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370Y1 - 자전거 안장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370Y1
KR200276370Y1 KR2020010034794U KR20010034794U KR200276370Y1 KR 200276370 Y1 KR200276370 Y1 KR 200276370Y1 KR 2020010034794 U KR2020010034794 U KR 2020010034794U KR 20010034794 U KR20010034794 U KR 20010034794U KR 200276370 Y1 KR200276370 Y1 KR 200276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bicycle
pedal
housing
ball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석주
Original Assignee
신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석주 filed Critical 신석주
Priority to KR2020010034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3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370Y1/ko

Link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안장을 좌우로 분리형성하고, 페달운동에 따라 신체(엉덩이)를 움직일 때 엉덩이에 밀착된 상태로 각 안장부재가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남성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할 경우 요도부분의 생식기 부분에 심한 압박을 주게 되어서 발기부전 등의 부작용이 야기되기도 하고, 또 여성 사용자들이 오래도록 사용하면 생식기 부분에 계속되는 압박과 마찰로 인하여 불감증 등의 부작용이 야기되는 문제를 해소함과 아울러 자전거 페달을 밟을 때 좌우 독립된 안장이 상하로 자유로이 움직여짐에 따라 밟고자 하는 쪽의 페달에 힘의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자전거의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전거 안장{ A bicycle saddle}
본 고안은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안장을 좌우로 분리형성하고, 페달운동에 따라 신체(엉덩이)의 움직임에 따라서 엉덩이에 밀착된 상태로 각각의 안장이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한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전거 안장 또는 이와 유사한 안장의 구조는 두 다리를 움직여서 자전거 페달을 움직이기에 편리하도록 앞부분을 좁게 하고, 뒷부분은 엉덩이 부분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넓게 형성되어 있다.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 프레임에 스프링 등으로 결합되어 승차시 쿠션을 주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하에서는 탑승자라고 한다)의 몸무게를 지탱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자전거 안장은 보통의 의자 보다 면적이 적고, 양쪽 다리를 움직여서 페달을 돌려야 하기 때문에 다리의 상하 동작을 자유롭게 하기 위하여 안장의 앞쪽은 좁고 뒤쪽은 인체의 하중을 지탱하기 위하여 넓게 되어 있다. 즉 좌골 및 대퇴부 뼈 부분을 받치는 부분과 양쪽 다리사이의 회음부를 받치는 부분이 인체의 형상과 대응되는 반대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하중을 중앙(낭심부)으로 집중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그래서 양쪽 다리 사이의 회음부, 즉 항문과 생식기 등의 인체의 민감한 기관들이 있는 부분까지 하중을 지탱하는 힘이 많이 부하 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그래서 종래의 자전거 안장이 설치된 자전거를 남성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할경우에는 요도부분의 생식기 부분에 심한 압박을 주게 되어서 발기부전 등의 부작용이 야기되기도 하고, 또 여성 사용자들이 오래도록 사용하면 생식기 부분에 계속되는 압박과 마찰로 인하여 불감증 등의 부작용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고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의 목적은 남성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는 요도부분의 생식기 부분에 심한 압박을 주게 되어서 발기부전 등의 부작용이 야기되기도 하고, 또 여성 사용자들이 오래도록 사용하면 생식기 부분에 계속되는 압박과 마찰로 인하여 불감증 등의 부작용이 야기되는 문제를 해소함과 아울러 자전거 페달을 밟을 때 좌우 독립된 안장이 상하로 자유로이 움직여지도록 함으로서 밟고자 하는 쪽의 페달에 힘의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자전거의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자전거 안장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자전거 안장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자전거 안장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전단면도이고 도 4B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장 10a,10b : 안장부재
20a,20b : 브라켓트 21a,21b : 볼베어링
30 : 본체프레임 31 : 지지프레임
32a,32b : 하우징 40 : 스프링부재
50 : 멈춤링 60 : 멈춤핀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자전거 안장에 있어서, 사용자의 엉덩이가 닫는 부위를 엉덩이의 굴곡라인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양쪽으로 대향되게 설치된 안장부재와; 상기 각 안장부재의 저면으로는 끝단에 볼베어링을 일체로 형성한 브라켓트와; T자형 지지프레임의 상단 양 끝단으로는 볼베어링이 삽입 설치되는 하우징을 형성한 본체프레임과; 상기 브라켓트와 하우징의 사이에 탄설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삽입 설치된 볼베어링의 탈거를 방지하는 멈춤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인 자전거 안장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로써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인 자전거 안장(1)은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쳐주면서 동시에 편안함을 제공하는 자전거 안장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받쳐주기 위하여 엉덩이의 굴곡라인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양쪽으로 각각 대향되게 설치된 안장부재(10a,10b)의 저면으로는 끝단에 볼베어링(21a,21b)을 일체로 형성한 브라켓트(20a,20b)가 고정 설치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θ의 각으로 기울러진 T자형 지지프레임(31)의 상단 양 끝단으로는 볼베어링(21a,21b)이 삽입 설치되는 하우징(32a,32b)을 형성한 본체프레임(30)이 자전거 본체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20a,20b)와 하우징(32a,32b) 사이에는 안장부재가 소정의 위치에 놓여지도록 탄설된 스프링부재(40)가 설치되며 하우징에 삽입 설치된 볼베어링(21a,21b)은 멈춤링(50)에 의해 하우징(32a,32b)에서 탈거가 방지되면서 고정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써 자전거 안장에 있어서, 사용자의 엉덩이가 닫는 부위를 엉덩이의 굴곡라인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소정 간격 이격되어 양쪽으로 설치된 안장부재(10a,10b)와; 상기 각 안장부재(10a,10b)의 저면으로는 끝단에 볼베어링(21a,21b)을 일체로 형성한 브라켓트(20a,20b)와; T자형 지지프레임(31)의 상단 양 끝단으로는 볼베어링(21a,21b)이 삽입 설치되어 멈춤링(50)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되게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32a,32b)을 구비한 본체프레임(30)과; 상기 브라켓트(20a,20b)와 하우징(32a,32b)의 사이의 전후방으로는 안장이 평상시에 평행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설된 스프링부재(40)와; 상기 하우징(32a,32b)의 측면에 형성된 통공(33)을 관통하여 볼베어링의 좌우이동을 제한하는 멈춤핀(60)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2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본체 프레임에 삽입 설치된 본 고안인 안장(1)에 올라 앉아 페달을 밟고 자전거를 진행시킬 때 페달을 천천히 밟았을 때와 빨리 밟았을 때를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초기 안장부재(10a,10b)의 설치 형태는 지지프레임(31)의 상부가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직교하는 자전거 본체에 대하여 θ각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안장부재(10a,10b)도 스프링부재(40)에 의하여 θ만큼 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의 안장부재(10a,10b)에 사용자가 앉게 되면 안장부재(10a,10b)의 뒷부분이 엉덩이에 의해 눌려지게 되면서 도면부호 "a"라는 각도로 브라켓트(20a,20b)에 고정된 볼베어링(21a,21b)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지면과 평행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32a,32b)과 브라켓트(20a,20b)를 연결하고 있는 스프링부재(40)의 후방은 압축이 되고 전방은 인장이 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안장(1)에 앉은 상태에서 서서히 페달을 밟을 때 종래에는 안장의 앞부분과 대퇴부의 안쪽부분이 습동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고안에서는 안장부재(10a)와 안장부재(10b)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지면과 사용자가 직각을 이루어서 안장에 작용하는 힘의 분포가 균일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안장이 평행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안장의 사용목적인 사용자의 편안함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천천히 주행할 시 불규칙한 노면 예컨데, 바운딩시 종래의 안장구조에 있어서는 그 충격이 안장에 앉아 있는 사용자 신체에 전달되어 안장(1)과 신체가 부딪히게 되어 낭심이 충격을 받게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안장은 안장을 구성함에 있어서 안장을 안장부재(10a,10b)로 2등분하여 중앙에 공간부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양측에 설치함으로서 낭심이 위치하는 부위가 공간이 되기 때문에 안장과 낭심과의 접촉을 방지하므로 충격전달을 방지함으로서 불규칙한 노면의 주행시 전달되는 충격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자전거의 주행속도를 가하기 위해서 페달을 빠르게 밟으면 신체의 중심이 일측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저항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 신체(상체)를 전방향으로 숙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페달을 밟으면 안장부재(10a,10b)가 자유회동(360°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신체의 중심이 일측방향으로 이동되어도 안장이 사용자의 엉덩이 굴곡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엉덩이를 안장에서 완전히 이탈시키지 않을 때를 제외하고 엉덩이를 항상 받쳐주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2a,32b)에 삽입 설치된 볼베어링(21a,21b)이 유동하려고 할 때 하우징(32a,32b)의 측방에 형성된 통공(33)을 관통하여 볼베어링(21a,21b) 중심부보다 L1의 간격만큼 상부에 설치되어 볼베어링(21a,21b)의 선단부까지 끼워진 멈춤핀(60)에 의해 볼베어링(21a,21b)이 좌우로 움직이지 못함으로 안장부재(10a,10b)가 좌우이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체를 전방으로 숙여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시킴으로서 자전거 속도를 증가시키고자 할 때에는 첨부도면 도 2내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의 중심 또한 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안장에 받쳐져 있던 엉덩이가 들어 올려지게 되고 반대로 중심 이동된 신체가 안장부재(10a,10b)의 앞부분을 가압하게 된다. 예컨데 힘의 중심이 이동됨으로 안장부재(10a,10b)는 스프링부재(40)에 의해 엉덩이에 밀착된 상태 그대로 엉덩이와 같이 최초의 위치인 "a"만큼 하강 이동되어 복원되면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최하 이동점에서 최대 이동점 까지의 행정을 설명하고 있으나 자전거의 진행속도를 빠르게 구가하기 위하여 페달을 밟을 때 상체가 어느 만큼 기울이지는 야에 따라 엉덩이의 뒷부분이 들어 올려지는 가에 의해서 안장부재(10a,10b)의 이동거리도 달라진다 다시말하여 엉덩이의 이동과 안장부재의 이동은 항상 밀착된 상태에서 같이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본 고안의 안장은 안장을 좌우로 분리형성하고, 페달운동에 따라 신체(엉덩이)의 유동시 엉덩이에 밀착된 상태로 각 안장부재의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여 남성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는 요도부분의 생식기 부분에 심한 압박을 주게 되어서 발기부전 등의 부작용이 야기되기도 하고, 또 여성 사용자들이 오래도록 사용하면 생식기 부분에 계속되는 압박과 마찰로 인하여 불감증 등의 부작용이 야기되는 문제를 해소함과 아울러 자전거 페달을 밟을 때 좌우 독립된 안장이 상하로 움직여짐으로 인하여 밟고자 하는 쪽의 페달 힘의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자전거의 속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자전거 안장에 있어서, 사용자의 엉덩이가 닫는 부위를 엉덩이의 굴곡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양쪽으로 설치된 안장부재와;
    상기 각 안장부재의 저면으로는 끝단에 볼베어링을 일체로 형성한 브라켓트와;
    T자형 지지프레임의 상단 양 끝단으로는 볼베어링이 삽입 설치되는 하우징을 형성한 지지프레임과;
    상기 브라켓트와 하우징의 사이의 전후방으로는 안장이 평상시에 평행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설된 스프링부재와;
    상기 하우징에 삽입 설치된 볼베어링의 탈거를 방지하는 멈춤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부재가 각각 독립적으로 자유롭게 움직여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통공을 형성하고 이 통공에 볼베어링이 좌우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멈춤핀이 설치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안장.
KR2020010034794U 2001-11-13 2001-11-13 자전거 안장 KR2002763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794U KR200276370Y1 (ko) 2001-11-13 2001-11-13 자전거 안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794U KR200276370Y1 (ko) 2001-11-13 2001-11-13 자전거 안장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348A Division KR100456832B1 (ko) 2001-11-13 2001-11-13 자전거 안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370Y1 true KR200276370Y1 (ko) 2002-05-21

Family

ID=73112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794U KR200276370Y1 (ko) 2001-11-13 2001-11-13 자전거 안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37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038Y1 (ko) 2011-07-25 2011-12-05 우제만 자전거 안장
KR200466195Y1 (ko) 2011-09-23 2013-04-03 조영혁 기능성 분리형 시트
WO2013103188A1 (ko) * 2012-01-02 2013-07-11 Cho Young Hyeg 사용자 맞춤형 시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038Y1 (ko) 2011-07-25 2011-12-05 우제만 자전거 안장
KR200466195Y1 (ko) 2011-09-23 2013-04-03 조영혁 기능성 분리형 시트
WO2013103188A1 (ko) * 2012-01-02 2013-07-11 Cho Young Hyeg 사용자 맞춤형 시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3309B1 (en) Bicycle seat
US6652025B2 (en) Bicycle seat
US6139098A (en) Bicycle seat
ES2897554T3 (es) Sillín de ruta
AU745487B2 (en) Cycle seat
US7104600B2 (en) Saddle
US4898422A (en) Arrowhead bicycle saddle
US4850643A (en) Bicycle seat
US9321496B2 (en) Bicycle seat
US5603551A (en) Gravitational resistant positional chair
KR100456832B1 (ko) 자전거 안장
CA2550165A1 (en) Chair with backward and forward passive tilt capabilities
US6176546B1 (en) Bicycle saddle
KR200276370Y1 (ko) 자전거 안장
DE69934121D1 (de) Fahrradsatteleinrichtung
EP1156957B1 (en) Saddles for pedal-operated machines
KR102332986B1 (ko) 골반 지지대가 있는 이동수단 안장
JP7033557B2 (ja) 自転車シート
KR101628663B1 (ko) 자전거 하이브리드 안장
KR200408628Y1 (ko) 자전거 안장
KR200299057Y1 (ko) 자전거 안장
CN107878608B (zh) 一种具有省力以及提高骑行舒适度功能的骑行车座
KR102491901B1 (ko) 조절기능을 가지는 자전거 안장
KR102283421B1 (ko) 골반교정 및 예방을 겸비한 기능성 자전거 안장
KR102595587B1 (ko) 자전거용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