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1515A -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1515A
KR20130001515A KR1020110062326A KR20110062326A KR20130001515A KR 20130001515 A KR20130001515 A KR 20130001515A KR 1020110062326 A KR1020110062326 A KR 1020110062326A KR 20110062326 A KR20110062326 A KR 20110062326A KR 20130001515 A KR20130001515 A KR 20130001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shaft
window
flexible linear
coupl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2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5995B1 (ko
Inventor
정상용
안창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2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9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1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08Ports or like openings in vessels' sides or at the vessels' bow or s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2Covers wound on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는, 복수의 윈도우 커버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복수의 체결구와, 복수의 체결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결합된 리프팅 바와, 리프팅 바에 일단부가 각각 결합된 복수의 가요성 선형부재와, 복수의 가요성 선형부재의 타측이 외주면에 각각 결합된 릴축과, 릴축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복수의 가요성 선형부재가 릴축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복수의 가요성 선행부재가 릴축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리프팅 바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복수의 윈도우 커버가 일시에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S OF WINDOWS}
본 발명은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윈도우에 각각 설치된 윈도우 커버를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크루즈선(cruise ship)이나 유람선(pleasure boat)과 같이 레저를 목적으로 하는 선박에는 선체 일부분을 개방하여 승객이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마리나 플랫폼(marina platform)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크루즈선의 선미부에 구비된 마리나 플랫폼이 예시되어 있다. 도 1에는 크루즈선(1)의 선체(10)의 선미부에 구비된 마리나 플랫폼(20)이 개방된 모습이 예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마리나 플랫폼(20)이 폐쇄된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기상상태가 양호하고 크루즈선(1)이 일정한 위치에 정박하여 있을 때에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마리나 플랫폼(20)을 개방하여 승객들이 물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크루즈선(1)이 목적지로 이동하기 위하여 항해 중이거나 크루즈선(1)이 정박한 곳이 위험 해역인 경우, 기상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경우 등에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마리나 플랫폼(20)을 폐쇄할 수 있다.
마리나 플랫폼(2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윈도우(21)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윈도우(21)는 마리나 플랫폼(20)이 폐쇄되어 있을 때 승객이 선체(10)의 외부를 전망하거나, 채광에 의해 선체(10) 내의 조도를 높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크루즈선(1)이 황천항해를 하는 중이거나 파고가 높을 때에는 윈도우(21)를 통하여 선체(10) 내로 해수가 유입될 수 있으므로, 윈도우(21)를 폐쇄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복수의 윈도우(21)에는 윈도우(21)를 개폐할 수 있는 복수의 윈도우 커버(도시되지 않음)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 커버(도시되지 않음)는 그 규모가 커서 인력으로 직접 개폐하기 어려우므로, 선체(10)의 선미부에 윈도우 커버(도시되지 않음)를 개폐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윈도우 커버(도시되지 않음)를 개폐하기 위한 장치를 각각 설치하면, 이러한 장치가 선체(10) 내에서 점유하는 공간이 증가되고, 그 하중 및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윈도우 커버를 하나의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로 일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가 점유하는 공간 및 하중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윈도우의 상부 가장자리에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복수의 윈도우 커버를 개폐하기 위한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커버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복수의 체결구와, 상기 복수의 체결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결합된 리프팅 바와, 상기 리프팅 바에 일단부가 각각 결합된 복수의 가요성 선형부재와, 상기 복수의 가요성 선형부재의 타측이 외주면에 각각 결합된 릴축과, 상기 릴축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가요성 선형부재가 상기 릴축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요성 선행부재가 상기 릴축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상기 리프팅 바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복수의 윈도우 커버가 일시에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축은, 상기 릴축의 외주면 중 적어도 두 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스플라인부와, 상기 복수의 스플라인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복수의 이동권취부와, 상기 복수의 이동권취부의 외주면에 각각 근접 배치된 복수의 핀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권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요성 선형부재의 직경과 상응하는 피치를 갖는 나선형의 권취홈 및 상기 권취홈과 상응하는 피치를 갖는 나선형의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핀지지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단부가 삽입되도록 가이드핀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릴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권취부가 회전되어 상기 권취부에 상기 가요성 선형부재가 감기거나 풀리면 상기 이동권취부가 상기 릴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요성 선형부재는 체인, 와이어 로프 및 강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선형부재는 금속, 가죽 및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된 스트랩이고, 상기 릴축에는 상기 스트랩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권취홈이 형성되어 상기 릴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트랩이 상기 권취홈 내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윈도우 개폐장치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의 가장자리 부분 또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커버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윈도우 커버의 개폐여부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개폐감지센서를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윈도우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윈도우 커버가 개방된 각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개방각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체결구 및 상기 리프팅 바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상기 복수의 체결구 및 상기 리프팅 바 사이의 간격을 각각 조절하는 복수의 간격조절나사를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의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로 복수의 윈도우 커버를 일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가 점유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를 경량화 할 수 있으며,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의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약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크루즈선의 선미부에 구비된 마리나 플랫폼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동권취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은 폐쇄된 상태의 마리나 플랫폼(20) 및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100)를 선체(10) 내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앞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마리나 플랫폼(20)은 선체(10)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마리나 플랫폼(20)에 구비된 복수의 윈도우(도 2의 21)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는데, 복수의 윈도우(도 2의 21)의 내측에는 이들을 개폐할 수 있도록 복수의 윈도우 커버(3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윈도우 커버(30)는 복수의 윈도우(도 2의 21)의 상부 가장자리에 설치된 힌지(31)에 의해 복수의 윈도우 커버(30)의 상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윈도우 커버(30)는 힌지(31)를 중심으로 그 하측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복수의 윈도우(도 2의 21)의 내측을 폐쇄 또는 개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윈도우 커버(30)의 하측에는 러그(32)가 각각 형성 또는 부착될 수 있다. 러그(32)에는 상응하는 수의 체결구(171)가 분리 가능하게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참고로,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체결구(171)는 카라비너(Karabiner)와 같이 러그(3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 형상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체결구(171) 및 러그(32)의 분리 및 결합은 크루즈선(1)의 승무원 등의 작업자가 직접 행할 수 있다.
복수의 체결구(171)는 리프팅 바(170)의 일면에 리프팅 바(1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결합될 수 있다.
리프팅 바(170)의 타면에는 복수의 가요성 선형부재(160)의 일단부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가요성 선형부재(160)로는 체인, 와이어 로프, 강선과 같이 가요성은 크나 길이방향의 변형율은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가요성 선형부재(160)의 타측은 릴축(14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릴축(140)은 데크(11) 상에 설치된 릴축 지지대(142)에 의해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선체(10) 내측의 실내환경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100) 중 리프팅 바(170)는 데크(11)의 하측에 배치되고, 릴축(140)은 데크(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요성 선형부재(160)는 데크(11)에 형성된 통공(12, 12a)를 각각 관통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릴축(140)은 모터(1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릴축(140)이 회전되면 가요성 선형부재(160, 160a)가 릴축(140)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가요성 선형부재(160, 160a)가 릴축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리프팅 바(170)는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리프팅 바(170)에 결합된 복수의 체결구(171)는 복수의 윈도우 커버(30)의 러그(3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이므로, 리프팅 바(170)의 상하 이동에 따라 복수의 윈도우 커버(30)가 일시에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여기서, '일시'는 '어느 한 시기의 짧은 동안'을 의미하는 것으로, 복수의 윈도우 커버(30)가 완벽히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윈도우 커버(30)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순간에 물리적인 치수의 오차 등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한 시간 차이는 허용될 수 있는 정도의 짧은 시간 간격 내에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을 의미함을 밝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100)는 아래와 같은 예로 작동될 수 있다.
윈도우 커버(30)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리프팅 바(170)를 충분히 하강시킨 후 승무원이 체결구(171)를 러그(32)에 결합시킨다. 이후, 모터(110)를 작동시켜 리프팅 바(170)가 상승되도록 하면 윈도우 커버(30)가 힌지(31)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윈도우(도 2의 21)가 개방된다. 리프팅 바(170)가 충분히 상승되었을 때 모터(110)를 정지시키면 윈도우 커버(3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개방된 상태의 윈도우 커버(30)를 폐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리프팅 바(170)가 하강되어 윈도우 커버(30)가 윈도우(도 2의 21)를 폐쇄할 때까지 모터(110)를 작동시킨다. 모든 윈도우(도 2의 21)가 윈도우 커버(30)에 의해 폐쇄되면 모터(110)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승무원이 체결구(171)를 러그(32)로부터 분리한다.
러그(32)로부터 체결구(171)가 분리된 후에는 선체(10)의 흔들림에 의해 리프팅 바(170)가 선체(10) 내부 공간에서 흔들릴 수 있으므로, 모터(110)를 작동시켜 리프팅 바(170)가 다시 데크(11)에 근접하게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제어부(180), 개폐감지센서(181) 및 개방각감지센서(182)에 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한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의 요부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이동권취부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100)에는 모터(110), 구동축(111), 커플링(120), 전동축(130), 웜(131), 전동축 지지대(132), 릴축(140), 웜휠(141), 릴축 지지대(142), 스플라인부(144), 이동권취부(145), 핀지지대(149), 가요성 선형부재(160), 리프팅 바(170), 체결구(171), 간격조절나사(173) 및 제어부(180)가 포함될 수 있다.
구동축(111)의 일측은 모터(110)에 연결되어, 모터(110)에 의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동축(111)의 타측에는 커플링(120)에 의해 전동축(130)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커플링(120)으로는 등속 커플링(uniform coupling)이나 유니버설 커플링(universal coupling)과 같이 구동축(111) 및 전동축(130)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전동축(130)의 타단부는 전동축 지지대(132)에 구비된 베어링(13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동축 지지대(132)는 데크(도 3의 11)에 고정될 수 있다.
전동축(130)에는 나사형상의 웜(worm, 131)이 설치될 수 있다.
릴축(140)은 전동축(130)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웜(131)에 치합되는 웜휠(worm wheel, 141)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10)의 회전력이 구동축(111) 및 전동축(130)을 거쳐 릴축(1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필요에 따라 모터(110)의 배치를 변경하여 커플링(120)이 릴축(140)에 직접 연결되도록 하거나, 모터(110)에 릴축(140)의 일단부가 직접 연결되어 모터(110)의 회전력이 릴축(140)에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릴축(140)의 일단부는 릴축 지지대(142)에 구비된 베어링(14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릴축(140)의 타단부 또한 릴축 지지대(도 3의 142a)에 구비된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릴축 지지대(142, 도 3의 142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도 3의 11)에 고정될 수 있다.
릴축(140)의 외주면에는 스플라인부(144)가 형성될 수 있고, 스플라인부(144)에는 이동권취부(145)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이동권취부(145)는 스플라인부(144)의 스플라인(spline)에 의해 릴축(140)의 회전력은 전달 받을 수 있으므로, 이동권취부(145)는 릴축(14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동권취부(145)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권취홈(146) 및 권취홈(146)과 상응하는 나선형의 가이드홈(147)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동권취부(145)의 외주면 중 가이드홈(147)이 형성된 부분에는 핀지지대(149)가 근접 배치될 수 있다. 핀지지대(149)는 데크(도 3의 11)에 고정될 수 있다.
핀지지대(149)의 단부에는 가이드핀(148)이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가이드핀(148)은 가이드홈(147)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10)가 작동되어 릴축(140)이 회전되면, 이동권취부(145)는 회전하는 반면 가이드핀(148)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동권취부(145)는 스플라인부(144)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요성 선형부재(160)가 감기거나 풀리는 나선형 권취홈(146)은 소정의 피치(Pa)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권취홈(146)은 가요성 선형부재(160)가 균일하게 감기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므로, 권취홈(146)의 피치(Pa)는 가요성 선형부재(160)의 직경(D)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권취홈(146)에 가요성 선형부재(160)가 균일하게 감기거나 풀리기 위해서는 이동권취부(145)가 스플라인부(144)의 회전에 의해 한 바퀴 회전할 때마다 가요성 선형부재(160)의 직경(D)만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동권취부(145)가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길이를 결정하는 가이드홈(147)의 피치(Pb) 또한 가요성 선형부재(160)의 직경(D)에 상응하는 피치(Pb)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권취홈(146)의 피치(Pa) 및 가이드홈(147)의 피치(Pb)는 모두 가요성 선형부재(160)의 직경(D)과 상응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릴축(도 4의 140)의 회전에 따라 이동권취부(145)가 회전하게 되어 그 외주면에 가요성 선형부재(160)가 감기거나 풀리게 될 경우, 이동권취부(145)는 스플라인부(144), 즉 릴축(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가요성 선형부재(160)의 일단부는 통공(12)을 관통하여 리프팅 바(170)의 타면에 결합될 수 있고, 리프팅 바(170)의 일면에는 복수의 체결구(17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체결구(171) 및 리프팅 바(170) 사이에는 복수의 간격조절나사(173)가 각각 개재될 수 있다. 간격조절나사(173)는 턴버클(turn buckle)과 같이 양단부 사이의 거리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간격조절나사(173)에 의해 복수의 체결구(171) 및 리프팅 바(17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윈도우 커버(도 3의 30)에 결합된 힌지(31) 또는 러그(32) 등의 위치 오차 등에 의해 복수의 윈도우 커버(도 3의 30)가 일시에 개방 또는 폐쇄되지 않을 경우, 간격조절나사(173)를 이용하여 상술한 오차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윈도우 커버(도 3의 30)가 일시에 개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릴축(140) 중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은 윔휠(141)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거나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부분에 배치된 가요성 선형부재(160a)는 릴축(140)의 회전에 따라 가요성 선형부재(160)와 동일한 길이만큼 감기거나 풀리게 되므로, 리프팅 바(170)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될 때 리프팅 바(170)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윈도우 커버(도 3의 30)가 개폐될 때 그 편차를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100)는 복수의 윈도우 커버(도 3의 30)를 일시에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윈도우(도 2의 21)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복수의 개폐감지센서(181)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개폐감지센서(181)는 윈도우 커버(3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접촉센서, 근접센서, 리미트 스위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복수의 개폐감지센서(18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폐감지센서(181)가 발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1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복수의 윈도우 커버(30)를 폐쇄할 때 모든 윈도우 커버(30)가 폐쇄되었음이 개폐감지센서(181)에 의해 감지되면 모터(110)가 정지되도록 하여 리프팅 바(170)가 더 하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개폐감지센서(181)는 윈도우 커버(30)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윈도우(도 2의 21)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 및 복수의 윈도우 커버(3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킨 복수의 힌지(31)에는 복수의 개방각감지센서(182)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개방각감지센서(182)는 복수의 윈도우 커버(30)가 각각 개방된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각도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복수의 개방각감지센서(18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방각감지센서(182)가 발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1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1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복수의 윈도우 커버(30)를 개방할 대 복수의 윈도우 커버(30)가 개방된 정도를 감지함으로써, 복수의 윈도우 커버(30)가 충분히 개방되었음이 감지되면 모터(110)가 정지되도록 하여 리프팅 바(170)가 더 상승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100)는 제어부(180), 개폐감지센서(181) 및 개방각감지센서(182)에 의해 윈도우 커버(30)의 개폐가 반자동화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의 요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200)에는 모터(210), 구동축(211), 커플링(220), 전동축(230), 웜(231), 전동축 지지대(232), 릴축(240), 웜휠(241), 릴축 지지대(242), 가요성 선형부재(260), 리프팅 바(270), 체결구(271), 간격조절나사(273) 및 제어부(28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모터(210), 구동축(211), 커플링(220), 전동축(230), 웜(231), 전동축 지지대(232), 웜휠(241), 릴축 지지대(242), 리프팅 바(270), 체결구(271), 간격조절나사(273) 및 제어부(28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도 3, 도 4의 100)에서 설명한 바와 각각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200)의 가요성 선형부재(260)로는 금속, 가죽 및 합성수지 등을 소재로 하여 소정의 폭을 갖는 벨트 형상의 스트랩(strap)이 사용될 수 있다.
모터(210)의 회전력은 구동축(211), 커플링(220), 전동축(230), 웜(231), 웜휠(241)을 거쳐 릴축(240)으로 전달되므로, 릴축(240)은 모터(210)에 의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릴축(240)에는 가요성 선형부재(260)가 감기거나 풀리는 권취홈(246)이 형성될 수 있는데, 권취홈(246)은 가요성 선형부재(260)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요성 선형부재(260)는 릴축(240)의 회전에 따라 권취홈(246) 내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릴축(240)에는 도시된 권취홈(246) 외에 도시되지 않은 권취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은 권취홈에는 가요성 선형부재(260)와 같은 도시되지 않은 가요성 선형부재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가요성 선형부재의 일단부는 리프팅 바(270)에 결합되어, 릴축(240)이 회전되면 리프팅 바(270)는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리프팅 바(270)에 결합된 체결구(271)에 결합된 복수의 윈도우 커버(도 3의 30 참조)가 일시에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200)는 더욱 단순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조 및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도 3의 100, 도 6의 200)는, 크루즈선(도 1의 1)의 마리나 플랫폼(도 2의 20)에 구비된 복수의 윈도우(도 2의 21)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윈도우 커버(도 3의 30)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일렬로 배치되고 상단부가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여닫이 방식의 윈도우 또는 윈도우 커버에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1: 크루즈선 10: 선체
11: 데크 20: 마리나 플랫폼
21: 윈도우 30: 윈도우 커버
31: 힌지 32: 러그
100, 200: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 110, 210: 모터
111, 211: 구동축 120, 220: 커플링
130, 230: 전동축 131, 231: 웜
140, 240: 릴축 141, 241: 웜휠
144: 스플라인부 145: 이동권취부
146, 246: 권취홈 147: 가이드홈
148: 가이드핀 149: 핀지지대
160: 가요성 선형부재 170, 270: 리프팅바
171, 271: 체결구 173, 273: 간격조절나사
180, 280: 제어부 260: 스트랩
181: 개폐감지센서 182: 개방각감지센서

Claims (7)

  1.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윈도우의 상부 가장자리에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복수의 윈도우 커버를 개폐하기 위한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 커버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복수의 체결구;
    상기 복수의 체결구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결합된 리프팅 바;
    상기 리프팅 바에 일단부가 각각 결합된 복수의 가요성 선형부재;
    상기 복수의 가요성 선형부재의 타측이 외주면에 각각 결합된 릴축; 및
    상기 릴축을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가요성 선형부재가 상기 릴축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요성 선행부재가 상기 릴축의 외주면에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상기 리프팅 바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복수의 윈도우 커버가 일시에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축은,
    상기 릴축의 외주면 중 적어도 두 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스플라인부;
    상기 복수의 스플라인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복수의 이동권취부; 및
    상기 복수의 이동권취부의 외주면에 각각 근접 배치된 복수의 핀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권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요성 선형부재의 직경과 상응하는 피치를 갖는 나선형의 권취홈 및 상기 권취홈과 상응하는 피치를 갖는 나선형의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핀지지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단부가 삽입되도록 가이드핀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릴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권취부가 회전되어 상기 권취부에 상기 가요성 선형부재가 감기거나 풀리면 상기 이동권취부가 상기 릴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선형부재는 체인, 와이어 로프 및 강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선형부재는 금속, 가죽 및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된 스트랩이고,
    상기 릴축에는 상기 스트랩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권취홈이 형성되어, 상기 릴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트랩이 상기 권취홈 내에 감기거나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의 가장자리 부분 또는 상기 복수의 윈도우 커버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윈도우 커버의 개폐여부를 각각 감지하는 복수의 개폐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
  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윈도우의 상부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윈도우 커버가 개방된 각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개방각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
  7.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체결구 및 상기 리프팅 바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 상기 복수의 체결구 및 상기 리프팅 바 사이의 간격을 각각 조절하는 복수의 간격조절나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
KR1020110062326A 2011-06-27 2011-06-27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 KR101225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326A KR101225995B1 (ko) 2011-06-27 2011-06-27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326A KR101225995B1 (ko) 2011-06-27 2011-06-27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515A true KR20130001515A (ko) 2013-01-04
KR101225995B1 KR101225995B1 (ko) 2013-01-24

Family

ID=4783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2326A KR101225995B1 (ko) 2011-06-27 2011-06-27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9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6789B (zh) * 2015-05-22 2017-04-26 无锡市东舟船舶设备股份有限公司 船用液压系泊平台
KR101751313B1 (ko) * 2015-09-22 2017-06-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평형 모니터링을 통한 개폐구 차단 장치 및 이를 통한 선박의 개폐구 차단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1283A (ja) * 1998-04-18 1999-11-02 Yoshio Kimura 車両用のフロントガラスカバー装置
KR200275877Y1 (ko) * 2002-02-27 2002-05-16 남연호 양방향 권취형 롤브라인드
KR100479361B1 (ko) * 2002-05-14 2005-03-28 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 차량용 차광장치
KR20060076681A (ko) * 2004-12-29 2006-07-04 김영철 부분차양이 가능한 차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5995B1 (ko)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460B1 (ko) 자유낙하형 구명정 진수 장치
KR101225995B1 (ko) 윈도우 커버 개폐장치
KR20190101956A (ko) 선박용 보조 돛 시스템 및 그에 대한 안전 시스템
KR101159893B1 (ko) 부두의 가변형 휀더장치
US20200231258A1 (en) Enhance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deploying boat fenders
CN107933829A (zh) 起锚机
KR101654588B1 (ko) 계류라인의 장력 조절장치, 계류라인의 장력 조절방법, 및 그 계류라인 장력 조절장치를 갖는 계류 시스템
CN109937173B (zh) 用于船的辅助帆系统和用于辅助帆系统的安全系统
EP3604110A1 (en) Reduced-complexity fender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JP2007038706A (ja) 舟艇の揚収装置
KR101337660B1 (ko) 선박의 풍력추력장치
US11072402B2 (en) Reduced-complexity fender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US202200096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torzied boat fender deployment and retrieval systems
AU2017276798B2 (en) An unmanned marine sailing vessel
RU2258636C1 (ru) Парусно-моторное судно сташевского и.и.
KR101313179B1 (ko) 선박용 사다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505799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2392456B1 (ko) 선박용 추진 모터
WO2016168025A1 (en) Enhanced system and method for detangling and protection of automatic fender positioning systems
IT201600082867A1 (it) Imbarcazione da diporto provvista di un sistema per varare e alare un natante
JP2023005761A (ja) 自動係船装置および自動係船方法
KR20230061122A (ko) 선박용 가드 레일
KR101487672B1 (ko) 캐니스터 안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22495B1 (ko) 선박용 스러스터
KR101475198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