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297U - 체인 호이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체인 호이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297U
KR20130007297U KR2020120005014U KR20120005014U KR20130007297U KR 20130007297 U KR20130007297 U KR 20130007297U KR 2020120005014 U KR2020120005014 U KR 2020120005014U KR 20120005014 U KR20120005014 U KR 20120005014U KR 20130007297 U KR20130007297 U KR 201300072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roller
box
hois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대원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5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7297U/ko
Publication of KR201300072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2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02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with operating gear or operator's cabin suspended, or laterally offset, from runway or track
    • B66C11/04Underhung trolleys
    • B66C11/06Underhung trolleys running on mono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인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후크 하강시 체인박스로부터 상승되는 체인을 엉키지 않게 일직선으로 가이드 하여 롤러 회전에 의한 체인 상승작용시 롤러로부터 체인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 체인 호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체인을 감아 올리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하방에 설치되며 롤러의 회전에 의해 하강된 체인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체인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체인 호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체인박스의 상부에는 상기 체인이 수용공간을 드나드는 체인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인박스 내부에는 상기 체인공과 일직선 방향으로 대응되며, 체인의 너비에 대응되는 가이드공을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호이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체인 호이스트 장치{Chain hoist device}
본 고안은 체인 호이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인박스로부터 상승되는 체인을 엉키지 않고 일직선으로 가이드 하여 롤러로부터 체인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 체인 호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는 와이어로프 등을 이용하여 짐을 오르내리는 기계장치의 하나로서, 원동기, 기어감속장치, 권취수단 등을 한 조로 하고 권상용 로프 단부에 훅(hook)을 장착하여 화물등을 들어올리거나 또는 들어올린 상태에서 타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조작되는 일련의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호이스트의 종류는 전기 호이스트, 공기 호이스트 등이 있으며, 이중 전기 호이스트는 소형전도기, 행성 기어식 가속장치가 달린 권동, 화물을 잡고 있는 전자기 브레이크, 짐을 내릴때 속도를 조절하는 하중 브레이크 등을 좁은 공간에 집중시켜서 되는 소형 권상기라 할 수 있으며, 지브 끝에 붙이거나 또는 에이치(H)형 빔의 아래쪽 플랜지를 레일로 주행하며 화물을 오르내려 운반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권상 또는 횡행에 필요한 전동기, 감속기, 드럼, 브레이크 등을 간단하게 일체로 조립한 권상 장치인 호이스트는 사용하는 장소와 기계의 구조에 따른 다양한 종류가 있다.
예를 들면, 간결하고 경제적이므로 고속성이나 조작성 등을 중요시하지 않는 용도에 많이 쓰이는 호이스트식 천정크레인, 모노레일에 매달려 주행하는 서스펜션형의 와이어로프 호이스트와 체인 호이스트로 구성되며 커브가 가능한 모노레일형 크레인, 크래브식 천정크레인의 크래브 대신에 전동호이스트 등을 올려놓은 형식으로 2개의 레일을 이용하는 더블레일형 크레인 및 하나의 레일을 이용하는 싱글레일형 크레인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체인 호이스트의 개략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체인 호이스트는 공장이나 기타 구조물 등의 최상측에 구비되는 H빔 또는 I빔으로 제공되는 모노레일(10)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부(20)와 상기 이송부(20)를 따라 이동되면서 중량물을 이송하는 호이스트부(30)로 구성된다.
이때, 같이 일반적으로 체인 호이스트는 후크(31)에 중량물이 매달리게 되고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해서 이송부(20)에 설치된 모터(21)가 동력을 발생함에 따라 상기 모터에 축 결합된 롤러가 정회전 하여 체인(32)을 끌어올리는 구조이다.
이때, 끌어 올려진 체인(32)은 모터(21)의 동력에 롤러(미도시)가 계속해서 회전됨에 따라 체인박스(33) 안에 쌓여 수용이 된다.
한편, 중량물을 들어올린 체인 호이스트는 이송부(20)에 의해 모노레일(10)을 따라 정해진 장소로 이동된 후에, 상기 중량물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중량물을 하강시킬 때에는 모터(21)가 동력을 발생하여 롤러를 역회전 시키게 되고, 롤러가 역회전 됨에 따라 체인박스(33) 안에 쌓여 있는 체인(32)은 체인박스(33)의 상부로 끌어 올려지게 된다.
이때, 체인(32)은 롤러를 감아 돌아 작업 장소의 하방으로 하강되고, 체인(32)에 고정된 후크(31) 역시 하강 됨에 따라 중량물을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체인 호이스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중량물이 하강되기 위해서는, 체인박스(33) 안에 있던 체인(32)이 상기 체인 박스(33)의 상방에 설치된 롤러에 의해 끌어 올려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체인(32)이 롤러를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체인박스(33) 안에 쌓여 있던 체인(32)이 롤러를 올바르게 감아 돌기 위해서는 체인(32)이 상승되는 상태가 일직선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체인(32)의 특성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엉켜 일직선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는, 후크(31)가 고정된 체인(32) 측과는 다르게 체인박스(33) 내에서는 체인(32)을 팽팽하게 일직선으로 유지시켜주는 중량물이나 별도의 장치가 제공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체인(32)이 엉킨 상태로 롤러를 감아 돌게 되면, 롤러로부터 체인(32)이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체인 호이스트의 오동작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1-118128 대한민국 공개번호 20-1998-014754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후크 하강시, 체인박스에 쌓여 있는 체인이 롤러를 이탈하지 않고 유연하게 감아 올려질 수 있도록 상기 체인을 엉키지 않게 일직선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된 체인 호이스트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체인을 감아 올리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하방에 설치되며 롤러의 회전에 의해 하강된 체인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체인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체인 호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체인박스의 상부에는 상기 체인이 수용공간을 드나드는 체인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인박스 내부에는 상기 체인공과 일직선 방향으로 대응되며, 체인의 너비에 대응되는 가이드공을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호이스트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체인박스의 상부로부터 수용공간을 향하도록 고정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공은 지지대의 하단부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인박스는 본체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가이드 부재는 체인박스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체인 호이스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후크 하강시 체인박스에 수용되어 있는 체인은 체인박스의 체인공을 통해 상방으로 올라가 롤러에 감기는데, 이 과정에서 체인은 가이드부재의 가이드공을 통해 가이드되어 일직선으로 펴진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즉, 체인의 너비와 가이드공의 직경이 서로 대응된 상태이므로, 가이드공을 통해 통과하는 체인은 엉켜있더라도 상기 가이드공에 가이드 되어 일직선으로 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후크 하강에 따른 체인 상승시 롤러에 유연하게 감겨 올라가게 되므로, 롤러로부터 체인이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체인 호이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체인이 엉켜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 호이스트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 호이스트의 체인이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공을 통해 가이드 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 호이스트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체인 호이스트는 체인박스가 한 쌍으로 제공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체인 호이스트는 체인박스의 내부에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여, 체인박스의 내부에서 엉켜 있는 체인을 일직선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체인은 체인박스를 나와 롤러에 유연하게 감겨 가이드됨으로써 롤러로부터 체인이 이탈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체인 호이스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롤러(200)와, 체인박스(300)와, 가이드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구동모터(미도시) 및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부위이며, 이송부(I)에 의해 모노레일(M)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본체(100)에는 중량물을 승강시키는 후크(110)가 설치된다.
상기 후크(110)는 후술하는 한 쌍의 체인(C)에 의해 승강되며, 본체(100)의 하부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롤러(200)는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정,역 회전되면서 체인(C)을 감아 올리거나 감아 내리면서 후크(11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롤러(200)는 한 쌍으로 제공되며, 본체(1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된다.
다음으로, 체인박스(300)는 후크(110)를 승강시키는 체인(C)을 수용하는 부위이며, 본체(10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된다.
이때, 체인박스(300)는 각각의 롤러(200)에 대응된다.
체인박스(300)는 체인(C)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310)을 형성하며, 체인박스(300)의 상부에는 체인이 드나드는 체인공(320)이 형성된다.
체인박스(30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며, 체인(C)을 수용할 수 있는 주머니 형태로 제공되어도 무방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체인박스(300)가 두 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체인 호이스트의 크기에 따라 한 개만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체인박스(300)가 한 개만 제공된다면, 상기 롤러(200) 역시 한 개만 제공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다음으로, 가이드부재(400)는 롤러(200)를 이용해 체인박스(300)에 수용된 체인(C)을 감아 올리는 과정에서 체인(C)이 일직선으로 펴진 상태로 감아 올려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부재(400)는 체인박스(300)의 상부로부터 수용공간(310)을 향해 고정된 지지대(410)와, 상기 지지대(410)의 하단부에 형성된 가이드공(420)을 포함한다.
이때, 지지대(410)는 체인박스(300)의 상부에 용접되어 고정되며, 지지대(410)의 하단부는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공(420)은 상기 지지대(410)의 절곡된 부위에 형성되며, 체인박스(300)의 상부에 형성된 체인공(320)에 대향된다.
즉, 가이드공(420)은 체인공(320)과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이드공(420)의 직경은 체인(C)의 너비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체인박스(300)에 쌓여 있는 체인(C)은 체인박스(300)의 외부에 설치된 롤러(200)에 감겨 올라가는 과정에서 반드시 가이드공(420)을 통과함에 따라 일직선으로 펴진 상태로 가이드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체인 호이스트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전, 최초 상태의 체인 호이스트는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10)는 본체(100)의 하부에 위치된다.
이때, 체인(C)의 일단부는 후크(110)에 고정되며, 체인(C)의 타단부는 체인박스(300)의 수용공간(310)에 쌓여 수용된다.
이후, 지상에 놓여진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본체(100)는 이송부(I)에 의해 모노레일(M)을 따라 중량물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된다.
다음으로, 체인 호이스트를 조작하여 본체(100)의 하부에 배치된 후크(110)를 하강시킨다.
이때, 구동모터는 롤러(200)를 회전시키고, 롤러(200)의 회전에 의해 후크(110)는 하강된다.
이때, 체인박스(300)의 수용공간(310)에 수용된 체인(C)은 체인박스(300)의 체인공(320)을 통해 외부로 상승된다.
즉, 롤러(200)가 정회전되면서 체인박스(300) 내의 체인(C)을 감아 올리는 것이다.
한편, 체인(C)은 가이드 부재(400)의 가이드공(420)을 통과하면서 엉켜있던 부위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으로 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체인(C)이 가이드공(420)을 통과하면서 일직선으로 펴짐에 따라, 상기 체인(C)은 체인박스(300)의 상부에 설치된 롤러(200)를 이탈하지 않고 원활하게 감겨 올라갈 수 있게 된다.
이후, 후크(110)가 중량물에 근접하게 하강되면, 중량물을 후크(110)에 걸어 고정시킨 후, 후크(110)를 상승시킨다.
이때, 구동모터는 롤러(200)를 역회전시키게 되고, 롤러(200)의 역회전에 의해 후크(110)에 고정된 체인(C)은 롤러(200)에 감겨 상승됨에 따라 후크(110)는 중량물을 매단채 상승된다.
이때, 체인(C)은 롤러(200)에 감겨 상승한 후 체인박스(300)의 체인공(320)을 통해 수용공간(310)으로 수용되며, 가이드부재(400)의 가이드공(420)을 통해 수용공간(310)의 하부에 쌓여 배치된다.
이후, 정해진 장소로 본체(100)를 이송하여 중량물을 운반한 후, 후크(110)를 하강시킴으로써 중량물에 대한 운반이 완료된다.
이때, 중량물을 매단 후크(110)가 하강되는 과정은, 전술한 후크(110) 하강에 따른 일련의 과정과 동일함은 이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체인 호이스트는 후크 하강시, 체인박스에 수용된 체인이 체인박스의 외부로 상승되는 과정에서 체인이 엉키거나 접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롤러에 유연하게 감겨 상승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체인이 롤러로부터 이탈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되며, 체인 호이스트의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본체 110 : 후크
200 : 롤러 300 : 체인박스
310 : 수용공간 320 : 체인공
400 : 가이드부재 410 : 지지대
420 : 가이드공 I : 이송부
M : 모노레일 C : 체인

Claims (3)

  1.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체인을 감아 올리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하방에 설치되며 롤러의 회전에 의해 하강된 체인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는 체인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체인 호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체인박스의 상부에는 상기 체인이 수용공간을 드나드는 체인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인박스 내부에는 상기 체인공과 일직선 방향으로 대응되며, 체인의 너비에 대응되는 가이드공을 포함하는 가이드 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호이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체인박스의 상부로부터 수용공간을 향하도록 고정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공은 지지대의 하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호이스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박스는 본체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가이드 부재는 체인박스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호이스트.

KR2020120005014U 2012-06-13 2012-06-13 체인 호이스트 장치 KR201300072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014U KR20130007297U (ko) 2012-06-13 2012-06-13 체인 호이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014U KR20130007297U (ko) 2012-06-13 2012-06-13 체인 호이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297U true KR20130007297U (ko) 2013-12-23

Family

ID=52440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014U KR20130007297U (ko) 2012-06-13 2012-06-13 체인 호이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729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605U (ko) * 2015-04-09 2016-10-19 주식회사 엘케이 다목적 호이스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605U (ko) * 2015-04-09 2016-10-19 주식회사 엘케이 다목적 호이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5225B2 (ja) 巻上げ装置
RU2017134128A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239990B1 (ko) 미니크레인
KR20030012146A (ko)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한 기중 장치
CN104326283A (zh) 适用于带多点分料装置的抓斗卸船机
KR20130053486A (ko) 체인 호이스트 승강장치
KR102283705B1 (ko) 천정 로봇 크레인
JP6628310B2 (ja) 鉄塔組立・解体用デリック
KR20130007297U (ko) 체인 호이스트 장치
KR100531510B1 (ko) 호이스트
KR20160086573A (ko) 크레인
KR20010021248A (ko) 크레인 장치
KR20140122488A (ko) 회전형 리프트 크레인
CN108083085B (zh) 一种吊具上架、起升机构及起重机
CN103496628B (zh) 一种钢卷翻转吊具
KR200341232Y1 (ko) 호이스트
CN112479032A (zh) 一种龙门吊起重机
KR20100097863A (ko) 부재의 방향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
JP200823078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ケーブル吊手装置
JP2015189542A (ja) 岸壁クレーン
JP6756077B2 (ja) 岸壁クレーン
RU2784555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грузов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груза в рабочем пространстве
JP2020111432A (ja) クレーンとワイヤリング方法
JP6208069B2 (ja) クレーンの製造方法及びクレーンの上架構造体の上架システム
CN213569121U (zh) 吊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