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042U - 작동이 용이한 수동조작수단을 갖는 야채절단기 - Google Patents

작동이 용이한 수동조작수단을 갖는 야채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042U
KR20130005042U KR2020120001150U KR20120001150U KR20130005042U KR 20130005042 U KR20130005042 U KR 20130005042U KR 2020120001150 U KR2020120001150 U KR 2020120001150U KR 20120001150 U KR20120001150 U KR 20120001150U KR 20130005042 U KR20130005042 U KR 201300050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rotary shaft
socket
seat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4849Y1 (ko
Inventor
박성훈
Original Assignee
박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훈 filed Critical 박성훈
Priority to KR2020120001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849Y1/ko
Priority to CN2012203984333U priority patent/CN202702288U/zh
Publication of KR201300050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0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8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8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7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several driving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동조작에 의하여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야채나 과일 등의 음식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이 가능하게 되는 야채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칼날이 회전축에서의 유동이 방지됨은 물론 탈착을 위한 조립이 용이토록 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회전축의 측면에는 돌부를 형성하고 복수의 칼날이 상하로 단차가 형성되도록 회전축과 동일한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소켓이 회전축에 끼워져 돌부에 의해 임의적인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고 소켓의 상,하면에는 끼움홀이 형성된 칼날이 끼임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요입부를 형성하여 회전축에 다단으로 조립가능하게 형성한 후 상기 회전축의 맨 상측과 맨 하측에는 칼날에 의해 절단되는 야채가 분산되지 않고 회전되는 칼날의 위치에만 있도록 비산방지날이 장착되어 간단한 조립에 의하여 다단으로 조립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조립된 상태에서의 회전축은 몸체와 뚜껑에 긴밀하게 맞물림되어져 회전가능한 길이를 유지토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작동이 용이한 수동조작수단을 갖는 야채절단기 {a vegqtable grinder}
본 고안은 수동조작에 의하여 회전축이 회전되면서 그 회전반경 내에 존재하는 야채나 과일 또는 취식하고자 하는 음식물 등을 영양분의 손실을 발생시키 않으면서 씹는 맛을 낼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절단이 가능하게 되는 야채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을 위한 작동이 용이하면서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칼날이 회전축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칼날이 회전축에서의 유동이 방지됨은 물론 탈착을 위한 조립이 용이토록 하면서도 견고하게 조립토록 한 것이다.
현재 이러한 기능과 용도로 사용되는 수동조작되는 야채절단기는 수동조작수단이 구비된 뚜껑과 상기 뚜껑과 긴밀하게 결합되면서 절단을 위한 내용물이 수용되어지는 일정한 면적의 내공간을 갖는 몸통과 상기 뚜껑과 몸통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뚜껑에 장착된 수동조작수단의 조작에 의하여 뚜껑의 내부에 장착된 회전구동부가 회전될 경우에 회전구동부와 연동되면서 회전되어지는 칼날이 장착된 회전축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회전축에 장착되는 칼날은 절단의 용이성을 위하여 회전축의 회전력에 의해 벌어지도록 축결합되어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칼날을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회전축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모아지도록 하고 사용시에는 회전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벌어지도록 함으로서 취급이나 보관은 물론 사용과 휴대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이 회전축에 상하로 단차가 형성되게 복수의 칼날을 구비하고자 할 경우에 하단의 칼날은 고정된 상태에서 상단의 칼날은 모아지도록 하기 위하여 회전되어 지면서도 회전시 칼날의 벌어짐이 180도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를 취하게 됨으로서 제조시 하단의 칼날은 사출성형할 경우에 인서트 사출방식을 사용함으로 사출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떨어지고, 또한 사출된 이후에도 사용시 발생되는 금속의 칼날과 플라스틱의 특성상 완전한 접착이 불가능하여 틈이 발생되면서 이러한 틈에 의한 이물질의 끼임에 의하여 서로 다른 야채를 절단할 경우에 야채 특유의 향이 서로 섞이게 된다라는 것이고, 장시간 사용치 아니할 경우에는 이러한 틈새로 끼이게 되는 잔유물이 부폐되면서 악취를 발생토록 한다라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칼날이 부러질 경우에 또는 마모될 경우에는 회전축을 동시에 교환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회전축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단의 칼날도 회전축이 탈착될 경우에 칼날이 소켓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이러한 소켓을 구성하기 위하여는 결국 동일한 방식으로 인서트 사출성형을 하게 됨으로 인서트 사출성형된 소켓과 칼날이 결국 틈새가 벌어지면서 동일한 문제점을 발생토록 한다라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축을 칼날과 인서트 사출성형치 아니하면서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또한 칼날만의 교환이 가능토록 하면서 이러한 조립을 회전축을 끼움토록 함으로서 회전축으로서의 기능도 유지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회전축의 측면에는 돌부를 형성하고 복수의 칼날이 상하로 단차가 형성되도록 회전축과 동일한 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소켓이 회전축에 끼워져 돌부에 의해 임의적인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고 소켓의 상,하면에는 끼움홀이 형성된 칼날이 끼임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요입부를 형성하여 회전축에 다단으로 조립가능하게 형성한 후 상기 회전축의 맨 상측과 맨 하측에는 칼날에 의해 절단되는 야채가 분산되지 않고 회전되는 칼날의 위치에만 있도록 비산방지날이 장착되어 간단한 조립에 의하여 다단으로 조립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조립된 상태에서의 회전축은 몸체와 뚜껑에 긴밀하게 맞물림되어져 회전가능한 길이를 유지토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칼날이 180°로 날을 유지하여 수용되는 야채의 절단이 용이하면서도 칼날의 교환이 간단하게 가능하고 회전축의 구현도 칼날을 2개나 3개 또는 길이가 서로 다른 칼날로 간단하게 교환가능토록 함으로서 다양한 형태로의 절단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야채절단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야채절단기의 외관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야채절단기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뚜껑에 장착된 회전구동부를 도시한 분해도.
도5는 본 고안의 회전축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회전축의 결합된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의 수동조작수단에 의해 야채절단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종래의 회전축이 장착된 야채절단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야채나 과일 또는 취식하고자 하는 음식물 등을 영양분의 손실을 발생시키 않으면서 씹는 맛을 낼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로 절단이 가능하도록 수동조작수단(11)이 구비되어 내부에 장착된 회전구동부(12)가 장착된 뚜껑(10)과 절단을 위한 내용물이 수용되어지도록 내공간(21)을 갖는 몸통(20)에 회전축(30)이 긴밀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30)에는 칼날(33)이 단차가 형성되도록 소켓(35)이 다단으로 결합되고 상기 소켓(35)에는 칼날(33)이 내입되도록 안착되어지고 상기 회전축(30)의 맨 상측과 맨 하측에는 절단된 야채의 비산방지를 위한 비산방지날(18)이 결합되어 뚜껑(10)에 구비된 수동조작수단(11)의 조작에 의하여 회전구동부(12)와 연동되어 회전축(30)이 회전되면서 칼날(33)이 회전작동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회전축(30)은 몸통(20)과 뚜껑(10)에 긴밀하게 맞물림되어져 회전가능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며, 회전축(30)의 외벽에는 돌부(32)를 형성하고 하단에는 받침부(31)가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0)의 상단에는 끼움돌부(30a)가 형성되고 뚜껑(10)의 이면에는 회전구동부(12)에 의하여 작동되는 회전구동홈(13)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부(30a)가 회전구동홈(13)에 결합되고 회전축(30)의 하단에는 축공(10b)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10b)이 몸통(20)의 내공간(21)의 중앙 바닥면에 형성된 축돌(22)에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뚜껑(10)에 구비된 수동조작수단(11)에 의해 회전축(30)이 회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30)에는 중앙에 상기 회전축(30)과 동일한 형상의 결합공(36)이 형성되고, 야채나 과일 등의 내용물을 절단하는 칼날(33)을 상,하로 단차가 형성되도록 칼날(33)이 안착되도록 요입부(37)가 형성된 소켓(35)이 다단으로 끼임결합되어지고, 상기 회전축(30)에 다단으로 끼워진 소켓(35)에 형성된 요입부(37)에 칼날(33)이 안착되어지고 이때 칼날(33)에는 회전축(30)에 끼워지도록 중앙에 끼임공(34)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30)의 맨 상측과 하측에는 칼날(33)에 의해 분쇄되는 야채가 비산되지 않도록 비산방지날(38)이 장착되어 고정핀(39)으로 고정토록함으로써 간단한 조립에 의해 다단으로 조립되면서 칼날(33)이 임의적인 회전이 방지되고 유지보수를 위한 교환이 용이
상기 회전축(33)의 외벽에 형성된 돌부(32)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소켓(35)의 중앙에 관통되게 형성된 결합공(36)은 외벽에 돌부(32)를 형성한 회전축(3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켓(35)이 회전축(30)에서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끼임결합됨
상기 소켓(35)의 상,하면에 형성된 칼날(33)이 안착되는 요입부(37)는 칼날(33)이 안착된 상태에서 날 부분이 외벽으로 돌출되도록 일측이 개구되고, 칼날(33)이 요입부(37)에 안착된 상태에서 칼날(33)이 회전되지 않으면서 견고하게 끼임되도록 요입부(37)의 내주면에 다수의 고정돌기(37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칼날(33)에는 상기 고정돌기(37a)에 대응되는 홈부(34a)가 형성
상기 칼날(33)에 형성된 끼임공(34)은 외벽에 돌부(32)가 형성된 회전축(3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축(30)에 끼임결합 된 소켓(35)의 요입부(37)에 안착되어 회전축(30)에서 칼날(33)이 임의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형성
10: 뚜껑 11: 수동조작수단
12: 회전구동부 13: 회전구동홈
20: 몸통 21: 내공간
22: 축돌
30: 회전축 31: 받침부
32: 돌부 33: 칼날
34: 끼움공 35: 소켓
36: 관통홈 37: 요입부
38: 비산방지날 39: 고정핀

Claims (4)

  1. 수동조작수단(11)이 구비되어 내부에 장착된 회전구동부(12)가 장착된 뚜껑(10)과 절단을 위한 내용물이 수용되어지도록 내공간(21)을 갖는 몸통(20)에 회전축(30)이 긴밀하게 결합되어 수동조작수단(11)의 조작에 의하여 회전구동부(12)와 연동되어 칼날(13)이 회전되는 야채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몸통(20)과 뚜껑(10)에 긴밀하게 맞물림되어져 회전가능한 길이로 형성되어 외벽으로 돌부(32)를 형성하고 하단에는 받침부(31)가 형성된 회전축(30)과,
    상기 회전축(30)에 끼임결합되도록 중앙에 결합공(36)이 형성되고 칼날(33)을 상,하로 단차가 형성되도록 칼날(33)이 안착되도록 요입부(37)가 형성된 소켓(35)과
    상기 소켓(35)에 형성된 요입부(37)에 안착되어 회전축(30)에 끼워지도록 중앙에 끼임공(34)이 형성된 칼날(33)과
    상기 회전축(30)의 맨 상측과 하측에는 칼날(33)에 의해 분쇄되는 야채가 비산되지 않도록 비산방지날(38)이 장착되어 고정핀(39)으로 고정토록함으로써 간단한 조립에 의해 다단으로 조립되면서 칼날(33)이 임의적인 회전이 방지되고 유지보수를 위한 교환이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이 용이한 수동조작수단을 갖는 야채절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3)의 외벽에 형성된 돌부(32)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고 소켓(35)의 중앙에 관통되게 형성된 결합공(36)은 외벽에 돌부(32)를 형성한 회전축(3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켓(35)이 회전축(30)에서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끼임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이 용이한 수동조작수단을 갖는 야채절단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35)의 상,하면에 형성된 칼날(33)이 안착되는 요입부(37)는 칼날(33)이 안착된 상태에서 날 부분이 외벽으로 돌출되도록 일측이 개구되고, 칼날(33)이 요입부(37)에 안착된 상태에서 칼날(33)이 회전되지 않으면서 견고하게 끼임되도록 요입부(37)의 내주면에 다수의 고정돌기(37a)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칼날(33)에는 상기 고정돌기(37a)에 대응되는 홈부(34a)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이 용이한 수동조작수단을 갖는 야채절단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33)에 형성된 끼임공(34)은 외벽에 돌부(32)가 형성된 회전축(3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축(30)에 끼임결합 된 소켓(35)의 요입부(37)에 안착되어 회전축(30)에서 칼날(33)이 임의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이 용이한 수동조작수단을 갖는 야채절단기.
KR2020120001150U 2012-02-15 2012-02-15 작동이 용이한 수동조작수단을 갖는 야채절단기 KR2004748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150U KR200474849Y1 (ko) 2012-02-15 2012-02-15 작동이 용이한 수동조작수단을 갖는 야채절단기
CN2012203984333U CN202702288U (zh) 2012-02-15 2012-08-13 把蔬菜切成小段的蔬菜切段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150U KR200474849Y1 (ko) 2012-02-15 2012-02-15 작동이 용이한 수동조작수단을 갖는 야채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042U true KR20130005042U (ko) 2013-08-23
KR200474849Y1 KR200474849Y1 (ko) 2014-10-23

Family

ID=47582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150U KR200474849Y1 (ko) 2012-02-15 2012-02-15 작동이 용이한 수동조작수단을 갖는 야채절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4849Y1 (ko)
CN (1) CN202702288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053B1 (ko) 2020-12-15 2023-08-30 천정환 식자재 절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2911B2 (ja) * 1995-07-28 1997-08-20 株式会社ナルトヤ 回転による野菜の截断器
KR20020082956A (ko) * 2001-04-24 2002-11-01 정인근 믹서기
KR200393606Y1 (ko) 2005-05-24 2005-08-24 (주)한국하비비 푸드 프로세서에 구성되는 이중칼날 절삭부
KR200456354Y1 (ko) 2009-01-22 2011-10-26 문제구 손잡이로 조작되는 야채 탈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702288U (zh) 2013-01-30
KR200474849Y1 (ko)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3174B2 (ja) 食品用ホモジナイザ
US9277764B2 (en) Juicer with pre-triturating device
CA2901988C (en) Food processor
EP3028828B1 (en) A dicer
CN102958412B (zh) 用于家电设备的切割盘
US20170332843A1 (en) Chopping accessory, chopping unit and domestic appliance for chopping
EP3373786B1 (en) Safety bearing arrangement and food processing device
CN203854054U (zh) 具有可拆卸组合切刀的切丁、切丝、切片一体机
KR101675340B1 (ko) 교체 가능한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믹서기
KR200474849Y1 (ko) 작동이 용이한 수동조작수단을 갖는 야채절단기
CN203592501U (zh) 自动切丁、切丝、切片一体机
US11717114B2 (en) Multifunctional food processor
KR20130005042A (ko) 작동이 용이한 수동조작수단을 갖는 야채절단기
CN204378831U (zh) 食物制备装置和包括该食物制备装置的用于制备食物的家电设备
KR101163652B1 (ko) 야채 세절기
CN208909934U (zh) 食物加工机及其组件
CN217313733U (zh) 一种刀盘组件及搅拌机
CN220089291U (zh) 辅食机
JP2013255646A (ja) 電動調理器
EP3335603B1 (en) A kitchen device
JP2010094178A (ja) 混合食品製造機
TWM479618U (zh) 切菜機結構改良
KR20120005035U (ko) 와류 믹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