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118U -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 - Google Patents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118U
KR20130002118U KR2020130000684U KR20130000684U KR20130002118U KR 20130002118 U KR20130002118 U KR 20130002118U KR 2020130000684 U KR2020130000684 U KR 2020130000684U KR 20130000684 U KR20130000684 U KR 20130000684U KR 20130002118 U KR20130002118 U KR 201300021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cover plate
support plate
electronic device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정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텍
Priority to KR2020130000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118U/ko
Publication of KR201300021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1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전자기기에 부착된 카메라가 명함을 향할 수 있도록 명함과 휴대용 전자기기를 서로 대향되게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정확한 촬영 위치에서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명함을 촬영할 수 있게 해주는 명함 촬영용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힌지 결합되고, 지지판과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명함이 거치되는 명함거치부와;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휴대용 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기기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판이 지지판에서 최대 열림 위치로 상방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명함거치부에 거치된 명함과 상기 기기거치부에 거치된 휴대용 전자기기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카메라로 명함이 촬영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Stand for photographing and reading business cards with mobile devices}
본 고안은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명함 상의 개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부착된 카메라로 명함을 촬영할 때 정확한 촬영 위치에서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명함을 촬영할 수 있게 해주는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전자기술과 디지털기술,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수많은 휴대용 전자기기들이 출시되고 있고, 휴대용 전자기기의 기능도 사용자 편의를 위해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이제 일상 생활에 없어서는 아니 될 필수품이 된 휴대폰의 경우, 본연의 통신 기능 외에 폰북(Phone book)이나 게임, 스케쥴러(Scheduler), 문자메시지, 인터넷, 이메일, 카메라, 멀티미디어 재생, 텍스트 뷰어, 전자책 등의 기능들이 기본으로 탑재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사용자 지향적인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를 탑재하여 앱스트어 등에서 별도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기능의 변경이나 확장, 추가가 가능한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이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스마트 기기의 경우, 휴대성과 더불어 사용자가 간편히 애플리케이션을 선택, 다운로드, 설치하는 것만으로 무한한 기능 및 생활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가지므로 그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스마트폰 등 최근의 휴대용 전자기기에서는 단순히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폰북의 수준을 벗어나 지인들의 다양한 개인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개인 정보 관리 시스템의 이용이 늘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개인 정보를 관리하고 확인하기 위해서는 개인 정보를 휴대용 전자기기에 입력하고 저장하는 것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예를 들어 상대방으로부터 명함을 받게 되면 명함에 기재된 회사명,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의 개인 정보를 키패드와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입력해야 한다.
이 경우, 개인당 다수의 정보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입력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이용상 많은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게 된다.
더욱이 사용자가 지인들로부터 많은 명함을 받았을 경우 명함에 기재된 정보들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입력해야 할 경우 데이터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휴대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이 카메라가 탑재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경우, 카메라를 이용해 명함을 촬영하면, 촬영한 이미지를 문자 인식하여 명함에 기재된 정보를 입력 및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이는 카메라로 텍스트가 인쇄된 물체(문서, 명함, 잡지 등)를 촬영하여 정지 영상(이미지)을 입력한 후 이 이미지를 분석하여 텍스트를 자동 입력하는 광학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기술을 적용한 것으로, 사용자가 명함을 카메라로 촬영하게 되면,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문자를 인식하여 개인정보 관리 시스템(전화번호부 등)에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를 이용해 명함의 개인 정보를 취득하는 과정은, 명함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취득한 뒤, 이미지에 대한 전처리 및 광학 문자 인식을 수행하여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 데이터에 대한 후처리(잘못 인식된 문자의 수정 작업)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요약될 수 있다.
지금까지 이미지 처리 및 문자 인식, 문자 데이터 처리 등에 있어서는 하드웨어나 알고리즘의 지속적인 연구 및 기술 개발을 통하여 정확도 측면의 많은 개선이 있어 왔다.
그러나, 정보 입력을 위해 명함의 이미지를 취득하는 과정, 즉 명함을 카메라로 촬영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카메라를 명함을 향하도록 한 뒤 촬영버튼을 눌러야 하는 수조작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명함을 올바르게 촬영하지 못하면 문자 인식 및 정보 입력의 정확도가 크게 떨어지게 된다.
종래의 경우, 카메라 촬영 시 명함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거나 물건에 대고 세워놓은 뒤 촬영하기도 하며, 때로는 명함과 카메라를 모두 손으로 잡고 촬영하기도 하는데, 휴대용 전자기기의 카메라로 명함을 촬영할 때 불편함이 있고, 또한 촬영 시 명함과 카메라의 잘못된 거리나 각도, 위치, 흔들림, 주변 빛의 영향 등으로 인해 문자 인식에 적합한 이미지가 촬영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명함의 문자를 아예 인식하지 못하거나 잘못된 문자로 인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촬영 오류 및 문자 인식 오류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휴대용 전자기기에 부착된 카메라가 명함을 향할 수 있도록 명함과 휴대용 전자기기를 서로 대향되게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정확한 촬영 위치에서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명함을 촬영할 수 있게 해주는 명함 촬영용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힌지 결합되고, 지지판과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되는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명함이 거치되는 명함거치부와;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휴대용 전자기기가 거치되는 기기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판이 지지판에서 최대 열림 위치로 상방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명함거치부에 거치된 명함과 상기 기기거치부에 거치된 휴대용 전자기기가 상호 평행한 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카메라로 명함이 촬영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판은 지지판의 일단부에, 상기 기기거치부는 지지판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은 좌우 양 측면부가 형성된 판상의 구조물로 구비되어, 지지판의 좌우 양 측면부가 덮개판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명함거치부가 넣어지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명함거치부의 양 측면부 외측면에는 덮개판을 닫았을 때 지지판의 측면부 내측면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압착되어 고정되는 압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명함거치부는 하면부와 좌우 양 측면부가 형성된 판상의 구조물로 구비되어, 상기 하면부와 좌우 양 측면부가 형성하는 수납공간에 복수의 명함이 겹쳐진 상태로 수납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이 지지면 위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판이 수직으로 세워진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좀더 젖혀진 뒤 비스듬히 세워지는 최대 열림 위치가 될 경우, 상기 덮개판의 돌출부가 상기 지지판의 제1지지단에 걸리어 지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명함거치부는 덮개판의 내측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레일구조물로 결합되어, 덮개판 안쪽으로 완전히 들어온 최대 삽입 위치와, 덮개판 측방으로 최대 돌출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기거치부는 지지판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휴대용 전자기기가 꽂아질 수 있는 거치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덮개판이 최대 열림 위치로 회전된 상태일 때 명함거치부에 거치된 명함과 기기거치부에 거치된 휴대용 전자기기가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부착된 카메라가 명함을 향할 수 있도록 명함과 휴대용 전자기기를 서로 평행한 상태로 대향되게 거치할 수 있는 기구로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카메라로 명함을 정확한 촬영 위치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우수한 명함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는 보다 정확한 거리 및 방향(각도), 위치에서 흔들림 없이 명함을 촬영할 수 있게 해주며, 실내에서 명함을 촬영할 때 명함 상에 전자기기나 사용자의 손 또는 팔의 그림자가 생겨 명함의 일부 또는 전체가 어둡게 촬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촬영 오류나 문자 인식 오류를 예방할 수 있게 해준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명함 촬영용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명함 촬영용 거치대를 닫힘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명함 촬영용 거치대를 최대 열림 상태로 전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명함 촬영용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명함 촬영용 거치대의 단면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명함 촬영용 거치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명함 촬영용 거치대에서 덮개판과 명함거치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명함 촬영용 거치대에서 명함거치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명함에 기재된 개인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명함을 휴대용 전자기기에 탑재된 카메라로 촬영할 때 사용하게 되는 명함 촬영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명함 촬영용 거치대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부착된 카메라가 명함의 중앙을 수직으로 향할 수 있도록 명함과 전자기기를 서로 평행한 상태로 대향되게 거치할 수 있는 기구로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명함에 기재된 개인정보를 전자기기에 입력하는데 사용되며, 촬영된 명함 이미지는 별도로 저장하여 검색 결과로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명함 촬영용 거치대를 이용할 경우, 명함과 전자기기를 카메라의 초점 거리로 유지하여 거치할 수 있고, 특히 명함과 전자기기를 서로 평행한 상태이면서 카메라가 명함의 중앙을 수직으로 향할 수 있는 정확한 촬영 위치에 거치할 수 있는바, 조명이 사용자의 손이나 팔 또는 전자기기에 의해 가려져서 명함이 어둡게 촬영되거나 명함과 전자기기가 평행하지 않은 상태로 촬영되어 이미지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손 떨림에 의한 이미지 왜곡이 없는 우수한 명함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다.
이렇게 전자기기의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가 취득되고 나면, 이미지에 대한 통상의 전처리 및 광학 문자 인식이 수행되어 문자 데이터가 추출되고, 추출된 문자 데이터로부터 얻어진 문자 정보가 개인정보로 입력되게 된다.
결국, 본 고안의 거치대를 이용하여 명함과 전자기기를 거치한 뒤 명함을 촬영하면, 명함과 카메라가 정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촬영이 이루어지므로, 종래와 같은 촬영 오류나 문자 인식의 오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먼저,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명함 촬영용 거치대(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명함(1)과 휴대용 전자기기(2)를 본 고안의 명함 촬영용 거치대(100)에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의 휴대용 전자기기(2)는 명함(1)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3)를 탑재하고 있는 것으로, 명함(1)과 전자기기(2)가 거치대(100)에 거치되고 나면 전자기기(2)의 카메라(3)는 명함(1)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도 1b는 도 1a의 상태에서 명함(1)이 거치된 명함거치부(130)를 측방으로 슬라이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데, 도 1b의 상태에서 실제 촬영이 이루어지며, 이때 명함(1)과 전자기기(2)가 서로 평행한 상태이면서 카메라(3)가 명함의 중앙(좌우 방향 기준)을 수직으로 향하도록 놓이게 됨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명함 촬영용 거치대(100)를 닫힘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명함 촬영용 거치대(100)를 최대 열림 상태로 전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명함 촬영용 거치대(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2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명함 촬영용 거치대(100)의 단면도이며, 도 9와 도 10은 단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명함 촬영용 거치대(100)에서 덮개판(110)과 명함거치부(130)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명함 촬영용 거치대(100)에서 명함거치부(130)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에서 덮개판(110)은 전면 사시도로, 명함거치부(130)는 후면 사시도로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100)는 대략 직사각형의 명함 케이스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접힘 및 전개가 가능하도록 상호 힌지 결합되는 덮개판(110)과 지지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덮개판(110)의 일단부와 지지판(120)의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덮개판(110)이 지지판(120)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덮개판(110)과 지지판(120)은 직사각형의 판상 구조물로 구비되며, 이 중 지지판(120)의 경우 좌우 양 측면부(121)가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갖는 구조로 구비되는바, 상기 좌우 양 측면부(121)가 형성하는 지지판(120)의 내부공간은 덮개판(110)과 지지판(120)이 접혀진 상태(덮개판이 닫힌 상태)에서 후술하는 명함거치부(130)가 넣어질 수 있는 수납공간이 된다.
덮개판(110)이 지지판(120)의 상면을 덮도록 접혀진 상태(이하, 닫힘 상태라 칭함)에서는, 도 2, 도 3, 도 7,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두께의 직육면체 케이스 구조로 되어 있는 명함 케이스의 닫힘 상태와 같은 형상이 된다.
상기 거치대(100)는 명함 촬영 시 테이블의 상면 등 지지면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덮개판(110)을, 도 4, 도 5, 도 8,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120)과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상방 회전시켜 전개한 최대 열림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
최대 열림 상태에서는 지지면 위에 지지판(120)이 접촉 지지된 상태로 상방 전개된 덮개판(110)을 지지하게 된다.
도 2는 덮개판(110)을 위로 하여 도시한 닫힘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거치대(100)를 뒤집어 놓은 상태, 즉 지지판(120)을 위로 하여 도시한 닫힘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도 2의 닫힘 상태에서 덮개판(110)을 위로 열어놓은 상태, 즉 덮개판(110)을 상방 회전시켜 후방으로 젖혀 놓은 명함 촬영 시의 최대 열림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각 구성을 최대 열림 상태로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덮개판(110)이 결합되는 지지판(120)의 일단부에는 좌우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1힌지로드(122)가 일체로 고정되어 구비되고, 이 지지판(120)의 제1힌지로드(122)에는 덮개판(110) 일단부에 일체로 구비된 결합부(111)가 힌지 결합된다.
상기 덮개판(110)의 결합부(111)는 좌우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구비되는데, 지지판(120)의 제1힌지로드(122)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결합홀(112)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된 중공형 구조로 구비된다.
이에 결합부(111)의 결합홀(112)에 제1힌지로드(122)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덮개판(110)이 지지판(120)과 힌지 결합되는 것이며, 지지판(120)의 제1힌지로드(122)를 중심으로 결합부(111)가 회전되면서 덮개판(110) 전체가 최대 열림 상태 또는 닫힘 상태가 되도록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a 및 도 1b, 도 4, 도 5, 도 8,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판(110)은 수직으로 세워진 위치에서 소정 각도만큼 후방으로 좀더 젖혀진 뒤 더 이상 후방으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는데, 이때의 상태를 본 명세서에서는 최대 열림 상태, 이때의 위치를 최대 열림 위치라 칭하기로 하며, 덮개판(110)의 최대 열림 상태에서 명함의 촬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덮개판(110)이 최대 열림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후방으로 비스듬하게 젖혀진 덮개판(110)을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고정수단이 덮개판(110)과 지지판(120)의 힌지결합부에 필요하다.
이에 덮개판(110)의 결합부(111)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13)가 구비되고, 지지판(120)의 일단부에는 최대 열림 위치까지 덮개판(110)이 회전된 상태에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덮개판(110)의 돌출부(113)가 걸리어 지지되는 제1지지단(123)이 돌출 형성된다.
이로써 덮개판(110)이 상방 회전된 후 최대 열림 위치까지 뒤로 젖혀지게 되면, 덮개판(110)의 돌출부(113)가 지지판(120)의 제1지지단(123)에 걸리면서 지지되고, 이에 제1지지단(123)이 스토퍼(125) 역할을 하게 되면서 덮개판(110)이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고정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거치대(100)는 명함(1)이 실제 수납되고 거치되는 부분이면서 덮개판(11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명함거치부(130)와, 카메라(3)가 탑재된 휴대용 전자기기(2)가 끼워져 거치되는 부분이면서 지지판(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기거치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명함거치부(130)는 좌우 양 측면부(131)와 하면부(132)가 형성된 판상의 구조물로 구비되는데, 좌우 양 측면부(131)와 하면부(132)가 형성하는 내부공간이 명함(1)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된다(도 1a 참조).
또한 명함거치부(130)의 좌우 양 측면부(131) 상단과 하단에는 고정가이드(133)가 중앙 쪽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고정가이드(133)는 명함(1)이 명함거치부(130)의 수납공간에 삽입될 때 가이드 역할을 하면서 명함거치부(130)에 수납된 명함(1)이 앞쪽으로 빠져나오지 않게 고정해주는 걸림단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명함거치부(130)에는 좌우 양 측면부(131)와 하면부(132), 고정가이드(133) 사이의 수납공간으로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장의 명함(1)을 겹쳐서 수납할 수 있으며, 명함(1)을 한 장씩 명함거치부(130) 상단을 통해 아래로 삽입하여 수납공간으로 넣어주면 여러 장의 명함(1)들을 함께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명함 보관 시에는 덮개판(110)에 부착된 명함거치부(130)가 지지판(120)의 내부공간에 넣어지도록 덮개판(110)을 닫아 지지판(120)에 결합 및 고정하여 도 3 및 도 4의 상태(덮개판의 닫힘 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거치대는 덮개판을 최대 열림 위치로 열어주어 명함을 촬영 정위치로 거치하기 위한 거치 기능과 더불어, 지인들에게 받은 여러 장의 명함들을 촬영 후 수납 보관할 수 있는 명함 케이스의 기능을 가지는바, 덮개판을 닫아준 상태로 받아놓은 명함들을 보관하는 명함 케이스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명함거치부(130)는 덮개판(110)의 내측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명함거치부(130)와 덮개판(110)은 레일구조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덮개판(110)의 하단부 내측면에 가이드 레일(124)이 좌우 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명함거치부(130)의 하단부 후면에는 가이드 레일(124) 대응 위치에 덮개판(110)의 가이드 레일(124)에 삽입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레일결합부(도 11에서 도면부호 134임)가 형성되어, 레일결합부(134)가 가이드 레일(124)을 따라 이동되면서 명함거치부(130)가 덮개판(110)에서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덮개판(110)의 가이드 레일(124)은 상, 하측 레일부(124a,124b)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격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고, 일측에는 상, 하측의 레일부(124a,124b)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스토퍼(125)가 구비된다(도 11 참조).
상기 스토퍼(125)는 명함거치부(130)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덮개판(110)으로부터 측방으로 최대 돌출된 위치가 되었을 때(도 1b 참조) 더 이상 측방 이동되지 않도록 명함거치부(130)의 돌출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명함거치부(130)의 레일결합부(134)는 T자형 단면 형상의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레일결합부(134)는, 명함거치부(130)의 하단부 후면에 측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124)의 상, 하측 레일부(124a,124b) 사이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 목부(134a)와, 상기 목부(134a)에 상하 폭 방향으로 확장 돌출된 판상 구조로 일체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124)의 내부공간으로 완전히 삽입되어 이동하게 되는 삽입부(134b)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명함거치부(130)의 슬라이드 이동시 레일결합부(134)가 덮개판(110)의 가이드 레일(124)을 따라 이동하게 될 때, 레일결합부(134)의 목부(134a)는 가이드 레일(124)의 상, 하측 레일부(124a,124b)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레일결합부(134)의 삽입부(134b)는 가이드 레일(124)의 내부공간, 즉 상, 하측 레일부(124a,124b)와 덮개판(110) 전면 사이의 공간으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T자형 단면 형상의 레일결합부(134)는 명함거치부(130)의 하단부 후면 일측에서 측방향의 정해진 일부 구간에만 길게 돌출 형성되는데, 레일결합부(134)의 삽입부(134b) 일단 끝면에는 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의 록킹부(135)가 일체 형성된다(도 11 참조).
상기 록킹부(135)는 가늘고 길게 형성되되, 명함거치부(130)의 후면과는 이격된 구조로 형성되며, 또한 록킹부(135)의 일측에는 덮개판(110)의 가이드 레일(124) 내측면에 형성된 록킹홈(126)에 끼워지는 록킹돌기(136)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레일결합부(134)의 목부(134a) 일단 끝면은 명함거치부(130)가 덮개판(110) 안쪽으로 완전히 들어온 최대 삽입 위치(도 4의 위치)에서 덮개판(110)의 가이드 레일(124)에 형성된 스토퍼(125)에 걸리도록 되어 있는바, 목부(134a) 일단 끝면이 스토퍼(125)에 걸리게 될 경우 명함거치부(13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더 이상 슬라이딩되지 못하고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가이드 레일(124) 내측면의 록킹홈(126)은, 명함거치부(130)가 덮개판(110) 안쪽으로 완전히 들어온 도 4의 위치(최대 삽입 위치)와, 명함거치부(130)가 가이드 레일(124)을 따라 측방(도면상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덮개판(110)으로부터 최대 측방 돌출된 도 5의 위치(최대 돌출 위치)에 있게 될 때, 명함거치부(130)의 록킹돌기(136)가 삽입될 수 있는 각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명함거치부(130)의 하단부 후면에서 레일결합부(134) 반대쪽으로는 레일결합부(134) 및 록킹부(135)의 연장선상으로 배치되는 돌출규제부(137)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출규제부(137) 역시 레일결합부(134)와 마찬가지로 목부(137a)와 삽입부(137b)가 일체로 된 T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명함거치부(130)의 슬라이딩시 목부(137a)는 가이드 레일(124)의 상, 하측 레일부(124a,124b) 사이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삽입부(137b)는 덮개판(110)의 가이드 레일(124)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12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돌출규제부(137)의 목부(137a) 역시 덮개판(110)의 가이드 레일(124)에 형성된 스토퍼(125)에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명함거치부(130)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덮개판(110)으로부터 최대로 측방 돌출된 위치에 도달할 경우 목부(137a)가 스토퍼(125)에 걸리게 되며, 이후 명함거치부(130)가 돌출 방향으로 더 이상 슬라이딩되지 못하고 이동이 제한된다.
결국, 레일결합부(134)의 목부(134a)와 돌출규제부(137)의 목부(137a)가 가이드 레일(124)의 스토퍼(125)에 걸리게 되면서 명함거치부(130)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는바, 명함거치부(130)의 최대 슬라이드 이동 거리는 레일결합부(134)의 목부(134a)와 돌출규제부(137)의 목부(137a)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요컨대, 명함거치부(130)는 레일결합부(134)의 목부(134a)가 가이드 레일(124)의 스토퍼(125)에 걸리게 되는 최대 삽입 위치와, 돌출규제부(137)의 목부(137a)가 가이드 레일(124)의 스토퍼(125)에 걸리게 되는 최대 돌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며, 가이드 레일(124)의 스토퍼(125), 레일결합부(134)의 목부(134a), 돌출규제부(137)의 목부(137a)는 명함거치부(13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전술한 록킹부(135)의 록킹돌기(136)와 가이드 레일(124)의 록킹홈(126)은 명함거치부(130)를 최대 삽입 위치와 최대 돌출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이 경우 록킹홈(126)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가 형성된다.
물론, 도면으로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명함거치부(130)가 최대 삽입 위치와 최대 돌출 위치 중간의 여러 위치에서 단계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상기 록킹홈(126)을 2개 외에 추가로 더 형성하여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록킹홈(126)을 형성할 경우, 록킹돌기(136)가 록킹홈(126)에 걸리면서 명함거치부(130)를 사용상 원하는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게 되고, 명함거치부(130)를 측방 슬라이딩시켜 명함거치부(130)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명함거치부(130)의 일 측면부(131)에는 끼움홀(138)이 형성되고, 덮개판(110)의 내측면에는 명함거치부(130)가 최대 삽입 위치로 슬라이딩되었을 때 상기 끼움홀(138)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후크(11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후크(114)는 끼움홀(138)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져 고정되는데, 이러한 후크(114)와 끼움홀(138)은 명함거치부(130)가 최대 삽입 위치로 넣어진 상태에서 측방으로 슬라이딩되지 않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바, 특히 덮개판(110)이 닫힌 상태에서 명함거치부(130)가 거치대(100)의 측방으로 슬라이딩되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명함거치부(130)의 좌우 양 측면부(131) 외측면에는 덮개판(110)을 닫았을 때 지지판(120)의 측면부(121) 내측면에 압착되는 압착돌기(139)가 형성되는바, 이 압착돌기(139)가 지지판(120)의 측면부(121) 내측면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압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덮개판(110)이 닫힘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기기거치부(140)는 지지판(120)의 타단부, 즉 덮개판(110)이 결합되는 단부의 반대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휴대용 전자기기(2)를 꽂아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기기거치부(140)에는 휴대용 전자기기(2)의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거치홈(141)이 형성된 구조로 구비되는데, 기기거치부(140)가 지지판(12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구조, 즉 지지판(120)과 기기거치부(140) 간의 힌지결합부는 지지판(120)과 덮개판(110)의 힌지결합부와 유사한 구조가 될 수 있다.
즉, 기기거치부(140)가 결합되는 지지판(120)의 타단부에 좌우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2힌지로드(127)가 일체로 고정되어 구비되고, 이 지지판(120)의 제2힌지로드(127)에는 기기거치부(140)에 일체로 형성 구비된 결합부(142)가 힌지 결합된다.
상기 기기거치부(140)의 결합부(142)는 좌우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구비되는데, 지지판(120)의 제2힌지로드(127)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결합홀(143)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된 중공형 구조로 구비된다.
이에 결합부(142)의 결합홀(143)에 제2힌지로드(127)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기기거치부(140)가 지지판(120)과 힌지 결합되는 것이며, 지지판(120)의 제2힌지로드(127)를 중심으로 결합부(142)가 회전되면서 기기거치부(140) 전체가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기거치부(140)는 수직으로 세워진 위치에서 소정 각도만큼 좀더 젖혀진 뒤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는데, 휴대용 전자기기(2)가 세워져 거치될 수 있는 기기거치부(140)의 위치를 본 명세서에서는 기기 거치 위치라 칭하기로 하며, 기기거치부(140)를 기기 거치 위치로 회전시킨 뒤 휴대용 전자기기(2)를 거치홈(141)에 끼워 거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기거치부(140)가 기기 거치 위치에서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비스듬하게 젖혀진 기기거치부(140)를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고정수단이 지지판(120)의 힌지결합부에 필요하다.
이에 지지판(120)의 타단부에 기기 거치 위치까지 기기거치부(140)가 최대 회전된 상태(도 1a 및 도 1b, 도 4 및 도 5의 상태)에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기기거치부(140)의 외측면이 걸리어 지지되는 제2지지단(128)이 돌출 형성된다.
이로써 기기거치부(140)를 도 2 및 도 3의 상태에서 도 1a 및 도 1b, 도 4 및 도 5의 상태가 되도록 상방 회전시킨 후 거치홈(141)에 휴대용 전자기기(2)를 꽂아 거치하게 되는데(도 1a 및 도 1b 참조), 기기거치부(140)가 상방 회전된 후 기기 거치 위치까지 젖혀지게 되면, 기기거치부(140)의 외측면이 지지판(120)의 제2지지단(128)에 걸리면서 지지되고, 이에 제2지지단(128)이 스토퍼(125) 역할을 하게 되면서 기기거치부(140)가 세워진 상태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고정되게 된다.
본 고안의 거치대(100)에서 덮개판(110)과 기기거치부(140)가 지지판(120)과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최대로 회전되었을 때, 즉 덮개판(110)이 명함거치부(130)와 함께 최대 열림 위치로 회전되고 기기거치부(140) 또한 기기 거치 위치로 최대 회전되어 고정되었을 때, 명함거치부(130)에 거치된 명함(1)과 기기거치부(140)에 거치된 전자기기(2)는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명함(1)과 전자기기(2)가 평행하게 놓인 상태에서,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명함거치부(130)가 덮개판(110)에서 슬라이드 이동되어 측방으로 최대 돌출된 위치가 되었을 때, 전자기기(2)의 카메라(3)가 명함거치부(130)에 거치된 명함(1)의 중앙을 수직으로 향할 수 있는 촬영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거치대(100)에서 명함거치부(130)를 측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 이유는,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2)를 카메라(3)가 부착된 면의 정면에서 보았을 때 통상의 카메라 위치가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기기(2)의 좌측 상단부가 됨을 고려하여, 실제 촬영시 명함거치부(130)를 측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경우 전자기기(2)의 카메라(3)가 명함(1)의 좌우 방향 중앙을 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명함거치부(130)를 도 1a에 나타낸 원래 위치로 삽입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거치대(100)를 최소의 크기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거치대(100)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판(110)을 열어준 뒤 명함거치부(130)를 슬라이딩시켜 그 측방 위치를 조정하고, 이어 명함거치부(130)에 촬영할 명함(1)을 거치한 다음, 기기거치부(140)를 상방 회전시킨 상태에서 기기거치부(140)의 거치홈(141)에 휴대용 전자기기(2)를 꽂아주게 되며, 이어 휴대용 전자기기(2)에 탑재된 카메라(3)를 조작하여 카메라 전방의 명함(1)을 촬영하게 된다.
이때, 명함(1)과 전자기기(2)가 서로 평행한 상태이면서 카메라(3)가 명함의 중앙을 수직으로 향하는 상태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므로, 조명이 사용자의 손이나 팔 또는 전자기기에 의해 가려져서 명함이 어둡게 촬영되거나 명함과 전자기기가 평행하지 않은 상태로 촬영되어 이미지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손 떨림에 의한 이미지 왜곡이 없는 우수한 명함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정확한 거리 및 방향(각도), 위치에서 흔들림 없이 명함을 촬영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종래와 같은 촬영 오류나 문자 인식 오류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여러 장의 명함(1)을 동시에 명함거치부(130)에 올려놓고, 전자기기(2)의 카메라(3)를 연속 촬영 모드로 설정한 뒤, 명함거치부(130)에서 명함(1)을 한 장씩 빼내면서 촬영할 경우, 기존 수작업으로 촬영하는 방식에 비해 빠른 시간 내 명함 촬영 및 인식을 할 수 있다.
1 : 명함 2 : 휴대용 전자기기
3 : 카메라 100 : 명함 촬영용 거치대
110 : 덮개판 120 : 지지판
130 : 명함거치부 140 : 기기거치부

Claims (8)

  1. 지지판(120)과;
    상기 지지판(120)에 힌지 결합되고, 지지판(120)과의 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개폐되는 덮개판(110)과;
    상기 덮개판(11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명함(1)이 거치되는 명함거치부(130)와;
    상기 지지판(120)에 결합되어 휴대용 전자기기(2)가 거치되는 기기거치부(140);
    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판(110)이 지지판(120)에서 최대 열림 위치로 상방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명함거치부(130)에 거치된 명함(1)과 상기 기기거치부(140)에 거치된 휴대용 전자기기(2)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휴대용 전자기기(2)의 카메라(3)로 명함(1)이 촬영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110)은 지지판(120)의 일단부에, 상기 기기거치부(140)는 지지판(120)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120)은 좌우 양 측면부(121)가 형성된 판상의 구조물로 구비되어, 지지판(120)의 좌우 양 측면부(121)가 덮개판(110)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명함거치부(130)가 넣어지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명함거치부(130)의 좌우 양 측면부(131) 외측면에는 덮개판(110)을 닫았을 때 지지판(120)의 측면부(121) 내측면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압착되어 고정되는 압착돌기(13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명함거치부(130)는 하면부(132)와 좌우 양 측면부(131)가 형성된 판상의 구조물로 구비되어, 상기 하면부(132)와 좌우 양 측면부(131)가 형성하는 수납공간에 복수의 명함(1)이 겹쳐진 상태로 수납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110)과 지지판(120)의 힌지결합부에서, 상기 덮개판(110)의 결합부(111)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13)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120)에는 덮개판(110)이 최대 열림 위치에서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덮개판(110)의 돌출부(113)가 걸리어 지지되는 제1지지단(123)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명함거치부(130)는 덮개판(110)의 내측면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레일구조물로 결합되어, 덮개판(110) 안쪽으로 완전히 들어온 최대 삽입 위치와, 덮개판(110) 측방으로 최대 돌출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기거치부(140)는 지지판(12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휴대용 전자기기(2)가 꽂아질 수 있는 거치홈(14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
  8. 청구항 1,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덮개판(110)이 최대 열림 위치로 회전된 상태일 때 명함거치부(130)에 거치된 명함(1)과 기기거치부(140)에 거치된 휴대용 전자기기(2)가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
KR2020130000684U 2013-01-25 2013-01-25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 KR201300021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684U KR20130002118U (ko) 2013-01-25 2013-01-25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684U KR20130002118U (ko) 2013-01-25 2013-01-25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931 Division 2011-08-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118U true KR20130002118U (ko) 2013-04-03

Family

ID=5242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684U KR20130002118U (ko) 2013-01-25 2013-01-25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118U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9780A (zh) * 2014-07-25 2014-10-01 滁州华尊电气科技有限公司 改进型便携式拍照架
CN104092878A (zh) * 2014-07-25 2014-10-08 滁州品之达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型文件架
CN104104832A (zh) * 2014-07-25 2014-10-15 滁州华尊电气科技有限公司 组合型便携式拍照架
CN104104840A (zh) * 2014-07-25 2014-10-15 滁州品之达电器科技有限公司 可调式拍摄架
CN104113667A (zh) * 2014-07-25 2014-10-22 滁州开关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型壁挂可调式扫描仪
WO2018151572A1 (ko) * 2017-02-20 2018-08-23 주식회사 비유비유 식별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20180003024U (ko) * 2018-10-01 2018-10-19 주식회사 비유비유 식별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장치
WO2021100241A1 (ja) * 2019-11-21 2021-05-27 株式会社オリィ研究所 携帯情報端末用ケース及び名刺管理システ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79780A (zh) * 2014-07-25 2014-10-01 滁州华尊电气科技有限公司 改进型便携式拍照架
CN104092878A (zh) * 2014-07-25 2014-10-08 滁州品之达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组合型文件架
CN104104832A (zh) * 2014-07-25 2014-10-15 滁州华尊电气科技有限公司 组合型便携式拍照架
CN104104840A (zh) * 2014-07-25 2014-10-15 滁州品之达电器科技有限公司 可调式拍摄架
CN104113667A (zh) * 2014-07-25 2014-10-22 滁州开关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型壁挂可调式扫描仪
WO2018151572A1 (ko) * 2017-02-20 2018-08-23 주식회사 비유비유 식별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20180003024U (ko) * 2018-10-01 2018-10-19 주식회사 비유비유 식별카드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장치
WO2021100241A1 (ja) * 2019-11-21 2021-05-27 株式会社オリィ研究所 携帯情報端末用ケース及び名刺管理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2118U (ko) 명함 촬영 및 정보 입력을 위한 거치대
US9615005B1 (en) IC (InCognito) camera
KR20060040025A (ko) 홀더부가 개폐되는 촬상장치
CN215379051U (zh) 一种电子设备
JP579674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TWI382298B (zh) 可架設於筆記型電腦之名片盒
TWM449975U (zh) 自動拍攝文件之裝置
KR20150025536A (ko) 다기능 촬영 카메라렌즈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CN108810387B (zh) 多功能摄像头
JP2002077684A (ja) カメラユニット及び携帯電子機器
JP2004199141A (ja) 記号認識装置及び記号認識方法
JP6207060B2 (ja) 名刺管理用補助具
JP5382808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4274096A (ja) 携帯端末装置
JP3995625B2 (ja) 携帯型無線端末機
TW201009720A (en) A method for using image capture device to get images of documents
JP4584442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TWM508859U (zh) 全景影像行動裝置
US7982886B2 (en) Document fixer
TWI399608B (zh) 外接鏡頭裝置以及架設外接鏡頭之方法
KR100705016B1 (ko) 카메라용 삼각대에 탈부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그네틱타입 체결장치
JP4515234B2 (ja) 携帯情報端末
JP4809462B2 (ja) 携帯端末装置
TWI558205B (zh) 全景影像行動裝置與拍攝方法
TWI419538B (zh) 行動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