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807U - 허리밀착 의자 - Google Patents

허리밀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807U
KR20130005807U KR2020120002455U KR20120002455U KR20130005807U KR 20130005807 U KR20130005807 U KR 20130005807U KR 2020120002455 U KR2020120002455 U KR 2020120002455U KR 20120002455 U KR20120002455 U KR 20120002455U KR 20130005807 U KR20130005807 U KR 201300058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seat
plate
backrest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283Y1 (ko
Inventor
이두형
Original Assignee
이두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형 filed Critical 이두형
Priority to KR2020120002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28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8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8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2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2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허리밀착 의자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좌판과, 상기 좌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록킹부와, 상기 록킹부와 일측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등받이부, 및 상기 좌판과 상기 록킹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판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허리밀착 의자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허리밀착 의자 {Contact the chair back}
본 고안은 사용자의 허리와 등받이가 밀착될 수 있는 허리밀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판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항상 등받이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는 허리밀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업무를 수행하거나, 교육을 받을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의 일측에 엉덩이가 치우치도록 착석게 된다.
즉, 통상의 의자는 사용자가 좌판에 앉을 경우 사용자의 등을 등받이에 기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안한 착석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을 등받이(10)에 기대지 않은 상태에서 업무를 수행하거나 교육을 받는다.
따라서, 단시간에는 사용에 무리가 없으나, 사무를 보는 직장인이나, 교육을 받는 학생인 경우에는 장시간 의자에 착석한 상태로 업무를 수행함으로써, 바르지 못한 자세로 인해 허리에 무리가 가해져 허리통증을 호소하거나, 쉽게 피로를 느끼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좌판(20)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식을 취하기 위해 등을 등받이에 기댈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엉덩이만을 지지함으로써, 편안한 휴식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 오히려 사용자의 피로와 불쾌감을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허리밀착 의자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한 좌판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업무 및 교육을 받을 경우에는 좌판을 등받이이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좌판의 면적을 축소시켜 사용자의 엉덩이가 좌판에 걸치는 형태로 착석을 하더라도 사용자의 등이 등받이와 밀착되어 등받이에 기댈 수 있도록 한 허리밀착 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좌판과, 상기 좌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록킹부와, 상기 록킹부와 일측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등받이부, 및 상기 좌판과 상기 록킹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판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허리밀착 의자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와 일측이 고정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등받이부가 틸팅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한 록킹수단과, 상부가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좌판 및 등받이부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한 받침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는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게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등받이판과, 상기 등받이판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등받이판의 폭방향 좌우 양측에 위치되되, 상기 좌판이 위치되는 부분에는 상기 좌판의 폭방향 길이보다 큰 폭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좌판이 상기 등받이판의 후방으로의 수평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지지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록킹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요철홈이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좌판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이송레일, 및 상기 이송레일과 인접하게 좌판의 하부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요철홈이 일부분이 삽입 또는 인출되는 방식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레일의 위치를 구속할 수 있는 구속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좌판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과, 일측 끝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 파지부가 마련되고 타측 끝단에는 상기 브라켓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파지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요철홈에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한 구속부재로 이루어진 조절레버 및 상기 브라켓과 구속부재가 힌지결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레버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는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게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등받이판과, 상기 등받이판을 지지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등받이판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록킹부의 지지부재와 결합되되, 상기 좌판이 위치되는 부분에 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좌판의 수평방향 이동시 상기 좌판과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지지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판은 상기 등받이부가 설치된 일측 중앙부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좌판이 등받이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식을 취하거나 업무를 수행할 경우 사용자의 등을 등받이에 기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안한 자세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밀착 의자는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쉽고 간편하며, 제작시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의자에 착석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의자에 사용자가 기대어 휴식을 취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밀착 의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밀착 의자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허리밀착 의자의 변경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밀착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좌판이 슬라이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밀착 의자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허리밀착 의자(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밀착 의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밀착 의자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도이다.
이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밀착 의자(100)는 좌판(110)이 등받이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좌판(110)과, 상기 좌판(1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좌판(110)을 지지하는 록킹부(120)와, 상기 록킹부(120)와 일측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등받이부(130) 및 상기 좌판(110)과 상기 록킹부(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판(110)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좌판(110)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판(110)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좌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착좌시 탄성력을 제공하여 푹신하고 편안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록킹부(120)는 상기 좌판(11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좌판(110)이 지면에 대해 상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좌판(110) 및 후술하는 등받이부(130)가 틸팅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한 느낌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록킹부(1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슬라이드부(140)와 일측이 고정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122)와, 상기 지지부재(122)에 설치되어 등받이부(130)가 틸팅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한 록킹수단(124)과, 상부가 상기 지지부재(122)와 결합되어 좌판(110), 등받이부(130) 및 록킹부(120)가 지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한 받침부재(12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지지부재(122)는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측이 후술하는 슬라이드부(140)와 고정결합되고. 하측에는 고정브라켓(123)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또한, 상기 고정브라켓(123)에는 상기 등받이부(130)가 틸팅을 구속하는 록킹수단(124)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록킹수단(124)은 상기 지지부재(122)를 관통하여 상기 등받이부(130)와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길이방향으로 장공(124d)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123)을 관통하는 회전축(124c)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록킹핀(124a)과, 상기 복수개의 록킹핀(124a)을 밀착 또는 이격시켜 등받이부(130)가 틸팅되는 것을 조절하는 조절바(124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록킹핀(124a)이 상기 등받이부(130)와 상단이 결합되도록 하고, 하단은 장공(124d) 내에 상기 고정브라켓(123)을 관통하도록 한 회전축(124c)이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조절바(124b)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된 회전축(124c)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복수개의 록킹핀(124a)이 상호 밀착되거나 이격되어 등받이부(130)가 틸팅될 수 있게 되는 구조이다.
또한, 받침부재(126)는 상부가 상기 지지부재(122)와 결합되고 하부는 지면과 접촉되어 상기 좌판(110) 및 등받이부(130)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126)는 지면에 대해 상기 구성요소인 좌판(110) 및 등받이부(130) 등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하부에 복수개의 바퀴를 설치하여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받침부재(126)의 하부에 논슬립부재를 설치하여 지면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복수개의 바퀴를 설치하여 이동을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상기 좌판(110) 및 등받이부(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그 구성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한편, 상기 록킹부(120)의 일측에는 상기 좌판(11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등받이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도록 한 등받이판(132)과, 상기 등받이판(132)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지지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등받이판(132)은 전술한 좌판(110)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재질 역시 강성을 갖는 재질 또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34)는 상기 등받이판(132)과 상기 록킹부(120)를 연결하여 상기 등받이판(132)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1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판(132)의 폭방향 좌우 양측에 위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등받이판(132)에 등을 기댈 경우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판(110)이 후술하는 슬라이드부(140)에 의해 등받이부(130)의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 지지대(134)와 접촉되지 않도록 좌판(110)이 위치된 부분에는 상기 좌판(110)의 폭방향 길이보다 큰 폭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여 좌판(110)의 이동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대(134)를 등받이판(132)의 좌우 양측에 위치되도록 형성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등받이판(132)의 중앙에 단일의 지지대(134)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좌판(110)의 후방으로 굴곡이 지도록 형성하여 좌판(110)의 이동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밀착 의자(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대(134)를 후방으로 굴곡이 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지지대(134)를 등받이판(132)의 중앙에 단일로 형성한 후,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10)이 후방으로의 이동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좌판(110)에 홈(110a)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10)이 등받이판(132)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어떠한 자세에서도 등받이판(132)이 사용자의 등과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좌판(110)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10a)을 형성할 경우 치질환자와 같이 의자에 앉기 불편한 사람들의 경우에도 장시간 앉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부(14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밀착 의자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좌판(110)이 슬라이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좌판(110)과 상기 록킹부(120) 사이에는 상기 좌판(11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140)는 상기 록킹부(12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레일(142)과, 상기 좌판(110)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이송레일(144) 및 상기 이송레일(144)과 인접하게 좌판(110)의 하부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42)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레일(144)의 위치를 구속할 수 있는 구속유닛(14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4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부(120)의 지지부재(122) 상부 양측에 상호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42)은 상기 지지부재(122)와 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편(142a)과, 상기 고정편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레일(142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4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고정편(142a)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요철홈(142c)이 형성될 수 있다.
이송레일(144)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142)과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이송레일(144)은 상기 록킹부(120)의 지지부재(122)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42)과 대응되는 위치의 좌판(110) 하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42)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110)과 볼트에 의해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편(144a)과, 상기 고정편(144a)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레일(144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42)에 형성되는 레일(142b)과, 상기 이송레일(144)에 형성되는 레일(144b)에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턱(142d,144d))이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42)에 대해 이송레일(144)이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레일(144)이 설치된 좌판(11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이송레일(144)과 인접한 위치에 구속유닛(146)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속유닛(146)은 좌판(110)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147)과, 일측 끝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 파지부(148a)가 마련되고 타측 끝단에는 상기 브라켓(147)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파지부(148a)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142)에 형성된 요철홈(142c)에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한 구속부재(148b)로 이루어진 조절레버(148)와, 상기 브라켓(147)과 구속부재(148b)가 힌지결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레버(148)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49)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9의 좌측 상단의 확대도 및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절레버(148)의 파지부(148a)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경우 가이드레일(142)의 요철홈(142c)에 삽입된 구속부재(148b)가 이격되면서 이송레일(144) 즉, 좌판(110)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좌판(110)을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킨 후에는 조절레버(148)를 놓아 상기 탄성부재(14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조절레버(148)의 구속부재(148b)가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142)에 형성된 요철홈(142c)에 삽입되어 좌판(110)의 이동을 구속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밀착 의자(100)는 좌판(110)이 등받이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어 휴식을 취하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무를 수행할 경우 사용자의 등을 등받이에 기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안한 자세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밀착 의자(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판(110)을 도면상 전 방향으로 최대 밀착시킨 후 등받이부(130)와 좌판(110) 간에 여유공간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 의자에서 양반다리로 앉는 사람들의 경우에도 불편함 없이 앉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즉, 기존의 일반 의자의 경우에는 좌판(110)과 등받이판(132)의 간격이 좁아 양반다리로 앉을 경우 제대로 앉을 수 없어 무릎부분이 좌판(110)의 끝부분에 살짝 걸치는 형태로 앉을 수 있어 불편하였으나, 본 고안의 일 실 실시예에 따른 허리밀착 의자(100)는 좌판(110)과 등받이부(130)의 거리가 일반의자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어 양반다리로 앉아도 불편함이 없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쉽고 간편하며, 제작시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허리밀착 의자 110 : 좌판
120 : 록킹부 122 : 지지부재
123 : 고정브라켓 124 : 록킹수단
124a : 록킹핀 124b : 조절바
124c : 회전축 124d : 장공
126 : 받침부재 130 : 등받이부
132 : 등받이판 134 : 지지대
140 : 슬라이드부 142 : 가이드레일
142a : 고정편 142b : 레일
142c : 요철홈 142d : 걸림턱
144 : 이송레일 144a : 고정편
144b : 레일 144d : 걸림턱
146 : 구속유닛 147 : 브라켓
148 : 조절레버 148a : 파지부
148b : 구속부재 149 : 탄성부재

Claims (7)

  1. 좌판과,
    상기 좌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좌판을 지지하는 록킹부와,
    상기 록킹부와 일측이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등받이부, 및
    상기 좌판과 상기 록킹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판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허리밀착 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와 일측이 고정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등받이부가 틸팅되는 것을 구속할 수 있도록 한 록킹수단과,
    상부가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좌판 및 등받이부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한 받침부재로 구성되는 허리밀착 의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게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등받이판과,
    상기 등받이판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등받이판의 폭방향 좌우 양측에 위치되되, 상기 좌판이 위치되는 부분에는 상기 좌판의 폭방향 길이보다 큰 폭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좌판이 상기 등받이판의 후방으로의 수평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지지대로 구성되는 허리밀착 의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록킹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요철홈이 형성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좌판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이송레일, 및
    상기 이송레일과 인접하게 좌판의 하부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요철홈이 일부분이 삽입 또는 인출되는 방식으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레일의 위치를 구속할 수 있는 구속유닛으로 구성되는 허리밀착 의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속유닛은:
    상기 좌판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과,
    일측 끝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 파지부가 마련되고 타측 끝단에는 상기 브라켓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파지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요철홈에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한 구속부재로 이루어진 조절레버, 및
    상기 브라켓과 구속부재가 힌지결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조절레버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허리밀착 의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사용자가 등을 기댈 수 있게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등받이판과,
    상기 등받이판을 지지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등받이판의 중심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록킹부의 지지부재와 결합되되, 상기 좌판이 위치되는 부분에 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좌판의 수평방향 이동시 상기 좌판과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허리밀착 의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판은 상기 등받이부가 설치된 일측 중앙부에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밀착 의자.
KR2020120002455U 2012-03-28 2012-03-28 허리밀착 의자 KR2004712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455U KR200471283Y1 (ko) 2012-03-28 2012-03-28 허리밀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455U KR200471283Y1 (ko) 2012-03-28 2012-03-28 허리밀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07U true KR20130005807U (ko) 2013-10-08
KR200471283Y1 KR200471283Y1 (ko) 2014-02-13

Family

ID=5141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455U KR200471283Y1 (ko) 2012-03-28 2012-03-28 허리밀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28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534B1 (ko) * 2014-06-05 2015-03-23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다기능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JP2020049117A (ja) * 2018-09-28 2020-04-02 コクヨ株式会社 椅子
CN113907550A (zh) * 2021-12-01 2022-01-11 浙江凯越家具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健身锻炼效能的铝制办公椅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4645A (ja) * 1996-04-30 1997-11-18 Itoki Crebio Corp 椅 子
JP3065387U (ja) * 1997-08-20 2000-02-02 谷口 忠道 座椅子並びに座布団
KR100619601B1 (ko) * 2005-11-21 2006-09-06 주식회사 코아스웰 틸팅리미트 및 로킹 가능한 의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534B1 (ko) * 2014-06-05 2015-03-23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다기능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JP2020049117A (ja) * 2018-09-28 2020-04-02 コクヨ株式会社 椅子
CN113907550A (zh) * 2021-12-01 2022-01-11 浙江凯越家具制造有限公司 一种具有健身锻炼效能的铝制办公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283Y1 (ko)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9951B2 (ja) 活性化プラットホーム
KR101348803B1 (ko) 척추 및 허리 보호를 위한 의자
JP2010505507A5 (ko)
TWM447725U (zh) 座椅的調整裝置
KR200471283Y1 (ko) 허리밀착 의자
JP2016022185A (ja) 座浴用車椅子
KR20160112475A (ko) 골반 운동 및 앉은 허리자세 교정용 의자
KR101603998B1 (ko) 요추의 지지위치가 가변되는 의자
KR101296612B1 (ko) 의자 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KR20100059407A (ko) 등받이의 위치조절 기능이 구비된 의자
JP3137036U (ja) 椅子
US8973996B2 (en) Congregational prayer chair
KR101378063B1 (ko) 등판 위치조절 가능한 의자
KR200476283Y1 (ko) 접이식 쇼파
JP5285433B2 (ja) 背中支持具
KR101384102B1 (ko) 의자
JP5172561B2 (ja) 折り畳み椅子
CN206151781U (zh) 一种按摩垫可翻转按摩椅
JP6817057B2 (ja) 椅子を具備する移乗支援装置
KR102290271B1 (ko)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KR200471916Y1 (ko) 의자의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
JP2019058357A (ja) 車椅子
KR20140129627A (ko) 복합운동기구를 겸비한 의자
JPH09327348A (ja) 学習机用椅子
JP2002238700A (ja) ソファ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