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7192A - 디스플레이 및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및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7192A
KR20210017192A KR1020190096075A KR20190096075A KR20210017192A KR 20210017192 A KR20210017192 A KR 20210017192A KR 1020190096075 A KR1020190096075 A KR 1020190096075A KR 20190096075 A KR20190096075 A KR 20190096075A KR 20210017192 A KR20210017192 A KR 20210017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igital pen
electronic device
sensing pane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6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운
최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6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7192A/ko
Priority to CN202080056057.7A priority patent/CN114207565A/zh
Priority to PCT/KR2020/009505 priority patent/WO2021025329A1/en
Priority to EP20850159.3A priority patent/EP3956755B1/en
Priority to US16/933,227 priority patent/US11144156B2/en
Publication of KR20210017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2Filtering of noise external to the device and not generated by digitiser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K9/0001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60Static or dynamic means for assisting the user to position a body part for biometric acquisition
    • G06V40/67Static or dynamic means for assisting the user to position a body part for biometric acquisition by interactive indications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4Touch screens adapted for alternating or simultaneous interaction with active pens and passive pointing devices like fingers or passive p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디지털 펜의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싱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센싱 패널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센싱 패널, 및 상기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하고, 상기 디지털 펜이 충전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센서를 활성화하고 및 상기 센싱 패널을 통한 충전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센서를 비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및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SENSOR}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 및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전자 장치 내에서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서 센서가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포함되는 인 디스플레이(in display) 센서가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하여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내에 이미지 센서 또는 근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디지털 펜(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손 글씨를 입력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디지털 펜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인접한 위치 또는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센싱(sensing) 패널(예: 디지타이저(digitizer) 또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센싱 패널을 통해 디지털 펜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펜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디지털 펜을 충전하는 동안에 센서가 활성화 되면, 센싱 패널을 통해 유기되는 충전 신호의 노이즈(noise)로 인하여 센서의 인식률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센서가 활성화되면, 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와 센싱 패널로부터 발생되는 신호 간 간섭으로 인하여 디지털 펜의 입력을 정상적으로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 내에 센서를 포함하고 이들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디지털 펜의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싱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센싱 패널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센싱 패널, 및 상기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하고, 상기 디지털 펜이 충전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센서를 활성화하고 및 상기 센싱 패널을 통한 충전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센서를 비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은,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하는 동작, 디지털 펜이 충전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센서를 활성화하고 충전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동작,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센서를 비활성화하는 동작, 및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센서를 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디지털 펜의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싱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센싱 패널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지문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센싱 패널, 및 상기 지문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하고,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지문 입력을 가이드 하는 제1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지털 펜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지문 센서가 비활성화됨을 나타내는 제2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디지털 펜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도전성 코일의 간섭(interference)을 줄이고 센서의 성능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센서를 디스플레이 내에 포함하면서, 디지털 펜의 입력에 대한 인식률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디지털 펜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디지털 펜이 외부에 부착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지털 펜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센싱 패널 및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 패널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센싱 패널 및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지문 센서의 활성화와 연관된 화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센서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센서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의 다른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디지털 펜 및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센싱 패널 및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다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1 도전성 패턴 및 제2 도전성 패턴에 연결되는 도전성 코일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센싱 패널 및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다른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지털 펜 및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3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센싱 패널에 포함된 제3 패널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센싱 패널의 자기장의 방향을 도시한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3 패널 및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디지털 펜들과 동작하는 환경을 도시한다.
도 2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디지털 펜들과 동작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b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디지털 펜(201)을 충전할 수 있는 전자 장치(101)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2a는 디지털 펜(201)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전자 장치(101)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b는 디지털 펜(201)이 외부에 부착될 수 있는 전자 장치(101)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디지털 펜(201)(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이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하우징(110)을 포함하며, 하우징(110)의 일 부분, 예를 들면, 측면(110C)의 일 부분에는 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홀(111)과 연결된 수납 공간(1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지털 펜(201)은 수납 공간(11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지털 펜(201)은, 디지털 펜(201)을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112)으로부터 꺼내기 용이하도록, 일 단부에, 눌림 가능한 버튼(201a)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201a)이 눌리면, 버튼(201a)과 연계 구성된 반발 메커니즘(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들이 작동하여, 수납 공간(112)으로부터 디지털 펜(201)이 이탈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디지털 펜(201)이 전자 장치(101)의 외부에 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측면(예: 도 2a의 측면(110c))과 인접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자성 물질(113-1, 113-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은 적어도 하나의 자성 물질(113-1, 113-2)을 통해 전자 장치(101)의 하우징(110)의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이 수납 공간(112) 내에 삽입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1)의 측면에 부착되면,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 내에 포함된 도전성 코일을 통해 충전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디지털 펜(201)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도전성 코일은 예를 들어, 수납 공간(112)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전자 장치(101)의 측면 중 일부 영역(예: 114)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전성 코일은 전자 장치(101)의 위에서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디지털 펜(201)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펜(201)은, 프로세서(220), 메모리(230), 공진 회로(287), 충전 회로(288), 배터리(289), 통신 회로(290)(또는, 무선 통신 회로), 안테나(297) 및/또는 트리거(trigger) 회로(298)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디지털 펜(201)의 프로세서(220), 공진 회로(287)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통신 회로(290)의 적어도 일부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상에 또는 칩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 공진 회로(287) 및/또는 통신 회로(290)는 메모리(230), 충전 회로(288), 배터리(289), 안테나(297) 또는 트리거 회로(29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펜(201)은, 공진 회로와 버튼 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커스터마이즈드(customized) 하드웨어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제너릭(generic)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디지털 펜(201)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들, 데이터 측정 모듈, 입출력 인터페이스, 디지털 펜(201)의 상태 또는 환경을 관리하는 모듈 또는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적인 구성 요소(기능)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요소(프로그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공진 회로(287)를 통해 전자 장치(101)의 센싱 패널(예: 도 4의 470)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장 신호에 상응하는 근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신호가 확인되면(identified), 전자기 공명 방식(electro-magnetic resonance, EMR) 입력 신호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하도록 공진 회로(287)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30)는 디지털 펜(201)의 동작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는 전자 장치(101)와의 통신을 위한 정보 및 디지털 펜(201)의 입력 동작에 관련된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진 회로(287)는 코일(coil), 인덕터(inductor) 또는 캐패시터(capaci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진 회로(287)는, 디지털 펜(201)이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디지털 펜(201)은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 AES(active electrostatic) 방식, 또는 ECR(electrically coupled resonance)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이 EMR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디지털 펜(201)은 전자 장치(101)의 유도성 패널(inductive panel)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장(electromagnetic field)에 기반하여,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이 AES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디지털 펜(201)은 전자 장치(101)와 용량 결합(capacity coupling)을 이용하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이 ECR 방식에 의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디지털 펜(201)은 전자 장치의 용량성(capacitive)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장(electric field)에 기반하여, 공진 주파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공진 회로(287)는 사용자의 조작 상태에 따라 전자기장의 세기 또는 주파수를 변경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 회로(287)는, 호버링(hovering) 입력, 드로잉(drawing) 입력, 버튼(button) 입력 또는 이레이징(erasing)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주파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회로(288)는 스위칭 회로에 기반하여 공진 회로(287)와 연결된 경우, 공진 회로(287)에서 발생되는 공진 신호를 직류 신호로 정류하여 배터리(289)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펜(201)은 충전 회로(288)에서 감지되는 직류 신호의 전압 레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에 디지털 펜(201)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identify)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289)는 디지털 펜(201)의 동작에 요구되는 전력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289)는, 예를 들어, 리튬-이온 배터리, 또는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충전식 또는 교환식 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289)는 충전 회로(288)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예를 들어, 직류 신호(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290)는, 디지털 펜(201)과 전자 장치(101)의 통신 모듈 간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회로(290)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디지털 펜(201)의 상태 정보 및 입력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회로(290)는 트리거 회로(298)를 통해 획득한 디지털 펜(201)의 방향 정보(예: 모션 센서 데이터), 마이크로 폰을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 또는 배터리(289)의 잔량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BLE(bluetooth low energy) 또는 무선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297)는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펜(201)은, 복수의 안테나(297)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중에,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297)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297)를 통하여, 통신 회로(290)는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 전자 장치와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트리거 회로(298)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또는 센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디지털 펜(201)의 버튼의 입력 방식(예를 들어, 터치 또는 눌림) 또는 종류(예를 들어, EMR 버튼 또는 BLE 버튼)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회로는 디지털 펜(201)의 내부의 작동 상태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회로는 모션 센서, 배터리 잔량 감지 센서, 압력 센서, 광 센서, 온도 센서, 지자계 센서, 생체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지자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트리거 회로(298)는 버튼의 입력 신호 또는 센서를 통한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로 트리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펜(201)이 수납 공간(112)에 삽입되거나, 전자 장치(101)의 외부에 부착되면, 디지털 펜(201)은 모션 센서의 기능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도 3 및 이하 서술되는 실시 예들에서는 전자 장치(1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는 디지털 펜(201)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디지털 펜(201) 이외에 전자 장치(101)와 무선으로 상호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에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외부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와 같은 휴대용 장치(예: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웨어러블 장치(예: 스마트 워치 또는 스마트 안경), 이어폰, 헤드셋, 카메라, 또는 VR(virtual reality)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센싱 패널(470) 및 지문 센서(46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의 단면도(400)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단면도(400)는 전자 장치(101)의 a-a'에 대한 단면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101)가 지문 센서(460)를 포함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되지만, 동일한 원리가 이미지 센서, 근조도 센서, 또는 도 1의 센서 모듈(176)에 포함되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전면 플레이트(410), 후면 플레이트(420), 하우징 플레이트(430), 디스플레이 조립체(440), PCB(450), 배터리(189), 수납 공간(112), 센싱 패널(470), 및 지문 센서(4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도 4에 도시된 구성들 이외에도 도 1에 도시된 구성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4에 도시된 구성들 중 앞선 도면들에서 설명된 구성과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전면 플레이트(410)는 윈도우(window) 또는 커버(cover)로 지칭될 수 있다. 전면 플레이트(410)는 적어도 일 부분이 실질적으로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410)는 다양한 코팅 레이어들을 포함하는 글라스 플레이트, 또는 폴리머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 플레이트(420)는 커버 윈도우 또는 후면 커버로 지칭될 수 있다. 후면 플레이트(420)는 예를 들어, 코팅 또는 착색된 유리, 세라믹, 폴리머, 금속(예: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마그네슘), 또는 상기 물질들 중 적어도 둘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430)는 측면 베젤 구조 또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430)는 전면 플레이트(410) 및 후면 플레이트(420)와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플레이트(430)는 금속 및/또는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 플레이트(430)의 상부면(예: +z축)에 디스플레이 조립체(440) 및 센싱 패널(470)이 결합되고, 하우징 플레이트(430)의 하부면(예: -z축)에 PCB(450)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플레이트(420) 및 하우징 플레이트(430)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물질(예: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조립체(440)는 도 1의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조립체(440)는 예를 들어, 전면 플레이트(4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조립체(440)는, 터치 감지 회로 및/또는 터치의 세기(압력)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센싱 패널(470)이 디스플레이 조립체(440)의 외부에 배치되는 실시 예를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조립체(440)는 센싱 패널(470)을 포함할 수 있다.
PCB(450)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예: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카메라 모듈(18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 중 적어도 하나)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 패널(470)(예: 디지타이저(digitizer) 또는 터치 스크린 패널)은 디지털 펜(201)의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패널(470)은 EMR 방식, AES 방식, 또는 ECR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지털 펜(201)과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센싱 패널(470)은 PCB(예: 연성 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과 차폐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시트는 전자 장치(101) 내에 포함된 구성들(예: 디스플레이 조립체(440), PCB(450), 및/또는 센싱 패널(470))로부터 발생된 전자기장에 의한 상호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차폐시트는 구성들로부터 발생된 전자기장을 차단함으로써, 디지털 펜(201)으로부터의 입력이 센싱 패널(470)에 포함된 도전성 코일(예: 도 5의 510)에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센싱 패널(470)은 전자 장치(101)의 위(예: +z축)에서 바라볼 때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 지문)를 인식하도록 구성된 지문 센서(460)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싱 패널(470)은 개구부를 포함하고, 지문 센서(460)는 상기 개구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지문 센서(460)를 포함하는 센싱 패널(47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센싱 패널(470)은 제1 패널(470-1) 및 제2 패널(47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470-1) 및 제2 패널(470-2)은 센싱 패널(470)과 구조 및 기능이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지문 센서(460)는 제1 패널(470-1)의 개구부(540)를 통해 센싱 패널(47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패널(470-2)이 지문 센서(460)의 배면(예: -z축 방향)에 배치되고 제1 패널(470-1)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센싱 패널(470)은 디지털 펜(201)의 좌표가 입력될 때 선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센싱 패널(470)에 지문 센서(460)가 아닌 다른 센서가 배치되는 경우, 제2 패널(470-1)은 해당 센서의 전면(예: +z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신호 처리 회로(520)는 지정된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생성 및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회로(520)는 도전성 코일(510) 및 센싱 패널(470)을 통해 디지털 펜(201)의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거나, 디지털 펜(201)에게 충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센싱 패널(470)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연관된 커패시턴스(capacitance)(예: 셀프(self) 커패시턴스 또는 뮤추얼(mutual) 커패시턴스)의 변경에 기반하여 디지털 펜(201)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패널(470-1) 및 제2 패널(470-2)은 신호 처리 회로(520) 및 도전성 코일(5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로(530-1)는 송신 경로를 의미하고, 제2 경로(530-2)는 수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는 단일한 송신 경로를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르면, 충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센싱 패널(470), 신호 처리 회로(520), 및 도전성 코일(510)은 복수의 송신 경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지문 센서(460)는 센싱 패널(470)의 내부에 실장 되므로, 도전성 코일(510)로부터 발생되어 센싱 패널(470)로 유기되는 신호의 노이즈는 지문 센서(460)로부터 발생되는 신호와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간섭으로 인하여 지문 센서(460)의 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디지털 펜(201)과 연관된 기능(예: 드로잉 또는 배터리 충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지문 센서(460) 또는 충전 동작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센서(460)의 활성화가 시도되더라도 디지털 펜(201)의 입력이 감지되면, 디지털 펜(201)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지문 센서(460)의 활성화를 거절(reject)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지털 펜(201)의 배터리가 충전되는 동안에 지문 센서(460)의 활성화가 시도되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센서(460)를 활성화하고, 충전 동작을 비활성화하거나, 센싱 패널(4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송신 경로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센싱 패널(470) 및 지문 센서(46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600)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 회로(520), 도전성 코일(510), 및 센싱 패널(47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송신 경로(610-1) 및 제2 송신 경로(610-2)는 도 5의 제1 경로(530-1)에 포함되고, 수신 경로(610-3)는 도 5의 제2 경로(530-2)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송신 경로(610-1) 및 제2 송신 경로(610-2)는 센싱 패널(470)의 서로 다른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송신 경로(610-1)는 x축 좌표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도전성 패턴들(예: x1, x2, x3, x4,..., xn)(n은 자연수)에 연결되고, 제2 송신 경로(610-2)는 y축 좌표를 감지하기 위한 제2 도전성 패턴들(예: y1, y2, y3, y4,..., ym)(m은 자연수)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송신 경로(610-1)는 센싱 패널(470) 중 지문 센서(460)가 배치되는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연결되고, 제2 송신 경로(610-2)는 지문 센서(460)가 배치되는 영역과 인접하지 않은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 회로(520)는 프로세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 회로(520) 및 프로세서(120)는 별도의 칩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의 칩 또는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센서(460)의 활성화가 시도됨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센서(460)가 포함된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거나,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지문 센서(460)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거나, 또는 지문 센서(460)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센서(460)의 활성화가 시도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센서(460)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패널(470)에 디지털 펜(201)의 입력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센서(460)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되어도 지문 센서(46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센싱 패널(470)에 디지털 펜(201)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센서(460)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지문 센서(460)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신호 처리 회로(520)를 통해 디지털 펜(201)으로의 충전 동작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펜(201)으로 충전 동작이 수행 중인 동안에 지문 센서(460)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되면, 프로세서(120)는 지문 센서(460)의 인식률 감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신호 처리 회로(520)를 통해 디지털 펜(201)으로의 충전 동작을 비활성화 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 처리 회로(520)는 충전 동작을 위하여 이용되는 송신 경로(예: 제1 송신 경로(610-1) 및 제2 송신 경로(610-2))를 비활성화하고, 스캐닝(scanning) 동작을 위하여 수신 경로(예: 수신 경로(610-3))만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스캐닝 동작은 디지털 펜(201)이 충전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캐닝 동작을 위하여 신호의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 신호 처리 회로(520)는 스캐닝 동작을 위하여 제1 송신 경로(610-1) 또는 제2 송신 경로(610-2) 중 하나만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지문 센서(460)의 활성화와 연관된 화면을 도시한다.
도 7의 참조번호 701을 참조하면, 지문 센서(460)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1)는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 입력을 가이드 하는 제1 GUI(graphic user interface)(710)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디스플레이 조립체(440)(또는 센싱 패널(470)) 내에서 지문 센서(460)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y 평면을 기준으로 지문 센서(460)가 디스플레이 조립체(440)의 중앙 하단에 배치되면, 전자 장치(101)는 표시 장치(160)의 중앙 하단에 제1 GUI(71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의 참조번호 702를 참조하면, 디지털 펜(201)의 입력이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01)는 지문 센서(460)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의 입력은 예를 들어, 호버링 입력, 드로잉 입력, 버튼 입력 또는 이레이징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센서(460)가 비활성화 됨을 나타내는 제2 GUI(720)를 표시 장치(1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제1 GUI(710)의 색상, 크기, 또는 투명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제2 GUI(720)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제1 GUI(710)가 표시 장치(160)에서 사라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2 GUI(720)와 함께 지문 센서(460)가 비활성화 됨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30)를 표시 장치(1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730)는 텍스트(text) 형태(예: “When S-Pen is near, Fingerprint recognition may not work”)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730)는 팝 업(pop-up)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도 7은 전자 장치(101)가 표시 장치(160)의 화면을 통해 지문 센서(460)의 활성화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실시 예를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지문 센서(460)의 활성화 여부를 음성 또는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알릴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센서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101)의 동작 흐름도(800)를 도시한다. 이하 서술되는 동작 흐름도의 동작들은 전자 장치(101)에 의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또는 신호 처리 회로(520)를 통해 동작 흐름도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0) 또는 신호 처리 회로(520)는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13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실행함으로써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는 지문 센서, 이미지 센서, 근조도 센서, 또는 도 1의 센서 모듈(176)에 포함되는 다른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가 포함된 영역(예: 도 7의 제1 GUI(710)가 위치한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거나, 센서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거나, 또는 센서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1)는 센서의 활성화가 시도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동작 810에서, 전자 장치(101)는 디지털 펜(201)이 충전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identify)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펜(201)이 전자 장치(101)의 수납 공간(112) 내에 삽입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면, 전자 장치(101)는 디지털 펜(201)이 충전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805 및 동작 810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디지털 펜(201)이 충전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한 이후에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디지털 펜(201)이 충전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 및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감지(또는 식별)할 수 있다.
동작 815에서, 전자 장치(101)는 디지털 펜(201)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의 입력은 예를 들어, 호버링 입력, 드로잉 입력, 버튼 입력 또는 이레이징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펜(201)이 충전 위치에 위치하고 멀티 펜(multi-pen)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이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815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동작 8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센서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펜(201)이 충전 위치에 위치하고 디지털 펜(201)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전자 장치(101)는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1)는 디지털 펜(201)으로의 충전 동작을 비활성화하고 디지털 펜(201)의 입력 또는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스캐닝 동작을 활성화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센싱 패널(470)에 디지털 펜(201)의 입력이 감지되면, 디지털 펜(201)의 사용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1)는 센서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되어도 센서를 활성화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센서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동작 흐름도(900)를 도시한다. 도 9는 전자 장치(101)가 싱글 펜 모드(single pen mode)로 동작하는 경우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멀티 펜 모드와 관련된 실시 예는 도 19 내지 도 20에서 설명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할 수 있다(예: 도 8의 동작 805).
동작 910에서, 전자 장치(101)는 디지털 펜(201)이 충전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예: 도 8의 동작 810). 디지털 펜(201)이 충전 위치에 위치하면, 동작 915에서, 전자 장치(101)는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1)는 센서의 인식률 감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디지털 펜(201)으로의 충전 동작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이 충전 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면, 동작 920에서, 전자 장치(101)는 디지털 펜(201)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동작 915에서, 전자 장치(101)는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의 입력이 감지되면, 동작 925에서, 전자 장치(101)는 센서를 활성화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센서를 비활성화하거나, 센서가 활성화 되더라도 이미지(예: 지문 이미지)를 캡처(capture)하지 않거나, 또는 이미지가 캡처 되더라도 캡처된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101)는 도 7의 참조 번호 7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GUI(720)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3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충전 동작을 수행하는 디지털 펜(201) 및 전자 장치(101)의 동작 흐름도(1000)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05에서, 디지털 펜(201) 및 전자 장치(101)는 디지털 펜(201)이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펜(201)은 전자 장치(101)의 도전성 코일(5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감지하거나, 또는 센서(예: 모션 센서 또는 홀 센서)를 통해 디지털 펜(201)이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1010에서, 디지털 펜(201)은 충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펜(201)은 전자 장치(101)로부터 충전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공진 회로(287) 및 충전 회로(288)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지털 펜(201)은 충전 모드로 동작하는 동안에 모션 센서(예: 도 3의 트리거 회로(298))의 기능을 오프(off)할 수 있다.
동작 1015에서, 전자 장치(101)는 충전 동작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충전 신호를 디지털 펜(201)에게 전송하기 위하여 송신 경로(예: 도 5의 제1 경로(530-1), 도 6의 제1 송신 경로(610-1), 또는 도 6의 제2 송신 경로(610-2))를 활성화할 수 있다.
동작 1020에서, 디지털 펜(201)과 전자 장치(101)는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활성화된 송신 경로를 통해 충전 신호를 디지털 펜(2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디지털 펜(201)은 공진 회로(287)를 통해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된 충전 신호를 정류하고, 정류된 신호를 배터리(289)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동작 1025에서, 전자 장치(101)는 충전이 수행되는 동안에 지문 센서(460)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활성화 시도가 감지되지 않으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1020 및 동작 1025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지문 센서(460)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되면, 동작 10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지문 센서(460)를 활성화하고 충전 동작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101)가 듀얼 전송 모드(dual Tx mode) 또는 싱글 전송 모드(single Tx mode)로 동작하는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본 문서에서, 듀얼 전송 모드는 복수의 송신 경로들이 활성화된 동작을 의미하고, 싱글 전송 모드는 복수의 송신 경로들 중 일부가 비활성화된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싱글 전송 모드를 통해 지문 센서(460)의 성능 열화를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디지털 펜(201)의 충전을 저전력으로 수행하거나 스캐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센싱 패널(470) 및 지문 센서(46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1100)를 도시한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1 도전성 패턴(1210-1) 및 제2 도전성 패턴(1210-2)에 연결되는 도전성 코일(51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 회로(520), 도전성 코일(510), 및 센싱 패널(470)은 제1 송신 경로(1110-1), 제2 송신 경로(1110-2), 및 수신 경로(1110-3)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송신 경로(1110-1) 및 제2 송신 경로(1110-2)는 xy좌표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축에 대응하는 도전성 패턴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패널(470)은 x축 좌표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도전성 패턴들(예: x1, x2, x3, x4,..., xn) 및 y축 좌표를 감지하기 위한 제2 도전성 패턴들(예: y1, y2, y3, y4,..., ym)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송신 경로(1110-1)는 제1 도전성 패턴들에 연결되고, 제2 송신 경로(1110-2)는 제2 도전성 패턴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도전성 패턴(1210-1)은 도 11의 제1 도전성 패턴들(예: x1, x2, x3, x4,..., xn) 중 일부에 해당하고, 제2 도전성 패턴(1210-2)은 제2 도전성 패턴들(예: y1, y2, y3, y4,..., ym) 중 일부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도전성 패턴(1210-2)은 제1 패널(470-1)에 포함되고, 제2 패널(470-2)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도전성 코일(510)은 제1 송신 경로(1110-1)를 통해 제1 도전성 패턴(1210-1)에 연결되고, 제2 송신 경로(1110-2)를 통해 제2 도전성 패턴(1210-2)에 연결될 수 있다. 도전성 코일(510)은 수신 경로(1110-3)를 통해 제1 도전성 패턴(1210-1) 및 제2 도전성 패턴(1210-2)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 회로(520)(또는 프로세서(120))는 듀얼 전송 모드 또는 싱글 전송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듀얼 전송 모드에서, 신호 처리 회로(520)는 제1 송신 경로(1110-1) 및 제2 송신 경로(1110-2)를 모두 활성화함으로써 복수의 송신 경로를 통해 송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싱글 전송 모드에서, 신호 처리 회로(520)는 제1 송신 경로(1110-1) 또는 제2 송신 경로(1110-2) 중 하나의 송신 경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센서(460)가 활성화되면, 지문 센서(460)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2 패널(470-2)과 지문 센서(460) 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호 처리 회로(520)는 제1 송신 경로(1110-1)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활성화된 제2 송신 경로(1110-2)는 스캐닝 동작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센싱 패널(470) 및 지문 센서(46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다른 블록도(1300)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센싱 패널(470)은 지문 센서(460)가 배치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1310-1)과 제1 영역(1310-1)을 제외한 제2 영역(131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y 평면을 기준으로 지문 센서(460)가 센싱 패널(470)의 하단 영역에 배치되면, 제1 영역(1310-1)은 센싱 패널(470)의 하단 영역을, 제2 영역(1310-2)은 센싱 패널(470)의 상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제1 영역(1310-1)의 면적과 및 제2 영역(1310-2)의 면적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예를 도시하지만, 면적의 비율은 센싱 패널(470)에 배치된 지문 센서(460)의 크기 및 위치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송신 경로(1330-1) 및 제2 송신 경로(1330-2)는 센싱 패널(470)을 구성하는 영역 중 서로 다른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송신 경로(1330-1)는 제1 영역(1310-1)에 연결되고, 제2 송신 경로(1330-2)는 제2 영역(1310-2)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듀얼 전송 모드에서, 신호 처리 회로(520)(또는 프로세서(120))는 제1 송신 경로(1330-1) 및 제2 송신 경로(1330-2)를 모두 활성화함으로써 복수의 송신 경로를 통해 송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싱글 전송 모드에서, 신호 처리 회로(520)는 제1 송신 경로(1330-1) 또는 제2 송신 경로(1330-2) 중 하나의 송신 경로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센서(460)가 활성화되면, 지문 센서(460)가 배치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1310-1)의 도전성 패턴들과 지문 센서(460) 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호 처리 회로(520)는 제1 송신 경로(1330-1)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활성화된 제2 송신 경로(1330-2)는 스캐닝 동작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4는 디지털 펜(201) 및 전자 장치(101)의 동작 흐름도(1400)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동작 1405에서, 디지털 펜(201) 및 전자 장치(101)는 디지털 펜(201)이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할 수 있다(예: 도 10의 동작 1005). 동작 1410에서, 디지털 펜(201)은 충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예: 도 10의 동작 1010).
동작 1415에서, 전자 장치(101)는 충전 동작을 활성화하고, 듀얼 전송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충전 신호를 디지털 펜(201)에게 전송하기 위하여 제1 송신 경로(1330-1) 및 제2 송신 경로(1330-2)를 모두 활성화할 수 있다.
동작 1420에서, 디지털 펜(201)과 전자 장치(101)는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예: 도 10의 동작 1020). 동작 1425에서, 전자 장치(101)는 충전이 수행되는 동안에 지문 센서(460)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활성화 시도가 감지되지 않으면, 전자 장치(101)는 동작 1420 및 동작 1425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지문 센서(460)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되면, 동작 1430에서, 전자 장치(101)는 지문 센서(460)를 활성화하고 듀얼 전송 모드를 싱글 전송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는 x축 좌표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도전성 패턴들과 연결되거나, 또는 지문 센서(460)가 배치된 제1 영역(1310-1)과 연결된 제1 송신 경로(1330-1)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은 전자 장치(101)가 제3 패널(470-3)을 포함하는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본 문서에서 제3 패널(470-3)은 영(null) 패널로 지칭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제3 패널(470-3)을 통해 센싱 패널(470)로부터 생성되는 신호의 일부를 상쇄함으로써 지문 센서(460)의 성능 열화를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디지털 펜(201)의 충전을 저전력으로 수행하거나 스캐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3 패널(470-3)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1500)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신호 처리 회로(5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패널(47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패널(470-3)은 제1 패널(470-1) 또는 제2 패널(470-2)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지만, 제1 패널(470-1) 또는 제2 패널(470-2)과 코일이 반대 방향을 감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5는 제3 패널(470-3)이 제1 패널(470-1) 및 제2 패널(470-2)과 별도의 블록도로 표시되는 예를 도시하지만, 제3 패널(470-3)은 제1 패널(470-1) 및 제2 패널(470-2)과 함께 센싱 패널(470)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신호 처리 회로(520)(또는 프로세서(120))는 제3 패널(470-3)을 통해 제1 패널(470-1) 및 제2 패널(470-2)과 자기장의 방향이 반대되는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센싱 패널(470)에 포함된 제3 패널(470-3)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도전성 코일(1601) 및 제2 도전성 코일(1602)은 루프(loop) 형태를 가지는 패턴 구조일 수 있다. 지문 센서(460)의 성능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3 패널(470-3)을 구성하는 제2 도전성 코일(1602)은 제1 패널(470-1) 또는 제2 패널(470-2)을 구성하는 제1 도전성 코일(1601)의 일부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도전선 코일(1601) 및 제2 도전성 코일(1602)은 센싱 패널(470)을 구성하는 복수의 레이어들(layers) 중 서로 다른 레이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도전성 코일(1602)은 제1 도전성 코일(1601)과 반대 방향을 감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전성 코일(1601)이 제1 방향(1610)(예: 반 시계 방향)으로 감기면, 제2 도전성 코일(1602)은 제1 방향(1610)과 반대되는 제2 방향(1620)(예: 시계 방향)으로 감길 수 있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센싱 패널(470)의 자기장의 방향을 도시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 자기장(1701)은 도 16의 제1 도전성 코일(1601)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을 의미하고, 제2 자기장(1702)은 도 16의 제2 도전성 코일(1602)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자기장(1702)이 제1 자기장(1701)의 일부를 상쇄시키므로, 전자 장치(101)는 센싱 패널(470)로부터 출력되는 자기장이 지문 센서(460)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3 패널(470-3) 및 스위치(181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1800)를 도시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제3 패널(47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1810), 스위치(18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부(controller)(1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820)는 스위치(1810)를 통해 제3 패널(470-3)의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센서(460)의 활성화가 시도되면, 제어부(1820)는 제3 패널(470-3) 및 신호 처리 회로(520)가 연결되도록 스위치(1810)를 제어함으로써 상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지문 센서(460)가 비활성화 되거나 또는 디지털 펜(201)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820)는 디지털 펜(201)의 사용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3 패널(470-3) 및 신호 처리 회로(520)가 연결되지 않도록 스위치(18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은 별도의 제어부(1820)를 도시하지만,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제어부(1820)를 포함하지 않거나, 신호 처리 회로(520) 또는 프로세서(120) 내에 제어부(18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1810)는 신호 처리 회로(520) 또는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0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디지털 펜(201, 1910)이 이용되는 환경에서 전자 장치(10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9는 복수의 디지털 펜들(201, 1910)과 동작하는 환경을 도시한다. 도 20은 전자 장치(101)의 동작 흐름도(2000)를 도시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디지털 펜(201)(또는 제1 디지털 펜(201))이 충전 위치에 위치하고, 지문 센서(460)가 활성화되는 동안에 다른 디지털 펜(1910)(또는 제2 디지털 펜(1910))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디지털 펜(1910)의 입력은 예를 들어, 호버링 입력, 드로잉 입력, 버튼 입력 또는 이레이징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지털 펜(1910)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2 디지털 펜(1910)의 사용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1)는 비활성화된 송신 경로(예: 도 11의 제1 송신 경로(1110-1))를 활성화하거나, 활성화된 제3 패널(470-3)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동작 흐름도(2000)는 예를 들어, 도 8의 동작 820, 도 9의 동작 915, 도 10의 동작 1030, 또는 도 14의 동작 143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동작 2005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디지털 펜(201)이 충전 위치에 위치하는 동안에 제2 디지털 펜(1910)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201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전자 장치(101)가 멀티 펜 모드로 동작 중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멀티 펜 모드는 전자 장치(101)가 복수의 디지털 펜들(예: 201, 1910)을 지원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 펜 모드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설정되거나, 전자 장치(101)의 제조 단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멀티 펜 모드로 동작하면, 동작 2015에서, 전자 장치(101)는 비활성화된 송신 경로(예: 도 11의 제1 송신 경로(1110-1))를 활성화하거나, 활성화된 제3 패널(470-3)을 비활성화함으로써 제2 디지털 펜(1910)의 사용성을 보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멀티 펜 모드로 동작하지 않으면, 동작 202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2 디지털 펜(1910)의 사용성을 보장할 필요가 없으므로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의 적어도 일부, 또는 도 4의 디스플레이 조립체(440)), 디지털 펜(예: 도 4의 디지털 펜(201))의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싱 패널(예: 도 4의 센싱 패널(470)),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센싱 패널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센싱 패널, 및 상기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5의 신호 처리 회로(52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하고, 상기 디지털 펜이 충전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센서를 활성화하고 및 상기 센싱 패널을 통한 충전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센서를 비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센서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 상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거나, 상기 센서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가 활성화 된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가이드 하는 제1 GUI(예: 도 7의 제1 GUI(710))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고, 상기 센서가 비활성화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센서가 비활성화됨을 나타내는 제2 GUI(예: 도 7의 제2 GUI(720))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 동작을 활성화하고, 상기 충전 동작이 활성화된 이후 상기 센서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 동작을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지털 펜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도전성 코일(예: 도 5의 도전성 코일(5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센싱 패널에 포함되는 제1 센싱 패널(예: 도 5의 제1 패널(470-1))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예: 도 5의 개구부(540))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센서의 배면은 상기 센싱 패널에 포함되는 제2 센싱 패널(예: 도 5의 제2 패널(470-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싱 패널은, xy 평면 상에서 제1 축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1 도전성 패턴들, 및 상기 xy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축과 다른 제2 축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2 도전성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축과 연결된 제1 송신 경로(예: 도 11의 제1 송신 경로(1110-1)) 및 상기 제2 축과 연결된 제2 송신 경로(예: 도 11의 제2 송신 경로(1110-2))를 활성화하고,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이후 상기 센서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송신 경로 또는 상기 제2 송신 경로 중 하나의 송신 경로를 비활성화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싱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센서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제1 영역(예: 도 13의 제1 영역(1310-1)),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예: 도 13의 제2 영역(1310-2))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펜이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연결된 제1 송신 경로 및 상기 제2 영역과 연결된 제2 송신 경로를 활성화하고,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이후 상기 센서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송신 경로를 비활성화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센싱 패널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 센싱 패널(예: 도 15의 제3 패널(470-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싱 패널의 도전성 코일(예: 도 16의 제2 도전성 코일(1602))은 상기 제2 센싱 패널의 도전성 코일(예: 도 16의 제1 도전성 코일(160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감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센싱 패널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스위치(예: 도 18의 스위치(18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센싱 패널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이후 상기 센서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센싱 패널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펜과 다른 디지털 펜(예: 도 19의 제2 디지털 펜(1910))의 입력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센싱 패널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법은,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하는 동작, 디지털 펜이 충전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센서를 활성화하고 충전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동작,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센서를 비활성화하는 동작, 및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센서를 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센서가 활성화 된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가이드 하는 제1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출력하는 동작, 및 상기 센서가 비활성화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센서가 비활성화됨을 나타내는 제2 GUI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 동작을 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센서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 동작을 비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송신 경로를 통해 신호를 출력하는 듀얼 전송 모드(dual Tx mode)를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 경로 중 하나의 송신 경로만을 활성화하는 싱글 전송 모드(single Tx mode)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디지털 펜과 다른 디지털 펜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디지털 펜 및 상기 다른 디지털 펜을 지원하면, 상기 듀얼 전송 모드를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4의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의 적어도 일부, 또는 도 4의 디스플레이 조립체(440)), 디지털 펜(예: 도 4의 디지털 펜(201))의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싱 패널(예: 도 4의 센싱 패널(470)),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센싱 패널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지문 센서(예: 도 4의 지문 센서(46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센싱 패널, 및 상기 지문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도 5의 신호 처리 회로(52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하고,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지문 입력을 가이드 하는 제1 GUI(예: 도 7의 제1 GUI(710))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지털 펜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지문 센서가 비활성화됨을 나타내는 제2 GUI(예: 도 7의 제2 GUI(720))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펜이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하면, 충전 동작을 활성화하고,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되면, 상기 충전 동작을 비활성화 하고 상기 지문 센서를 활성화하고, 및 상기 디지털 펜 또는 상기 디지털 펜과 다른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지문 센서를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지문 센서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 상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거나,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싱 패널은, xy 평면 상에서 제1 축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1 도전성 패턴들, 및 상기 xy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축과 다른 제2 축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2 도전성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축과 연결된 제1 송신 경로(예: 도 11의 제1 송신 경로(1110-1)) 및 상기 제2 축과 연결된 제2 송신 경로(예: 도 11의 제2 송신 경로(1110-2))를 활성화하고,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송신 경로 또는 상기 제2 송신 경로 중 하나의 송신 경로를 비활성화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싱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지문 센서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 되는 제1 영역(예: 도 13의 제1 영역(1310-1)),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예: 도 13의 제2 영역(1310-2))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연결된 제1 송신 경로 및 상기 제2 영역과 연결된 제2 송신 경로를 활성화하고, 상기 센서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송신 경로를 비활성화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디지털 펜의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싱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센싱 패널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센싱 패널, 및 상기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하고,
    상기 디지털 펜이 충전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센서를 활성화하고 및 상기 센싱 패널을 통한 충전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센서를 비활성화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센서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센서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 상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거나, 상기 센서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센서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가 활성화 된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가이드 하는 제1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고,
    상기 센서가 비활성화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센서가 비활성화됨을 나타내는 제2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 동작을 활성화하고,
    상기 충전 동작이 활성화된 이후 상기 센서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 동작을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지털 펜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도전성 코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센싱 패널에 포함되는 제1 센싱 패널의 일부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센서의 배면은 상기 센싱 패널에 포함되는 제2 센싱 패널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되어 배치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싱 패널은,
    xy 평면 상에서 제1 축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1 도전성 패턴들; 및
    상기 xy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축과 다른 제2 축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2 도전성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축과 연결된 제1 송신 경로 및 상기 제2 축과 연결된 제2 송신 경로를 활성화하고,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이후 상기 센서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송신 경로 또는 상기 제2 송신 경로 중 하나의 송신 경로를 비활성화 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싱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센서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펜이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연결된 제1 송신 경로 및 상기 제2 영역과 연결된 제2 송신 경로를 활성화하고,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이후 상기 센서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송신 경로를 비활성화 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싱 패널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3 센싱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센싱 패널의 도전성 코일은 상기 제2 센싱 패널의 도전성 코일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감기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 센싱 패널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센싱 패널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이후 상기 센서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센싱 패널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펜과 다른 디지털 펜의 입력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센싱 패널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의 방법에 있어서,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하는 동작;
    디지털 펜이 충전 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센서를 활성화하고 충전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동작;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센서를 비활성화하는 동작; 및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센서를 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활성화 된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가이드 하는 제1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출력하는 동작; 및
    상기 센서가 비활성화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센서가 비활성화됨을 나타내는 제2 GUI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 동작을 활성화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센서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충전 동작을 비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송신 경로를 통해 신호를 출력하는 듀얼 전송 모드(dual Tx mode)를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및
    상기 충전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하는 동작은,
    상기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송신 경로 중 하나의 송신 경로만을 활성화하는 싱글 전송 모드(single Tx mode)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펜과 다른 디지털 펜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디지털 펜 및 상기 다른 디지털 펜을 지원하면, 상기 듀얼 전송 모드를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디지털 펜의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싱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센싱 패널과 중첩되어 배치되는 지문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센싱 패널, 및 상기 지문 센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하고,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지문 입력을 가이드 하는 제1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지털 펜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지문 센서가 비활성화됨을 나타내는 제2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펜이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하면, 충전 동작을 활성화하고,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되면, 상기 충전 동작을 비활성화 하고 상기 지문 센서를 활성화하고, 및
    상기 디지털 펜 또는 상기 디지털 펜과 다른 디지털 펜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지문 센서를 비활성화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지문 센서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 상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거나,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 시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센싱 패널은,
    xy 평면 상에서 제1 축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1 도전성 패턴들; 및
    상기 xy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축과 다른 제2 축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제2 도전성 패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축과 연결된 제1 송신 경로 및 상기 제2 축과 연결된 제2 송신 경로를 활성화하고,
    상기 지문 센서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송신 경로 또는 상기 제2 송신 경로 중 하나의 송신 경로를 비활성화 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센싱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지문 센서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 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지털 펜이 상기 충전 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연결된 제1 송신 경로 및 상기 제2 영역과 연결된 제2 송신 경로를 활성화하고,
    상기 센서의 활성화 시도가 감지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송신 경로를 비활성화 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KR1020190096075A 2019-08-07 2019-08-07 디스플레이 및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17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075A KR20210017192A (ko) 2019-08-07 2019-08-07 디스플레이 및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02080056057.7A CN114207565A (zh) 2019-08-07 2020-07-20 包括显示器和传感器的电子装置
PCT/KR2020/009505 WO2021025329A1 (en) 2019-08-07 2020-07-20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sensor
EP20850159.3A EP3956755B1 (en) 2019-08-07 2020-07-20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sensor
US16/933,227 US11144156B2 (en) 2019-08-07 2020-07-20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6075A KR20210017192A (ko) 2019-08-07 2019-08-07 디스플레이 및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192A true KR20210017192A (ko) 2021-02-17

Family

ID=74498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6075A KR20210017192A (ko) 2019-08-07 2019-08-07 디스플레이 및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44156B2 (ko)
EP (1) EP3956755B1 (ko)
KR (1) KR20210017192A (ko)
CN (1) CN114207565A (ko)
WO (1) WO20210253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195168A1 (en) * 2019-03-07 2020-09-08 Aito Bv Matrix of haptic elements
US20220413635A1 (en) * 2021-06-25 2022-12-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ylus device attachment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58913B2 (en) * 2001-01-31 2007-01-02 Mobigence, Inc. Automatic activation of touch sensitive screen in a hand held computing device
US8723842B2 (en) 2005-03-01 2014-05-13 Wacom Co., Ltd Position pointing device and hand-held electronic appliance
US20070146351A1 (en) * 2005-12-12 2007-06-28 Yuji Katsurahira Position input device and computer system
US9285930B2 (en) 2007-05-09 2016-03-15 Wacom Co., Ltd. Electret stylus for touch-sensor device
US20120032909A1 (en) * 2010-08-06 2012-02-09 Wang Tzu-Ming Power saving touch electronic book
US8311514B2 (en) 2010-09-16 2012-11-13 Microsoft Corporation Prevention of accidental device activation
KR101872027B1 (ko) * 2011-07-12 2018-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 공진 입력이 가능한 소프트 키를 구비하는 터치 스크린
WO2016064106A1 (ko) 2014-10-22 2016-04-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CN104320579A (zh) * 2014-10-22 2015-01-28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一种拍照装置及方法
US9577697B2 (en) 2015-05-27 2017-02-21 Otter Products, Llc Protective case with stylus access feature
KR102393683B1 (ko) * 2015-10-21 2022-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56755A4 (en) 2022-06-22
EP3956755B1 (en) 2023-08-30
US11144156B2 (en) 2021-10-12
US20210041978A1 (en) 2021-02-11
CN114207565A (zh) 2022-03-18
EP3956755A1 (en) 2022-02-23
WO2021025329A1 (en) 202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1195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agnet and magnetic shield
KR102381435B1 (ko) 전자기 간섭 검출을 위한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KR20200122688A (ko) 폴더블 전자 장치의 상태 인식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US11064060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11392225B2 (en) Electronic device and stylus pen charging method using same
KR20200017267A (ko)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EP3720104B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key button arrangement structure applied to same
KR2021002230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동작 모드 제어 방법
US11301061B2 (en) Electronic device identifying gesture with stylus pe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1366532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structure
US11068150B2 (en) Method for compensating for pressure value of force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20210101671A (ko) 인쇄 회로 기판에 인터포저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20200103411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934596B2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stylus pe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114415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and sensor
KR20200100929A (ko) 필기 입력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95959A (ko)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39959A (ko) 펜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017042A (ko)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420251B1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사용상태에 기반한 외부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17099A (ko) 스타일러스 펜을 인식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30739A (ko) 무선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119034A (ko) 연성 인쇄 회로 기판 및 그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121549A (ko) 액세서리를 인식하는 전자 장치
US11109483B2 (en)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