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707A - 액상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액상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707A
KR20110034707A KR1020090092087A KR20090092087A KR20110034707A KR 20110034707 A KR20110034707 A KR 20110034707A KR 1020090092087 A KR1020090092087 A KR 1020090092087A KR 20090092087 A KR20090092087 A KR 20090092087A KR 20110034707 A KR20110034707 A KR 20110034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container body
brush cap
screw ro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9295B1 (ko
Inventor
신기봉
Original Assignee
신기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봉 filed Critical 신기봉
Priority to KR1020090092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295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specially adapted to feed the bristle upp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용기본체에 담겨진 화장액을 피스톤 메카니즘을 통해 브러시측으로 소량씩 토출시킴으로써 이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에 의하면; 내부에는 화장액(L)이 담겨져 저장되며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부(110)가 마련된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상부에 상단이 회전부재(210)를 매개로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고 하단은 용기본체(100)의 저부까지 연장되며 내부가 중공체로 이루어진 스크류로드(200)와; 상기 스크류로드(200)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브러시(300)와; 상기 스크류로드(200)의 중도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부재(210)와 함께 스크류로드(200)가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100)의 실린더부(110)에서 하강하여 상기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화장액(L)을 상기 스크류로드(200)의 내부를 통해 상기 브러시(300)측으로 배출시키는 피스톤(400)과; 상단에는 상기 브러시(300)가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구(510)가 마련되고 하단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를 외부에서 덮도록 합성수지 통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벽에는 상기 회전부재(210)와 치합되어 상기 회전부재(210)를 외부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브러시캡(500)과; 상기 브러시캡(500)의 하단 내벽과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 벽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브러시캡(500)이 상기 피스톤(400)을 하강시키는 정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안내부재(600)를; 구비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상, 화장품, 용기, 브러시캡, 역회전 방지, 래칫, 톱니

Description

액상 화장품 용기{A COSMETIC CASE}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립스틱, 립그로스 등과 같은 화장액이 용기본체에 수용되며, 수용된 화장액을 소정량씩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 액상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술보호제인 립그로스, 입술연지 등의 젤 또는 액체상태의 화장액을 담아 제품으로 판매되는 화장품 용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액(11)이 직접 수용 보관되는 용기본체(10)와, 이 용기본체(10)의 입구(12)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체결되어 개폐되는 용기뚜껑(20)을 갖추고 있다. 또한, 용기뚜껑(20)에는 솔(31)이 부착된 솔대(30)가 하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되어 있어서, 용기뚜껑(20)을 닫으면 솔(31)과 함께 솔대(30)가 용기본체(10) 내부에 수용된다.
따라서 용기뚜껑(20)을 개방하면, 솔대(30) 선단의 솔(31)에 화장액(11)이 묻어나와 이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제품의 외관 디자인을 수려하게 하여 여성들의 미적 욕구를 충족시키도록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화장품 용기는 제품 외관의 시각적인 충족감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제품의 특성화를 꾀하는데 그 한계가 있다. 즉, 사용자는 용기 본체(10)에 담긴 화장액을 솔대(30)의 솔(31)에 매번 소정량씩 묻혀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사용중 부주의로 인해 용기뚜껑(20)을 개방한 상태에서 용기본체(10)가 엎어지면 바로 화장액이 쏟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본체에 담겨진 화장액을 피스톤 메카니즘을 통해 브러시측으로 소량씩 토출시킴으로써 이의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액상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스톤을 하강시키기 위한 브러시캡이 피스톤을 하강시키는 정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이의 사용 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액상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는 화장액이 담겨져 저장되며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부가 마련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상부에 상단이 회전부재를 매개로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고 하단은 용기본체의 저부까지 연장되며 내부가 중공체로 이루어진 스크류로드와; 상기 스크류로드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브러시와; 상기 스크류로드의 중도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스크류로드가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의 실린더부에서 하강하여 상기 용기본체에 저장된 화장액을 상기 스크류로드의 내부를 통해 상기 브러시측으로 배출시키는 피스톤과; 상단에는 상기 브러시가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구가 마련되고 하단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를 외부에서 덮도록 합성수지 통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벽에는 상기 회전부재와 치합되어 상기 회전부재를 외부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브러시캡과; 상기 브러시캡의 하단 내벽과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벽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브러시캡이 상기 피스톤을 하강시키는 정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안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안내부재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벽면 외주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마련되되 일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래칫톱니들과; 상기 브러시캡의 하단 내벽에 상기 래칫톱니와 치합되도록 복수개가 마련되되, 일측면은 상기 브러시캡의 정방향 회전시 상기 래칫톱니의 경사면과 면접촉하면서 넘어갈 수 있는 구배면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상기 브러시캡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우 상기 래칫톱니에 걸리는 수직면으로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벽면에 원주방향으로 걸림테가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브러시캡의 하단 내벽에 상기 걸림테가 수용 결합되어 상기 브러시캡이 이탈됨이 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걸림홈이 띠 형태로 오목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브러시캡의 외벽에 상기 브러시캡의 정방향회전을 표시하기 위한 회전방향표시부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에 의하면; 브러시캡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크류로드를 따라 피스톤이 하강하면서 용기본체에 담겨진 화장액을 브러시측으로 소량씩 토출됨으로써 이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캡을 개방한 후 용기본체를 거꾸로 들더라도 화장액이 쏟아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브러시캡은 회전안내부재를 통해 용기본체 상부에서 피스톤을 하강시키는 정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의 사용편리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캡의 회전방향을 한정하기 위한 회전안내부재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의 구성 설명>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는 피스톤 메카니즘을 적용하여 화장액을 소량씩 펌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화장액(L)이 담겨져 저장되는 용기본체(100)와, 이 용기본체(100)의 내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크류로드(200)와, 이 스크류로드(200) 상단에 배치되는 브러시(300)와, 스크류로드(200)의 중도에 배치되며 실린더부(110)에서 점차 하강하여 화장액(L)을 브러시(300)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피스톤(400)과, 스크류로드(200)를 외부에서 회전 조작시키기 위한 브러시캡(500)과, 용기본체(100)에서 노출되게 배치되는 브러시(300)를 보호하기 위한 본체-캡(700)을 갖추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액상 화장품 용기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용기본체(100)는 화장품 용기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이의 내부에는 화장액(L)이 담겨져 저장되며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부(110)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부(110) 내벽에 피스톤(400)이 밀착되면서 하강하게 되며, 저장된 화장액(L)이 압력이 전달되어 배출되게 된다.
스크류로드(200)는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상부에 상단이 회전부재(210)를 매개로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고 하단은 용기본체(100)의 저부까지 연장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스크류로드(200)는 외주를 따라 일정한 피치를 갖는 나사선이 가공되어 있으며, 내부는 길이방향으로 텅 빈 중공체로 이루어져 있다. 회전부재(210)는 스크류로드(200)의 상단부를 용기본체(100)의 실린더부(110) 상단에서 공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이의 외벽에는 브러시캡(500)과의 치결합을 위한 돌기부가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브러시(300)는 스크류로드(200)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설치된다. 따라서 화장액(L)은 스크류로드(200)의 내부를 통해 브러시(300)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피스톤(400)은 스크류로드(200)의 중도에 중심부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이의 외곽은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져 용기본체(100)의 실린더부(110)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스크류로드(200)가 용기본체(100) 내부에서 정방향(도 2의 화살표 R 방향)으로 공회전하게 되면, 피스톤(400)은 용기본체(100)의 실린더부(110)에서 하강하여 용기본체(100)의 저장된 화장액(L)을 스크류로드(200)의 내부를 통해 브러시(300)측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브러시캡(500)은 용기본체(100)의 상단부에 조립되어 회전부재(210)와 함께 스크류로드(200)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단에는 브러시(300)가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구(510)가 마련되고 하단은 용기본체(100)의 상부를 외곽에서 덮도록 합성수지를 통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브러시캡(500)의 내벽에는 회전부재(210)와 이물림 결합되어 회전부재(210)를 외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브러시캡(500)이 용기본체(100)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용기본체(100)의 상부 벽면에는 원주방향으로 걸림테(120)가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고, 브러시캡(500)의 하단 내벽에는 걸림테(120)가 수용 결합되는 걸림홈(530)이 띠 형태로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브러시캡(500)을 용기본체(100) 상부에 끼워 결합하면, 이것은 회전부재(210)와 이물림 결합됨과 동시에 걸림홈(530)에 걸림테(120)가 요철 결합방식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에 따라 브러시캡(500)은 용기본체(100) 상부에서 이탈됨이 없이 회전부재(210)와 함께 스크류로드(200)를 회전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520"은 브러시캡(500)을 정방향(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시켜 화장액(L)을 브러시(300)측으로 토출시키는 방향을 안내하기 위해 브러시캡(500)의 외벽에 표시된 "회전방향표시부"이다.
또한, 브러시캡(500)의 하단 내벽과 용기본체(100)의 상부 벽면 사이에는 브러시캡(500)이 피스톤(400)을 하강시키는 정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는 회전안내부재(600)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회전안내부재(600)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의 상부 벽면 외주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마련된 래칫톱니(610)들과, 브러시캡(500)의 하단 내벽에 래칫톱니(610)와 치합되도록 복수개 마련된 걸림턱(620)으로 정의된다. 래칫톱니(610)들은 일방향으로만 경사면(611)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걸림턱(620)은 브러시캡(500)의 하단 내벽을 따라 60도 간격을 갖도록 6개 구성하였으며, 일측면이 브러시캡(500)의 정방향 회전 시 래칫톱니(610)의 경사면(611)과 면접촉하면서 넘어갈 수 있는 구배면(621)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이 브러시캡(50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우 래칫톱니(610)에 걸리는 수직면(622)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걸림턱(620)을 6개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2개 내지 6개 사이에서 적당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브러시캡(500)을 회전방향표시부(520) 방향(도 5의 화살표 방향 참조)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걸림턱(620)의 구배면(621)은 래칫톱니(610)들의 경사면(611)과 면접촉하면서 브러시캡(500)의 회전을 허용하게 된다. 이 때, 브러시캡(500)의 하단부는 반경방향으로 약간의 탄성 변형이 요구되는데, 이것은 브러시캡(500)이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반면에, 브러시캡(500)을 회전방향표시부(520)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힘을 가하게 되면, 걸림턱(620)들의 수직면(622)이 래칫톱니(610)에 걸려 브러시캡(500)의 역방향 회전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의 작동 설명>
먼저, 사용자가 액상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용기본체(100)로부터 본 체-캡(700)을 분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손으로는 용기본체(100)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브러시캡(500)을 잡고 이를 회전방향표시부(520;도 2참조) 방향(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브러시캡(500)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회전부재(210)와 함께 스크류로드(200)가 용기본체(100) 내부에서 공회전한다. 따라서 피스톤(400)은 실린더부(110) 내벽과 밀착되면서 스크류로드(200)의 나사선을 따라 선형적으로 하강하여 실린더부(110)에 압력을 발생시키며, 이로 인해 용기본체(100)에 채워진 화장액(L)은 중공체로 이루어진 스크류로드(200)의 내부유로를 통해 브러시(300)측으로 빠져나간다.
즉, 브러시캡(500)을 정방향(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화장액(L)이 스크류로드(200)를 통해 브러시(300)측으로 빠져나와 사용자가 화장을 할 수 있다. 또한, 브러시캡(50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한 피스톤(400)은 하강하지 않기 때문에, 용기본체(100)를 거꾸로 들더라도 화장액(L)은 새어나오거나 쏟아지지 않는다.
한편, 제품을 구매하여 처음 사용하는 경우 회전방향표시부(520)를 주의깊게 보지 않아 역회전 방향으로 브러시캡(500)에 힘을 가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브러시캡(500)은 회전안내부재(600)에 의해 역회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즉,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브러시캡(50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우 브러시캡(500)의 내벽에 마련된 걸림턱(620)의 수직면(622)이 용기본체(100)에 마련된 래칫톱 니(610)에 걸려 회전을 방지한다.
따라서 초기 사용자라도 별도 설명없이 브러시캡(500)을 화장액(L)이 빠져나오는 정방향으로만 회전시킬 수 있어, 제품 사용방법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액상 화장품 용기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 - Ⅲ선에 따른 측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의 조립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를 내부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 - Ⅴ선에 따른 평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캡의 정방향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회전안내부재 구조를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화장품 용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용기본체 110..실린더부
200..스크류로드 300..브러시
400..피스톤 500..브러시캡
600..회전안내부재 610..래칫톱니
620..걸림턱

Claims (4)

  1. 내부에는 화장액(L)이 담겨져 저장되며 상부가 개방된 실린더부(110)가 마련된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의 개방된 상부에 상단이 회전부재(210)를 매개로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고 하단은 용기본체(100)의 저부까지 연장되며 내부가 중공체로 이루어진 스크류로드(200)와;
    상기 스크류로드(200)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설치되는 브러시(300)와;
    상기 스크류로드(200)의 중도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부재(210)와 함께 스크류로드(200)가 정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용기본체(100)의 실린더부(110)에서 하강하여 상기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화장액(L)을 상기 스크류로드(200)의 내부를 통해 상기 브러시(300)측으로 배출시키는 피스톤(400)과;
    상단에는 상기 브러시(300)가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구(510)가 마련되고 하단은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를 외부에서 덮도록 합성수지 통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벽에는 상기 회전부재(210)와 치합되어 상기 회전부재(210)를 외부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브러시캡(500)과;
    상기 브러시캡(500)의 하단 내벽과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 벽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브러시캡(500)이 상기 피스톤(400)을 하강시키는 정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안내부재(6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품 용 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부재(6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 벽면 외주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마련되되 일방향으로 경사면(611)이 형성된 래칫톱니(610)들과;
    상기 브러시캡(500)의 하단 내벽에 상기 래칫톱니(610)와 치합되도록 복수개가 마련되되, 일측면은 상기 브러시캡(500)의 정방향 회전시 상기 래칫톱니(610)의 경사면(611)과 면접촉하면서 넘어갈 수 있는 구배면(621)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상기 브러시캡(50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우 상기 래칫톱니(610)에 걸리는 수직면(622)으로 형성된 걸림턱(6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품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부 벽면에는 원주방향으로 걸림테(120)가 돌출되게 마련되며;
    상기 브러시캡(500)의 하단 내벽에는 상기 걸림테(120)가 수용 결합되어 상기 브러시캡(500)이 이탈됨이 없이 회전될 수 있도록 걸림홈(530)이 띠 형태로 오목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품 용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캡(500)의 외벽에는 상기 브러시캡(500)의 정방향회전을 표시하기 위한 회전방향표시부(520)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품 용기.
KR1020090092087A 2009-09-29 2009-09-29 액상 화장품 용기 KR101109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087A KR101109295B1 (ko) 2009-09-29 2009-09-29 액상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087A KR101109295B1 (ko) 2009-09-29 2009-09-29 액상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707A true KR20110034707A (ko) 2011-04-06
KR101109295B1 KR101109295B1 (ko) 2012-01-31

Family

ID=4404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087A KR101109295B1 (ko) 2009-09-29 2009-09-29 액상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2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1485A1 (ko) * 2012-03-22 2013-09-26 (주)연우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WO2019088685A1 (ko)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KR20200050543A (ko) * 2018-11-02 2020-05-12 인탑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CN112804911A (zh) * 2018-07-23 2021-05-14 郑在庸 能够防止化妆品残留并且同时具有气密功能的化妆品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216B1 (ko) * 2005-10-11 2007-09-12 변영광 토출형 액상 화장품용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1485A1 (ko) * 2012-03-22 2013-09-26 (주)연우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KR101364450B1 (ko) * 2012-03-22 2014-02-20 (주)연우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CN104254263A (zh) * 2012-03-22 2014-12-31 株式会社衍宇 具有真空泵的膏型化妆品容器
US9392857B2 (en) 2012-03-22 2016-07-19 Yonwoo Co., Ltd. Container provided with a vacuum pump for cream-type cosmetics
CN104254263B (zh) * 2012-03-22 2017-05-10 株式会社衍宇 具有真空泵的膏型化妆品容器
WO2019088685A1 (ko)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이종 화장료 화장품 용기
CN112804911A (zh) * 2018-07-23 2021-05-14 郑在庸 能够防止化妆品残留并且同时具有气密功能的化妆品容器
KR20200050543A (ko) * 2018-11-02 2020-05-12 인탑스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9295B1 (ko) 201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335B1 (ko) 화장품 케이스
JP4415412B2 (ja) 吐出容器
KR101116842B1 (ko) 화장품 용기
WO2013111932A1 (ko) 화장품 용기
KR101207314B1 (ko) 화장품용기
KR101109295B1 (ko) 액상 화장품 용기
JP2008043415A (ja) 粘性化粧料用容器
CN101779858B (zh) 散粉盒
KR101062262B1 (ko) 피스톤이 적용된 액상 화장품 용기
RU2563718C2 (ru) Потребительская гигиеническая упаковка
KR20110004036U (ko)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US7673636B2 (en) Powder container
KR200430516Y1 (ko) 화장액 분출용 에어리스 튜브
US7249906B2 (en) Container for cosmetic products
JP5917065B2 (ja) 塗布体付き滴下容器
KR200384959Y1 (ko) 회전승강식 액상 화장품 용기
JP2010094409A (ja) 化粧料用容器
KR101246290B1 (ko) 출몰식 분첩을 가지는 파우더용 화장품용기
KR200439643Y1 (ko) 다이얼 회전방식에 의해 내용물이 배출되게 한 화장품 용기
KR200486850Y1 (ko) 액상 화장품 용기
KR101876759B1 (ko) 이종 화장품을 저장함과 아울러 맛사지 기능을 가지는 튜브형 화장품용기
JP2007168854A (ja) キャップ付き容器
KR20110079599A (ko) 화장품용기
JP4048064B2 (ja) 二剤混合滴下容器
KR101062746B1 (ko) 크림제품용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