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359U - 스마트 가스 렌지 - Google Patents

스마트 가스 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359U
KR20130004359U KR2020120000112U KR20120000112U KR20130004359U KR 20130004359 U KR20130004359 U KR 20130004359U KR 2020120000112 U KR2020120000112 U KR 2020120000112U KR 20120000112 U KR20120000112 U KR 20120000112U KR 20130004359 U KR20130004359 U KR 201300043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stove
container
smart
triv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1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풍
Original Assignee
장기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풍 filed Critical 장기풍
Priority to KR2020120000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4359U/ko
Publication of KR201300043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35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기가스를 렌지 후방으로 배출하는 배기가스 유로부 및 용기개구 내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삼발이를 구비하여 열효율을 높이고 주방 내로 배기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스마트 가스 렌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배기가스 유로부를 구비하는 스마트 렌지는 배기가스나 열을 실외로 배출하거나 한군데로 집중 배출하여 주방 내의 온도 및 폐가스 함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요리중 가스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곧바로 용기의 겉면을 따라 상부로 배출되는 종래 구조와 달리 본 고안에서는 연소가스가 상기 렌지 내부에 체류하는 시간이 많아 에너지 효율이 증대된다.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 렌지는 화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외부 공기흐름에 불꽃이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주방 내에서 선풍기나 냉난방기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조리 할 수 있고, 음식의 맛과 위생을 철저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 렌지는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거치하여 조리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매우 높다.

Description

스마트 가스 렌지{Smart gas range}
본 고안은 스마트 가스 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가스를 렌지 후방으로 배출하는 배기가스 유로부 및 용기개구 내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삼발이를 구비하여 열효율을 높이고 주방 내로 배기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스마트 가스 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버너는 연료 가스를 연소시켜 난방, 취사 등을 위한 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가스버너 중에서 식당의 주방 등에서 다량의 음식물을 신속하게 조리하기 위해 각종 렌지류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가스렌지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렌지 상판(1), 그 위에 형성된 삼발이(2), 렌지 내부에 장착되는 가스버너(3)를 포함한다. 이러한 렌지들은 용기(4)가 삼발이(2) 가 상판위에 위치되고, 그 높이가 높아 화염이 상판 위로 대부분 노출된다. 따라서, 종래 렌지에서는 발생하는 배기가스나 열이 주방 내부로 배출될 수 밖에 없는 구조로서 이에 의해 주방 내의 온도 및 폐가스 함량이 올라가는 등 주방 내 환경이 열악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에 의한 가스렌지는 삼발이(2) 상에 거치될 수 있는 용기의 크기가 한정된다. 즉, 삼발이 구조상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거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나의 목적은 배기가스나 열이 주방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가스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거치하여 조리할 수 있는 가스 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에너지 효율이 증대된 가스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나의 양상은
상하 통공되고 용기가 위치하는 용기개구 ; 상기 용기개구 전방측에 형성되고, 배기가스가 전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 ; 상기 용기개구 후방측에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여 배기가스가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배기가스 유로부 ; 및 상기 용기개구 내측 공간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용기를 거치하는 삼발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렌지에 관계한다.
본 고안에 의한 배기가스 유로부를 구비하는 스마트 렌지는 배기가스나 열을 실외로 배출하거나 한군데로 집중 배출하여 주방 내의 온도 및 폐가스 함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요리중 가스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곧바로 용기의 겉면을 따라 상부로 배출되는 종래 구조와 달리 본 고안에서는 연소가스가 상기 렌지 내부에 체류하는 시간이 많아 에너지 효율이 증대된다.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 렌지는 화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외부 공기흐름에 불꽃이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주방 내에서 선풍기나 냉난방기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조리 할 수 있고, 음식의 맛과 위생을 철저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 렌지는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거치하여 조리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매우 높다.
도 1은 종레 렌지를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구현예를 나타내는 스마트 렌지의 분해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마트 렌지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사용한 용기보다 큰 용기를 거치하였을 경우 렌지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5는 대용량의 들통을 거치하였을 경우 렌지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6는 삼발이의 구조를 변형시켜 열효율을 더욱 높인 스마트 렌지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렌지를 다수개 구비하는 연소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구현예를 나타내는 스마트 렌지의 분해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마트 렌지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사용한 용기보다 큰 용기를 거치하였을 경우 렌지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5는 대용량의 들통을 거치하였을 경우 렌지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6는 삼발이의 구조를 변형시켜 열효율을 더욱 높인 스마트 렌지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스마트 렌지는 용기개구(10), 차단벽(20), 배기가스 유로부(30) 및 삼발이(40)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스마트렌지는 상하 통공되고 용기가 위치하는 용기개구(1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개구(10) 하부측에는 버너(60)가 위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용기개구(10)는 소정 높이(H)를 구비한 상하 통공된 개구일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용기가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개구(10)의 높이는 상기 유로형성부의 높이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벽(20)은 상기 용기개구(10) 전방측에 형성되고, 배기가스가 전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차단벽은 용기개구(10)의 전방측에 배기가스가 흐름을 막는 구조이면 되고, 형상 및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차단벽(10)은 상기 용기개구(10)의 상하 통공된 개구의 내주연을 따라 상하 개구를 연결하는 측벽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가스 유로부(30)는 상기 용기개구 후방측에 상판(31), 하판(32), 측벽(도면부호 미표시)을 포함하여 배기가스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상판(31)은 본 고안의 스마트 렌지는 주방 내로 곧바로 방출되었던 배기가스의 상당부분을 배기가스 유로부를 통해 렌지 후방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배기가스 유로부(30)의 상판(31)은 도 2과 같이 렌지에 탈 부착될 수 있으며, 또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지의 상판은 배기가스 유로부측의 상판(31)과 렌지의 전방부측의 상판(도면부호 미표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삼발이(40)는 상기 용기개구 내측 공간 또는 용기개구 상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용기를 거치한다.
상기 삼발이(30)는 상기 차단벽에 위치하는 제 1 고정부(41), 상기 배기가스 유로부의 상판(31) 및 하판(32)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고정부(42)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용기개구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거치부(43)를 포함한다.
상기 삼발이(40)의 제 2 고정부(42)는 하판(32)에 고정 설치되며, 상판(31)을 지지한다. 상기 삼발이(10)의 제 2 고정부(42)는 배기가스 유로부(3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거치부(43)는 제 2 고정부(42)에서부터 용기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종래에는 삼발이가 렌지 상판에 위치하여 상당한 높이로 돌출하였으나, 본 고안의 삼발이는 렌지의 하판에 위치하고 상판보다 같거나 다소 높은 높이 또는 상판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삼발이의 고정부(42)는 상판과 하판 사이를 지지하며 배기가스 유로부(3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삼발이의 제 2 고정부(42)가 배기가스 유로부의 길이 방향(가스 배출 방향)을 따라 상기 배기가스 유로부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삼발이의 고정부(42)에 의해 배기가스 유로부의 열에 의한 변형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삼발이의 거치부(43)(거치부의 상면)는 상기 상판(31)과 같은 높이로 형성되거나 상판보다 15mm 이내, 바람직하게는 10mm 이내로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돌출 높이는 용기 개구의 크기나 가스버너의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삼발이의 거치부(43)가 상기 하판보다는 위에 상기 상판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기 개구의 높이 1/2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상판과 같은 높이로 형성되거나 약간의 돌출 높이로 형성된 삼발이의 거치부(43)에 의해 배기가스가 주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삼발이가 상기 하판보다는 위에 상기 상판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으므로 열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삼발이의 거치부(43)는 제 1 고정부(41) 및 2 고정부(42)에서부터 용기 중심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거치부(43)가 종래 렌지류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스마트 렌지는 상기 거치부(43)가 용기개구(10) 내주연에서부터 중심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용기에 크기에 관계없이 거치하여 조리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스마트 렌지는 상기 거치부(43)가 상판 위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어, 도 4의 용기보다 더 큰 용기를 사용하거나 도 5와 같이 대용량의 들통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배기가스 배출이나 완전연소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삼발이(40)에 용기(50)가 거치되고 렌지 하단에 설치된 버너(6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는 화살표 방향을 따라 전방이나 외부로 거의 배출되지 못하고, 대부분이 배기가스 유로부(300)를 거쳐 배기부(70)로 이동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용기(50)와 삼발이(40)의 틈 사이로 배기가스가 일부 배출될 수 있으나 그 틈이 크지 않아 대부분이 주방으로 방출되지 않고 배기가스 유로부를 경유하게 된다.
상기 배기가스 유로부의 재질에 대한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내열성 및 내부식성을 가지는 금속, 세라믹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US(스테인레스 스틸), 탄소강, 주철, 티탄합금, 세라믹 합금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삼발이(40)의 거치부(43)가 선단방향으로 하향 구조를 가져 거치되는 용기 하단부가 렌지 내부로 일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삼발이(40)의 거치부(43)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선단방향으로 하향직선 구조일 수 있고, 하향 곡선구조일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 상기 삼발이(50)가 상판(31) 위로 돌출되어 있으나 상판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삼발이(40)이가 상판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용기하단부가 렌지 내부로 좀 더 깊게 삽입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요리중 가스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곧바로 용기의 겉면을 따라 상부로 배출되는 종래 구조와 달리 본 고안에서는 연소가스가 상기 렌지 내부에 체류하는 시간이 증가하고, 또한, 용기가 렌지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에너지 효율이 더욱 증대된다.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 렌지는 화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외부 공기흐름에 불꽃이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주방 내에서 선풍기나 냉난방기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조리할 수 있고, 음식의 맛과 위생을 철저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스마트 렌지는 상기 배기가스 유로부 후방에 형성되고 배기가스를 주방 상부로 배출하거나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부(70)는 렌지 후단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를 주방의 상층부로 배출할 수 있는데, 주방 상부에 설치된 환풍기 팬과 덕트 장치를 이용해 실외로 강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기부(70)에 배기관(71)을 연장하여 실외로 연소가스를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배기관은 종래 공지된 배기관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어떠한 제한이 있는 것도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배기관은 자연배기 방식을 취할 수도 있으며, 강제 배출장치, 예를 들면 블로어(blower)를 포함하여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본 고안은 상기 스마트렌지를 구비하고, 상기 렌지의 배기가스 유로부 후방에 형성되고 배기가스를 주방 상부로 배출하거나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관 및 용기개구 하부에 위치하는 버너를 포함하는 연소장치에 관계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렌지를 다수개 구비하는 연소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연소장치는 2구, 3구, 4구 또는 테이블 형태의 렌지를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연소장치는 상기 스마트 렌지(100)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장치는 상기 스마트 렌지(100) 및 가스버너(60), 연결관, 가스배관, 점화장치, 밸브 및 이들이 설치되어 있는 테이블 형태의 구조체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보호 범위가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0 : 용기개구 20 : 차단벽
30 : 배기가스 유로부 40 : 삼발이
50 : 용기 60 : 가스버너
70 : 배기부

Claims (5)

  1. 상하 통공되고 용기가 위치하는 용기개구 ;
    상기 용기개구 전방측에 형성되고, 배기가스가 전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 ;
    상기 용기개구 후방측에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여 배기가스가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배기가스 유로부 ; 및
    상기 용기개구 내측 공간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용기를 거치하는 삼발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렌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발이는 상기 차단벽에 위치하는 제 1 고정부, 상기 배기가스 유로부의 상판 및 하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용기개구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방사상으로 형성된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렌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발이의 거치부는 상기 상판과 같은 높이로 형성되거나 상판보다 15mm 이내로 돌출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렌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삼발이의 고정부는 선단방향으로 하향 구조를 가져 용기를 용기개구 내부에 삽입하여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렌지.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스마트렌지 ;
    상기 렌지의 배기가스 유로부 후방에 형성되고 배기가스를 주방 상부로 배출하거나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부 및 용기개구 하부에 위치하는 버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장치.

KR2020120000112U 2012-01-05 2012-01-05 스마트 가스 렌지 KR2013000435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112U KR20130004359U (ko) 2012-01-05 2012-01-05 스마트 가스 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112U KR20130004359U (ko) 2012-01-05 2012-01-05 스마트 가스 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359U true KR20130004359U (ko) 2013-07-15

Family

ID=5371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112U KR20130004359U (ko) 2012-01-05 2012-01-05 스마트 가스 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435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9633A (zh) * 2016-09-23 2016-12-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集成厨房电器的控制方法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9633A (zh) * 2016-09-23 2016-12-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集成厨房电器的控制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0238A (zh) 具有改善的控制手段的kamado型炊具
JP4671240B2 (ja) 無煙ロースター、及びそれが装着されたロースト用テーブル
US10274205B2 (en) Gas cooking appliance, more particularly a gas oven
KR101474898B1 (ko) 로스톨 없는 간텍기
JP6143463B2 (ja) 加熱調理器
KR20130004359U (ko) 스마트 가스 렌지
KR101595190B1 (ko) 유해가스 제거 기능을 갖는 구이기구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101285081B1 (ko) 용기받침대를 구비하는 연소장치
WO2018144206A1 (en) Heat conserving pot support and method of using for stoves
RU2585704C1 (ru) Оборудование к посуде для ускоренного нагревания
JP5758828B2 (ja) 五徳
JP3210124U (ja) ペレットストーブ
KR101285080B1 (ko) 용기받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소장치
EP2068687B1 (en) Easy to start heating apparatus at any attempt without need for flammable fluid and blowing
JP2012013326A (ja) グリル
CN204153838U (zh) 灶具燃烧器节能罩
JP2005140435A (ja) ガスコンロ
CN211902974U (zh) 一种防烟炉座及柴火炉
JP5941828B2 (ja) ガスコンロ
KR200469757Y1 (ko) 음식 조리용 가열대
CN202109523U (zh) 一种供暖饮事两用炉
CN209655423U (zh) 一种带u型加热管水箱的燃气炉
JP6853070B2 (ja) グリル用の調理容器
JP4353437B2 (ja) 焼成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