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430U - 스푼 - Google Patents

스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430U
KR20130002430U KR2020110009145U KR20110009145U KR20130002430U KR 20130002430 U KR20130002430 U KR 20130002430U KR 2020110009145 U KR2020110009145 U KR 2020110009145U KR 20110009145 U KR20110009145 U KR 20110009145U KR 20130002430 U KR20130002430 U KR 201300024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head portion
food
presen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빈
Original Assignee
장창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창빈 filed Critical 장창빈
Priority to KR2020110009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430U/ko
Priority to JP2012001530U priority patent/JP3176583U/ja
Publication of KR201300024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43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의 섭취에 사용하는 스푼(Spoon)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스푼으로, 헤드부와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스푼의 헤드부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푼에 의하면 스푼의 헤두부가 직면의 변을 갖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직면으로 이루어진 각 변들이 용기의 바닥면과 벽면에 빈틈없이 밀착되어 상기 바닥면과 벽면에 위치하는 음식물을 남김없이 헤드부에 떠올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헤드부에 의하여 용기의 바닥면과 벽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도 헤드부의 모서리가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모서리 부분에 잔존하는 음식물 또한 남김없이 취식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스푼{Spoon}
본 고안은 음식물의 섭취에 사용하는 스푼(Spoon)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푼의 헤드부를 각변이 직면을 이루는 다각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용기 모서리 부분에 잔존하는 음식물의 취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스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먹을 때 사용되는 숟가락 혹은 스푼은 밥이나 국물류를 먹을 때 사용되고, 젓가락은 면류나 고형물의 반찬 등을 하나 내지는 조금씩 집어먹을 때 사용되며, 포크는 딱딱하지 않은 음식물을 찍어먹거나 면을 먹을 때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음식을 먹을 때 사용되는 도구 중에서 스푼은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모두 사용되었지만, 젓가락은 동양에서 주로 사용되었고, 포크는 서양에서 주로 사용되어 오다가 동서양의 음식문화가 서로에게 전파되면서 동양에서는 포크를 보편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 외에도 기호식품인 아이스크림이나 떠먹는 요구르트, 젤리 등과 같은 음식물을 취식할 때는 스푼을 사용하게 되며, 이와 같은 스푼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을 떠올릴 수 있도록 바닥이 오목하고 타원형상의 외부둘레를 갖는 헤드부(a)와, 이 헤드부(a)로부터 신장된 신장부(b)와 신장부(b)의 상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c)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선행기술 외에도 실용신안등록 제20-0271414호(고안의 명칭: 개량수저)와, 특허출원 제10-2001-0065134호(발명의 명칭: 수저)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8-0000750호(고안의 명칭: 음식용 스푼) 등과 같은 기술들이 공지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한 스푼은 음식물을 뜨는 헤드부의 외부둘레가 타원형을 이루고 있어 음식물을 담은 용기의 벽과 바닥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 잔존하는 음식물을 뜨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실용신안등록 제20-0271414호(고안의 명칭: 개량수저) 특허출원 제10-2001-0065134호(발명의 명칭: 수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8-0000750호(고안의 명칭: 음식용 스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푼의 헤드부를 각변이 직면을 이루는 다각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용기 모서리 부분에 잔존하는 음식물의 취식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스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하에 제안된 본 고안은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스푼으로, 헤드부와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스푼의 헤드부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다각형상의 스푼 헤드부는 삼각형, 사각형, 5각형, 6각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다각형상의 스푼 헤드부의 각 변은 직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스푼 헤드부의 바닥면은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소정된 형상을 갖는 직면부와 상기 직면부에서 연장되며 오목한 형태를 갖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푼에 의하면 스푼의 헤드부가 직면의 변을 갖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직면으로 이루어진 각 변들이 용기의 바닥면과 벽면에 빈틈없이 밀착되어 상기 바닥면과 벽면에 위치하는 음식물을 남김없이 헤드부에 떠올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헤드부에 의하여 용기의 바닥면과 벽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도 헤드부의 모서리가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모서리 부분에 잔존하는 음식물 또한 남김없이 취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푼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다른 스푼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푼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스푼을 예시한 도면.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스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다른 스푼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푼(10)은 식사 또는 기호식품 등의 다양한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음식물을 떠서 얹는 헤드부(20)와 사용자가 스푼(10)을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30)는 스푼을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전체를 동일한 재질로 적용하거나 헤드부(20)와 손잡이(30)를 이종의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손잡이(30)의 형상은 손으로 잡기 쉬운 오목한 형태의 파지부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20) 부분은 그 형태를 바꾸거나 캐릭터 등을 부착하여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적용이 가능하다.
취식을 위하여 음식물을 떠서 얹는 상기 스푼의 헤드부(20)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다각형상의 스푼 헤드부(20)는 삼각형, 사각형, 5각형, 6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형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다각형상 스푼 헤드부(20)의 외부둘레를 형성하는 각 변(21)은 모두 직면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헤드부(20)의 각 변(21)들이 용기의 벽면에 완전히 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모서리나 벽면에 붙어 있는 음식물을 남김없이 떠서 헤드부(20)에 얹을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스푼 헤드부(20)의 바닥면은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소정된 형상을 갖는 직면부(22)와 상기 직면부(22)에서 연장되며 오목한 형태를 갖는 곡면부(23)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바닥면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직면부(22)에 의하여 용기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음식물을 남김없이 헤드부(20)에 떠 올릴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직면부(22)에서 연장된 오목한 형태의 곡면부(23)에 의하여 더욱 많은 양의 음식물을 헤드부(20)에 얹을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스푼 헤드부(20)의 바닥면 선단으로부터 연장된 직면부(22)의 형상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3각형상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3각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선단은 폭이 넓고 후방은 폭이 좁은 사다리꼴 형태나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적용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푼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스푼에 의하면 스푼의 헤드부(20)가 직면의 변(21)을 갖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직면으로 이루어진 각 변(21)들이 용기의 바닥면과 벽면에 빈틈없이 밀착되어 상기 바닥면과 벽면에 위치하는 음식물을 남김없이 헤드부(20)에 떠올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헤드부(20)에 의하여 용기의 바닥면과 벽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도 헤드부(20)의 모서리가 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모서리 부분에 잔존하는 음식물 또한 남김없이 떠올려 취식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스푼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및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푼의 헤드부와 손잡이를 이종의 재질로 구성하고 있으나, 소정길이의 판재를 단조에 의한 방법으로 타격하여 스푼 전체를 동일한 재질로 성형하는 방법 또한 적용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스푼 20: 헤드부
21: 변 22: 직면부
23: 곡면부 30: 손잡이

Claims (4)

  1.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스푼으로, 헤드부와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스푼의 헤드부는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상의 스푼 헤드부는 삼각형, 사각형, 5각형, 6각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상의 스푼 헤드부의 각 변은 직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푼 헤드부의 바닥면은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소정된 형상을 갖는 직면부와 상기 직면부에서 연장되며 오목한 형태를 갖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푼.
KR2020110009145U 2011-10-14 2011-10-14 스푼 KR20130002430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145U KR20130002430U (ko) 2011-10-14 2011-10-14 스푼
JP2012001530U JP3176583U (ja) 2011-10-14 2012-03-21 スプーン(Spo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145U KR20130002430U (ko) 2011-10-14 2011-10-14 스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430U true KR20130002430U (ko) 2013-04-24

Family

ID=4800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145U KR20130002430U (ko) 2011-10-14 2011-10-14 스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76583U (ko)
KR (1) KR2013000243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080A (ko) * 2021-11-22 2023-05-31 김찬수 향초 워머용 국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080A (ko) * 2021-11-22 2023-05-31 김찬수 향초 워머용 국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76583U (ja)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25402A1 (en) Feeding Utensil
US20140220200A1 (en) Combined Utensil
US20150230640A1 (en) Fork
KR20130002430U (ko) 스푼
CN204995823U (zh) 一种防洒药勺
JP3177408U (ja) 麺類フォーク
JP4676023B1 (ja) 麺用箸
KR20160047801A (ko) 일회용 스푼
KR102193288B1 (ko)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
KR20170078181A (ko) 유아용 스푼
JP3158497U (ja) フォーク
KR200450062Y1 (ko) 제품의 뚜껑을 스푼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산균 제품 보관 용기
JP3087948U (ja) スロープの付いたハート型の食器
CN105078150A (zh) 便于大拇指残疾人使用汤勺的结构形式
JP3167497U (ja)
JP3176066U (ja) 先端部に複数の山を形成した箸
KR20090049420A (ko) 라면용 스푼
KR200297564Y1 (ko) 면 식품용 스푼
KR20140063015A (ko) 미끄럼방지용 포크
JP3201878U (ja) フライドチキン提供皿
JP3134441U (ja) 散蓮華
CN203137924U (zh) 勺子
CN204260459U (zh) 一种防滑金属筷
KR20150000463U (ko) 숟가락과 포크의 위생구조
JP3106475U (ja) 飲食用スプ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