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120U -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120U
KR20130007120U KR2020120008068U KR20120008068U KR20130007120U KR 20130007120 U KR20130007120 U KR 20130007120U KR 2020120008068 U KR2020120008068 U KR 2020120008068U KR 20120008068 U KR20120008068 U KR 20120008068U KR 20130007120 U KR20130007120 U KR 201300071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actuator device
fixing member
lens actuator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0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307Y1 (ko
Inventor
리-테 쿠오
잉 치 초
웨이-웬 슈
Original Assignee
와 홍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 홍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와 홍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071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1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3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23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tilting or inclin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는, 고정부재, 렌즈모듈이 장착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광축 방향으로 롤링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 및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제한 구조체를 포함한다. 고정부재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이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된다. 구동유닛은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의 축선 방향은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에 수직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은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롤링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위치 제한 구조체는 상기 이동부재의 외면과 상기 고정부재의 내면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볼 또는 돌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이 상기 광축 방향에 평행하도록 규제한다.

Description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ACTUATING DEVICE FOR LEN}
본 고안은 엑츄에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학렌즈 구동에 이용되는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메라 렌즈의 엑츄에이터 모듈은 자성체와 도전 코일을 각각 렌즈모듈과 베이스에 설치하고, 상기 자성체와 상기 코일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과 전기장의 상호 작용을 이용하고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렌즈모듈을 구동하여 포커싱 이동을 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출원인이 이미 특허등록을 받은 대만특허 제I343165호에 개시된 "광학장치"는, 렌즈, 상기 렌즈의 일측에 위치한 코일 및 자성체를 구비하고, 렌즈와 코일 사이에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상기 가이드 로드의 안내 및 코일의 자성체가 공급한 구동력을 받아 광축 방향으로 전후진 운동을 한다. 다만, 이와 같은 방식은 코일과 자성체가 반경 방향으로 배열됨에 있어 비교적 큰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본 고안 출원인은 상기 개선이 필요한 문제점에 기하여 대만특허출원 제101115361호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를 제출하여 가이드 로드의 배치 구조를 개선하여 공간을 절약하고 조립이 편리해지도록 하였다. 다만, 본 고안 출원인은 렌즈가 측방향 편이가 없이 정확하게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더욱 완벽한 기술을 구현하고자 본 고안을 안출하였다.
본 고안은, 종래의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의 조립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개선하고 렌즈가 측방향 편이가 없이 정확하게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일종의 엑츄에이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는, 고정부재,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광축 방향으로 롤링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 및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제한 구조체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 내부에 설치되며 렌즈모듈이 장착된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의 축선 방향은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에 수직이 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은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롤링 가능하게 설치된다. 각각의 위치 제한 구조체는 상기 이동부재의 외면과 상기 고정부재의 내면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볼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이 상기 광축 방향에 평행하도록 규제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는, 고정부재,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광축 방향으로 롤링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 및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제한 구조체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고정부재 내부에 설치되고 렌즈모듈이 장착된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의 축선 방향은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에 수직이 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은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롤링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위치 제한 구조체는 상기 이동부재의 외면과 상기 고정부재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이 상기 광축 방향에 평행하도록 규제한다.
본 고안은 적어도 아래와 같은 장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롤링축을 이용하여 이동부재가 구동유닛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한정하며, 롤링축은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한정구조체에 의해 렌즈모듈이 측방향으로 편이하지 않고 정확하게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설계는 롤링축의 조립시 미세한 오차로 인해 이동부재가 편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에 관한 설명과 아래 실시방식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적으로 해석한 것이며 본 고안의 등록청구범위에 대해 추가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의 사시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의 다른 하나의 사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의 사시 조립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의 다른 하나의 사시 조립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의 사시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도 6에 따른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이들 도면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의 사시 분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는 고정부재(1), 이동부재(2), 구동유닛(3), 광축 방향으로 롤링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4), 위치 감지 부재(5) 및 측향 견인 부재(6)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는 도 1의 전측과 같이 고정부재(1)의 일측면에 위치한 지지부(11)를 포함하며, 지지부(11)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4)의 롤링 방향을 안내한다. 지지부(11)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이거나 또는 상기 이동부재(2)의 이동방향에 평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1)는 상기 이동부재(2)의 이동방향에 평행하는 2개의 돌출 바(113)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4)은 지지부(11)에 가압적으로 접촉한다. 지지부(11)의 외측에는 둘씩 서로 대향하며 롤링축(4)의 이동 범위를 한정하는 4개의 위치한정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고정부재(1)는 상기 지지부(11)와 대향하는 위치한정판(12)을 포함하며, 위치한정홈(120)은 위치한정판(12)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위치한정판(12)에 있어서 위치한정홈(120)이 형성된 내측은 지지부(11)에 밀착된다. 고정부재(1)의 하부에는 중공의 걸림판(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판(13)의 홀 직경은 상기 이동부재(2)의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이동부재(2)가 바닥까지 하강한 경우 상기 걸림판(13)에 막힘으로써 이동이 정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걸림판(13)이 이동부재(2)에 접촉하는 부위는 한정되지 않으며, 이동부재(2)를 막는 기능을 구현할 수만 있다면 이동부재(2)의 그 어떤 위치에도 접촉할 수 있다.
이동부재(2)는 고정부재(1)의 내부에 설치되며, 이동부재(2) 내부에는 렌즈모듈(9)이 실장될 수 있으며,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렌즈모듈(9)의 포커싱 이동을 진행할 수 있다. 이동부재(2)는 베이스부(21), 상기 베이스부(21)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22) 및 상기 연장부(22)에 위치한 지탱부(23)를 포함한다. 지탱부(23)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이거나 또는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바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4)은 연장부(22)를 관통하여 지탱부(23)와 가압적으로 접촉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부(22)는 U자형을 이루며, 하나의 패널(221) 및 양측판(222)을 포함하며, 양측판(222)의 일단은 베이스부(21)에 연결되고 타단은 패널(221)에 연결된다. 양측판(222)은 각각 2개의 관통홀(223)을 구비하고, 양측판(222)상의 관통홀(223)은 둘씩 서로 대향한다. 상기 관통홀(223)의 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4)의 직경보다 크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4)이 상기 관통홀(223)을 관통할 때 상기 관통홀(223) 내에서 롤링할 수 있다. 지탱부(23)는 패널(221) 내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탱부(23)는 이동부재(2)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는 4개의 돌출 바이며,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관통홀(223) 사이마다 2개의 돌출 바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이동부재(2) 및 그 렌즈모듈(9)이 측방향 편이 또는 경사짐이 없이 정확하게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한쌍의 위치 제한 구조체(25)를 제공한다. 각각의 상기 위치 제한 구조체(25)는 상기 이동부재(2)의 외면(210)과 상기 고정부재(1)의 내면(1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2)의 이동 방향이 상기 광축 방향에 평행하도록 하는 다수의 볼(251)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상기 위치 제한 구조체(25)는 상기 이동부재(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수용부(252)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252)에는 상기 다수의 볼(251)을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볼 수용홈(25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위치 제한 구조체(25)와 상기 한쌍의 자석(31)은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위치 제한 구조체(25)와 상기 한쌍의 자석(31)은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구동유닛(3)은 고정부재(1)와 이동부재(2)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부재(2)의 구동력을 제공한다. 구동유닛(3)은 한쌍의 자석(31) 및 하나의 코일(32)을 포함한다. 상기 한쌍의 자석(31)은 이동부재(2)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코일(32)은 고정부재(1)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상기 한쌍의 자석(31)은 대략 삼각기둥 형상으로 상기 이동부재(2)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롤링축(4)과 대향하며, 상기 코일(32)은 상기 고정부재(1)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특징중의 하나는 정사각형 내부 공간을 가진 고정부재(1)와 원통형의 이동부재(2) 사이의 코너 공간을 이용하여 삼각기둥 형상의 상기 한쌍의 자석(31)이 상기 코너 공간을 유용하게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한쌍의 위치 제한 구조체(25)와 상기 한쌍의 자석(31)이 대향하여 설치된 것도 상기 코너 공간을 유용하게 이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공간을 절감하는 목적은 동일한 공간 내에 직경이 더욱 큰 이동부재(2)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즉 더욱 큰 직경의 렌즈모듈(9)을 수용하여 더욱 바람직한 광학적 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본 고안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석과 코일 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코일(32)은 하나로 선택되며 고정부재(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자석(31) 수는 2개이며 이동부재(2)에 있어서 코일(32)을 마주하는 방향의 좌우 양단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코일(32)에 전기가 흐르면 도전된 코일(32)과 자석(31)이 발생시킨 자기장과 전기장이 상호 작용한 후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따라 광축 방향에서 구동력을 발생시켜 렌즈모듈(9)이 포커싱 이동을 하도록 렌즈모듈을 구동시킨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4)은 광축 방향으로 롤링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4)의 축선 방향은 이동부재(2)의 이동 방향과 서로 수직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4)은 이동부재(2)를 관통하여 롤링 가능하게 지지부(11)에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4)은 이동부재(2)에 있어서 구동유닛(3)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롤링축(4)의 수는 2개이며, 각 롤링축(4)은 이동부재(2)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관통홀(223)을 관통하며 동시에 지탱부(23) 및 지지부(11)와 가압적으로 접촉한다.
위치 감지 부재(5)는 고정부재(1)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이동부재(2)의 위치를 감지한다. 위치 감지 부재(5)는 자기장 변화 감지소자, 광 강도 변화 감지소자, 전기장 변화 감지소자 또는 응력 변화 감지소자 등일 수 있으며,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위치 감지 부재(5)는 나아가 위치감지 및 제어유닛(8)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감지 및 제어유닛(8)은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부재(1)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감지 및 제어유닛(8)은 이동부재(2)의 위치를 감지하고 구동유닛(3)의 구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방식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 및 제어유닛(8)은 도 1과 같이 상기 고정부재(1)의 측벽의 노치(111) 내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감지 및 제어유닛(8)은 상기 자석(31) 중의 어느 하나에 인접하고 상기 코일(32)의 타측에 배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위치감지 및 제어유닛(8)은 위치 감지 부재(미도시)와 제어유닛(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감지 부재는 이동부재(2)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구동유닛(3)의 구동력을 조정한다. 상기 위치 감지 부재는 자기장 변화 감지소자, 광 강도 변화 감지소자, 전기장 변화 감지소자 또는 응력 변화 감지소자이다.
측향 견인 부재(6)는 고정부재(1)에 설치되어 코일(32) 외측에 위치하며, 코일(32)의 자기장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조립후 도 3과 같다. 또한, 측향 견인 부재(6)는 자석(31)과 서로 흡인함으로써, 이동부재(2)에 측향 견인 부재(6) 방향으로의 흡착력을 발생시킨다. 이동부재(2)가 측향 견인 부재(6)의 우측으로 편향할 경우, 이동부재(2)가 받는 좌우 방향의 흡착력이 평형을 이루지 않게 되어 좌측 방향의 힘을 발생시켜 이동부재(2)가 중앙 위치로 돌아오게 하며, 이와 상반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측향 견인 부재(6)는 이동부재(2)를 교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예의 측향 견인 부재(6)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전도성 요크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요크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에서 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에 일측이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32)의 상부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코일(32)의 하부 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상기 자기 전도성 요크는 상기 한 쌍의 자석(31) 및 상기 코일(32)에 인접하고 상기 고정부재(1)의 일 외측에 편이되어 근접하여 있다. 본 실시예의 상기 위치 제한 구조체(25)의 수는 하나일 수 있으며, 그 위치는 상기 고정부재(1)의 상기 외측으로 편향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자기 전도성 요크와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우측에 편향되어 있다. 이로써, 자기 전도성 요크는 이동부재(2)가 우측으로 편향되도록 흡인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으로 편이하여 근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기 전도성 요크는 상기 위치 제한 구조체(25)를 흡인하여 상기 고정부재(1)의 상기 외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며 상기 이동부재(2)의 외면이 상기 다수의 볼(251)을 밀어 상기 고정부재(1)의 내면(110)에 가압적으로 접촉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고정부재(1) 하부에 설치된 이미지감지모듈(7)을 구비하고, 상기 이미지감지모듈(7)은 이미지센서(71), 연성 회로판(72) 및 필터(7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는 연성 회로판(72)의 일측에 있어서 일단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이미지센서(71)는 평면을 이루며 연성 회로판(72)에 있어서 고정부재(1)와 마주하는 측에 고정되며, 이미지센서(71)의 법선 방향은 광축에 평행한다. 필터(73)은 이동부재(2)와 이미지센서(71) 사이에 위치하고, 걸림판(13)에 있어서 이미지센서(71)에 가까운 측에 고정 설치되어 필터(73)을 통과하는 비가시광선을 여과하여 제거한다.
렌즈모듈(9)은 이동부재(2)에 설치되며, 렌즈모듈(9)은 피사체를 이미지센서(71)에 결상시킨다. 이동부재(2)가 이동함에 따라 렌즈모듈(9)을 구동시켜 피사체에 대해 적절히 포커싱을 하도록 하여 피사체의 이미지가 선명하게 결상되어 이미지센서(71)에 감지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렌즈모듈(9)는 핀홀 렌즈(Pinhole Lens), 단일 렌즈(Single lens), 표준 렌즈(Standard lens), 프라임 렌즈(prime lens), 장초점 렌즈(Telephoto lens), 단초점 렌즈(short-focus lens), 광각 렌즈(wide-angle lens) 또는 매크로 렌즈(macro lens)일 수 있다. 렌즈모듈(9)의 결상 방식은 핀홀 결상, 단일 렌즈 반사형 결상, 레인지 파인더(Range finder), 단일 렌즈 결상 또는 복수 렌즈 결상의 방식일 수 있다.
조립시, 2개의 롤링축(4)을 각각 이동부재(2)의 2개의 서로 대향하는 관통홀(223)을 관통시키고, 2개의 롤링축(4)의 양단을 위치한정홈(120) 내에 위치시킨다. 이때 고정부재(1)의 지지부(11) 및 이동부재(2)의 지탱부(23)는 동시에 롤링축(4)에 가압적으로 접촉하며, 따라서 상기 롤링축(4)을 이용하여 이동부재(2)의 코일(32) 방향으로의 흡착력에 저항하는 힘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롤링축(4)을 이용하여 이동부재(2)가 구동유닛(3)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며, 롤링축(4)은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위치 제한 구조체(25)에 의해 렌즈모듈(9)이 측방향으로 편이하지 않고 정확하게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설계는 롤링축(4)의 조립시 미세한 오차로 인해 이동부재(2)의 편이를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들 도면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의 사시 분해도 및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와의 상이점은,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제한 구조체가 상기 이동부재(2)의 외면과 상기 고정부재(1)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225)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이동부재(2)의 이동 방향이 상기 광축 방향에 평행하도록 규제하는 것에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재(2)는 상기 실시예와 유사하여, 베이스부(21), 상기 베이스부(21)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22) 및 상기 연장부(22)에 위치한 지탱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4)은 상기 연장부(22)를 관통하며, 상기 연장부(22)의 양측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위치 제한 구조체 즉 돌기(225)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장부(22)의 양측면에는 각각 2개의 돌기(2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돌기는 관통홀(223)에 인접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에는 전방 개구(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 개구(112)에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내면(1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22)는 상기 전방 개구(112)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225)는 상기 2개의 내면(1120)에 가압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이동부재(2)에 형성되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다수의 돌기(225)를 위치 제한 구조체로서 고정부재(1)의 내면(1120)에 가압적으로 접촉시켜, 이동부재(2)의 연장부(22)가 고정부재(1)의 전방 개구(112) 내에서만 광축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렌즈모듈(9)이 측방향으로 편이하지 않고 정확하게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설계는 롤링축(4)의 조립시 미세한 오차로 인해 이동부재(2)가 편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설명하면, 상기 돌기는 고정부재(1)의 내면(11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개시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고안의 등록청구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진행되는 균등 변화 또는 수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 고정부재 11 지지부
110 내면 111 노치
112 전방 개구 1120 내면
12 위치한정판 120 위치한정홈
13 걸림판 2 이동부재
21 베이스부 210 외면
22 연장부 221 패널
222 측판 223 관통홀
225 돌기 23 지탱부
25 위치 제한 구조체 250 볼 수용홈
251 볼 252 수용부
3 구동유닛 31 자석
32 코일 4 롤링축
5 위치 감지 부재 6 측향 견인 부재
7 이미지감지모듈 71 이미지센서
72 연성 회로판 73 필터
8 위치감지 및 제어유닛 9 렌즈모듈
113 돌출 바

Claims (11)

  1. 지지부를 가진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 내부에 설치되고 렌즈모듈이 장착되며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축선 방향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에 수직되고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롤링 가능하게 설치되며 광축 방향으로 롤링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 및
    상기 이동부재의 외면과 상기 고정부재의 내면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볼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이 상기 광축 방향에 평행하도록 규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제한 구조체를 포함하는,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한 쌍의 자석 및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자석은 대략 삼각기둥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이동부재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롤링축과 대향하며, 상기 코일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 설치된,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된 측향 견인 부재를 더 포함하는,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측향 견인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 전도성 요크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전도성 요크는 상기 한 쌍의 자석 및 상기 코일에 인접하고, 상기 고정부재의 일 외측으로 편이하여 근접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제한 구조체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외측으로 편향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기 전도성 요크는 상기 위치 제한 구조체가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외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흡인하며, 상기 이동부재의 외면이 상기 다수의 볼을 밀어 상기 고정부재의 내면에 가압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는,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제한 구조체는 상기 이동부재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다수의 볼을 수용하는 다수의 볼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이거나 또는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바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은 상기 지지부에 가압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위치한 지탱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탱부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이거나 또는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에 평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바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은 상기 연장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탱부에 가압적으로 접촉하는,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이동부재의 위치를 감지하고 구동유닛의 구동력을 조정하는 위치감지 및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감지 및 제어유닛은 상기 고정부재의 측벽 내에 고정 설치되고, 여기서 상기 위치감지 및 제어유닛이 상기 자석 중의 어느 하나에 인접되어 있는,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위치감지 및 제어유닛은 위치 감지 부재와 제어유닛을 포함하거나 또는 위치 감지 부재만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 감지 부재는 자기장 변화 감지소자, 광 강도 변화 감지소자, 전기장 변화 감지소자 또는 응력 변화 감지소자인,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
  9. 지지부를 가진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내에 설치되고 렌즈모듈이 장착되며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축선 방향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에 수직되고,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롤링 가능하게 설치되고 광축 방향으로 롤링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 및
    상기 이동부재의 외면과 상기 고정부재의 내면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돌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방향이 상기 광축 방향에 평행하도록 규제하는 위치 제한 구조체를 포함하는,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위치한 지탱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링축은 상기 연장부를 관통하고, 상기 연장부의 양측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위치 제한 구조체가 설치된,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전방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 개구에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내면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전방 개구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상기 2개의 내면에 가압적으로 접촉하는,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

KR2020120008068U 2012-05-30 2012-09-11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 KR20047130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1210396 2012-05-30
TW101210396U TWM443190U (en) 2012-05-30 2012-05-30 Actuating device for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120U true KR20130007120U (ko) 2013-12-11
KR200471307Y1 KR200471307Y1 (ko) 2014-02-12

Family

ID=48089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068U KR200471307Y1 (ko) 2012-05-30 2012-09-11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471307Y1 (ko)
CN (1) CN202929272U (ko)
TW (1) TWM44319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6047A1 (ko) * 2016-05-09 2017-11-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057593A (ko) * 2016-03-18 2018-05-3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74097B (zh) * 2012-12-26 2017-03-1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相機致動器殼體
TWI464479B (zh) * 2013-02-08 2014-12-11 Wah Hong Ind Corp 鏡頭致動裝置
CN104035180B (zh) * 2013-03-07 2016-04-06 华宏新技股份有限公司 镜头致动装置
JP6187906B2 (ja) * 2013-10-22 2017-08-30 新シコー科技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651458B1 (ko) * 2014-07-08 2016-08-26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모듈
CN114815447A (zh) * 2021-01-19 2022-07-29 晋城三赢精密电子有限公司 镜头模组及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21231B1 (fr) 1994-06-21 1996-09-06 Wheelabrator Allevard Procédé d'atomisation d'un matériau liquide dispersable.
KR100849580B1 (ko) 2007-04-10 2008-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1089991B1 (ko) 2009-11-20 2011-12-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렌즈 이송 장치
KR101182775B1 (ko) * 2010-05-27 2012-09-1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593A (ko) * 2016-03-18 2018-05-3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17196047A1 (ko) * 2016-05-09 2017-11-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10656375B2 (en) 2016-05-09 2020-05-19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US11280979B2 (en) 2016-05-09 2022-03-22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US11675157B2 (en) 2016-05-09 2023-06-13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443190U (en) 2012-12-11
CN202929272U (zh) 2013-05-08
KR200471307Y1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307Y1 (ko) 렌즈 엑츄에이터 장치
JP5839244B2 (ja) レンズ作動装置
KR102140582B1 (ko) 다축 구조의 반사계 구동장치
KR102071953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 기기
US9380212B2 (en) Camera module
JP5955609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5875378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20190101762A (ko) 카메라 모듈
CN111630451B (zh) 透镜组件以及具有透镜组件的摄像头模块
TWI491161B (zh) 致動器及具有該致動器之相機模組
JP2008216927A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1820063B1 (ko) 지그
KR101319169B1 (ko) 카메라 시스템
KR101553745B1 (ko) 렌즈 작동장치
JP5574292B2 (ja)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
JP5781883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5912825B2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1874431B1 (ko) 3차원 초소형 카메라모듈의 자동초점조절장치
JP6602422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319178B1 (ko) 렌즈 이동장치
KR20200060201A (ko) 카메라 모듈
JP2021067818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344455B1 (ko) 렌즈 구동장치
CN214174722U (zh) 自动对焦马达
KR101820060B1 (ko) 카메라 모듈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