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714A - 음경유지구 및 음경고정방법 - Google Patents

음경유지구 및 음경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714A
KR20110010714A KR1020107024791A KR20107024791A KR20110010714A KR 20110010714 A KR20110010714 A KR 20110010714A KR 1020107024791 A KR1020107024791 A KR 1020107024791A KR 20107024791 A KR20107024791 A KR 20107024791A KR 20110010714 A KR20110010714 A KR 20110010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is
long
underwear
fabric membe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4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로 오카다
Original Assignee
시로 오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로 오카다 filed Critical 시로 오카다
Publication of KR20110010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7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41B9/023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with separate spaces for 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04Undergarments characterized by the crotc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2Drawers or underpants for men, with or without inserted crotch or 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4Waistbands forming part of the undergarments; Closur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종래에 없는 새로운 음경고정방법 및 이 새로운 음경고정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음경유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남성용 속옷(음경유지구)은 유지구 본체인 대롱형 직물부재와 유지구 본체를 인체에 장착하기 위한 연결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대롱형 직물부재의 앞쪽 개구부의 아랫면에 연결된 전방연결끈, 전방연결끈 선단에 위치하는 클립, 대롱형 직물부재의 뒤쪽 개구부의 윗면에 연결된 후방연결끈 및 후방연결끈 선단에 위치하는 클립을 구비하고 있다. 음경을 고정할 때 음경은 대롱형 직물부재 내부에 삽입된다.

Description

음경유지구 및 음경고정방법{Penis Support Means, and System for Securing the Penis}
본 발명은 남성의 음경을 고정하기 위한 음경고정방법 및 음경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쾌적함을 추구하기 위한 남성 하반신용 속옷으로 여러 종류의 속옷이 제공되었지만, 통상적으로 중력에 의해 아래로 향한 음경과 음낭을 자연스러운 상태로 유지하는 속옷이 대부분이다.
한편, 아래 특허문헌 1~3에는 음경을 특수한 방법으로 유지하는 남성용 속옷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요실금환자, 유아, 누워지내는 노인이 사용하는 남성용 흡수성 물품으로, 착용했을 때 음경이 외부로 돌출되는 구멍이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착용부품과 이 구멍의 외부에 자유로운 탈착이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구멍에서 외부로 돌출된 음경이 삽입되는 자루부품으로 이루어진 남성용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입었을 때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속옷 내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어 특히 운동시 착용에 적합한 남성용 속옷으로, 속옷 본체의 샅 부분의 자루모양의 음낭수용부와 속옷 본체 전면 구멍의 외주부분에 설치된 고리모양의 음경지지부를 갖는 남성용 속옷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음경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여 스포츠 시나 격렬한 운동시에 신체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고 습기나 열기 등으로 인한 불쾌감을 경감시키는 남성용 팬티로, 음경을 위로 향하게 고정하기 위해 본체 전면에 음경수납용 포켓이 설치된 남성용 팬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3-11178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2005-23486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2007-70785호 공보
기존의 일반적인 남성용 속옷이나 상기 특허문헌 1~3에 개시된 남성용 속옷으로도 어느 정도 쾌적함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더 나은 상쾌함과 쾌적함을 얻을 수 있는 음경유지구에 대한 수요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에 없는 새로운 음경고정방법 및 이 새로운 음경고정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음경유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음경유지구는, 음경을 샅에 밀어붙여 고정하기 위한 음경유지구에 있어서 입었을 때 샅 아래에 설치하여 앞쪽 입구에서 음경이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대롱형 직물부재와 상기 대롱형 직물부재 앞쪽에 한 끝이 장치된 전방연결끈과 상기 대롱형 직물부재의 뒤쪽에 한 끝이 장치된 후방연결끈을 갖고, 상기 대롱형 직물부재를 인체에 장착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준비해 입었을 때 상기 전방연결끈 및 후방연결끈의 다른 끝을 인체나 인체에 입혀진 부재에 고정하는 것으로, 샅 아래에 설치된 상기 대롱형 직물부재의 앞부분 및 뒷부분을 위로 당기면서 상기 대롱형 직물부재를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음경고정방법은, 상기 음경유지구를 이용하여 음경을 샅에 밀어붙여 고정하는 음경고정방법에 있어서, 음경을 아래에서 뒤로 당김과 동시에 포피를 벗겨 귀두를 완전히 노출시켜, 후방으로 당긴 상태의 상기 음경근부터 귀두경까지의 표측을 상기 대롱형 직물부재의 안쪽 아랫면에 의해 위로 밀어붙여, 상기 음경을 샅에 대해 단단히 누름과 동시에 상기 음경이 앞으로 되돌아가지 않도록 상기 대롱형 직물부재의 뒤끝 가장자리 부분을 표측의 귀두경에 걸어 음경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 음경고정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고 음경을 샅에 밀어붙여 확실하게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남성용 속옷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남성용 속옷의 유지구 본체를 전개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남성용 속옷을 입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의 변형례 1에 관한 남성용 속옷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의 변형례 2에 관한 남성용 속옷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의 변형례 2에 관한 남성용 속옷의 유지구 본체를 전개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예의 변형례 3에 관한 남성용 속옷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예의 변형례 3에 관한 남성용 속옷의 커버를 제거하고 정면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예의 변형례 4에 관한 남성용 속옷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예의 변형례 5에 관한 남성용 속옷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1 실시예의 변형례 6에 관한 남성용 속옷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1 실시예의 변형례 7에 관한 남성용 속옷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음경유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2 실시예에 관한 음경유지구의 측면 가장자리 부분의 봉합상태를 이미지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는 제 2 실시예의 변형례 8에 관한 음경유지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 2 실시예의 변형례 9에 관한 음경유지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1) 제 1 실시예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남성용 속옷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남성용 속옷의 유지구 본체를 전개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관한 남성용 속옷을 입은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남성용 속옷(음경유지구)(10)은 유지구 본체를 구성하는 제 1 밴드형 직물부재(22) 및 제 2 밴드형 직물부재(25)와 유지구 본체를 인체에 장착하기 위한 연결부재로서 기능하는 고리형태의 허리끈(20)을 구비하고 있다. 밴드형 직물부재(22, 25)의 양단부를 허리끈(20)의 앞쪽 중앙과 뒤쪽 중앙에 꿰매는데, 제 1 밴드형 직물부재(22)가 안쪽, 제 2 밴드형 직물부재(25)가 바깥쪽이 되도록 고정한다. 물론, 꿰매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밴드형 직물부재(22,25)를 허리끈(20)에 고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파스너(지퍼)나 매직 테이프(등록상표)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해도 된다.
도 2에 나타낸 전개한 상태와 같이, 밴드형 직물부재(22, 25)는 가늘고 긴 밴드모양의 직물부재로, 측면의 측단부는 안쪽으로 접혀 있다. 이와 같이 직물부재의 측단부가 안쪽으로 접혀있으면 속옷을 입었을 때 음경을 측면에서도 감싸듯이 덮을 수 있다.
제 1 밴드형 직물부재(22)의 중심부분에는 직경 4cm 정도의 삽입구(22a)가 형성되어 있는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삽입구(22a)는 남성용 속옷(10)의 유지구 본체의 아랫면에 위치한다. 후술하겠지만, 속옷(10)을 입었을 때 음경의 귀두부분이 삽입구(22a)를 통해 제 1 밴드형 직물부재(22)의 밖으로 돌출된다.
이때, 제 1 밴드형 직물부재(22)의 안쪽 면이 음경의 기부인 음경근부터 귀두의 바로 앞까지 표측에 딱 맞게 접촉하여 음경을 샅에 밀어붙인다. 여기서 음경의 표측은 비발기상태의 음경이 자연스럽게 아래로 늘어진 상태로 바깥쪽으로 향한 쪽으로, 음경소대(음경의 귀두 안쪽면과 포피 사이를 연결하는 근육조직, 裏筋)가 위치하는 안쪽의 반대쪽이다.
또, 삽입구(22a)의 앞쪽 가장자리 부분은 귀두경(귀두와 음경 사이의 잘록한 부분)에 걸어, 음경의 귀두 부분을 뒤쪽으로 당기는 기능도 한다. 삽입구(22a)에서 돌출된 귀두 부분은 제 1 밴드형 직물부재(22)와 제 2 밴드형 직물부재(25) 사이에 끼여 둘러싸이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귀두 부분이 남성용 속옷(10)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제 2 밴드형 직물부재(25)로 귀두부를 단단히 누르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음경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상태에 관한 남성용 속옷(10)을 구성하는 제 1 밴드형 직물부재(22) 및 제 2 밴드형 직물부재(25)는 피부에 닿는 촉감을 고려하여 비단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 허리끈(20)은 허리에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 고무 소재로 한다. 물론, 남성용 속옷(10)의 재료는 피부에 직접 닿아도 지장이 없는 재료라면 적당한 다른 소재, 예컨대 비단 이외의 편물, 레이스, 펠트, 부직포도 괜찮다.
이어서, 남성용 속옷(10)을 입으면서 음경을 고정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유지구 본체가 두 다리 사이에 끼워지도록 두 다리를 허리끈(20) 안에 넣는다. 이어서 허리끈(20)을 허리 근처까지 끌어올린 후, 사용자가 손을 이용해서 음경을 발기상태에 가까운 길이까지 아래에서 뒤로 잡아늘인 상태로 포피를 벗겨 노출시킨 귀두 부분을 제 1 밴드형 직물부재(22)의 삽입구(22a)에 넣는다.
이와 같이 음경의 끝이 삽입구(22a)에 삽입된 상태로 허리끈(20)을 허리까지 끌어올려 남성용 속옷(10)을 하반신에 완전히 입은 상태에서, 제 1 밴드형 직물부재(22)의 안쪽 면에 의해 음경의 표측이 위로 밀림과 동시에 유지구 본체의 아랫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구(22a)의 앞쪽 가장자리 부분이 노출한 귀두경에 걸려서 음경이 뒤로 당겨진 상태로 음경이 유지·고정된다.
도 3은 남성용 속옷(10)을 입은 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내는데, 음경의 앞쪽 끝의 귀두 부분이 삽입구(22a)의 앞쪽 가장자리 부분에 걸려 뒤로 당겨지면서 제 1 밴드형 직물부재(22)의 안쪽 면에 의해 음경근부터 귀두까지의 안쪽이 샅에 눌려 고정된다. 도 3에는 도시를 생략했지만 음경이 샅에 단단히 눌리면 음낭도 샅에 눌리면서, 음경이 두 개의 고환 사이에 위치하고 두 개의 고환은 좌우로 벌어진다.
또, 제 2 밴드형 직물부재(25)의 안쪽 면은 제 1 밴드형 직물부재(22)의 바깥쪽 면 및 삽입구(22a)에서 노출된 귀두에 밀착하여 위로 밀어올리는 기능을 한다. 이로 인해 제 1 밴드형 직물부재와 협력하여 음경이 앞쪽으로 움직여 귀두가 삽입구(22a)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등 안정적으로 음경을 고정할 수 있다. 또, 귀두부를 면접촉으로 누르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으로 음경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음경 고정방법에 의하면, 포피를 벗긴 귀두를 아래에서 뒤로 당겨 샅에 눌린 상태로 음경을 유지하여 음경과 음낭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스포츠 등 격렬한 운동을 할 경우에도 음경과 음낭이 움직여 방해되거나 불쾌한 느낌이 들지 않는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음경을 고정할 때, 음경근부터 귀두경까지 표측을 직물부재로 면접촉하여 누름과 동시에 귀두경에 직물부재의 구멍 가장자리를 걸어서 고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통증이나 불쾌함을 주지 않고 안정적으로 음경을 고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비발기상태(음경의 해면체에 혈액이 충분히 차지 않은 상태)의 음경을 발기상태의 길이에 가까운 길이까지 당긴 상태로 남성용 속옷으로 고정유지하므로, 착용자는 일종의 상쾌함과 쾌적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발기상태에 가까운 길이란, 완전발기 상태의 길이의 70%이상의 길이를 말한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음경이 앞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여장남자나 성 정체성 장애인 등 음경을 숨기고 싶어하는 사람에게도 도움이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포피를 벗겨 귀두를 노출시킨 상태로 음경을 고정하므로, 가성포경의 경우 귀두가 포피에 말려 감싸이는 것을 방지하여, 결국 포경 교정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취지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고, 각 구성 부재의 사이즈 및 형태는 착용자의 체형에 맞춰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며 밴드형 직물부재도 가늘고 긴 밴드형에 한정하지 않고 삼각형 등 여러가지 형태로 가능하다.
또, 음경의 귀두경에 걸리는 삽입구의 형태도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 다른 형상을 취해도 되고, 귀두 부분이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절개되어도 된다. 단 속옷을 입은 상태에서 이 삽입구의 앞쪽 가장자리 부분이 귀두경에 걸려서 음경이 앞쪽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저지하는 기능을 갖춘 형태로 해야한다.
(변형례 1)
계속해서, 제 1 실시예의 변형례 1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변형례 1에 관한 남성용 속옷의 사시도이다. 본 변형례 1에 관한 남성용 속옷(11)은 밴드형 직물부재가 한 장인 점에서 상기 제 1 실시예의 남성용 속옷(10)과는 구성이 다르지만 그 외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변형례 1에 관한 남성용 속옷(11)은 유지구 본체를 구성하는 제 1 밴드형 직물부재(22)와 유지구 본체를 인체에 부착하기 위한 허리끈(20)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간단한 구성의 본 변형례 1에 의하면, 제 1 밴드형 직물부재(22)의 삽입구(22a)로부터 노출된 귀두를 덮기 위한 다른 직물부재가 없지만 음경의 고정에 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변형례 1의 남성용 속옷(11)은 심플한 구성으로 제조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변형례 2)
다음으로, 변형례 2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변형례 2에 관한 남성용 속옷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체 부분을 전개한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의 남성용 속옷(12)은 유지구 본체를 구성하는 밴드형 직물부재가 세 장이라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남성용 속옷(10)과 구성이 다르지만,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례 2의 남성용 속옷(12)은 유지구 본체를 구성하는 제 1 밴드형 직물부재(22)와 제 2 밴드형 직물부재(25), 제 1 밴드형 직물부재(22) 안쪽에 설치된 제 3 밴드형 직물부재(26)를 구비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밴드형 직물부재(26)는 전면에 상기 삽입구(22a)와 동일한 삽입구(26a)가 트여있다. 이 남성용 속옷(12)을 착용할 때에는 우선 음경을 차례대로 이 삽입구(26a)에 통과시킨 다음 귀두 부분을 삽입구(22a)에 끼운다. 그렇게 하면, 음경의 정중앙 부분이 삽입구(26a)의 가장자리 부분에 의해 유지되게 되고, 상기 제 1 실시예의 남성용 속옷(10)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음경을 고정할 수 있다.
(변형례 3)
도 7은 변형례 3의 남성용 속옷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이 남성용 속옷(13)은 허리끈이 다수인 부재로 구성된다는 점과 유지구 본체를 덮는 커버가 있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남성용 속옷(10)과는 구성이 다르지만,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례 3의 허리끈은 탄성이 있는 고무 끈으로 형성되어,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고리형 끈(21-1), 제 2 고리형 끈(21-2) 및 제 1 고리형 끈(21-1)과 제 2 고리형 끈(21-2)을 네 곳에서 연결하는 연결끈(2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허리끈을 인체에 착용한 경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고리형 끈(21-2)의 제 2 밴드형 직물부재(25)가 연결되는 전후 중앙부분은 제 2 밴드형 직물부재(25)에 의해 아래로 당겨진다. 따라서, 착용시에 속옷 자체가 크게 변형가능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사람에게 잘 맞고, 탄성이 있는 고리형 끈(21-1, 21-2)에 의해 속옷을 더욱 견고하게 인체에 고정할 수 있다.
또, 커버(27)는 유지구 본체의 바깥에 유지구 본체를 덮어 가릴 수 있도록 설치된 장방형 천으로, 긴 변 방향의 전후 양끝은 제 1 고리형 끈(21-1)에 연결된다. 또한, 커버(27)의 폭은 착용시에 거의 타원형이 되는 허리끈의 긴축의 길이보다 약간 짧아 샅을 거의 덮어 가릴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변형례 3에 의하면, 제 1 실시예의 남성용 속옷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고 동시에 속옷을 확실하게 인체에 밀착시킬 수 있으며 커버로 샅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례 4)
도 9는 변형례 4의 남성용 속옷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례 4의 남성용 속옷(14)은 허리끈(30)의 뒷부분에 링(31)이 있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의 남성용 속옷(10)과는 구성이 다르다.
삽입구(32a)가 형성된 제 1 밴드형 직물부재(32)와 제 2 밴드형 직물부재(35)는 하나의 밴드형 부재가 링(31)을 통과하여 접혀진 형태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밴드형 직물부재(32, 35)를 링(31)에 통과시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남성용 속옷(14)을 착용자의 체형에 맞게 간단히 조정할 수 있다.
(변형례 5)
도 10은 변형례 5의 남성용 속옷의 사시도이다. 변형례 5의 남성용 속옷(15)은 변형례 4에 비해 허리끈(30) 앞쪽에도 링(31)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밴드형 직물부재(32)와 제 2 밴드형 직물부재(35)는 앞뒤 쌍방으로 연결되어 하나로 연결된 고리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남성용 속옷(15)에서 제 1 및 제 2 밴드형 직물부재(32, 35)는 허리끈(30) 앞뒤에 설치된 양쪽 링(31, 31)을 통과하므로 삽입구(32a)의 위치를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삽입구(32a)를 착용자의 음경 형태에 따라 움직일 수 있어, 착용자에게 더욱 잘 맞게 속옷을 입을 수 있다.
(변형례 6)
도 11은 변형례 6의 남성용 속옷의 사시도로서, 이 속옷(16)은 변형례 4와 비교하여 제 2 밴드형 직물부재(35) 대신에 뒤쪽부터 앞쪽에 걸쳐 폭이 넓은 삼각형의 제 2 밴드형 직물부재(36)를 채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구성이 다르다.
이 실시예에서는, 변형례 4의 작용효과에 더해 제 2 밴드형 직물부재(36)로 음낭과 음모도 가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변형례 7)
도 12는 변형례 7의 남성용 속옷의 사시도로서, 이 속옷(17)은 변형례 3과 비교하여 앞치마(28)와 제 2 고리형 끈(21-2) 앞쪽에 클립(29)을 설치했다는 점에서 구성이 다르다.
이 실시예에서는 변형례 3의 작용효과에 더해 클립(29)으로 앞치마(28)와 커버(27)를 일정한 위치에 끼워, 제 1 고리형 끈(21-1)과 제 2 고리형 끈(21-2)의 탄성력을 조정하여 유지구 본체를 당기는 힘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남성용 속옷(17)을 착용자의 하반신에 더 잘 맞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 앞치마(28)가 달린 훈도시 형태로서 디자인도 좋다.
(2) 제 2 실시예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음경유지구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측면 가장자리 부분의 봉합상태를 이미지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관한 음경유지구(50)는 유지구 본체인 대롱형 직물부재(55)와 유지구 본체를 인체에 부착하기 위한 연결부재로 되어 있고, 대롱형 직물부재(55)의 앞쪽 개구부의 아랫면에 연결된 전방연결끈(58a), 전방연결끈(58a) 선단에 위치하는 클립(59a), 대롱형 직물부재(55)의 뒤쪽 개구부의 윗면에 연결된 후방연결끈(58b) 및 후방연결끈(58b) 선단에 위치하는 클립(59b)을 구비하고 있다.
음경유지구(50)의 클립(59)을 인체의 허리 부분에 설치된 허리끈(51)의 앞뒤 중앙에 각각 고정해 대롱형 직물부재(55)를 인체에 부착한다. 물론, 대롱형 직물부재(55)를 부착하기 위한 연결부재는 임의의 장소에 고정할 수 있고, 연결부재 자체도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끈(58)을 연장하여 목 주변 어깨에 고정해도 된다.
대롱형 직물부재(55)는 세 장의 제 1 ~ 제 3 장방형 직물부재(56a~56c)의 긴 변을 봉합하여 대롱모양으로 한 것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제 1 장방형 직물부재(56a)와 정중앙에 위치하는 제 2 장방형 직물부재(56b)는 크기가 거의 같지만, 제 2 장방형 직물부재(56b)가 앞쪽으로 3cm 정도 벗어난 상태로, 양쪽 가장자리의 겹친 부분이 봉합된다. 또, 제 1 장방형 직물부재(56a)와 제 2 장방형 직물부재(56b)는 긴 변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 이외에는 봉합되어 있지 않아 속옷을 입었을 때 두 직물부재로 둘러싸인 대롱형 공간에 음경이 삽입되게 된다.
또, 중간의 제 2 장방형 직물부재(56b)와 최하부의 제 3 장방형 직물부재(56c)는 앞쪽(도면 중앙좌측) 단은 같은 위치지만 제 3 장방형 직물부재(56c)가 4cm 정도 길기 때문에 제 3 장방형 직물부재(56c)의 뒤쪽 단은 제 2 장방형 직물부재(56b)의 뒤쪽 단보다 4cm 정도 뒤쪽으로 벗어나 있어 제 1 장방형 직물부재(56a)의 뒤쪽 단과 같은 위치에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장방형 직물부재(56b)와 제 3 장방형 직물부재(56c)는, 일부(제 2 장방형 직물부재(56b)의 뒤쪽 단에서 앞쪽으로 4cm 정도의 부분)를 제외하고 양자의 긴 변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의 포개진 부분이 봉합된다. 봉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측면의 개구(60)가 되고, 배뇨시에 이 개구(60)로 귀두 끝을 노출시킬 수 있다. 또, 제 2 장방형 직물부재(56b)의 앞쪽 짧은 변은 제 3 장방형 직물부재(56c)와 봉합되어 있지만, 제 2 장방형 직물부재(56b)의 뒤쪽 짧은 변은 제 3 장방형 직물부재(56c)와 봉합되어 있지 않다.
또, 대롱형 직물부재(55)의 뒤쪽 부분의 제 2 장방형 직물부재(56b)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는 제 1 장방형 직물부재(56a)와 제 3 장방형 직물부재(56c)의 긴 변 방향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이 봉합되어 있다. 물론, 제 1 장방형 직물부재(56a)와 제 3 장방형 직물부재(56c)의 뒤쪽 짧은 변은 봉합되지 않고 개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음경유지구(50)를 인체에 부착할 때에는 우선 음경을 제 1 장방형 직물부재(56a)와 제 2 장방형 직물부재(56b)에 끼워 대롱형 공간에 삽입한다. 이때, 포피를 벗겨 노출시킨 귀두경이 제 2 장방형 직물부재(56b)의 뒤쪽 단부를 넘는 위치까지 삽입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음경을 대롱형 직물부재(55) 내에 삽입한 후, 클립(59a, 59b)을 각각 허리끈(51) 앞뒤에 붙이면 장착이 완료된다. 클립(59b)을 허리끈(51) 뒷부분에 장치할 때는 음경을 뒤로 당긴다. 연결끈(58)으로 인해 대롱형 직물부재(55)의 전단부는 앞쪽 위로 후단부는 뒤쪽 위로 당겨진다.
그렇게 하면 음경 자체는 대롱형 직물부재(55) 안쪽 아랫면(제 2 장방형 직물부재의 윗면)에 의해 샅에 밀착되어 확실히 고정된다. 또, 음경은 뒤쪽으로 당겨진 상태로 대롱형 직물부재(55)로 유지되기 때문에 앞쪽으로 되돌아가려 하지만, 귀두경이 제 2 장방형 직물부재(56b)의 뒤쪽 아래단 가장자리 부분에 걸리기 때문에 되돌아갈 수 없다. 또, 제 2 장방형 직물부재(56b)의 뒤쪽 단부보다 뒤쪽으로 돌출된 귀두부분은 제 3 장방형 직물부재(56c)로 덮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음경근부터 귀두경까지의 표측을 제 2 장방형 직물부재로 단단히 누름과 동시에 귀두경에 제 2 장방형 직물부재의 뒤쪽 가장자리 부분을 걸어 고정하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통증이나 불쾌감을 주지 않고 안정적으로 음경을 고정할 수 있다.
또, 제 2 실시예에 관한 음경유지구에 의해서도 포피를 벗긴 귀두를 아래에서 뒤쪽으로 당겨 샅에 밀어넣은 상태로 음경과 음낭을 인체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의해서도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여러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2 실시예에서 짧은 변인 전후양단이 개방된 대롱형 직물부재(55)라고 했지만, 음경유지구로 음경을 확실하게 가리고 싶을 경우에는 대롱형 직물부재의 뒤쪽 개방단을 봉합하여 막아버리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음경유지구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소재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롱형 직물부재(55)의 소재로 팬티스타킹으로 쓰이는 스타킹 소재인 폴리우레탄이나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로 된 종횡으로 신축성이 좋은 직물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신축성이 좋은 소재를 이용할 경우에는 대롱형 직물부재(55)의 유지 성능이 높이기 위해 사이즈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례 8)
이어서, 제 2 실시예의 변형례 8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변형례 8의 음경유지구의 사시도이다. 이 음경유지구(53)는 대롱형 직물부재(57)와 대롱형 직물부재(57)의 앞쪽 개구부 아랫면에 연결된 전방연결끈(58a), 전방연결끈(58a)의 선단에 설치된 클립(59a), 대롱형 직물부재(57)의 뒤쪽 개구부의 윗면에 연결된 후방연결끈(58b) 및 후방연결끈(58b)의 선단에 설치된 클립(59b)을 갖추고 있다.
이 음경유지구(53)는 같은 크기의 두 장의 장방형 직물부재로부터 대롱형 직물부재(57)가 구성된다는 점에서 상기 제 2 실시예에 관한 대롱형 직물부재(55)와 구성이 다르지만,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례 8에는 같은 크기의 두 장의 장방형 직물부재를 겹쳐 긴 변이 되는 양쪽 가장자리 부분을 봉합하여 대롱 본체를 구성한다. 또, 양 짧은 변은 봉합하지 않아 대롱형 직물부재(55)의 전후 양단은 개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음경유지구(53)를 인체에 장착할 때에는,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음경을 두 장의 장방형 직물부재에 끼워진 대롱형 공간에 대롱형 직물부재(57)의 앞쪽부터 삽입한다. 이때 포피를 벗겨 노출된 귀두경이 아래쪽 장방형 직물부재의 뒤쪽 단부를 넘어서는 위치까지 즉, 대롱형 직물부재(57)의 뒤쪽 개구로부터 귀두 전체가 노출될 때까지 음경을 삽입한다.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게 음경유지구(53)를 인체에 장착하면, 음경은 뒤쪽으로 당겨진 상태로 대롱형 직물부재(57)의 안쪽 아랫면에 의해 샅에 밀어 넣어져 확실히 고정된다. 음경이 앞쪽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면, 귀두경이 대롱형 직물부재(57)의 뒤쪽에 있는 아래쪽 가장자리 부분에 걸리기 때문에 되돌아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변형례 8에 의하면,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음경유지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변형례 9)
이어서 제 2 실시예의 변형례 9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6은 변형례 9의 음경유지구의 사시도로서, 이 음경유지구(65)는 대롱형 직물부재(66)의 사이즈와 소재가 제 2 실시예의 대롱형 직물부재(55)와 다르고, 연결부재로 제 2 실시예의 연결끈(58)과 클립(59) 대신에 연결밴드(68a, 68b)를 채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 2 실시예와 구성이 다르지만,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대롱형 직물부재(66)의 구조는 제 2 실시예의 대롱형 직물부재(55)와 동일하지만 소재가 팬티스타킹으로 쓰이는 스타킹 소재인 폴리우레탄이나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로서 종횡으로 신축성이 좋은 직물부재를 이용하고, 사이즈는 대롱의 직경을 거의 절반 정도 크기로 구성한다.
스타킹 소재처럼 신축성이 좋은 소재를 쓰면 음경 전체를 감싸듯이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대롱형 직물부재(66)로 음경을 위쪽 샅에 밀어넣을 때도 음경에 가해지는 힘이 분산되어 착용자가 느끼는 음경의 압박감 자체가 크게 줄어 착용자에게 자연스러운 착용감을 줄 수 있다.
또, 대롱형 직물부재(66)의 소재는 종횡으로 신축성이 좋은 투웨이 스트레치 소재면 여러 다양한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대롱형 직물부재(66)를 인체에 장착하기 위한 연결부재로 연결밴드(68)을 사용하고 있는데, 앞쪽 연결밴드(68a)는 대롱형 직물부재(66)의 아랫면을 구성하는 신축소재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하고, 뒤쪽 연결밴드(68b)는 대롱형 직물부재(66)의 윗면을 구성하는 신축소재를 하나로 이어서 형성한 것이다.
또, 연결밴드(68)를 허리끈(51)에 꿰매어 고정하는데 단추나 슬라이드파스너(지퍼) 등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변형례 9에 의하면, 상기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착용자에게 한층더 쾌적함을 줄 수 있다.
10 남성용 속옷 (음경유지구)
20 허리끈
22 제 1 밴드형 직물부재
22a 삽입구
25 제 2 밴드형 직물부재
50 음경유지구
51 허리끈
55 대롱형 직물부재
56 장방형 직물부재
58 연결끈
59 클립

Claims (4)

  1. 음경을 샅에 밀어넣어 고정하기 위한 음경유지구에 있어서:
    인체에 장착시 샅 아래쪽에 설치되어 앞쪽 개구로부터 음경이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대롱형 직물부재;
    상기 대롱형 직물부재의 앞쪽에 연결된 전방연결끈과, 대롱형 직물부재의 뒤쪽에 연결된 후방연결끈을 갖고 대롱형 직물부재를 인체에 장착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속옷을 입을 때 상기 전방연결끈과 후방연결끈의 타단부를 인체나 인체에 장착된 부재에 고정하면 샅 아래쪽에 위치한 상기 대롱형 직물부재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윗쪽으로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경유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롱형 직물부재의 후단부에도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경유지구.
  3. 제1항에 기재된 음경유지구를 이용하여 음경을 샅에 밀어붙여 고정하는 음경고정방법에 있어서,
    음경을 아래쪽에서 뒤로 당기면서 포피를 벗겨 귀두를 완전히 노출시켜 뒤로 당긴 상태로 음경근부터 귀두경까지의 표측을 대롱형 직물부재의 안쪽 아랫면에 의해 위로 밀어붙인 것으로, 음경을 샅에 밀어 넣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경고정방법.
  4. 제 2항에 기재된 음경유지구를 이용하여 음경을 샅에 밀어붙여 고정하는 음경고정방법에 있어서,
    음경을 아래쪽에서 뒤로 당기면서 포피를 벗겨 귀두를 완전히 노출시켜 뒤로 당긴 상태의 음경근부터 귀두경까지의 표측을 상기 대롱형 직물부재의 안쪽 아랫면에 의해 위로 밀어붙인 것으로, 음경을 샅에 밀어넣음과 동시에 음경이 앞쪽으로 되돌아가지 않도록 대롱형 직물부재의 뒤끝 가장자리 부분을 표측의 귀두경에 걸어 음경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경고정방법.
KR1020107024791A 2008-04-14 2009-03-25 음경유지구 및 음경고정방법 KR201100107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04213 2008-04-14
JP2008104213A JP4177448B1 (ja) 2008-04-14 2008-04-14 陰茎固定方法及び陰茎保持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714A true KR20110010714A (ko) 2011-02-07

Family

ID=40056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4791A KR20110010714A (ko) 2008-04-14 2009-03-25 음경유지구 및 음경고정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26782B2 (ko)
JP (1) JP4177448B1 (ko)
KR (1) KR20110010714A (ko)
CN (1) CN102006791B (ko)
WO (1) WO200912820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5233A (ko) * 2020-07-06 2022-01-13 조명숙 기능성 팬티
US11564826B2 (en) 2017-02-27 2023-01-31 Gwang-Suk Kim Male penis jelq exercis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1578A (ja) * 2008-06-19 2010-01-07 Masayuki Kato 男性用パンツ
JP4733202B2 (ja) * 2009-09-02 2011-07-27 司郎 岡田 男性用下着
CN202112313U (zh) * 2011-06-21 2012-01-18 林文健 囊袋型男用内裤
US20140026295A1 (en) * 2012-07-26 2014-01-30 Jonothon M.W. McIntyre Men's underwear garment
USD816294S1 (en) * 2016-11-18 2018-05-01 Ioane Keehu Swimsuit
US10632008B2 (en) * 2017-12-07 2020-04-28 Kent Williams Glans penis extender or foreskin retractor
US20210177068A1 (en) * 2019-12-11 2021-06-17 Margaret Karabetyan Garment for suppressing genital bulge caused by a penis
US11849774B2 (en) * 2020-08-25 2023-12-26 Defy Wear Llc Undergarment
US20220211343A1 (en) * 2021-01-05 2022-07-07 A. NIsar Akbar Labor garment facilitating administration of an epidural and maintaining monitoring transducers in place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8242A (en) * 1934-09-22 1936-04-21 Schwartz Morris Undergarment
US3229692A (en) * 1964-05-22 1966-01-18 Oaklee R Creed Men's supporter
US4666440A (en) * 1979-07-30 1987-05-19 Amanda Malfitano Spined sanitary napkin and belt
US4377008A (en) * 1980-06-26 1983-03-22 Chicksu Thomas Yi Article of clothing
US4345337A (en) * 1980-08-19 1982-08-24 Chung Seun Y Man's briefs
JPS5936321U (ja) * 1982-03-24 1984-03-07 宮本 盛之 包莖矯正パンツ
US4471772A (en) * 1982-08-23 1984-09-18 Miller Jr Taylor C Method and undergarments for preventing penile tissue deterioration
US4526167A (en) * 1983-05-24 1985-07-02 Ebenal Harry R Support garment for males
JPS60104118U (ja) * 1983-12-21 1985-07-16 楠本 卯男治 漏泄受止パンツ
JPS60106623U (ja) * 1983-12-26 1985-07-20 金子 政生 男性幼児の亀頭補助具
JPS60155514U (ja) * 1984-03-27 1985-10-16 佐藤 将美 包茎矯正バンド・ブリ−フ
US4660551A (en) * 1984-04-04 1987-04-28 Atsumi Nishimura Men's briefs
JPS61231201A (ja) * 1985-04-03 1986-10-15 市川 正 男性用下着
US4622962A (en) * 1985-04-18 1986-11-18 Kauffman Robert D Penile support
US4759355A (en) * 1987-04-06 1988-07-26 Thrower John H Male undergarment
US4961419A (en) * 1988-09-12 1990-10-09 Tribble Alice K Men's underware with penile envelope
CN2048286U (zh) * 1989-05-19 1989-11-29 许国泰 保健内裤
US5094234A (en) * 1990-06-13 1992-03-10 Searcy Edwin B Soft goods appliance for eliminating crotch itch
CA2085099A1 (en) * 1991-04-11 1992-10-12 Seun Y. Chung Men's underpants
US5226179A (en) * 1992-07-16 1993-07-13 Kichang Choi Anti-moist-tetter briefs
JPH0849102A (ja) 1994-08-02 1996-02-20 Yukio Kikuchi 精強法およびその用具
CN2242594Y (zh) * 1995-08-25 1996-12-18 郭建钧 男童定型内裤
KR200165659Y1 (ko) * 1995-12-12 2000-01-15 최정자 남자용 온도 조절 팬티
US5647065A (en) * 1996-04-17 1997-07-15 Richerson; Michael B. Male genital supporting apparatus and method
CN100387206C (zh) * 1997-02-03 2008-05-14 伊东宽治 包茎矫正器
US5797401A (en) * 1997-04-24 1998-08-25 Knight; Lila C. Post surgical penis protector appliance
US5926853A (en) * 1998-09-10 1999-07-27 Plank; Gloria H. Comfort support for women
US6123664A (en) * 1999-03-31 2000-09-26 Ard; William P. Exercise device for men
US6662378B2 (en) * 1999-06-06 2003-12-16 Charles Avsharian Combined waist-worn men's clothes article
JP2001299794A (ja) 2000-04-26 2001-10-30 With & Co Ltd 男性器用サポータ
MXPA02004058A (es) * 2000-08-23 2002-10-14 Cym Yong Calzones saludables para hombre.
AU2002321870A1 (en) * 2001-07-31 2003-02-17 Cole T. Astin Phallus retention harness
JP4099325B2 (ja) 2001-10-05 2008-06-11 大王製紙株式会社 男性用吸収性物品
JP3942867B2 (ja) * 2001-11-07 2007-07-11 清彦 中野 快適パンツ
CN2592136Y (zh) * 2002-12-17 2003-12-17 华中科技大学同济医学院附属同济医院 阴茎保护器
JP2005023486A (ja) 2003-07-04 2005-01-27 Tatsuyuki Muchiki 男性用下着
US6901607B1 (en) * 2004-03-01 2005-06-07 Jean D. Elwell Men's brief with inner support pocket
CN100534340C (zh) * 2004-11-16 2009-09-02 张力中 男用保健内裤及其使用方法
JP2007070785A (ja) 2005-09-08 2007-03-22 Hirokatsu Tomioka 陰茎収納ポケット部を有する男性用パンツ
CN2917319Y (zh) * 2006-02-16 2007-07-04 罗长军 男士保健内裤
US7434273B2 (en) * 2006-05-31 2008-10-14 Nimbus Impression, Inc. Easy access dryness enhanced men's undergarment
CN1927079A (zh) * 2006-09-19 2007-03-14 林哲文 男性生殖器定位构造
JP3143285U (ja) 2008-04-28 2008-07-17 司郎 岡田 男性用下着
JP4542191B2 (ja) * 2008-07-15 2010-09-08 完侍 松島 男性用補助下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64826B2 (en) 2017-02-27 2023-01-31 Gwang-Suk Kim Male penis jelq exercise device
KR20220005233A (ko) * 2020-07-06 2022-01-13 조명숙 기능성 팬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06791B (zh) 2013-07-17
US20110016614A1 (en) 2011-01-27
CN102006791A (zh) 2011-04-06
WO2009128204A1 (ja) 2009-10-22
JP2009256814A (ja) 2009-11-05
US9826782B2 (en) 2017-11-28
JP4177448B1 (ja) 200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0714A (ko) 음경유지구 및 음경고정방법
ES2848549T3 (es) Cubierta para el pene
US20160278438A1 (en) Adjustable Garment Apparatus
US9308118B1 (en) Urine collection device
JP2013209755A (ja) 男性用下着
US20170165100A1 (en) Urinary Absorbent and Retention Pouch for Male Incontinence
EA015564B1 (ru) Интегрируемая в одежду система для вытягивания пениса
US20130018350A1 (en) Disposable Incontinence Pouch Assembly
US20210045458A1 (en) Sexual health garmen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3175723A1 (en) Men's underwear
JP2019516882A (ja) 調整可能衣類装置
JP4733202B2 (ja) 男性用下着
US10159594B2 (en) Foley catheter bag support sleeves
JP3143285U (ja) 男性用下着
KR20130002347U (ko) 생리대 고정용 팬티
KR100442764B1 (ko) 남성용 거들
JP4648452B2 (ja) おむつ用陰茎固定具
JP2016074993A (ja) 補助下着
JP3147933U (ja) 陰茎保持具
CN214854385U (zh) 一种医用预防压疮内裤
US20230248079A1 (en) Compression shorts
KR200297980Y1 (ko) 남녀공용 팬티
KR200280571Y1 (ko) 남성용 거들
JP2009256854A (ja) 陰茎固定方法及び陰茎保持具
KR200478453Y1 (ko) 비뇨기과적 치료를 받는 사람들이 사용하도록 제공되는 남성용 기능성 팬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