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474A - 전계 방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전계 방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474A
KR20120139474A KR1020110059299A KR20110059299A KR20120139474A KR 20120139474 A KR20120139474 A KR 20120139474A KR 1020110059299 A KR1020110059299 A KR 1020110059299A KR 20110059299 A KR20110059299 A KR 20110059299A KR 20120139474 A KR20120139474 A KR 20120139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electrode
electrode
anode
side fram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영
권병석
이상진
장동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9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9474A/ko
Priority to EP12151565.4A priority patent/EP2535917A3/en
Priority to US13/525,886 priority patent/US20120320285A1/en
Publication of KR2012013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0Leading-in arrangements; Se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3/00Cathode-ray or electron-stream lamps
    • H01J63/02Details, e.g. electrode, gas filling, shape of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3/00Cathode-ray or electron-stream lamps
    • H01J63/06Lamps with luminescent screen excited by the ray or str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계 방출 장치는, 캐소드 판과, 상기 캐소드 판의 전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캐소드 판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애노드 판과, 상기 애노드 판에 형성된 애노드 전극과, 상기 애노드 판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애노드 전극과 접촉하는 제1단부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단부를 포함하는 연결 전극, 및 상기 연결 전극의 제1단부가 상기 애노드 전극과 접촉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계 방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Field emmission apparatus and Liquid cristal dispa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계 방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계 방출 장치의 애노드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극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계 방출 장치는 전계 방출 현상을 이용하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장치로 사용되거나,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계 방출 장치는 상판과 하판이 이격되어 있으며, 그 사이의 공간이 진공 상태로 밀봉이 되어 있다. 따라서, 진공 상태에서 상하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스페이서를 사용하고 있다. 상판은 애노드 전극이 형성되는 애노드 판이고 하판은 캐소드 전극이 형성되는 캐소드 판이다. 애노드 전극은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고전압의 전원을 인가받기 위해 연결 전극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결 전극은 장기간 사용하여도 저항 특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전계 방출 장치의 무효 면적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하여도 저항 특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무효 면적을 최소로 할 수 있는 연결 전극을 구비하는 전계 방출 장치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전계 방출 장치는 캐소드 판; 상기 캐소드 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사이드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캐소드 판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애노드 판; 상기 애노드 판에 형성된 애노드 전극; 상기 애노드 판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애노드 전극과 접촉하는 제1단부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단부를 포함하는 연결 전극; 및 상기 연결 전극의 제1단부가 상기 애노드 전극과 접촉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전계 방출 장치는 상기 연결 전극의 제2단부에 설치되는 금속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계 방출 장치는 상기 애노드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금속 핀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소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핀은 상기 연결 전극의 제2단부에 스폿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전극의 제2단부와 상기 금속 핀은 유동하지 않도록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애노드 판과 상기 캐소드 판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전극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을 상기 연결 전극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전극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 전극의 제1단부에서 연결 전극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프릿(frit)으로 상기 연결 전극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전극은 표면에 크롬(Cr) 산화막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후막 구조의 연결 전극을 구비한 전계 방출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연결 전극을 구비한 전계 방출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3은 애노드 판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고 캐소드 판이 분리된 전계 방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연결 전극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전계 방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연결 전극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다른 구조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연결 전극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또 다른 구조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연결 전극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또 다른 구조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연결 전극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계 방출 장치를 백라이트유닛으로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계 방출 장치를 백라이트유닛으로 사용하는 텔레비젼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후막 구조의 연결 전극을 구비한 전계 방출 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계 방출 장치(1)는 캐소드 판(10), 애노드 판(20), 사이드 프레임(30), 및 복수 개의 스페이서(40)를 포함한다.
캐소드 판(10)은 얇은 유리판으로 구성되며, 유리판의 상면에 캐소드 전극(11)이 형성된다. 캐소드 전극(11)에 전원이 인가되면 캐소드 전극(11)에서 전자가 방출된다.
애노드 판(20)은 캐소드 판(10)에 대응되는 크기의 얇은 유리판으로 형성되며, 유리판의 하면에 애노드 전극(21)이 형성된다. 애노드 전극(21)에는 수백 V 내지 수 kV의 고전압이 인가되어 있어 캐소드 전극(11)에서 방출된 전자는 애노드 전극(21)으로 이동하게 된다. 애노드 전극(21)의 상측으로는 형광물질이 도포되어 있으므로, 애노드 전극(21)으로 인입되는 전자가 형광물질에 충돌하면 빛이 발생한다.
사이드 프레임(30)은 캐소드 판(10)과 애노드 판(2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로 진공을 유지할 수 있도록 캐소드 판(10)과 애노드 판(20)의 사이에 캐소드 판(10)과 애노드 판(20)의 전 둘레에 설치된다. 캐소드 판(10)과 사이드 프레임(30)의 하면 사이에는 실링재(32)가 도포된다. 애노드 판(20)과 사이드 프레임(30)의 상면 사이에도 실링재(31)가 도포되어 캐소드 판(10)과 애노드 판(20) 사이의 공간(S)이 진공을 유지하도록 한다. 실링재(31)로는 프릿(frit)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캐소드 판(10)과 애노드 판(20) 사이의 공간(S)에는 진공 상태에서 캐소드 판(10)과 애노드 판(2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스페이서(40)가 설치된다. 스페이서(40)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된다.
애노드 전극(21)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연결 전극(23)은 애노드 판(20)을 구성하는 유리판에 도전성 페이스트(paste)로 형성된다. 즉, 전계 방출 장치(1)의 애노드 연결 전극(23)은 도전성 페이스트를 유리판에 소정 패턴으로 인쇄한 후막 구조이다. 애노드 판(20)에 형성된 패턴화된 애노드 연결 전극(23)은 사이드 프레임(30)의 상면과 애노드 판(20) 사이를 통과하여 사이드 프레임(30)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외부로 노출된 연결 전극(23)에는 전원공급장치(미도시)가 연결된다. 그런데, 도 1의 전계 방출 장치(1)는 연결 전극(23)을 형성하기 위해 애노드 판(20)이 사이드 프레임(30)을 넘어 일정 길이(L1)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연장된 부분(20a)은 빛을 발생시키지 않는 무효한 부분으로서 전계 방출 장치(1)의 크기를 크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후막 형태의 연결 전극(23)이 애노드 판(20)과 사이드 프레임(30) 사이의 밀봉을 위해 사용되는 실링재(31)를 통과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 연결 전극으로 사용되는 후막(23)이 손상되어 저항 특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결 전극을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금속 연결 전극을 사용하는 전계 방출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계 방출 장치(2)는 캐소드 판(10), 애노드 판(20), 사이드 프레임(30), 복수 개의 스페이서(40) 및 연결 전극 조립체(50)를 포함한다.
캐소드 판(10), 사이드 프레임(30), 복수 개의 스페이서(40)는 상술한 도 1의 전계 방출 장치(1)의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애노드 판(20')도 상술한 애노드 판(20)과 유사하나, 사이드 프레임(30)의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20a)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점에 의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애노드 판(20')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연결 전극 조립체(50)는 외부의 전원공급장치(90, 도 5 참조)에 연결되어 애노드 판(20')과 캐소드 판(10) 사이의 공간(S)에 위치한 애노드 전극(21)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연결 전극 조립체(50)는 연결 전극(60), 지지부재(51), 금속 핀(5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전극(60)은 애노드 판(20')과 사이드 프레임(30) 사이에 위치하며, 애노드 전극(21)과 접촉하는 제1단부(61)와 사이드 프레임(3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단부(62)를 포함한다. 연결 전극(60)은 도전성이 좋은 금속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단부(62)에 전원공급장치(90)가 연결되면 제1단부(61)에 접촉된 애노드 전극(21)에 전기가 공급된다. 연결 전극(60)은 약 0.5mm 정도의 얇은 금속으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전극의 표면에는 크롬(Cr) 산화막을 형성할 수 있다. 크롬 산화막을 형성하면, 애노드 판(20') 및 사이드 프레임(30) 사이의 프릿과의 계면에서 기밀한 접합이 이루어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 전극(60)은 제1단부(61)와 제2단부(62)를 연결하는 중간부(63)가 3개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연결 전극(60)의 일 예일 뿐이며, 이것이 연결 전극(6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중간부(63)는 제1단부(61)와 제2단부(62)와 동일한 폭을 갖는 한 개의 띠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연결 전극(60)의 중간부(63)를 도 4와 같이 형성하면, 연결 전극(60)의 상하에 있는 애노드 판(20')과 사이드 프레임(30) 사이에 실링을 하는데 효과적이다. 즉, 연결 전극(60)의 하부에 있는 실링재(33)와 연결 전극(60)의 상부에 있는 실링재(34)가 중간부(63)의 슬롯(64)을 통해 연결되므로 실링이 효과적이다.
지지부재(51)는 연결 전극(60)의 제1단부(61)를 애노드 전극(21)에 밀착시키는 것으로서, 일단이 연결 전극(60)에 고정되며, 타단은 캐소드 판(10)에 접촉된다. 캐소드 판(10)과 애노드 판(20') 사이의 공간(S)은 진공 상태이므로, 진공압력에 의해 지지부재(51)가 연결 전극(60)의 제1단부(61)를 가압하므로 제1단부(61)가 애노드 전극(21)에 밀착된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 전극(60)은 2개의 지지부재(51)에 의해 애노드 전극(21)에 밀착된다. 그러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연결 전극(60)은 한 개의 지지부재(51)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또는 3개 이상의 지지부재(51)에 의해 가압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재(51)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며, 연결 전극(60)을 애노드 전극(21)에 밀착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51)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40)와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스페이서(40) 중 적어도 한 개를 지지부재(51)로 사용하면, 지지부재(51)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가 편리하다.
지지부재(51)는 조립시에 연결 전극(60)과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 전극(60)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재(51)는 일단에 프릿(frit)을 도포하여 연결 전극(60)의 제1단부(61)에 접합할 수 있다. 또는 다른 방법으로 연결 전극(60)에 고정 구조물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지지부재(51)를 고정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다양한 구조의 고정부재(70,70',70",80)를 구비한 연결 전극(60)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 전극(60)의 제1단부(61)의 끝에는 고정부재(70)가 설치된다. 고정부재(70)는 연결 전극(60)의 제1단부(61)에서 연장되며 연결 전극(60)의 상면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부(71)와 절곡부(71)의 양측면에서 연장되며 지지부재(51)의 하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72,73)를 포함한다. 고정부(72,73)는 연결 전극(60)과 간섭되지 않도록 연결 전극(60)에서 일정 간격(G) 이격되는 것이 좋다. 고정부(72,7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71)의 양측면에서 연장되어 핀셋 형상으로 절곡되어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재(51)를 절곡부(71)로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재(51)는 고정부(72,73)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 전극(60)에 고정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연결 전극(60)의 제1단부(61)의 끝에는 고정부재(70')가 설치된다. 도 7의 고정부재(70')는 도 6의 고정부재(70)와 마찬가지로 절곡부(71')와 고정부(72',73')를 포함한다. 절곡부(71')는 연결 전극(60)의 상면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되며, 고정부(72',73')는 절곡부(71')의 양측면에서 연장된다. 고정부(72',73')는 지지부재(51)에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되어 지지부재(51)의 하단부를 감싸며, 자체의 탄성력으로 지지부재(51)를 절곡부(71') 쪽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재(51)는 고정부(71')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 전극(60)에 고정된다.
도 8에는 다른 형태의 고정부재(70")를 갖는 연결 전극(60)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고정부재(70")는 도 7의 고정부재(70')와 유사하나, 지지부재(51)가 절곡부(71")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절곡부(71")와 고정부(72",73") 사이에 계단부(74)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고정부(72",73")는 도 7의 고정부(72',73')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형태이 고정부재(80)를 갖는 연결 전극(60)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고정부재(70,70',70")는 고정부(72,73,72',73',72",73")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부재(51)를 연결 전극(60)에 고정하였으나, 도 9의 고정부재(80)는 탄성력을 이용하지 않고 지지부재(51)를 고정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부재(80)는 연결 전극(60)의 제1단부(61)의 끝에서 연결 전극(60)의 상면에 대해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1절곡부(81)와 제1단부(61)의 양측면에서 연결 전극(60)의 상면에 대해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2절곡부(82)와 제3절곡부(83)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81-1)는 제1절곡부(81)에서 연장되며 연결 전극(60)과 평행하게 절곡된다. 제1고정부(81-1)에는 지지부재(51)가 삽입되는 2개의 상부 고정구멍(81a)이 형성된다. 제2고정부(82-1)는 제2절곡부(82)에서 연장되며 연결 전극(60)과 평행하게 절곡된다. 제3고정부(83-1)는 제3절곡부(83)에서 연장되며 연결 전극(60)과 평행하게 절곡된다. 제2절곡부 및 고정부(82,82-1)와 제3절곡부 및 고정부(83,83-1)는 서로 마주하는 대칭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및 제3고정부(82-1,83-1)에는 지지부재(51)가 삽입되는 하부 고정구멍(82a,83a)이 형성된다. 제1고정부(81-1)는 제2 및 제3고정부(82-1,83-1)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부재(51)를 제1 내지 제3고정부(81-1,82-1,83-1)의 상부 및 하부 고정구멍(81a,82a,83a)에 삽입하면, 지지부재(51)가 연결 전극(60)에 고정되어 넘어지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지지부재(51)를 연결 전극(60)에 고정하는 여러 형태의 고정부재(70,70',70",80)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고정부재의 몇 가지 예일 뿐이며, 고정부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재(51)가 연결 전극(60)에 대해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으면 어떠한 구조의 고정부재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금속 핀(52)은 연결 전극(60)의 제2단부(62)에 설치된다. 금속 핀(52)은 전원공급장치(90)와의 연결을 위한 것으로서, 제2단부(62)에 스폿 용접(spot welding)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90)는 애노드 전극(21)에 고압의 전기를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금속 핀(52)과 연결되는 소켓(9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핀(52)의 일단과 소켓(91)을 접속하면, 전원공급장치(90)에서 공급되는 전압이 금속 핀(52)과 연결 전극(60)을 통해 애노드 전극(21)으로 인가된다. 또한, 연결 전극(60)의 제2단부(62)가 사이드 프레임(30)에 대해 유동하지 않도록 금속 핀(52)과 연결 전극(60)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사이드 프레임(30)에 고정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핀(52)을 사용하여 전원공급장치(90)를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금속 핀(52)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원공급장치(90)의 전원 공급용 단자(미도시)를 연결 전극(60)의 제2단부(62)에 직접 접속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 전극(60)을 얇은 금속판으로 형성하고, 이를 지지부재(51)로 가압하여 애노드 전극(21)에 접촉하도록 하면, 장기간 사용하여도 연결 전극(60)의 저항 특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연결 전극(60)이 파손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연결 전극(60)이 사이드 프레임(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L2)를 애노드 판(20)에 소정 패턴을 인쇄하여 연결 전극(23)을 형성하기 위해 사이드 프레임(30)에서 돌출된 애노드 판(20a, 도 1 참조)의 길이(L1, 도 1 참조)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 연결 전극(23, 도 1 참조)의 경우는 애노드 판(20)이 10mm 돌출되며, 금속 연결 전극(60)의 경우는 금속 연결 전극(60)이 약 5mm 돌출된다. 따라서, 금속 연결 전극(60)을 사용하면, 무효 면적이 축소되므로 전계 방출 장치(2)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계 방출 장치(2)가 백라이트유닛으로 사용된 액정표시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100)는 액정 패널(110)과 액정 패널(110)을 수용하는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케이스(120)의 내부에 액정 패널(110)의 하부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계 방출 장치(2)가 설치된다. 액정 패널(110)은 상술한 전계 방출 장치(2)에 의해 빛을 공급받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계 방출 장치(2)를 사용하면, 연결 전극(60)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100)의 무효 면적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저항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표시장치(100)가 적용된 텔레비젼(200)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런 텔레비젼(200)은 신호 수신부(210), 신호 처리부(220), 스피커(230), 및 액정표시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210)는 영상 정보나 음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외부 신호를 수신한다. 외부 신호는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방송 신호가 될 수 있으며, DVD 플레이어나 PC 등과 같은 주변 장치가 내보는 출력 신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수신부(21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튜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DVD 플레이어나 PC 등이 내보내는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커넥터와 같은 연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신호 처리부(220)는 신호 수신부(210)가 수신한 외부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액정표시장치(100)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 및 스피커(230)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신호를 생성한다.
스피커(230)는 신호 처리부(220)가 생성한 음성 신호를 전달받아 음성을 출력한다.
액정표시장치(100)는 신호 처리부(220)가 생성한 영상 신호를 전달받아 영상을 표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액정표시장치(100)는 금속 연결 전극(60)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여도 저항 특성이 저하되지 않고, 무효 면적이 축소되므로 크기를 최소로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도 11을 참고하여 액정표시장치(100)가 텔레비젼(200)에 적용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일 예일 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계 방출 장치를 백라이트유닛으로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100)는 컴퓨터 모니터, 전광판, 모바일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2; 전계 방출 장치 10; 캐소드 판
11; 캐소드 전극 20; 애노드 판
21; 애노드 전극 30; 사이드 프레임
31,32,33; 실링재 40; 스페이서
50; 연결 전극 조립체 51; 지지부재
52; 금속 핀 60; 연결 전극
61; 제1단부 62; 제2단부
63; 중간부 64; 슬롯
70,80; 고정부재 71,81,82,83; 절곡부
72,72',72",73,73',73",81-1,82-1,83-1; 고정부
90; 전원공급장치 91; 소켓
100; 액정표시장치 110; 액정패널
120; 케이스 200; 텔레비젼

Claims (12)

  1. 캐소드 판;
    상기 캐소드 판의 전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사이드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캐소드 판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애노드 판;
    상기 애노드 판에 형성된 애노드 전극;
    상기 애노드 판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애노드 전극과 접촉하는 제1단부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단부를 포함하는 연결 전극; 및
    상기 연결 전극의 제1단부가 상기 애노드 전극과 접촉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전극의 제2단부에 설치되는 금속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금속 핀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핀은 상기 연결 전극의 제2단부에 스폿 용접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전극의 제2단부와 상기 금속 핀은 유동하지 않도록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애노드 판과 상기 캐소드 판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전극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을 상기 연결 전극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전극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 전극의 제1단부에서 연결 전극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프릿(frit)으로 상기 연결 전극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전극은 표면에 크롬(Cr) 산화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방출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전계 방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2. 제 11 항의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KR1020110059299A 2011-06-17 2011-06-17 전계 방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20139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299A KR20120139474A (ko) 2011-06-17 2011-06-17 전계 방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EP12151565.4A EP2535917A3 (en) 2011-06-17 2012-01-18 Field emission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US13/525,886 US20120320285A1 (en) 2011-06-17 2012-06-18 Field emission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9299A KR20120139474A (ko) 2011-06-17 2011-06-17 전계 방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474A true KR20120139474A (ko) 2012-12-27

Family

ID=45655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299A KR20120139474A (ko) 2011-06-17 2011-06-17 전계 방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320285A1 (ko)
EP (1) EP2535917A3 (ko)
KR (1) KR20120139474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0027A (ja) * 1983-12-15 1985-07-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6114804A (en) * 1997-03-21 2000-09-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apparatus having recessed envelope for placement of electrode
JP4316750B2 (ja) * 1999-11-24 2009-08-19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平型蛍光表示管
JP4103679B2 (ja) * 2003-05-21 2008-06-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JP2007184150A (ja) * 2006-01-06 2007-07-19 Hitachi Displays Ltd 画像表示装置
KR100804704B1 (ko) * 2006-10-23 2008-02-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장치 및 표시 장치
KR100903617B1 (ko) * 2007-09-11 2009-06-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
KR20110107195A (ko) * 2010-03-24 2011-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계 방출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5917A3 (en) 2013-07-03
US20120320285A1 (en) 2012-12-20
EP2535917A2 (en) 201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8346B2 (en) Lamp assembly, light supplying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7282852B2 (en) Electron-emit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83255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2170521A (ja) 平面型蛍光ランプ、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8702263B2 (en) Lighting device, relay connector,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727713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device
US2013002763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H10505437A (ja) 表示装置
JP2016142965A (ja) 液晶表示装置
KR20120139474A (ko) 전계 방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2011129487A (ja) 表示装置
JP2008066116A (ja) 蛍光管用コネクタ装置、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US10495926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1005103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0434324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용 램프의 단자 연결구조
US20060120074A1 (en) Lamp,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678633B2 (en) Lamp electrode printed circuit board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US20110279737A1 (en) Ligh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090066217A1 (en) Display device having a backlight device
US20100245682A1 (en) Ligh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130107134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2011022381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10279051A1 (en) Ligh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110085091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CN115793300A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