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235U - 각막 복원기능을 가지고 있는 콘택트렌즈 - Google Patents

각막 복원기능을 가지고 있는 콘택트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235U
KR20130004235U KR2020127000063U KR20127000063U KR20130004235U KR 20130004235 U KR20130004235 U KR 20130004235U KR 2020127000063 U KR2020127000063 U KR 2020127000063U KR 20127000063 U KR20127000063 U KR 20127000063U KR 20130004235 U KR20130004235 U KR 201300042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ens
scale
wearer
tibi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7000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지 라이
펭-후에이 린
치엔-쳉 린
샹-밍 린
유-충 창
Original Assignee
바디 오르간 바이오메디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디 오르간 바이오메디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바디 오르간 바이오메디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042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23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7Contact lens fitting; Contact lenses for orthokeratology; Contact lenses for specially shaped cornea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02B1/043Contact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9Contact lenses having special fitting or structural features achieved by special materials or material structures

Abstract

본 실용신안은 재질이 경골비늘재료층을 포함하고, 콘택트렌즈의 재질이 전통적인 콘택트렌즈 재료도 포함할 수 있는 각막 복원기능을 가지고 있는 콘택트렌즈를 제공한다. 본 실용신안의 콘택트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경골비늘로 구성된 기질로 이루어지고 환자의 디옵터에 맞는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골비늘은 원린 또는 즐린을 포함한다. 본 실용신안의 다른 하나의 콘택트렌즈는 전통적인 콘택트렌즈 재료와, 표면이 착용자의 눈 표면과 직접 접촉되는 경골비늘재료층을 포함한다. 경골비늘재료층이 착용자의 눈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외에 전통적인 콘택트렌즈 재료도 착용자의 눈 표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Description

각막 복원기능을 가지고 있는 콘택트렌즈{CONTACT LENS WITH FUNCTION OF REPAIRING CORNEA}
본 실용신안은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막 복원기능을 가지고 있는 콘택트렌즈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사람들은 시력의 손상과 퇴화에 시달리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근시, 원시, 난시등 광선굴절이 이상한 시력장애에 걸리게 되는데 주로 눈의 장기적인 사용부당, 과도적인 피로 및 스트레스등 요소 때문에 발생되고 시선굴절을 제어하는 제일 중요한 두개 근육-모양체근 및 방사근의 수축이상과 혈액순환 불량을 초래하기에 경직 변형되어 기능이 상실되고 영상의 초점이 시망막에 정확히 비칠 수 없게 된다.
시력의 손상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근시자는 눈이 뚜렷하게 볼 수 있게 되도록 도수가 있는 틀안경 또는 콘택트렌즈를 쓴다. 틀안경 또는 콘택트렌즈의 비교에 대하여 콘택트렌즈는 틀안경보다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예를 들면 콘택트렌즈는 안경틀의 방해가 없어서 착용자 자체가 여분의 무게부담을 느끼지 않으며 착용자의 외관에도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또한 소프트 콘택트렌즈는 또한 틀안경의 안경알이 깨질 수 있는 위험이 없으므로 콘택트렌즈는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더 많은 편리성을 가져다 주기도 한다.
콘택트렌즈에 있어서 대략 하드 렌즈와 소프트 렌즈로 나눌 수 있다. 하드 렌즈는 소프트 렌즈보다 재질이 단단하고 하드 렌즈에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는 주로 산소 불투과성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및 하드 고산소 투과성 콘택트렌즈(rigidgas permeable, RGP)를 포함한다.
하드의 장점은 재질 자체가 물을 함유하지 않고 렌즈 자체도 단백질, 침적물등 물질을 쉽게 흡착하지 않으며 착용과정에서 먼지가 눈에 들어가도 착용자는 바로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불편한다고 하여도 먼지가 착용자의 눈에 들어가서 초래한 각막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하드 콘택트렌즈는 사용상에서 여전히 많은 제한을 받는데 예를 들면 하드 렌즈가 눈 안에서 파손되어 착용자의 시력을 손상하는 것을 피면하도록 격렬하게 운동할 때 가능한 한 하드 콘택트렌즈를 착용하지 않는다.
전통적인 다른 하나의 콘택트렌즈는 예를 들면 실리콘 하이드로젤(silicone hydrogels),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PAA), 폴리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polyhydroxyethylmethacrylate, 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등 소프트 렌즈인데 착용자가 사용과정에서 편안감을 느끼게 하고 단가가 낮으므로 현재 시장의 주류이다.
그러나 소프트 렌즈 자체가 단백질 또는 지질 등 잔존물을 쉽게 흡착하므로 착용시 단백질이 고정, 부착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여전히 착용자의 눈에 들어간 먼지가 있을 때 렌즈가 물을 함유하여 착용과정에서 편안감을 느끼므로 착용자 자체가 외래 먼지 또는 현탁입자에 대하여 아무런 느낌도 없지만 실제적으로 눈에 들어간 이런 먼지는 이미 착용자의 각막표면을 손상하였다. 따라서 장기간 착용할 때 필연코 눈 조직 표면에 정도가 다른 손상을 끼치고 바로 처리하지 못한다면 예를 들어 각막 손상 등 기타 눈 합병증을 유발한다.
이와 같이 콘택트렌즈의 재질이 무엇이든지 또한 착용시간이 짧고 길든지 모두 다소 눈 조직 표면에 정도가 다른 손상을 끼치며 콘택트렌즈의 재질이 나날이 새로워져도 여전히 이 문제를 피할 수 없다.
따라서 어떻게 콘택트렌즈가 각막 복원기능을 가질 수 있게 되도록 현재 콘택트렌즈의 구조와 재료의 문제를 개선하고 이로써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생활품질 및 눈의 건강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관련 업자가 해결하여야 할 목표이다.
본 실용신안의 목적은 콘택트렌즈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히 각막 복원기능을 가지고 있는 콘택트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용신안의 다른 한 목적은 현재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용신안이 제공한 콘택트렌즈는 재료가 경골비늘인 기질로 구성된다.
본 실용신안이 제공한 콘택트렌즈는 적어도 경골비늘로 구성된 비늘재료층을 포함하고 이 경골비늘로 구성된 비늘재료층은 착용자의 눈 표면과 접촉한다.
본 실용신안은 원린(cycloid scale) 또는 즐린(ctenoid scale)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골비늘로 구성된 기질로 이루어져 환자의 디옵터에 맞는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는 각막 복원기능을 가지고 있는 콘택트렌즈를 제공한다.
본 실용신안에 따르면 이 콘택트렌즈의 직경은 13~20mm이다.
본 실용신안에 따르면 이 콘택트렌즈의 중심두께는 0.03~0.13mm이다.
본 실용신안에 따르면 이 콘택트렌즈의 함수량은 20~80%이다.
본 실용신안이 제공한 콘택트렌즈는 기질과, 경골비늘로 제작한 비늘재료층을 포함한다. 비늘재료층이 착용자의 눈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외에 기질도 착용자의 눈 표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용신안은 또한 전통적인 콘택트렌즈 재료(현재 기술의 콘택트렌즈 재료)와 표면이 착용자의 눈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경골비늘재료층을 포함하는 각막 복원기능을 가지고 있는 콘택트렌즈를 제공한다.
본 실용신안에 따르면 이 콘택트렌즈는 중심 투명영역(메인 시력 교정 영역)과 외곽영역으로 나누는데 상기 비늘재료층은 중공 원반형(도너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곽영역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중심 투명영역(메인 시력 교정 영역)의 직경은 3~7mm이고 이 외곽영역(비늘재료층)의 내 외직경의 차의 크기는 6~17mm이다.
본 실용신안에 따르면 상기 비늘재료층의 한 표면은 착용자의 눈 표면과 직접 접촉하고 다른 한 표면은 상기 전통적인 콘택트렌즈의 재료와 연결된다.
본 실용신안에 따르면 이 콘택트렌즈의 함수량은 20~80%이다.
본 실용신안에 따르면 이 콘택트렌즈의 두께는 착용자의 디옵터에 따라 달라지는데 착용자의 시력 교정 요구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용신안의 기술 효과는 본 실용신안의 콘택트렌즈가 경골비늘을 포함하므로 본 실용신안의 한 장점이 손상된 눈 조직을 복원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실용신안의 콘택트렌즈는 눈 조직 표면의 손상을 복원하는데 협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용신안의 제1 실시예의 구조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용신안의 제1 실시예의 구조 예시도이고,
도 3a, 도 3b는 본 실용신안의 기타 실시예의 구조 예시도이다.
본 실용신안의 상기 콘택트렌즈에 대해서는 아래의 상세한 내용 및 첨부도면에 의하여 진일보적인 이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용신안의 제1 실시예의 구조 예시도이고 콘택트렌즈(1)를 나타내는데 손상된 눈 조직을 복원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이 콘택트렌즈(1)는 경골비늘인 기질(10)로 구성된다.
본 실용신안의 제1 실시예에서 기질(10)의 직경은 약 13~20mm이고 기질(10)의 중심두께는 약 0.03~0.13mm이다. 또한 기질(10)의 함수량은 약 20~80%이다. 여기서 기질(10)의 인장강도는 0.5~50MPA이고 상기 경골비늘은 원린 또는 즐린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용신안의 제2 실시예의 구조 예시도를 나타내고 기질(21)과 경골비늘으로 제작한 비늘재료층(20)을 포함하는 소프트 콘택트렌즈(2)를 제공한다. 여기서 경골비늘은 원린 또는 즐린에서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비늘재료층(20)의 위치는 요구에 따라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늘재료층(20)은 기질(21)의 표면에 위치한다. 이때 기질(21)의 재료는 제한받지 않는데 즉 기질(21)은 예를 들어 실리콘 하이드로젤(silicone hydrogels),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PAA), 폴리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polyhydroxyethylmethacrylate, (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 pHEMA)등 현재 시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각종 콘택트렌즈일 수 있다.
본 실용신안의 제2 실시예에서 경골비늘로 제작한 비늘재료층(20)의 두께는 0.03mm보다 작고 경골비늘로 제작한 비늘재료층(20)은 전통적인 콘택트렌즈의 두께의 2분의 1을 초과하는 않는 것을 한도로 삼는다. 예를 들어 만약 콘택트렌즈의 두께가 0.04mm이면 본 실용신안에서 기질(21)의 두께가 0.03mm보다 크고 비늘재료층(20)의 두께가 0.01mm보다 작으며 만약 콘택트렌즈의 두께가 0.12mm이면 본 실용신안에서 기질(21)의 두께가 0.09mm보다 크고 비늘재료층(20)의 두께가 0.03mm보다 작다. 그리고 비늘재료층(20)의 한 표면은 착용자의 눈 표면과 직접 접촉한다. 그리고 비늘재료층(20)이 착용자의 눈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외에 기질(21)(전통적인 콘택트렌즈 재료, 즉 현재 기술의 콘택트렌즈 재료)도 착용자의 눈 표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착용자의 눈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비늘재료층(20) 및 기질(21)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착용자의 눈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은 적어도 비늘재료층(20)을 포함한다.
물론 비늘 자체 투명도의 문제에 대해서는 적절한 어종, 예를 들면 비늘 자체가 비교적 투명한 어종을 선택하여 이 콘택트렌즈를 제조하거나 또는 적절한 공정, 예를 들면 탈석회공정(즉 일 실시예에서 콘택트렌즈에 사용하는 비늘재료가 적어도 탈석회등 화학공정을 거쳐 처리된 산물임)을 통해 비늘을 처리하거나 이상 두개 방식을 결합하여 투명도가 콘택트렌즈 재질로서 적절한 결과를 얻는다.
그라나 상기 문제는 아래 몇 개 실시예에 의해 해결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실용신안이 제공한 콘택트렌즈(3)는 중심 투명영역(31) 및 외곽영역(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중심 투명영역(31)은 메인 시력 교정 영역인데 이 영역의 재질은 전통적인 콘택트렌즈 재료(31a)이고 외곽영역(30)의 재질은 경골비늘로 작성한 중공 원반형(도너츠 형상) 비늘재료층(30a)이며 손상된 눈 조직을 복원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콘택트렌즈 재료(31a)와 비늘재료층(30a)은 동시에 착용자의 눈 표면과 직접 접촉한다.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 3b를 참조하면 이 경골비늘로 작성한 중공 원반형(도너츠 형상) 비늘재료층(30b)은 전통적인 콘택트렌즈 재료(31b)에 부착될 수 있는데 즉 착용자의 눈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재료의 재질은 중심 투명영역(메인 시력 교정 영역)에 사용하는 재질과 동일하고 착용자의 눈과 직접 접촉하는 외곽영역 부분만이 비늘로 구성되어 경골비늘이 눈 표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게 하는데 즉 비늘재료층(30b)의 한 표면은 착용자의 눈 표면과 직접 접촉하고 다른 한 표면은 이 전통적인 콘택트렌즈 재료와 연결한다. 또한 본 실용신안의 비늘재료층(30b)은 외곽영역(30)에 위치하며 비늘재료층(30b)의 범위는 제일 커서 외곽영역(30)의 크기와 같고 물론 비늘재료층(30b)은 외곽영역(30)보다 작을 수 있으며 그 중심 투명영역(31)의 직경은 약 3~7mm인데 즉 외곽영역(30)의 내외직경의 차가 약 6~17mm이고 여기서 내 외직경의 차는 이 외곽영역(도너츠 형상의 재료)의 외직경에서 내직경을 뺀 크기를 가리킨다. 이외에도 상기 중심 투명영역(31)의 가장자리부터 외곽영역(30)의 가장자리까지의 비늘재료층의 두께는 요구에 따라 서로 다른 두께일 수 있고 착용자의 근시심도 및 섬광도수를 측정하여 결정한다. 즉 전통적인 콘택트렌즈 재료(31b)와 비늘재료층(30b)은 동시에 착용자의 눈 표면과 직접 접촉한다. 그리고 착용자의 눈 표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는 부분은 상기 전통적인 콘택트렌즈 재료(31b)와 비늘재료층(30b)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착용자의 눈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은 적어도 비늘재료층(30b)을 포함한다.
본 실용신안의 상기 각종 콘택트렌즈의 실시예는 모두 서로 다른 비율의 경골비늘을 전통적인 콘택트렌즈에 첨가함으로써 경골비늘을 착용자의 눈과 접촉시키는 것이다. 경골비늘의 주요 성분은 콜라겐이므로 손상된 눈 조직을 복원하는 것을 협조하는데 도움되고 즉 경골비늘을 착용자의 눈 조직 표면과 직접 접촉시켜 경골비늘에 함유한 콜라겐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의 착용에 인해 손상된 눈 각막표면의 조직을 복원하게 하고 전통적인 콘택트렌즈가 눈 조직 표면을 손상하는 문제를 개선하였다.
본 실용신안의 콘택트렌즈는 아래의 몇 개 방식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먼저 주형 성형법을 사용하여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데 이것은 전통적인 고분자(polymer) 콘택트렌즈 재질이 주형하기 전에 크로스링키지(중합)되는 경우를 대처하는 것이고 즉 먼저 모노머(monomer)가 이미 중합된 고분자(polymer) 용액을 첨가하여 금형에 주입한 후 고분자(polymer) 용액이 고화되기 전에 비늘을 고분자(polymer) 용액이 담겨져 있는 금형에 첨가한 다음 스탬퍼 및 열소화등 공정을 진행하고 제일 마지막에 이형, 수화하여 각막복원을 가지고 있는 콘택트렌즈를 얻는다.
또한 전통적인 고분자(polymer) 콘택트렌즈 재질이 주형한 후 다시 크로스링키지(중합)되는 경우에 대해서 동일하게 주형 성형법을 이용하여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때에는 아래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즉 먼저 고분자(polymer)를 형성한 유체상 모노머(monomer)를 금형에 첨가하여 크로스링키지(중합)를 진행한 후 고분자(polymer)가 고화되기 전에 비늘을 첨가하여 스탬퍼 동작을 진행하고 열소화하며 제일 마지막에 이형, 수화등 공정을 거쳐 각막복원을 가지고 있는 콘택트렌즈를 얻는다. 여기서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비늘을 금형에 넣고 유체상 모노머(monomer)가 고분자(polymer)로 크로스링키지(중합)되는 공정을 이용하는데 먼저 비늘을 유체상 모노머(monomer)가 담겨져 있는 금형에 첨가한 후 유체상 모노머(monomer)를 크로스링키지(중합)하는 공정을 선택할 수도 있다.
물론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은 회전주조법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즉 먼저 회전판에 콘택트렌즈를 작성하는 고분자(polymer)인 유체상 모노머(monomer)를 첨가한 후 비늘을 유체상 모노머(monomer)가 놓여져 있는 회전판에 첨가하고 그 다음 회전 성형 공정을 진행하되 이때 유체상 모노머(monomer)가 고분자(polymer)로 중합되고 고화되기 시작하며 회전속도가 달리지는 것에 따라 서로 다른 착용자 요구에 맞는 콘택트렌즈를 제작할 수 있고 비늘 또한 고분자(polymer)의 고화과정에 따라 고분자(polymer)에 고정되며 제일 마지막에 이형 및 수화등 공정을 진행하여 각막복원을 가지고 있는 콘택트렌즈를 얻을 수 있다.
이외에도 일 실시예에서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은 절삭법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이 실시예에서 절삭법이 콘택트렌즈를 제작하는 비교적 적당한 방법은 비늘을 직접 콘택트렌즈의 재질로 사용하는 것인데 즉 본 실용신안의 제1 실시예 경우의 제작방법이다. 공정은 직접 통째로 된 비늘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콘택트렌즈의 절삭 공예 기술을 진행하는 것이고 상기 통째로 된 비늘은 절삭이 편리되도록 여러개의 비늘을 먼저 통째로 된 비늘로 프레스한 비늘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프레스 방법은 냉동압츨적층성형법 (frozen compressed deposit manufacturing, FCDM) 또는 가열압출적층성형법(heated compressed deposit manufacturing, FHDM)일 수 있고 다른 기타 방법을 이용하여 이러한 프레스 목적을 이룰 수도 있다.
상기 각종 제조방식 외에 혼합 공예법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즉 상기 각종 방법을 결합하여 제작하는 것이다.
상술한 콘택트렌즈를 제작하는 각종 방법은 모두 이미 알고 있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방법인데 즉 본 실용신안의 한 장점은 각막복원을 가지고 있는 콘택트렌즈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이 목적을 위하여 특수적인 공예 또는 기계설비를 의도적으로 제작할 필요가 없고 전통적인 공예의 어느 한 공정에서 적당한 두께 및 크기의 비늘을 첨가하기만 하면 된다. 다시 말하자면 본 실용신안의 다른 한 장점은 각막복원을 가지고 있는 콘택트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 아주 편리하다는 것이다.
본 실용신안은 적어도 아래의 장점을 포함한다.
1. 쉽게 비늘을 얻을 수 있고 공급원이 제한받지 않음.
2. 현재까지 어류와 인류사이에는 서로 상통하는 질병이 없으므로 비늘의 사용이 아주 안전함.
3. 비늘재료는 천연적인 생물의료용 재료이고 제작 프로세스가 간단하며 처리조건이 쉽게 장악됨.
4. 비늘재료의 주요 성분은 콜라겐이고 눈의 각막을 복원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음.
5.비늘 자체의 기계강도가 충분하므로 단순히 비늘을 재료로 삼아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도 있음.
6. 어종의 선택에 의해 비늘 자체가 비교적 투명한 어종을 선택하여 콘택트렌즈를 제조할 수 있음.
7. 본 실용신안의 콘택트렌즈에 의하여 콘택트렌즈 착용족의 눈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됨.
8. 본 실용신안의 손상된 눈 조직을 복원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콘택트렌즈는 특별한 방법을 필요하지 않고 전통적인 콘택트렌즈의 공예를 결합할 수 있음.
본 실용신안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위와 같이 설명되는데 이 바람직한 실예는 본 실용신안의 정신과 실체가 상기 실시예에만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실용신안의 정신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한 수정은 모두 본 실용신안의 특허청구 범위에 포함된다.
1 콘택트렌즈
2 콘택트렌즈
3 콘택트렌즈
10 기질
20 비늘재료층
21 기질
30 외곽영역
30a 비늘재료층
30b 비늘재료층
31 중심 투명영역
31a 전통적인 콘택트렌즈 재료
31b 전통적인 콘택트렌즈 재료

Claims (9)

  1. 원린(cycloid scale) 또는 즐린(ctenoid scale)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골비늘로 구성된 기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 복원기능을 가지고 있는 콘택트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렌즈의 직경은 13~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렌즈의 중심두께는 0.03~0.1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렌즈의 함수량은 2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5. 전통적인 콘택트렌즈 재료와, 한 표면이 착용자의 눈 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경골비늘재료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막 복원기능을 가지고 있는 콘택트렌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렌즈는 중심 투명영역과 외곽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경골비늘재료층은 중공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곽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 투명영역의 직경은 3~7mm이며, 상기 외곽영역의 내외직경의 차의 크기는 6~1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골비늘재료층의 한 표면은 착용자의 눈 표면과 직접 접촉하고, 다른 하나의 표면은 상기 전통적인 콘택트렌즈 재료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렌즈의 함수량은 2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렌즈의 두께는 착용자의 디옵터에 따라 달라지고 착용자의 시력교정 요구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KR2020127000063U 2010-06-04 2010-11-15 각막 복원기능을 가지고 있는 콘택트렌즈 KR20130004235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202227835U CN201689229U (zh) 2010-06-04 2010-06-04 具有角膜修补功能的隐形眼镜
CN201020222783.5 2010-06-04
PCT/CN2010/078738 WO2011150632A1 (zh) 2010-06-04 2010-11-15 具有角膜修补功能的隐形眼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235U true KR20130004235U (ko) 2013-07-09

Family

ID=4337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7000063U KR20130004235U (ko) 2010-06-04 2010-11-15 각막 복원기능을 가지고 있는 콘택트렌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184023U (ko)
KR (1) KR20130004235U (ko)
CN (1) CN201689229U (ko)
DE (1) DE212010000221U1 (ko)
GB (1) GB2494592B (ko)
WO (1) WO20111506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773A (ko) 2017-11-23 2019-05-31 강한나 렌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5075B (zh) * 2013-06-26 2014-10-22 无锡市康明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绑带式软性角膜接触镜
CN103908364A (zh) * 2013-07-05 2014-07-09 马准吾 制冷剂内置型隐形眼镜
US11029538B2 (en) * 2017-10-25 2021-06-08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Contact lenses having an ion-impermeable portion and relate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30513A (zh) * 2004-02-13 2007-03-14 科特尔兰巴达技术公司 混合隐形眼镜系统和方法
US7109300B2 (en) * 2004-04-19 2006-09-19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is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Extraction of collagen from calcified tissues
JP2008508959A (ja) * 2004-08-13 2008-03-27 オタワ ヘルス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眼用器具及び関連した方法及び組成物
US20060290882A1 (en) * 2005-06-27 2006-12-28 Paragon Vision Sciences, Inc. Laminated contact lens
US20090036656A1 (en) * 2007-07-31 2009-02-05 Body Organ Biomedical Corp. Method for preparing a biomaterial
US8916207B2 (en) * 2006-12-04 2014-12-23 Body Organ Biomedical Corp. Corneal cover or corneal implant and contact lens and method thereof
CN101480850A (zh) * 2008-01-10 2009-07-15 张志宏 表面具亲水性的硅材料隐形眼镜的制造方法
US8385998B2 (en) * 2008-10-24 2013-02-26 Jin Zhang Contact lens integrated with a biosensor for the detection of glucose and other components in tea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9773A (ko) 2017-11-23 2019-05-31 강한나 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84023U (ja) 2013-06-13
DE212010000221U1 (de) 2013-02-13
GB2494592B (en) 2016-02-10
GB201223084D0 (en) 2013-02-06
CN201689229U (zh) 2010-12-29
GB2494592A (en) 2013-03-13
WO2011150632A1 (zh)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7846C (en) Multi-axis lens design for astigmatism
CA2761091C (en) Ophthalmic lenses and reduction of accommodative error
RU2581088C1 (ru) Контактные линзы с улучшенным пропусканием кислорода
CN102804029B (zh) 调节误差测量在提供眼科镜片中的用途
KR20080073717A (ko) 고차 수차 교정을 통합한 노안 교정에 유용한 안과 렌즈
US11686954B2 (en) Contact lens with improved visual performance and minimized halo utilizing pupil apodization
KR20130004235U (ko) 각막 복원기능을 가지고 있는 콘택트렌즈
JP2010529491A (ja) 視覚障害によって生じる眼精疲労を治療するレンズデザイン
Lyons et al. Development of the gas‐permeable impression‐moulded scleral contact lens: a preliminary report
AU2016225918B2 (en) Multi-axis lens design for astigmatism
KR102225097B1 (ko) 진행성 근시의 치료 방법 및 진행성 근시 치료용 렌즈
JP6899399B2 (ja) 非矯正眼鏡用プラスチックレンズ
TWM391662U (en) Contact lens for repairing the eye
AU2015268675A1 (en) Multi-axis lens design for astigmat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