는 상기 제2가압고무(43)와 접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승강부(40)는 1개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승강부(45) 및 제2승강부(46)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1승강부(45)는 하면에 상기 제2히터(13) 또는 제2가압고무(43)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10)와의 사이에 하부인출공(4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승강부(46)는 상기 제1승강부(45)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승강부(45)와의 사이에 상부인출공(48)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승강부(45) 및 제2승강부(46)는 모두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장착되면, 상기 탄성부재(50)에 의해 모두 상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승강부(45) 및 제2승강부(46)에는 상기 커터(60)가 관통하는 상기 가이드공(42)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승강부(46)의 하강시 상기 제1승강부(45)도 함께 하강한다.
상기 하부인출공(47)은 상기 롤케이스(80)에서 인출되는 비닐롤(82)이 통과하는 곳이고, 상기 상부인출공(48)은 비닐봉투(85)의 절단하기 위한 부위가 삽입되는 곳이다.
상기 커터(60)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공(42)을 관통하면서 삽입배치되고, 상기 가이드공(42)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커터(60)는 상기 가이드공(42)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인출공(44)에 배치되는 비닐롤(82) 또는 비닐봉투(85)를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터(60)는 상기 제2히터(13)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공(42)의 하부에서 상기 가이드공(42)과 일직선을 이루며 상기 커터(60)의 하단이 삽입배치되는 슬라이드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 또는 승강부(40)에는 상기 제1히터(32) 또는 제2히터(13)의 가열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49)가 장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히터(32) 및/또는 제2히터(13)에 의해 열융착되는 비닐봉투(85)의 재질 및 두께가 다르기 때문에, 그에 맞게 사용자가 가열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히터(32), 제2히터(13) 및 진공펌프(15)를 제어한다.
상기 스위치부(70)는 상기 승강부(40)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고, 히팅버튼(71), 커팅버튼(72), 진공버튼(73) 및 해제버튼(7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롤케이스(80)는 내부에 비닐롤(82)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승강부(40)의 후방에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서 장착된다.
상기 비닐롤(82)은 양단이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롤케이스(80)는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고정장착될 수도 있으나,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다양한 크기의 비닐롤(82)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케이스(80)에는 상기 내부의 비닐롤(82)이 상기 인출공(44)으로 이동하기 위한 배출공(8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부(90)는 상기 승강부(40)의 하강시 상기 승강부(40)를 상기 본체(10)에 고정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록킹부(90)는, 상기 승강부(40)에 형성된 록킹돌기(91)와, 상기 본체(10)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돌기(91)가 삽입되는 록킹홈(9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40)의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50)는 압축되고, 상기 록킹돌기(91)는 상기 록킹홈(92)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40)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록킹돌기(91)가 상기 록킹홈(92)으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승강부(40)는 상승하게 된다.
한편, 일단이 상기 승강부(4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10)에 힌지결합되는 막대 형상의 링크부재(9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링크부재(95)가 상기 승강부(40) 및 본체(10)의 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2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상기 링크부재(95)는 상기 승강부(40)의 승강시 일단이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위와 같은 상기 링크부재(95)에 의해 상기 승강부(40)의 승강시 상기 승강부(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승강부(40)가 좌우로 유동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항 살펴본다.
도 5는 도 3에서 롤케이스를 장착한 후 인출공을 통해 인출된 상태의 측단면구조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승강부가 하강한 상태의 측단면구조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에서 록킹부의 잠금/해제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측면구조도이고, 도 8은 도 6에서 커터에 의해 비닐롤이 절단된 상태의 측단면구조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터에 의해 비닐롤이 절단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비닐봉투의 개구부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챔버에 삽입하여 진공시키는 상태의 측단면구조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장기를 이용하여 비닐봉투의 밀봉부분을 절단한 상태의 측단면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닐롤(82)이 내장된 상기 롤케이스(80)를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장착한다.
상기 롤케이스(80)의 내부에 장착된 상기 비닐롤(82)을 상기 배출공(81)을 통해 외부로 잡아당긴 후 상기 인출공(44)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그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히팅버튼(71)을 누르면서 상기 승강부(40)를 하강시키면, 상기 탄성부재(50)는 압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40)는 상기 링크부재(95)에 의해 좌우로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부(40)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비닐롤(8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히터(13)와 제2가압고무(43)는 인접하게 되고, 상기 상부진공부재(30)는 상기 토션스프링(96)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여 상기 상부챔버부(31)와 하부챔버부(21)는 서로 접하여 내부에 밀폐된 상기 챔버(25)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록킹돌기(9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40)의 하강에 의해 상기 록킹홈(92)에 삽입되게 된다.
이로 인해, 하강된 상기 승강부(40)는 압축된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려고 하지만, 상기 록킹부(90)에 의해 상승이 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히터(13)를 작동시켜 상기 제2히터(13)와 제2가압고무(43) 사이에 배치된 상기 비닐롤(82)을 열봉합한다.
이로 인해, 양단이 개방되었던 상기 비닐롤(82)은 일단이 봉합된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상기 록킹돌기(91)는 상기 록킹홈(92)으로부터 분리 이탈시키게 되면, 상기 승강부(40)는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어 상기 인출공(44)을 다시 형성하게 되고, 상기 상부진공부재(30)는 상기 토션스프링(9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열봉합된 상기 비닐롤(82)의 일단이 상기 인출공(44)을 관통하도록 일정길이만큼 잡아당긴다.
이때, 상기 커터(60)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닐롤(82)이 상기 인출공(44)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공(42)의 좌측끝단 또는 우측끝단에 배치되어 있다.
그 후 사용자가 커팅버튼(72)을 누르면서 상기 승강부(40)를 하강시키면, 상기 탄성부재(50)는 압축되게 된다.
상기 승강부(40)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히팅버튼(71)을 누른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 록킹돌기(91)가 록킹홈(92)에 삽입되어 하강된 상기 승강부(40)는 상승이 저지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40)의 하면은 하부에 배치된 상기 비닐롤(82)이 유동하지 못하게 가압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8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터(60)를 상기 가이드공(42)을 따라 이동시킨다.
상기 커터(6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인출공(44)에 배치되어 있던 상기 비닐롤(82)은 일정길이로 절단되게 되어 개구부가 형성된 비닐봉투(85)가 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40)의 하면이 상기 비닐롤(82)을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커터(6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비닐롤(82)은 상기 커터(60)의 이동방향으로 밀림이 없이 용이하게 절단되게 된다.
상기 커팅버튼(72)이 눌렸을 때에는 상기 히팅버튼(71)이 눌렸을 때와 달리, 상기 제1히터(32) 또는 제2히터(13)가 작동되지 않는다.
상기 비닐롤(82)의 절단이 끝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록킹돌기(91)를 록킹홈(92)으로부터 분리 이탈시키게되면, 상기 승강부(40)는 상기 탄성부재(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어 상기 인출공(44)을 다시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개구부가 형성된 비닐봉투(85)에 음식물 등을 넣은 후 이를 진공밀폐시키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닐봉투(85)의 개구부를 상기 삽입공(11)을 통해 상기 챔버(25)에 삽입 배치한다.
그 후 사용자가 진공버튼(73)을 누르면서 상기 승강부(40)를 하강시키면, 상기 탄성부재(50)는 압축되게 된다.
상기 승강부(40)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록킹부(90)에 의해 상기 승강부(40)는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공펌프(15)를 작동시켜 상기 챔버(25)에 배치된 상기 비닐봉투(85)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비닐봉투(85)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일정시간 후 상기 제1히터(32)를 작동시켜 상기 비닐봉투(85)의 개구부를 열봉합하여, 상기 비닐봉투(85)의 내부가 진공밀폐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해제버튼(74)을 누르면, 상기 챔버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챔버 내부의 진공이 해지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록킹부(90)를 해제시키면 상기 탄성부재(50) 및 토션스프링(9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부진공부재(30) 및 승강부(40)는 다시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위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양단이 개방된 비닐롤(82)을 이용하여 일단이 열봉합된 비닐봉투(85)를 제작할 수 있고, 또한 비닐봉투(85)의 내부를 진공시킨 후 열봉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양단이 밀봉된 비닐봉투(85)를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닐봉투(85)의 일단을 상기 인출공(44)에 삽입하고 상기 커팅버튼(72)을 누른 후 상기 커터(6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절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40)가 제1승강부(45)와 제2승강부(46)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인출공(47)을 통해서는 상기 롤케이스(80)에서 배출되는 상기 비닐롤(82)을 통과시키고, 상기 상부인출공(48)에는 절단하고자 하는 비닐봉투(85)를 삽입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승강부(45)에 상기 스위치부(7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승강부(45)의 하강시 상기 제2승강부(46)도 함께 하강하게 된다.
본 발명인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본체, 11 : 삽입공, 12 : 슬라이드홈, 13 : 제2히터, 15 : 진공펌프,
20 : 하부진공부재, 21 : 하부챔버부, 22 : 제1가압고무, 25 : 챔버,
30 : 상부진공부재, 31 : 상부챔버부, 32 : 제1히터,
40 : 승강부, 41 : 승강돌기, 41a : 지지대, 41b : 가압스토퍼, 42 : 가이드공, 43 : 제2가압고무, 44 : 인출공, 45 : 제1승강부, 46 : 제2승강부, 47 : 하부인출공, 48 : 상부인출공, 49 : 온도조절부,
50 : 탄성부재,
60 : 커터,
70 : 스위치부, 71 : 히팅버튼, 72 : 커팅버튼, 73 : 진공버튼, 74 : 해제버튼,
80 : 롤케이스, 81 : 배출공, 82 : 비닐롤, 85 : 비닐봉투,
90 : 록킹부, 91 : 록킹돌기, 92 : 록킹홈, 95 : 링크부재, 96 : 토션스프링,

Claims (9)

  1. 전면에 비닐봉투가 삽입 배치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진공펌프가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면에 하방향으로 오목한 하부챔버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챔버부의 전방에는 제1히터 또는 제1가압고무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된 하부진공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진공부재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면에 상기 하부챔버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오목한 상부챔버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챔버부의 전방에서 상기 제1히터 또는 제1가압고무 중 나머지 하나가 장착된 상부진공부재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장착되고, 상승시 하면이 상기 본체의 상면과 이격되어 상기 본체와의 사이에 인출공을 형성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공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하면 또는 상기 본체의 상면 중 어느 하나에는 장착되는 제2히터와;
    상기 제2히터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승강부의 하면 또는 상기 본체의 상면 중 나머지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부의 하강시 상기 제2히터와 접하는 제2가압고무와;
    상기 승강부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여 상기 인출공을 형성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배치되어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장착된 커터와;
    상기 승강부의 하강시 상기 승강부를 상기 본체에 고정 결합시키는 록킹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커터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인출공에 배치되는 비닐봉투를 절단하고,
    상기 상부진공부재의 하강시 상기 상부챔버부는 상기 하부챔버부와 접하여 내부에 밀폐된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삽입공을 통해 개구부가 상기 챔버에 삽입배치된 비닐봉투는 상기 하부챔버부와 상부챔버부에 의해 가압 밀폐된 후, 상기 챔버와 연통된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비닐봉투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는 승강돌기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승강부의 하강시 상기 승강돌기는 상기 상부진공부재를 눌러 하강시키고, 상기 상부진공부재의 하강에 의해 상기 상부챔버부와 상기 하부챔버부는 상호 접해 상기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승강돌기는,
    상기 승강부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본체를 관통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는 가압스토퍼로 이루어지되,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본체의 상면과 상기 승강부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스토퍼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본체의 상면 하부와 접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승강부가 상승높이를 일정거리 이내로 유지하며,
    상기 승강부의 하강시 상기 가압스토퍼는 상기 상부진공부재를 눌러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승강부에 형성된 록킹돌기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록킹돌기가 삽입되는 록킹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부의 하강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되고, 상기 록킹돌기는 상기 록킹홈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가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홈으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승강부는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5. 청구항1 내지 청구항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승강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는 링크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승강부의 승강시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이 타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6. 청구항1 내지 청구항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진공부재는 전방이 상기 삽입공 방향으로 배치되고, 후방이 상기 본체 또는 하부진공부재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되,
    상기 상부진공부재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성지지되고,
    상기 승강부의 하강시 상기 상부진공부재는 상기 토션스프링을 압축하면서 후방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부챔버부와 하부챔버부가 상호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하부진공부재는 전방이 상기 삽입공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면이 전방에서 후방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의 하강시 상기 상부진공부재와 하부진공부재의 접촉면은 상기 삽입공이 배치된 전방에서 후방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승강부의 후방에 비닐롤이 내장된 롤케이스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롤케이스에는 상기 내부의 비닐롤이 상기 인출공으로 이동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9. 청구항1 내지 청구항4, 청구항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하면에 상기 제2히터 또는 제2가압고무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와의 사이에 하부인출공이 형성된 제1승강부와;
    상기 제1승강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승강부와의 사이에 상부인출공이 형성된 제2승강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승강부 및 제2승강부에는 상기 커터가 관통하는 상기 가이드공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승강부의 하강시 상기 제1승강부도 함께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KR1020110070096A 2011-06-29 2011-07-14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KR2013000918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096A KR20130009189A (ko) 2011-07-14 2011-07-14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PCT/KR2012/005139 WO2013002581A2 (ko) 2011-06-29 2012-06-28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096A KR20130009189A (ko) 2011-07-14 2011-07-14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189A true KR20130009189A (ko) 2013-01-23

Family

ID=4783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096A KR20130009189A (ko) 2011-06-29 2011-07-14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91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006B1 (ko) 용기 자동배출 구조를 갖는 휴대용기 밀폐 포장장치
KR20130015506A (ko)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KR101529159B1 (ko) 다양한 크기의 식품용기를 포장할 수 있는 식품용기 포장장치
KR101304479B1 (ko) 자동식 트레이 실링 포장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KR101322780B1 (ko) 용기 열봉합 장치
EP0281450B1 (fr) Machine pour le thermoformage d'un film étanche à l'intérieur d'un conteneur en carton pour l'emballage d'une denrée à conserver et pour l'operculage du conteneur
KR101841165B1 (ko) 스킨 포장 장치
KR20130002830A (ko)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ITTO20070077A1 (it) Metodo e gruppo per la produzione di una bevanda
KR20130019614A (ko) 양방향 진공포장기
KR20130009189A (ko)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KR20130031519A (ko) 다중 히터를 갖는 진공포장기
KR100732152B1 (ko) 이중 누름장치를 구비한 진공포장기
KR20110054571A (ko) 전동형 진공흡입장치
JP3036320U (ja) 真空容器の抽気装置
KR100834044B1 (ko) 승강 작동하는 챔버를 구비한 진공 포장기
KR20140042487A (ko) 수동형 진공 핸디 펌프
KR101623850B1 (ko) 회전 승강형 진공포장기
US20130101442A1 (en) Air suction pump and method for vacuum sealing vinyl bag using same
KR102128346B1 (ko) 휴대형 음식물 용기의 포장장치
KR200395237Y1 (ko) 경사진 진공포장기
KR101726831B1 (ko) 코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온수기
KR102581819B1 (ko) 진공 포장기의 포장 봉투 밀봉용 히팅 장치
KR101623847B1 (ko) 비닐봉투 고정형 진공포장기
KR101215348B1 (ko) 비닐포장기의 승강실링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