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8426A - 전자기 공진 입력이 가능한 소프트 키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 Google Patents

전자기 공진 입력이 가능한 소프트 키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8426A
KR20130008426A KR1020110069165A KR20110069165A KR20130008426A KR 20130008426 A KR20130008426 A KR 20130008426A KR 1020110069165 A KR1020110069165 A KR 1020110069165A KR 20110069165 A KR20110069165 A KR 20110069165A KR 20130008426 A KR20130008426 A KR 20130008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electromagnetic
unit
sensing unit
sof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2027B1 (ko
Inventor
이주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9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027B1/ko
Priority to US13/544,378 priority patent/US9811195B2/en
Priority to CN201210241643.6A priority patent/CN102880373B/zh
Priority to EP12176119.1A priority patent/EP2546729A3/en
Publication of KR20130008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의 하부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소프트 키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센싱부, 터치 센싱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입사되는 전자기를 센싱하는 제 1 전자기 센싱부 및 제 1 전자기 센싱부로부터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로 입사되는 전자기를 센싱하는 제 2 전자기 센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기 공진 입력이 가능한 소프트 키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 TOUCH SCREEN INCLUDING SOFT KEYS WHICH ARE AVAIABLE FOR ELECTROMAGNETIC RESONANCE METHOD }
본 발명은 소프트 키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 공진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스마트 폰 또는 터치 스크린과 관련한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함으로써, 이와 관련한 연구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 폰 또는 터치 스크린과 관련하여 특정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신체의 일부분 또는 EMR 펜을 디스플레이의 특정 위치에 지정하는 방식으로 특정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특정한 아이콘을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 신체의 일부분을 통하여 접촉하는 방식은,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type)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정전용량방식을 채택하는 터치스크린은 일반적으로 투명 전극 및 콘덴서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신체의 일부분을 터치스크린에 접촉함으로써, 이에 따라 변경되는 콘덴서의 정전용량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의한 터치가 센싱될 수 있다.
한편, 정전용량방식은 사용자가 언제가 터치스크린에 접촉을 수행하여야 한다는 불편함 및 이에 따라 정밀한 입력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전자기 공진 방식(EMR)과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EMR 방식은 인쇄회로기판에 루프 코일을 배치하며, 여기에 전압을 인가시켜 전자기파가 발생되게 제어하며, 발생된 전자기파가 EMR 펜에 의하여 흡수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여기에서, EMR 펜은 콘덴서 및 루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흡수한 전자기파를 다시 소정의 주파수로 방출할 수 있다.
EMR 펜에 의하여 방출된 전자기파는, 인쇄회로기판의 루프 코일에 의하여 다시 흡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EMR 펜이 터치스크린의 어느 위치에 근접하여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펜은 EMR 방식뿐만 아니라, EM(electro-magnetic) 방식으로도 작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EM 펜은 전자기 출력을 위한 코일 및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공하는 내부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내지 1c는 종래의 EMR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a은, 종래의 EMR 방식을 채택한 전자기 센싱 회로를 포함하는 통신 기기(100)의 개념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기기는 디스플레이 화면(110) 및 소프트 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화면(110)은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시각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일 수 있으며, EMR 방식 및/또는 정전용량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한편, 소프트 키(120)는, 되돌리기, 실행취소, 메뉴화면 표시 제어 등과 같은 기본적인 기능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110)과 별도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종이다. 종래의 소프트 키(120)는, 투명 전극 하부에 배치되는 정전용량방식 센서 및 전자기 공진 센서의 격납을 수행하는 것에 의하여 야기되는 문제점에 의하여, 정전용량방식만을 채택하고 있으며, 전자기 공진 센서가 내장된 소프트 키(120)에 대하여서는 아직 개시된 바가 없다.
도 1b는, 도 1a에 의한 디스플레이 화면(110) 내에 배치된 복수 개의 루프(131,132,133,134)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루프(131,132,133,134)는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한 부분 근처에 EMR 펜을 근접시키면, 복수 개의 루프(131,132,133,134)는 EMR 펜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를 센싱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루프(131,132,133,134) 각각은 센싱된 전자기에 의하여 유도된 유도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루프(131,132,133,134) 중 EMR 펜에 근접한 루프일수록, 진폭이 큰 전자기파를 센싱하여 이에 대응하는 유도 전압을 방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c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유도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통신 기기(100)에 내장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유도 전압 크기의 출력 결과를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하여, 피크점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소프트 키(120)에 대하여서는 정전용량방식만이 채택이 되기 때문에, 소프트 키(120)에 대하여서는 사용자가 매번 신체의 일부분을 접촉하여 명령을 입력하여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아울러, 사용자가 EMR 펜을 이용하여 작업을 하는 도중, 사용자의 신체 부위가 소프트 키(120)에 터치가 된다면 되돌리기 작업과 같은 치명적인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EMR 펜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소프트 키(120)의 터치를 디스에이블하는 구성의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상기의 구성 개발의 요청에 응답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자기 공진 방식으로 소정의 명령 입력이 가능한 소프트 키를 가지는 터치 스크린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상기 소프트 키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센싱부, 상기 터치 센싱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입사되는 전자기를 센싱하는 제 1 전자기 센싱부 및 상기 제 1 전자기 센싱부로부터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로 입사되는 전자기를 센싱하는 제 2 전자기 센싱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를 센싱하는 제 1 터치 센싱부, 상기 제 1 터치 센싱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입사되는 전자기를 센싱하는 제 1 전자기 센싱부 및 상기 제 1 전자기 센싱부로부터 이격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로 입사되는 전자기 및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터치 및 전자기를 센싱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제어 방법은, 터치 입력 잠금 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 잠금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의 터치 센싱을 디스에이블하며, 전자기 센싱을 인에이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의하여, 전자기 공진 방식으로 소정의 명령 입력이 가능한 소프트 키를 가지는 터치 스크린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 스크린의 소프트 키는 정적용량방식 및 전자기 공진 방식 모두를 채택할 수 있어, 터치 및 전자기 입력을 통하여 터치 스크린의 소정의 지점이 지정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잠금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소프트 키의 터치 입력 기능을 디스에이블하여, EMR 펜으로 작업시, 소프트 키를 터치하여 작업이 방해받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도 1a 내지 1c는 종래의 EMR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비교 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 영역 루프부 및 소프트키 루프부와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 영역 루프부 및 소프트키 루프부와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 영역 루프부 및 소프트키 루프부와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유도를 위한 전압을 도통하는 구성 및 유도 전압을 도통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가적으로 전자기 차폐 수단을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가적으로 도광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및 전자기를 센싱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EMR 센서 및 터치 센서를 인에이블/디스에이블하는 각종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비교 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 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은 인터페이스부(200), 터치 센싱부(210), 디스플레이부(220) 및 전자기 센싱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00)는 디스플레이 영역(110) 및 소프트 키(12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견고한 견착을 위하여 추가적인 견착수단(240)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전자기 센싱부(230)의 크기는 디스플레이부(220)의 크기보다 클 수 없으며, 소프트 키(120)에 대응하는 전자기 센싱부를 포함할 수 없기 때문에 소프트 키(120)에는 오직 정적용량방식만이 채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은 인터페이스부(300), 터치 센싱부(310), 디스플레이부(320), 제 1 전자기 센싱부(330), 제 2 전자기 센싱부(340) 및 발광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터페이스부(300)는 바람직하게는 윈도우 글래스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00)는 터치 스크린의 내부 구성 요소들을 격납할 수 있는 동시에, 디스플레이부(320)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투과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투명 재질일 수 있다. 아울러, 인터페이스부(300)는 입사되는 전자기를 제 1 전자기 센싱부(330) 또는 제 2 전자기 센싱부(340)에 전달하여야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자성 물질이 아닐 수 있으며, 또한 자성 차폐 성분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00)는 glass,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300)는 일부는 투명한 글래스로 형성되며, 또한 일부는 불투명하게도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300)는 디스플레이 영역(110) 및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12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싱부(310)는, 외부로부터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센싱부(310)는 바람직하게는 정전용량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터치 센싱부(310)는 바람직하게는 투명 전극 및 C-타입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분을 인터페이스부(300)에 접촉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의한 터치가 센싱될 수 있다. 터치 센싱부(310)는 TSP(touch sensing pannel)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터치 센싱부(310)는, 인터페이스부(300)의 하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싱부(310)는, 인터페이스부(300)의 디스플레이 영역(110)의 하부 면 및 소프트 키(120)의 하부 면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110) 또는 소프트 키(120)에 대한 터치는, 터치 센싱부(310)에 의하여 센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는 터치 센싱부(310)의 하부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320)는 인터페이스부(300)의 디스플레이 영역(110)에 대응하는 터치 센싱부(310)의 하부면에 인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는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 또는 그래픽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 신호 또는 그래픽 신호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20)는 바람직하게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일 수 있으나, 디스플레이부(32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는 것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제 1 전자기 센싱부(330)는, 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하여 입사되는 전자기를 센싱하여, 사용자가 어느 지점을 지정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 1 전자기 센싱부(330)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은, 도 1b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즉, 제 1 전자기 센싱부(330)는, 제 1 인쇄 회로 기판부, 제 1 전자기 센싱부의 전자기 센싱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채널을 포함하는 제 1 제어부 및 제 1 제어부의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채널로부터 연장되어 제 1 인쇄 회로 기판부의 일부에 배치되며, 펜신호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루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2 전자기 센싱부(330)는 펜이 지적하는 지점의 위치를 센싱한다는 점에서, 좌표 추출 영역이라고도 명명될 수 있다.
소정의 전자기가 입사되는 경우, 제 1 루프부는 유도 전압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 1 제어부는 유도 전압을 입력받아, 사용자가 지정한 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 1 전자기 센싱부(330)는 디스플레이부(320)의 하부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교 예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전체의 견고한 견착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부(320)와 바람직하게는 그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전자기 센싱부(330)는 인터페이스부(300) 중 디스플레이 영역(110)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자기만을 센싱할 수 있을 뿐, 소프트 키(120)를 통하여 입사되는 전자기는 센싱할 수 없다.
제 2 전자기 센싱부(340)는 인터페이스부(300)의 소프트 키(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전자기 센싱부(340)는, 소프트 키(120)에 입사되는 전자기를 센싱할 수 있다. 제 2 전자기 센싱부(340)는 제 1 전자기 센싱부(330)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 터치 스크린의 견착에 영향없이 소프트 키(120)에 입사되는 전자기를 센싱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 2 전자기 센싱부(340)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인쇄 회로 기판부, 제 2 전자기 센싱부(340)의 전자기 센싱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채널을 포함하는 제 2 제어부 및 제 2 제어부의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채널로부터 연장되어 제 2 인쇄 회로 기판부의 서브 영역 각각에 배치되며, 전자기에 의하여 유도되는 유도 전압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루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루프부의 개수는 바람직하게는 소프트 키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루프부의 배치 위치는 소프트 키의 배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제 2 루프부는 펜이 지적하는 정확한 위치가 아닌, 특정 소프트 키가 지정되었는 지만을 검출하기 때문에 온/오프 검출 영역이라고 명명될 수도 있다.
소프트 키(120)를 통하여 소정의 전자기가 입사되는 경우, 제 2 루프부는 이에 대응하여 유도 전압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 2 제어부는 유도 전압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소프트 키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루프부로부터 출력되는 유도 전압의 크기 중 최대인 제 2 루프부를 사용자 지정 루프부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지정 소프트 키를 판단할 수 있다.
발광부(350)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에 대응하는 부분의 인터페이스부(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의 4개의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경우, 발광부(350)는 4개의 소프트 키가 조명될 수 있도록 4개의 소프트 키가 배치되는 인터페이스부(300)의 하부에 4개의 발광수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350)는 바람직하게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현될 수 있지만, 발광부(35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는 것은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것이다.
발광부(350)는, 제 2 전자기 센싱부(340)에 의하여 사용자 지정 소프트 키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의 사용자 지정 소프트 키가 조명될 수 있도록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내지 제 4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에 있어서, 제 2 전자기 센싱부(340)가 제 2 소프트 키를 사용자 지정 소프트 키로 판단한 경우, 발광부(350)는 제 2 소프트 키를 조명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라서, 터치 스크린 전체의 격납에 영향 없이, 추가적으로 소프트 키에 입사되는 전자기를 센싱할 수 있는 제 2 전자기 센싱부(34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소프트 키를 터치 입력 뿐만 아니라, 전자기 입력으로도 지정할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은, 인터페이스부(400), 제 1 터치 센싱부(410), 디스플레이부(420), 제 1 전자기 센싱부(430), 센싱부(440) 및 발광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과 관련하여,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하도록 한다.
제 1 터치 센싱부(410)는, 인터페이스부(400)의 디스플레이 영역(120)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과 상이한 점은, 제 1 터치 센싱부(410)는 디스플레이 영역(120)에 입력되는 터치만을 센싱할 뿐, 소프트 키(120)에 입력되는 터치는 센싱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제 1 터치 센싱부(410)는 디스플레이 영역(120)에 입력되는 터치만을 독립적으로 센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20)는, 제 1 터치 센싱부(410)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터치 센싱부(410)는 디스플레이 영역(110)에 입력되는 터치 만을 센싱하기 때문에, 제 1 터치 센싱부(410)와 디스플레이부(420)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할 수 있다.
제 1 전자기 센싱부(430)는, 디스플레이부(420)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전자기 센싱부(430)는 디스플레이 영역(110)에 입력되는 전자기를 센싱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420)와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동일할 수 있다.
센싱부(440)는 인터페이스부(400)의 소프트 키(120)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싱부(440)는 소프트 키(120)에 입력되는 터치를 센싱하는 제 2 터치 센싱부(441), 소프트 키(120)에 입사되는 전자기를 센싱하는 제 2 전자기 센싱부(442) 및 제 2 터치 센싱부(441) 및 제 2 전자기 센싱부(442)를 제어하는 제어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2 터치 센싱부(441) 및 제 2 전자기 센싱부(442)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터치 센싱부(441) 및 제 2 전자기 센싱부(442)는 물리적으로 일체일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터치 센싱부(441)가 인터페이스부(300)의 소프트 키(120)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전자기 센싱부(442)는 제 2 터치 센싱부(441)에 연결되어 제 2 터치 센싱부(441)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터치 센싱부(441)는 정적용량의 변경을 센싱하여야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제 2 전자기 센싱부(442)보다 인터페이스부(30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450)는, 제 2 터치 센싱부(441)의 하부에 배치되면, 제 2 전자기 센싱부(442)의 상부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부(450)는 제 2 터치 센싱부(441) 또는 제 2 전자기 센싱부(442)에 의하여, 사용자 입력 소프트 키가 판단되면, 판단된 사용자 입력 소프트 키를 조명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라서, 터치 스크린 전체의 격납에 영향 없이, 추가적으로 소프트 키에 입사되는 전자기를 센싱할 수 있는 제 2 전자기 센싱부(442)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소프트 키를 터치 입력 뿐만 아니라, 전자기 입력으로도 지정할 수 있는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 영역 루프부 및 소프트키 루프부와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제어부(510)는 디스플레이 루프부(520) 및 소프트키 루프부(530)로부터 유도 전압을 입력받아, 어떠한 루프부가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10)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루프부로부터 출력되는 유도 전압의 크기가 최대인 것을 사용자 지정 루프부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키 루프부(530) 중 제 2 소프트키 루프부(532)로부터 출력된 유도 전압의 크기가 최대인 경우, 제어부(510)는 사용자가 EMR 펜과 같은 전자기 수단을 통하여 제 2 소프트 키를 지정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5a의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510)가 디스플레이 루프부(520) 및 소프트키 루프부(530)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는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루프부(520) 내에, 마이크로프로세서 등과 같은 제어회로를 실장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제어부(510) 및 디스플레이 루프부(520) 또는 제어부(510) 및 소프트 키 루프부(530)가 물리적으로 일체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 영역 루프부 및 소프트키 루프부와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10), 디스플레이 루프부(520) 및 소프트 키 루프부(530)은 각각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집적된 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510)는 디스플레이 루프부(520)와 연결하기 위한 제 1 연결부(511) 및 소프트키 루프부(530)과 연결하기 위한 제 2 연결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연결부(511) 및 제 2 연결부(512)는 바람직하게는 골드 핑거(gold finger)로 구현될 수는 있으나, 연결부의 구성에는 제한이 없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510) 상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칩이 실장될 수 있으며, 제 1 연결부(511) 및 제 2 연결부(512)에 입력된 각각의 루프부들의 유도 전압의 크기에 기초하여 사용자 지정 소프트 키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루프부(520)는, 터치 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루프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전자기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입사되면, 디스플레이 루프부(520)는 루프부(522)로부터 출력되는 유도 전압을 연결부(521)로 출력할 수 있다. 연결부(521)는 입력받은 유도 전압을, 제 1 연결부(511)로 출력할 수 있다.
소프트 키 루프부(530)는, 터치 스크린의 소프트 키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루프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전자기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입사되면, 소프트 키 루프부(530)는 루프부(532)로부터 출력되는 유도 전압을 연결부(531)로 출력할 수 있다. 연결부(531)는 입력받은 유도 전압을, 제 2 연결부(512)로 출력할 수 있다.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 및 디스플레이 영역 루프부 및 소프트키 루프부와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c는 도 5b와는 달리, 디스플레이 영역 루프부 및 소프트키 루프부가 동일한 인쇄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영역 루프부(521) 및 소프트키 루프부(522)는 서로 독립적인 채널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영역 루프부(521) 및 소프트키 루프부(522)로부터 출력되는 유도 전압은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 유도를 위한 전류를 도통하는 구성 및 유도 전압을 도통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는 전자기 유도를 위한 전류 및 유도 전압을 도통하기 위한 복수 개의 루프부(602,603,604,605)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복수 개의 루프부(602,603,604,605)는 각각 소프트 키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루프부(602,603,604,605)에 연결되어 전자기 센싱을 제어하는 제어부는, 제 1 기간 동안에는 상기 루프부에 기설정된 전류를 도통시켜 복수 개의 루프부(602,603,604,605)를 전자기 유도를 위한 전류 도통 수단으로 이용한다. 또한 제어부는, 제 2 기간 동안 전류의 도통을 중단하며, 복수 개의 루프부10,520,530,540) 중 하나로부터 출력되는 유도 전압을 입력받아, 복수 개의 루프부 (602,603,604,605)를 유도 전압 도통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시분할적으로 복수 개의 루프부(602,603,604,605)를 전자기 유도를 위한 전류 도통 수단 또는 유도 전압 도통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6b는 전자기 유도를 위한 전류 및 유도 전압을 도통하기 위한 복수 개의 루프부(604,605,606,607) 및 인쇄 회로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전자기 유도를 위한 전류가 도통되는 출력 루프부(603)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복수 개의 루프부(604,605,606,607)는 각각 소프트 키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루프부(604,605,606,607) 및 출력 루프부(603)는,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출력 루프부(603)로 전자기 유도를 위하여 기설정된 전류를 도통시키며, 복수 개의 루프부(604,605,606,607)로부터 유도 전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제어부는 공간분할적으로 복수 개의 루프부(604,605,606,607)를 유도 전압 도통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가적으로 전자기 차폐 수단을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제 2 전자기 센싱부(702) 상에는 발광부(703)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 2 전자기 센싱부(702)에서 전자기를 센싱한 이후에는, 외부 자기장은 터치 스크린에 신호 왜곡 등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은 추가적으로 제 2 전자기 센싱부(702)의 하부에 전자기 차폐부(70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기 차폐부(701)는 자기장 교란 요소를 방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 차폐부(701)는 전도성 금속에서의 맴돌이 전류 발생으로부터 기인하는 자기장 교란 요소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가적으로 도광부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 차폐부(801) 상에는 제 2 전자기 센싱부(802)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전자기 센싱부(802) 상에는 발광부(804)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은 제 2 전자기 센싱부(802) 상 및 발광부(804)의 측면에 인접하는 도광부(8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소프트 키의 개수만큼 발광 수단, 예를 들어 LED를 구비하지 않으면서, 하나의 발광 수단(804) 및 도광부(803)를 이용하여 소프트 키를 조명할 수도 있다.
도 9a, 9b 및 9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잠금 및 잠금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는 터치 입력 잠금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는 아이콘(90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아이콘(901)을 터치하거나, 상기 아이콘(901)에 소정의 전자기를 입력함으로써 터치 입력 잠금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다.
터치 입력 잠금 명령이 실행되면, 터치 스크린(900)은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의 터치 센싱을 디스에이블하며, 전자기 센싱을 인에이블할 수 있다.
한편, 도 9b는 터치 입력 잠금 명령이 실행된 이후의, 터치 스크린(900)의 화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a에서의 "잠금"으로 표시되는 아이콘은 "잠금해제"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잠금해제" 아이콘(901)을 지정함으로써, 터치 입력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아이콘(901)이 지정되면, 터치 스크린(900)은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의 터치 센싱을 다시 인에이블한다.
한편, 도 9b에서는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의 터치 센싱이 디스에이블되었으므로, 사용자는 아이콘(901)을 EMR 펜과 같은 전자기 수단으로 지정하여야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900)은 아이콘(901)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하여서 터치 센싱을 디스에이블하며, 아이콘(901)에 대하여서는 터치 센싱을 인에이블함으로써, 차후 사용자가 잠금을 해제하는 경우, 전자기 수단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으로도 잠금 해제를 입력할 수도 있다.
도 9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센서 인에이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터치 센서가 디스에이블된 상황에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의 일부로부터 신체의 일부분, 예를 들어 손가락 일단을 드래그하는 것과 같은 기설정된 모션을 입력함으로써 터치 센서를 인에이블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차후 사용자가 잠금을 해제하는 경우, 전자기 수단 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으로도 잠금 해제를 입력할 수도 있다. 한편, 터치 스크린은 상기와 같은 기설정된 동작을 통하여 메뉴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메뉴 화면 상에 터치 인에이블 아이콘을 표시하며, 아이콘이 지정된 경우 터치 센서를 인에이블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및 전자기를 센싱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터치 스크린은 터치 입력 잠금 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010).
터치 입력 잠금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1010-Y),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의 터치 센싱을 디스에이블하며(S1020), 전자기 센싱을 인에이블할 수 있다(S1030).
이후 터치 스크린은 터치 입력 잠금 해제 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040).
터치 입력 잠금 해제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1040-Y),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의 터치 센싱을 인에이블할 수 있다(S1050). 아울러, 전자기 센싱은 인에이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터치 입력 잠금 명령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기설정된 부분을 터치하는 것 또는 기설정된 부분에 전자기를 인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 잠금 해제 명령은, 디스플레이 영역의 기설정된 부분에 전자기를 인가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의 터치 센싱을 디스에이블하는 단계는,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싱을 디스에이블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터치 입력 잠금 해제 명령은, 특정 부분을 터치하는 것 또는 특정 부분에 전자기를 인가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EMR 센서 및 터치 센서를 인에이블/디스에이블하는 각종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각종 모드, 예를 들어 제 1, 제 2 및 제 3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기설정된 방식의 메뉴 선택에 따라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도 9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설정된 모션을 입력함으로써 각종 모드를 선택하는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S1110).
제 1 모드가 선택된 경우(S1120),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영역 및 소프트 키 영역의 EMR 센서만을 인에이블하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소프트 키 영역의 터치 센서는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S1121).
제 2 모드가 선택된 경우(S1130),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영역 및 소프트 키 영역의 EMR 센서를 인에이블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 영역의 터치 센서를 인에이블하면서 소프트 키 영역의 터치 센서를 디스에이블할 수 있다(S1131).
제 3 모드가 선택된 경우(S1140), 터치 스크린은 전체 EMR 센서 및 터치 센서를 인에이블할 수 있다(S1141).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메뉴 선택 또는 기설정된 모션 입력에 따라서 모드를 재선택할 수 있으며(S1150),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모드를 선택하면서 터치 스크린의 입력 방식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300 : 인터페이스부 310 : 터치 센싱부
320 : 디스플레이부 330 : 제 1 전자기 센싱부
340 : 제 2 전자기 센싱부 350 : 발광부

Claims (21)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상기 소프트 키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센싱부;
    상기 터치 센싱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입사되는 전자기를 센싱하는 제 1 전자기 센싱부; 및
    상기 제 1 전자기 센싱부로부터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로 입사되는 전자기를 센싱하는 제 2 전자기 센싱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자기 센싱부는,
    제 1 인쇄 회로 기판부;
    상기 제 1 전자기 센싱부의 전자기 센싱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채널을 포함하는 제 1 제어부; 및
    상기 제 1 제어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채널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1 인쇄 회로 기판부의 일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기에 의하여 유도되는 유도 전압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기 센싱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인쇄 회로 기판부;
    상기 제 2 전자기 센싱부의 전자기 센싱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채널을 포함하는 제 2 제어부; 및
    상기 제 2 제어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 채널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 2 인쇄 회로 기판부의 상기 서브 영역 각각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기에 의하여 유도되는 유도 전압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루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루프부는,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부는,
    제 1 기간 동안, 상기 제 2 루프부에 기설정된 전류를 도통시키며,
    제 2 기간 동안, 상기 전류의 도통을 중단하며 상기 유도 전압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자기 센싱부는,
    상기 제 2 인쇄 회로 기판부 상에 배치되어, 전자기를 유도하기 위한 드라이빙(driving) 전압이 인가되는 드라이빙(driving) 루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루프부는 전자기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터치 입력 잠금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터치 센싱부는 디스에이블(disabl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터치 입력 잠금 명령이 해제되면,
    상기 터치 센싱부는 인에이블(enabl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 각각의 위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제어부는 터치되는 소프트 키로부터 상기 빛이 발광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10.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를 센싱하는 제 1 터치 센싱부;
    상기 제 1 터치 센싱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입사되는 전자기를 센싱하는 제 1 전자기 센싱부; 및
    상기 제 1 전자기 센싱부로부터 이격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로 입사되는 전자기 및 터치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소프트 키에 입력되는 터치를 센싱하는 제 2 터치 센싱부;
    상기 소프트 키에 입사되는 상기 전자기를 센싱하는 제 2 전자기 센싱부; 및
    상기 제 2 터치 센싱부 및 상기 제 2 전자기 센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터치 센싱부를 제어하는 제 1 서브 제어부; 및
    상기 제 2 전자기 센싱부를 제어하는 제 2 서브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터치 센싱부 및 상기 제 2 전자기 센싱부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터치 입력 잠금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터치 센싱부는 디스에이블(disabl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터치 입력 잠금 명령이 해제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터치 센싱부는 인에이블(enabl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 하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2 터치 센싱부;
    상기 제 2 터치 센싱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2 전자기 센싱부; 및
    상기 제 2 터치 센싱부 및 상기 제 2 전자기 센싱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터치 스크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제 2 터치 센싱부의 하부 및 상기 제 2 전자기 센싱부 표면에 배치되어,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17. 터치 및 전자기를 센싱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터치 입력 잠금 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 잠금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의 터치 센싱을 디스에이블하며, 전자기 센싱을 인에이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터치 입력 잠금 해제 명령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입력 잠금 해제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의 터치 센싱을 인에이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의 제어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잠금 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기설정된 부분을 터치하는 것 또는 상기 기설정된 부분에 전자기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의 제어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잠금 해제 명령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기설정된 부분에 전자기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의 제어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 키의 터치 센싱을 디스에이블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특정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한 터치 센싱을 디스에이블하며,
    상기 터치 입력 잠금 해제 명령은, 상기 특정 부분을 터치하는 것 또는 상기 특정 부분에 전자기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의 제어 방법.
KR1020110069165A 2011-07-12 2011-07-12 전자기 공진 입력이 가능한 소프트 키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KR101872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165A KR101872027B1 (ko) 2011-07-12 2011-07-12 전자기 공진 입력이 가능한 소프트 키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US13/544,378 US9811195B2 (en) 2011-07-12 2012-07-09 Touch screen with soft key enabling electromagnetic resonance input
CN201210241643.6A CN102880373B (zh) 2011-07-12 2012-07-12 具有软键启用电磁谐振输入的触摸屏
EP12176119.1A EP2546729A3 (en) 2011-07-12 2012-07-12 Touch screen with soft key enabling electromagnetic resonance in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165A KR101872027B1 (ko) 2011-07-12 2011-07-12 전자기 공진 입력이 가능한 소프트 키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426A true KR20130008426A (ko) 2013-01-22
KR101872027B1 KR101872027B1 (ko) 2018-06-27

Family

ID=46548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165A KR101872027B1 (ko) 2011-07-12 2011-07-12 전자기 공진 입력이 가능한 소프트 키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11195B2 (ko)
EP (1) EP2546729A3 (ko)
KR (1) KR101872027B1 (ko)
CN (1) CN1028803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118B1 (ko) * 2013-05-13 202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106779B1 (ko) * 2013-06-28 2020-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펜 입력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JP6051312B2 (ja) * 2013-09-25 2016-12-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150205350A1 (en) * 2014-01-23 2015-07-23 Lenovo (Singapore) Pte. Ltd. Skin mounted input device
US10860094B2 (en) 2015-03-10 2020-12-08 Lenovo (Singapore) Pte. Ltd. Execution of function based on location of display at which a user is looking and manipulation of an input device
CN106249978A (zh) * 2016-08-25 2016-12-21 上海微山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电容双模触控装置及其设置方法
JP6916525B2 (ja) * 2018-02-06 2021-08-11 株式会社ブイ・テクノロジー Led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KR20200055983A (ko) * 2018-11-14 2020-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치로부터 방사되는 전자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9830179B (zh) * 2019-03-29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及用于终端设备的感光检测方法
KR20210017192A (ko) * 2019-08-07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및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955988B1 (en) 2020-02-14 2021-03-23 Lenovo (Singapore) Pte. Ltd. Execution of function based on user looking at one area of display while touching another area of display
CN113076052A (zh) * 2021-04-01 2021-07-06 深圳市宝立创科技有限公司 液晶写字板的局部擦除方法及系统
JP2022171477A (ja) * 2021-04-30 2022-11-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612A (ko) * 2001-07-05 2003-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에서의 터치패드 잠금방법
KR20060057518A (ko) * 2004-11-23 2006-05-26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우발적인 접촉 감응식 장치 활성화를 감소시키는 방법
KR20060128835A (ko) * 2003-09-12 2006-12-14 서크 코퍼레이션 용량성 감지 터치패드 및 유선 스타일러스의 구현 방법 및시스템
US20110053653A1 (en) * 2009-08-26 2011-03-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230B1 (ko) * 2002-11-14 2004-12-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터치 패널
US20060075250A1 (en) * 2004-09-24 2006-04-06 Chung-Wen Liao Touch panel lock and unlock function and hand-held device
JP4821544B2 (ja) 2006-09-28 2011-11-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磁誘導型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US20090113295A1 (en) * 2007-10-30 2009-04-30 Halpern Arieh S Graphical display for physiological patient data
CN102047200A (zh) * 2008-04-01 2011-05-04 吴谊镇 数据输入装置及数据输入方法
KR101517967B1 (ko) * 2008-07-07 2015-05-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201247458Y (zh) 2008-09-04 2009-05-27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双模式输入功能的显示装置
KR101613919B1 (ko) 2008-09-25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384679B2 (en) * 2008-12-23 2013-02-26 Todd Robert Paleczny Piezoelectric actuator arrangement
US8292745B2 (en) * 2009-02-27 2012-10-23 Digideal Corporation Convertible rail for selecting player-tracking modes in an electronic game table
EP2226787B1 (en) * 2009-03-03 2016-12-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mobile terminal
US8179376B2 (en) 2009-08-27 2012-05-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sensitive display with capacitive and resistive touch sensors and method of control
JP5886489B2 (ja) 2009-09-21 2016-03-16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
US20110084933A1 (en) 2009-10-08 2011-04-14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Laminated printed circuit board inductive touch sensor
JP5427070B2 (ja) * 2010-03-05 2014-02-26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
CN101866200A (zh) * 2010-04-23 2010-10-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双屏电子装置
TW201243699A (en) * 2011-04-27 2012-11-01 Acer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02759B1 (ko) * 2011-05-30 2017-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612A (ko) * 2001-07-05 2003-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에서의 터치패드 잠금방법
KR20060128835A (ko) * 2003-09-12 2006-12-14 서크 코퍼레이션 용량성 감지 터치패드 및 유선 스타일러스의 구현 방법 및시스템
KR20060057518A (ko) * 2004-11-23 2006-05-26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우발적인 접촉 감응식 장치 활성화를 감소시키는 방법
US20110053653A1 (en) * 2009-08-26 2011-03-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46729A2 (en) 2013-01-16
CN102880373B (zh) 2017-09-26
KR101872027B1 (ko) 2018-06-27
EP2546729A3 (en) 2017-06-07
CN102880373A (zh) 2013-01-16
US9811195B2 (en) 2017-11-07
US20130016064A1 (en) 201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027B1 (ko) 전자기 공진 입력이 가능한 소프트 키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KR102016854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US10031634B2 (en) Multi-touch and multi-user detecting device
KR102388791B1 (ko) 제스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1586299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human interface
US9639173B2 (en) Human interface apparatus having input unit for pointer location information and pointer command execution unit
US10048759B2 (en) Input device, particularly computer mouse
JP5898154B2 (ja) デジタイザ・パネルによる入力が可能な電子機器および入力方法
TW201201084A (en)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EP3019937B1 (en) Gesture-sensitive display
KR20120134843A (ko) 소수 채널을 이용하는 전자기 공진 센싱 장치
KR20140074208A (ko)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것의 복합 터치 모듈
KR20120134850A (ko) 채널을 공유하는 전자기 공진 센싱 장치
KR102015313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71400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5309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73003A (ko) 터치 입력 장치
KR101521844B1 (ko) 이중 동작 모드를 갖는 터치스크린 장치
KR2011008060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