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378A - 정량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정량 배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2378A KR20130002378A KR1020110063311A KR20110063311A KR20130002378A KR 20130002378 A KR20130002378 A KR 20130002378A KR 1020110063311 A KR1020110063311 A KR 1020110063311A KR 20110063311 A KR20110063311 A KR 20110063311A KR 20130002378 A KR20130002378 A KR 2013000237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ering
- housing
- dial
- quantitative
- pow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량 배출장치는 일정량의 분말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정량 홈이 마련된 정량부재와, 상기 정량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정량 홈으로 관통된 투입 홀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통해 상기 정량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정량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를 회전시키는 다이얼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량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동작으로도 분말을 일정한 양으로 배출토록 함으로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량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말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용기에 수용되며, 수용된 내부의 분말을 일정량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주로 스푼을 이용하여 대략적인 양으로 계량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때 스푼을 이용하여 계량하는 경우에는 스푼에 의해 떠지는 스푼을 사용하는 사람의 숙련도에 따라 양이 제각각이고, 사용횟수에 따라 일정한 양으로 계량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계량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기에 수용된 분말을 계량컵에 넣어 측량 한 후 계량컵에 적정량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정량일 경우 이를 사용하게 되는데, 계량컵을 사용하여야 하고, 계량컵을 사용하여 계량하는데 시간 소요가 많으며, 반복적으로 수행할 경우에는 효율이 많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말을 상용함에 있어 간단한 동작으로도 분말을 일정한 양으로 배출토록 함으로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량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출장치는 일정량의 분말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정량 홈이 마련된 정량부재와, 상기 정량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정량 홈으로 관통된 투입 홀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통해 상기 정량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정량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를 회전시키는 다이얼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재와 다이얼부재의 내주면에는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재가 다이얼부재에 내접하며, 상기 다이얼부재와 하우징 사이에는 회전 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내부에 분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용기와, 상기 수납용기를 거치시키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를 일정한 높이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스탠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이얼부재는 상기 다이얼부재에 결합되어 다이얼부재를 회전시키는 레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량부재는 상기 정량 홈에 결합되어 정량 홈에 수용될 분말의 양을 결정하는 조절부재가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정량 배출장치는 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동작으로도 분말을 일정한 양으로 배출토록 함으로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량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량 배출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량 배출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량 배출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량 배출장치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량부재의 정량을 조절하는 조절부재의 조절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량 배출장치의 작동 전을 보인 하우징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량 배출장치의 작동 후를 보인 하우징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레버의 설치위치를 변경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량 배출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량 배출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량 배출장치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량부재의 정량을 조절하는 조절부재의 조절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량 배출장치의 작동 전을 보인 하우징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량 배출장치의 작동 후를 보인 하우징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레버의 설치위치를 변경한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량 배출장치를 보인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량 배출장치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정량부재의 정량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조절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과 도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량 배출장치의 작동 전과 후를 보인 하우징의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레버의 설치위치를 변경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량 배출장치(100)는 일정량의 분말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정량 홈(11)이 마련된 정량부재(10)와, 정량부재(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정량 홈(11)을 향해 투입 홀(21)이 마련된 하우징(20)과, 하우징(20)을 회전가능하게 관통하여 정량부재(10)에 결합되며, 정량부재(1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40)와, 구동부재(40)를 회전시키는 다이얼부재(50)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우징(20)의 상부에 마련되는 수납용기(70)와 수납용기(70)를 거치시키는 거치대(80)와, 거치대(80)가 고정되는 스탠드(9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거치대(80)는 필요할 경우 스탠드(9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분말은 나노 입자의 크기를 비롯하여 콩 정도의 크기까지를 통칭하며, 액상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정량부재(10)는 회전이 가능하게 원기둥(92)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구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좌우 양측에는 하우징(20)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축 홈(12)이 형성된다. 이때 축 홈(12)은 양측에 형성하되 원 기동 형상의 경우 길이방향의 양측에 형성된다. 도면에는 구체 형상의 정량부재(10)가 실시 예로 도시되어 있으나 구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정량부재(10)의 상부에는 일정량의 분말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정량 홈(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정량 홈(11)은 정량부재(10)의 양측에 마련된 축 홈(12)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깊게 형성된다. 이때 축 홈(12)은 정량 홈(11)으로 관통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정량 홈(11)의 내부에는 정량 홈(11)에 끼워져 분말의 정량을 결정할 수 있도록 정량 조절부재(13)가 마련된다. 여기서 조절부재(1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량 홈(11)에 끼움 결합 또는 나선 결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며, 결합되는 깊이에 따라 그 깊이만큼 분말의 양이 결정된다.
그리고 정량 홈(11)은 조절부재(13이 구비될 경우 정량부재(10)를 관통 형성된 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부재(13)의 결합으로 정량 홈이 완성될 수 있다. 정량 홈(11)을 홀로 형성하고 조절부재를 결합할 경우 정량 홈 내부 관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하우징(20)은 정량부재(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에 투입 홀(21)이 마련된다. 이때 투입 홀(21)은 하우징(20) 내측으로 연장된 격벽(22)을 형성한 후 중앙을 관통하여 마련된다. 그리고 투입 홀(21)을 통해 정량부재(10)의 정량 홈(11)에 분말이 투입될 수 있도록 정량부재(10)는 정량 홈(11)은 투입 홀(21)의 하부에 일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투입 홀(21)의 가장자리에는 정량부재(10)의 표면이 밀착되는 격벽(22)에 사이에 오-링(23)을 설치하여 오-링(23)에 의해 하우징(20)과 정량부재(10) 사이의 틈새가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하우징(20)의 격벽(22)에는 오-링(23)이 안착될 수 있도록 링 홈(26)이 마련된다.
또한, 오-링(23)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정량부재(10)의 외부 표면과 하부의 내부 표면을 정밀하게 형성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20)의 하부는 정량부재(10)가 회전되어 정량 홈(11)에 수용된 분말이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따라서 하우징(20)은 정량부재(10)의 축 홈(12)과 동일 중심선상에 위치하는 결합 홀(24)이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 홀(24)은 하우징(20)의 좌우로 관통 형성되며, 하우징(20)의 일측 결합 홀(24)을 관통하여 정량부재(10)의 축 홈(12)과 결합하는 결합 핀(30)이 마련된다.
이때 결합 핀(30)은 끼움에 의해 정량부재(10)의 축 홈(12)에 결합 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결합 핀(30)의 일단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탄성을 갖도록 탄성부(31)를 형성하며, 절개된 단부에는 끼움 결합 후 걸려 고정될 수 있게 가장자리를 따라 걸림돌기(31a)를 형성한다.
그리고 결합 핀(30)의 걸림돌기(31a)가 끼움 결합 된 후 안착 될 수 있도록 축 홈(12)에는 걸림 홈(12a)이 마련되며, 결합 핀(30)의 타단에는 직경이 큰 단차를 갖도록 헤드부(32)를 형성하여 끼움시 결합 홀(24)에 밀착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하우징(20)과 정량부재(10)가 결합 핀(30)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정량부재(10) 자체에 축을 일체로 형성하여 하우징(20)의 결합 홀(24)에 직접 결합 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20)의 타측 결합 홀(24)에는 정량부재(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부재(40)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구동부재(40)은 정량부재(10)의 축 홈(12)에 결합되는 축부(41)와 회전가능하게 노출되는 회전부(42)로 구성된다.
이때 정량부재(10)의 축 홈(12)과 구동부재(40)의 축부(41)는 적어도 하나의 편평면을 갖거나 삼각 단면 이상의 다각 형상으로 마련되며, 구동부재(40)의 축부(41)가 정량부재(10)의 축 홈(12)에 끼워져 연동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구동부재(40)의 회전에 의해 정량부재(1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도면에는 축부(41)가 사각 단면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정량부재(10)의 정량 홈(11)에 투입된 분말을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90°(180°가 이상적)이상의 각도로 구동부재(40)가 회전되어야 한다. 이때 적은 회전각으로 구동부재(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다이얼부재(50)가 마련된다.
여기서 다이얼부재(5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구동부재(40)가 결합하는 하우징(20)의 타측 결합 홀(24)의 상부 또는 하부에 다이얼부재(50)가 설치된다. 그리고 다이얼 부재는 원판 형태로 마련되어 하우징(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장자리를 따라 하우징(20) 방향으로 연장되어 중앙에 공간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동부재(40)의 회전부(42)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다이얼부재(50)의 내주면과 구동부재(40)의 회전부(42) 외주면에 치형을 형성하여 서로 맞물림 결합되는 것이 좋다.
또한. 다르게는 다이얼부재(50)의 내주면과 구동부재(40) 회전부(42)의 외주면을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하여 다이얼부재(50) 내주면에 구동부재(40)가 밀착되게 결합되어 다이얼의 회전으로 구동부재(40)가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이얼부재(50)의 내주에 맞물림 결합되기 위해서는 다이얼 부재의 내경보다 구동부재(40)의 외경이 1/2 이하로 마련되어야 하며, 다이얼부재(50)의 내주면과 구동부재(40)의 외주면의 기어비에 따라 구동부재(40)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다이얼부재(50)의 작은 회전각으로 회전하더라도 구동부재(40)는 큰 회전각으로 회전된다.
또한, 다이얼부재(50)를 결합하기 위해 하우징(20)에는 결합 축(25)이 일체로 형성되고, 다이얼부재(50)에는 결합 축(25)이 결합 되는 축 홈(51)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 축(25)의 단부에는 걸림돌기(25a)가 형성되고, 축 홈(51)의 내주면에는 걸림 홈(51a)이 형성된다.
이때 결합 축(25)이 별도로 마련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 축(25)에 결합되는 다이얼부재(50)는 결합 축(25)에 결합으로 구동부재(40)가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시킨다.
다이얼부재(50)에는 회전 후 다이얼부재(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2)가 마련된다. 여기서 탄성부재(52)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바람직하며, 하우징(20)과 다이얼부재(50)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고 탄성부재(52)는 압축스프링 또는 인장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다이얼부재(50)의 무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결합 축(25)을 중심으로 주변에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27)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스토퍼(27)는 하나가 형성되어 다이얼부재(50)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모두 제어하거나, 일정한 각도 범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두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이얼부재(50)는 적은 힘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다이얼부재(50)에 결합되어 일측으로 연장되는 레버(60)가 마련된다. 여기서 레버(60)는 다이얼 부재와 결합되는 체결부(61)와 다이얼 부재의 직경보다 긴 길이의 연장부(62)를 갖는다. 따라서 적은 힘으로도 다이얼부재(50)를 충분히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레버(60)의 체결부(61)는 다이얼부재(50)를 감싸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마련되고, 레버(60)의 일측에 지렛대의 원리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장부(62)는 단부에 컵 등의 용기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누름부(63)가 마련된다.
이때 레버(60)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체결부(61)의 내주연을 다각 형상으로 마련되며, 다이얼부재(50)의 외주연에도 끼움이 가능하도록 다각형상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도면에는 편의상 상호 돌기(치형)를 형성하여 레버(60)의 체결부(61)와 다이얼부재(50)가 결합되고 있다. 따라서 레버(6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각도로 배치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20)의 상부에는 투입 홀(21)을 통해 정량부재(10)로 분말이 투입될 수 있도록 분말이 수납되는 수납용기(70)가 마련된다. 여기서 수납용기(70)는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수납용기(70)의 하부는 하우징(20)의 상부에 체결되며 분해 조립이 가능토록 수납용기(70)와 하우징(20)에 각각 수 나선과 암 나선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한다.
그리고 수납용기(70)는 하부가 개방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분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부도 개방되고 상부에 별도의 미 도시한 커버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수납용기(70)는 수납용기(70)를 거치시킬 수 있도록 거치대(80)가 마련된다. 그리고 수납용기(70)에는 상기 거치대(80)에 거치될 수 있도록 돌출 또는 함몰 형태의 거치부(71)가 마련된다. 이때 거치대(80)는 거치부(71)가 끼워져 거치 될 수 있도록 거치되는 일측이 개방된 "C"자 형태를 가지며 수납용기(70)가 "C"자 형태의 개방된 방향에서 끼워 결합한다.
그리고 거치대(80)를 일정한 높이로 고정시키는 스탠드(90)가 마련된다. 여기서 스탠드(90)는 바닥에 안정되게 놓여질 수 있게 베이스(91)가 형성되고, 베이스(91)에서 일정높이로 돌출된 기둥(92)이 형성되며, 기둥(92)의 상부에는 거치대(8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93)가 마련된다. 이를 위해 거치대(80)의 중앙에는 고정부(93)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홀(81)이 형성된다.
이때 스탠드(90)의 베이스(91)에는 컵 등의 용기가 받쳐질 있게 받침부(94)가 형성되며, 받침부(94)의 가장자리를 따라 림부(94a)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탠드(90)에 거치대(80)가 고정되고, 거치대(80)에 수납용기(70)가 거치되며, 수납용기(70)에 하우징(20), 정량부재(10) 등이 결합된 상태에서 컵 등의 용기를 레버(60)의 누름부(63)에 밀착시키면서 밀어준다. 그러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60)가 레버(60)의 연장부(62)가 하향하는 상태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부(63)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레버(60)는 결합 축(25)을 중심축으로 결합된 다이얼부재(5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후 다이얼부재(50)는 내주에 맞물린 구동부재(40)를 회전시키면서 구동부재(40)와 연동하는 정량부재(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다이얼부재(50)는 다이얼부재(50)와 하우징(20)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52)의 탄성력을 이기고 회전하게 되면서 정량부재(10)가 회전하여 정량 홈(11)에 있는 분말을 하부에 배출시킨다. 이때 하부에 밀고 있는 용기에 배출되게 된다.
이후 배출이 완료되어 컵을 후방으로 당기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얼부재(50)와 하우징(20)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52)의 복원력에 의해 다이얼부재(50)가 역회전하게 되며, 다이얼부재(50)의 역회전으로 다이얼부재(50)에 결합된 레버(60)가 역회전하게 되면서 레버(60)의 누름부(63)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다이얼부재(50)의 역회전으로 다이얼부재(50)의 내주에 맞물린 구동부재(40)를 역회전시키게 되고, 구동부재(40)의 역회전으로 구동부재(40)와 연동하는 정량부재(10)를 역회전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후 복귀된 정량부재(10)는 상부에 마련된 수납용기(70)에서 분말이 공급되며, 공급된 분말은 조절부재(13)에 의해 조절된 정량 홈(11)의 체적에 채워져 대기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정량배출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정량부재 11: 정량 홈 12: 축 홈
12a: 걸림 홈 13: 조절부재
20: 하우징 21: 투입 홀 22: 격벽
23: 오-링 24: 결합 홀 25a: 걸림돌기
26: 링 홈 27: 스토퍼
30: 결합 핀 31: 탄성부 31a: 걸림돌기
32: 헤드부
40: 구동부재 41: 축부 42: 회전부
50: 다이얼부재 51: 축 홈 51a: 걸림 홈
52: 탄성부재
60: 레버 61: 체결부 62: 연장부
63: 누름부
70: 수납용기 71: 거치부
80: 거치대 81: 고정 홀
90: 스탠드 91: 베이스 92: 기둥
93: 고정부 94: 받침부 94a: 림부
100: 정량 배출장치
12a: 걸림 홈 13: 조절부재
20: 하우징 21: 투입 홀 22: 격벽
23: 오-링 24: 결합 홀 25a: 걸림돌기
26: 링 홈 27: 스토퍼
30: 결합 핀 31: 탄성부 31a: 걸림돌기
32: 헤드부
40: 구동부재 41: 축부 42: 회전부
50: 다이얼부재 51: 축 홈 51a: 걸림 홈
52: 탄성부재
60: 레버 61: 체결부 62: 연장부
63: 누름부
70: 수납용기 71: 거치부
80: 거치대 81: 고정 홀
90: 스탠드 91: 베이스 92: 기둥
93: 고정부 94: 받침부 94a: 림부
100: 정량 배출장치
Claims (5)
- 일정량의 분말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정량 홈이 마련된 정량부재;
상기 정량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정량 홈으로 관통된 투입 홀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통해 상기 정량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정량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를 회전시키는 다이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와 다이얼부재의 내주면에는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재가 다이얼부재에 내접하며,
상기 다이얼부재와 하우징 사이에는 회전 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내부에 분말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용기와,
상기 수납용기를 거치시키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를 일정한 높이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스탠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부재는 상기 다이얼부재에 결합되어 다이얼부재를 회전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부재는 상기 정량 홈에 결합되어 정량 홈에 수용될 분말의 양을 결정하는 조절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배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3311A KR101271296B1 (ko) | 2011-06-29 | 2011-06-29 | 정량 배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3311A KR101271296B1 (ko) | 2011-06-29 | 2011-06-29 | 정량 배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2378A true KR20130002378A (ko) | 2013-01-08 |
KR101271296B1 KR101271296B1 (ko) | 2013-06-04 |
Family
ID=47835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3311A KR101271296B1 (ko) | 2011-06-29 | 2011-06-29 | 정량 배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129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3851A (ko) * | 2014-11-27 | 2016-06-07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촉매 투입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947444A (zh) * | 2016-07-12 | 2016-09-21 | 陈勇 | 排出大颗粒的上下双倒仓装置 |
CN106724991A (zh) * | 2017-01-09 | 2017-05-31 | 中山市紫冠日用品有限公司 | 一种食材定量输出容器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24545B2 (ja) * | 1993-03-16 | 1999-07-26 | 富士電機株式会社 | 粉体の定量吐出装置 |
JPH08334397A (ja) * | 1995-06-06 | 1996-12-17 | Showa Jushi:Kk | 洗濯機用粉粒体計量取出装置 |
KR20100138331A (ko) * | 2009-06-25 | 2010-12-31 | 인정환 | 페트병에 탈장착되는 분말 조절토출기 |
-
2011
- 2011-06-29 KR KR1020110063311A patent/KR10127129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63851A (ko) * | 2014-11-27 | 2016-06-07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촉매 투입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71296B1 (ko) | 2013-06-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08071B2 (en) | Apparatus for dispensing cosmetic material | |
US9351556B2 (en) | Dropper-type cosmetics container in which different types of contents can be used in mixed manner | |
KR101271296B1 (ko) | 정량 배출장치 | |
JP6245276B2 (ja) | 異種内容物混合容器 | |
EP2678117B1 (fr) | Distributeur de produit fluide | |
WO2019170548A1 (fr) | Distributeur de boissons post-mélange avec récipients d'ingrédients pressurisables | |
KR101563706B1 (ko) | 화장품용기 | |
BE1012762A3 (fr) | Dispositif de delivrance/dosage de produits. | |
WO2019170549A1 (fr) | Appareil de fabrication d'une boisson | |
JP2008161680A (ja) | 粉末状の媒質を計量して配出するための器具 | |
US20150233748A1 (en) | Granule measurement apparatus | |
KR101679261B1 (ko) | 계량이 가능한 이중 덮개를 포함하는 조미료 계량용기 | |
FR2546742A1 (fr) | Dispositif distributeur de rondelles formant reperes sur des broches a canaux | |
KR100602474B1 (ko) | 분말 제품의 정량 배출장치 | |
EP1192888B1 (fr) | Réservoir d'eau amovible, notamment pour un four de cuisson à la vapeur | |
US20160116321A1 (en) | Measuring and dispensing cap with internal measuring chambers | |
EP3883519A1 (fr) | Dispositif securise de comptage et de distribution d'objets | |
KR101557368B1 (ko) | 다기능 색조 제품 케이스 | |
US20070210119A1 (en) | Dispensing cap | |
KR20110034707A (ko) | 액상 화장품 용기 | |
FR3051877B1 (fr) | Bouteille a gaz non rechargeable protegee contre le remplissage | |
CN110811104B (zh) | 一种收纳盒 | |
US20210033444A1 (en) | Fluid dispensing device | |
KR20110095496A (ko) | 정량 디스펜서용 분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배방법 | |
FR3068019B1 (fr) | Dispositif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 distribution d'un produit, notamment d'un produit pharmaceutique ou cosmetiqu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