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523A - 서장구분기 스태커모듈 - Google Patents
서장구분기 스태커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5523A KR20130005523A KR1020110066974A KR20110066974A KR20130005523A KR 20130005523 A KR20130005523 A KR 20130005523A KR 1020110066974 A KR1020110066974 A KR 1020110066974A KR 20110066974 A KR20110066974 A KR 20110066974A KR 20130005523 A KR20130005523 A KR 201300055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module
- stacker
- bel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1/00—Measures preceding 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1/02—Forming articles into a stream; Arranging articles in a stream, e.g. spacing, orient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02—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3/08—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using arrangements of conveyor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서장구분기 스태커모듈은, 2개의 스태커(110)가 하나의 세트로서 직렬연결되어 이루어지되 스태커(110)에 복수개의 층이 형성되며 스태커(110)의 각 층에 상기 층수만큼의 포켓(200)이 설치되는 단위모듈(100a); 스태커(110) 각각에 설치되는 제어보드(111); 각각의 제어보드(111)를 통합 제어하도록 단위모듈(100a)에 설치되는 제어수단(115);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단위모듈(100a)은 직렬적으로 복수개 연결되며, 단위모듈(100a)의 직렬배열을 따라서는 각 층별로 우편물을 직렬적으로 운반하다가 해당 포켓(200)에 우편물을 토출하는 우편물 이송수단이 설치되며, 제어수단(115)은 상기 단위모듈에 있는 것들이 서로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우편물 이송수단을 통하여 각 층에서 직렬적으로 운반되는 우편물을 해당 포켓에 토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편물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의 개수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우편물의 흐름이 오류없이 제어되어 해당 포켓(pocket)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수단과 제어보드의 개수가 작아지므로 설치, 유지보수, 교체 등의 어려움이 해소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장구분기 스태커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우편물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의 개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우편물의 흐름이 오류없이 제어되어 해당 포켓(pocket)으로 정확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서장구분기 스태커모듈에 관한 것이다.
서장구분기(letter sorting machine)의 제일 말단에는 우편물의 목적지별 구분칸이 할당되어 있는 스태커모듈(stacker module)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서장구분기(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장구분기(1)는 피더모듈(feeder module, 10), 사전거부모듈(mechanical rejector module, 20), 스캐너모듈(scanner module, 30), 지연모듈(delay module, 40), 프린터모듈(printer module, 50), 리더모듈(reader module, 60), 연결모듈(conjunction module, 70), 버티컬모듈(vertical module, 80), 트위스팅모듈(twisting module, 90), 및 스태커모듈(stacker module, 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피더모듈(10)은 우편물을 정렬시켜 낱장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사전거부모듈(20)은 규격외 우편물, 금속물질 내장 우편물, 뜨거나 비틀어져 정상적인 위치에 있지 않은 우편물과 같은 불량 우편물을 걸러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캐너모듈(30)은 우편번호 및 주소를 영상으로 판독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지연모듈(40)은 스캐너모듈(30)에서 인식이 안 된 우편물을 눈으로 확인한 후 타건을 하기 위하여 약 12초간 지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린터모듈(50)은 판독이 된 우편물에 현광 바코드를 프린터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리더모듈(60)은 프린터모듈(50)에서 프린트된 바코드를 판독하여 검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결모듈(70)은 영상판독, 프린팅, 및 검증작업이 끝나고 목적지가 정해진 우편물을 스태커모듈(100)의 포켓으로 이송하기 전 단계로서 단구분(step sorting)을 위하여 우편물을 눕혀서 이송시켜주는 장치이다.
버티컬모듈(80)은 우편물을 목적지별로 분리하는 수직운송구간이며, 트위스팅모듈(90)은 목적지별로 단(step) 구분이 완료된 우편물을 목적지(destination pocket)에 보내기 위하여 연결모듈(70)에서 눕혀진 우편물을 다시 수직으로 세워주는 구간이다. 스태커모듈(100)은 목적지별로 할당되어 있는 포켓(pocket)으로 우편물을 분류하여 적재하는 구간이다.
상술한 서장구분기는 각 모듈이 중요한 역할을 하기는 하지만, 제일 말단에 위치하는 스태커모듈(100)에서 우편물이 해당 포켓(pocket)으로 빠른 시간 내에 정확히 토출되어야만 우편물의 정체없이 신속한 우편물 분류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스태커모듈(100)에서의 우편물 분배를 위해서 제어수단과 이를 위한 제어보드가 많이 설치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종래의 서장구분기 스태커모듈(100)의 단위모듈(100a)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모듈(100a)은 두 개의 스태커(110)가 직렬배열되어 세트로서 하나의 단위모듈(100a)을 이룬다. 이 때 스태커(110)에는 4개의 층에 각 층별로 3개의 포켓(pocket, 200)이 설치된다. 즉 4층 x 3 열의 포켓 배열을 가진다.
각 스태커(110)에는 우편물 흐름 제어를 위한 전자회로부가 탑재된 제어보드(111)가 설치되며, 2개의 스태커(110)가 하나의 세트로서 운용되기 때문에 2개의 제어보드(111)를 일괄통제하기 위한 제어수단(115)이 단위모듈(100) 별로 하나씩 설치된다.
하나의 단위모듈(100a)에 24개의 포켓(pocket)이 설치되므로, 예컨대, 96개의 포켓(pocket, 200)이 필요한 경우, 4개의 단위모듈(100a)이 필요하다. 그러면 4개의 제어수단(115)과 8개의 제어보드(111)가 설치되어야 한다.
제어보드(111) 및 제어수단(115)은 수리 및 유지관리가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어수단(115)의 세팅이 필요하기도 하다. 또한 제어보드(111) 및 제어수단(115)은 포켓(200)에 우편물을 분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수단, 예컨대 벨트, 롤러 등을 다 설치한 후에 최종적으로 부착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스태커모듈(100)의 조립이 끝난 후에 마지막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어보드(111) 및 제어수단(115)의 개수가 많으면 그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않고 고장시 어느 부분에서 야기된 것인지 찾기도 어렵다. 뿐만 아니라 단위모듈(100a)은 여러개가 직렬로 배열되기 때문에 각 단위모듈(100a)에 있는 제어수단(115)은 오차없이 서로 연동되어야 하는데, 제어수단(115)이 많을수록 이러한 연동 제어에 에러가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로 제어수단(115) 및 제어보드(111)의 수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제어수단 및 제어보드의 수를 최소화하여 제어의 오류 방지와 함께 수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우편물이 해당 포켓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류되어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서장구분기 스태커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장구분기 스태커모듈은,
2개의 스태커가 하나의 세트로서 직렬연결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스태커에는 복수개의 층이 형성되며 상기 스태커의 각 층에 상기 층수만큼의 포켓이 설치되는 단위모듈;
상기 스태커 각각에 설치되는 제어보드;
상기 각각의 제어보드를 통합 제어하도록 상기 단위모듈에 설치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단위모듈은 직렬적으로 복수개 연결되며, 상기 단위모듈의 직렬배열을 따라서는 각 층별로 우편물을 직렬적으로 운반하다가 해당 포켓에 우편물을 토출하는 우편물 이송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단위모듈에 있는 것들이 서로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우편물 이송수단을 통하여 각 층에서 직렬적으로 운반되는 우편물을 해당 포켓에 토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태커가 4개의 층을 가짐으로써 상기 단위모듈이 4층 x 8열의 포켓 배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편물 이송수단은,
우편물이 이송되어 들어오는 주공급벨트에 닿으면서 회전하도록 상기 주공급벨트를 따라 복수개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분배순환벨트;
상기 분배순환벨트와 닿으면서 회전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분배순환벨트 사이에 설치되여 우편물을 끼운채로 이동시키다가 상기 포켓으로 토출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토출순환벨트;
상기 분배순환벨트와 토출순환벨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배순환벨트와 상기 주공급벨트 사이에 끼여서 이동되는 우편물을 상기 토출순환벨트쪽으로 안내할지 아니면 인접하여 있는 다른 분배순환벨트쪽으로 안내할지 결정하는 경로변경수단; 및
상기 주공급벨트와 상기 분배순환벨트 사이에 끼여서 이송되는 우편물을 감지하여 이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도록 설치되는 우편물 감지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경로변경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에서 피드백신호로 전송되어 오는 신호를 입력받아 우편물이 해당 포켓에 안내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순환벨트는 제1롤러 및 제2롤러 사이에 걸쳐져서 회전하고, 상기 분배순환벨트는 제3롤러 및 제4롤러 사이에 걸쳐져서 회전하며, 상기 제3롤러와 상기 제4롤러 사이에는 제5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분배순환벨트가 상기 제3롤러, 제4롤러, 제5롤러에 의해 대략 삼각형의 형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롤러는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롤러는 상기 제5롤러와 상기 제4롤러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편물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의 개수가 최소화되기 때문에 우편물의 흐름이 오류없이 제어되어 해당 포켓(pocket)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수단과 제어보드의 개수가 작아지므로 설치, 유지보수, 교체 등의 어려움이 해소된다.
도 1은 종래의 서장구분기(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스태커모듈(100)의 단위모듈(100a)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모듈(100)의 단위모듈(100a)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은 단위모듈(100a)을 이루는 스태커(110)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참조부호 A로 표시한 부분의 발췌도면;
도 8은 도 6의 참조부호 A로 표시한 부분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스프링판(1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도 1의 스태커모듈(100)의 단위모듈(100a)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모듈(100)의 단위모듈(100a)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은 단위모듈(100a)을 이루는 스태커(110)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참조부호 A로 표시한 부분의 발췌도면;
도 8은 도 6의 참조부호 A로 표시한 부분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스프링판(1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태커모듈(100)의 단위모듈(100a)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3은 정면도, 도 4는 평면도, 도 5는 우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위모듈(100a)은 2개의 스태커(110)를 하나의 세트로 하여 이루어지며, 각 스태커(110)에는 4개의 층에 각 층별로 4개의 포켓(pocket, 200)이 설치된다. 즉, 각 스태커(110)는 4층 x 4열의 포켓배열을 가진다. 하나의 단위모듈(100a)에 32개의 포켓(pocket)이 설치되므로, 예컨대, 96개의 포켓(pocket, 200)이 필요한 경우, 3개의 단위모듈(100a)이 필요하다. 그러면 종래와 달리 3개의 제어수단(115)과 6개의 제어보드(111)가 설치되면 된다.
도 6은 스태커(110)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해의 편의상 스태커(110)의 한 층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6의 참조부호 A로 표시한 부분의 발췌도면이다. 여기서, 도 7a는 도 6의 참조부호 A로 표시한 부분의 뒷부분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7b는 앞부분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6의 참조부호 A로 표시한 부분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우편물은 주공급벨트(303), 제1순환벨트(301), 및 제2순환벨트(302)를 통해서 해당 포켓(200)으로 공급된다. 주공급벨트(303)는 포켓(200)에 나란하게 배열되며, 제1순환벨트(301) 및 제2순환벨트(302)는 포켓(200)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순환되도록 설치된다.
제1순환벨트(301)는 제1롤러(401)와 제2롤러(402)에 걸쳐져서 회전하며, 제2순환벨트(302)는 제3롤러(403)와 제4롤러(404) 사이에 걸쳐져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제3롤러(403)와 제4롤러(404) 사이에는 제5롤러(405)가 설치된다. 제3롤러(403)와 제4롤러(404) 사이의 제2순환벨트(302)는 주공급벨트(303)에 접하고, 제5롤러(405)와 제4롤러(404) 사이의 제2순환벨트(302)는 제1순환벨트(301)에 접하도록 제3롤러(403), 제4롤러(404), 및 제5롤러(405)는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배치된다.
주공급벨트(303)는 시계방향으로, 제2순환벨트(302)는 반시계방향으로, 제1순환벨트(30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주공급벨트(303)와 제2순환벨트(302) 사이에 끼여서 진행되던 우편물이 제1순환벨트(301)와 제2순환벨트(302) 사이로 전달된 후 마침내 해당 포켓(200)로 반출된다.
제1순환벨트(301)와 제2순환벨트(302)는 각 포켓(200)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우편물의 경로를 제5롤러(405)에서 제1순환벨트(301) 쪽으로 전환시키거나, 아니면 옆 포켓(200)을 위한 새로운 제2순환벨트(302) 쪽으로 계속 진행시킬지를 결정하도록 경로변경수단(diverter, 500)이 설치된다.
제3롤러(403)와 제5롤러(405) 사이에는 우편물 감지센서(550), 예컨대 광센서가 설치된다. 우편물 감지센서(550)를 통하여 해당 우편물이 어느 포켓(200)으로 반출되어야 할지 제어수단(115)이 간파한 후에 제어수단(115)이 피드백 신호로서 해당 경로변경수단(500)을 가동시켜 우편물의 경로를 해당 포켓(200)쪽으로 전환시킨다.
제2순환벨트(302)에 접하는 제1롤러(401)와 제2롤러(402) 사이에의 제1순환벨트(301) 뒤쪽에는 수직벽 형상의 포켓 가이드(700)가 설치된다. 제1순환벨트(301)와 제2순환벨트(302)는 서로 밀착된 상태이어서 그 사이에 우편물이 끼어 이송될 수 있기는 하지만, 포켓(200) 근방에서는 보다 강한 힘으로 우편물을 포켓(200)으로 떨어뜨려야 하기 때문에 우편물을 좀 더 강한 힘으로 압박하여 조였다가 풀면서 미는 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우편물을 포켓 가이드(700)쪽으로 밀어 포켓 가이드(700)의 앞면쪽에 압박되어 끼이도록 포켓 가이드(700)에 대향하여 압박롤러(406)가 설치된다. 이러한 압박롤러(406)는 제4롤러(404)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포켓 가이드(700)에 우편물이 압박되어 눌리는 과정 등에서 정전기력이 발생하여 우편물이 포켓 가이드(700) 및 벨트(301, 302)에서 쉽게 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포켓 가이드(700)의 뒤쪽에서 앞쪽을 향하여 탄성력으로 우편물을 밀어 내어 이탈시키기 위한 탄성수단으로서 스프링판(1000)이 설치된다. 여기서 스프링판(1000)이란 의미는 비록 판형상을 하지만 스프링과 같은 기능을 한다는 뜻이다.
포켓 가이드(700)에 의해 안내되어 이송되는 우편물은 포켓(200)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세워져 있기 때문에 우편물이 포켓(200)을 바라보도록 정렬되어 포켓(200)에 떨어지도록 포켓(200)의 전단에는 우편물 방향 정렬을 위한 포켓 블레이드(900)가 설치된다.
포켓 가이드(700)에 의해 안내되어 이송되는 우편물을 포켓 블레이드(900)쪽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 나선 스크류(600)가 설치된다. 나선 스크류(600)는 포켓 가이드(700) 및 제1순환벨트(401)를 피해서 포켓 가이드(700)의 앞쪽으로 튀어나도록 상기 제2롤러(402)와 상기 제4롤러(404) 사이에 설치되며, 포켓 가이드(700)에 있던 우편물은 나선 스크류(600)의 나선운동을 통해서 포켓 가이드(700)에서 떨어져 나와 포켓 블레이드(900)로 전달된다.
도 9 내지 도 11은 스프링판(10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포켓 가이드(700)는 두 개의 지지대(910, 920)에 체결수단(912, 922)을 통해서 체결되어 고정되며, 그 체결부위에는 체결의 용이성을 위해서 위에서 밑으로 체결수단(912, 922)을 끼울 수 있도록 체결 가이드홈(911, 921)이 형성된다.
스프링판(1000)은 제1롤러(401)쪽에 위치하는 선단은 자유단이 되고, 제2롤러(402) 쪽에 위치하는 후단은 고정단이 되도록 포켓 가이드(700)의 뒷면에 부착 설치된다. 포켓 가이드(700)의 뒷면에 나사(1210)체결되는 보조편(1100)에 스프링판(1000)의 후단이 나사(1220)체결됨으로써 스프링판(1000)의 후단이 포켓 가이드(700)에 고정된다.
스프링판(1000)의 밑단은 포켓 가이드(700)의 앞면에 압박되어 접하는 우편물을 탄성력으로 밀어내어 이탈시킬 수 있도록 포켓 가이드(700)의 밑으로 더 내려온 후 포켓 가이드(700)의 앞면쪽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001)를 갖는다. 스프링판(1000)의 자유단 즉 전단에는 포켓 가이드(700)와의 충돌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패드(13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스태커(110)의 각 층에 포켓(200)을 하나 더 늘려 설치하는 단순한 차이를 가지는 것이 아니다. 원하는 개수의 포켓(200)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경우(도 2)가 본 발명의 경우(도 3)에 비하여 더 많은 스태커(110)를 필요로 한다.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편물 분배를 위한 벨트(301, 302, 303), 롤러(401, 402, 403, 404, 405), 경로변경수단(500), 우편물 감지센서(550), 나선 스크류(600)는 각 층별로 존재하게 되는데, 스태커(110)의 증가는 이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보드(111) 및 제어수단(115)이 스태커(110)의 증가로 인하여 더 많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동일한 층의 구동은 직렬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일한 층에 있는 어느 하나의 구동요소, 예컨대 경로변경수단(500)이 오동작되면 직렬적으로 연속적으로 흐르던 우편물의 분배가 뒤죽박죽되고 만다. 따라서 동일한 층에 있는 우편물의 흐름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각 단위모듈(100a)에 있는 제어수단(115)의 유기적 연동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런데, 스태커(110) 및 단위모듈(100a)의 증가로 인하여 이러한 직렬적 우편물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115) 및 제어보드(111)가 많아지면 유기적 연동에 문제가 생기기 쉽고, 또한 오류 발생시 어느 부분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인지 파악하기도 힘들다. 따라서 이와 같이 각 층의 직렬적 흐름 제어를 위해 제어수단(115) 및 제어보드(111)를 줄일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단위모듈(100a)의 포켓(200) 배열이 2층 x 16열이 되도록 하면 하나의 제어수단(115)이 부담해야 할 직렬적 제어가 너무 길므로 제어수단(115)에 부하가 걸리기 쉽고, 또한 단위모듈(100a)의 길이가 길어 설치에 공간상의 제약을 받는다.
따라서 층보다는 열에 포켓이 많이 설치되지만 2배는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병렬적 제어와 직렬적 제어를 함에 있어서 가장 합리적이라 할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스태커(110)가 4층 x 4열의 배열구조를 가지고, 이러한 스태커(110) 2개가 직렬연결되어 하나의 세트인 단위모듈(100a)로서 제어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면 앞서 설명하였듯이 제어수단(115)과 제어보드(111)의 개수가 작아지므로 설치, 유지보수, 교체 등의 어려움이 해소된다.
1: 서장 구분기 10: 피더모듈
20: 사전거부모듈 30: 스캐너 모듈
40: 지연모듈 50: 프린터 모듈
60: 리더 모듈 70: 연결모듈
80: 버티컬 모듈 90: 트위스팅 모듈
100: 스태커모듈 100a: 단위모듈
110: 스태커 111: 제어보드
115: 제어수단 200: 포켓
301: 제1순환벨트 302: 제2순환벨트
303: 주공급벨트 401: 제1롤러
402: 제2롤러 403: 제3롤러
404: 제4롤러 405: 제5롤러
406: 압박롤러 500: 경로변경수단
550: 우편물 감지센서 600: 나선 스크류
700: 포켓 가이드 900: 포켓 블레이드
910, 920: 지지대 911, 921: 체결 가이드홈
912, 922: 체결수단 1000: 스프링판
1001: 절곡부 1100: 보조편
1210, 1220: 나사체결 1300: 완충패드
20: 사전거부모듈 30: 스캐너 모듈
40: 지연모듈 50: 프린터 모듈
60: 리더 모듈 70: 연결모듈
80: 버티컬 모듈 90: 트위스팅 모듈
100: 스태커모듈 100a: 단위모듈
110: 스태커 111: 제어보드
115: 제어수단 200: 포켓
301: 제1순환벨트 302: 제2순환벨트
303: 주공급벨트 401: 제1롤러
402: 제2롤러 403: 제3롤러
404: 제4롤러 405: 제5롤러
406: 압박롤러 500: 경로변경수단
550: 우편물 감지센서 600: 나선 스크류
700: 포켓 가이드 900: 포켓 블레이드
910, 920: 지지대 911, 921: 체결 가이드홈
912, 922: 체결수단 1000: 스프링판
1001: 절곡부 1100: 보조편
1210, 1220: 나사체결 1300: 완충패드
Claims (5)
- 2개의 스태커가 하나의 세트로서 직렬연결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스태커에는 복수개의 층이 형성되며 상기 스태커의 각 층에 상기 층수만큼의 포켓이 설치되는 단위모듈;
상기 스태커 각각에 설치되는 제어보드;
상기 각각의 제어보드를 통합 제어하도록 상기 단위모듈에 설치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단위모듈은 직렬적으로 복수개 연결되며, 상기 단위모듈의 직렬배열을 따라서는 각 층별로 우편물을 직렬적으로 운반하다가 해당 포켓에 우편물을 토출하는 우편물 이송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단위모듈에 있는 것들이 서로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우편물 이송수단을 통하여 각 층에서 직렬적으로 운반되는 우편물을 해당 포켓에 토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장구분기 스태커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가 4개의 층을 가짐으로써 상기 단위모듈이 4층 x 8열의 포켓 배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장구분기 스태커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편물 이송수단이,
우편물이 이송되어 들어오는 주공급벨트에 닿으면서 회전하도록 상기 주공급벨트를 따라 복수개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분배순환벨트;
상기 분배순환벨트와 닿으면서 회전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분배순환벨트 사이에 설치되여 우편물을 끼운채로 이동시키다가 상기 포켓으로 토출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토출순환벨트;
상기 분배순환벨트와 토출순환벨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분배순환벨트와 상기 주공급벨트 사이에 끼여서 이동되는 우편물을 상기 토출순환벨트쪽으로 안내할지 아니면 인접하여 있는 다른 분배순환벨트쪽으로 안내할지 결정하는 경로변경수단; 및
상기 주공급벨트와 상기 분배순환벨트 사이에 끼여서 이송되는 우편물을 감지하여 이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송하도록 설치되는 우편물 감지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경로변경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에서 피드백신호로 전송되어 오는 신호를 입력받아 우편물이 해당 포켓에 안내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장구분기 스태커모듈.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순환벨트는 제1롤러 및 제2롤러 사이에 걸쳐져서 회전하고, 상기 분배순환벨트는 제3롤러 및 제4롤러 사이에 걸쳐져서 회전하며, 상기 제3롤러와 상기 제4롤러 사이에는 제5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분배순환벨트가 상기 제3롤러, 제4롤러, 제5롤러에 의해 대략 삼각형의 형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장구분기 스태커모듈.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롤러는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롤러는 상기 제5롤러와 상기 제4롤러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장구분기 스태커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6974A KR20130005523A (ko) | 2011-07-06 | 2011-07-06 | 서장구분기 스태커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6974A KR20130005523A (ko) | 2011-07-06 | 2011-07-06 | 서장구분기 스태커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5523A true KR20130005523A (ko) | 2013-01-16 |
Family
ID=47836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6974A KR20130005523A (ko) | 2011-07-06 | 2011-07-06 | 서장구분기 스태커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0552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00388A (zh) * | 2021-03-01 | 2021-06-22 | 欧仓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 一种电滚筒式窄带直线交叉带式分拣机 |
-
2011
- 2011-07-06 KR KR1020110066974A patent/KR2013000552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00388A (zh) * | 2021-03-01 | 2021-06-22 | 欧仓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 一种电滚筒式窄带直线交叉带式分拣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68165A (en) | Apparatus for transporting sorted stacked matter | |
US6439395B1 (en) | Apparatus for sorting sheetlike data carriers, said apparatus comprising a longitudinal/cross conveying device | |
US7725213B2 (en) | Sortation conveyor apparatus and methods | |
KR100721855B1 (ko) | 이종 인서트너트 이송용 이중트랙을 갖는 진동피더 | |
KR101901898B1 (ko) | 우편물을 자동으로 구분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 |
JPH08509945A (ja) | 書類取扱いシステム | |
US8558132B2 (en) | Document sorting machine | |
US8530772B2 (en) | Document sorting machine | |
US10464773B2 (en) |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packages from flexible, flat objects | |
KR101279038B1 (ko) | 우편물 분류를 위한 스태커 모듈 | |
KR20130005523A (ko) | 서장구분기 스태커모듈 | |
JP2009155084A (ja) | 紙葉類搬送装置 | |
EP2500305B1 (en) | Sheet stacking apparatus | |
KR101281526B1 (ko) | 우편물 분류를 위한 스태커 모듈 | |
US8641040B2 (en) | Kiosk-installable printer with duplex path utilized to deliver printed media sheets to lower front exterior of printer | |
KR101459387B1 (ko) | 메일링 시스템의 연속식 안내장 투입장치 | |
US2004008009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nclosure material feeding in a mail inserting system | |
EP1377897A4 (en) | LETTER FLOW CONTROL | |
KR100895647B1 (ko) | 종이 받이 판 및 이를 채용한 정합 장치 | |
JPS58202249A (ja) | 紙葉類の搬送装置 | |
KR101248992B1 (ko) | 우편물의 이송간격을 제어할 수 있는 우편물 공급장치 | |
KR101272182B1 (ko) | 진공흡입방식으로 우편물을 낱장으로 분리하여 공급하는 우편물 공급장치 | |
KR20120088911A (ko) | 우편물의 겹침공급이 방지되는 우편물 공급장치 | |
KR20100073460A (ko) | 금융자동화기기 | |
US20140015193A1 (en) | Adjustable Tray Ra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