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416U - 택시 운전석 보호막 - Google Patents

택시 운전석 보호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416U
KR20130003416U KR2020110010667U KR20110010667U KR20130003416U KR 20130003416 U KR20130003416 U KR 20130003416U KR 2020110010667 U KR2020110010667 U KR 2020110010667U KR 20110010667 U KR20110010667 U KR 20110010667U KR 20130003416 U KR20130003416 U KR 201300034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driver
blocking portion
fixing
prot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0507Y1 (ko
Inventor
민길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민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민길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Priority to KR2020110010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50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4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4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5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which protect the occupants against personal attack from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26Rigid partitions inside vehicles, e.g. between passengers and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2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택시 운전자가 탑승한 승객의 각종 위해 요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된 택시 운전석 보호막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택시 운전석 보호막은 택시 운전석의 후면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후방을 차단하는 후방차단부; 상기 후방차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운전자의 측면을 차단하는 측면차단부; 상기 후방차단부 또는 측면차단부 또는 이들 후방차단부와 측면차단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도어; 상기 후방차단부에 설치되어 후방차단부 및 측면차단부를 택시 운전석을 둘러싸면서 택시 운전석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택시 운전석 보호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택시 운전석 보호막{TAXIDRIVER PROTECTION SCREEN}
본 고안은 택시 운전석 보호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택시 운전자가 탑승한 승객의 각종 위해 요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된 택시 운전석 보호막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수단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택시는 통상적으로 내부공간이 개방된 하나의 단일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내부공간에는 운전석 및 탑승석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택시는 다수의 인원을 수송하게 되므로 운전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할 수 있다. 그러나 택시의 내부는 운전석과 탑승석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취객이나 불량한 의도를 갖고 탑승하는 탑승객으로부터 운전을 방해받을 수도 있다.
특히, 의도적으로 운전자를 폭행하거나 흉기 등으로 운전자를 위협하여도 운전자는 무방비 상태로 일방적인 공격을 받을 수밖에 없고, 실질적으로 이러한 폭행으로 운전자가 부상 또는 사망한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탑승객의 위해로부터 택시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택시 운전석 후방을 차단하도록 된 택시 운전석 보호막이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택시 운전석 보호막은 투명한 평면형태의 플라스틱 또는 아크릴 등으로 제작되어 운전석의 후방을 차단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택시 운전석 보호막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10-2010-0090843호가 알려져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택시 운전석의 후면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후방을 차단하는 후방차단부와, 이 후방차단부 양측 및 상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운전자의 측면을 차단하는 측면차단부들 및 상부차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차단부의 상부 및 하부를 운전석의 시트백 상부 및 측면에 고정하는 상부고정수단 및 하부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상부고정수단이 운전석의 시트백 상부면을 가압하는 가압판을 체결부에 끼우고 체결부에 고정노브를 나사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조이고, 하부고정수단은 시트에 형성된 홀에 슬리브를 끼우고 고정바의 양쪽단부를 볼트를 이용하여 슬리브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상,하부고정수단의 구성부품이 여러 가지 부품으로 이루어져 복잡하고 택시 운전석 보호막에의 고정 작업이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탑승객이 요금을 지불하려면 측면차단부 끝단부 외측을 통하여 현금 또는 카드 등을 주고 받아야함으로 탑승객이나 운전자 모두 불편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를 쉽게 할 수 있고 요금을 편리하게 지불할 수 있는 택시 운전석 보호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택시 운전석 보호막은 택시 운전석의 후면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후방을 차단하는 후방차단부; 상기 후방차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운전자의 측면을 차단하는 측면차단부; 상기 후방차단부 또는 측면차단부 또는 이들 후방차단부와 측면차단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도어; 상기 후방차단부에 설치되어 후방차단부 및 측면차단부를 택시 운전석을 둘러싸면서 택시 운전석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택시 운전석 보호막을 제공한다.
상기 후방차단부와 측면차단부의 하부는 자동차의 운전석과 동반자석 사이에 위치한 돌출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방차단부 및 측면차단부에는 보호막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보강층이 형성된다.
상기 후방차단부 및 측면차단부 내측으로는 보강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도어는 후방차단부와 측면차단부 내측으로 설치된다.
상기 도어는 후방차단부 및 측면차단부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며 개폐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에는 손잡이가 형성된다.
상기 후방차단부에는 운전석의 시트 후면에 설치된 보조손잡이가 노출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후방차단부의 상부를 운전석의 헤드레스트 고정봉에 끼워 고정하는 제1고정수단과, 후방차단부의 하부를 운전석 시트에 걸어 고정하는 제2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고정수단은 후방차단부 및 측면차단부에 고정된 보강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이 고정플레이트에 형성되어 헤드레스트 고정봉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홀을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수단은 중앙부는 운전석의 시트 끝단부와 시트백 하단부 사이로 끼워져 운전석 후방으로 돌출되고 그 양단부는 절곡되어 운전석의 시트에 지지되는 고정바와, 상기 후방차단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에 걸어 후방차단부의 하부를 고정하는 후크로 구성된다.
상기 제2고정수단을 구성하는 후크는 후방차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며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차단부 및 측면차단부는 택시 운전석 시트백의 각도 조절시 시트백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한 택시 운전석 보호막은 후방차단부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플레이트에 헤드레스트 고정봉을 끼우고 하부에 형성된 후크를 운전석의 시트와 시트백 사이에 끼워진 고정바에 걸어주기만 하면 설치가 완료됨으로 보호막의 설치를 다른 도구 없이 간단하고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형성되어 요금을 편리하게 주고받을 수 있고, 택시 운전석 시트백의 각도 조절시 보호막이 시트백과 함께 움직일 수 있어 택시 운전석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택시 운전석 보호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택시 운전석 보호막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택시 운전석 보호막에 제공된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택시 운전석 보호막에 제공된 고정수단 중에서 제1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택시 운전석 보호막에 제공된 고정수단 중에서 제2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택시 운전석 보호막이 운전석에 설치된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택시 운전석 보호막의 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택시 운전석 보호막에 제공된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택시 운전석 보호막은 택시 운전석의 후면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후방을 차단하는 후방차단부(2)와, 상기 후방차단부(2)에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운전자의 측면을 차단하는 측면차단부(4)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차단부(2)와 측면차단부(4)는 외부의 충격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방탄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카보나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후방차단부(2) 및 측면차단부(4)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색조를 나타내는 물질을 포함시켜 성형하여 여러 가지 색깔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후방차단부(2)는 택시 운전석 시트 후방의 바닥면과 천장 사이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측면차단부(4)는 차량 내부의 대시보드에 근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후방차단부(2) 및 측면차단부(4)는 택시 운전자의 후방 및 일측면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후방차단부(2)와 측면차단부(4) 사이의 하부는 일정부분이 제거된 삽입부(6)로 이루어져 운전석과 동반자석 사이에 위치한 기어박스나 콘솔박스 등과 같은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 삽입부(6)는 운전석과 동반자석 사이에 돌출부가 없는 차량에서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후방차단부(2) 및 측면차단부(4)에는 뒷좌석이나 운전석의 옆에 위치한 동반자석에 탑승한 승객과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관통된 다수의 구멍(8)이 뚫려있다.
이 구멍(8)은 흉기 등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위해를 가할 수 없도록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차단부(4)는 운전석의 위치에 따라서 후방차단부(2)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될 수 있는데, 본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예로서 운전석이 차량의 좌측에 위치할 경우에 사용되는 보호막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후방차단부(2) 및 측면차단부(4)에는 보강층(10)이 더욱 형성될 수 있다. 이 보강층(10)은 후방차단부(2) 및 측면차단부(4)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층(10)은 후방차단부(2) 및 측면차단부(4)의 외측면에 얇은 플라스틱 판 등을 라미네이팅 또는 리벳팅 하는 방법 등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강층(10)으로 인하여 보호막의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택시 운전석 보호막을 구성하는 후방차단부(2) 및 측면차단부(4) 내측면으로는 보강프레임(12)이 제공된다. 이 보강프레임(12)은 후방차단부(2) 및 측면차단부(4) 내측면에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체(14)를 지지시킨 상태로 보호막의 외측에서 지지체(14)에 스크루 등을 체결하여 보강프레임(12)을 후방차단부(2) 및 측면차단부(4)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프레임(12)은 금속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방차단부(2) 및 측면차단부(4)의 외측에서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 이를 충분히 견뎌내 후방차단부(2) 및 측면차단부(4)가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행한다.
상기 보강프레임(12)의 외측으로는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압축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진 쿠션재가 더 감싸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차단부(2)와 측면차단부(4)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일정한 크기 의 개구부(16)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6)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18)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18)는 후방차단부(2) 및 측면차단부(4)에 걸쳐 설치되며, 따라서 도어(18)는 꺾어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어(18)는 후방차단부(2) 및 측면차단부(4)에 각각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2개의 가이드부(20)를 따라서 개폐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 도어(18)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어(18)에는 손잡이(22)가 제공된다. 그리고 도어(18)를 탑승객이 열지 못하도록 도시되지 않은 잠금장치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어(18)를 이용하여 탑승객과 운전자는 요금을 편리하게 주고받을 수 있다.
상기 도어(18)는 본실시예에서는 후방차단부(2)와 측면차단부(4)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후방차단부(2)에 설치될 수도 있고 또는 측면차단부(4)에 설치될 수도 있고 아니면 후방차단부(2)와 측면차단부(4) 모두에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본실시예에서와 같이 도어(18)를 후방차단부(2)와 측면차단부(4)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하면 동반자석이나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 모두가 도어를 통하여 요금을 주고 받을 수 있으므로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방차단부(2)에는 운전석의 시트 후면에 보조손잡이가 설치된 경우 또는 시트 후면이 돌출된 경우에도 보호막을 장착할 수 있도록 홀(24)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손잡이는 승객이 택시를 승차 및 하차 하거나 또는 택시 운행시 탑승객이 안전을 위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부착물로서 이러한 부착물이 장착되어 있더라도 보호막을 운전석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석 후면에 보조손잡이가 없을 경우에는 보호막을 장착하였을 때 홀(24)의 테두리면이 운전석 후방을 더욱 압박하는 작용을 하여 보호막을 운전석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택시 운전석 보호막은 택시 운전석을 둘러싸며 택시 내부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은 보호막을 택시 운전석의 헤드레스트 및 시트백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호막이 고정되는 택시 운전석은 운전자가 않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쿠션시트(100: 이하 시트로 기재함)와, 이 시트(100)에 힌지 고정되면서 운전자의 등 부분이 지지되는 시트백(200) 및 시트백(200)의 상부에 제공되는 헤드레스트(300)로 구성되는데, 본 고안의 보호막은 운전자의 헤드레스트(300) 및 시트백(200)에 고정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당은 후방차단부(2)의 상부를 운전석의 헤드레스트 고정봉(310)에 끼워 고정하는 제1고정수단과, 후방차단부(2)의 하부를 운전석 시트(100)에 걸어 고정하는 제2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고정수단은 후방차단부(2) 및 측면차단부(4)에 고정된 보강프레임(12)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26)와, 이 고정플레이트(26)에 형성되어 헤드레스트 고정봉(310)이 끼워지는 고정홀(28)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6)는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강프레임(12)에 용접 등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수단은 중앙부는 운전석의 시트(100) 끝단부와 시트백(200) 하단부 사이로 끼워져 운전석 후방으로 돌출되고 그 양단부는 절곡되어 운전석의 시트(100)에 지지되는 고정바(30)와, 상기 후방차단부(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30)에 걸어 후방차단부(2)의 하부를 고정하는 후크(3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바(30)는 그 양단부는 지지부(34)로 형성되어 운전석의 시트(100) 양단부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바(30)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후크(32)는 후방차단부(2)에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후방차단부(2)에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의 고정구멍(36)이 형성되고, 후크(32)는 이 고정구멍(36)에 볼트와 너트 등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38)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후크(32)를 후방차단부(2)에서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으면 차량의 종류에 따라서 시트의 높이가 다르더라도 보호막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후크(32)는 금속판 등을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고정바(30)에 탄력적으로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택시 운전석 보호막의 설치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하면 된다.
먼저 도 4에서와 같이 운전석에 설치된 헤드레스트(300)를 분리한 다음 헤드레스트(300)에 형성된 헤드레스트 고정봉(310)을 제1고정수단을 구성하는 고정플레이트(26)의 고정홀(28)에 끼운 상태에서 헤드레스트(300)를 운전석의 시트백(200) 상부에 끼워 조립한다.
그러면 보호막의 상부는 헤드레스트 고정봉(310)에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제2고정수단을 구성하는 고정바(30)를 운전석의 시트(100) 끝단부와 시트백(200) 하단부 사이로 밀어 운전석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지지부(34)는 운전석 시트(100)의 양쪽 상부면에 지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시트(100)의 후방에서 후방차단부(2)의 하부에 제공된 후크(32)를 고정바(30)에 걸어 고정시키면 후방차단부(2) 및 측면차단부(4)는 제2고정수단에 의하여 보호막의 하부는 운전석에 고정되어 도 7에서와 같이 보호막은 운전석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1,2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보호막은 다른 공구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운전석의 시트백(200)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렇게 장착된 보호막은 후방차단부(2)는 운전석의 후방을 커버하고, 이 후방차단부(2)에서 전방으로 형성된 측면차단부(4)는 운전석의 측면을 커버하여 운전자는 택시의 앞좌석 및 뒷좌석 탑승객의 위해로부터 완벽하게 보호받을 수 있다.
그리고 택시 탑승객과 구멍(8)을 통하여 대화를 나눌 수 있고, 도어(18)를 통하여 요금을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휴식 등을 취하기 위하여 택시 운전석 시트백(200)을 뒤로 젖혀 각도를 조절할 경우, 후방차단부(2) 및 측면차단부(4)는 시트백(200)과 함께 같이 움직이면서 각도 조절되므로 운전석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2: 후방차단부 4: 측면차단부
6: 삽입부 8: 구멍
10: 보강층 12: 보강프레임
14: 지지체 16: 개구부
18: 도어 20: 가이드부
22: 손잡이 24: 홀
26: 고정플레이트 28: 고정홀
30: 고정바 32: 후크
34: 지지부 36: 고정구멍
38: 고정부재 100: 시트
200: 시트백 300: 헤드레스트
310: 헤드레스트 고정봉

Claims (13)

  1. 택시 운전석의 후면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후방을 차단하는 후방차단부;
    상기 후방차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운전자의 측면을 차단하는 측면차단부;
    상기 후방차단부 또는 측면차단부 또는 이들 후방차단부와 측면차단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도어;
    상기 후방차단부에 설치되어 후방차단부 및 측면차단부를 택시 운전석을 둘러싸면서 택시 운전석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택시 운전석 보호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차단부와 측면차단부의 하부는 자동차의 운전석과 동반자석 사이에 위치한 돌출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운전석 보호막.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차단부 및 측면차단부에는 보호막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보강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운전석 보호막.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차단부 및 측면차단부 내측으로는 보강프레임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운전석 보호막.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후방차단부와 측면차단부 내측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운전석 보호막.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후방차단부 및 측면차단부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며 개폐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운전석 보호막.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운전석 보호막.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차단부에는 운전석의 시트 후면에 설치된 보조손잡이가 끼워질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운전석 보호막.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후방차단부의 상부를 운전석의 헤드레스트 고정봉에 끼워 고정하는 제1고정수단과, 후방차단부의 하부를 운전석 시트에 걸어 고정하는 제2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운전석 보호막.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수단은 후방차단부 및 측면차단부에 설치된 보강프레임에 고정되며 헤드레스트 고정봉이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운전석 보호막.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수단은 중앙부는 운전석의 시트 끝단부와 시트백 하단부 사이로 끼워져 운전석 후방으로 돌출되고 그 양단부는 절곡되어 운전석의 시트에 지지되는 고정바와, 상기 후방차단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에 걸어 후방차단부의 하부를 고정하는 후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운전석 보호막.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후방차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며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운전석 보호막.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차단부 및 측면차단부는 택시 운전석 시트백의 각도 조절시 시트백과 함께 같이 움직이며 각도조절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택시 운전석 보호막.
KR2020110010667U 2011-11-30 2011-11-30 택시 운전석 보호막 KR200470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67U KR200470507Y1 (ko) 2011-11-30 2011-11-30 택시 운전석 보호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667U KR200470507Y1 (ko) 2011-11-30 2011-11-30 택시 운전석 보호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416U true KR20130003416U (ko) 2013-06-10
KR200470507Y1 KR200470507Y1 (ko) 2013-12-23

Family

ID=5242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667U KR200470507Y1 (ko) 2011-11-30 2011-11-30 택시 운전석 보호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50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984Y1 (ko) * 2013-09-27 2015-01-16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택시 운전석 보호격벽
KR101502818B1 (ko) * 2014-12-04 2015-03-16 주식회사 디에스테크 택시 운전석 보호막
KR102173597B1 (ko) * 2019-06-04 2020-11-03 이승규 분리식 안전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615B1 (ko) * 2018-10-23 2019-12-24 황철운 택시운전자 보호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984Y1 (ko) * 2013-09-27 2015-01-16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택시 운전석 보호격벽
KR101502818B1 (ko) * 2014-12-04 2015-03-16 주식회사 디에스테크 택시 운전석 보호막
KR102173597B1 (ko) * 2019-06-04 2020-11-03 이승규 분리식 안전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507Y1 (ko) 2013-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507Y1 (ko) 택시 운전석 보호막
US8136777B2 (en) Mounting bracket for securing a video system behind a headrest
JP5219075B2 (ja) 自動車のルーフ構造
US9187023B2 (en) Utility vehicle
EP3023303B1 (en) Movable loading floor for a motor vehicle trunk
KR101866996B1 (ko) 택시 운전석 보호 격벽
US20120306238A1 (en) Attachment bracket for connecting peripheral devices to a vehicle
CA2643184C (en) Partition for separating cabin and cargo areas in a motor vehicle
US8434805B1 (en) Protective shield for a bus driver
US11135989B2 (en) Vehicle security divider
US5474352A (en) Protective capsule
KR100991239B1 (ko) 택시 운전자 보호대
KR102173597B1 (ko) 분리식 안전벽
KR20150068339A (ko) 택시 운전자 보호판
DE102009052684A1 (de) Verkleidung für eine Rückenlehne eines Fahrzeugsitzes oder dergleichen Sitzanlage für einen Kraftwagen
KR200475984Y1 (ko) 택시 운전석 보호격벽
CN101559789B (zh) 汽车前格栅后部的连接板及设置该连接板的汽车前部结构
EP3086985A1 (en) A partition woth sliding mechanism
AU2010214756A1 (en) Vehicle internal safety shield assembly
KR200491647Y1 (ko) 장애인 차량용 운전자 보호 커버
CN107614327A (zh) 用于机动车的散热器护罩和机动车
KR20160066404A (ko) 제 3 차량의 서치라이트에 의한 운전 방해를 방지하는 택시 운전석 보호장치
KR101329010B1 (ko)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
KR200347963Y1 (ko) 차량용 운전자 보호대
US9744928B1 (en) Attachment structure of front fender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