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511A -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511A
KR20130003511A KR1020110064917A KR20110064917A KR20130003511A KR 20130003511 A KR20130003511 A KR 20130003511A KR 1020110064917 A KR1020110064917 A KR 1020110064917A KR 20110064917 A KR20110064917 A KR 20110064917A KR 20130003511 A KR20130003511 A KR 20130003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emplate
active ingredient
fast disintegrating
pharmaceutically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0058B1 (ko
Inventor
이종휘
이혜승
이민경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64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058B1/ko
Publication of KR20130003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은, 수용성 당류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되고, 미세 기공을 가지는 속붕해성 템플레이트; 및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 내에 담지되어 있고, 수용성 고분자로 코팅되어 있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 특히 PDE-5 억제제의 결정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은,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결정 크기를 줄임으로써, 기존 제형보다 물리/화학적 안정성, 가공성 및 속효성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수용성 당류의 단 맛과 수용성 고분자의 코팅에 따른 초기 방출 억제효과에 의해 쓴 맛을 차폐할 수 있어 복용 시 쓴 맛에 의한 불쾌감을 줄일 수 있고, 물 없이도 복용이 간편하여 복약 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Fast dissolving film comprising drug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본 발명은,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수명 연장으로 고령 인구의 사회적 구성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들 고령자들은 약물 동태학적인 변화 뿐만 아니라, 시력, 청력, 기억력 및 육체적 능력이 퇴보된 상태이기 때문에, 적절한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일반 정제나 캅셀제를 복용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고령자들을 위한 경구 투여제의 대체 제제가 요구된다.
구강 내에서 쉽게 붕해 또는 용해되는 속용성 필름은 물이 없이도 복용할 수 있으므로, 정제나 캅셀제를 복용하기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 뿐만 아니라, 어린이, 장애자,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 및 바쁜 현대인들에게도 매우 유용한 제제이다. 노인과 어린이에게 정제 또는 캅셀제의 대용으로 액제 처방이 가능하지만, 액상 제제는 안정성이 떨어지고, 용량이 정확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약물이 구강 점막으로 흡수될 경우, 간초회통과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속용성 필름은 소화관으로부터 흡수되는 약물들 중에서, 간 대사를 많이 받는 약물들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구강 내에서 쉽게 용해되는 필름 제제는 구강 점막을 통해 약물이 흡수되므로, 약물의 흡수시 쓴 맛 및 불쾌미를 차폐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한편, 발기부전 치료제로 알려져 있는 포스포디에스터라제-5(phosphodiesterase-5, PDE-5) 억제제는 사이클릭 구아노신 3’,5’-모노포스페이트 포스포디에스터라제 5형(cGMP PDE-5)의 선택적 억제제로서, 이에 속하는 약물로는 바데나필(Vardenafil, 1-[[3-(1,4-다이하이드로-5-메틸-4-옥소-7-프로필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2-일)-4-에톡시페닐]설포닐]-4-에틸, C23H32N6O4S, CAS no. 224785-90-4), 실데나필(Sildenafil, 1-[[3-(6,7-다이하이드로-1-메틸-7-옥소-3-프로필-1H-피라졸로[4,3-d] 피리미딘-5-일)-4-에톡시페닐] 설포닐]-4-메틸피페라진, C22H30N6O4S, CAS no. 171599-83-0), 타달라필(Tadalafil, 피라지노[1',2':1,6]피리도[3,4-b]인돌-1,4-다이온, 6-(1,3-벤조다이옥솔-5-일)-2,3,6,7,12,12a-헥사하이드로-2-메틸-(6R,12aR)-, C22H19N3O4, CAS no. 171596-29-5) 및 유데나필(Udenafil, C25H36N6O4S, CAS no. 268203-93-6) 등의 약물이 개발되어 있다. 바데나필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30355호, 실데나필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262926호, 타달라필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57411호, 유데나필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53014호에 각각 발기부전 치료제로 사용됨이 개시되어 있다.
PDE-5 억제제는 제제화시 신속한 흡수와 양호한 생물학적 이용률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의 수용성 염을 사용하거나 불활성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된 정제 형태로 경구용 발기부전 치료제로서 시판되고 있다. 바데나필은 염산염으로 제조되어 “레비트라”라는 상품명으로 바이엘에서 시판되고 있고, 실데나필은 구연산염으로 제조되어“비아그라”라는 상품명으로 화이자에서 시판되고 있으며, 타달라필은 크로스카르멜로스 나트륨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등의 불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경구 투여용 아몬드형의 필름 코팅정 형태인“시알리스”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시판되고 있는 바데나필의 염산염은 수용해도가 0.11 ㎎/㎖(PDR 2006, p3048∼3053)이고, 실데나필의 구연산염은 수용해도가 3.5 ㎎/㎖(PDR 2006, p2552∼2556)이며, 타달라필의 경우는 2 ㎍/㎖(US 6841167)의 낮은 수용해도를 보이고 있다. 상기와 같이, 낮은 수용해도를 가지는 화합물은 낮은 용출 속도 및 낮은 생체 이용률을 가질 수 있고, 약효 발효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성관계시 약효 발효시간을 고려하여 복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일반 정제로 복용 시에도 물과 함께 복용해야 하기 때문에 성적 파트너에 대한 배려 및 복약 순응도 측면에서 볼 때 문제가 있어, 구강 내에서 물 없이 신속히 용해되고 흡수되어 목적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속용성 제제에 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PDE-5 억제제는 대체적으로 난용성을 가지고 있다. PDE-5 억제제와 같이, 약제학적 활성물질이 난용성일 경우에는 상기 약제학적 활성물질을 포함하는 경구 제제가 충분한 생체 이용률을 갖기 위해서 수용해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타달나필의 경우에는 EP 1269994 A2에서 약제학적 활성물질인 타달나필의 수용해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이른바 농도 개선 폴리머에 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WO 96/38131에서는 난용성 약제학적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고체 분산체의 제조 방법 및 활성 물질의 용해도가 공침전으로 개선될 수 있다는 점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타달라필 활성 물질의 방출 시험에서는 공침전물을 함유하는 정제가 순수한 활성 물질을 함유하는 정제보다 활성 물질을 더 느리게 방출한다는 점이 판명되었다. 더욱이 공침전물을 이용한 정제의 경우, 공침전물에 함침되지 않고, 유리 상태로 존재하는 타달라필 입자도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타달라필의 유리 입자는 공침전물에 함침되어 있는 타달라필의 입자보다도 신속히 용해될 수 있어, 원하지 않는 타달라필의 바이모드(bimodal) 방출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또한, 공침전물의 경우, 재현성이 좋지 않아 대규모 생산이 복잡할 수 있다.
난용성의 약제학적 활성 물질의 용해도룰 개선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WO 01/008688에서는 급속 방출 경구 제제 및 분쇄(grinding) 또는 미분화(micronizing)를 통한 활성 물질의 입자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방안을 개시하고 있다. 타달라필의 입자 크기를 40 ㎛ 미만으로 감소시킬 경우에는 목적하는 수용해도 또는 방출성을 달성할 수 있으나, 활성 물질의 분쇄 또는 미분화에는 단점이 있다. 미분화된 입자는 응집물을 형성하려는 경향이 있어, 입자 크기를 한정하는 것이 어렵고, 이에 따라 수용해도를 결정하는 것도 어렵다. 또한 분쇄된 활성 물질의 입자는 유동성이 불량할 수 있고, 특히 정제가 압축되거나 캅셀이 충전되는 경우에는 제립과 같은 추가의 가공 공정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활성 물질의 입자가 작지만, 충분한 수용해도를 달성하기 위해서 상당한 계면 활성제의 첨가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종종 있을 수 있다.
다른 PDE-5 억제제인 실데나필의 경우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0036527호에서 PDE-5 억제제인 실데나필을 발포정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속용성을 가지도록 구성하였으나, 이 제제에 사용된 구연산염은 수용성 염이지만 목적하는 정도의 수용해성(3.5 ㎎/㎖, PDR 2006, p2552∼2556)을 나타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구강 내에서 용해시켜 먹을 수 없을 정도의 쓴맛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실데나필 구연산염의 쓴 맛을 개선하기 위해 실데나필 구연산염 대신에 쓴맛이 없는 실데나필의 유리 염기(free base)를 사용한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9-008824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실데나필의 유리 염기를 사용한 제제 역시 구강 내에서 쓴 맛을 줄일 수는 있으나 수용해도가 워낙 낮아 본래의 목적인 신속하고 양호한 생체 이용율을 나타내는데 한계가 있다. 수용해도가 극히 저조한 불용성의 물질은 구강 내에서 아무리 신속히 붕해되는 형태의 제제에 적용되더라도 용해되지 않은 상태로 일단 삼켜져 소화관에 도달하므로 경구 투여되는 일반적인 정제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못한다. 또한, US 6531114에서는 츄잉껌을 이용하여 실데나필 시트레이트를 용출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실데나필 시트레이트의 용출 속도를 조절하기가 어렵고, 약효의 범위가 다양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US 6803031에서는 흡입법을 통해 발기부전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아직 긴 기간 동안 발기부전 약물을 흡입하였을 때, 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US 2003-0068378에서는 점막 접착성 필름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약물 형태의 전달은 점막 접착성 작용 물질 또는 입안의 점막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신속히 효과를 발휘하면서 높은 생체 이용율을 나타내며, 쓴 맛을 차폐하여 복용 시 쓴 맛에 의한 불쾌감을 줄일 수 있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 특히 PDE-5 억제제의 새로운 속용제형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미세 기공을 가지는 속붕해성 템플레이트; 및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에 담지되어 있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a) 수용성 당류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수용성 당류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미세 기공을 가지는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c)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제조된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을 상기 제조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에 도포하는 단계; 및 (e) 상기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이 도포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은, 수용성 당류를 포함하고, 미세 기공을 가지는 속붕해성 템플레이트; 및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 내에만 담지되어 있고, 수용성 고분자로 코팅되어 있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 특히 PDE-5 억제제의 결정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은, 기존 제형보다 물리/화학적 안정성, 가공성 및 속효성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수용성 당류의 단 맛과 수용성 고분자의 코팅에 따른 초기 방출 억제효과에 의해 쓴 맛을 차폐할 수 있어 복용 시 쓴 맛에 의한 불쾌감을 줄일 수 있고, 물 없이도 복용이 간편하여 복약 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매니톨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3은 실시예 2에 따라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 내에서의 결정화를 통해 형성된 타달라필 결정 미립자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3에 따라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 내에서의 결정화를 통해 형성된 에틸 셀룰로오스가 코팅되어 있는 타달라필 결정 미립자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5는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타달라필 원료 결정의 광학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도 6은 타달라필 원료 물질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타달라필 방출 특성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타달라필 결정의 방출 특성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타달라필 방출 특성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타달라필 결정의 방출 특성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초기 타달라필 방출 특성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타달라필 결정의 초기 방출 특성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타달라필 방출 특성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타달라필 결정의 방출 특성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미세 기공을 가지는 속붕해성 템플레이트; 및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에 담지되어 있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하,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10)은 미세 기공(12)을 가지는 속붕해성 템플레이트(11); 및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11)의 미세 기공(12)에 담지되어 있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는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미세 기공을 가지고 있다. 상기 미세 기공은 후술하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담지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의 직경은 1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미세 기공의 직경이 100 ㎛를 초과하면 미세 기공 내에서의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결정화 과정에서 상기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결정의 크기가 원하는 것보다 커질 수 있다. 상기 미세 기공의 직경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그 직경이 작을수록 미세 기공 내에서 결정화 되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결정 미립자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1 ㎛ 이상, 바람직하게는 2 ㎛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두께는 10 ㎛ 내지 30,000 ㎛, 바람직하게는 100 ㎛ 내지 200 ㎛ 일 수 있다.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두께가 10 ㎛ 미만이거나 30,000 ㎛를 초과하면,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에서 미세 기공이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로는 수용성 당류를 들 수 있고, 상기 수용성 당류는 입안에서의 단맛, 촉감 및 속붕해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성분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당류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단맛과 수용성이 우수한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성 당류의 예로서, 유당(lactose), 포도당(glucose), 수크로오스(sucrose), 과당(fructose), 레불로오스(levulose),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파라티노오스(palatinose), 매니톨(mannitol), 솔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및 에리스리톨(erythrit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는 수용성 당류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수용성 당류의 단맛을 통해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쓴 맛을 차폐할 수 있고, 상기 수용성 당류의 속붕해성을 이용하여 입안에서 쉽게 용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가 수용성 당류만으로 만들어 지면 물리적 강도가 좋지 않아서 보관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는 상기 수용성 당류와 함께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 활성 성분은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 내에 담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 내에 담지되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경구 투여되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빠른 용해를 통해 약효를 신속히 나타낼 수 있는 약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예로서, 글리메피리드, 피오글리타존 등과 같은 당뇨병 치료제; 졸피뎀, 에스조피클론 등과 같은 불면증 치료제; 톨테로딘, 트로스피움 등과 같은 비뇨생식기 치료제; 시부트라민 등과 같은 비만 치료제; 스트렙토키나제 등과 같은 효소제; 오메프라졸 등과 같은 소화성 궤양용제; 테오필린, 글렌부테롤 등과 같은 진해거담제; 피나스테리드 등과 같은 피부질환 치료제; 온단세트론 등과 같은 항구토제; 플루옥세틴 등과 같은 항우울제; 염산펙소페나딘 등과 같은 항히스타민제;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케토프로펜, 멜록시캄 등과 같은 해열진통 소염제; 테스토스테론 등과 같은 호르몬 제제; 펠로디핀, 아토르바스타틴, 캄실산암로디핀, 독사조신, 심바스타틴, 레르카니디핀 등과 같은 순환기용 치료제; 파모티딘, 라니티딘, 란소프라졸 등과 같은 소화기관용 치료제; 암로디핀, 니트로글리세린 등과 같은 심장 혈관제; 파록세틴 등과 같은 정신 신경용제, 실데나필, 타달라필, 바데나필 등과 같은 발기부전 치료제, 도네피질 등과 같은 알츠하이머 치료제; 골다공증 치료제; 관절염 치료제; 간질 치료제; 근육 이완제; 뇌기능 개선제; 정신분열증 치료제; 면역 억제제; 암피실린, 아목시실린 등과 같은 항생제; 항암제; 항암치료 보조제; 백신제; 구강 청결제; 빈혈 치료제; 변비 치료제; 알레르기 치료제; 혈액 응고 방지제; 비타민; 영양제; 유산균 제제; 종합 감기약; 또는 건강기능 식품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발기부전 치료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구체적인 예로는 트리클로산, 세틸 피리듐클로라이드, 도미펜 브로마이드, 4차암모늄염, 아연화합물, 산귀나린, 플루오라이드, 알렉시딘, 옥토니딘, EDTA,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케토프로펜, 디플루니살, 페노프로펜칼슘, 나프록센, 톨메틴나트륨, 인도메타신, 벤조나테이트, 카라미펜, 에디실레이트, 멘톨, 덱스트로메트로판 히드로브로마이드, 크로페디아놀 히드로클로라이드, 디펜히드라민, 슈도에페드린, 페닐에페린, 페닐프로판올아민, 슈도에페드린설페이트, 브롬페니르아민말레이트, 클로르페니르아민말레이트, 카르비녹사민말레이트, 클레마스틴푸마레이트, 덱스클로르페니르아민말레이트, 디펜히드라민히드로크로라이드, 디펜히드라민시트레이트, 디페닐피랄린히드로클로라이드, 독실아민숙시네이트, 프로메타진히드로클로라이드, 피릴아민말레이트, 트리펠렌아민시트레이트, 트리프롤리딘히드로클로라이드, 아크리바스틴, 로라타딘, 브롬페니르아민, 덱스브롬페니르아민, 구아이페네신, 이페칵, 칼슘아이오다이드, 테르핀히드레이트, 로페르아미드, 파모티딘, 라니티딘, 오메프라졸, 란소프라졸, 지방족알콜, 니코틴, 카페인, 스트리키닌, 피크로톡신, 펜틸렌테트라졸, 페니히단토인, 페노바르비탈, 프리미돈, 카르밤아제핀, 에토숙시미드, 메토숙시미드, 펜숙시미드, 트림메타디온, 디아제팜, 벤조디아제핀, 펜아세미드, 펜에투리드, 아세타졸아미드, 술티암, 브로마이드, 레보도파, 아만타딘, 몰핀, 헤로인, 히드로모르틴, 메토폰, 옥시모르폰, 레보르판올, 코데인, 히드로코돈, 자이코돈, 날노르핀, 날록손, 날트렉손, 살리실레이트. 페닐부타존, 인도메타신, 펜아세틴, 클로르프로마진, 메토트리메프라진, 할로페리돌, 클로자핀, 레세르핀, 이미프라민, 트라닐시프로민, 페넬진, 리듐, 아포모르핀, 실데나필, 타다라필, 바데나필, 온단세트론, 도네피질, 졸피뎀타르타레이트, 그라니세트론, 몬테루카스트, 폴코딘, 부틸스코폴아민, 펜타닐시트레이트, 염산옥시코돈, 염산부프레놀핀, 에시탈로프램옥살레이트, 리바스티그민타르타레이트, 에소메프라졸 마그네슘, 아리피프라졸, 졸미트립탄, 리자트립탄 벤조에이트, 텔미사르탄, 리스페리돈, 벤조카인, 세트리진히드로클로라이드, 밤부테롤 히드로클로라이드, 갈란타민 히드로브로마이드, 르카르니디핀 히드로클로라이드, 파록세틴 히드로클로라이드, 멜록시캄, 톨테리딘타르타레이트, 독사조신 메실레이트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특히 약제학적 활성 성분으로 발기부전 치료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기부전 치료제로서 PDE-5 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PDE-5 억제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바데나필(vardenafil), 실데나필(sildenafil), 타달라필(tadalafil), 유데나필(udenafil), 미로데나필(mirodenafil)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타달라필, 유데나필, 미데로나필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제학적 활성 성분은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 내에서 결정 미립자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집합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결정 미립자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되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원료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은 결정 미립자 형태의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기존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결정보다 훨씬 작은 결정 크기를 보이며, 기존 제형보다 물리/화학적 안정성, 가공성 및 속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결정 미립자는 그 결정 크기가 100 nm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100 nm 내지 10 ㎛ 일 수 있다. 상기 결정 크기가 100 ㎛를 초과하면,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수용해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제학적 활성 성분은 수용성 고분자로 코팅되어 있는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결정 미립자의 표면에 수용성 고분자가 흡착되어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수용성 고분자에 의해 형성된 코팅층에 의해 상기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결정 미립자는 안정화될 수 있으며, 상기 약제학적 활성 성분에 대한 초기 방출 억제효과로 인해 쓴맛을 차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알킬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알킬 알킬셀룰로오스, 카복시알킬 셀룰로오스, 카복시알킬 알킬셀룰로오스, 카복시알킬 셀룰로오스의 알칼리 금속염, 카복시알킬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카라긴산, 알긴산, 알긴산의 알칼리 금속, 수용성 키토산, 글루코산, 폴리아닐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피롤, 폴록사머, 플루로닉 F-127(pluronic F-127) 및 페닐알라닌 함유 단백질, 레시틴 및 카보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알킬 셀룰로오스의 예로는 메틸 셀룰로오스 또는 에틸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고; 상기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의 예로는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또는 하이드록시부틸 셀룰로오스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하이드록시알킬 알킬셀룰로오스의 예로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틸셀룰로오스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카복시알킬 셀룰로오스의 예로는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카복시알킬 알킬셀룰로오스의 예로는 카복시메틸 에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카복시알킬 셀룰로오스의 알칼리 금속염의 예로는 나트륨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a) 수용성 당류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수용성 당류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미세 기공을 가지는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c)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제조된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을 상기 제조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에 도포하는 단계; 및 (e) 상기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이 도포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단계 (a)를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단계 (a)는 수용성 당류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a)의 수용성 당류 용액은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계 (a)는 구체적으로, 수용성 당류; 또는 수용성 당류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의 혼합물을 물에 용해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단계 (a)에서 수용성 당류 용액은 수용성 당류를 물에 용해시키거나, 수용성 당류 및 상기 첨가제의 혼합물을 물에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당류 및 첨가제의 혼합물을 물에 용해시켜 제조된 수용성 당류 용액은 상기 첨가제를 통해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물리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당류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중량부』는 중량 비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단계 (a)에서 수용성 당류를 물에 용해시켜 제조된 수용성 당류 용액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수용성 당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당류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거나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속붕해성 템플레이트 내의 미세 기공이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계 (a)에서 수용성 당류 및 첨가제의 혼합물을 물에 용해시켜 제조된 수용성 당류 용액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수용성 당류 및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거나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속붕해성 템플레이트 내의 미세 기공이 불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a)에서 수용성 당류 및 첨가제의 혼합물을 물에 용해시켜 제조된 수용성 당류 용액은 수용성 당류 및 첨가제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의 온도에서 6 시간 내지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10 시간 내지 15 시간 동안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제조 방법은 단계 (b)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는 단계 (a)에서 제조된 수용성 당류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미세 기공을 가지는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단계 (b)는 구체적으로, 단계 (a)에서 제조된 수용성 당류 용액을 몰드가 부착된 기판에 도포하고, 상기 도포된 수용성 당류 용액을 냉매에 의해 동결시키며, 상기 동결에 의해 완벽하게 고형화된 재료를 동결 건조기에 의해 승화 건조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몰드가 부착된 기판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유리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몰드가 부착된 기판에 수용성 당류 용액을 도포하는 방법 또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수단을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b)에서 수용성 당류 용액을 동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냉매의 종류 또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물질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냉매의 예로서 액체 질소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단계 (b)에서, 몰드가 부착된 기판에 도포된 수용성 당류 용액은 냉매에 의해 동결되어 완벽하게 고형화되며, 상기 고형화된 재료를 동결 건조기에 의해 승화 건조시킴으로써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동결 건조를 통해 제조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는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미세 기공을 가지고 있다. 상기 미세 기공을 가지는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단계 (b)에서 수용성 당류 용액을 동결 건조시키는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고형화된 재료를 승화 건조시켜 수용성 당류; 또는 수용성 당류 및 첨가제의 고형분만 남을 때까지 진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 시간 내지 72 시간일 수 있다. 상기 동결 건조 시간이 3 시간 미만이면, 동결 건조가 완벽하게 이루어지 않아 수분이 잔존하게 되며, 잔존하는 수분에 의해 속붕해성 템플레이트가 용해될 수 있다. .
본 발명의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제조 방법은 단계 (c)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c)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단계 (c)는 구체적으로, 약제학적 활성 성분; 또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 및 수용성 고분자를 알코올, 알킬 아세테이트,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톤, 아니솔, 아세트산, 부틸메틸 에테르, 에틸 에테르, 에틸 포르메이트, 포름산, 펜탄, 헵탄, 메틸에틸 케톤 및 메틸이소부틸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단계 (c)에서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은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상기 유기 용매에 용해시키거나, 약제학적 활성 성분 및 수용성 고분자의 혼합물을 상기 유기 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활성 성분 및 수용성 고분자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단계 (c)에서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상기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된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은 상기 유기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1회 복용량으로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계 (c)에서 약제학적 활성 성분 및 수용성 고분자를 상기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제조된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은 상기 유기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의 약제학적 활성 성분 및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수용성 고분자에 의한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코팅이 완벽하게 이루어 지지 않을 수 있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수용성 고분자 만으로 형성된 결정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c)에서 제조된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은 상기 용액의 성분이 균일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10 분 내지 3 시간, 바람직하게는 30 분 내지 2 시간 동안 보관하거나, 초음파 처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제조 방법은 단계 (d)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d)는 단계 (c)에서 제조된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을 단계 (b)에서 제조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에 도포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단계 (d)에서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을 미세 기공을 가지는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에 도포하면, 상기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이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을 통하여 흘러 들어가서 상기 미세 기공 내에 담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d)에서 상기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을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에 도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이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에 골고루 도포되어,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 내에 골고루 담지될 수 있는 경우라면 어떠한 방법도 허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스포이드 또는 피펫을 이용하여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을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에 도포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제조 방법은 단계 (e)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e)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이 도포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를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단계 (e)에서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이 도포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를 건조시킴으로써,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e)에서,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이 도포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를 건조시키면,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 내에 담지되어 있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이 한정된 공간에서 건조되고, 상기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 내의 유기 용매가 증발되면서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결정화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 내에서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결정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형성되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결정 입자의 크기는 매우 작고, 상기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결정 미립자는 상기 미세 기공 내에서 집합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결정 미립자는 입자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속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e)에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에 도포되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이 약제학적 활성 성분 및 유기 용매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건조 중에 유기 용매만 증발되어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 내에 단순히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결정 미립자가 형성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단계 (e)에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에 도포되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이 약제학적 활성 성분, 수용성 고분자 및 유기 용매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건조 중에 유기 용매는 증발되고, 수용성 고분자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결정 입자의 표면에 흡착되어, 수용성 고분자로 코팅되어 있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결정 미립자가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e)에서,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이 도포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를 건조시키는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에서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e)에서,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이 도포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를 건조시키는 방법 또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오븐을 이용하여 건조하거나 자연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e)에서,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이 도포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건조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결정화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 시간 내지 7 일 동안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 시간이 3 시간 미만이면,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 내의 유기 용매가 완전히 건조되지 않을 수 있다.
[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용성 당류 용액의 제조
10 ㎖의 유리 시험관에 수용성 당류인 매니톨(mannitol) 1 g을 넣은 후, 상기 유리 시험관에 물 9 g을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수용성 당류 용액을 제조하였다.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제조
상기 제조된 수용성 당류 용액 0.05 ㎖를 15mm×25 mm(가로×세로)의 몰드가 부착된 유리 기판(25mm×37mm(가로×세로))에 얇게 도포하고, 상기 도포된 수용성 당류 용액을 액체 질소에 의해 동결 시켰으며, 상기 동결에 의해 완벽하게 고형화된 시료는 동결 건조기(FD-1000 freeze dryer, EYELA사(제), 압력: 5.6 Pa, 온도: -45℃)에서 24 시간 동안 승화 건조시킴으로써 미세 기공을 가지는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의 평균 직경은 30 ㎛이었다.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의 제조
5 ㎖의 유리 시험관에 PDE-5 억제제인 타달라필 원료(시알리스, Glenmark Generics사(제)) 0.5 g을 넣은 후, 상기 유리 시험관에 유기 용매인 디메틸포름아마이드 4.5 g을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PDE-5 억제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조된 PDE-5 억제제 용액이 균일해지도록 상온에서 1 시간 정도 보관하였다.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에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을 도포
상기 제조된 PDE-5 억제제 용액 0.05 ㎖를 상기 제조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에 피펫을 이용하여 골고루 도포하였다.
약제학적 활성 성분이 도포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건조
상기 PDE-5 억제제 용액이 도포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를 상온에서 24 시간 동안 자연 건조시킴으로써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수용성 당류 용액 및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을 각각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수용성 당류 용액의 제조
10 ㎖의 유리 시험관에 수용성 당류인 매니톨(mannitol) 0.9 g 및 첨가제인 폴리비닐알코올 0.1 g을 넣은 후, 상기 유리 시험관에 물 9 g을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수용성 당류 용액을 제조하였다. 수용성 당류 용액 내의 수용성 당류 및 첨가제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50℃의 온도에서 12 시간 동안 상기 제조된 수용성 당류 용액을 보관하였다.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의 제조
5 ㎖의 유리 시험관에 PDE-5 억제제인 타달라필 원료(시알리스, Glenmark Generics사(제)) 0.5 g을 넣은 후, 상기 유리 시험관에 유기 용매인 디메틸포름아마이드 4.5 g을 첨가하고 초음파 처리를 함으로써, PDE-5 억제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수용성 당류 용액 및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을 각각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수용성 당류 용액의 제조
10 ㎖의 유리 시험관에 수용성 당류인 매니톨(mannitol) 0.9 g 및 첨가제인 폴리비닐알코올 0.1 g을 넣은 후, 상기 유리 시험관에 물 9 g을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수용성 당류 용액을 제조하였다. 수용성 당류 용액 내의 수용성 당류 및 첨가제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50℃의 온도에서 12 시간 동안 상기 제조된 수용성 당류 용액을 보관하였다.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의 제조
5 ㎖의 유리 시험관에 PDE-5 억제제인 타달라필 원료(시알리스, Glenmark Generics사(제)) 0.45 g 및 수용성 고분자인 에틸 셀룰로오스 0.05 g을 넣은 후, 상기 유리 시험관에 유기 용매인 디메틸포름아마이드 4.5 g을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PDE-5 억제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수용성 당류 용액 및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을 각각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수용성 당류 용액의 제조
10 ㎖의 유리 시험관에 수용성 당류인 매니톨(mannitol) 0.9 g 및 첨가제인 폴리비닐알코올 0.1 g을 넣은 후, 상기 유리 시험관에 물 9 g을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수용성 당류 용액을 제조하였다. 수용성 당류 용액 내의 수용성 당류 및 첨가제가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50℃의 온도에서 12 시간 동안 상기 제조된 수용성 당류 용액을 보관하였다.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의 제조
5 ㎖의 유리 시험관에 PDE-5 억제제인 타달라필 원료(시알리스, Glenmark Generics사(제)) 0.45 g 및 수용성 고분자인 플루로닉 F-127(BASF사(제)) 0.05 g을 넣은 후, 상기 유리 시험관에 유기 용매인 디메틸포름아마이드 4.5 g을 첨가하고 초음파 처리를 함으로써, PDE-5 억제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5 ㎖의 유리 시험관에 PDE-5 억제제인 타달라필 원료(시알리스, Glenmark Generics사(제)) 0.5 g을 넣은 후, 상기 유리 시험관에 유기 용매인 디메틸포름아마이드 4.5 g을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PDE-5 억제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조된 PDE-5 억제제 용액이 균일해지도록 상온에서 1 시간 정도 보관하였다. 그 후, 상기 제조된 PDE-5 억제제 용액을 15mm×25 mm(가로×세로)의 몰드가 부착된 유리 기판(25mm×37mm(가로×세로))에 얇게 도포하고, 건조를 통해 유기 용매를 증발시켜 타달라필 결정을 얻었다.
시험예 1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 및 PDE-5 억제제 결정 입자의 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고, 비교예에서 제조된 타달라필 원료의 결정 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첨부된 도 2 는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매니톨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는 직경이 2 ㎛ 내지 10 ㎛인 미세 기공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첨부된 도 3 은 실시예 2에 따라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 내에서의 결정화를 통해 형성된 타달라필 결정 미립자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에 포함된 타달라필 결정 미립자는 바늘 모양을 가지고, 그 크기가 100 nm 내지 10 ㎛ 임을 확인할 수 있다.
첨부된 도 4 는 실시예 3에 따라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 내에서의 결정화를 통해 형성된 에틸 셀룰로오스가 코팅되어 있는 타달라필 결정 미립자의 전자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서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에 포함된 에틸 셀룰로오스 및 타달라필의 복합 결정 미립자는 바늘 모양을 가지고, 그 크기가 100 nm 내지 10 ㎛이며, 에틸 셀룰로오스가 코팅되어 있어 첨부된 도 3의 타달라필 결정 미립자보다 두꺼워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첨부된 도 5 는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타달라필 원료의 결정의 광학 현미경 사진을 나타낸다. 첨부된 도 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달라필 원료의 결정 크기는 수백 ㎛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된 타달라필 결정 미립자의 크기와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에 포함되어 있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 특히 PDE-5 억제제의 결정 크기는 기존 제형에 포함되어 있는 PDE-5 억제제의 결정 크기보다 현저히 작음으로써, 표면적을 극대화하여 수용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생체 내에서의 속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시험예 2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복합 결정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말 X-선 회절 분석기(New D8-advance, Bruker AXS사(제))를 이용하여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관찰하였다.
첨부된 도 6 는 비교예 1에 따른 타달라필 원료(시알리스, Glenmark Generics사(제)) 물질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 7 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 6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은 매니톨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 내에서의 타달라필 결정화를 통해 얻어진 매니톨, 폴리비닐알코올 및 타달라필의 복합 결정형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첨부된 도 8 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 7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은 매니톨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 내에서의 타달라필과 에틸 셀룰로오스의 결정화를 통해 얻어진 매니톨, 폴리비닐알코올, 타달라필 및 에틸 셀룰로오스의 복합 결정형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첨부된 도 9 은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 8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은 매니톨 및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 내에서의 타달라필과 플루로닉 F-127의 결정화를 통해 얻어진 매니톨, 폴리비닐알코올, 타달라필 및 플루로닉 F-127의 복합 결정형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타달라필 결정의 방출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타달라필의 용해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및 타달라필 결정을 각각 100 ㎖의 비커에 넣고, 36℃ 내지 38℃의 증류수 100 ㎖를 상기 비커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기 비커 안에 마그네틱 바 넣고 100 rpm으로 방출 특성 실험을 진행하는 동안 계속해서 돌려주었다. 그 후, 상기 각각의 비커로부터 2 분, 10 분, 20 분, 40 분, 1 시간, 2 시간, 4 시간, 8 시간, 12 시간, 24 시간 및 48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샘플을 채취하여 0.2 ㎛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시린지(cellulose acetate syringe) 필터를 통해 용해되지 않은 시료를 걸러낸 후, 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사용하여 각각의 타달라필 결정 입자의 용해도를 분석하였다. 이 때, 타달라필의 최대 흡수 파장인 260 nm에서 매니톨 농도 및 수용성 고분자의 종류에 따른 흡수량을 비교함으로서 정량화 하였다.
첨부된 도 10 는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타달라필 방출 특성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타달라필 결정의 방출 특성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 11 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타달라필 방출 특성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타달라필 결정의 방출 특성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 12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초기 타달라필 방출 특성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타달라필 결정의 초기 방출 특성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 1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용성 고분자로 코팅되어 있는 PDE-5 억제제의 결정 미립자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은 PDE-5 억제제의 초기 방출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은 상기 수용성 고분자의 코팅에 따른 PDE-5 억제제의 초기 방출 억제효과를 통해 PDE-5 억제제의 쓴맛을 차폐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3는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타달라필 방출 특성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타달라필 결정의 방출 특성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 10, 도 11 및 도 1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은 12 시간 경과한 시점에 타달라필의 결정 입자가 약 80% 내지 90% 정도 방출되었으나, 비교예 1에 따른 타달라필 결정은 약 55% 정도 방출되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은 타달라필의 결정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고, 기존의 타달라필 결정보다 결정 크기가 훨씬 작아져, 신속한 방출을 통해 신속히 약효를 발현시키거나, 초기 방출을 억제하여 구강 내에서의 쓴맛 차폐 효과를 발휘하면서도 몸 속에 흡수 된 후에는 신속한 방출을 통해 신속히 약효를 발현시킬 수 있다.
10: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11: 속붕해성 템플레이트
12: 미세 기공 13: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결정 미립자

Claims (17)

  1. 미세 기공을 가지는 속붕해성 템플레이트; 및
    상기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에 담지되어 있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미세 기공의 직경은 1 ㎛ 내지 100 ㎛인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는 수용성 당류를 포함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수용성 당류는 유당(lactose), 포도당(glucose), 수크로오스(sucrose), 과당(fructose), 레불로오스(levulose),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파라티노오스(palatinose), 매니톨(mannitol), 솔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및 에리스리톨(erythrit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5. 제 3 항에 있어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활성 성분은 당뇨병 치료제, 불면증 치료제, 비뇨생식기 치료제, 비만 치료제, 효소제, 소화성 궤양용제, 진해거담제, 피부질환 치료제, 항구토제, 항우울제, 항히스타민제, 해열진통 소염제, 호르몬 제제, 순환기용 치료제, 소화기관용 치료제, 심장 혈관제, 정신 신경용제, 발기부전 치료제, 골다공증 치료제, 관절염 치료제, 간질 치료제, 근육 이완제, 뇌기능 개선제, 정신분열증 치료제, 면역 억제제, 항생제, 항암제, 항암치료 보조제, 백신제, 구강 청결제, 빈혈 치료제, 변비 치료제, 비타민, 영양제, 유산균 제제, 종합 감기약 및 건강기능 식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발기부전 치료제는 PDE-5(phosphodiesterase-5) 억제제인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8. 제 7 항에 있어서,
    PDE-5 억제제는 바데나필(vardenafil), 실데나필(sildenafil), 타달라필(tadalafil), 유데나필(udenafil), 미로데나필(mirodenafil)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활성 성분은 결정 미립자 형태로 존재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10. 제 9 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활성 성분의 결정 미립자는 그 크기가 100 nm 내지 100 ㎛인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11. 제 1 항에 있어서,
    약제학적 활성 성분은 수용성 고분자로 코팅되어 있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수용성 고분자는 알킬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알킬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알킬 알킬셀룰로오스, 카복시알킬 셀룰로오스, 카복시알킬 알킬셀룰로오스, 카복시알킬 셀룰로오스의 알칼리 금속염, 카복시알킬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카라긴산, 알긴산, 알긴산의 알칼리 금속, 수용성 키토산, 글루코산, 폴리아닐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피롤, 폴록사머, 플루로닉 F-127(pluronic F-127) 및 페닐알라닌 함유 단백질, 레시틴 및 카보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13. (a) 수용성 당류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수용성 당류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미세 기공을 가지는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c)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제조된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을 상기 제조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에 도포하는 단계; 및
    (e) 상기 약제학적 활성 성분 용액이 도포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에 따른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제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단계 (a)는 수용성 당류; 또는 수용성 당류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아크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의 혼합물을 물에 용해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제조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단계 (b)의 수용성 당류 용액의 동결 건조는 3 시간 내지 72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제조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단계 (c)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 또는 약제학적 활성 성분 및 수용성 고분자를 알코올, 알킬 아세테이트,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톤, 아니솔, 아세트산, 부틸메틸 에테르, 에틸 에테르, 에틸 포르메이트, 포름산, 펜탄, 헵탄, 메틸에틸 케톤 및 메틸이소부틸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제조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단계 (e)의 혼합 용액이 도포된 속붕해성 템플레이트의 건조는 3 시간 내지 7 일 동안 수행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10064917A 2011-06-30 2011-06-30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20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917A KR101320058B1 (ko) 2011-06-30 2011-06-30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917A KR101320058B1 (ko) 2011-06-30 2011-06-30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511A true KR20130003511A (ko) 2013-01-09
KR101320058B1 KR101320058B1 (ko) 2013-10-18

Family

ID=47835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917A KR101320058B1 (ko) 2011-06-30 2011-06-30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0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213B1 (ko) * 2013-06-03 2015-02-27 광동제약 주식회사 구강내 용해도가 개선된 타달라필의 필름제형
WO2015072684A1 (ko) 2013-11-14 2015-05-21 주식회사 서울제약 약리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다공성 구강붕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186929A1 (ko) * 2014-06-02 2015-12-10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타달라필을 함유하는 구강 붕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199380A1 (ko) * 2014-06-24 2015-12-30 (주)우신메딕스 타다라필을 함유하는 구강 붕해형 필름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45512A1 (ko) * 2020-01-17 2021-07-22 주식회사 블리스팩 고체형 퍼스널 케어 제품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60068A (zh) * 2016-06-16 2016-08-17 桂林理工大学 一种以果糖为模板制备导电聚吡咯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2024B1 (en) * 1999-01-21 2003-04-22 Lavipharm Laboratori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ucosal delivery
GB0508306D0 (en) * 2005-04-25 2005-06-01 Bioprogress Technology Ltd Nicotine dosage forms
JP5101191B2 (ja) * 2007-06-29 2012-12-1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フィルム状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90047330A1 (en) * 2007-08-17 2009-02-19 Ramesh Bangalore Oral fast dissolving films for erectile dysfunction bioactive agent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213B1 (ko) * 2013-06-03 2015-02-27 광동제약 주식회사 구강내 용해도가 개선된 타달라필의 필름제형
WO2015072684A1 (ko) 2013-11-14 2015-05-21 주식회사 서울제약 약리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다공성 구강붕해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186929A1 (ko) * 2014-06-02 2015-12-10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타달라필을 함유하는 구강 붕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199380A1 (ko) * 2014-06-24 2015-12-30 (주)우신메딕스 타다라필을 함유하는 구강 붕해형 필름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45512A1 (ko) * 2020-01-17 2021-07-22 주식회사 블리스팩 고체형 퍼스널 케어 제품 및 그 제조방법
CN114945350A (zh) * 2020-01-17 2022-08-26 布丽思培有限公司 固体型个人护理产品以及其制备方法
EP4091600A4 (en) * 2020-01-17 2024-03-20 Blisspack Co Ltd SOLID PERSONAL CARE PRODUCT AND METHOD FOR PRODUCING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0058B1 (ko) 201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er et al. Recent trends of fast dissolving drug delivery system–an overview of formulation technology
KR101320058B1 (ko) 약제학적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경구용 속붕해성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3505509A (ja) β−カルボリン製薬組成物
KR100930329B1 (ko) 6-머캅토퓨린의 개선된 제제
US10525009B2 (en) Formulations of 6-mercaptopurine
JP2003534270A (ja) 速放錠及びその製造方法
MX2014002556A (es) Nueva composicion farmaceutica resistente al abuso para el tratamiento de la dependencia de opioides.
JP2011148816A (ja) 口腔内速崩壊性錠
KR102239291B1 (ko) 타다라필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저작정 제제
CA2885623C (en) Oral prepara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ushwaha et al. A review on fast dissolving formulation technologies
Gali Fast dissolving dosage forms
EP2802311B1 (en) Sublingu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an antihistamine agent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EP2962685B1 (en) Orally disintegrating formulations of tadalafil
EP2962684A1 (en) Orally disintegrating formulations of tadalafil
Tekade et al. Orodispersible tablets of lansoprazole: Formulation,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evaluation
Qadir et al. Fast dissolving tablet: An updated review
Sangale Shamrao et al. Formulati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orodispersible tablet of diclofenac sodium by sublimation technique
TWI586379B (zh) 一種製作難溶藥物固體劑型的方法
Kulkarni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Aceclofenac fast dissolving tablets by different techniques
TW201311233A (zh) 阿戈美拉汀(agomelatine)之頰側給藥之固態醫藥組合物
Malik et al. Recent patents on fast dissolving tablets-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