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347U - 생리대 고정용 팬티 - Google Patents

생리대 고정용 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347U
KR20130002347U KR2020110009016U KR20110009016U KR20130002347U KR 20130002347 U KR20130002347 U KR 20130002347U KR 2020110009016 U KR2020110009016 U KR 2020110009016U KR 20110009016 U KR20110009016 U KR 20110009016U KR 20130002347 U KR20130002347 U KR 201300023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itary napkin
panties
mounting cloth
cloth
pr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희
Original Assignee
김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희 filed Critical 김동희
Priority to KR2020110009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347U/ko
Publication of KR201300023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34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4Knickers for ladies,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300/00Detail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300/30Closures
    • A41B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6Sanitary towels; Means for supporting or fastening th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리대 고정용 팬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성의 월경시 착용하는 생리대를 팬티에 쉽게 고정하며 착용감이 우수하고 착용 후 생리시 배출되는 노폐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생리대 고정용 팬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착용자의 허리 라인과 다리 라인을 감싸며 내부에 탄성을 지닌 밴드가 구비된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내면에 구비되며 상단과 하단은 각각 봉합선에 의해 봉합 고정되고 좌우 테두리는 봉합되지 않아 상기 내면과 이격되어 삽입부가 형성된 생리대 장착천과, 상기 생리대 장착천의 좌우 테두리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어 생리대 장착천을 상하 방향으로 장력을 유지하는 보형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생리대 고정용 팬티{a panties for menstruation}
본 고안은 생리대 고정용 팬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성의 월경시 착용하는 생리대를 팬티에 쉽게 고정하며 착용감이 우수하고 착용 후 생리시 배출되는 노폐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생리대 고정용 팬티에 관한 것이다.
가임기간 중의 여성은 임신중이나 수유기간을 제외하고 개인에 따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월경(月經, 이하 '생리'라 함)을 하게 되는데, 생리시 체외로 배출되는 노폐물을 청결하게 처리하기 위하여 팬티와 신체 사이에 생리대를 배치하게 된다.
생리대는 중앙에 수분 성질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부가 구비되고, 상기 흡수부의 사방 및 저면에 팬티와 접촉을 위한 접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흡수부는 신체에 직접 맞닿는 부분으로서 부드러운 재질의 면으로 이루어지고 맞닿는 신체의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약초등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접촉부는 흡수부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흡수부를 중심으로 상,하,좌,우로 돌출되어 형성된 날개와 저면에 형성된 점착층으로 이루어져 상기 날개 중 상,하의 날개는 팬티의 내면에 점착되고, 좌,우의 날개는 팬티의 다리 라인을 감싸며 점착되고, 저면에 형성된 점착층은 팬티의 내면에 점착되면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생리대를 여성은 생리 기간에 지속적으로 착용하기 때문에 착용시 위화감이 없도록 생리용 팬티를 착용하게 되는데,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생리용 팬티는 거들(girdle) 모양을 가지되 다리 라인의 길이가 짧은 형태인 것으로 착용시 신체와 밀착감을 주어 일상생활시 팬티 내측에 부착된 생리대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생리용 팬티는 생리대의 좌,우 날개가 팬티의 다리 라인을 감싸며 점착되기 때문에 착용 중 팬티가 중앙을 향해 점차 접혀지고 이로 인해 착용자는 자주 이를 확인한 후 다시 펴줘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 10-778720(2007.11.16,. 등록, 이하 ' 종래기술 ' 이라 함)호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허리 위쪽 둘레에 허리 밴드가, 다리 라인 둘레에 다리 밴드가 제공되고, 서혜부가 생리대의 장착부로 이루어진 생리용 팬티로서, 팬티를 입체 형상으로 한 경우 상기 서혜부로부터 상기 허리 위쪽까지의 밑위 길이와 상기 다리 라인으로부터 상기 허리 위쪽까지의 최단부 몸길이의 치수비는, 상기 밑위 길이 100에 대해 상기 몸길이가 80~200이며, 뒷길에는 상기 서혜부로부터 상기 허리 위쪽에 걸쳐 현수된 탄성 부재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서혜부는 전후 방향으로 탄성 신축 가능한 신축성 옷감으로 형성되고, 이 서혜부의 내측에 생리대를 장착하는 생리대 장착천이 배치되며, 이 생리대 장착천의 앞 가장자리와 뒤 가장자리가 앞 봉합부와 뒤 봉합부에서 상기 서혜부에 봉합되고, 중간부가 상기 서혜부에 봉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기술은 팬티의 서혜부에 탄성 신축 가능한 생리대 장착전을 배치하되, 앞과 뒤를 봉합으로 팬티의 서혜부에 고정하고 중간부는 봉합하지 않은 것으로, 봉합되지 않은 중간부에 생리대의 날개부가 휘감기도록 뒤집어 꺽어 고정한 것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리대의 날개부를 중간부로 밀어 넣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 중 생리대의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생리대의 날개부가 생리대 장착전을 감싸며 고정되기 때문에 착용시 생리대 장착천이 중앙을 향해 점차 말리게 되어 착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생리대 장착천이 앞,뒤 봉합부에 의해 봉합된 상태에서 긴장된 상태를 유지해야 생리대의 날개부를 쉽게 장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설명에서 참조한 도 1에 도시된 도면 중 첨부된 참조번호는 이하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재하는 번호와 관계가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팬티의 내면에 생리대를 점착할 수 있는 생리대 장착천을 구비하되, 상기 생리대 장착천의 양측면에 탄성을 지닌 보형물을 일체로 형성하여 생리대를 장착천에 점착한 후에도 장착천의 탄성을 유지하여 장착천의 말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생리대 고정용 팬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생리대 장착천에 부착된 생리대에 흡수되는 노폐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는 생리대 고정용 팬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착용자의 허리 라인과 다리 라인을 감싸며 내부에 탄성을 지닌 밴드가 구비된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내면에 구비되며 상단과 하단은 각각 봉합선에 의해 봉합 고정되고 좌우 테두리는 봉합되지 않아 상기 내면과 이격되어 삽입부가 형성된 생리대 장착천과, 상기 생리대 장착천의 좌우 테두리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어 생리대 장착천을 상하 방향으로 장력을 유지하는 보형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형물은, 탄성 신축력을 가지는 고무밴드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를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생리대 장착천의 좌우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생리시 배출되는 노폐물의 누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생리대 장착천에는, 일정 간격으로 좌우 방향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다수개의 형상유지구가 구비되어 생리대 장착천의 내측으로 말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리대 장착천의 상단과 하단 봉합선의 외측과 내부에 각각 방수천이 구비되어 착용자가 엎드리거나 누울 때 노폐물이 착용부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착용부에는 하단이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주름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상기 생리대의 날개가 감싸는 생리대 장착천은 상하 방향으로 좌우 테두리에 각각 구비된 보형물을 통해 탄성력을 유지하게 되면서 내측으로 말리는 것이 방지되며, 동시에 생리대 장착천에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구비되며 좌우 방향으로 탄성력을 유지하는 형상유지구에 의해 생리대 장착천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어 장시간 착용에도 생리대 장착천이 내측으로 말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생리시 배출되는 노폐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생리용 팬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생리대 고정용 팬티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생리대 고정용 팬티에 생리대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생리대 장착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천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주름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생리대 고정용 팬티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생리대 고정용 팬티(1)는, 착용부(10)와, 생리대 장착천(20)과, 보형물(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착용부(10)는, 착용자가 착용하는 부분으로서 착용자의 허리 라인과 다리 라인을 감싸되 내측에 탄성을 지닌 밴드(11)가 구비되어 착용자의 허리 라인과 다리 라인에 밀착되도록 하며,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맞닿는 부분으로서 탄성력을 갖는 폴리우레탄 섬유사와, 부드러운 면 또는 나일론 섬유사 등을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하되 2장 이상을 봉합하여 형성하며, 상기 밴드(11)가 배치되는 상부 끝단과 하부 끝단쪽은 탄성 신축력이 높은 합성 또는 천연 고무시트 등으로 형성하여 신체와의 밀착감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리대 장착천(20)은, 상기 착용부(10)의 내면(12)에 봉합을 통해 고정되어 생리대(100)가 점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착용부(10)의 내면에 봉합되되 상단과 하단은 봉합선(21)을 통해 착용부(10)의 내면(12)에 고정되고 좌우 테두리는 봉합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면서 내면(12)과의 사이에 생리대(100)의 날개(110)가 삽입되는 삽입부(22)를 형성한다.
상기 봉합선(21)을 통해 고정되는 생리대 장착천(20)은 탄성을 지닌 소재로 이루어져 봉합선(21) 사이에서 장력을 유지하게 되며, 생리대의 날개(110)가 좌우의 테두리를 감싸며 삽입부(22)로 삽입된 후 날개(110)가 장착천(20)의 내면에 점착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보형물(30)은, 상기 삽입부(22)를 이루는 생리대 장착천(20)의 좌우 테두리에 일체로 구비되어 생리대의 날개(110)가 삽입부(22)를 감싸며 결합될 때 삽입부(22)가 내측을 향해 말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생리대 장착천(20)의 좌우 테두리의 내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탄성 신축력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생리대 장착천(20)의 상단과 하단이 봉합선(21)을 통해 착용부(10)의 내면에 봉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리대 장착천(20)이 착용부(10)의 내면과 이격되어 삽입부(22)를 형성하면서 고정된 뒤 생리대(100)를 상기 착용부(10)에 점착할 때 상기 생리대(100)의 날개(110)가 생리대 장착천(20)의 좌우 테두리를 감싼 후 삽입부(22)로 삽입될 때 생리대의 날개(110)에 의해 생리대 장착천(20)이 내측으로 말리게 되는데, 상기 보형물(30)이 생리대 장착천(20)의 좌우 테두리에 일체로 구비되어 말려진 생리대 장착천(20)의 형상 및 위치를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보형물(30)에 의해 생리대 장착천(20)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착용 중 생리대(100)가 점착된 생리대 장착천(20)이 말려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착용자가 느끼는 착용감이 편안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생리대 장착천(20)이 내측을 향해 말리게 되면 중앙으로부터 좌우 테두리를 향해 점진적으로 하강하는 형태로 유지되어 생리시 배출되는 노폐물이 좌우 테두리를 통해 외부로 누수될 수 있는데, 상기 보형물(30)을 통해 생리대 장착천(20)이 긴장상태를 유지하는 원위치로 복귀되어 노폐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보형물(30)은 실리콘을 재질로 형성하여 생리대 장착천(20)의 좌우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하여 상기 보형물(30)을 통해 노폐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형물(30)로 사용되는 실리콘은 인체에 무해한 재질이며, 실리콘 이외에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생리대 장착천(20)이 내측으로 말리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긴장 상태를 유지하여 노폐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생리대 장착천(20)의 좌우 방향으로 형상유지구(40)를 다수개 구비하고, 상기 형상유지구(40)는 탄성력을 갖는 천연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생리대 장착천(2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형상유지구(40)는, 상기 생리대 장착천(20)의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 배치되어 생리대 장착천(20)을 좌우 방향으로 긴장시키며 생리대의 날개(110)가 생리대 장착천(20)을 감쌀 때 상기 생리대 장착천(20)의 좌우 테두리가 내측으로 말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형상유지구(40)의 탄성력에 의해 생리대 장착천(2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말려졌던 좌우 테두리를 원위치로 복원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생리대 장착천(20)은 생리대(100)에 의해 내측으로 말리는 것이 방지되어 장시간 착용에도 착용감이 우수하며 생리대 장착천(20)의 좌우 테두리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생리시 배출되는 노폐물의 누수를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생리대 장착천(20)의 상부와 하부 및 내부에는 생리시 배출되는 노폐물이 생리대(100)의 흡수 용량을 초과할 때 초과되는 양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방수천(50)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방수천(50)은 생리대 장착천(20)의 상단과 하단의 봉합선 외측 및 내부에 각각 구비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맞닿는 것을 차단하게 되며 방수천(50)에 의해 차단되는 동안 면 재질로 이루어진 생리대 장착천(20)에서 노폐물을 흡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방수천(50)은 착용자가 눕거나 엎드릴 때 노폐물이 착용부(10)의 앞 또는 뒤로 누수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생리대 장착천(20)의 상단과 하단 봉합선(21)의 외측과 생리대 장착천(20)의 내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생리대 장착천(20)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보형물(30)이 생리대 장착천(20)에 일체로 구비된 상태의 측단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방수천(50)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방수천(50)이 생리대 장착천(20)의 내부와 상단과 하단의 봉합선(21)의 외측과 내부에 각각 구비되어 착용자가 눕거나 엎드릴 때 노폐물이 착용부(1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주름부(60)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주름부(60)는 착용부(10)의 하단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활동 또는 착용자가 입은 겉옷과의 마찰에 의해 하단이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주름부(60)는, 상기 착용부(10) 중 착용자의 다리 라인을 감싸는 하부의 일부를 절개한 후 절개된 부위에 천 또는 면을 덧대어 형성하며, 이때 덧대어지는 천 또는 면은 절개된 부위의 면적보다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져 좌우 양단이 착용부(10)에 고정되고 중앙은 느슨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주름부(60)를 형성하는 천 또는 면은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로서 착용자가 앉거나 서는 동작, 누웠다가 일어나는 동작 또는 착용자가 입은 겉옷과의 마찰에 의해 하단이 상부로 말려도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주름부(60)를 다수개의 실이 반복적으로 교차하는 망사 소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착용부(10)의 절개된 부위가 삼각형 형태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사각형, 반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절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착용부(10)의 내면(12)에 생리대 장착천(20)을 고정하되 봉합선(21)을 통해 상단과 하단을 고정하고, 생리대 장착천(20)의 중앙은 상기 내면(12)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삽입부(22)를 형성한다.
이후 사용될 생리대(100)를 상기 생리대 장착천(20)에 배치하되 생리대(100)의 날개(110)를 상기 삽입부(22)로 삽입하고 이때 상기 날개(110)가 생리대 장착천(20)의 좌우 테두리를 감싸면서 꺽인 후 상기 삽입부(22)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날개(110)가 감싸는 생리대 장착천(20)은 상하 방향으로 좌우 테두리에 각각 구비된 보형물(30)을 통해 탄성력을 유지하게 되면서 내측으로 말리는 것이 방지되며, 동시에 생리대 장착천(20)에 내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구비되며 좌우 방향으로 탄성력을 유지하는 형상유지구(40)에 의해 생리대 장착천(2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어 장시간 착용에도 생리대 장착천(20)이 내측으로 말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생리시 배출되는 노폐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 생리대 고정용 팬티 100 : 생리대 110 : 날개
10 : 착용부 11 : 밴드 12 : 내면
20 : 생리대 장착천 21 : 봉합선 22 : 삽입부
30 : 보형물 40 : 형상유지구 50 : 방수천
60 : 주름부

Claims (6)

  1. 착용자의 허리 라인과 다리 라인을 감싸며 내부에 탄성을 지닌 밴드가 구비된 착용부와;
    상기 착용부의 내면에 구비되며 상단과 하단은 각각 봉합선에 의해 봉합 고정되고 좌우 테두리는 봉합되지 않아 상기 내면과 이격되어 삽입부가 형성된 생리대 장착천과;
    상기 생리대 장착천의 좌우 테두리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어 생리대 장착천을 상하 방향으로 장력을 유지하는 보형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생리대 고정용 팬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탄성 신축력을 가지는 고무 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고정용 팬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은,
    실리콘을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생리대 장착천의 좌우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생리시 배출되는 노폐물의 누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고정용 팬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대 장착천에는, 일정 간격으로 좌우 방향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다수개의 형상유지구가 구비되어 생리대 장착천의 내측으로 말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고정용 팬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대 장착천의 상단과 하단 봉합선의 외측과 내부에 각각 방수천이 구비되어 착용자가 엎드리거나 누울 때 노폐물이 착용부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고정용 팬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에는 하단이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주름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대 고정용 팬티.
KR2020110009016U 2011-10-10 2011-10-10 생리대 고정용 팬티 KR201300023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016U KR20130002347U (ko) 2011-10-10 2011-10-10 생리대 고정용 팬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016U KR20130002347U (ko) 2011-10-10 2011-10-10 생리대 고정용 팬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347U true KR20130002347U (ko) 2013-04-18

Family

ID=5242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016U KR20130002347U (ko) 2011-10-10 2011-10-10 생리대 고정용 팬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34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8125A (zh) * 2016-07-18 2016-11-16 爱谱诗(苏州)服装有限公司 一种防侧漏内裤
KR102246413B1 (ko) * 2020-10-12 2021-04-29 김수정 클러치가 부착된 기능성 속옷
KR102265984B1 (ko) * 2020-11-30 2021-06-16 양나연 복부 체온유지 및 혈액순환 개선용 발열 드로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8125A (zh) * 2016-07-18 2016-11-16 爱谱诗(苏州)服装有限公司 一种防侧漏内裤
KR102246413B1 (ko) * 2020-10-12 2021-04-29 김수정 클러치가 부착된 기능성 속옷
KR102265984B1 (ko) * 2020-11-30 2021-06-16 양나연 복부 체온유지 및 혈액순환 개선용 발열 드로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1981B2 (ja) 再使用可能な吸収ダイパー構造
RU2655236C2 (ru) Одноразовые абсорбирующие изделия
RU2651437C2 (ru) Одноразовые абсорбирующие изделия
TW562672B (en) Open-type disposable diaper
EA022837B1 (ru) Предмет одежды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JP7068804B2 (ja) ショーツ
JP4909819B2 (ja) 使い捨ておむつ
CN104271100A (zh) 具有不同纵向伸长度的地带的内衣
EP2435005A2 (en) Sanitary undergarment
EA037225B1 (ru) Предмет одежды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KR20110010714A (ko) 음경유지구 및 음경고정방법
WO2014138260A2 (en)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O2014138259A1 (en) Fastening zone configurations for outer covers of absorbent articles
KR101010884B1 (ko) 입위에서의 장착이 쉬운 기저귀
KR20130002347U (ko) 생리대 고정용 팬티
US20190110937A1 (en) Incontinence pad configured for use with a water-soluble adhesive
JP4049578B2 (ja) 吸収性物品装着用ショーツ
JPH04104827U (ja) 吸収性物品用ホルダー
KR100330971B1 (ko) 흡수 제품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가멘트
JP2020049287A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4408795B2 (ja) ショーツ
JP4408792B2 (ja) 収尿袋
JP4009089B2 (ja) 体液吸収性物品の着用に適した外装体およびこの外装体に用いられる補助部材
CN109475454A (zh) 生理用短裤
JP6677621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