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400B1 -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400B1
KR102171400B1 KR1020180120774A KR20180120774A KR102171400B1 KR 102171400 B1 KR102171400 B1 KR 102171400B1 KR 1020180120774 A KR1020180120774 A KR 1020180120774A KR 20180120774 A KR20180120774 A KR 20180120774A KR 102171400 B1 KR102171400 B1 KR 102171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ode
touch
mode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0623A (ko
Inventor
조은형
Original Assignee
(주)이노프레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프레소 filed Critical (주)이노프레소
Priority to KR1020180120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400B1/ko
Publication of KR20200040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로서, 터치 입력 또는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키캡의 승강을 감지하는 스위치; 및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 상기 터치 입력은 무시하고 텍스트 신호를 획득하는 키보드 모드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위치에 관련된 포인터 위치정보 신호를 획득하는 마우스 모드를 수행하는 컨트롤러; 상기 마우스 모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하는 모드 전환부; 및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과 상기 모드 전환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 일부와 접촉 시 모드 전환 방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컨트롤러에게 전송하는 터치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 FUNCTIONAL HUMAN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피씨, 휴대폰 등 텍스트 혹은 포인팅 위치관련 정보를 수신 가능한 디지탈 기기에 텍스트 정보 혹은 포인팅 위치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디지탈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휴먼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용 디지탈 기기에서 텍스트 입력을 위한 키보드와 같은 텍스트 입력장치가 공개되었다. 또한 상기 디지탈 기기의 제어를 위한 포인터의 포인팅 위치 제어 및 기능 수행을 위한 마우스 기기와 같은 포인팅 기기가 공개되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사용자가 키보드 모드를 조작하는 중임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키보드 모드를 조작하는 중에는, 키보드 모드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손 일부의 의도치 않은 접촉에 의해 수행 모드가 마우스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로 구비된 텍스트 입력 장치와 포인팅 장치를 하나의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에 통합함으로써 제품의 단가 및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 조작의 불필요한 동작을 제거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키보드 모드를 조작하는 중임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키보드 모드를 조작하는 중에는, 키보드 모드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손 일부의 의도치 않은 접촉에 의해 수행 모드가 마우스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별도로 구비된 텍스트 입력 장치와 포인팅 장치를 하나의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에 통합함으로써 제품의 단가 및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 조작의 불필요한 동작을 제거함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장치를 키보드 인터페이스와 마우스 인터페이스로 이용할 수 있음에 더해 디지타이저 인터페이스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장치를 이용하면 오디오 볼륨 등과 같은 속성값을 조절 시 포인터를 이용하여 해당 속성을 선택하고, 다시 포인터를 이용하여 선택된 속성에서 속성값을 지시하는 인디케이터의 위치를 조절하는 번거로움 없이 단순한 푸쉬 입력과 터치 입력만으로도 원하는 속성의 값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 디바이스 환경에서 하나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장치를 다수의 기기에 대한 입력 인터페이스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는 포인팅 장치와 텍스트 장치의 모드 전환에 따른 동작 순서의 일례를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3은 포인터 실행명령부 일체형 모드 전환부의 실시례들이다.
도 4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실시례이다.
도 5는 포인터 실행 명령부 일체형 모드 전환부에 대한 실시례이다.
도 6은 휴대용 노트북에 적용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실시례이다.
도 7은 하단 위치형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와 하단 위치형 포인터실행 명령부를 적용한 실시례이다.
도 8은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일렉트로드의 한 실시례이다.
도 10은 복합기능 입력버튼 배치의 한 실시례이다.
도 11은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이한 패턴의 일렉트로드 배치의 한 실시례이다
도 12는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전기적 연결부재의 실시례이다.
도 13은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문자입력을 위한 스위치의 한 실시례이다.
도 14는 텍스트 입력모드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모드의 전환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영구 터치모드 전환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구성도의 일 예이다.
도 17은,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를 구비하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8은,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를 구비하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동작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를 구비하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에 대한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회로기판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에 대한 사용례이다.
도 23은,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를 구비하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에 대한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25는,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를 구비하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동작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에 대한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28은,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를 구비하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다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회로기판에 대한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는,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터치 입력 또는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한 상기 키캡의 승강을 감지하는 스위치; 및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 상기 터치 입력은 무시하고, 상기 푸쉬 입력이 수신된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에 따라 텍스트 신호를 획득하는 키보드 모드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위치에 관련된 포인터 위치정보 신호를 획득하는 마우스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하는 컨트롤러;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마우스 모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하는 모드 전환부; 및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과 상기 모드 전환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사용자 신체 일부와 접촉 시 모드 전환 방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컨트롤러에게 전송하는 터치 감지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드 전환 입력의 수신 시, 상기 모드 전환 방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마우스 모드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되, 상기 모드 전환 방지 신호를 미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마우스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 상기 모드 전환부는 터치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전환 입력은 상기 터치 수신부를 통한 상기 사용자 신체 일부와의 접촉에 따른 정전 용량의 변화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물리적 압력에 의해 상기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모드 전환부는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상기 사용자 신체 일부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물리적 압력을 감지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위치에 대한 상기 물리적 압력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 수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신체 접촉이 수신되고, 상기 터치 감지 영역에서 상기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미수신된 경우에 상기 마우스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터치 감지 영역에서 상기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마우스 모드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모드 전환부 및 상기 터치 감지 영역은 오조작 방지를 위해 제1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또, 상기 모드 전환부는 오조작 방지를 위해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일측을 따라서 배치되는 상기 제1 모드 전환부 및 제2 모드 전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터치 감지 영역은,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과 상기 제1 모드 전환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터치 감지 영역 및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과 상기 제2 모드 전환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감지 터치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모드 전환부에서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제1 터치 감지 영역을 통해 모드 전환 방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마우스 모드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되, 상기 제1 터치 감지 영역을 통해 모드 전환 방지 신호를 미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1 모드 전환부에 대응되는,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1 입력 영역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일렉트로드를 통한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해서 마우스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2 모드 전환부에서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제2 터치 감지 영역을 통해 모드 전환 방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마우스 모드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되, 상기 제2 터치 감지 영역을 통해 모드 전환 방지 신호를 미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2 모드 전환부에 대응되는,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2 입력 영역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일렉트로드를 통한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해서 마우스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모드 전환부는 상기 제2 모드 전환부에 대하여 제1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입력 영역은 상기 제2 입력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입력 영역과 상기 제2 입력 영역은 서로 적어도 일 영역을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피씨, 휴대폰 등 텍스트 혹은 포인팅 위치관련 정보를 수신 가능한 디지탈 기기에 텍스트 정보 혹은 포인팅 위치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상기 디지탈 기기에 송신하기 위한 휴먼 인터페이스에 관련된 것이다.
기존의 텍스트 정보 입력 기기로는 탄성체와 스위치와 연결된 복수개의 물리적 버튼으로 구성된 키보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터치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디지탈 기기에서는 버추얼(virtual) 키보드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버추얼 키보드에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터치하게 되면 사용자의 제스쳐 혹은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터치한 부분에 디스플레이 된 버추얼 키보드 상의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 터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의 움직임을 인식하거나 특정 접촉면에 접촉하였음을 인식하거나 사용자의 신체를 통해 전류의 흐름을 감지하거나 빛 혹은 음파 등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의해 차단되거나 간섭되는 것을 감지하는 등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터치 인터페이스의 일례로 감압식 터치스크린, 정전식 터치스크린, 광학식 터치스크린, 초음파방식 터치스크린이 있다.
그 외 사용자의 접촉이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의 위치정보를 인식하여 포인터의 위치정보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터치 입력 기술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에 대한 예시도이다.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는 텍스트 입력장치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하우징(100)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은 사용자 입력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지니고 있으며 텍스트 입력 정보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디지털 기기에 해당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부, 메모리부, 배터리부, 인코딩부, 송신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는 상용자로부터 텍스트 입력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109)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버튼(109)은 물리적 버튼 혹은 버추얼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버튼은 탄성체와 연결되어 있는 버튼으로 구성되거나 버튼 자체가 탄성이 있어 사용자의 입력을 받으면 위치 이동을 하고 사용자의 압력이 제거되면 원 위치로 복귀하는 특징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물리적 버튼은 전기적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의 압력이 가해져서 버튼이 위치이동을 하여 스위치의 위상이 변동되어 해당 버튼의 텍스트 입력 값이 발생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버튼은 전기적 스위치가 없는 채로 탄성이 있는 구조로 사용자의 압력을 받아 위치 이동을 하고 사용자의 압력이 제거되면 원위치로 돌아오는 구조로 되어 있고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정보는 상기한 터치 입력장치에 의해 사용자의 압력 혹은 제스처가 인식된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텍스트 입력 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버추얼 버튼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텍스트 입력 버튼을 표시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버추얼 버튼은 투명 혹은 반투명 혹은 불투명한 물체에 빛을 투영하여 임의의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버추얼 버튼은 사용자의 눈에 인지는 되지 않고 텍스트별 고유한 위치정보를 가지고 사용자의 압력 혹은 제스처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하는 텍스트 입력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는 텍스트 입력 영역(107)과 적어도 일부를 공통 영역으로 가지는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108a, 108b)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108a, 108b)은 상기 텍스트 입력을 위한 버튼의 표면 혹은 상단부 혹은 하단부에 위치한 영역으로 도 1 에서와 같이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은 적어도 일부를 텍스트 입력 영역과 공통으로 가질 수 있다.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은 상기 텍스트 입력 영역을 포함하거나 텍스트 입력 영역이 포인티 위치 정보 입력 영역을 포함 할 수 있다.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과 텍스트 입력 영역은 적어도 일부가 공통으로 가지고 적어도 일부는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으로 사용되나 텍스트 입력 영역으로는 사용되지 아니하고 적어도 일부는 텍스트 입력 영역으로는 사용되나 포인팅 위치정보 입력 영역으로는 사용되지 아니할 수 있다.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는 텍스트 입력을 위한 혹은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을 위한 혹은 텍스트 입력과 포인팅 위치정보 입력을 위한 버추얼 텍스트 입력영역 혹은 버추얼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장치(105)가 상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 상에 혹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 외부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장치(105)는 적외선 발생기 및 적외선 수신기 혹은 알지비(RGB) 카메라 혹은 초음파 발생기와 초음파 수신기 혹은 적외선 발생기 및 적외선 카메라와 같은 상기 하우징(100) 표면 혹은 하우징(100) 상공에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감지하여 위치정보 및 제스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장치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영역의 확장 혹은 정확도 및 민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손의 텍스트 입력 혹은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108b)을 구성하기 위한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장치(105b)를 가질 수 있다.
혹은 왼손의 텍스트 입력 혹은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108a)을 구성하기 위한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장치(105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오른손을 위한 텍스트 입력 영역 혹은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108b)은 영문식 표준 자판의 제이(J) 버튼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왼손을 위한 텍스트 입력 영역 혹은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108a)은 영문식 표준 자판의 에프(F) 버튼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장치는 영문식 표준 자판의 제이(J)와 에프(F) 버튼의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은 상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가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복수개의 디지털 기기와 연결되어 있을 경우 상기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포인터 위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인터 위치 정보 입력 영역이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와 매칭이 되도록 영역을 분할하거나 디스플레이부를 지시하는 별도의 버튼을 조작하여 해당 디스플레이부에서 포인터 위치 정보를 전송하거나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를 가상의 단일 디스플레이부로 인식하여 가상의 단일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포인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포인터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는 포인팅 입력 영역을 구성하고 사용자로부터 포인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장치에 의해 이동된 포인터가 위치한 버튼 혹은 이미지 혹은 공간 혹은 아이콘 혹은 텍스트 입력 창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포인터 실행 명령부(101, 102)를 가질 수 있다.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한개 혹은 두개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제1 기능과 제2 기능을 담당하며 하우징의 좌편 혹은 우편 혹은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능은 예를 들어 컴퓨터 마우스의 왼쪽 클릭과 같은 기능을 하고 제2 기능은 예를 들어 컴퓨터 마우스의 오른쪽 클릭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한개 혹은 두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상기 하우징의 좌편과 우편에 모두 구성되어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 모두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상술한 터치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 신체 일부의 터치 혹은 빛 차단 혹은 초음파의 간섭 혹은 사용자 신체 일부의 그림자를 인식하는 것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탄성이 있는 물리적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 외에 텍스트 입력 영역 내 위치한 텍스트 버튼의 적어도 한 개의 버튼을 사용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 상의 물리적 혹은 버추얼 텍스트 버튼을 선택하는 것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장치로 버추얼 입력 장치를 사용하고 텍스트 입력 장치로 물리적 버튼을 사용할 경우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에서 버추얼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 상에서 포인터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고 해당 위치에 자리한 물리적 텍스트 버튼을 누름으로써 포인터 실행 명령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 내의 사용자 제1 제스처에 포인터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같은 위치에서 사용자 제2 제스처에 의해 포인터 실행 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사용자 신체의 제1 제스처 혹은 제1 음성, 제1 눈깜박임, 제1 입모양 등에 의해 제1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사용자 신체의 제2 제스처 혹은 제2 음성, 제2 눈깜박임, 제2 입모양 등에 의해 제2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는 상기 텍스트 입력 장치를 통해 텍스트 정보를 입력 받는 텍스트 입력 모드와 상기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장치를 통해 포인팅 위치 정보를 입력 받는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입력 모드와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는 모드 전환부(103)에 의해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부(103)는 상기 하우징 상에 별도로 위치한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부(103)는 텍스트 입력 장치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입력 버튼 혹은 복수개의 텍스트 입력이 동시에 수신되는 것을 감지하여 모드 전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부(103)는 상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디지털 기기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모드 전환을 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부(103)는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102)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나 제1 압력에 1차 반응을 하고 제2 터치나 제2 압력에 2차 반응을 하는 포인터 실행 명령부(102) 상에 사용자 신체의 일부의 접촉과 같은 제1 제스처에 의해 제1 터치나 제1 압력을 감지하여 모드를 전환하고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제2 제스처에 의해 제2 터치나 제2 압력에 반응을 하여 포인터 실행 명령을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부(103)은 임시 모드 전환 모드와 영구 모드 전환 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터치나 제1 압력에 반응하여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로 전환을 하고 제1 터치나 제1 압력이 제거되면 텍스트 입력모드로 돌아오는 것을 임시 전환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혹은 제1 터치나 제1 압력에 반응하여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로 전환을 하고 제1 터치나 제1 압력이 제거되면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로 돌아오는 것을 임시 전환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터치나 제2 압력이나 밀림 스위치에 반응하여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로 전환을 하고 제2 터치나 제2 압력이 제거되어도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를 유지되도록 영구 전환 모드를 구성할 수 있다.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디지털 기기로부터 수신한 제1 제어정보에 의해 임시 모드 전환을 할 수 있다.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디지털 기기로부터 수신한 제2 제어정보에 의해 영구 모드 전환을 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부(103)는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 상에 제1 터치 혹은 제1 압력이 감지되면 텍스트 입력 모드에서 포인터 위치 정보 입력 모드로 임시 모드 전환을 하고 제2 터치 혹은 제2 압력이 감지되면 포인터 실행 명령을 발생하고 제3 터치 혹은 제3 압력이 가해지면 제3 터치 혹은 제3 압력이 제거되어도 포인터 위치 정보 입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영구 전환 모드로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영구 전환 모드 중에도 포인터 실행 명령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하우징의 좌측 혹은 우측 측면에 구성될 수 있다(106a, 106b)
상기 하우징의 좌측 혹은 우측 혹은 좌측과 우측에 구성된 모드 전환부(106a, 106b)는 버추얼 버튼 혹은 물리적 버튼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나 압력을 감지하여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좌측 혹은 우측 혹은 좌측과 우측에 구성된 모드 전환부(106a, 106b)는 하우징 측면을 따라 3센티미터 이상 15 센티미터 미만의 입력 영역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는 외부 혹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디지털 기기로 데이터를 유선 혹은 무선으로 전송하는 전송부(104)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지털 기기는 텍스트 입력을 수신할 수 있거나 포인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포인팅 장치와 텍스트 장치의 모드 전환에 따른 동작 순서의 일례를 설명한 순서도이다.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는 별도의 전원부를 가지거나 유선 혹은 무선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별도로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스위치에 의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가 현재 텍스트 입력 모드 인지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 인지 판단할 수 있다(200).
상기 판단결과 텍스트 입력 모드일 경우 텍스트 입력 장치를 활성화 하고 사용자로부터 텍스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201).
입력된 사용자의 텍스트 입력을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디지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202).
텍스트 입력 모드 중에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로 모드 전환이 일어나게 되면 상기 텍스트 입력 모드를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혹은 텍스트 입력과 동시에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로 모드가 전환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포인팅 위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204).
상기 입력 받은 포인터 위치 정보는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디지털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205).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가 포인터 제1 실행 명령을 수신(206)하게 되면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디지탈 기기로 포인터 제1 실행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207).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가 포인터 제2 실행 명령을 수신(208)하게 되면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디지탈 기기로 포인터 제1 실행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209).
임시 모드 전환이 해제 되거나 영구 모드 전환이 해제되게 되면 상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는 텍스트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의 전원 스위치에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의 전원이 차단되거나 연결된 디지탈 기기가 없거나 연결이 끊겼을 경우 혹은 일정 시간 사용자의 입력이 없을 경우 혹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디지털 기기의 제어에 의해 종료할 수 있다.
도 3은 포인터 실행 명령부 일체형 모드 전환부의 실시례들이다.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위치이동을 하고 압력이 제거되면 원래 위치로 돌아오게 하는 탄성체(403)와 사용자의 압력을 전달받는 버튼(402)과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위치 이동을 하여 접합하게 되면 포인터 실행 명령을 발생하도록 하는 스위치(404, 405)가 있는 버튼형 포인터 실행 명령부에서 버튼의 상단부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텍스트 모드와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401)를 위치한 터치 입력을 사용한 포인터 실행 명령부 일체형 모드 전환부(400)를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위치이동을 하고 압력이 제거되면 원래 위치로 돌아오게 하는 탄성체(403)와 사용자의 압력을 전달받는 버튼(402)과 사용자의 제1 압력에 의해 위치 이동을 하여 접합하게 되면 포인터 실행 명령을 발생하도록 하는 제1 스위치(404, 405)가 있는 버튼형 포인터 실행 명령부에서 사용자 제1 압력보다 작은 사용자 제2 압력에 의해 접합되어 모드 전환 실행 명령을 발생시키는 제2 스위치부(411, 412)로 구성된 압력 구별식 포인터 실행 명령부 일체형 모드 전환부(41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압력 구별식 포인터 실행 명령부 일체형 모드 전환부(410)에서 상기 버튼부(402)를 위치이동하여 탄성체(403)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지 못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버튼이 고정되는 위치를 제2 스위치(411, 412)가 접합되고 제1 스위치(404, 405)는 접합되지 않는 위치로 설정하여 버튼이 고정되면 영구 모드 전환 모드로 동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을 사용한 포인터 실행 명령부 일체형 모드 전환부(400)에서는 버튼부를 슬리이딩하는 등의 위치 이동을 통해 영구 모드 전환 스위치(414)를 동작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고 영구 모드 전환 스위치(414)가 동작된 상태에서 추가로 압력이 가해지면 포인터 실행명령 스위치(404, 405)가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포인터 실행 명령부 일체형 모드 전환부(410)는 터치 패드(421)로 구성되어 터치 패드에 접촉된 사용자 신체의 일부분의 접촉 면적이 제1 소정 범위일 경우 모드 전환부로 작동하고 제2 소정 범위일 경우 포인터 실행 명령부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실시례이다.
본 발명의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모드 시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영역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영역 표시부(701, 702)를 더 포함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드 전환부는 상기 텍스트 입력부의 버튼과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휴먼 인터페이스 몸체의 일부에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터치된 것을 인식하여 상기 텍스트 입력 모드와 상기 포인터 위치 정보 입력 모드로 전환하되 터치시에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모드로 동작하고 비터치시에는 텍스트 입력모드로 동작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모드 전환을 위해 사용되는 신체의 일부가 오른손일 경우(106b)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108a)을 하는 손은 왼손이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영역이 상기 모드 전환부가 위치한 모서리의 맞은편 모서리에 더 가깝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왼손과 오른손을 반대로 사용할 경우도 마찬가지 원리로 설계할 수 있다(106a, 108b).
반면, 상기 모드 전환을 위해 사용되는 신체의 일부가 오른손이며 상기 포인터 위치 정보입력을 하는 손도 오른손일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 때에는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영역이 상기 모드 전환부가 위치한 모서리의 맞은편 모서리보다 상기 모드 전환부가 위치한 모서리에 더 가깝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왼손의 경우도 마찬가지의 원리로 설계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가 인식한 사용자 손가락의 개수에 의해 상기 텍스트 입력모드와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로 판단할 때의 상기 인식된 사용자 손가락의 개수는 상기 텍스트 입력모드로 판단할 때의 상기 인식된 사용자 손가락 개수보다 작다.
예를 들어, 왼손으로 모드 전환부를 제어하는 동안 왼손의 손가락을 텍스트 입력버튼으로부터 비 터치 되어 있고 오른손의 검지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을 위해 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손가락의 개수는 하나가 된다.
반면, 텍스트 입력을 위해 왼손과 오른손의 손가락을 자판위에 터치하게 되면 2개에서 8개 이하의 상기 인식된 사용자의 손가락 개수가 인식되게 된다.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 표시부는 상기 모드 전환부에 의해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로 전환될 때 일시적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로 전환된 시점부터 해제되는 시점까지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영역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 표시부는 가시광선 발생기에 의해 상기 텍스트 입력버튼으로부터 혹은 텍스트 입력버튼에 의한 반사광으로 혹은 상기 텍스트 입력버튼 간의 간격을 통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 표시부는 비가시광선 발생기(701a, 701b)와 상기 비가시광선에 광학적으로 반응하여 가시광선을 발산하는 염료가 도포된 면(702a, 702b)로 구성되고 상기 염료는 상기 텍스트 입력 버튼 혹은 상기 텍스트 입력 버튼 간의 간격에 도포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부는 사용자가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을 왼손으로 하는지 혹은 오른손으로 하는 지를 판단하는 핸드사이드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사이드 판단부에 따라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표시부의 표시 영역을 유동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핸드사이드 판단부에 따라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의 버튼 배치 및 동작을 유동적으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인터 실행 명령부가 마우스 오른클릭과 왼쪽클릭을 포함할 경우 상기 핸드사이드 판단부의 판단에 따라 마우스 오른클릭과 왼쪽클릭을 수행할 버튼을 전환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영역 표시부는 상기 핸드사이드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이한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영역을 표시(702a, 702b)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모드 시 사용자로부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이 일정시간 입력되지 않는 경우 혹은 텍스트 입력 버튼으로 입력이 수신될 경우 자동으로 상기 텍스트 입력모드로 전환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영역 표시부는 상기 모드 전환부의 모드과 무관하게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텍스트 입력버튼 혹은 상기 텍스트 입력영역의 일부에 염료로 도포하여 텍스트 입력 모드 중에도 포인터 입력영역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포인터 실행 명령부 일체형 모드 전환부에 대한 실시례이다.
텍스트 입력모드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의 빈번한 전환이 이루어지는 입력작업을 하다보면 모드 전환 및 포인터 실행명령을 입력하는 횟수가 많아진다.
예를 들어, 오른손 잡이의 경우 텍스트 입력모드에서 텍스트 입력일 하던 중 포인터 위치정보를 입력하고 싶을 때 왼손 혹은 오른손으로 모드 전환을 한 후 포인터 위치정보를 입력한 후 왼손으로 포인터 실명명령부에 입력을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빠른 작업을 하던 중에 사용자는 모니터에 시선을 유지한 채 텍스트 및 포인터 위치정보 및 포인터 실행명령을 입력하게 되는데 모드전환부 및 포인터 실행명령 입력부가 별도로 구비되었을 경우 손의 움직임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정확한 위치를 찾지 못해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하거나 키보드를 눈으로 바라보는 등 작업이 번거로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오른손 잡이의 경우, 텍스트 입력모드에서 텍스트 입력 후 왼손으로 모드전환부에 손을 올려놓게 되면 모드전환명령이 발생하고 포인터 입력모드로 변경된다. 그리고 모드전환부에 손을 올려놓은 상태로 오른손으로 포인터 위치정보를 입력한 후 모드전환부에 압력을 가하면 포인터 실행 명령부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모드전환을 위한 모드전환부 위치와 포인터 실행명령을 위한 포인터 실행명령부의 위치를 공유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한 실시례로, 모드전환부는 사용자 손의 터치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는 터치 스위치로 구성하고 포인터 실행명령부는 텍트 스위치와 같은 압력에 반응하는 스위치로 구성하여 모드전환부의 아래에 위치한다.
이 때 제1 포인터 실행 명령부(1104)와 제2 포인터 실행명령부(1105)는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전도체 물질로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모드전환부(1201)로 공통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제1 포인터 실행 명령부에 터치를 하든 제2 포인터 실행명령부에 터치를 하든 동일하게 모드전환이 이루어지게 구성한다.
이 때, 모드 전환은 터치가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로 동작하고 터치가 해제되었을 경우 텍스트 입력모드로 동작한다.
터치에 의한 모드 전환은 터치 외에 포인터 실행명령을 위한 압력보다 작은 압력으로 동작하는 다른 스위치 혹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모드 전환 및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텍스트 입력 영역과 구별되는 영역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오른손 잡이의 경우, 텍스트 입력영역의 왼쪽 바깥 영역에 위치한다. 텍스트 입력영역 외부에 모드전환 부 및 포인터 실행 명령부를 위치하게 되면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가 포인터 위치 정보 입력과 혼동을 할 가능성이 사라지고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영역을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2 의 모드 전환부(120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의 모드 전환부는 토글스위치와 같이 동작하는 스위치로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수신될 때 마다 텍스트 입력모드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로 전환된다. 이로써 사용자가 왼손을 모드전환부에 터치하고 있지 않더라도 오른손 만으로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이 가능하다.
이 때 제2 의 모드 전환부에 의해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가 텍스트 모드일 경우 터치에 의한 모드 전환명령이 수신되었을 경우 본 발명의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로 동작한다. 또한, 제2 의 모드전환부에 의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일 경우에 터치에 의한 모드 전환명령이 수신되었을 경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를 유지하나 터치에 의한 모드전환명령이 해제되거나 텍스트 입력부로 텍스트 입력이 수신되면 텍스트 입력모드로 전환된다.
이 때, 텍스트 입력에 의해 텍스트 입력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적어도 첫 번 째 텍스트 입력은 무시하고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텍스트 입력이 수신되었을 경우 텍스트 입력모드로 전환한다.
이 때,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텍스트 입력이 수신되어 텍스트 입력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무시한 적어도 첫 번 째 텍스트를 포함한 텍스트 입력을 디지털 기기로 전송 후 새로이 입력되는 텍스트 입력정보를 디지탈 기기로 전송한다.
도 6은 휴대용 노트북에 적용된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실시례이다.
본 발명의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1420)는 휴대용 노트북의 입력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노트북은 디스플레이 패널(1411)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1410)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유닛이 본 발명의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와 힌지(1427)에 의해 결속되어 덮히고 열리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본 발명의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반사판 혹은 흡수판(1424)에 의해 형성된 벽 안쪽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한 휴대용 노트북의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휴대용 노트북의 디스플레이 유닛은 본 발명의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1420)의 폭보다 적어도 반사판 혹은 흡수판(1423, 1424)의 두께의 두 배만큼 폭의 길이를 작게 설계해야 한다.
다시말해 도 11에서 다용도 커버가 들어가는 자리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들어갈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양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 혹은 사선으로 커팅이 되도록 하는 특징(1413)이 있다.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장치(1421, 1422)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접었을 경우 상기 라운드 처리 혹은 사선으로 커팅된 부분의 바깥 모서리 쪽으로 위치하도록 특징이 있다.
이는 휴대용 노트북을 접었을 경우 포인터 위치 정보 입력장치(1421, 1422)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얇을 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접히기 위해서이다.
이 때 모드 전환부와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측면 바깥 쪽에 위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더 바람직하게는 텍스트 입력영역의 바깥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1425, 1426)
이 때, 모드 전환부와 포인터 실행 명령부는 도 10에서와 같이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도로 분리하여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모드 전환부 혹은 포인터 실행 명령부가 텍스트 입력영역의 바깥 아래쪽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가 모드 전화부 혹은 포인터 실행 명령부를 제어하기 위해 손가락을 위치하였을 경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1421, 1422)가 사용자가 포인터의 위치정보를 입력하는 것으로 오동작하지 않도록 포인터 위치 정보 입력영역을 상기 모드 전환부 혹은 포인터 실행명령부가 위치한 영역을 제외하고 설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광학 신호가 커버하는 영역을 조절하여 상기 모드 전환부 혹은 포인터 실행 명령부에 광학 신호가 도달하지 못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혹은 상기 모드 전환부 혹은 포인터 실행 명령부에 위치한 사용자의 손가락과 광학 신호 간의 반사 혹은 간섭 혹은 차단에 의해 발생되는 광학신호를 카메라가 수신하지 못하도록 카메라의 광학신호 수신 각도를 조절하거나 해당 방향에서 수신되는 광학 신호를 무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노트북은 상기 포인터 위치 정보 입력장치에서 발생되는 광원을 흡수 혹은 반사하기 위한 흡수판 혹은 반사판을 적어도 세 모서리 부분에 갖도록 설계한다.
이 때 두 면은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측면에 위치하고(1423, 1424) 또 한 면은 디스플레이 유닛이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와 맞닿은 면에 디스플에이 유닛이 일정한 각도 내에서 열려 있을 경우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1421, 1422)에 의해 발생되는 광원이 충분히 반사 혹은 흡수되도록 반사체 혹은 흡수체를 일정한 영역(1412)에 위치한다.
도 7은 하단위치형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와 하단위치형 포인터 실행 명령부를 적용한 실시례이다.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는 복수개의 물리적 버튼으로 구성된 텍스트 입력부(1501), 포인터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 포인터가 위치한 곳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포인터 실행 명령부(1505, 1506)의 신호를 수신하는 포인터 실행 명령 수신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모드 전환 명령 수신부,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로 입력된 포인터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디지탈 기기로 송신하는 포인터 위치정보 송신부,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의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영역은 상기 복수개의 물리적 버튼으로 구성된 텍스트 입력부의 텍스트 입력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의 상단에 평행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는 상기 텍스트 입력부를 감싸는 제1 내지 3 면(1502a, 1502b, 1502c)에 상기 텍스트 입력부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된 광학신호 반사체 혹은 흡수체(1503a, 1503b, 1503c)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텍스트 입력부를 감싸는 제4 면(1502d)은 상기 제1 내지 3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4 면은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부(1505, 15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은 각각 상기 텍스트 입력부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텍스트 입력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4 면은 상기 텍스트 입력부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 위치 정보 입력부는 적어도 두 개의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센서 모듈은 각각 상기 텍스트 입력부의 좌측하단과 우측하단 모서리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부는 제1 버튼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1 입력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포인터 실행 명령 수신부는 상기 제1 버튼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2 입력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1 버튼은 손가락터치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입력은 상기 전기적신호를 인식하여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력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입력이 해제되면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제1 입력은 물리적 압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부는 제2 버튼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2 입력에 의해 동작될 수 있고 상기 제2 입력이 1회 입력되면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가 해제되어 있을 경우 활성화하고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가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해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1421, 1422)에 의해 발생되는 광원 및 이미지 수신장치는 키보드의 중앙부를 향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키보드가 소형이거나 더 넓은 영역의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측면에 위치한 상기 흡수판 혹은 반사판 (1423, 1424)을 흡수판이 아닌 반사판을 사용하고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1421, 1422)의 광원 및 이미지 수신장치를 상기 반사판(1423, 1424)쪽을 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즉,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1421)은 상기 반사판(1423)에 의해 반사되어 수신된 포인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1422)는 상기 반사판(1424)에 의해 반사되어 수신된 포인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1423, 1424)의 설치 위치를 실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좌, 우측 바깥부분에 위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더욱 넓은 마우스 포인터 위치 정보 입력 영역을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반사판의 각도를 1도 내지 15도로 일정각 벌어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즉, 반사판(1423, 1424)의 상단보다 하단이 더 벌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장치(1423, 1424)의 설치 위치를 실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좌, 우측 바깥부분으로 위치한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키보드의 하단부에 위치한 포인터 실행명령 입력장치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일정 거리 상단으로 이동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복합 휴먼인터페이스 기기는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로부터 발생된 광원을 반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는 적어도 두 개가 상기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반사부는 상기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의 좌축과 우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좌측의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는 상기 좌측의 반사부를 향하여 설치되어 상기 좌측의 반사부를 통해 입력되는 광원을 수신하고, 상기 우측의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는 상기 우측의 반사부를 향하여 설치되어 상기 우측의 반사부를 통해 입력되는 광원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좌측과 우측의 반사부는 평행하지 않아 상기 좌측과 우측의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가 위치한 부분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영역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으로 나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오른손으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신호는 제1 영역으로부터 수신되고, 왼손으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신호는 제2 영역으로부터 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멀티터치제어는 복수의 터치 입력신호를 수신 후 상기 복수의 터치 입력신호의 추후 이동 양상에 따라 제어명령을 판단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영역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신호는 터치 입력의 개수를 파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영역으로부터 수신되는 제2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신호는 터치 입력의 이동신호를 수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왼손으로 두 손가락 터치를 입력 유지한 채 오른손 한 손가락으로 상하 슬라이딩 터치 입력을 입력하였을 경우, 본 신호를 일반적인 멀티터치 기능의 두 개의 터치 신호로 상하로 터치 입력을 하는 경우로 대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애플사의 맥북에서 두개의 터치로 상하로 슬라이딩 터치 입력을 수행할 경우 인터넷 브라우저의 상하 스크롤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를 들 수 있다. 이때 오른손 한 손가락으로 탭을 하였을 경우, 왼손의 터치 입력이 두 개 이므로, 두개의 손가락으로 탭하였을 경우와 동일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왼손으로 세개의 터치 입력을 유지한 채 오른손으로 좌 우 슬라이딩 터치 입력을 입력하였을 경우, 본 신호를 일반적인 멀티터치 기능의 세 개의 터치 신호로 좌우로 슬라이딩 터치 입력을 하는 경우로 대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애플사의 맥북에서 세 개의 터치로 좌우로 슬라이딩 터치 입력을 수행할 경우 전체화면 앱 쓸어넘기기 혹은 세 손가락으로 드래그 하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를 들 수 있다. 이 때, 오른손 한 손가락으로 탭하였을 경우 왼손이 세 개의 터치 입력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세 손가락으로 탭하였을 경우와 동일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왼손과 오른손의 예는 오른손과 왼손의 예로 대치될 수 있으며, 터치의 개수를 결정하는 입력 신호의 개수는 상술한 두 개와 세 개에 국한되지 않고, 하나 혹은 넷, 다섯개의 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부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포인터 위치과 관련된 정보는 포인터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1 포인터 위치와 관련된 정보와 상기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를 텍스트 입력모드에서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2 포인터 위치와 관련된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 입력모드 중에 기 설정된 스레스홀드 이상의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신호가 발생될 경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구성도이다.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키보드와 같은 휴먼 인터페이스에서 적어도 한개의 문자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부(303)와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하거나 화면에 사용자의 터치나 3D 제스쳐 입력을 위한 포인팅 위치정보 입력을 위한 정전용량식과 같은 물리적 터치패드(311)가 함께 구성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310)를 구성하기 위한 하나의 버튼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포인팅 위치정보 입력부로 정전식 터치 방식을 사용하여 설명할 뿐 상기 광학식 방식으로 포인팅 위치정보 입력부를 사용하여 설명한 복합휴먼 인터페이스 장치의 모드 전환부, 포인터 실행명령 입력부, 특수기능키, 모드전환부 및 포인터 실행명령부의 위치, 내부 혹은 디스플레이부와의 연결, 커버부를 활용한 배터리 내장 방법 및 휴먼인터페이스 기기 각도 조절 기능, 텍스트 문자 입력영역과 마우스 포인팅 위치정보 입력 영역등의 내용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10)은 복수개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커버부(1010), 전기장을 형성하기 위한 트랜스미터와 리시버를 포함한 일렉트로드부(1020), 상기 일렉트로부를 보호하고 탄성부와의 연결성 확보를 위한 베이스부(10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탄성체(1050), 상부지지부(1040), 하부지지부(106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부, 하부지지부는 원통형이나 각이 있는 다각형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지지부와 상기 하부지지부는 탄성체를 매개로 위치이동을 하고 하부지지부는 상부지지부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부는 상기 커버부, 일렉트로드부, 베이스부와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부는 상기 상부지지부가 왕복운동을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부, 하부지지부는 팬토그래프 구조로 일렉트로부를 포함한 상부 구조물과 탄성부를 포함한 하부 구조물을 연결하며, 상부 구조물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복원력이 있는 돔 형상을 지닌 탄성재질이거나, 복원력을 지난 판형상의 탄성재질이거나, 스프링 형상을 지닌 탄성재질이거나,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하고 있는 복수개의 자석일 수 있으며, 혹은 이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커버부로부터 제2 압력을 전달받아 제3 높이로 이동하고, 상기 커버부의 제2 압력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제1 높이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제3 높이로 이동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위치가 이동한 것이거나, 압력에 의해 물체가 휘거나 소프트웨어 등으로 인해 제2 압력을 감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 압력이 감지되었을 경우, 포인터 실행명령을 발생하고, 제2 압력이 감지되었을 경우 추가적인 포인터 실행명령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압력에 의해 포인터가 위치한 곳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나타내고 제2 압력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추가 옵션이나 미리보기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스위치를 통해 발생된 상기 미리 정해진 문자의 입력을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는 서로 다른 문자의 입력을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이고, 상기 제1 내지 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일렉트로드부를 통해 수신된 신로로부터 판별된 상기 사용자 손가락 접촉위치 혹은 접촉위치의 변화는 하나의 포인터의 위치를 연결성 있게 제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는 문자입력모드와 포인팅 위치정보 입력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전환부는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 별도의 물리적 스위치부, 터치 스위치부, 혹은 기정의된 터치 패턴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는 하나의 문자 입력이 가능한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복수의 조합으로 구성된 문자입력기기와 상기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일렉트로드 상에서 하나의 포인팅 입력장치를 연속성 있게 제어하기 위한 포인팅 위치정보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과 별개로 상기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는 모드전환부와 포인터 실행명령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드전환부와 포인터 실행명령부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일렉트로드와 스위치로 구성된 하나의 버튼으로써 터치에 의해 모드 전환을 한 후 손가락을 이동하거나 뗄 필요없이 압력신호로 포인터 실행명령을 발생할 수 있다.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발광부(10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문자입력을 표시하는 문자를 밝히거나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 자체의 위치를 밝힐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일렉트로드를 포함한 상부구조물 상에 위치하거나, 탄성체를 포함한 하부 구조물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구조물은 일렉트로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이동하는 부분으로 커버부, 일렉트로부, 베이스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구조물은 상기 상부구조물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일렉트로드부로부로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구조물을 포함한 사용자의 압력이 가해졌을 경우 이동이 발생하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도 9는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일렉트로드의 한 실시례이다.
정전식 터치 방식의 일렉트로드부는 복수의 트렌스미터와 리시버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정전식 터치 방식의 경우 일렉트로부는 5내지 30열의 트랜스미터부가 5 내지 30행의 리시버부와 격자 모양으로 구성되어 일정 크기의 사각면을 구성한다.
본 실시례에서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일반적으로 10내지 20 밀리미터의 폭을 가진 하나의 문자입력버튼 크기를 지닌 일렉트로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렉트로드부는 독립적으로 작은 터치패드를 구성하여 포인팅 위치정보 입력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인접한 복수개의 복합기능 입력버튼과 함께 더 넓은 영역에서 연결성 있는 포인팅 위치정보 입력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일렉트로드부는 한 개 내지 세 개의 트랜스미터와 리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하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일렉트로드부는 서로다른 드라이브 신호 주기를 가진 세 줄의 트렌스미터와 서로 다른 스캔주기를 가진 두 줄의 리시버로 구성된 복합기능 입력버튼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주기라 함은 신호가 발생하는 타이밍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버튼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트랜스미터와 리시버의 개수와 모양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변형이 가능한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드라이브 주기를 가진 제1 트랜스미터(1101, 1102, 1103)와 제2 드라이브 주기를 가진 제2 트랜스미터(1104, 1105, 1106), 제3 드라이브 주기를 가진 제3 트랜스미터(1107, 1108, 1109)를 가질 수 있다.
제1 스캔주기를 가진 제1 리시버(1110, 1111), 제2 스캔주기를 가진 제2 리시버(1112, 1113)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트랜스미터는 회로기판에 단락되거나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 하나로 이어져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리시버는 서로 단락이 된 상태로 회로기판에 인쇄되어 별도의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있거나 독립적으로 동일 스캔주기에 정전용량 등 전기적 신호를 스캔당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의 일렉트로드부는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 상에 구성된 복수개의 일렉트로드부가 마치 하나의 큰 면적의 일렉트로드부처럼 인식이 되면서 하나하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이 상하운동을 하도록 하기 위해 일렉트로드 부분에 특별한 설계가 필요하다.
예를들어, 상기 제2 트랜스미터의 넓이는 상기 제1, 3 트랜스미터의 넓이를 합친 것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3 트랜스미터의 넓이를 합친 넓이는 상기 제1, 2 리시버의 넓이를 합친 것보다 좁을 수 있다.
일반적인 정전용량식 터치패드의 경우 하나의 스캔주기를 갖는 리시버는 상호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본 실시례에서 하나의 스캔주기를 갖는 제1 리시버는 적어도 두 개의 리시버 블록(1110, 1111)으로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리시버 블록은 서로 단락이 되어 있는 상태로 외부로 스캔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스캔신호는 각각의 리시버 블록으로부터 수신한 정전용량 신호를 합산하여 신호처리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트랜스미터를 가로로, 리시버를 세로로 예를 들었으나 동일한 구조 상에서 리시버를 가로로, 트랜스미터를 세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미터와 리시버는 절연체(1114, 1115)에 이해 전기적으로 단락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일렉트로드부는 밑으로 적층되거나 밑으로 연결되는 외부 드라이브 신호와 스캔신호를 송출 및 수신하는 브릿지(11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는 상기 일렉트로드부에 드라이스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리시버로부터 정전용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복합기능 입력버튼 배치의 한 실시례이다.
본 실시례에서 복수개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으로 구성된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는 적어도 다섯 개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제1 복합기능 입력버튼(12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제2 복합기능 입력버튼(1220), 제3 복합기능 입력버튼(1230)이 위치하고 상기 제2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은 상기 제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으로부터 좌측과 우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X축 선상에 배열되고, 상기 제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은 상기 제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X축 선상에 배열될 수 있다.
제4 복합기능 입력버튼(1240), 제5 복합기능 입력버튼(12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은 상기 제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Y축으로부터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Y축으로부터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은 상기 제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Y축으로부터 우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Y축으로부터 좌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4, 제5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상기 제1 복합기능 입력버튼과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이 상기 제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Y축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된 거리는 상기 제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이 상기 제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Y축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된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경우 상기 Y 축으로부터 우측으로 상기 제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폭의 길이의 40 내지 60 퍼센트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경우 상기 Y 축으로부터 좌측으로 상기 제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폭의 길이의 15 내지 35 퍼센트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1 트랜스미터는 상기 제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3 트랜스미터와 동일한 드라이브 신호 주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2 리시버는 상기 제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1 리시버와 동일한 스캔주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1 리시버와 상기 제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2 리시버는 서로다른 스캔주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2 리시버와 상기 제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2 리시버는 상기 가상의 Y축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하지 않고 상기 제1 복합기능 입력버튼 너비 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위치한 채 상기 제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2 리시버와 상기 제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2 리시버는 동일한 스캔주기를 가질 수 있다.
이로인한 포인팅 위치정보 신호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에 의해 보정하는 단계를 더 필요로 할 수 있다.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는 제6 복합기능 입력버튼(15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6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은 상기 제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중심점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Y축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도 11은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이한 패턴의 일렉트로드 배치의 한 실시례이다.
상기 제1 복합버튼 입력버튼과 상기 제4 복합버튼 입력버튼이 가상의 Y축 상에서 일렬로 배열되어 있지 않고 제1 거리만큼 좌측으로 이동되어 위치해 있을 수 있다.
이로인해 상기 제1 복합버튼 입력버튼과 상기 제4 복합버튼 입력버튼의 상기 리시버의 신호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거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4 복합버튼 입력버튼의 패턴을 변형하여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9에서 도시된 일렉트로드의 좌측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만큼의 일렉트로드의 패턴이 상기 일렉트로드의 상기 우측으로 이동된 제2 일렉트로드 형상(13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일렉트로드 형상은 상기 제1 복합기능 입력버튼과 상기 제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리시버의를 가상의 Y축으로 정렬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우측으로 상기 제2 일렉트로드 형상으로 구성된 제7 복합기능 입력버튼(1360)이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4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가장 우측에 위치한 리시버(1351)의 스캔주기는 상기 제7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가장 좌측에 위치한 리시버(1361)의 스캔주기와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제1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2 리시버(1112, 1113) 역시 동일한 스캔주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전기적 연결부재의 실시례이다.
제1, 2 및 제3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트랜스미터는 제1 전기적 연결부재로 서로 연결되어있고 상기 제1, 4 및 제5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리시버는 제2 전기적 연결부재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제1 실시례로, 상기 연결부재는 실제로 복합기능 입력버튼에 압력이 가해서 제1 높이에서 제2 높이로 이동하는 동안 일렉트로부에 접촉 혹은 접합되어 함께 움직이는 제1 도전체,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움직이지 않는 파트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도전체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제2 도전체, 인근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상기 제2 도전체와 연결하는 베이스 피씨비(PC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피씨비는 제어부로부터 드라이브 신호나 스캔신호를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트랜스미터나 리시버에 동시에 송수신 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는 상호 슬라이딩 방식으로 맞닿아 연결을 유지한 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는 복합기능 입력버튼에 압력이 주어지지 않거나 기 정해진 스레스홀드 이하로 압력이 가해졌을 경우 접촉을 유지하고, 기정해진 스레스홀드 이상으로 압력이 가해졌을 경우 접촉을 유지하고 단락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체와 제2 도전체는 비접촉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1450). 상기 제1 도전체와 제2 도전체는 기 정해진 면적을 갖는 도전판 형식으로 구비되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맞닿아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일정한 간격은 공기나, 플라스틱, 실리콘, 유리, 사기 등 유전률이 있는 비전도체(1443)로 채울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신호는 주파수를 가진 라디오 신호의 형식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제1 도전체와 제2 도전체의 마찰에 의해 도전체가 마모되거나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고, 복합기능 입력버튼에 가해지는 압력을 방해하는 마찰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이 단순화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1 내지 2 전기적 연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플랙서블 필름 위에 일렉트로드부와 함께 전도체로 인쇄된 것이거나, 상기 일렉트로드부와 밀착 혹은 접합된 상기 탄성부에 구비된 전기적 연결 부재일 수 있다.
도 13은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문자입력을 위한 스위치의 한 실시례이다.
복합기능 입력버튼에 압력이 가해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경우 미리 정해진 문자의 입력을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1511, 1512, 1513)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 PCB 혹은 별도로 구비된 멤브레인에 위치한 스위치(1512, 1523)를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의 이동부 상에 위치한 단자(1511)에 의해 스위치가 연결이 되면 미리 정해진 문자의 입력을 나타내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별도의 누름 스위치나 자기나 전계의 변화량, 빛의 세기, 소리 등을 감지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4는 텍스트 입력모드와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 모드의 전환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는 오른손 잡이 모드와 왼손 잡이 모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른손 잡이 모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사용자의 오른손으로부터 입력 받기 용이하도록 터치 영역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왼손 잡이 모드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사용자의 왼손으로부터 입력받기 용이하도록 터치 영역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오른손 잡이 모드와 상기 왼손잡이 모드는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가 구비된 전자기기 상에 별도의 스위치, 적어도 두 개의 동시 텍스트 입력, 기 정의된 터치 패턴, 텍스트 입력과 터치 입력의 조합, 모드 전환부를 통한 입력 등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제1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과 상기 제2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은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동작이 되고, 상기 제1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과 상기 제2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과 상기 제2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었을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를 임시 터치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임시 터치 모드는 상기 제1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 혹은 상기 제2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에 상기 사용자의 터치가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임시 터치 모드를 해제하고 텍스트 입력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1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은 상기 제2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왼손 엄지와 인접하고 상기 제2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은 사용자의 오른손 엄지와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에 구비된 터치 센서를 통해 상기 임시 터치모드로 전환될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전자기기는 오른손 잡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오른손 잡이 모드의 경우 포인터 위치정보 수신을 위한 오른손 터치 영역(108b)을 오른손으로 터치 입력이 용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오른손 터치 영역(108b)는 사용자의 왼손이 텍스트 입력을 위해 손가락을 올려놓는 영역을 제외하고 설정할 수 있다.
한 예로, 일반적인 키보드 형태의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의 경우 텍스트 F 키를 포함한 Y 축의 왼 쪽을 터치 비활성 영역으로 설정하고 텍스트 G 키를 포함한 Y 축의 오른 쪽을 터치 활성화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에 구비된 터치 센서를 통해 상기 임시 터치모드로 전환될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전자기기는 왼손 잡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왼손 잡이 모드의 경우 포인터 위치정보 수신을 위한 왼손 터치 영역(108a)을 왼손으로 터치 입력이 용이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왼손 터치 영역(108a)는 사용자의 오른손이 텍스트 입력을 위해 손가락을 올려놓는 영역을 제외하고 설정할 수 있다.
한 예로, 일반적인 키보드 형태의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의 경우 텍스트 J 키를 포함한 Y 축의 오른 쪽을 터치 비활성 영역으로 설정하고 텍스트 H 키를 포함한 Y 축의 왼 쪽을 터치 활성화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전자기기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에서 왼손 혹은 오른손 모드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임시 터치 모드는 US 인터네셔널 키보드 배열에 있어서 문자 Q, W, E, R 의 텍스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 중 적어도 두 개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상기 오른손 터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터치 입력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오른손 터치 모드를 해제하고 텍스트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임시 터치 모드는 문자 US 인터네셔널 키보드 배열에 있어서 Z, X, C, V 의 텍스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 중 적어도 두 개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상기 오른손 터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터치 입력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오른손 터치 모드를 해제하고 텍스트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임시 터치 모드는 US 인터네셔널 키보드 배열에 있어서 문자 U, I, O, P 의 텍스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 중 적어도 두 개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상기 왼손 터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터치 입력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왼손 터치 모드를 해제하고 텍스트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임시 터치 모드는 US 인터네셔널 키보드 배열에 있어서 문자 M, <, >, ? 텍스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 중 적어도 두 개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동시에 발생할 경우 상기 왼손 터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사용자 터치 입력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왼손 터치 모드를 해제하고 텍스트 입력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개의 터치 입력이 동시에 발생한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은 상기 터치 입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압력신호가 더 수신될 경우 상기 임시 터치모드를 실행 중 제어되는 포인터의 제1 포인터 실행 명령 입력 혹은 제2 포인터 실행명령 입력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임시 터치 모드가 활성화 되었을 경우, 상기 텍스트 입력모드는 비활성화 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입력모드가 비활성 될 경우, 적어도 한 개의 텍스트 입력은 가능하도록 예외를 가질 수 있다.
도 15는 영구 터치모드 전환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상기 제1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과 상기 제2 포인터 실행명령 버튼이 동시에 기 설정된 시간동안 눌려질 경우,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영구 터치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에 별도의 스위치, 적어도 두 개의 동시 텍스트 입력, 기 정의된 터치 패턴, 텍스트 입력과 터치 입력의 조합, 모드 전환부의 동작 등에 의해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영구 터치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영구 터치 모드는 상기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을 위해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유지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의 포인터 위치정보 입력을 받을 수 있는 모드이다,
한 예로, 임시 터치 모드에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텍스트 입력 모드로 설정되어 있고 별도의 사용자의 입력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 임시 터치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별도의 사용자의 입력이 해제되었을 경우 상기 임시 터치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텍스트 입력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반면, 영구 터치 모드에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영구 터치 모드로 설정되어 있고 텍스트 입력모드가 비활성화 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영구 터치 모드는 기 정의된 조건에서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영구 터치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기 정의된 시간만큼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없을 경우 상기 영구 터치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영구 터치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기 정의된 터치 패턴, 혹은 기 정의된 버튼의 입력, 혹은 상기 비활성이 예외된 텍스트 입력버튼의 입력, 혹은 반복적인 텍스트 입력, 혹은 복수의 텍스트 입력이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상기 영구 터치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영구 터치모드는 상기 오른손 터치 모드시의 터치 영역과 상기 왼손 터치 모드 시의 터치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른손 터치 모드시의 터치 영역과 상기 왼손 터치 모드 시의 터치 영역보다 넓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른손 터치 모드시의 터치 영역과 상기 왼손 터치 모드 시의 터치 영역을 합친 영역일 수 있다.
도 1 내지 15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 기기가 구비된 전자 장치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의 일례를 설명한 것이고 텍스트 입력 장치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장치의 유형 및 사용되는 기술은 당업자에 의해 기본 목적을 달리하지 않은 채 변경 내지 대치가 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도 16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구성도의 일 예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사용자로부터 푸쉬 입력 또는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버튼(3100), 푸쉬 입력에 따른 버튼(3100)의 하강에 따라 키값을 획득하는 스위치(3200), 버튼(3100)에 포함된 일렉트로드(3130)의 터치 입력에 따른 정전 용량 변화에 획득하는 서킷(3400)을 형성하는 전기 연결 부재(3300) 및 정전 용량 변화에 기초한 터치 좌표값의 산출을 비롯한 각종 정보와 전기 신호의 처리를 수행하는 콘트롤러(3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푸쉬 입력이란, 버튼(3100)에 물리적 압력을 가하는 사용자 입력으로, 버튼(3100)이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하강을 유도하여 버튼(3100)이 스위치(3200)에 닿거나 스위치(3200)를 눌러 스위치(3200)가 해당 스위치(3200)에 할당된 키값을 출력하도록 하는 사용자 입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푸쉬 입력은 주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키보드 인터페이스로 활용될 때 텍스트 입력을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 여기서, 터치 입력이란, 버튼(3100)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으로, 버튼(3100)에 내장된 일렉트로드(3130)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유도하는 사용자 입력을 의미한다. 이때 정전 용량의 변화가 미리 정해진 터치 문턱값 이상인 경우를 터치 입력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터치 입력은 주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가 마우스 인터페이스나 디지타이저 인터페이스로 활용될 때 포인터(P)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으로 이용될 수 있다.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는 전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키보드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와 키보드가 결합된 노트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에는 미리 정해진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3100)이 포함될 수 있다.
버튼(3100)은 키캡(3110), 버튼 보디(3120) 및 일렉트로드(31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키캡(3110)과 버튼 보디(3120)는 각각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고, 일렉트로드(3130)는 키캡(3110)과 버튼 보디(31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즉, 버튼(3100)은 키캡(3110), 일렉트로드(3130), 버튼 보디(3120)이 차례로 적층 결합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키캡(3110)은 버튼(3100)의 상면, 즉 키보드 레이아웃 상의 노출면 배치된다. 키캡(3110)은 사용자의 손가락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키캡(3110)을 눌러 타이핑를 위한 푸쉬 입력을 수행하거나 키캡(3110)을 만져 포인터 조작(예를 들어, 마우스 커서의 이동 등)을 위한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키캡(3110)에는 타이핑의 편의를 위하여 해당 버튼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 등이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버튼 보디(3120)는 키캡(3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버튼 보디(3120)는 키캡(3110)을 통해 상하 방향의 푸쉬 입력이 입력되면 상하 방향으로 이동, 즉 승강할 수 있다. 버튼 보디(3120)가 하강하면 스위치(3200)를 물리적으로 누르거나 스위치(3200)에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이러한 동작에 의해 스위치(3200)는 버튼(3100)에 할당된 키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일렉트로드(3130)는 키캡(3110)과 버튼 보디(3120) 사이에 개재된다. 일렉트로드(3130)는 키캡(3100)에 터치 입력에 입력되면 그 정전 용량이 변화하며, 이에 따라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일렉트로드(3130)는 복수의 블록(3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블록(3130') 중 일부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제1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블록 그룹(3131)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블록(3130')의 나머지 일부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중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한 방향인 제2 방향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블록 그룹(3132)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블록 그룹(3131)과 제2 블록 그룹(3132)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블록 그룹(3131, 3132)을 형성하는 블록들(3130')이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 이외에도 전선이나 전도체 등의 전기적 연결 수단을 통해 물리적으로는 간접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서, 일렉트로드(3130)는 일렉트로드부(1130)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블록들(1101, 1102, 1103, 1104, 1105, 1106, 1107, 1108, 1109, 1110, 1111, 1112, 11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여기서, 몇몇 블록들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블록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키캡(3110)은 상술한 커버부에, 버튼 보디(3120)는 상술한 베이스부 또는 상부 지지부에, 일렉트로드(3130)는 상술한 일렉트로드부에 해당할 수 있다.
스위치(3200)는 버튼(3100)의 하부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스위치(3200)는 버튼(3100)이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는 버튼 레이어의 하부에 위치하는 기판 상에 복수 개가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복수의 버튼(3100) 각각에 대응하도록 버튼(3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3200)는 사용자의 상하 방향 푸쉬 입력에 따라 버튼(3100)이 하강하면, 버튼(3100)과 접촉하거나 버튼(3100)에 의해 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3200)는 대응하는 버튼(3100)에 해당하는 키값을 획득 또는 출력할 수 있다.
전기 연결 부재(3300)는 복수의 버튼(3100) 사이에서 블록 그룹들(3131, 3132)을 연결하여 서킷(340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연결 부재(3300)는 상부 지지부(1040)에 부착되는 제1 전도체(1080, 1441)와 하부 지지부(1050, 1060)에 부착되는 제2 전도체(1090, 1442)와 같은 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대표적인 전기 연결 부재(3300)의 양태로는 FPCB 상에 프린팅 되는 패턴을 통해 구현되는 형태나 스위치(3200)가 설치되는 기판과 승강하는 버튼(3100)에 각각 설치되는 도전체 형태를 들 수 있다.
전기 연결 부재(3300)는 단일의 버튼(3100)에 속하는 일렉트로드(3130)의 블록들(3130') 중 일렉트로드(3130)의 면 상에서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되지 못하는 블록들(313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성립시킬 수 있다.
또 전기 연결 부재(3300)는 인접하는 버튼(3100) 간에서 각 버튼(3100)의 일렉트로드(3130)에 형성된 블록 그룹(3131, 3132)을 연결하는 형태로 다수의 버튼(3100)에 대해 연속적으로 블록 그룹(3131, 3132)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연결 부재(3300)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제1 방향 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3100)에 속하는 일렉트로드(3130)의 제1 블록 그룹(3131)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드라이브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기 연결 부재(3300)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제2 방향 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버튼(3100)에 속하는 일렉트로드(3130)의 제2 블록 그룹(3132)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스캔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드라이브 라인 상에 배열되는 제1 블록 그룹(3131)은 상술한 트랜스미터에 해당할 수 있으며, 스캔 라인 상에 배열되는 제2 블록 그룹(3132)은 상술한 리시버에 해당할 수 있다.
드라이브 라인에는 드라이브 신호가 인가되며, 드라이브 신호는 전기 연결 부재(3300)에 의해 드라이브 라인 상에 위치하는 제1 블록 그룹들(3131)에 인가되어 일렉트로드(3130)에 정전 용량을 유도할 수 있다. 또 스캔 라인에서는 드라이브 신호에 의해 일렉트로드(3130)에 유도된 정전 용량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변화하는 것을 반영하는 스캔 신호가 처리될 수 있다. 스캔 신호는 전기 연결 부재(3300)에 의해 스캔 라인 상에 위치하는 제2 블록 그룹들(3132)에서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신호일 수 있다.
콘트롤러(3500)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CPU나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콘트롤러(35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 콘트롤러(3500)는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하드웨어적인 콘트롤러(3500)에 의해 처리되는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 펌웨어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콘트롤러(3500)는 전자 신호의 처리나 정보의 처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트롤러(3500)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처리하거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트롤러(3500)는 스캔 라인으로부터 스캔 신호를 획득하고, 스캔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콘트롤러(3500)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모드 전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외에도 콘트롤러(3500)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각종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 수행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3000)의 기능이나 동작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콘트롤러(350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는 상술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의 기술적 사상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상술한 기술적 사상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의 특징에 따라서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충분히 예견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형되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의 고유한 기술적 특징과 이상에서 상술한 기술적 사상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는 이하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을 따라 동작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7을 참조하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는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어 사용자로부터 푸쉬 입력 및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 사용자로부터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하여 마우스 모드 및 키보드 모드를 포함하는 수행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4400), 사용자가 모드 전환을 위하여 모드 전환부를 조작하였는지 또는 의도치 않게 실수 등 다른 이유로 모드 전환부를 조작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 및 수행 모드에 따라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 컨트롤러(49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은, 미리 정해진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은 상술한 내용에 부합하는 복합기능 입력버튼일 수 있다.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은 사용자의 푸쉬 입력 및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컨트롤러(49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은 키캡(4220), 버튼 보디(4260) 및 일렉트로드(4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키캡(4220)과 버튼 보디(4260)는 각각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고, 일렉트로드(4240)는 키캡(4220)과 버튼 보디(426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즉, 버튼은 키캡(4220), 일렉트로드(4240), 버튼 보디(4260)가 차례로 적층 결합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키캡(4220)은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키캡(4220)은 사용자의 손가락과 직접 접촉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키캡(4220)은 사용자가 상하로 누르는 푸쉬 입력을 받아서 버튼 보디(4260)와 함께 승강할 수 있다.
버튼 보디(4260)는 키캡(42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보디(4260)는 사용자의 푸쉬 입력에 따라 승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버튼 보디(4260)는 그 하부에 위치하는 스위치(4360)를 물리적으로 누르거나,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일렉트로드(4240)는 키캡(4220)과 버튼 보디(4260) 사이에 개재된다. 일렉트로드(4240)는 키캡(4220)에 터치 입력에 입력되면 그 정전 용량이 변화하며, 이에 따라 터치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일렉트로드(4240)는 복수의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에 대해서는 이상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스위치(4360)는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스위치(4360)는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이 배열되는 레이어 하부에서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의 배열에 대응되도록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스위치(4360)는 사용자의 상하 방향 푸쉬 입력에 따라 버튼이 하강하면,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거나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에 의해 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4360)는 대응하는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에 해당하는 키값을 획득 또는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치(4360)의 상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상세히 전술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기 연결 부재(4340)는 복수의 버튼 사이에서 블록 그룹들을 연결하여 서킷을 형성할 수 있다.
전기 연결 부재(4340)는 단일의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에 속하는 일렉트로드(4240)의 각 블록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 전기 연결 부재(4340)는 인접하는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 간 일렉트로드(4240)의 블록 그룹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로써, 전기 연결 부재(4340)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각 블록 그룹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드라이브 라인 및 스캔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전기 연결 부재(4340)의 상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모드 전환부(4400)는 사용자로부터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하여 수행모드를 전환하도록 컨트롤러(4900)에게 모드 전환 입력을 알릴 수 있다.
자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 장치(4000)는 복수의 수행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행 모드는 키보드 모드, 마우스 모드 및 디지타이저 모드 등일 수 있다. 모드 전환부(4400)는 복수의 수행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전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모드 전환부(4400)가 모드 전환 입력을 수행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모드 전환부(4400)는 예를 들면, 도 3을 통해서 설명한 포인터 실행 명령부 일체형 모드 전환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드 전환부(4400)는 터치 수신부(4420) 및 모드 전환 스위치(4440)를 구비할 수 있다.
터치 수신부(4420)는 사용자 신체의 접촉에 의한 형태로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터치 수신부(442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저항식 터치 센서,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 감압식 터치 센서, 광학식 터치 센서 및 초음파식 터치 센서 등 다양한 터치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모드 전환 스위치(4440)는 물리적 압력이 인가되는 형태로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모드 전환 스위치(4440)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위치이동을 하고 압력이 제거되면 원래 위치로 돌아오게 하는 탄성체와 사용자의 압력을 전달받는 버튼과 사용자의 압력에 의해 위치 이동을 하여 접합하게 되면 모드 전환 입력을 감지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전환부(4400)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드 전환부(4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의 좌측 또는 우측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모드 전환부(4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레이아웃보다 사용자로부터 먼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모드 전환부(4400)는 키보드 레이아웃보다 사용자에게 근접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관련 사항은 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는 모드 전환부(440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모드 전환 입력에 사용자가 모드 전환을 하려는 의도가 있는지 판별하기 위한 구성이다.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는 모드 전환 입력이 사용자의 실수 등 모드 전환의 의도가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해 입력된 경우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는 모드 전환 방지 신호를 생성하여 컨트롤러(4900)에게 전송함으로써, 수행 모드가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가 모드 전환 입력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는 터치 감지부(452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4520)은, 사용자 신체 일부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4520)은 키보드 레이아웃과 모드 전환부(44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컨트롤러(4900)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4900)는 전기 연결 부재(4340)의 블록 그룹들 중 일부에게 드라이브 신호를 인가하거나, 전기 연결 부재(4340)의 블록 그룹들 중 일부로부터 스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수신된 키보드 레이아웃 상 위치를 알 수 있다. 컨트롤러(4900)는 터치 입력이 수신된 키보드 레이아웃 상 위치를 반영하는 포인터 위치정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컨트롤러(4900)는 포인터 위치정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상 포인터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4900)는 스위치(4360)로부터, 사용자의 푸쉬 입력이 수신된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에 대응된 키값을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4900)는 키값을 반영하여, 텍스트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4900)는 키값에 대응된 텍스트 요소들을 조합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조합된 텍스트가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4900)는 복수의 수행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행 모드에 따라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4900)는 선택된 수행 모드에 따라서 포인터 위치정보 신호 또는 텍스트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부에 알맞은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키보드 모드는 푸쉬 입력이 수신되는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의 키값에 따라서, 텍스트 신호를 획득하고, 이에 따른 텍스트 입력을 출력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 때 컨트롤러는 푸쉬 입력이 수신되는 복합기능 입력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은 무시할 수 있다.
마우스 모드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키보드 레이아웃 상의 위치에 따라서, 포인터 위치정보 신호를 획득하고, 이에 따라 제어되는 포인터를 출력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 때 컨트롤러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복합기능 입력버튼에 대한 푸쉬 입력은 무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4900)는 모드 전환부(4400)로부터 모드 전환 입력에 따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4900)는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되면,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없는 조건 하에 키보드 레이아웃의 적어도 일 영역에 위치한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에 대한 수행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4900)는 수행모드가 키보드 모드일 때, 모드 전환부(4400)의 터치 수신부(4420)를 통해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되고,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로부터는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키보드 레이아웃의 일 영역에서 수행모드를 마우스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컨트롤러(4900)는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로부터 모드 전환 방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4900)는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모드 전환부(4400)를 통해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되더라도, 모드 전환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4900)는 수행모드가 키보드 모드일 때, 터치 수신부(4420)를 통해 모드 전환이 입력되더라도,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키보드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8은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를 구비하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의 동작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먼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는 키보드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4110). 이후, 모드 전환부(4400)를 통해서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S4120). 이후, 컨트롤러(4900)는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를 통해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키보드 모드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S4130).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미수신되는 경우, 키보드 레이아웃 상 미리 지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에 대해서는 마우스 모드로 수행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S4140). 이하에서는 각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는 키보드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4110).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는 키보드 모드에 따라서,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으로부터 푸쉬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 텍스트 신호를 획득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으로부터 터치 입력이 수신될 수 있으나, 컨트롤러(4900)는 이를 무시하고, 포인터 위치정보 신호는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4900)는 일렉트로드(4240)에 인가되는 드라이브 신호를 중단할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4900)는 일렉트로드(4240)로부터 수신되는 스캔 신호를 무시할 수 있다.
이후, 모드 전환부(4400)를 통해서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S4120).
모드 전환 입력은 키보드 레이아웃 상 적어도 일 영역에 대해서 키보드 모드를 마우스 모드로 전환하려는 입력일 수 있다.
모드 전환부(4400)는 터치 수신부(4420)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일 수 있다. 또는 모드 전환부(4400)는 모드 전환 스위치(4440)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치(4360)에 대한 누름일 수 있다.
모드 전환부(4400)는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하여 컨트롤러(4900)에 전달할 수 있다.
모드 전환 입력은 영구 모드 전환 입력 또는 임시 모드 전환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컨트롤러(4900)는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를 통해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4130).
모드 전환 입력은 사용자 의도와 다르게 수신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 모드의 조작 중, 실수로 키보드 레이아웃에 근접한 모드 전환부(4400)를 터치함으로써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수신된 모드 전환 입력이 실제로 키보드 모드를 마우스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입력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는 터치 감지부(45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가 터치 감지부(4520)임을 상정하여 터치 감지부(4520)를 기준으로 모드 전환 입력 판별 동작을 설명한다. 그러나, 후술하는 내용은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가 터치 감지부(4520) 뿐 아니라, 가능한 다른 수단인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터치 감지부(4520)는 사용자의 의도와 다르게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를 감지하여 모드 전환 방지 신호를 컨트롤러(4900)에게 알릴 수 있다.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수신된 경우, 컨트롤러(4900)는 키보드 모드를 마우스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불허하고, 키보드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미수신된 경우(S4140), 컨트롤러(4900)는 키보드 레이아웃 상 미리 지정된 영역에 포함되는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에 대해서는 마우스 모드로 수행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미리 지정된 영역은 키보드 레이아웃 전체의 영역일 수도 있고, 또는 일부의 영역일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미리 지정된 영역에서,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을 통해 터치 입력이 수신될 수 있고, 컨트롤러(4900)는 이에 따라 포인터 위치정보 신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포인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9는,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를 구비하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에 대한 측단면 구성도이며, 도 21는, 도 19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의 회로기판에 대한 정면도이다.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는 전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키보드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와 키보드가 결합된 노트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모드 전환부(4400)는 터치 수신부(4420)일 수 있다.
모드 전환부(4400)는 키보드 레이아웃을 조작하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모드 전환부(44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모드 전환부(4400)는 키보드 레이아웃보다 사용자에게 더 근접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모드 전환부(4400)는 키보드 레이아웃의 사용자에 가까운 일 측을 따라서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모드 전환부(4400)가 연장되는 길이는 조작하는 사용자의 손의 위치, 키보드 레이아웃의 스페이스바와 같은 특정 버튼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전환부(4400)의 길이는 사용자 양 손의 엄지 또는 검지 손가락이 서로 이격된 거리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모드 전환부(4400)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의 사용자를 향하는 하우징 단부로부터 제3 미리 정해진 거리(d3)만큼 이격된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미리 정해진 거리(d3)는 모드 전환부(4400)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 단부와 이격 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에 외부 물체가 근접 위치할 때, 이를 사용자의 모드 전환 입력인 것으로 감지하지 않도록 모드 전환부(4400)는 제3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하우징 단부와 이격될 수 있다.
모드 전환부(4400)는 복수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는 사용자가 키보드 레이아웃 상 버튼을 조작하는 상태임을 감지함으로써, 모드 전환부(4400)에 대한 입력과 키보드 레이아웃 상 버튼에 대한 입력을 구별하기 용이하도록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는 키보드 레이아웃과 모드 전환부(44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는 키보드 레이아웃 또는 모드 전환부(4400)의 일측을 따라서 연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는 모드 전환부(4400)와 제2 미리 정해진 길이(d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2 미리 정해진 길이(d2)는 모드 전환부(440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시,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가 사용자 신체에 의해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 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길이로 설계될 수 있다. 이로써, 실제 모드 전환의 의도 하에 수행되는 모드 전환부(4400)에 대한 사용자 조작 시,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는 사용자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는 키보드 레이아웃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는 키보드 레이아웃과 제1 미리 정해진 길이(d1)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미리 정해진 길이(d1)는 예를 들면, 키보드 레이아웃 상 버튼에 사용자의 손이 얹어질 때, 사용자의 손의 일부, 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이 닿는 곳에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가 배치되도록 계산된 길이일 수 있다.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의 길이는 모드 전환부(4400)의 길이에 대응하여 동일한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의 길이는 모드 전환부(4400)의 일 영역에 대응한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부(4400)의 일 영역은 예를 들면, 키보드 레이아웃 상 버튼에 사용자의 손이 얹어질 때, 손의 일부, 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이 닿을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는 복수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더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모드 전환부(4400)와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는 하나의 회로기판(46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4600)은 유연인쇄회로기판(F-PCB)일 수 있다.
모드 전환부(4400)와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는 하우징 내에서 배치되는 높이가 상이할 수 있는데, 회로 기판(4600)은 높이가 다른 모드 전환부(4400) 및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높이가 다른 제1 단 및 제2 단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드 전환부(4400)를 수용하는 제1 단은 키보드 레이아웃에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이로써, 모드 전환부(4400)는 사용자를 향하면서 기울어질 수 있다.
회로 기판(4600) 상에서, 모드 전환부(4400)로부터 단자(4400a)까지 모드 전환 신호가 도달하는 경로 및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로부터 단자(4500a)까지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도달하는 경로는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4600)은 제1 단 및 제2 단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4600)의 브릿지에는 모드 전환부(4400)에 연결되는 단자(4400a) 및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와 연결되는 단자(4500a)가 배치될 수 있다. 브릿지는 제1 단 및 제2 단의 일 측에 형성되거나, 제1 단 및 제2 단의 중앙에 형성되거나 또는 제1 단 및 제2 단 전체를 잇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1에서는 미도시 하였으나, 회로 기판(4600)에는 컨트롤러(4900)가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4900)는 단자(4400a)와 연결되어 모드 전환부(4400)로부터 모드 전환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컨트롤러(4900)는 단자(4500a)와 연결되어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로부터 모드 전환 방지 신호를 수신하여 수행 모드 전환을 위한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회로 기판(4600)은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과 연결되는 스위치(4360)를 수용하거나 또는 회로 기판(4600)은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서킷 레이어의 일부일 수 있다.
도 22는, 도 19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에 대한 사용례이다.
도 22의 (a)를 참조하면,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는 사용자가 키보드 레이아웃 상 버튼을 조작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가 키보드 레이아웃의 일측에 근접 배치되기 때문에, 키보드 레이아웃 상 버튼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손 일부가 자연스럽게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에 놓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키보드 레이아웃 상 버튼을 조작하면서 우연히 실수로 모드 전환부(4400)를 접촉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가 사용자 신체 접촉을 수신하는 상태에서 모드 전환부(4400)를 통해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하는 것은 모드 전환을 위한 터치가 아니라, 단순히 키보드 레이아웃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무의식적으로 발생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는 모드 전환 방지 신호를 컨트롤러(4900)에게 전송하고, 컨트롤러(4900)는 키보드 모드에서 마우스 모드로의 전환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2의 (b)를 참조하면, 모드 전환부(4400)는 사용자로부터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모드 전환부(4400)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은, 예를 들면, 엄지손가락 또는 검지손가락 등일 수 있다.
키보드 모드에서 터치 모드로 수행 모드를 전환하려는 사용자는, 키보드 레이아웃 일 영역이 터치 모드로 전환되기 때문에, 터치 모드에서의 오조작을 방지하고자 키보드 레이아웃 상 버튼에 대한 입력을 일시적으로 해제한 채, 모드 전환부(4400)에 대해 입력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용자가 키보드 레이아웃으로부터 손을 뗄 때,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는 사용자의 입력이 제거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4900)는, 모드 전환부(4400)를 통해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되고,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를 통해 모드 전환 방지 신호는 수신되지 않을 때, 키보드 레이아웃 상 일 영역에 포함된 복합기능 입력버튼(4200)에 대하여 키보드 모드에서 마우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모드 전환부(4400)가 배치되는 하우징의 일 영역은, 키보드 레이아웃으로부터 멀어지고, 사용자에게 가까워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이로써, 모드 전환부(4400)는 사용자 터치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드 전환부(4400)가 배치된 하우징의 일 영역과,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가 배치된 하우징의 일 영역은 그 경사도가 상이하므로, 사용자는 경사도를 감지함으로써 모드 전환 입력을 위해 모드 전환부(4400)를 구별할 수 있다.
또, 모드 전환부(4400)가 배치된 하우징의 일 영역과,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가 배치된 하우징의 일 영역은 그 경사도가 상이하므로, 모드 전환 입력을 위해 모드 전환부(4400)를 터치하는 손가락이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를 동시에 터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3은,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를 구비하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에 대한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모드 전환부(4400)는 모드 전환 스위치(4440)일 수 있다.
도 19 내지 22에서 모드 전환부(4400)가 터치 수신부(4420)인 것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 사항들은, 배치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모드 전환부(4400)가 모드 전환 스위치(4440)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모드 전환 스위치(4440)는 예를 들면, 도 4를 통해서 설명한 포인터 실행 명령부 일체형 모드 전환부(4400)일 수 있다.
모드 전환 스위치(4440)는 모드 전환 스위치(4440)를 누르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서 이동 변위가 다를 수 있고, 이에 따라 모드 전환을 영구적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압력이 지속되는 동안에만 모드 전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모드 전환 스위치(4440)는,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서 변위를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모드 전환 스위치(4440)가 눌려짐에 대한 촉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모드 전환 스위치(4440)는, 사용자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룰 수 있고, 이로써,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하는 데 용이할 수 있다.
도 25는,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를 구비하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동작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먼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는 키보드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4210). 이후, 모드 전환 스위치(4440)를 통해서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S4220). 이후, 터치 수신부(4420)에 대한 사용자 신체 일부의 접촉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터치 수신부(4420)에 접촉이 없는 경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는 키보드 모드 설정을 유지할 수 있다(S4230). 터치 수신부(4420)에 접촉이 있는 경우,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에 대한 사용자의 접촉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에 접촉이 있는 경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는 키보드 모드 설정을 유지할 수 있다(S4240).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에 접촉이 없는 경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는 키보드 레이아웃 상 미리 지정된 영역에서 키모드 모드를 마우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4250). 이하에서는 각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는 키보드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4210). 이 때,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는 모드 전환 스위치(4440) 및 터치 수신부(4420)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모드 전환 스위치(4440)를 통해서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될 수 있다(S4220).
컨트롤러(4900)는 모드 전환 스위치(4440)를 통해서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하면, 터치 수신부(4420)에 대한 사용자 신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4900)는 터치 수신부(4420)에 접촉이 없는 경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는 키보드 모드 설정을 유지할 수 있다(S4230).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는 모드 전환 스위치(4440)와 터치 수신부(4420)를 통해 이중으로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되는지 판단하므로, 모드 전환 입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4900)는 모드 전환 스위치(4440)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터치 수신부(4420) 및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모드 전환 스위치(4440)에 대한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터치 수신부(4420) 및 터치 감지부(4520)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전력을 절약할 수 있고,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실수로 터치 수신부(4420)에 대한 접촉이 일어난 경우에, 모드 전환 스위치(4440)에 충분한 압력이 가해져 변위가 발생한 것이 아니라면, 컨트롤러(4900)는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는 모드 전환 스위치(4440)에 대한 신호 및 터치 수신부(4420)에 대한 신호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우스 모드로의 전환이 모드 전환 입력이 지속되는 시간 동안만 일시적으로 유효하도록 설정된 경우를 상정하면, 수행 모드를 전환하는 입력과, 전환된 마우스 모드를 유지하는 입력이 분리될 수 있다.
모드 전환 스위치(4440)에 대한 입력은, 수행 모드를 마우스 모드로 전환하는 트리거 역할을 할 수 있고, 마우스 모드를 유지하기 위해서 모드 전환 스위치(4440)에 대한 입력이 지속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마우스 모드의 유지에 대한 입력은 터치 수신부(442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모드 전환 스위치(4440)에 압력을 가하여 변위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후, 압력을 제거하더라도 터치 수신부(4420)에 손가락 접촉을 유지함으로써 마우스 모드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 이로써, 지속적으로 압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마우스 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기재에서는, 모드 전환 스위치(4440)에 대한 입력이 먼저 감지된 경우만을 서술하였으나, 반대로 터치 수신부(4420)에 대한 입력이 먼저 감지된 경우에도 컨트롤러(4900)는 모드 전환 스위치(4440) 및 터치 수신부(4420)에 대한 입력을 기초로 모드 전환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S4220 및 S4230의 순서가 치환될 수 있다.
터치 수신부(4420)에 접촉이 있는 경우,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에 대한 사용자 신체 일부의 접촉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에 접촉이 있는 경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는 키보드 모드 설정을 유지할 수 있다(S4240).
컨트롤러(4900)는 모드 전환 스위치(4440) 및 터치 수신부(4420)에서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한 것으로 판단하고,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에 사용자의 접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에 접촉이 있는 경우, 컨트롤러(4900)는 사용자가 키보드 레이아웃을 조작하고 있는 것이므로 모드 전환 입력이 마우스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함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4900)는 키보드 모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에 접촉이 없는 경우,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는 키보드 레이아웃 상 미리 지정된 영역에서 키모드 모드를 마우스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4250).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키보드 모드에서 마우스 모드로 수행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도 26은, 도 25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27은, 도 25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에 대한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모드 전환부(4400)는 터치 수신부(4420) 및 모드 전환 스위치(444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전환 스위치(4440)와 터치 수신부(4420)는 일정 영역을 공유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모드 전환부(4400)에 대한 사용자의 한 번의 터치 시, 모드 전환 스위치(4440) 및 터치 수신부(4420)는 동시에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드 전환 스위치(4440)는 사용자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는 버튼 및 복원력에 의해 상기 버튼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탄성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터치 수신부(4420)는 모드 전환 스위치(4440)의 버튼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모드 전환 스위치(4440)를 누를 때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터치 수신부(4420)는 모드 전환 스위치(4440)의 하측에 위치하여, 모드 전환 스위치(4440)가 눌림에 따라 정전 용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터치 수신부(4420)는 모드 전환 스위치(4440)와 물리적으로 별도의 구성일 수도 있으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수신부(4420)는 모드 전환 스위치(4440)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일부일 수도 있다.
터치 수신부(4420) 및 모드 전환 스위치(4440)는 독립적으로 컨트롤러에게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수신부(4420)는 회로 기판(4600)에 도달하는 전기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전기 연결 부재는 모드 전환 스위치(4440)를 관통하면서 설계될 수 있다.
도 28은,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를 구비하는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의 다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29은, 도 28의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4000)의 회로기판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모드 전환부(4400)는 복수일 수 있다. 또,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는 복수일 수 있다.
모드 전환부(4400)는 좌측에 배치되는 제1 모드 전환부(4450) 및 우측에 배치되는 제2 모드 전환부(44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드 전환부(4450) 및 제2 모드 전환부(4460)는 키보드 레이아웃 일 측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1 모드 전환부(4450)는 이용 시, 사용자의 왼손이 놓이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모드 전환부(4460)는 사용자 오른손이 놓이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모드 전환부(4450) 및 제2 모드 전환부(4460)는 키보드 레이아웃 상 서로 다른 영역에 대해서 모드 전환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1 모드 전환부(4450)는 제1 입력 영역(4720)의 마우스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대응될 수 있다. 제2 모드 전환부(4460)는 제2 입력 영역(4740)의 마우스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대응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두 손을 이용해 포인팅 장치 일체형 입력장치를 사용할 것이다. 제1 모드 전환부(4450)는 사용자의 왼손에 대응되어 위치하되, 제1 모드 전환부(4450)가 마우스 모드를 활성화 시키는 제1 입력 영역(4720)은 키보드 레이아웃 상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모드 전환부(4460)는 사용자 오른손에 대응되어 위치하되, 제2 모드 전환부(4460)가 마우스 모드를 활성화 시키는 제2 입력 영역(4740)은 키보드 레이아웃 상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한 손으로는 모드 전환부(4400)를 조작하고, 다른 한 손으로 마우스 모드 하에서 포인터의 위치 및 이동상태를 조작하는 제어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입력 영역(4720) 및 제2 입력 영역(4740)은 예를 들면, 도 1 등에 도시된 포인팅 위치 정보 입력 영역(108a, 108b)일 수 있다.
또한, 디지타이저 모드에서는 제1 입력 영역(4720) 및 제2 입력 영역(4740)은 각각 왼손 터치 영역(108a) 및 오른손 터치 영역일 수 있다(108b)
제1 입력 영역(4720)과 제2 입력 영역(4740)은 키보드 레이아웃 상 버튼을 조작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입력 영역(4720)과 제2 입력 영역(4740)은 일 영역을 공유할 수 있다.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00)는 좌측에 배치되는 제1 터치 감지부(4550) 및 우측에 배치되는 제2 터치 감지부(45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감지부(4550) 및 제2 터치 감지부(4560)는 키보드 레이아웃 일측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1 터치 감지부(4550)는 이용 시, 사용자의 왼손이 놓이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치 감지부(4560)는 사용자 오른손이 놓이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터치 감지부(4550)는 키보드 레이아웃과 제1 모드 전환부(44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터치 감지부(4560)는 키보드 레이아웃과 제2 모드 전환부(446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1 터치 감지부(4550) 및 제2 터치 감지부(4560)는 물리적으로 별개의 구성일 수도 있으나, 하나의 터치 패드이되, 터치를 감지하는 영역이 논리적으로 분할된 영역들일 수 있다. 즉, 좌측에서의 터치 입력 및 우측에서의 터치 입력을 구별하는 구성이라면 제1 터치 감지부(4550) 및 제2 터치 감지부(4560)일 수 있다.
제1 터치 감지부(4550)는 제1 모드 전환부(4450)를 통한 모드 전환 입력 시, 모드 전환 입력이 키보드 레이아웃 상 버튼 조작 중 입력된 실수인지, 실제 모드 전환 의도를 포함하고 있는지 판별할 수 있다.
컨트롤러(4900)는 제1 모드 전환부(4450))를 통한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되면, 제1 터치 감지부(4550)를 통해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살필 수 있다. 컨트롤러(4900)는 제1 터치 감지부(4550)를 통한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입력 영역(4720)에 대해서 여전히 키보드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컨트롤러(4900)는 제1 터치 감지부(4550)를 통해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되나, 제1 터치 감지부(4550)를 통한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미수신되면, 제1 입력 영역(4720)에 대해서 마우스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컨트롤러(4900)는 제2 모드 전환부(4460)를 통한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되면, 제2 터치 감지부(4560)를 통해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살필 수 있다. 컨트롤러(4900)는 제2 터치 감지부(4560)를 통한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입력 영역(4740)에 대해서 여전히 키보드 모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컨트롤러(4900)는 제2 터치 감지부(4560)를 통해 모드 전환 입력이 수신되나, 제2 터치 감지부(4560)를 통한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미수신되면, 제2 입력 영역(4740)에 대해서 마우스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모드 전환부(4450), 제2 모드 전환부(4460), 제1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50) 및 제2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60)는 하나의 회로 기판(46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4600)은 예를 들면 유연인쇄회로기판(F-PCB)일 수 있다.
회로 기판(4600)은 각각 모드 전환부(4450, 4460)를 수용하는 제1 단 및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50, 4560)를 수용하는 제2 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단 및 제2 단은, 각각 수용되는 모드 전환부(4450, 4460) 및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50, 4560)의 높이, 경사각을 등을 고려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제1 단은 키보드 레이아웃의 일측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제1 모드 전환부(4450) 및 제2 모드 전환부(4460)는 제1 단에서 키보드 레이아웃의 일측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2 단은 키보드 레이아웃의 일측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고, 제1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50) 및 제2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60)는 제2 단에서 키보드 레이아웃의 일측을 따라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4600)은 제1 단 및 제2 단을 연결하는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4600)의 브릿지에는 제1 모드 전환부(4450)와 연결되는 단자(4450a), 제2 모드 전환부(4460)와 연결되는 단자(4460a), 제1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50)와 연결되는 단자(4550a) 및 제2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4560)와 연결되는 단자(4560a)가 배치될 수 있다. 브릿지에는 컨트롤러(49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4900)는 각 단자(4450a, 4460a, 4550a, 4560a)와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브릿지는 제1 단 및 제2 단의 일 측에 형성되거나, 제1 단 및 제2 단의 중앙에 형성되거나 또는 제1 단 및 제2 단 전체를 잇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별개로 또는 조합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000 포인팅 장치 일체형 텍스트 입력장치
4200 복합기능 입력버튼
4220 키캡
4240 일렉트로드
4260 버튼 보디
4340 전기 연결 부재
4360 스위치
4400 모드 전환부
4420 터치 수신부
4440 모드 전환 스위치
4450 제1 모드 전환부
4460 제2 모드 전환부
4500 모드 전환 입력 판별부
4520 터치 감지부
4550 제1 터치 감지부
4560 제2 터치 감지부
4600 회로 기판
4720 제1 입력 영역
4740 제2 입력 영역
4900 컨트롤러

Claims (9)

  1.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있어서,
    키보드 레이아웃에 따라 배열되고, 사용자에 의해 터치 입력 또는 푸쉬 입력을 인가받는 키캡; 상기 푸쉬 입력에 의한 상기 키캡의 승강을 감지하는 스위치; 및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복수의 일렉트로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복합기능 입력버튼;
    상기 터치 입력은 무시하고, 상기 푸쉬 입력이 수신된 상기 복합기능 입력버튼에 따라 텍스트 신호를 획득하는 키보드 모드 및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위치에 관련된 포인터 위치정보 신호를 획득하는 마우스 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하는 컨트롤러;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마우스 모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하는 모드 전환부; 및
    상기 모드 전환부의 주변에 배치되되, 상기 모드 전환부보다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터치 감지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터치 감지 영역은 상기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와 상기 터치 감지 영역 사이에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 상에서 키보드 입력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탐지하고, 상기 키보드 입력의 수행이 감지된 경우 모드 전환 방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마우스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마우스 모드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는
    전자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터치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전환 입력은 상기 터치 수신부를 통한 상기 사용자 신체 일부와의 접촉에 따른 정전 용량의 변화를 통해 수신되는
    전자기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물리적 압력에 의해 상기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상기 사용자 신체 일부의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물리적 압력을 감지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위치에 대한 상기 물리적 압력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 수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신체 접촉이 수신되고, 상기 터치 감지 영역에서 상기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미수신된 경우에 상기 마우스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터치 감지 영역에서 상기 모드 전환 방지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마우스 모드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는
    전자기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 및 상기 터치 감지 영역은 오조작 방지를 위해 제1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된
    전자기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오조작 방지를 위해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를 가지는
    전자 기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일측을 따라서 배치되는 제1 모드 전환부 및 제2 모드 전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터치 감지 영역은,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과 상기 제1 모드 전환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터치 감지 영역 및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과 상기 제2 모드 전환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터치 감지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모드 전환부에서 상기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제1 터치 감지 영역을 통해 상기 모드 전환 방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마우스 모드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되,
    상기 제1 터치 감지 영역을 통해 상기 모드 전환 방지 신호를 미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1 모드 전환부에 대응되는,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1 입력 영역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일렉트로드를 통한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해서 상기 마우스 모드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2 모드 전환부에서 상기 모드 전환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제2 터치 감지 영역을 통해 상기 모드 전환 방지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마우스 모드를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하되,
    상기 제2 터치 감지 영역을 통해 상기 모드 전환 방지 신호를 미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제2 모드 전환부에 대응되는, 상기 키보드 레이아웃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2 입력 영역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일렉트로드를 통한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해서 상기 마우스 모드를 활성화하는
    전자 기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 전환부는 상기 제2 모드 전환부에 대하여 제1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입력 영역은 상기 제2 입력 영역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에 위치하는
    전자 기기.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영역과 상기 제2 입력 영역은 서로 적어도 일 영역을 공유하는
    전자 기기.



KR1020180120774A 2018-10-10 2018-10-10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71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774A KR102171400B1 (ko) 2018-10-10 2018-10-10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774A KR102171400B1 (ko) 2018-10-10 2018-10-10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623A KR20200040623A (ko) 2020-04-20
KR102171400B1 true KR102171400B1 (ko) 2020-10-28

Family

ID=70467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774A KR102171400B1 (ko) 2018-10-10 2018-10-10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40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9663B2 (ja) * 2010-07-28 2014-06-25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
CN109375783B (zh) * 2016-06-23 2022-03-11 株式会社音乐派索 具有多功能人机接口的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623A (ko)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442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US11747916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human interface
US10289238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human interface
KR20230027136A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71400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5313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5309B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