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010B1 -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010B1
KR101329010B1 KR1020080069671A KR20080069671A KR101329010B1 KR 101329010 B1 KR101329010 B1 KR 101329010B1 KR 1020080069671 A KR1020080069671 A KR 1020080069671A KR 20080069671 A KR20080069671 A KR 20080069671A KR 101329010 B1 KR101329010 B1 KR 101329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nel
dash panel
coupled
d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003A (ko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9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010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18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front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자가 출입하기 위한 출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출입공간을 개폐시키는 차량도어가 장착되는 사이드패널과, 상기 사이드패널의 전방부에 차량의 폭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탑승자가 탑승하기 위한 차실과 상기 차량의 엔진이 배치되기 위한 엔진룸을 구분하는 대쉬패널과, 상기 사이드패널의 하부와 상기 대쉬패널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차실을 지지하는 센터플로어패널과, 상기 사이드패널과 상기 대쉬패널과 상기 센터플로어패널이 서로 결합되는 모서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 충돌시에 상기 대쉬패널에 전해지는 충격량을 흡수하여 상기 대쉬패널이 상기 탑승자를 향해 밀리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보강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브래킷은, 상기 차실을 향하여 함몰된 제1 그루브가 형성된 제1 보강브래킷과, 상기 차실을 향하여 함몰된 제2 그루브가 형성된 제2 보강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 그루브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차량 충돌시에 서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충격량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량흡수공간을 형성하여서, 상기 차량 충돌시에 상기 탑승자의 상해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사이드패널, 대쉬패널, 센터플로어패널, 보강브래킷, 그루브

Description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Bracket for absorb impact of vehicle's dash-panel}
본 발명은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실을 향하여 함몰된 제1 그루브가 형성된 제1 보강브래킷과, 상기 차실을 향하여 함몰된 제2 그루브가 형성된 제2 보강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 그루브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되어 차량 충돌시에 서로 슬라이딩됨으로써 대쉬패널에 전해지는 충격량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량흡수공간을 형성하는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차량도어가 장착되는 사이드패널과, 상기 사이드패널의 전방부에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결합되는 대쉬패널과, 상기 사이드패널의 하부와 상기 대쉬패널의 하부에 결합되어 차실을 지지하는 센터플로어패널이 배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사이드패널과 대쉬패널과 센터플로어패널의 결합구 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이드패널(1)에는 탑승자가 출입하는 출입공간(1a)이 형성되고, 상기 출입공간(1a)을 개폐시키기 위한 차량도어(미도시)가 장착된다.
대쉬패널(2)은 탑승자가 탑승하기 위한 차실과 차량의 엔진이 배치되기 위한 엔진룸을 구분하는 패널로서, 사이드패널(1)의 전방부에 차량의 폭방향으로 결합된다. 또한, 대쉬패널(2)은 그 하부(2a)가 절곡되어 사이드패널(1)의 하부와 센터플로어패널(3)에 결합된다. 대쉬패널(2)은 조향장치, 페달류의 케이블 및 공조기의 덕트 등이 통과하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대쉬패널(2)에는 공조 유닛, 페달류 및 크래쉬 패드 등이 조립된다.
센터플로어패널(3)은 사이드패널(1)의 하부와 대쉬패널(2)의 하부(2a)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의 바닥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차실을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사이드패널(1)과 대쉬패널(2)과 센터플로어패널(3)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모서리부(A)가 형성된다. 모서리부(A)는 사이드패널(1)과 대쉬패널(2)과 센터플로어패널(3)이 서로 용접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차량의 사이드패널(1)과 대쉬패널(2)과 센터플로어패널(3)의 결합구조는, 차량 충돌시에 대쉬패널(2)에 전해지는 충격량에 의해 대쉬패널(2)이 사이드패널(1)과 센터플로어패널(3)로부터 찢어져서 탑승자를 향해 밀림으로써, 상기 탑승자가 대쉬패널(2)에 의해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에 대쉬패널에 전해지는 충격량을 흡수하여 상기 대쉬패널이 탑승자를 향해 밀리는 것을 감소시키는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탑승자가 출입하기 위한 출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출입공간을 개폐시키는 차량도어가 장착되는 사이드패널과, 상기 사이드패널의 전방부에 차량의 폭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탑승자가 탑승하기 위한 차실과 상기 차량의 엔진이 배치되기 위한 엔진룸을 구분하는 대쉬패널과, 상기 사이드패널의 하부와 상기 대쉬패널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차실을 지지하는 센터플로어패널과, 상기 사이드패널과 상기 대쉬패널과 상기 센터플로어패널이 서로 결합되는 모서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 충돌시에 상기 대쉬패널에 전해지는 충격량을 흡수하여 상기 대쉬패널이 상기 탑승자를 향해 밀리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보강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브래킷은, 상기 차실을 향하여 함몰된 제1 그루브가 형성된 제1 보강브래킷과, 상기 차실을 향하여 함몰된 제2 그루브가 형성된 제2 보강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 그루브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차량 충돌시에 서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충격량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량흡수공간을 형성하는 차량의 대 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을 제공한다.
상기 제1, 2 그루브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충격량흡수공간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그루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2 그루브가 서로 슬라이딩될 때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음방지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은, 차실을 향하여 함몰된 제1 그루브가 형성된 제1 보강브래킷과, 상기 차실을 향하여 함몰된 제2 그루브가 형성된 제2 보강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 그루브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되어 차량 충돌시에 서로 슬라이딩됨으로써 대쉬패널에 전해지는 충격량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량흡수공간을 형성하여서, 상기 대쉬패널이 탑승자를 향해 밀리는 것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효과가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의 장착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에서 도 1과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이 포함되는 차량에는, 차량도어(미도시)가 장착되는 사이드패널(1)과, 상기 사이드패널(1)의 전방부에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결합되는 대쉬패널(2)과, 상기 사이드패널(1)의 하부와 상기 대쉬패널(3)의 하부(2a)에 결합되어 차실을 지지하는 센터플로어패널(3)이 배치된다.
사이드패널(1)에는 탑승자가 출입하는 출입공간(1a)이 형성되고, 상기 출입공간(1a)을 개폐시키기 위한 차량도어가 장착된다.
대쉬패널(2)은 탑승자가 탑승하기 위한 차실과 차량의 엔진이 배치되기 위한 엔진룸을 구분하는 패널로서, 사이드패널(1)의 전방부에 차량의 폭방향으로 결합된다. 또한, 대쉬패널(2)은 그 하부(2a)가 절곡되어 사이드패널(1)의 하부와 센터플로어패널(3)에 결합된다.
센터플로어패널(3)은 사이드패널(1)의 하부와 대쉬패널(2)의 하부(2a)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의 바닥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차실을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사이드패널(1)과 대쉬패널(2)과 센터플로어패널(3)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모서리부(A)가 형성된다. 모서리부(A)는 사이드패널(1)과 대쉬패널(2)과 센터플로어패널(3)이 서로 용접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모서리부(A)에는 상기 차량 충돌시에 대쉬패널(2)에 전해지는 충격량을 흡수하여 대쉬패널(2)이 상기 탑승자를 향해 밀리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보강브래킷(10)이 결합된다.
보강브래킷(10)은 복수개의 체결부재(40)를 통해 모서리부(A)에 결합되거나, 용접 접합으로 모서리부(A)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40)는 볼트나 리벳일 수 있다.
보강브래킷(10)은, 상기 차실을 향하여 함몰된 제1 그루브(25)가 형성된 제1 보강브래킷(20)과, 상기 차실을 향하여 함몰된 제2 그루브(35)가 형성된 제2 보강브래킷(30)을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의 정면 및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제1, 2 그루브(25,35)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차량 충돌시에 서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충격량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량흡수공간(50)을 제1, 2 보강브래킷(20,30)의 배면에 형성한다.
제1, 2 그루브(25,35)는, 서로 끼움 결합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제1, 2 그루브(25,35)는, 사이드패널(1)과 대향하는 제1, 2 보강브래킷(20,30)의 면과, 대쉬패널(2)의 하부(2a)와 대향하는 제1, 2 보강브래킷(20,30)의 면에 한 쌍씩 형성될 수 있다.
제1, 2 그루브(25,35)는 서로 끼움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제1 그루브(25)에는 상기 충격량흡수공간(50)으로 돌출된 돌출부(25a)가 형성되고, 제2 그루브(35)에는 상기 돌출부(25a)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홀(35a)이 형성되어, 서로 슬라이딩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돌출부(25a)가 제2 그루브(35)에 형성되고, 슬라이딩홀(35a)이 제1 그루브(25)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2 그루브(35)에는, 제1 그루브(25)와 마주보는 면에 제1, 2 그루브(25,35)가 서로 슬라이딩될 때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음방지부재(60)가 더 배치된다. 소음방지부재(60)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제1 그루브(25)와 마주보는 제2 그루브(35)의 면에 접착제를 이용해 부착될 수 있다. 물론, 소음방지부재(60)는 제2 그루브(35)와 마주보는 제1 그루브(25)의 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은, 차량 충돌이 발생되어 대쉬패널(2)에 충격량이 전해지면 제1 보강브래킷(20)의 제1 그루브(25)와 제2 보강브래킷(30)의 제2 그루브(35)가 서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충격량이 충격량흡수공간(50)에서 흡수되어 대쉬패널(2)이 사이드패널(1)과 센터플로어패널(3)로부터 찢어져서 탑승자를 향해 밀리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사이드패널과 대쉬패널과 센터플로어패널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의 장착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의 정면 및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사이드패널 1a:출입공간
2:대쉬패널 2a:대쉬패널의 하부
3:센터플로어패널 10:보강브래킷
20:제1 보강브래킷 25:제1 그루브
25a:돌출부 30:제2 보강브래킷
35:제2 그루브 35a:슬라이딩홀
40:체결부재 50:충격량흡수공간
60:소음방지부재 A:모서리부

Claims (3)

  1. 탑승자가 출입하기 위한 출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출입공간을 개폐시키는 차량도어가 장착되는 사이드패널과;
    상기 사이드패널의 전방부에 차량의 폭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탑승자가 탑승하기 위한 차실과 상기 차량의 엔진이 배치되기 위한 엔진룸을 구분하는 대쉬패널과;
    상기 사이드패널의 하부와 상기 대쉬패널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차실을 지지하는 센터플로어패널과;
    상기 사이드패널과 상기 대쉬패널과 상기 센터플로어패널이 서로 결합되는 모서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차량 충돌시에 상기 대쉬패널에 전해지는 충격량을 흡수하여 상기 대쉬패널이 상기 탑승자를 향해 밀리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한 보강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브래킷은, 상기 차실을 향하여 함몰된 제1 그루브가 형성된 제1 보강브래킷과;
    상기 차실을 향하여 함몰된 제2 그루브가 형성된 제2 보강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제1, 2 그루브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차량 충돌시에 서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충격량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량흡수공간을 형성하는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 그루브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충격량흡수공간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홀이 형성되는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2 그루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2 그루브가 서로 슬라이딩될 때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소음방지부재가 더 배치되는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
KR1020080069671A 2008-07-17 2008-07-17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 KR101329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671A KR101329010B1 (ko) 2008-07-17 2008-07-17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671A KR101329010B1 (ko) 2008-07-17 2008-07-17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003A KR20100009003A (ko) 2010-01-27
KR101329010B1 true KR101329010B1 (ko) 2013-11-12

Family

ID=41817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671A KR101329010B1 (ko) 2008-07-17 2008-07-17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0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26252B2 (ja) * 2019-11-05 2023-0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骨格構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2263A (ja) * 1992-03-18 1993-10-12 Suzuki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H06270694A (ja) * 1993-03-22 1994-09-27 Toyota Motor Corp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キャリア支持構造
KR970021762U (ko) * 1995-11-15 1997-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합차용 리어슬라이딩 도어의 소음방지 구조
JP2002274423A (ja) 2001-03-22 2002-09-25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2263A (ja) * 1992-03-18 1993-10-12 Suzuki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H06270694A (ja) * 1993-03-22 1994-09-27 Toyota Motor Corp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キャリア支持構造
KR970021762U (ko) * 1995-11-15 1997-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합차용 리어슬라이딩 도어의 소음방지 구조
JP2002274423A (ja) 2001-03-22 2002-09-25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003A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1434B1 (en) Energy-absorbing bolster for an automotive instrument panel assembly
US7992920B2 (en) Door block arrangement for energy absorbing vehicle door
KR101198660B1 (ko) 자동차용 서브프레임
US9446795B2 (en) Structure for reinforcing front vehicle body
JP2010030555A (ja) リヤコンソール
JP2008081035A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CN106364318B (zh) 具有仪表板的机动车辆
US9457755B2 (en) One piece instrument panel with molded upper bin
KR101329010B1 (ko) 차량의 대쉬패널 충격량흡수용 브래킷
JPH10250512A (ja) 自動車のドア構造
US6962380B2 (en) Rear bumper assembly structure for vehicle
KR20110123063A (ko) 자동차 엔진 후드용 흡음시트
JP4027759B2 (ja) 衝撃吸収構造
KR101327468B1 (ko) 자동차 시트 레일 보강구조
US7334816B2 (en) Knee protection device for occupants of a motor vehicle
JP3443261B2 (ja) 車両のシート取付部構造
JP4296777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2006123673A (ja) 車両用内装部品
JPH03118254A (ja) 車両におけるシートの取付構造
EP3808606A1 (en) Vehicle front structure, and vehicle
JP6897541B2 (ja) フードロックケーブル配索構造を有する車両前部構造
JP2022168415A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の取付構造
JP2010167945A (ja) 車両のドアポケット構造
JP2988298B2 (ja) 車室内機器の衝撃吸収構造
JP6772647B2 (ja) 車両用内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