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007U -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 - Google Patents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007U
KR20130004007U KR2020110011490U KR20110011490U KR20130004007U KR 20130004007 U KR20130004007 U KR 20130004007U KR 2020110011490 U KR2020110011490 U KR 2020110011490U KR 20110011490 U KR20110011490 U KR 20110011490U KR 20130004007 U KR20130004007 U KR 201300040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frame
jig
submarine
cha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840Y1 (ko
Inventor
권재문
전종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114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84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0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0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8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는, 잠수함용 섹션을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섹션의 거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향 전환용 지그로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지지판을 각각 구비하고, 서로 간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섹션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에 거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방향전환용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방향전환용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상기 한 쌍의 방향전환용 프레임이 설치면에 대해 특정 상태를 갖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섹션을 지지하도록, 각각 받침대가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섹션의 방향 전환작업을 보다 신속,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JIG FOR CHANGE OF DIRECTION FOR SECTION OF SUBMARINE}
본 고안은,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섹션의 방향 전환작업을 보다 신속,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수함의 건조를 위해 조립되는 제작품, 일 예로 섹션은 품질 준수를 위해 최적의 작업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한편, 이러한 섹션의 제조시에는 이동 및 장비탑재를 위한 섹션의 방향 회전이 반복적으로 요구된다.
일 예로,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섹션을 회전시켰다.
구체적으로, 섹션(20)의 길이 방향 전후방 영역에는 상당한 자중을 갖는 섹션을 운반 및 회전하기 위해 각각 복수의 리프팅 러그(21, lifting lug)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리프팅 러그(21)는 크레인의 걸림 후크에 걸림 가능하도록 섹션(20)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종래에는 크레인의 걸림 후크를 리프팅 러그(21)에 걸은 후 크레인을 작동하여 섹션(20)을 세로 방향으로 세우거나 가로방향으로 눕히는 작업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리프팅 러그(21)는 섹션(20) 제조작업이 완료되면 별도의 그라인더 등을 이용하여 제거되는 임시장착부재로서 종래에는 리프팅 러그(21)의 설치 개수가 과다하여 리프팅 러그(21)를 섹션(20)에 설치 및 제거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일정 이상 소요되어 전체적인 제조시간의 증가가 불가피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실질적으로 크레인에 의해서만 섹션(20)의 방향 전환 작업이 실시되는데 이때 섹션(20)의 무게 중심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로 방향을 전환하는 작업은 고도의 숙련된 노동자만이 가능하며 일반 작업자가 하기에는 힘든 문제가 발생하였다.
덧붙여, 전술한 바와 같이 섹션(20)의 방향 전환 작업을 실시하는 도중 섹션(20)의 무게 중심이 일측으로 치우치게 되면 섹션(20)의 급격한 회전이 발생하여 심하게는 안전사고까지 발생하는 커다란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섹션의 방향 전환작업을 보다 신속,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리프팅 러그와 같이 섹션에 임시적으로 장착되는 부재를 생략하여 방향전환 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소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잠수함용 섹션을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섹션의 거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향 전환용 지그로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지지판을 각각 구비하고, 서로 간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섹션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에 거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방향전환용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방향전환용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상기 한 쌍의 방향전환용 프레임이 설치면에 대해 특정 상태를 갖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섹션을 지지하도록, 각각 받침대가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섹션의 길이방향 단부가 접촉 가능하고,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섹션의 외면이 접촉 가능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섹션이 상기 한 쌍의 방향전환용 프레임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섹션의 내면에 걸림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섹션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래더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의 길이는,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지지판 사이의 최대 이격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은 에이치 빔 또는 아이 빔이며, 상기 제2 프레임은 원통 형상의 파이프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작업자가 섹션의 방향 전환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하도록 할 수 있다.
둘째, 종래의 리프팅 러그와 같이 임시적으로 섹션에 장착되는 부재를 생략하고 섹션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나의 클램프를 장착함으로써, 방향전환 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소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섹션을 방향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를 이용하여 섹션을 방향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후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를 이용하여 섹션을 방향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이하, '지그'라 한다)는, 잠수함용 섹션을 거치한 상태에서 건조작업을 위해 종래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섹션을 가로방향으로 눕히거나 세로방향으로 세우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100)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방향전환용 프레임(110), 상기 한 쌍의 방향전환용 프레임(110)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각의 방향전환용 프레임(110)은, 제1 프레임(111), 제1 프레임(111)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112), 제2 프레임(112)의 일측에 구비되는 지지판(114)을 포함한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1)은, 섹션(200)이 가로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 세로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 가로방향에서 세로방향으로 방향 전환되는 과정 및 그 반대로 방향 전환되는 과정 중 섹션(200)의 길이방향 단부에 접촉 가능하게 된다. 한편, 섹션(200)이 방향 전환되는 과정 중에 더 안정적인 상태로 방향 전환되도록 제1 프레임(111)과 섹션(200)의 단부와의 상호 접촉면적은 일정 이상 증가한 상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프레임(111)은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섹션(200)의 단부와의 사이에 일정 이상의 접촉면적을 형성할 수 있는 에이치 빔 또는 아이 빔으로 적용 가능하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프레임(111)은 사각형 파이프로도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섹션(200)은 지그(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가로 방향으로 눕혀지거나 세로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방향 전환되며, 이러한 과정 중에 섹션(20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지그(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이러한 이탈을 방지하지 못한다면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장 바닥의 훼손이 불가피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1)에는, 섹션(200)이 한 쌍의 방향전환용 프레임(110)에 거치된 상태에서 섹션(200)의 내면에 걸림 가능하도록 스토퍼(113)가 마련된다. 따라서,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섹션(200)을 방향전환 시킬 때 스토퍼(113)는 섹션(200)의 내면에 접촉하여 걸린 상태를 유지하므로 지그(100)로부터 섹션(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섹션(200)에는 섹션(200)을 클램핑하도록 클램프(210)가 장착되며, 이러한 클램프(210)는 섹션(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는 본 실시예가 종래와 같이 크레인만을 이용하여 섹션(200)을 방향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지그(100)를 적용하여 섹션(200)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착탈 가능한 클램프(210)를 적용하면서도 충분히 섹션(200)을 방향 전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종래와 같이 리프팅 러그를 섹션에 용접하는 선행 작업을 생략하여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섹션(200)의 방향 전환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섹션(200)의 방향 전환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제2 프레임(112)은 제1 프레임(111)에 연결되어 마찬가지로 섹션(200)을 거치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섹션(200)의 방향 전환시 섹션(200)의 외면에 접촉 가능한 부분이다.
한편, 섹션(200)의 길이방향 단부가 제1 프레임(111)에 접촉되고, 섹션(200)의 외면이 제2 프레임(112)에 동시에 접촉 가능하도록, 제2 프레임(112)은 제1 프레임(111)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섹션(200)이 가로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방향 전환되는 순간, 섹션(200)의 상당한 자중은 제2 프레임(112)에 가해지게 된다. 이때, 제2 프레임(112)은 섹션(200)의 자중에 의해 일부 영역이 벤딩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함과 더불어 제2 프레임(112)과의 표면 접촉에 의해 섹션(200)의 외면에 함몰부 등이 생성되어 품질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프레임(112)은 원통 형상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114)은 제2 프레임(112)의 일측에 구비되며, 섹션(200)이 지그(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보다 쉽게 방향 전환되도록 장변부와 단변부를 갖는 대략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연결프레임(120)은 한 쌍의 방향전환용 프레임(110)을 서로 연결하도록 복수로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방향전환용 프레임(110)이 설치면(작업장 바닥면)에 대해 특정 상태를 갖도록 회전한 상태, 구체적으로 섹션(200)이 세로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섹션(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받침대(121)가 더 마련된다.
이러한 받침대(121)는 연결프레임(120)의 양단부 근방 영역에서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2개로 마련되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연결프레임(120)의 내측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프레임(120)은 채널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받침대(121)는 연결프레임(120)의 채널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섹션(200)이 세로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방향 전환된 상태에서, 받침대(121)는 하측으로 힌지 회전한 후 그 하단부는 설치면에 접촉되며 따라서 지그(100)가 섹션(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지지판(114), 구체적으로 직각 삼각형의 꼭지점 주변에 해당하는 영역은 설치면에 접촉하게 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121)는 하측으로 힌지 회전하여 하단부가 설치면에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받침대(121)의 길이는 제2 프레임(112)과 지지판(114) 사이의 최대 이격거리(H)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그(100)가 섹션(200)을 안정적으로 거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이러한 받침대(121)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대(121)는 통상 차량용 안테나 구조와 같이, 통 형상의 제1 하우징 및 제1 하우징 내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2 하우징 등이 구비되어 자체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2 프레임(112)이 설치면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지 않더라도(설치면에 대해 일정 이상 기울어진 상태를 갖더라도) 받침대(121)의 하단부가 설치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하여 섹션(200)을 안정적으로 지지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섹션(200)이 지그(100)에 의해 세로 방향으로 세워져서 지지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섹션(200)의 상부 영역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지지판(114)에는 제2 프레임(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래더(115)가 더 설치된다. 이러한 래더(115)는 지지판(114)에 용접을 통해 부착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이용하여 섹션을 방향전환시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섹션(200)은 그 하단부가 제1 프레임(111)에 접촉하고 외면이 제2 프레임(112)에 접촉 가능하도록 가로방향으로 눕혀져 있다. 이때, 제1 프레임(111)에 형성된 스토퍼(113)는 섹션(200)의 내면에 접촉하거나 섹션(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섹션(20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섹션(200) 제작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섹션(200)에는 크레인의 걸림 후크가 걸림 가능하도록 클램프(210)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클램프(210)는 섹션(2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다음, 작업자는 크레인의 걸림 후크를 클램프(210)에 걸은 후 크레인을 작동하여 섹션(200)을 서서히 상측으로 들어올린다. 이때, 섹션(200)의 회전에 따라 마찬가지로 지그(100)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점이 변동하므로 지그(100)도 회전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섹션(200)이 어느 정도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면 지지판(114)의 장변부가 설치면에 접촉한 상태를 갖는다.
이어서, 섹션(200)이 크레인에 의해 더욱 상측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면 지지판(114)의 라운드진 모서리부(장변부와 단변부가 연결되는 부분)가 설치면에 접촉하게 되며 또한 제2 프레임(112)이 설치면에 대해 대략 평행한 상태를 갖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받침대(121)를 힌지 회전시켜 그 하단부가 설치면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지그(1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따라서 지그(100)는 섹션(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섹션(200)이 가로방향으로 눕혀진 상태에서 세로방향으로 세워지도록 방향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며, 반대로 섹션(200)이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로 방향전환되는 과정도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진행된다. 다만, 이 경우 초기에 받침대(121)를 힌지 회전시켜 연결프레임(120)의 내측에 수용시키는 작업이 선행된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지그 110: 방향전환용 프레임
113: 스토퍼 115: 래더
121: 받침대 200: 섹션
210: 클램프

Claims (8)

  1. 잠수함용 섹션을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섹션의 거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향 전환용 지그로서,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는 지지판을 각각 구비하고, 서로 간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섹션이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에 거치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방향전환용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방향전환용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상기 한 쌍의 방향전환용 프레임이 설치면에 대해 특정 상태를 갖도록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섹션을 지지하도록, 각각 받침대가 힌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섹션의 길이방향 단부가 접촉 가능하고,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섹션의 외면이 접촉 가능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연결되는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섹션이 상기 한 쌍의 방향전환용 프레임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섹션의 내면에 걸림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섹션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제2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래더가 설치되는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길이는,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지지판 사이의 최대 이격거리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에이치 빔 또는 아이 빔이며, 상기 제2 프레임은 원통 형상의 파이프인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
KR2020110011490U 2011-12-23 2011-12-23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 KR200481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90U KR200481840Y1 (ko) 2011-12-23 2011-12-23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90U KR200481840Y1 (ko) 2011-12-23 2011-12-23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007U true KR20130004007U (ko) 2013-07-03
KR200481840Y1 KR200481840Y1 (ko) 2016-11-17

Family

ID=5242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490U KR200481840Y1 (ko) 2011-12-23 2011-12-23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840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8609U (ko) * 1985-12-09 1987-06-23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8609U (ko) * 1985-12-09 1987-06-2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840Y1 (ko)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749B1 (ko) 차량 리프트용 타이어 거치장치
KR20120020437A (ko) 케이블 드럼용 받침대
CN213231276U (zh) 一种钢栈桥拼接用吊装装置
JP2010018355A (ja) ブーム起伏装置
KR101185967B1 (ko) 블록 지지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선박 건조방법
CN211198358U (zh) 吊具
CN218786476U (zh) 一种钢桁片平立转换工装
KR20130004007U (ko) 잠수함용 섹션의 방향 전환용 지그
CN204434069U (zh) 吊具
KR101767315B1 (ko) 후크 고정 스토퍼 및 트윈 타입 후크 스팬 조정장치와 방법
JP2019112166A (ja) フック格納構造及びフック格納方法
CN209550547U (zh) 一种连铸机弯曲段框架倾翻装置
JP4461549B2 (ja) ロールスタンドの吊装置及びロール替え方法
CN204474120U (zh) 格构柱吊装装置及系统
CN211769996U (zh) 一种移动龙门吊架
KR200324238Y1 (ko) 래들 경동로드 이탈 방지장치
JP2007038495A (ja) 金型反転フック並びに金型反転基台
KR20160002547U (ko) 중량물 승강 및 이송 장치
KR20120065004A (ko) 중량물 인양지그
CN109264608B (zh) 用于吊装张拉千斤顶进行张拉作业的台车
CN108928756A (zh) 一种注塑模具起吊设备
JP6544794B2 (ja) 昇降式上下二段駐輪装置
CN217921042U (zh) 一种箱梁钢模板双臂吊具
CN215101510U (zh) 一种钢箱梁吊装稳定装置
CN210884948U (zh) 吊具框架及起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