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038Y1 - 자전거 안장 - Google Patents

자전거 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038Y1
KR200457038Y1 KR2020110006769U KR20110006769U KR200457038Y1 KR 200457038 Y1 KR200457038 Y1 KR 200457038Y1 KR 2020110006769 U KR2020110006769 U KR 2020110006769U KR 20110006769 U KR20110006769 U KR 20110006769U KR 200457038 Y1 KR200457038 Y1 KR 2004570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bicycle
hips
shock absorb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7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제만
Original Assignee
우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제만 filed Critical 우제만
Priority to KR20201100067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0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0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0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7Saddles with specific anatomical adap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2Saddles resiliently mounted on the frame; Equipment therefor, e.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자전거를 이용한 야외 레저활동이나 자전거 경주시 편안하고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하고, 다리운동의 전달력 향상으로 자전거의 추진력을 증대시켜 더욱 즐거운 야외활동 즐기도록 하며, 경기력을 증대시키는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임.
인체 엉덩이의 굴곡진 형태와 자연스럽게 접촉 면을 이루게 하기 위하여, 자전거 안장의 평면이 인체의 엉덩이와 같이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엉덩이와 같이 좌, 우 두 쪽으로 나뉘어 구성된 자전거 안장. 좌, 우 두 쪽으로 구성된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 승차자가 다리로 자전거 페달을 밟을 때마다 각각 독립적으로 상하 운동을 자유로이 할 수 있으며, 좌, 우 각각의 안장은 안장 밑에 연결된 스프링완충기의 압축과 복원의 반복 작용에 의하여 상하운동을 지속할 수 있다. 이러한 좌, 우 두 쪽으로 구성되고 스프링완충기가 장착된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 페달 링 시 안장과 함께 다리가 자유로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다리의 운동력이 자전거 바퀴로 전달력이 향상되어 자전거의 추진력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기존의 안장에 승차시 발생하는 전립선 압박과 고통을 해소하고 엉덩이와 안장과의 자연스런 접촉으로 승차자에게 편안함과 안정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전거 안장 {bicycle saddle }
자전거를 이용한 야외 레저활동이나 자전거 경주시 편안하고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하고, 다리운동의 전달력 향상으로 자전거의 추진력을 증대시켜 더욱 즐거운 야외활동 즐기도록 하며, 경기력을 증대시키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음.
인체 엉덩이의 굴곡진 형태와 자연스럽게 접촉 면을 이루게 하기 위하여, 자전거 안장의 평면이 인체의 엉덩이와 같이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지며, 엉덩이와 같이 좌, 우 두 쪽으로 나뉘어 구성된 자전거 안장. 좌, 우 두 쪽으로 구성된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 승차자가 다리로 자전거 페달을 밟을 때마다 각각 독립적으로 상하 운동을 자유로이 할 수 있으며, 좌, 우 각각의 안장은 안장 밑에 연결된 스프링완충기의 압축과 복원의 반복 작용에 의하여 상하운동을 지속할 수 있다. 이러한 좌, 우 두 쪽으로 구성되고 스프링완충기가 장착된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 페달 링 시 안장과 함께 다리가 자유로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다리의 운동력이 자전거 바퀴로 전달력이 향상되어 자전거의 추진력을 증대시킬 뿐 아니라, 기존의 안장에 승차시 발생하는 전립선 압박과 고통을 해소하고 엉덩이와 안장과의 자연스런 접촉으로 승차자에게 편안함과 안정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전거 안장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자전거 안장은 평면이 평편한 한 쪽짜리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승차시 인체의 굴곡진 엉덩이와 편안한 접촉을 이루지 못하여 엉덩이와 전립선에 압박을 가하여 고통 및 부상 등을 유발할 뿐 아니라, 한 쪽짜리 안장은 유동성이 없어 개별적인 다리의 상하운동을 제한하여 자전거의 추진력을 저해하고 있음.
기존의 자전거 안장은 스펀지 부재나 완충 스프링 등으로 자전거 주행시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고자 하고 있으나, 기존의 완충장치로는 승차자에게 충분한 편안함과 안정감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20-0299057호에는 '자전거 안장'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안장 가운데에 공간을 형성하여 회음부를 압박에서 벗어나게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자전거 안장을 좌, 우 두 쪽으로 나뉘어 구성하고 있지 않으며,
대한민국 실용신안 제276370호에는 '자전거 안장'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른 자전거 안장은 소정 간격이 이 격 되어 회음부를 압박에서 벗어나게 하고 안장을 상, 하로 움직이게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스프링완충기와 스프링완충기의 스프링 탄력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용 레버를 장착하고 있지 않다.
기존의 자전거 안장은 평면이 평편하고 한쪽으로 구성되어 자전거 승차시 굴곡진 엉덩이와 편안한 접촉을 이루지 못해 엉덩이에 통증을 유발하고, 기존의 자전거 안장은 앞 부분이 돌출된 형태로 인해 승차자의 전립선을 압박하여 고통과 부상 등을 유발할 뿐 아니라, 한 쪽짜리 안장은 유동성이 없어 개별적인 다리의 상하운동을 제약하여 자전거의 추진력을 저해하고 있음.
자전거 안장의 평면과 승차자의 엉덩이가 편안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자전거 안장의 평면을 굴곡진 형태로 하며, 엉덩이와 같이 좌, 우 두 쪽으로 나뉘어 구성된 자전거 안장으로서, 좌, 우 두 쪽으로 나뉘어 구성된 자전거 안장의 하부에 스프링완충기를 장착하여 자전거 페달 링 시 스프링완충기의 압축과 복원의 반복작용으로 좌, 우 안장과 함께 다리의 개별적인 상하운동이 지속 되도록 하는 자전거 안장.
자전거 안장의 평면이 인체의 엉덩이와 같이 굴곡진 형태로서 엉덩이와 같이 좌, 우 두 쪽으로 나뉘어 구성되며, 스프링완충기가 장착된 자전거 안장은 기존의 안장에 승차시 발생하는 전립선 압박과 고통을 해소하고 엉덩이와 안장과의 자연스런 접촉으로 승차자에게 편안함과 안정감을 제공하며, 좌, 우 두 쪽으로 구성된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 페달 링 시 안장과 함께 다리가 자유로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다리의 운동력이 자전거 바퀴로 전달력이 향상되어 자전거의 추진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 도 1 은 자전거 안장의 사시도.
- 도 2 는 자전거 안장의 상, 하 분리도.
- 도 3. 1-1 은 자전거 안장(상)의 사시도.
1-2 는 자전거 안장(상)의 평면도.
1-3 은 자전거 안장(상)의 측면도.
- 도 4 은 자전거 안장(하)의 부분도.
- 도 5 은 자전거 안장의 스프링완충기의 분해도.
- 도 6 은 자전거 안장(상) 모형의 사시도.
- 도 7 은 자전거 안장(상) 모형의 평면도.
- 도 8 은 자전거 안장(상) 모형의 측면도.
본 발명의 자전거 안장은 자전거 안장의 평면을 인체의 엉덩이와 같이 굴곡진 형태로 하며, 좌, 우 두 쪽으로 나뉘어 구성된 자전거 안장으로, 자전거 안장(상)의 하부에 스프링완충기와 안장지지대를 결합하여 안장을 구성하고, 이를 안장지지 축과 결합하여 자전거 본체와 연결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도 1에서 본 발명의 자전거 안장(상)①은 인체 엉덩이의 굴곡진 형태로 구성되어 자전거 안장 위에 승차자가 편안하게 착석하게 하며, 좌, 우 두 쪽으로 나뉘어 구성되어 승차자가 페달 링 시 안장과 함께 다리를 개별적으로 상하운동을 용이하게 한다. 자전거 안장(상)①은 좌, 우 두 쪽의 안장 사이로 엉덩이와 허벅지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 쪽의 안장 간격을 벌려 배치하고, 특히 허벅지 부위가 닿는 안장의 앞 부분은 좀더 안쪽으로 굴곡진 형태로 구성한다. 자전거 안장(상)①은 하부에 스프링완충기②와 안장지지대③과 결합 되어 본 발명의 자전거 안장을 구성하며, 안장지지 축④와 결합 되어 자전거 본체와 연결된다.
- 도 2는 본 발명의 자전거 안장의 상, 하 분리도로서 안장(상)①은 자전거 안장의 평면이 인체의 굴곡진 형태로서 좌, 우 두 쪽으로 나뉘어 구성되며, 스프링완충기②는 안장(상)①의 하부에서 앞 부분과 결합 되고, 다시 안장지지대③과 결합 되며, 안장지지대③은 안장(상)①의 하부 뒤 부분에 결합 된다. 전체적으로는 스프링완충기②와 안장지지대③은 안장(상)① 하부에서 결합 되어 안장(상)①을 지지하고 받치게 되며, 이는 안장지지 축④와 결합 되어 자전거 본체와 연결된다.
- 도 3은 본 발명의 안장(상)①의 사시도, 평면도, 측면도로서 안장의 평면이 승차자의 굴곡진 엉덩이 형태로서 좌, 우 두 쪽으로 나뉘어 구성되며, 좌, 우 두 쪽의 안장 사이로 엉덩이와 허벅지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두 쪽의 안장 간격을 벌려 배치하고, 특히 허벅지 부위가 닿는 안장의 앞 부분은 좀더 안쪽으로 굴곡진 형태로 구성한다.
- 도 4는 본 발명의 자전거 안장의 부분도로서, 스프링완충기②는 본체의 중간 부분인 ⓒ에서 안장지지대 연결 대③-①과 결합 되며, 안장지지대 연결 대③-①은 나사와 볼트, 힌 지 형태의 안장지지대 연결부품③-②를 통해 안장지지대 연결장식③-③과 결합 되며, 안장지지대 연결장식③-③은 안장(상)①의 뒤 부분 하부에 결합된다. 스프링완충기 조정 레버⑤는 스프링완충기②의 뒤 부분에 구성하며, 나사 형태로서 통 형태의 스프링완충기②내에서 나사의 조임과 풀림 작용으로 스프링 완충기② 내 스프링의 탄력과 길이를 조정하여 승차자의 체중과 근력의 차이에 따라 안장이 앞으로 쏠리거나 내려앉는 현상을 방지하고 안장의 수평 유지와 스프링완충기②의 탄력을 승차자 별로 적절히 조정하는 작용을 함. 안장지지 축④는 T자 형태로서 스프링완충기②와 결합 되어 상부에 구성된 자전거 안장을 자전거 본체와 연결한다.
- 도 5는 본 발명의 자전거 안장의 스프링완충기②의 분해도로서, 스프링완충기 연결 대②-①은 안장(상)①의 앞쪽 하부에 결합 되고, 통 형태의 스프링완충기 본체②-② 내로 삽입되어 스프링완충기 연결 대②-① 끝 부분에 구성된 연결고리에 스프링완충기 스프링②-③을 결합한다. 스프링완충기 연결 대②-① 은 승차자가 페달 링 시 다리의 상하운동을 반 회전운동으로 전환하여, 스프링완충기 본체②-② 내 스프링완충기 스프링②-③을 압축과 복원을 반복시켜 승차자의 페달운동이 지속 되게 금 지원한다, 스프링완충기 스프링②-③는 승차자의 체중과 근력에 의해 자전거 안장이 앞으로 쏠리거나 내려앉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탄력성이 강한 철재 소재를 사용한다. 스프링완충기 마감볼트②-④는 통 형태의 스프링 완충기 본체②-②를 앞과 뒤에서 마감하며, 앞쪽 마감볼트는 스프링완충기 연결 대②-①이 스프링완충기 본체②-② 내로 삽입되도록 구멍이 설계되고, 스프링완충기 연결 대②-①의 운동방향이 이탈되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하며, 뒤쪽 마감볼트는 스프링 완충기 본체②-② 뒤 부분에 스프링 완충기 조정 레버⑤를 장치하도록 구멍을 설계한다. 스프링 완충기 조정 레버⑤는 스프링완충기 본체②-② 뒤 부분에 구성되며, 스프링완충기 본체②-② 통 안의 뒤 부분에 구성된 나사 산과 일치되도록 나사 형태로 구성되며, 나사의 조임과 풀림 조작으로 스프링완충기 스프링②-③의 탄력과 길이를 조정하여 안장의 수평을 유지하고 안장의 탄력과 높이가 승차자의 체중과 근력에 적절히 맞 출수 있도록 조정한다.
- 도 6은 자전거 안장(상)① 모형의 사시도 이며, 도 7은 자전거 안장(상)① 모형의 평면도이며, 도 7은 자전거 안장(상)① 모형의 측면도로서 도 3에서의 설명과 같다.
① 안장(상), ② 스프링 완충기, ②-① 스프링 완충기 연결 대, ②-② 스프링 완충기 본체, ②-③ 스프링 완충기 스프링, ②-④ 스프링완충기 마감볼트 ,③안장지지대, ③-① 안장지지대 연결 대, ③-② 안장지지 대 연결부품, ③-③안장지지대 연결 장식, ④ 안장지지 축 , ⑤ 스프링 완충기 조정 레버 ⓒ스프링완충기와 안장지지대 결합 지점.

Claims (1)

  1. 자전거 안장의 평면이 인체의 엉덩이와 같이 굴곡진 형태로 좌, 우 두 쪽으로 나뉘어 구성되며, 좌, 우 안장 사이로 엉덩이와 허벅지가 끼이거나 두 쪽의 안장이 서로 마찰 되지 않도록 간격을 벌려 배치하며, 허벅지 부위와 닿는 앞 부분은 안쪽으로 굴곡진 형태의 자전거 안장으로서, 자전거 안장 하부에 자전거 페달 링 시 안장과 함께 다리의 상하운동이 지속 되도록 압축과 복원을 반복적으로 지원하는 스프링 완충기가 장착되며, 스프링완충기 뒤 부분에 나사형태로 구성된 스프링 완충기 조정 레버를 장착하여 나사의 조임과 풀림 조작으로 스프링완충기 내의 스프링의 탄력을 조정하여 자전거 승차자 별로 체중과 근력의 차이에 따라 안장이 앞으로 쏠리거나 내려앉는 현상을 방지하고 안장의 수평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자전거 안장.
KR2020110006769U 2011-07-25 2011-07-25 자전거 안장 KR2004570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769U KR200457038Y1 (ko) 2011-07-25 2011-07-25 자전거 안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769U KR200457038Y1 (ko) 2011-07-25 2011-07-25 자전거 안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038Y1 true KR200457038Y1 (ko) 2011-12-05

Family

ID=4556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769U KR200457038Y1 (ko) 2011-07-25 2011-07-25 자전거 안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0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513A (ko) * 2014-11-05 2016-05-13 김원수 자전거 하이브리드 안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370Y1 (ko) 2001-11-13 2002-05-21 신석주 자전거 안장
KR200299057Y1 (ko) 2002-06-26 2003-01-03 김애현 자전거 안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370Y1 (ko) 2001-11-13 2002-05-21 신석주 자전거 안장
KR200299057Y1 (ko) 2002-06-26 2003-01-03 김애현 자전거 안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513A (ko) * 2014-11-05 2016-05-13 김원수 자전거 하이브리드 안장
KR101628663B1 (ko) * 2014-11-05 2016-06-14 김원수 자전거 하이브리드 안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09305B (zh) 一种托腹式两半座面可交叉转动自行车座的制造与使用方法
KR200457038Y1 (ko) 자전거 안장
CN203291448U (zh) 一种新型减震跑步机
KR100935441B1 (ko) 자전거 안장
CN201863924U (zh) 一种流线型护阴车座及护阴车套
KR20100070965A (ko) 안장
CN109045587A (zh) 双下肢同步摆动式康复运动车座
CN104787156A (zh) 可左右摆动的仿生自行车车座结构
CN114715311B (zh) 丁字斜面凹型自行车坐垫
CN205796377U (zh) 一种动感单车减震车座
CN104709385B (zh) 下肢康复健身车车座
CN103770864B (zh) 一种三点式折叠自行车座
CN203020452U (zh) 一种前倾安装的板式自行车座垫及其自行车
KR200398863Y1 (ko) 자전거
CN202445553U (zh) 人体工学椅
CN202138450U (zh) 高舒适性自行车鞍座
KR101224067B1 (ko) 보조안장이 장착된 자전거안장과 자전거 보조안장
CN201179907Y (zh) 靠背式自行车
RU198906U1 (ru) Сиденье для мотоцикла
CN202243880U (zh) 梁内隐链自行车
CN206544561U (zh) 一种托腹式两半座面可交叉转动自行车座
CN201566731U (zh) 骑行车类减震车座
CN104590439A (zh) 一种自行车分体式鞍座
CN2201323Y (zh) 比赛型自行车专用托垫
CN208248363U (zh) 一种休闲健身自行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