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9030A - 차량의 배터리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배터리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9030A
KR20130009030A KR1020110069811A KR20110069811A KR20130009030A KR 20130009030 A KR20130009030 A KR 20130009030A KR 1020110069811 A KR1020110069811 A KR 1020110069811A KR 20110069811 A KR20110069811 A KR 20110069811A KR 20130009030 A KR20130009030 A KR 20130009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battery
vehicle
strain
mount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2915B1 (ko
Inventor
임해규
박진호
최제훈
전윤철
이용진
방준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9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9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9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배터리팩에 과충전 등에 의해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그 스웰링 현상의 정도를 보다 용이하고 유효 적절하게 감지 및 판단하여, 스웰링 현상의 수준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배터리팩의 교체를 방지하여 관리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배터리팩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배터리팩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BATTERY PACK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배터리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충전 등에 의해 배터리팩 부풀어 오르는 스웰링 현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자동차 등에는 고전압의 배터리팩이 탑재되며, 이러한 배터리팩은 과도한 충전 등이 이루어지면 배터리팩 자체가 부풀어 오르는 스웰링(SWELLING) 현상이 발생하고, 나아가 폭발이 발생할 수 있어서, 적절한 안전대책이 필요하다.
종래에 상기한 바와 같은 위험에 대비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 바, 하기와 같은 선행문헌들로부터 알아보면, 대체로 배터리팩의 스웰링 현상에 의해 배터리팩과 관련하여 설치되어 있는 전기적 연결부재의 단선이나 파단 등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하고 있다.
KR 2009-0052802 A KR 2006-0114549 A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배터리팩에 과충전 등에 의해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그 스웰링 현상의 정도를 보다 용이하고 유효 적절하게 감지 및 판단하여, 스웰링 현상의 수준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배터리팩의 교체를 방지하여 관리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배터리팩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배터리팩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배터리팩 안전장치는
중첩된 다수의 배터리셀들의 최외측에 중첩되어 상기 배터리셀들을 지지하도록 된 마운팅패널과;
상기 마운팅패널에 의해 지지되는 배터리셀의 전체 면적의 50% 이상 70% 미만이 노출되도록, 상기 마운팅패널에 형성된 검지윈도우와;
상기 검지윈도우로 노출되는 배터리셀의 표면에 장착된 변형율측정센서와;
상기 변형율측정센서의 신호를 입력 받아 변형율을 계산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배터리팩에 과충전 등에 의해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그 스웰링 현상의 정도를 보다 용이하고 유효 적절하게 감지 및 판단하여, 스웰링 현상의 수준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배터리팩의 교체를 방지하여 관리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배터리팩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팩 안전장치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마운팅패널에 형성된 검지윈도우를 설명한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컨트롤러가 배터리셀의 스웰링 발생시 제어하는 예들을 각각 예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는 중첩된 다수의 배터리셀(1)들의 최외측에 중첩되어 상기 배터리셀(1)들을 지지하도록 된 마운팅패널(3)과; 상기 마운팅패널(3)에 의해 지지되는 배터리셀(1)의 전체 면적의 50% 이상 70% 미만이 노출되도록, 상기 마운팅패널(3)에 형성된 검지윈도우(5)와; 상기 검지윈도우(5)로 노출되는 배터리셀(1)의 표면에 장착된 변형율측정센서(7)와; 상기 변형율측정센서(7)의 신호를 입력 받아 변형율을 계산하는 컨트롤러(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다수로 중첩되어 있는 배터리셀(1)들의 외측을 감싸서 지지하는 마운팅패널(3)에 검지윈도우(5)를 형성하여, 내부의 배터리셀(1)들에 스웰링 현상이 발생하면, 상기 검지윈도우(5)를 통해 배터리셀(1)들의 스웰링된 량이 중첩되어 드러나게 하고, 이를 상기 검지윈도우(5)로 노출되는 배터리셀(1)에 직접 설치된 상기 변형율측정센서(7)로 감지하여, 배터리팩(11)을 구성하고 있는 배터리셀(1)들의 스웰링 정도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마운팅패널(3)의 검지윈도우(5)는 배터리팩(11)을 구성하고 있는 배터리셀(1)들의 스웰링 현상을 즉각적이고도 중첩적으로 드러낼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다른 기술들에 비하여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배터리셀(1)들의 스웰링 현상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운팅패널(3)의 검지윈도우(5)는 상기 마운팅패널(3)에 의해 지지되는 배터리셀(1)의 외곽선 내측에 감싸이도록 위치하고, 상기 배터리셀(1)의 외곽선과 닮음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배터리셀(1)이 직사각형이므로, 상기 검지윈도우(5)는 상기 배터리셀(1)이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내부에 완전히 감싸이도록 위치하는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등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마운팅패널(3)에 의한 상기 배터리셀(1)들의 안정적인 지지 상태를 확보하면서도, 배터리셀(1)들의 스웰링 현상을 상기 검지윈도우(5)로 즉각적으로 드러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터리셀(1)의 모든 외곽은 상기 마운팅패널(3)에 의해 지지되면서도 그 외곽의 내측에 닮음꼴로 형성된 검지윈도우(5)는 배터리셀(1)의 변형을 최대한으로 외부로 드러낼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배터리셀(1)들의 외곽과 다른 형상의 검지윈도우(5)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기는 할 것이다, 예컨대 직사각형의 배터리셀(1)들에 대하여, 그 외곽선 내측에 위치하는 원형이나 타원형 및 각종 다각형의 형상 등으로 검지윈도우(5)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변형율측정센서(7)는 측정 대상물인 배터리셀(1)의 변형율에 따라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스트레인게이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9)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율측정센서(7)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셀(1)의 변형율이 소정수준 이상이 되면, 상기 배터리팩(11)에 충전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사용자에게 그 상황을 알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예컨대 배터리팩(11)에 과충전이 발생하여, 각 배터리셀(1)들에 스웰링이 발생되고, 이것이 상기 변형율측정센서(7)에 의해 감지되어, 상기 컨트롤러(9)가 소정수준, 예컨대 도 3과 같이 배터리셀(1)의 변형율이 5%, 이상 이라고 판단되면, 배터리팩(11)의 충전을 차단하고, 과충전 방지 경고등(13)을 점등하여 사용자에게 그 상황을 알리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에게 알리는 수단으로는 이외에 음향이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과충전을 판단하는 소정수준의 변형율은, 시험을 통해 미리 결정되어 저장되는 값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9)는 도 4의 예와 같이, 상기 변형율측정센서(7)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셀(1)의 변형율이 소정수준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예컨대 5% > 변형율 > 2% 범위인 경우, 배터리팩(11)에 충전되는 전류량을 제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소정수준 이상이 되면, 즉 변형율 > 5%이면, 상기 배터리팩(11)에 충전되는 전류를 차단하며, 사용자에게 그 상황을 알리도록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배터리셀
3; 마운팅패널
5; 검지윈도우
7; 변형율측정센서
9; 컨트롤러
11; 배터리팩
13; 과충전 방지 경고등

Claims (5)

  1. 중첩된 다수의 배터리셀(1)들의 최외측에 중첩되어 상기 배터리셀(1)들을 지지하도록 된 마운팅패널(3)과;
    상기 마운팅패널(3)에 의해 지지되는 배터리셀(1)의 전체 면적의 50% 이상 70% 미만이 노출되도록, 상기 마운팅패널(3)에 형성된 검지윈도우(5)와;
    상기 검지윈도우(5)로 노출되는 배터리셀(1)의 표면에 장착된 변형율측정센서(7)와;
    상기 변형율측정센서(7)의 신호를 입력 받아 변형율을 계산하는 컨트롤러(9);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팩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패널(3)의 검지윈도우(5)는 상기 마운팅패널(3)에 의해 지지되는 배터리셀(1)의 외곽선 내측에 감싸이도록 위치하고, 상기 배터리셀(1)의 외곽선과 닮음꼴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팩 안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형율측정센서(7)는 측정 대상물인 배터리셀(1)의 변형율에 따라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스트레인게이지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팩 안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9)는 상기 변형율측정센서(7)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셀(1)의 변형율이 소정수준 이상이 되면, 상기 배터리팩(11)에 충전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사용자에게 그 상황을 알리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팩 안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9)는 상기 변형율측정센서(7)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셀(1)의 변형율이 소정수준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배터리팩(11)에 충전되는 전류량을 제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소정수준 이상이 되면, 상기 배터리팩(11)에 충전되는 전류를 차단하며, 사용자에게 그 상황을 알리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팩 안전장치.
KR1020110069811A 2011-07-14 2011-07-14 차량의 배터리팩 안전장치 KR101272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811A KR101272915B1 (ko) 2011-07-14 2011-07-14 차량의 배터리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811A KR101272915B1 (ko) 2011-07-14 2011-07-14 차량의 배터리팩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030A true KR20130009030A (ko) 2013-01-23
KR101272915B1 KR101272915B1 (ko) 2013-06-11

Family

ID=47838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811A KR101272915B1 (ko) 2011-07-14 2011-07-14 차량의 배터리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572B1 (ko) * 2019-03-22 2020-09-0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차 전지의 팽창 센싱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105B1 (ko) 2019-01-08 2021-09-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스웰링 게이지를 구비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114175357B (zh) * 2019-11-20 2023-09-12 株式会社Lg新能源 用于检测电池模块的膨胀的设备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4445A (ja) 2004-07-08 2006-01-26 Toyota Motor Corp 組電池および電源装置
JP2009076265A (ja) 2007-09-19 2009-04-09 Panasonic Corp 電池パック
JP5108454B2 (ja) 2007-10-29 2012-12-26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5320953B2 (ja) 2008-10-02 2013-10-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の性能検出装置及び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572B1 (ko) * 2019-03-22 2020-09-0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차 전지의 팽창 센싱 시스템
WO2020197015A1 (ko) * 2019-03-22 2020-10-0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차 전지의 팽창 센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2915B1 (ko) 201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6360B1 (en) Battery pack having liquid leak detection system
CN205403733U (zh) 一种手机后盖平整度检测装置
JP5744956B2 (ja) 電池状態判定装置
CN102680191B (zh) 一种动力电池漏液检测装置
EP3104447B1 (en) Damage detection & warning system of a battery pack
EP2711719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collision
KR101272915B1 (ko) 차량의 배터리팩 안전장치
US9702773B2 (en) Deflection sensitive coolant activated drain plug detection system for high voltage battery packs
JP2013020826A (ja) 組電池の状態検出装置
KR20090053466A (ko) 전지 내장 휴대용 충전장치 및 그 충전방법
KR101255172B1 (ko) 배터리 셀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CN103712631A (zh) 一种电动汽车充电站指示系统及方法
CN105046884A (zh) 用于热水器的摔倒检测装置和方法
CN112185052B (zh) 充电位、充电架、充电异常判断方法、换电站及储能站
CN103983179B (zh) 电池厚度变化检测装置、电池安全检测及判断方法
KR20110064057A (ko) 배터리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24498A (ko) 전극조립체의 불량 검출장치
CN207215965U (zh) 测试软包锂电池边电压的装置
JP2015195096A (ja) 真偽判定装置及び真偽判定方法
KR101504244B1 (ko) 전기자동차 배터리 이상 상태 감지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배터리용 장착 케이스
TWI797812B (zh) 電子裝置的電池檢測裝置及其方法
KR102196270B1 (ko) 쇼트 감지방법 및 장치
KR101778673B1 (ko) 다양한 전장 및 두께를 갖는 전지팩들의 검사 장치
KR102458882B1 (ko) 전지셀 열화 판단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여 전지셀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
JP2008291883A (ja) ガスホルダの異常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