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082U - 기능성 분리형 시트 - Google Patents
기능성 분리형 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2082U KR20130002082U KR2020110009233U KR20110009233U KR20130002082U KR 20130002082 U KR20130002082 U KR 20130002082U KR 2020110009233 U KR2020110009233 U KR 2020110009233U KR 20110009233 U KR20110009233 U KR 20110009233U KR 20130002082 U KR20130002082 U KR 2013000208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oupled
- spherical
- coupling
- she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분리형 시트는 분리된 좌, 우측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를 구성하는 각 지지대를 지지하기 위해 수평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구형 결합공 중 하나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구형 결합공에 결합되는 구체 결합구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구체 결합구로부터 측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구체 결합구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구형 결합공에 상하, 좌우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절 아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절 아암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구체 결합구의 외면에는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상기 구체 결합구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조임쇠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기능성 분리형 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로 분리된 시트부분을 사용자에 따라 그 시트위치 및 간격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의 시트 또는 자전거의 안장시트는 하나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일 시트(11)로 구성된 의자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그런데, 도1과 같이 의자본체 수직프레임(12)의 상부에 결합된 단일 시트(11)로 구성된 의자 또는 자전거에서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작업을 하거나 자전거에 앉아 장시간 주행할 경우, 시트에 접촉되는 둔부(hip), 생식기와 허벅지 등의 신체부위가 시트와 밀착되어 눌림에 따른 압박으로 관련 신체부위의 혈액순환을 어렵게 함으로써 전립선 등 생식기 부위의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발한(發汗) 등으로 인한 불편함이 증가하여 장시간 착석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에 따라 다수개로 분리된 시트의 위치 및 간격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분리형 시트는 분리된 좌, 우측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를 구성하는 각 지지대를 지지하기 위해 수평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구형 결합공 중 하나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구형 결합공에 결합되는 구체 결합구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구체 결합구로부터 측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구체 결합구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구형 결합공에 상하, 좌우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절 아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절 아암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구체 결합구의 외면에는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상기 구체 결합구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조임쇠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조임쇠는 상기 구체 결합구의 결합홈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시트부의 좌, 우측 지지대를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프링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시트부의 좌, 우측 지지대에는 그 저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부재에 결합지지되는 롤링볼이 더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부재는 스프링의 굵기가 하부로 갈수록 굵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의 외측에는 스프링부재를 감싸는 보호부재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는 길이가 서로 다른 다수의 스프링이 중첩 배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스프링의 외측에는 스프링을 감싸는 보호부재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관절 아암의 내부에 형성되는 안내공에 삽입되어 상기 관절 아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각 지지대가 상기 이동바의 상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절 아암에는 상기 이동바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관절 아암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동바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이동바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절 아암에는 상기 이동바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고정나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동바에는 랙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절 아암에는 상기 랙기어부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바가 이동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트부를 구성하는 좌, 우측 지지대의 상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는 바닥을 관통하는 원추형의 환기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시트부는 둔부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둔부 지지대는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둔부 지지대는 좌, 우측 둔부 지지대로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각 지지대의 저면에는 구형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부에 상기 구형 결합홈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체 결합구 부재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구체 결합구 부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다리부로 구성되는 관절 다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관절 다리의 구체 결합구 부재의 외면에는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지지대의 저면에는 상기 구체 결합구 부재의 외면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 중 하나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관절 다리의 다리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는 각 지지대를 탄성지지하기 위해 상기 관절 다리의 다리부를 둘러싸는 스프링부재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의 외측에는 스프링부재를 감싸는 보호부재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관절 다리의 다리부의 하부에는 볼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볼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관절 다리의 다리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내부에 형성되는 수직안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는 각 지지대를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프링부재가 구비되며, 수직안내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수직안내부재의 삽입홈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에 따라 시트부를 구성하는 분리된 각 지지대의 전후방 위치 및 높낮이와, 그 간격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구조에 맞도록 시트구조를 최적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시트와 밀착되어 발생되는 생식기 부위의 혈액순환장애를 방지하여 관련 신체부위의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발한의 감소 및 둔부의 불편함을 제거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시트가 적용된 예인 의자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의 평면도이며,
도3은 도2에서 일부 확대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의 일부분의 종단면도이고,
도5는 시트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6은 도4에서 이동바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7 및 도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를 가지는 시트들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9 및 도10은 시트부를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에서 이동바가 생략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1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일부분의 종단면도이고,
도13은 도12에서 지지부재가 회동되었을 때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14는 도13에서 일부 확대도이고,
도15는 도12에서 시트부와 지지부재의 결합구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16은 도12에서 시트부와 지지부재의 결합구조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의 평면도이며,
도3은 도2에서 일부 확대도이고,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의 일부분의 종단면도이고,
도5는 시트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6은 도4에서 이동바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7 및 도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를 가지는 시트들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9 및 도10은 시트부를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에서 이동바가 생략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1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일부분의 종단면도이고,
도13은 도12에서 지지부재가 회동되었을 때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14는 도13에서 일부 확대도이고,
도15는 도12에서 시트부와 지지부재의 결합구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16은 도12에서 시트부와 지지부재의 결합구조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분리형 시트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평면도이고, 도3은 도2의 일부확대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의 일부분의 종단면도이며, 도5는 시트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6은 도4에서 이동바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7 및 도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트부를 가지는 시트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9 및 도10은 시트부를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분리형 시트는 다수개로 분리된 지지대(111, 112, 113)를 포함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분리된 각 지지대(111, 112, 113)를 지지하기 위해 수평프레임(120)에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프레임(120)에는 다수의 지지부재(130)가 결합되기 위해 그 측면에 다수의 결합공(122)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122)은 후술할 지지부재(130)의 관절아암(131)의 구체 결합구(132)가 결합되기 위해 구형 결합공(122)으로 이루어진다. 구형 결합공(122)의 입구는 관절 아암(131)의 구체 결합구(13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구형 결합공(122)의 입구 주변에는 구체 결합구(132)의 결합홈(133)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조임쇠(123)가 구비된다. 조임쇠(123)는 구형 결합공(122)의 입구 주변에 형성되는 삽입공(123a)에 삽입된 후 결합홈(133)에 결합된다. 또한, 수평프레임(120)의 하부에는 의자 본체의 수직프레임 또는 자전거 본체의 수직프레임에 결합되기 위한 수직프레임(121)이 형성된다.
상기 시트부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둔부를 지지하는 둔부 지지대(113)와, 둔부 및 허벅지를 지지하는 좌, 우측 지지대(111, 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시트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둔부 지지대(113) 및 좌, 우측 지지대(111, 112)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혈액순환을 도모하기 위해 도5에서와 같이 다수의 돌기(111a)가 형성되며, 또한 공기가 잘 통하게 하여 땀이 차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돌기(111a)에는 바닥을 관통하는 원추형의 환기공(111b)이 형성된다. 환기공(111b)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원추형으로 이루어져 공기가 더욱 잘 통하게 한다.
각각의 둔부 지지대(113) 및 좌, 우측 지지대(111, 11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30)는 수평프레임(120)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시트부의 좌, 우측 지지대(111, 112) 및 둔부 지지대(113)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각 지지부재(130)는 동일하게 이루어져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지지대(11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3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지지부재(130)는 수평프레임(120)에 상하, 좌우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절 아암(131)과, 이 관절 아암(131)에 인입, 인출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바(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관절 아암(131)은 그 일단이 수평프레임(120)에 결합되어 수평프레임(120)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관절 아암(131)의 일단에는 수평프레임(120)의 구형 결합공(122)에 결합되는 구체(spherical) 결합구(132)가 형성되어 이 구체 결합구(132)가 수평프레임(120)의 측면에 형성되는 구형 결합공(122)에 상하, 좌우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관절 아암(131)을 상하, 좌우 회동시킨 다음 그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구체 결합구(132)의 외면에는 결합홈(133)이 세로 및 가로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수평프레임의 조임쇠(123)가 결합홈(133) 중 하나에 결합된다. 관절 아암(131)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조임쇠(123)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결합홈(13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동바(140)는 이동바(140)의 상면 일측에 지지되는 각 지지대(111, 112, 113)를 관절 아암(13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관절 아암(131)의 타단에서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형성된 안내공(135)에 삽입되어 관절 아암(13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바(140)는 관절 아암(131)으로부터 인입, 인출된 다음 그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관절 아암(131)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134a)에 결합되는 고정나사(134)가 관절 아암(131)에 구비된다. 따라서,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삽입공(134a)에 이 고정나사(134)를 나사결합시켜 이동바(14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이동바(140)의 위치를 고정하는 다른 예로서, 도6에서와 같이 이동바(14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다수의 삽입홈(140a)이 형성되어 고정나사(134)를 삽입홈(140a) 중 하나에 결합시켜 이동바(14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고, 삽입홈(140a)의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고정나사(134)와 나사결합시켜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6은 이동바(14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이동바(140)의 하부에 랙기어부(141)가 형성되고, 랙기어부(141)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부(142)가 관절 아암(131)에 형성되어 피니언기어부(142)의 손잡이(미도시)를 회전시켜 이동바(140)를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이동바(140)의 상면에는 각 지지대(111, 112, 113)를 탄성지지하기 위해 스프링부재(150)가 결합되고, 이 스프링부재(150)의 상부에는 각 지지대(111, 112, 113)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홈(111c)에 삽입되는 롤링볼(151)이 결합되어 스프링부재(15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삽입홈(111c)의 하부에는 롤링볼(151)의 빠짐을 방지하는 고무링(111d)이 형성된다. 스프링부재(150)는 도9에서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스프링의 굵기가 굵게 형성되어 스프링의 변위가 증가할수록 탄성계수가 커져 스프링의 강도가 점차 강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의자 시트나 자전거 안장시트에 사용되는 스프링의 경우에는 스프링의 강도가 일정하고 특히 자전거 안장시트는 그 강도가 강한 스프링이 채용되어 안전하기는 하나 착석자의 둔부에 미치는 완충작용이 미흡하게 되었는데, 본 고안에서의 스프링부재(150)는 하부로 갈수록 스프링의 굵기가 굵게 형성됨으로써 상부에서는 강도가 약하고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그 강도가 점차 강해져 완충작용이 뛰어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스프링부재(150)의 외측에는 스프링부재(150)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서 스프링부재의 기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스프링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보호부재(152)가 형성되고, 이의 재질로서는 스프링의 압축에 따라 변형될 수 있도록 직물, 부직포 또는 가죽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스프링부재(15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10에 도시되어 있다. 도10에서의 스프링부재(150)는 길이가 서로 다른 스프링(150a, 150b, 150c)이 중첩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 스프링부재(150)는 길이가 가장 긴 스프링(150a) 내에 길이가 작은 스프링(150b)이 배치되고, 중간에 배치되는 스프링(150b) 내에 다시 이보다 길이가 작은 스프링(150c)이 배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도10에 도시된 스프링부재(150) 또한 압축되면서 전체 스프링부재(150)의 탄성계수가 증가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스프링(150a, 150b, 150c)의 외측에는 도9에서와 같은 보호부재(152)가 형성되어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는 것 외에 각각의 스프링(150a, 150b, 150c)이 서로 접촉되어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각 지지대(111, 112, 11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30)가 수평프레임(120)에 결합되는 관절 아암(131)과 이동바(140)로 구성되고, 이동바(140)에 각 지지대(111, 112, 113)가 결합되었으나, 이의 변형예로서 이동바(140)가 생략되어 지지부재(130)가 관절 아암(131)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도11에 도시하였다. 따라서, 도11에서는 각 지지대(111, 112, 113)가 관절 아암(131)에 직접 결합되고, 이를 위해 스프링부재(150)가 관절 아암(131)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어 시트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지지대(111, 112, 113)가 지지되는 것으로, 이동바(140)의 이동에 따른 좌, 우측 지지대(11, 112)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 외에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분리형 시트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본 고안은 시트부를 구성하는 각 부분을 사용자의 신체구조에 맞도록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시트부의 좌,우측 지지대(111, 112) 또는 둔부 지지대(113)의 높이를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관절 아암(131)을 도4에서 위쪽으로 회동시킨 다음 다수의 결합홈(133) 중 하나에 조임쇠(123)를 결합시켜 관절 아암(131)을 고정시킨다. 이러한 본 고안의 상하 높이 조정기능은 본 고안의 시트가 의자에 사용될 경우 각 지지대의 높낮이 및 그 간격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구조에 맞도록 시트구조를 최적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좌, 우측 지지대(111, 112)를 도2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그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관절 아암(131)을 수평상태에서 좌,우로 회동시키고 원하는 위치에서 마찬가지방식으로 구체 결합구(132)의 다수의 결합홈(133) 중 하나에 조임쇠(123)를 결합시켜 그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 때 고정하는 조임쇠는 기존의 상하 회동시 사용된 조임쇠(123)를 사용할 수도 있고 측면에 구비된 별도의 조임쇠(123)가 추가되어 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좌우 회동기능은 특히 자전거에 적용될 경우 유용한데, 자전거에 비해 체구가 작거나 큰 사람의 경우 둔부가 자전거의 안장시트에 정확하게 안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본 고안의 시트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둔부에 정확하게 시트를 위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내용에서 상하, 좌우회동을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상하, 및 좌우회동을 한번에 한 다음 조임쇠(123)를 원하는 결합홈(133)에 결합시켜 지지대(111, 112, 11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좌, 우측 지지대(111, 112)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시킨 경우에는 좌, 우측 지지대(111, 112)의 위치가 수평위치에서 경사지거나 전방에서 볼 때 바르지 못하고 틀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좌, 우측 지지대(111, 112)가 롤링볼(15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되므로 수평으로 위치시키거나 바르게 정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관절 아암(131)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좌, 우측 지지대(111, 112)의 간격을 조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동바(140)를 이동시켜 추가적으로 좌, 우측 지지대(111, 112)의 간격을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도록 조정할 수 있게 되며, 둔부 지지대(113) 또한 상기 좌, 우측 지지대(111, 112)와 연동하여 그 위치를 사용자에 맞도록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둔부가 작은 여성의 경우에는 좌, 우측 지지대(111, 112) 및 둔부 지지대(113)를 위쪽으로 회동시켜 그 간격을 좁힐 수 있음과 동시에 시트부의 높이를 올릴 수 있으며, 반대로 둔부가 큰 사용자의 경우에는 아래로 회동시켜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기능성 분리형 시트는 분리된 시트부분의 상하회동만으로 높이를 조절함과 동시에 그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7 및 도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7은 둔부 지지대(113)를 좌, 우측 둔부 지지대(113a, 113b)로 나누어서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도7에 도시된 시트는 둔부 지지대(113)가 좌, 우측 둔부 지지대(113a, 113b)로 나뉘어져 형성됨으로써 둔부의 사이즈가 비대칭인 사용자에게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좌, 우측 둔부 지지대(113a, 113b)에서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안착홈(113c)이 각각 형성되고, 좌, 우측 둔부 지지대(113a, 113b) 또한, 상기 지지부재(130)와 동일한 구성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도8은 좌, 우측 지지대(111, 112)의 앞쪽에 또 다른 전방 좌, 우측 지지대(114, 115)가 추가된 시트로서, 마찬가지로 다양한 신체사이즈를 가진 사용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맞도록 보다 세밀한 시트부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분리형 시트는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시트부가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각 분리된 시트부분의 위치 및 간격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신체 사이즈가 다른 사람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시트부가 다수개로 이루어져 시트와의 밀착면적을 줄임으로써 시트와 밀착되어 발생되는 생식기 부위의 혈액순환장애를 방지하여 관련 신체부위의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발한의 감소 및 둔부의 불편함을 제거하여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 시트부의 구성은 좌, 우측 지지대(111, 112) 외에 둔부 지지대(113)가 별도로 구성되었으나, 둔부 지지대(113) 없이 좌, 우측 지지대(111, 112)가 둔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분리형 시트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일부분의 종단면도이고, 도13은 도12에서 지지부재가 회동되었을 때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14는 도13에서 일부 확대도이고, 도15는 도12에서 시트부와 지지부재의 결합구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16은 도12에서 시트부와 지지부재의 결합구조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분리형 시트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시트부가 지지부재(130)와 결합되는 구조가 제1실시예와 다르다는 것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분리형 시트는 시트부를 구성하는 각 지지대(111, 112, 113)와 지지부재(130)를 결합하기 위한 관절 다리(160)를 구비하고, 이를 위해 각 지지대(111, 112, 113)의 저면에는 구형 결합홈(111e)이 형성되고, 구형 결합홈(111e)의 입구는 후술할 관절 다리(160)의 구체 결합구 부재(16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구형 결합홈(111e)의 입구 주변에는 관절 다리(160)의 구체 결합구 부재(161)의 고정홈(161a)에 결합되는 고정나사(111f)가 구비되는데, 고정나사(111f)는 구형 결합홈(111e)의 입구 주변에 형성되는 삽입공(미도시)에 삽입된 다음 구체 결합구 부재(161)의 고정홈(161a)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관절 다리(160)는 상부에 형성되는 구체 결합구 부재(161)와 하부에 형성되는 다리부(162)로 구성되고, 구체 결합구 부재(161)는 각 지지대(111, 112, 113)의 저면에 형성되는 구형 결합홈(111e) 내부에 삽입 결합되어 구형 결합홈(111e) 내에서 일정 각도만큼 회동가능하게 되어 각 지지대(111, 112, 113)의 상면각도가 자유자재로 조절가능하게 되는데, 도13에서와 같이 지지부재(130)를 상하, 또는 좌우로 회동시킨 경우에는 좌, 우측 지지대(111, 112)가 수평위치에서 경사지거나 전방에서 볼 때 바르지 못하고 틀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에 관절 다리(160)의 구체 결합구 부재(161)가 구형 결합홈(111e) 내에서 일정각도 회동가능하게 되므로 수평으로 위치시키거나 바르게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지지대(111, 112, 113)의 원하는 상면각도를 조정한 후 각 지지대(111, 112, 113)를 고정하기 위해 구체 결합구 부재(161)의 외면에는 고정나사(111f)가 삽입되는 고정홈(161a)이 다수개 형성되고, 고정홈(161a)의 내주면에는 고정나사(111f)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기 위해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고정홈(161a)은 도면에서 편의상 종단면도에서 세로로 배열되는 것만 도시하였으나, 가로방향으로도 다수 개가 형성된다.
구체 결합구 부재(161)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리부(162)는 지지부재(130)의 이동바(140)에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다리부(162)의 하부는 이동바(140)에 세로로 형성된 삽입공(143)에 삽입되고 다리부(162)의 하단에는 볼트부(162a)가 형성되어 이동바(140)의 저면에 배치되는 너트부(163)와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관절 다리(160)의 외측에는 스프링부재(150) 및 보호부재(152)가 구비되는데, 스프링부재(150)는 그 하단이 이동바(140)의 상면에 지지되고, 상단은 구체 결합구 부재(161)의 하부를 지지하여 각 지지대(111, 112, 113)를 탄성지지하게 된다. 제2실시예에서의 스프링부재(150) 및 보호부재(152)는 도9 및 도10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스프링부재(150) 및 보호부재(152)와 동일하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제2실시예의 기능성 분리형 시트의 작동을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시트부의 좌,우측 지지대(111, 112) 또는 둔부 지지대(113)의 높이를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관절 아암(131)을 도13에서와 같이 위쪽으로 회동시킨 다음 구체 결합구(132)의 다수의 결합홈(133) 중 하나에 조임쇠(123)를 결합시켜 관절 아암(131)을 고정시킨다. 이 때 이동바(140)와 평행하게 결합된 시트부의 각 지지대(111, 112, 113)는 안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는데, 각 지지대(111, 112, 113)를 수평상태로 유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나사(111f)를 구체 결합구 부재(161)의 고정홈(161a)으로부터 이탈시키고, 각 지지대(111, 112, 113)를 원하는 상면각도를 맞춘 다음 다시 고정나사(111f)를 고정홈(161a) 중 하나에 결합시켜 각 지지대(111, 112, 113)를 수평상태로 고정하게 된다. 또한, 좌, 우측 지지대(111, 112)가 도2에서와 같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그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도 관절 아암(131)을 수평상태에서 좌,우로 회동시키고 원하는 위치에서 마찬가지방식으로 구체 결합구(132)의 다수의 결합홈(133) 중 하나에 조임쇠(123)를 결합시켜 그 위치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 때 좌, 우측 지지대(111, 112)가 관절 아암(131)을 따라 같이 회동되어 전방에서 볼 때 바르게 정렬되지 못하고 틀어지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각 지지대(111, 112)를 수평상태에서 바르게 정렬시킨 후 고정나사(111f)를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161a) 중 하나에 결합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그 외 구성 및 기능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도15는 제2실시예에서 관절 다리(160)가 지지부재(130)의 이동바(140)와 결합되는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5에서는 관절 다리(160)의 다리부(162)가 이동바(140)에 결합되기 위해 이동바(140)의 상측에는 내부에 삽입홈(144a)이 형성되는 수직안내부재(144)가 형성되고, 이 수직안내부재(144)의 삽입홈(144a) 내에 관절 다리(160)의 다리부(162)가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수직안내부재(144)의 삽입홈(144a) 내로 관절 다리(160)의 다리부(162)가 하강하면서 삽입홈(144a) 내의 공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유출되도록 수직안내부재(144)의 하부에는 삽입홈(144a)과 연통되는 통공(144b)이 형성된다. 이동바(140)의 상면에는 도12에서와 같이 각 지지대(111, 112, 113)를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프링부재(150) 및 보호부재(152)가 구비된다.
또한, 도16은 제2실시예에서 지지부재(130)가 이동바(140) 없이 관절 아암(131)으로 구성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관절 다리(160)가 직접 관절 아암(131)에 결합되는 것이다. 즉, 관절 다리(160)의 다리부(162)가 관절 아암(131)에 형성된 삽입공(131a)에 삽입되어 결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의자 또는 자전거 등 여러 가지 시트에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좌,우측 지지대 외에 둔부 지지대를 부가하였으나, 둔부 지지대 없이 좌, 우측 지지대가 둔부를 지지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며,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1, 112 : 좌,우측 지지대 111e : 구형 결합홈
113 : 둔부 지지대 120 : 수평 프레임
122 : 구형 결합공 130 : 지지부재
131 : 관절 아암 132 : 구체 결합구
140 : 이동바 150 : 스프링부재
151 : 롤링볼 160 : 관절 다리
113 : 둔부 지지대 120 : 수평 프레임
122 : 구형 결합공 130 : 지지부재
131 : 관절 아암 132 : 구체 결합구
140 : 이동바 150 : 스프링부재
151 : 롤링볼 160 : 관절 다리
Claims (20)
- 분리된 좌, 우측 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를 구성하는 각 지지대를 지지하기 위해 수평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구형 결합공 중 하나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구형 결합공에 결합되는 구체 결합구가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구체 결합구로부터 측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구체 결합구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구형 결합공에 상하, 좌우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관절 아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절 아암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구체 결합구의 외면에는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에는 상기 구체 결합구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조임쇠가 구비되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쇠는 상기 구체 결합구의 결합홈에 나사결합되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시트부의 좌, 우측 지지대를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프링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시트부의 좌, 우측 지지대에는 그 저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스프링부재에 결합지지되는 롤링볼이 더 구비되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스프링의 굵기가 하부로 갈수록 굵어지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의 외측에는 스프링부재를 감싸는 보호부재가 더 구비되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길이가 서로 다른 다수의 스프링이 중첩 배치되어 구성되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스프링의 외측에는 스프링을 감싸는 보호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관절 아암의 내부에 형성되는 안내공에 삽입되어 상기 관절 아암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져 각 지지대가 상기 이동바의 상면에 지지되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아암에는 상기 이동바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관절 아암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가 구비되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이동바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관절 아암에는 상기 이동바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고정나사가 구비되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에는 랙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절 아암에는 상기 랙기어부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바가 이동가능하게 되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를 구성하는 좌, 우측 지지대의 상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는 바닥을 관통하는 원추형의 환기공이 형성되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좌, 우측 둔부 지지대로 구성되는 둔부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 우측 둔부 지지대는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대의 저면에는 구형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부에 상기 구형 결합홈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체 결합구 부재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구체 결합구 부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다리부로 구성되는 관절 다리가 구비되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다리의 구체 결합구 부재의 외면에는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각 지지대의 저면에는 상기 구체 결합구 부재의 외면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홈 중 하나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가 구비되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관절 다리의 다리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는 각 지지대를 탄성지지하기 위해 상기 관절 다리의 다리부를 둘러싸는 스프링부재가 더 구비되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의 외측에는 스프링부재를 감싸는 보호부재가 더 구비되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다리의 다리부의 하부에는 볼트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볼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가 배치되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관절 다리의 다리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내부에 형성되는 수직안내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는 각 지지대를 탄성지지하기 위한 스프링부재가 구비되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안내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수직안내부재의 삽입홈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기능성 분리형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008583 | 2011-09-23 | ||
KR2020110008583 | 2011-09-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2082U true KR20130002082U (ko) | 2013-04-02 |
KR200466195Y1 KR200466195Y1 (ko) | 2013-04-03 |
Family
ID=51386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9233U KR200466195Y1 (ko) | 2011-09-23 | 2011-10-17 | 기능성 분리형 시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6195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49447A (zh) * | 2019-01-22 | 2020-07-28 | 北京联蓬机电技术有限公司 | 坐垫、座椅以及针对健身的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6370Y1 (ko) | 2001-11-13 | 2002-05-21 | 신석주 | 자전거 안장 |
KR100614305B1 (ko) | 2003-10-28 | 2006-08-18 | (주)중원자전거 | 자전거 안장 |
US20060238008A1 (en) | 2005-04-08 | 2006-10-26 | Baranov Michael V | Chair for spinal deceases prevention and treatment |
KR100702213B1 (ko) | 2006-12-22 | 2007-04-03 | 박종근 | 의자용 좌판 |
-
2011
- 2011-10-17 KR KR2020110009233U patent/KR20046619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449447A (zh) * | 2019-01-22 | 2020-07-28 | 北京联蓬机电技术有限公司 | 坐垫、座椅以及针对健身的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6195Y1 (ko) | 2013-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540420B (zh) | 用于保护脊椎和腰部的椅子 | |
JP2010505507A5 (ko) | ||
JP4875304B2 (ja) | 椅子 | |
CN101166443B (zh) | 座椅家具,特别是办公椅 | |
CN106108451A (zh) | 一种坐垫可拆卸式靠背可调节学生椅 | |
CN207613489U (zh) | 一种椅背结构及办公椅 | |
KR101388963B1 (ko) | 사용자 맞춤형 시트장치 | |
KR200466195Y1 (ko) | 기능성 분리형 시트 | |
KR102017988B1 (ko) | 둔부에 착용하는 자기체중을 이용한 요추지지 및 조절가능한 착석자세 자동 교정장치 | |
CN102407792A (zh) | 具有保持人的就座位置的功能的座椅装置 | |
CN201550921U (zh) | 座椅 | |
KR102004312B1 (ko) | 이중 관절식 등받이 구조를 갖는 스트레칭용 의자 | |
CN105768668A (zh) | 一种可摇的办公躺椅 | |
JP4800633B2 (ja) | 椅子 | |
CN203262705U (zh) | 一种办公椅 | |
CN201585688U (zh) | 一种可调节靠背的链带休闲椅 | |
CN204092489U (zh) | 一种符合人体工程学的按摩椅靠背架 | |
WO2013103188A1 (ko) | 사용자 맞춤형 시트장치 | |
CN210941457U (zh) | 一种汽车座椅骨架 | |
CN209171807U (zh) | 一种便于调节坐姿的儿童座椅 | |
KR101069769B1 (ko) | 의자 | |
CN221635401U (zh) | 一种舒适型儿童布椅 | |
CN203852067U (zh) | 畅躺式多功能座椅 | |
CN203852068U (zh) | 畅躺式多功能座椅的阻挡双膝机构 | |
CN205144040U (zh) | 一种新型座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