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734A -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734A
KR20130000734A KR1020110061441A KR20110061441A KR20130000734A KR 20130000734 A KR20130000734 A KR 20130000734A KR 1020110061441 A KR1020110061441 A KR 1020110061441A KR 20110061441 A KR20110061441 A KR 20110061441A KR 20130000734 A KR20130000734 A KR 20130000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location
wireless node
data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1225B1 (ko
Inventor
노재성
Original Assignee
서일대학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미디어웨이브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대학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미디어웨이브콥 filed Critical 서일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61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22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36Assistance data, e.g. base station alman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 무선노드들에 대한 식별코드가 저장된 DB와, 위치데이터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수신확인신호 또는 위치데이터에 포함된 식별코드로부터 미수신된 식별코드가 확인되면 해당식별코드에 대한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를 생성하며, 수신된 위치데이터의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위치데이터요청신호 또는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를 발신하고, 무선노드로부터 발신된 수신확인신호와 위치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갖춘 위치서버; 및 상기 위치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데이터요청신호와 자기 식별코드가 포함된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에 대응해서 자기 식별코드가 포함된 수신확인신호를 발신하고, 타 식별코드가 포함된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와 타식별코드가 포함된 위치데이터는 수신해 발신하는 통신모듈과, 인접무선노드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RSSI를 획득하여 위치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데이터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노드가 위치서버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범위를 벗어나 위치서버에서 무선노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인근 무선노드를 통해 순차적으로 자신의 위치정보를 위치서버에 전송할 수 있어, 무선노드가 위치서버의 인식범위를 벗어나더라도 위치확인이 가능하며, 무선노드가 인근 노드들과 무선통신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는 경우 RSSI값이큰 순서대로 RSSI값을 취하여 위치확인을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위치의 확인과 함께 전원의 소비가 절감되며, 확인된 각 무선노드들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전송하여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Collaboration system of node for location confirmation }
본 발명은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각 무선노드는 인근에 위치한 무선노드들과 무선통신을 통해 획득되는 RSSI 및 LQI 신호를 이용하여 자기의 위치확인을 하여 위치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위치서버에 전송하며, 무선노드가 위치서버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범위 밖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인근에 위치한 노드를 통해 자신의 위치정보를 위치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이란 사용자가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을 인식하지 않고, 장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이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환경 구현을 위해 현재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술에 대한 중요성과 인식이 높아져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연구의 대표적인 결과물 중 하나는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되었던 인공위성을 활용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이다. 이러한 GPS는 현재 차량, 선박 등의 교통수단에 적용되어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실내에서는 위성의 GPS 수신신호가 감지되지 않고, 실내에 적용하기에는 오차범위가 넓기 때문에 적용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실내에서 위치추적 기술로 연구 활용되고 있는 기술이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술이다. 하지만 복잡한 실내 환경은 무선 주파수의 신호 전달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이는 심각한 다중경로 효과, 잡음 및 간섭 등을 유발하여 대상물의 정확한 위치를 추적하기가 힘들며, 무선 주파수의 인식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위치추적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각 무선노드들은 인근의 무선노드들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자기의 위치를 확인하며, 확인된 위치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위치서버로 전송하며, 위치서버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인식범위 밖에 위치한 무선노드들의 경우 인근에 위치한 무선노드들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자신의 위치를 위치서버로 전송하는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은, 각 무선노드들에 대한 식별코드가 저장된 DB와, 위치데이터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수신확인신호 또는 위치데이터에 포함된 식별코드로부터 미수신된 식별코드가 확인되면 해당식별코드에 대한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를 생성하며, 수신된 위치데이터의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위치데이터요청신호 또는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를 발신하고, 무선노드로부터 발신된 수신확인신호와 위치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갖춘 위치서버; 및 상기 위치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데이터요청신호와 자기 식별코드가 포함된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에 대응해서 자기 식별코드가 포함된 수신확인신호를 발신하고, 타 식별코드가 포함된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와 타식별코드가 포함된 위치데이터는 수신해 발신하는 통신모듈과, 인접무선노드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RSSI를 획득하여 위치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데이터생성모듈을 갖춘 무선노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은, 상기 위치데이터생성모듈은 인접무선노드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획득한 RSSI가 3개 이상인 경우 강도순으로 3개를 선택하여 위치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은, 상기 DB는 위치데이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한 시각데이터 및 정보데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노드는 자신의 위치에 대응하는 시각데이터 및 정보데이터를 전송받아 출력하기 위한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노드가 위치서버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범위를 벗어나 위치서버에서 무선노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인근 무선노드를 통해 순차적으로 자신의 위치정보를 위치서버에 전송할 수 있어, 무선노드가 위치서버의 인식범위를 벗어나더라도 위치확인이 가능하며, 무선노드가 인근 노드들과 무선통신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는 경우 RSSI값이큰 순서대로 RSSI값을 취하여 위치확인을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위치의 확인과 함께 전원의 소비가 절감되며, 확인된 각 무선노드들의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전송하여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의 위치서버와 무선노드간의 신호 및 데이터의 전달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데이터생성모듈의 위치데이터생성 동작을 표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데이터생성모듈에서 위치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의 위치서버와 무선노드간의 신호 및 데이터의 전달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은 각 무선노드들의 식별코드를 저장하고 있는 DB(11)와 각 무선노드들의 위치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한 위치데이터요청신호 및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모듈(12)과 각 무선노드들과 무선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13)을 갖춘 위치서버(10)와, 위치서버(10) 및 다른 무선노드들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21, 21')과 인접 무선노드들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획득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값과 이로부터 생성된 LQI(Link Quality Indication)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데이터생성모듈(22, 22')을 갖춘 다수의 무선노드(20, 20')들로 구성되며, 무선노드들은 각종 데이터의 출력을 위한 출력모듈(23')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의 경우 편의상 2개의 무선노드들만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위치서버(10)를 중심으로 위치서버(10)의 인식범위(10_a)내에 다수의 무선노드들(삼각형 형상)이 분포하며, 그 중 제2무선노드(n1)와 제3무선노드(n3)의 경우에는 위치서버(10)의 인식범위(10_a)를 벗어나 존재하고 있다. 각 무선노드들은 위치서버(10)로부터 발신된 위치데이터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확인신호에 자신의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위치서버(10)로 전송하고, 자신의 위치데이터를 생성하여 위치서버(10)로 전송한다. 하지만 제2 및 제3무선노드(n2, n3)의 경우 위치서버(10)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인식범위(10_a)의 밖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자신의 수신확인신호 및 위치데이터를 위치서버(10)로 전송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위치서버(10)는 제2 및 제3무선노드(n2, n3)의 위치를 직접 확인할 수는 없다. 하지만 제2무선노드(n2)의 경우 위치서버(10)의 인식범위(10_a) 내에 위치한 제1무선노드(n1)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제1무선노드(n1)의 인식범위(n1_a) 내에 위치하며, 제3무선노드(n3)의 경우 제2무선노드(n2)의 인식범위(n2_a) 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위치서버(10)가 제2 및 제3무선노드(n2, n3)의 위치데이터를 취득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위치서버(10)의 경우 무선노드들의 위치확인을 위해 자신들의 위치데이터를 전송하라는 신호인 위치데이터요청신호(Req_Loc)를 발신한다. 무선노드가 위치서버(10)의 인식범위(10_a)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위치데이터요청신호(Req_Loc)를 자신의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한다. 무선노드의 통신모듈은 위치데이터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확인신호(Ack)를 자신의 식별코드와 함께 발신하고, 위치데이터생성모듈에서 위치데이터를 생성하여 위치서버(10)로 전송한다. 위치서버(10)의 제어모듈(12)은 전송받은 수신확인신호(Ack)의 식별코드와 DB(11)에 저장된 각 무선노드의 식별코드를 비교,분석하여 수신확인신호(Ack)가 전송되지 않은 무선노드를 확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무선노드(n2)와 제3무선노드(n3)가 위치서버(10)의 인식범위(10_a) 밖에 위치하므로 위치서버(10)는 제2무선노드(n2)와 제3무선노드(n3)로부터 발신된 수신확인신호(Ack)를 전송받지 못할 것이다. 제어모듈(12)은 수신확인신호(Ack)가 전송되지 않은 무선노드들의 식별코드가 포함된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모듈(13)을 통해 발신한다.
무선노드의 통신모듈(22, 22')은 위치데이터요청신호 또는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여 위치데이터요청신호인 경우에는 수신확인신호(Ack)를 자신의 식별코드와 함께 발신하고, 위치데이터생성모듈에 자신의 위치데이터를 생성하라는 명령을 전달한다. 또한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인 경우에는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에 포함된 식별코드를 자신의 식별코드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는 수신확인신호(Ack)를 자신의 식별코드와 함께 발신하고, 위치데이터생성모듈에 자신의 위치데이터를 생성하라는 명령을 전달한다. 또한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에 포함된 식별코드가 자신의 식별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받은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를 다시 발신한다.
위치서버(10)의 위치데이터요청신호(Req-Loc)를 전송받은 제1무선노드(n1)는 수신확인신호(Ack)를 자신의 식별코드와 함께 위치서버(10)로 전송하고, 위치데이터생성모듈을 통해 자신의 위치데이터(Loc_n1)를 생성하여 자신의 식별코드와 함께 위치서버(10)로 전송한다. 위치서버(10)의 제어모듈(12)은 전송받은 다수의 수신확인신호(Ack)를 DB(11)에 저장된 각 무선노드들의 식별코드와 비교, 분석하여 제2무선노드(n2)와 제3무선노드(n3)가 인식범위(10_a) 밖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 후 제어모듈(12)은 제2무선노드(n2)와 제3무선노드(n3)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Req_Loc_n2n3)를 발신한다. 상기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 Req_Loc_n2n3)는 제2 및 제3무선노드(n2, n3)의 위치확인을 위해 제2 및 제3무선노드의 식별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신호이므로 제2 또는 제3무선노드(n2, n3)만 상기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 Req_Loc_n2n3)에 응답하여 수신확인신호 및 위치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 Req_Loc_n2n3)를 전송받은 제1무선노드(n1)는 전송받은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 Req_Loc_n2n3)를 통신모듈을 통해 발신한다. 제1무선노드(n1)의 인식범위(n1_a) 내에 제2무선노드(n2)가 존재하므로, 제2무선노드(n2)는 통신모듈을 통해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 Req_Loc_n2n3)를 수신하며 식별코드를 자신의 식별코드와 비교하여 자신의 식별코드가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 Req_Loc_n2n3)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수신확인신호(Ack)를 제1무선노드(n1)로 전송하고 자신의 위치데이터생성모듈을 통해 위치데이터(Loc_n2)를 생성하여 제1무선노드(n1)로 전송한다. 제1무선노드(n1)는 전송받은 제2무선노드(n2)의 위치데이터(Loc_n2)를 다시 위치서버(10)로 전송한다. 위치서버(10)의 제어모듈(12)은 전송받은 위치데이터를 분석하여 제3무선노드(n3)의 위치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음을 인식하여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Req_Loc_n3)를 통신모듈(13)을 통해 다시 발신한다.상기 신호를 전송받은 제1무선노드(n1)는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Req_Loc_n3)를 발신하며, 제2무선노드가 상기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Req_Loc_n3)를 수신하고 자신의 통신모듈을 통해 다시 발신한다. 제2무선노드(n2)의 인식범위(n2a) 내에 위치하는 제3무선노드(n3)의 통신모듈은 상기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Req_Loc_n3)를 수신받아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Req_Loc_n3)에 포함된 식별코드를 분석하여 자신의 식별코드와 일치하므로 수신확인신호(Ack)를 발신하고 상기 수신확인신호(Ack)를 제2무선노드(n2)가 수신한다. 수신확인신호(Ack)를 전송한 제3무선노드(n3)는 위치데이터생성모듈을 통해 자신의 위치데이터(Loc_n3)를 생성하여 식별코드와 통신모듈을 통해 발신하며, 발신된 위치데이터(Loc_n3)는 제2무선노드(n2)와 제1무선노드(n3)를 순차적으로 거쳐 위치서버(10)로 전송된다. 따라서 위치서버(10)는 자신의 인식범위(10a) 밖에 위치하여 자신과 직접적인 무선통신을 통해서는 위치확인을 할 수 없는 제2 및 제3무선노드(n3)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데이터생성모듈의 위치데이터생성 동작을 표시한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데이터생성모듈에서 위치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무선노드의 위치데이터생성동작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무선노드들은 통신모듈을 통해 인근의 무선노드들이 발신한 무선신호를 반복적으로 수신하며, 수신한 무선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값인 RSSI를 획득한다.(S1)
위치데이터생성모듈은 획득한 RSSI가 3개 이상인지 미만인지를 판단하여 3개 미만인 경우 인근 무선노드들이 발신한 무선신호를 다시 수신하여 RSSI를 획득한다. 만약 획득된 RSSI가 3개 이상인 경우에는 다음단계로 넘어간다.(S2)
획득된 RSSI가 3개인 경우에는 다음단계로 바로 넘어가며, 3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RSSI가 큰 순서대로 3개를 선택하고 나머지 RSSI를 제거하며 선택된 3개의 RSSI를 다음단계로 전송한다.(S3)
다음으로 3개의 RSSI로부터 LQI를 생성한다. LQI는 Ling Quality Indication의 약자로 연결된 통신상태의 품질을 의미하며 값이 높을수록 통신품질이 우수함을 의미한다.(S4)
생성된 LQI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데이터를 생성한다.(S5)
도 5를 참조하여 S5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제4무선노드(n4)와, 제4무선노드(n4)와 무선통신 가능한 거리에 있는 제5 내지 제7무선노드(n5, n6, n7)가 있으며, 제4무선노드(n4)와 제5무선노드(n5)와의 LQI는 150이고, 제4무선노드(n4)와 제6무선노드(n6)와의 LQI는 75이고, 제4무선노드(n4)와 제7무선노드(n7)와의 LQI는 75이다. 3개의 LQI로부터 삼각측량방식으로 교점 또는 중복되는 공간이 제4무선노드(n4)의 위치가 된다. 이는 제5 내지 제7무선노드(n5, n6, n7)과의 관계에서의 상대위치에 불과하므로 이를 절대위치로 특정할 필요성이 있다.
먼저 제4무선노드(n4)의 위치를 특정하기 위해서는 제5 내지 제7무선노드(n5, n6, n7)의 위치를 특정하여야 한다. 즉 제5 내지 제7무선노드(n5, n6, n7)의 절대좌표가 필요하다. 위치파악을 하고자 하는 특정공간에는 다수의 무선노드들이 움직이거나 또는 고정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조건으로 특정 무선노드를 3개 선정하여 자신의 절대위치데이터를 알 수 있게 하고, 상기 3개의 특정 무선노드들로부터 순차적으로 인근에 있는 무선노드들이 자신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노드들은 이동성이 있으므로, 인근의 무선노드들과의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무선통신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무선노드가 인근에 위치한 무선노드들과의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인근에 하나의 무선노드만 있는 경우에도 자신의 위치를 방향과 LQI로부터 특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무선노드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 형태일 수 있으며, 일 예로 핸드폰, 타블렛 PC, 노트북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위치서버(10)의 DB(11)는 특정위치들에 대한 시각데이터(사진 동영상 등)와 정보데이터(상호, 전화번호, 맛집 등)들을 더 포함하고 있을 수 있으며, 특정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무선노드에게 특정위치에 대한 시각적인 데이터 및 각종 정보들을 전송하여 무선노드의 출력모듈(23')을 통해 특정위치에 대한 증강현실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위치서버 11; DB 12; 제어모듈
13; 통신모듈 20,20'; 무선노드 21,21'; 통신모듈
22,22'; 위치데이터생성모듈 23'; 출력모듈

Claims (3)

  1. 각 무선노드들에 대한 식별코드가 저장된 DB와, 위치데이터요청신호를 생성하고 수신확인신호 또는 위치데이터에 포함된 식별코드로부터 미수신된 식별코드가 확인되면 해당식별코드에 대한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를 생성하며, 수신된 위치데이터의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위치데이터요청신호 또는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를 발신하고, 무선노드로부터 발신된 수신확인신호와 위치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갖춘 위치서버; 및
    상기 위치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위치데이터요청신호와 자기 식별코드가 포함된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에 대응해서 자기 식별코드가 포함된 수신확인신호를 발신하고, 타 식별코드가 포함된 위치데이터재요청신호와 타식별코드가 포함된 위치데이터는 수신해 발신하는 통신모듈과, 인접무선노드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RSSI를 획득하여 위치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데이터생성모듈을 갖춘 무선노드;
    를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데이터생성모듈은 인접무선노드와의 무선통신을 통해 획득한 RSSI가 3개 이상인 경우 강도순으로 3개를 선택하여 위치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DB는 위치데이터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한 시각데이터 및 정보데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노드는 자신의 위치에 대응하는 시각데이터 및 정보데이터를 전송받아 출력하기 위한 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
KR1020110061441A 2011-06-24 2011-06-24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 KR101231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441A KR101231225B1 (ko) 2011-06-24 2011-06-24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441A KR101231225B1 (ko) 2011-06-24 2011-06-24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34A true KR20130000734A (ko) 2013-01-03
KR101231225B1 KR101231225B1 (ko) 2013-02-15

Family

ID=47834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441A KR101231225B1 (ko) 2011-06-24 2011-06-24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2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4589A (zh) * 2014-11-20 2015-03-04 北京东霖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单兵作战定位基站
KR101704777B1 (ko) * 2016-07-12 2017-02-08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IoT를 기반으로 다수 기준점에 대한 측량위치의 동시 보정이 가능한 통신형 지상 측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489B1 (ko) * 2018-07-12 2020-10-12 국방과학연구소 이동형 앵커 노드를 기반으로 하여 복수의 센서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195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지.피.에스 음영지역에 위치한 단말기와 지.피.에스위성과의 지.피.에스 신호 중계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과, 긴급구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47989A (ko) * 2008-10-30 2010-05-11 (주)아이티네이드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장치, 방법 및 그 단말
JP2010117241A (ja) 2008-11-13 2010-05-27 Panasonic Corp Sps受信端末
KR100990336B1 (ko) * 2008-12-16 2010-10-2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위치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4589A (zh) * 2014-11-20 2015-03-04 北京东霖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单兵作战定位基站
KR101704777B1 (ko) * 2016-07-12 2017-02-08 서울공간정보 주식회사 IoT를 기반으로 다수 기준점에 대한 측량위치의 동시 보정이 가능한 통신형 지상 측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1225B1 (ko) 201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3744B2 (en) Self-associat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Hassan et al. Indoor positioning using visible led lights: A survey
US7630323B2 (en) Self-configur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US20130181867A1 (en) Location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rray Elements for Location Tracking
CN103947285A (zh) 用于引导无线设备的用户建立去到另一无线设备的最优无线直接链路的方法、无线设备和无线通信系统
JP2007064978A (ja) 屋内位置追跡方法及び屋内位置追跡システム
CN102164343A (zh) 一种通信方法和系统
CN103957594A (zh) 一种终端定位的方法及装置
Li et al. An indoor ultrasonic positioning system based on TOA for Internet of Things
US11567195B2 (en) Ad hoc positioning of mobile devices using near ultrasound signals
CN107547587A (zh) 一种定位方法及装置
US11864152B2 (en) Location determination using acoustic-contextual data
KR20190059120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시설물 점검 시스템
KR101301020B1 (ko) 이동 노드 위치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노드 위치 인식 방법
KR101231225B1 (ko) 인식범위를 벗어난 무선노드의 위치확인을 위한 노드의 협업시스템
JP2006343161A (ja) 測位システム、無線端末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測位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CN114424593A (zh) 利用现有基础设施进行被动感测器追踪
EP3373025A1 (en) System for creating radio wave state map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338512A (zh) 多目标定位系统及多目标定位方法
KR20190055427A (ko)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JP2006250635A (ja) 座標情報取得利用システム、座標情報取得利用システム用の受信端末、及び座標情報取得利用方法
Torres‐Zapata et al. Implementation of a VLC‐based indoor localization system
CN109922426B (zh) 平面二维基站定位方法及装置
JP2007194801A (ja) 端末位置情報の統合システム
JP4723177B2 (ja) 位置情報取り込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