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7111A - 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37111A KR20120137111A KR1020110056445A KR20110056445A KR20120137111A KR 20120137111 A KR20120137111 A KR 20120137111A KR 1020110056445 A KR1020110056445 A KR 1020110056445A KR 20110056445 A KR20110056445 A KR 20110056445A KR 20120137111 A KR20120137111 A KR 201201371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sopores
- silica
- core
- shell
- silica particles
- Prior art date
Links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5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9000011258 core-shell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4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125000005210 alkyl ammonium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039 wet et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495 polar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KXGFMDJXCMQABM-UHFFFAOYSA-N 2-methoxy-6-methylphenol Chemical compound [CH]OC1=CC=CC([CH])=C1O KXGFMDJXCMQAB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807 Urea-formaldehy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180 alkyd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568 phenol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779 poly(divinylbenz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239 polyacrylonitril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ODGAOXROABLFNM-UHFFFAOYSA-N polynoxylin Chemical compound O=C.NC(N)=O ODGAOXROABLFN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128 polypyrrol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717 polyvinylpyridi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KWYUFKZDYYNOTN-UHFFFAOYSA-M potassium hydroxide Substances [OH-].[K+] KWYUFKZDYYNOTN-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4945 aromatic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claims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08000034188 Stiff person spectrum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0
- DIOQZVSQGTUSAI-UHFFFAOYSA-N dec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 DIOQZVSQGTUSA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6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BOTDANWDWHJENH-UHFFFAOYSA-N Tetraethyl orthosilicate Chemical compound CCO[Si](OCC)(OCC)OCC BOTDANWDWHJEN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WZEYZMKZKQPXSX-UHFFFAOYSA-N 1,3,5-trimethylbenz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C1.CC1=CC(C)=CC(C)=C1 WZEYZMKZKQPXS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AUHZEENZYGFFBQ-UHFFFAOYSA-N 1,3,5-Me3C6H3 Natural products CC1=CC(C)=CC(C)=C1 AUHZEENZYGFFB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LZZYPRNAOMGNLH-UHFFFAOYSA-M Cetrimonium bromide Chemical compound [Br-].CCCCCCCCCCCCCCCC[N+](C)(C)C LZZYPRNAOMGNL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027 hydrothermal 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BNGXYYYYKUGPPF-UHFFFAOYSA-M (3-methylphenyl)methyl-triphenylphosphanium;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1=CC=CC(C[P+](C=2C=CC=CC=2)(C=2C=CC=CC=2)C=2C=CC=CC=2)=C1 BNGXYYYYKUGPP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VHUUQVKOLVNVRT-UHFFFAOYSA-N Ammo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NH4+].[OH-] VHUUQVKOLVNV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114 ammonium hyd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766 differential mobility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7 TEM im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SCWAEJMTAWNJL-UHFFFAOYSA-K aluminium tr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l](Cl)Cl VSCWAEJMTAWNJL-UHFFFAOYSA-K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02 bimo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33 carbon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OWHHFRSBJGXCM-UHFFFAOYSA-M cetyltrimethylammon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CCCCCCCCCCCCCC[N+](C)(C)C WOWHHFRSBJGXCM-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10 chemical reaction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77 drug deli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52 mother liqu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6 re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41 reaction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26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CPELXLSAUQHCOX-UHFFFAOYSA-M Bromide Chemical compound [Br-] CPELXLSAUQHCOX-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06 Fillers/Extend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40 Microbia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651 NO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NHNBFGGVMKEFGY-UHFFFAOYSA-N Nitrate Chemical compound [O-][N+]([O-])=O NHNBFGGVMKEFG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40373 Paraformaldehy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63 ad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GDITNMASUZKPW-UHFFFAOYSA-K aluminium trichloride hexahydrate Chemical compound O.O.O.O.O.O.Cl[Al](Cl)Cl JGDITNMASUZKPW-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29940063656 aluminum 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9861 aluminum chloride hexahyd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SWLVFNYSXGMGBS-UHFFFAOYSA-N ammonium bromide Chemical compound [NH4+].[Br-] SWLVFNYSXGMGB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 carbon Silica complex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555 catalytic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RLGQACBPNDBWTB-UHFFFAOYSA-N cetyltrimethylammonium ion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N+](C)(C)C RLGQACBPNDBWT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67 deionis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641 deionized wat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group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66 paraformaldehy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8 potassium flu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0 scann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38 self-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5 sodium flu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36 sorption--de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98 spherical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2 storag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QMOLLPKNHFRAC-UHFFFAOYSA-N tetrabutyl silicate Chemical compound CCCCO[Si](OCCCC)(OCCCC)OCCCC UQMOLLPKNHFRA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FQCEHFDDXELDD-UHFFFAOYSA-N tetramethyl orthosilicate Chemical compound CO[Si](OC)(OC)OC LFQCEHFDDXELD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5070 tetrapropyl orthosilic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ZQZCOBSUOFHDEE-UHFFFAOYSA-N tetrapropyl silicate Chemical compound CCCO[Si](OCCC)(OCCC)OCCC ZQZCOBSUOFHDE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27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8—Preparation of finely divided silica neither in sol nor in gel form; After-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comprising silic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4—Sorbent size or size distribution, e.g. particle size
- B01J20/28007—Sorbent size or size distribution, e.g. particle size with size in the range 1-100 nanometers, e.g. nanosized particles, nanofibers, nanotubes, nanowire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8—Silic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4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dimensions, e.g. grain size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6—Pore dia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분산된 실리카 입자로부터 단일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입자를 제조하고 이 표면에 직접 다른 메조기공을 형성하여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를 제조한 다음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의 메조기공 표면에 알루미늄의 함침에 의한 산점을 형성시킨 후, 이들의 표면에서 고분자화 반응을 유도하여 고분자/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고분자/실리카 복합체를 비활성 기체 하에서 고온으로 열처리하여 탄소/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하여, 상기 탄소/실리카 복합체로부터 습식에칭에 의해 실리카 주형체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단일메조기공 쉘을 가진 중공형 탄소 캡슐을 제조하고 다시 실리카 전구체를 사용하여 탄소/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한 다음 가열해서 탄소 주형체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이중메조기공 쉘을 가지는 중공형 실리카 캡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와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실리카 캡슐은 다양한 크기의 세공, 넓은 비표면적 및 큰 세공부피를 갖기 때문에 컬럼 충진 물질, 촉매, 약물전달 물질 등 광범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와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실리카 캡슐은 다양한 크기의 세공, 넓은 비표면적 및 큰 세공부피를 갖기 때문에 컬럼 충진 물질, 촉매, 약물전달 물질 등 광범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메조기공크기를 나타내는 단분산된 이중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입자(DMSs)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작은 단일메조기공 크기를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의 메조기공 표면위에서 더 큰 메조기공 크기를 가진 외층이 직접 제조되는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된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로부터 고분자 전구체의 양을 조절하여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탄소 캡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된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탄소 캡슐로부터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실리카 캡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계면활성제와 같은 연질 주형체를 기반으로 한 잘 정렬된 공극구조를 가지는 다양한 크기의 나노구조의 실리카는 그의 독특한 구조, 특성 및 적용분야의 광범위 등의 이유로 기공 크기 및 기공 분포를 조절하는 등의 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오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보고된 것은 대부분 파이버, 필름 형태의 것에 관한 것이었다.
최근에는 단일 분포의 공극을 갖는 실리카와 비교하여 마이크로-메조, 마이크로-매크로, 메조-메조, 메조-마이크로와 같은 크고 작은 크기의 이중기공의 바이모달 분포를 갖는 다공성 실리카는 비표면적 및 공극율을 유지하면서 더욱 증가된 물질전달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많이 보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중기공 다공성 실리카는 작은 기공의 형성을 위해 계면활성제와 같은 구조형성물질과 큰 기공의 형성을 위해 콜로이드 결정, 폴리머 폼, 바이오셀룰로스, 현탁액 같은 주형들의 조합에 의해 합성되었다. 그러나, 조절된 입자 크기와 세공 크기를 갖는 구형의 나노다공성 실리카 입자는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촉매반응, 약물전달체 등과 같은 응용성에 있어서 강하게 요구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이중기공 다공성 실리카는 벌크상으로 얻어졌다.
지난 10년 이상동안, 구형의 메조다공성 실리카 입자는 많은 연구 그룹에서 합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물질들은 약 530 nm ~ 1250 nm 크기의 제한된 범위에서 매우 다분산된 크기를 보였다. 입자 크기, 모양, 그리고 다공성도를 조절하는 새로운 전략으로써, 실리카 전구체와 유기 주형체의 자기조립을 통해 실리카 입자의 코어위에서 메조다공성 껍질의 합성이 보고되었다. 비록 이들 코어-쉘 실리카 입자가 균일한 기공 크기를 갖는 구형의 입자일지라도, 이들은 단일크기의 메조기공을 보였다. 개별 입자들에 이중기공 구조를 갖는 메조다공성 실리카 입자의 합성은 매우 제한적이고 제올라이트 코어와 메조다공성 껍질 구조를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의 제조와 같은 몇몇의 보고가 있었다. 즉, 개별 입자 내에 크기가 다른 메조기공을 가지며 바이모달 구조를 가지는 단분산된 다공성 실리카 입자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해 다양한 크기의 다중기공 크기, 넓은 비표면적, 그리고 큰 기공 부피를 갖는 이중메조기공을 가지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단분산된 실리카 입자로부터 단일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입자를 제조하고 이 표면에 직접 이중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입자를 제조한다. 다시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의 메조기공의 표면에 알루미늄의 함침에 의한 산점을 형성시킨 후, 이들의 표면에서 고분자화 반응을 유도하여 고분자/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고분자/실리카 복합체를 비활성 기체 하에서 고온으로 열처리하여 탄소/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하여, 상기 탄소/실리카 복합체로부터 습식에칭에 의해 실리카 구조체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단일메조기공을 가진 중공형 탄소 캡슐을 제조하고 다시 실리카 전구체를 사용하여 탄소/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한 후, 열처리해서 탄소 구조체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이중메조기공을 가지는 중공형 실리카 캡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분산된 실리카 입자로부터 단일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입자를 제조하고 다시 이 표면에 직접 다른 메조기공을 형성하여 이중메조기공 구조를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를 제조하고 알루미늄의 함침에 의한 산점을 형성시킨 후, 이들의 표면에서 고분자화 반응을 유도하여 고분자/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고분자/실리카 복합체를 비활성 기체 하에서 고온으로 열처리하여 탄소/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탄소/실리카 복합체로부터 습식에칭에 의해 실리카 구조체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단일메조기공을 가진 중공형 탄소 캡슐을 제조하고 다시 실리카 전구체를 사용하여 탄소/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한 후, 열처리해서 탄소 구조체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이중메조기공을 가지는 중공형 실리카 캡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실리카 캡슐은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기공크기를 구비한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로부터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를 제조해 주형체로 이용함으로서 이들 메조세공에 다양한 양의 탄소 전구체를 도입하여 다양한 기공크기로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중메조기공을 가짐으로써 또한 비표면적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실리카 입자는, 보다 구체적으로 실리카 전구체로부터 단분산된 실리카 나노입자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분산된 실리카 나노입자의 제조에 있어서 반응용매로는 알코올, 물, 암모니아를 포함하는 혼합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반응시간은 1 ~ 24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양한 기공크기를 구비한 단일 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는 실리카 입자에 실리카 및 유기주형체 용액을 첨가하여 수열반응 후 열처리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기 주형체 용액은 기공확장제로 비극성 유기용매, 반응용매,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실리카 전구체는 테트라메틸오르토실리케이트 (tetramethylorthosilicate),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 (tetraethylorthosilicate), 테트라프로필오르토실리케이트 (tetrapropylorthosilicate), 테트라부틸오르토실리케이트 (tetrabutylorthosilic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리카 전구체는 실리카 입자 제조에서 실리카 전구체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기공크기를 구비한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유기주형체 용액은 알킬암모늄 계면활성제, 물, 알코올, 암모니아를 포함하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알킬암모늄 계면활성제는 메조다공성 실리카 주형체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직쇄 또는 분직쇄의 (C4 ~ C24)알킬암모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r) 또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cetyltrimethylammonium chloride; CTACl)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단일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입자를 제조할 때, 실리카 전구체, 알킬암모늄 계면활성제, 기공확장제인 1,3,5-트리메틸벤젠 (1,3,5-trimethylbenzene; TMB) 및 데케인 (decane)은 다양한 몰비로 혼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리카 전구체 1몰당 알킬암모늄 계면활성제 0.12 ~ 0.34 몰, 1,3,5-트리메틸벤젠 (1,3,5-trimethylbenzene; TMB) 0.00 ~ 2.40 몰 및 데케인 (decane) 0.00 ~ 2.72 몰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열반응은 1 ~ 24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반응온도는 25 ~ 150 ℃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열반응 후 분리 및 세척하여 건조한 후 열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열처리는 400 ~ 900 ℃에서 1 ~ 24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를 통하여 알킬암모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기물 성분을 제거하며, 이로부터 다양한 기공 크기를 갖는 단일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분리, 세척 및 건조는, 구체적으로 원심 분리 등을 이용하여 모액으로부터 분리하고 알코올로 세척한 후 오븐에서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제조는 기공확장제로서 비극성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한 단일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입자를 사용하는 것 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는데 단일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입자의 메조기공 표면에 더 큰 기공 크기를 가진 메조기공이 바로 합성된다.
상기 비극성 유기용매는 보다 구체적으로 1,3,5-트리메틸벤젠 (1,3,5-trimethylbenzene; TMB), 데케인 (deca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극성 유기용매를 사용함으로서 다른 메조기공크기를 갖는 이중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입자를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제조된 이중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입자는 다양한 기공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중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입자의 메조기공 표면에 알루미늄의 함침은 알루미늄 용액을 주입한 후 건조 및 열처리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는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알루미늄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 알루미늄 나이트레이트, 알루미늄 나이트레이트 노난하이드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는 0.01 ~ 1.00 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는 오븐에서 건조할 수 있으며, 상기 열처리는 400 ~ 900 ℃에서 1 ~ 24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를 통하여 이중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입자의 메조기공 표면에 알루미늄의 함침에 의한 산점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분자/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고분자 전구체는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알카이드 레진,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디비닐벤젠(polydivinylbenzene), 폴리비닐피리딘(polyvinylpyridi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티오퓨란(polythiofura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반응 시 고분자 전구체의 양은 이중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입자의 메조기공 부피 100%에 대하여 25 ~ 300 %의 고분자 전구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50 ~ 200 %의 고분자 전구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반응 시 반응온도는 80 ~ 200 ℃에서 1 ~ 12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소/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할 때, 열처리는 700 ~ 1500 ℃, 바람직하게는 700 ~ 1000 ℃에서 1 ~ 24 시간 동안 비활성 기체 하에서 관화로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열처리로 탄소/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소/실리카 복합체를 습식에칭에 의해 HF, NaF, KF, NaOH, KOH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용액을 이용하여 습식에칭으로 단일 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탄소 캡슐을 제조 할 수 있다. 상기 실리카 구조체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데 있어서 반응시간은 1 ~ 24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온도는 25 ~ 100 ℃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조된 단일 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탄소 캡슐은 실리카 전구체를 사용해 실리카 전구체/탄소 복합체를 제조한다.
실리카 전구체/탄소 복합체에서 탄소 구조체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산소를 주입하면서 반응시간은 1 ~ 24 시간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온도는 400 ~ 1000 ℃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실리카 캡슐은 다양한 기공크기를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를 이용하여 고분자 전구체의 양을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다중기공 구조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실리카 캡슐은 다양한 크기의 기공, 넓은 비표면적 및 큰 기공부피를 갖기 때문에 촉매, 촉매 지지체, 전극 물질, 흡착제, 에너지 저장 물질, 약물전달 물질, 방음 단열재, 컬럼 충진 물질 등 광범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입자를 제조하기 위한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이중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입자인 C-A-DMS-1-2 (a와c) 와 C-A-DMS-1-3 (b와d)를 투과전자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3로부터 제조된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C-SMS-1 내지 C-SMS-3)와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C-A-DMS-1-2와 C-A-DMS-1-3)의 기공크기 분포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로부터 제조된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C-A-SMS-1-1 내지 C-A-SMS-3-1)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a ~ c)와 기공크기 분포 곡선 (d)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C-C-DMS-1-2와 C-C-DMS-1-3)와 실시예 4로부터 제조된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C-C-SMS-2-1와 C-C-SMS-3-1)를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로 제조된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C-C-DMS-1-2와 C-C-DMS-1-3)와 실시예 4로부터 제조된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C-C-SMS-2-1와 C-C-SMS-3-1)의 질소 흡착/탈착 등온곡선 (a)과 이에 상응하는 질소 흡착 등온곡선으로부터 계산된 기공 크기 분포 곡선 (b)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7로부터 제조된 이중메조기공을 가지는 중공형 탄소 캡슐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8로부터 제조된 이중메조기공을 가지는 중공형 실리카 캡슐을 투과전자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이중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입자인 C-A-DMS-1-2 (a와c) 와 C-A-DMS-1-3 (b와d)를 투과전자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3로부터 제조된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C-SMS-1 내지 C-SMS-3)와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C-A-DMS-1-2와 C-A-DMS-1-3)의 기공크기 분포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로부터 제조된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C-A-SMS-1-1 내지 C-A-SMS-3-1)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a ~ c)와 기공크기 분포 곡선 (d)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C-C-DMS-1-2와 C-C-DMS-1-3)와 실시예 4로부터 제조된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C-C-SMS-2-1와 C-C-SMS-3-1)를 주사전자현미경 및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로 제조된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C-C-DMS-1-2와 C-C-DMS-1-3)와 실시예 4로부터 제조된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C-C-SMS-2-1와 C-C-SMS-3-1)의 질소 흡착/탈착 등온곡선 (a)과 이에 상응하는 질소 흡착 등온곡선으로부터 계산된 기공 크기 분포 곡선 (b)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7로부터 제조된 이중메조기공을 가지는 중공형 탄소 캡슐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8로부터 제조된 이중메조기공을 가지는 중공형 실리카 캡슐을 투과전자현미경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일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실리카 seed 용액의 제조
반응 용기에 에탄올 1000 ml (19.69 mol), 물 10 ml (0.56 mol), 및 28 wt.% 암모니아 25 ml (0.175 mol)을 넣고 10 ~ 30 분 동안 교반한 후, 실리카 전구체로서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 25 ml (0.112 mol)를 교반하면서 앞서 준비한 반응 혼합물을 넣고 1 ~ 24 시간 동안 반응시켜 실리카 시드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실리카 나노입자 분산액의 제조
28 wt. % NH4OH 20 ml와 탈이온수 40 ml, 무수 (absolute)에탄올 500 ml로 구성된 혼합용액에 제조예 1에서 합성된 실리카 seed 용액 5 ml를 넣고 실온에서 30 분 교반 후 반응혼합물에 10 ml TEOS 첨가하고 6 시간 더 교반시킨다. 그리고, TEOS 65 ml 더 첨가하고 6시간 더 교반시켜 실리카 나노입자 분산액을 제조한다. 생성된 실리카 입자(particles)는 지름이 약 180 nm 였다.
[제조예 3] 단일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입자 (A-SMSs 와 C-SMSs)의 제조
반응 용기에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실리카 나노입자 분산액 10 ml를 암모니아수 (28 wt. %, 0.1 ml)가 포함된 증류수 20 ml에 첨가한 후, 30 분 동안 교반하여 용액 A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하기 표 1과 같이 몰비가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 1,3,5-트리메틸벤젠 (1,3,5-trimethylbenzene) : 데케인 (decane) : 증류수 : 에탄올로 구성된 계면활성제 용액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용액 A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해 주었다. 그리고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 (TEOS) 0.43 ml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10 분 동안 교반해 주었다. 교반이 끝난 뒤 70 ℃로 설정되어 있는 오븐에서 15 시간 동안 수열반응을 시켰다. 제조된 시료 (A-SMSs)는 원심분리기로 회수하고 70 ℃에서 건조한 후, 관화로 (tube furnace)를 이용하여 산소를 불어주면서 실온에서 500 ℃까지 1 시간 40 분 동안 서서히 올리고, 500 ℃에서 5 시간 동안 유지한 후, 다시 실온으로 온도를 내려주어 유기물을 제거하였다. 소성하지 않은 화합물은 A-SMSs로 소성한 화합물은 C-SMSs로 표기하였다.
구분 |
반응물의 몰 조성 | ||||||
TEOS | CTABr | TMB | decane | EtOH | H2O | ||
A-SMS-1 | C-SMS-1 | 1.00 | 0.34 | 0.00 | 0.00 | 17.77 | 113.99 |
A-SMS-2 | C-SMS-2 | 1.00 | 0.34 | 0.30 | 0.34 | 17.77 | 113.99 |
A-SMS-3 | C-SMS-3 | 1.00 | 0.34 | 1.20 | 1.36 | 17.77 | 113.99 |
[실시예 1]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C-A-DMS-1-2, C-A-DMS-1-3)의 제조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단일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A-SMS-1)를 이용하는 경우, A-SMS-1 모액 (mother liquor)에 암모니아수 (28 wt.%, 0.1 ml)를 추가적으로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한 용액 B를 제조한다. 하기 표 2와 같이 몰비가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 1,3,5-트리메틸벤젠 (1,3,5-trimethylbenzene) : 데케인 (decane) : 증류수 : 에탄올이 0.34 : 0.30 : 0.34 : 113.99 : 17.77 (A-A-DMS-1-2)와 0.34 : 1.20 : 1.36 : 113.99 : 17.77 (A-A-DMS-1-3)로 구성된 계면활성제 용액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용액 B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해 주었다. 그리고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 (TEOS) 0.43 ml를 교반하면서 첨가하 10 분 더 교반해 주었다. 교반이 끝난 뒤 70 ℃로 설정되어 있는 오븐에서 15 시간 동안 수열반응을 시켰다. 제조된 시료 (A-A-DMSs)는 원심분리기로 회수하고 70 ℃에서 건조한 후 관화로 (tube furnace)를 이용하여 산소를 불어주면서 실온에서 500 ℃까지 1 시간 40 분 동안 서서히 올리고, 500 ℃에서 5 시간 동안 유지한 후, 다시 실온으로 온도를 내려주어 유기물을 제거하여 C-A-DMS-1-2와 C-A-DMS-1-3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C-C-DMS-1-2, C-C-DMS-1-3)의 제조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단일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C-SMS-1)를 이용하는 경우, C-SMS-1 (1.3 g)을 증류수 (20 ml), 무수 (absolute)에탄올 (10 ml), 그리고 암모니아수 (28 wt.%, 0.3 ml)의 혼합용액에 넣고 초음파기를 이용하여 1 시간 동안 분산시켜 용액 C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3과 같이 몰비가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 1,3,5-트리메틸벤젠 (1,3,5-trimethylbenzene) : 데케인 (decane) : 증류수 : 에탄올이 0.34 : 0.30 : 0.34 : 113.99 : 17.77 (A-C-DMS-1-2)와 0.34 : 1.20 : 1.36 : 113.99 : 17.77 (A-C-DMS-1-3)로 구성된 계면활성제 용액을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한 후, 상기 용액 C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해 주었다. 그리고 테트라에틸오르토실리케이트 (TEOS) 0.43 ml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10 분 더 교반해 주었다. 교반이 끝난 뒤 70 ℃로 설정되어 있는 오븐에서 15 시간 동안 수열반응을 시켰다. 제조된 시료 (A-C-DMSs)는 원심분리기로 회수하고 70 ℃에서 건조한 후 관화로 (tube furnace)를 이용하여 산소를 불어주면서 실온에서 500 ℃까지 1 시간 40 분 동안 서서히 올리고, 500 ℃에서 5 시간 동안 유지한 후, 다시 실온으로 온도를 내려주어 유기물을 제거하여 C-C-DMS-1-2와 C-C-DMS-1-3를 제조하였다.
구분 | 반응물의 몰 조성 | ||||||
TEOS | CTABr | TMB | decane | EtOH | H2O | ||
A-A-DMS-1-2 | A-C-DMS-1-2 | 1.00 | 0.34 | 0.30 | 0.34 | 17.77 | 113.99 |
A-A-DMS-1-3 | A-C-DMS-1-3 | 1.00 | 0.34 | 1.20 | 1.36 | 17.77 | 113.99 |
[실시예3]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C-A-SMS-1-1 내지 C-A-SMS-3-1)의 제조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단일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A-SMS-1 내지 A-SMS-3를 이용하는 경우 몰비가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 1,3,5-트리메틸벤젠 (1,3,5-trimethylbenzene) : 데케인 (decane) : 증류수 : 에탄올이 0.34 : 0.00 : 0.00 : 113.99 : 17.77 로 구성된 계면활성제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4]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C-C-SMS-1-1 내지 C-C-SMS-3-1)의 제조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단일메조기공을 가진 코어-쉘 실리카, C-SMS-1내지 C-SMS-3를 이용하는 경우, 몰비가 세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 1,3,5-트리메틸벤젠 (1,3,5-trimethylbenzene) : 데케인 (decane) : 증류수 : 에탄올이 0.34 : 0.00 : 0.00 : 113.99 : 17.77 로 구성된 계면활성제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주형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명[a] | 입자 크기 (nm)[b] |
껍질 두께 (nm)[b] |
BET 표면적 (m2/g) |
전체 기공 부피 (cm3/g)[c] |
기공 크기 (nm)[d] |
C-SMS-1 | 222 | 21 | 297 | 0.27 | 2.37 |
C-SMS-2 | 234 | 27 | 308 | 0.47 | 5.97 |
C-SMS-3 | 244 | 32 | 283 | 0.48 | 9.76 |
C-A-DMS-1-2 | 264 | 42 | 437 | 0.48 | 2.48/4.77[e] |
C-A-DMS-1-3 | 268 | 44 | 416 | 0.45 | 2.59/5.99[e] |
C-A-SMS-1-1 | 250 | 35 | 423 | 0.35 | 2.46 |
C-A-SMS-2-1 | 252 | 36 | 397 | 0.45 | 3.57 |
C-A-SMS-3-1 | 266 | 43 | 391 | 0.55 | 5.47 |
C-C-DMS-1-2 | 248 | 34 | 439 | 0.55 | 2.07/4.77[e] |
C-C-DMS-1-3 | 252 | 36 | 480 | 0.52 | 2.32/6.54[e] |
C-C-SMS-2-1 | 240 | 30 | 374 | 0.32 | 2.49 |
C-C-SMS-3-1 | 246 | 33 | 359 | 0.33 | 2.48 |
[a] 기호: C, A, SMS, 그리고 DMS는 calcined, as-synthesized,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그리고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를 나타낸다. 그 뒤에 오는 수(-1, -2, -3, -1-2, -1-3, -1-1, -2-1, -3-1)는 기공 크기를 결정하는 실험 조건을 나타낸다. [b]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으로부터 결정된 입자 크기와 메조기공 껍질 두께. [c] P/Po = 0.99의 상대압력에서 직경이 2121.948 ㅕ보다 작은 기공에 흡착된 전체 기공 부피. [d] N2 이력곡선의 흡착 가지로부터 계산된 BJH 기공 크기 분포의 최고값. [e]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에 있어서, 안쪽 껍질의 메조기공 크기(왼쪽)와 바깥 껍질의 메조기공 크기(오른쪽). |
[실시예 5] 상기 제조예3 및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에서 제조된 주형체에 산점형성
상기 제조예3 및 실시예1 내지 실시예4에서 제조된 실리카 주형체 0.4 g을 알루미늄 0.05 M 알루미늄 나이트레이트 노난하이드레이트 수용액 2 ml에 넣고 아스피레이터를 이용하여 10 분 동안 가압한 후, 과량의 알루미늄 나이트레이트 노난하이드레이트 수용액을 제거하고 70 ℃로 설정된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상기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있는 실리카 주형체는 관화로 (tube furnace)를 이용하여 산소를 불어주면서 실온에서 500 ℃까지 1 시간 40 분 동안 서서히 올리고, 500 ℃에서 5 시간 동안 유지한 후, 다시 실온으로 온도를 내려주어 알루미늄이 실리카 주형체의 표면에 함침되어 산점이 생기도록 유도하였다.
[실시예 6]
고분자/실리카 복합체 및 탄소/실리카 복합체의 제조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알루미늄이 함침된 실리카 주형체 0.4 g 을 하기 표 4에서 표기한 몰로 파라포름알데하이드와 섞어주고 페놀과 반응시켰다. 이때 실온에서 150 ℃까지 1 시간 동안 서서히 올리고, 150 ℃에서 3 시간 동안 유지한 후, 다시 실온으로 온도를 내려주어 고분자/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고분자/실리카 복합체는 관화로 (tube furnace)를 이용하여 질소를 불어주면서 실온에서 900 ℃까지 3 시간 동안 서서히 올리고, 900 ℃에서 3 시간 동안 유지한 후, 다시 실온으로 온도를 내려주어 탄소/실리카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탄소 캡슐 제조 (CC-y).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된 탄소/실리카 복합체는 HF 수용액 0.5 ml과 증류수 5 ml로 이루어진 수용액에 분산시킨 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반응시켜 상기 탄소/실리카 복합체의 실리카 구조체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탄소 캡슐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탄소 캡슐은 여과하여 분리하였고, 과량의 증류수로 씻어준 후, 70 ℃에서 12 시간 동안 건조해 주었다.
[실시예 8] 이중 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실리카 캡슐제조 (SC-z).
상기 실시예 7에서 제조한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탄소 캡슐에 실리카 전구체로 TEOS 넣고 30 분 후, 과량의 실리카 전구체를 제거한다. 상기 제조된 실리카 전구체/탄소 캡슐 복합체는 1.0 M HCl 용액 (2 ml)을 포함하는 반응용기에 넣고 밀봉한 상태로 70 ℃ 반응 오븐에서 12 시간 동안 실리카 전구체를 가수분해 및 축합반응 시켰다. 상기 제조된 실리카/탄소 캡슐 복합체는 탄소구조체를 제거하기 위해 관화로를 이용하여 산소를 주입하면서 500 ℃로 5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제조된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탄소 캡슐과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실리카 캡슐의 표면적, 총 기공의 부피, 기공 크기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
탄소전구체 (mole) |
입자 크기 (nm)[a] |
껍질 두께 (nm)[a] |
BET 표면적 (m2/g) |
전체 기공 부피 (cm3/g)[b] |
기공 크기 (nm)[c] |
|
phenol | PFA | ||||||
CC-1 | 1.17 × 10-3 | 1.73 × 10-3 | 219 | 23 | 1688 | 1.26 | 2.99 |
CC-2 | 2.03 × 10-3 | 3.02 × 10-3 | 218 | 20 | 1970 | 1.48 | 3.01 |
CC-3 | 2.08 × 10-3 | 3.08 × 10-3 | 230 | 27 | 1488 | 1.16 | 3.11 |
CC-4 | 1.25 × 10-3 | 1.85 × 10-3 | 237 | 29 | 2181 | 1.60 | 2.94 |
CC-5 | 2.08 × 10-3 | 3.08 × 10-3 | 266 | 37 | 1932 | 1.24 | 2.56 |
CC-6 | 1.95 × 10-3 | 2.89 × 10-3 | 264 | 41 | 1998 | 1.40 | 2.79 |
SC-1 | - | - | 208 | 24 | 570 | 0.63 | 4.20 |
SC-2 | - | - | 203 | 22 | 641 | 0.55 | 3.40 |
SC-3 | - | - | 216 | 27 | 587 | 0.69 | 4.73 |
SC-4 | - | - | 226 | 34 | 747 | 0.58 | 3.12 |
SC-5 | - | - | 230 | 39 | 758 | 0.67 | 3.51 |
SC-6 | - | - | 225 | 38 | 701 | 0.64 | 3.66 |
[a]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으로부터 결정된 입자 크기와 메조기공 껍질 두께. [b] P/Po = 0.99의 상대압력에서 직경이 2121.948 ㅕ보다 작은 기공에 흡착된 전체 기공 부피. [c] 흡착 평균 기공 크기 (4V/A by BET). |
Claims (11)
- a) 나노사이즈의 실리카 시드 나노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실리카 시드 나노 입자로 실리카 나노입자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실리카 나노입자 분산액으로부터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및
d) 상기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에 기공 확장제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유기주형체 용액을 이용하여 이중메조기공 또는 두께가 증가된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기공 확장제는 비극성유기용매로서, C6~C16 의 방향족 탄화수소, C4~C16의 탄화수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주형체 용액은 알킬계 암모늄염인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서 제조되는 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 A)제 4항의 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의 메조기공의 표면에 산점을 형성하는 단계;
B)상기 산점이 형성된 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에 고분자전구체를 투입하여 고분자/실리카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C)상기 실리카/고분자 복합체를 형성한 후 소성하여 실리카/탄소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D)상기 실리카/탄소 복합체를 습식에칭으로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탄소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탄소캡슐 제조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A)단계는 알루미늄 전구체를 사용하여 산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탄소캡슐 제조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B)단계의 고분자 전구체는 페놀 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알카이드 레진, 폴리이미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스티렌, 폴리디비닐벤젠, 폴리비닐피리딘, 폴리피롤 및 폴리티오퓨란 중에서 선택되는 고분자를 형성하는 전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탄소캡슐 제조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C)단계의 소성은 700 ~ 150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탄소캡슐 제조방법. - 제 5항에 있어서,
D)단계의 습식에칭은 HF, NaF, KF, NaOH 및 KOH 중에서 선태되는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탄소캡슐 제조방법. - 1)제 4항의 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의 메조기공의 표면에 산점을 형성하는 단계;
2)상기 산점이 형성된 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에 고분자전구체를 투입하여 고분자/실리카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3)상기 실리카/고분자 복합체를 형성한 후 소성하여 실리카/탄소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4)상기 실리카/탄소 복합체를 습식에칭으로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탄소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및
5)상기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탄소 캡슐로부터 단일 혹은 이중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실리카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실리카 캡슐 제조방법. - 제 10항에서,
5)단계는 단일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탄소 캡슐로부터 실리카 전구체를 사용해 실리카/탄소 캡슐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조기공을 갖는 중공형 실리카 캡슐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6445A KR20120137111A (ko) | 2011-06-10 | 2011-06-10 | 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6445A KR20120137111A (ko) | 2011-06-10 | 2011-06-10 | 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7111A true KR20120137111A (ko) | 2012-12-20 |
Family
ID=4790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6445A KR20120137111A (ko) | 2011-06-10 | 2011-06-10 | 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37111A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6060367A1 (ko) * | 2014-10-17 | 2016-04-21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에그-쉘 형 고분산 나노 입자-산화금속 지지체 혼성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KR20160044198A (ko) * | 2014-10-15 | 2016-04-25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메조포러스 실리카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메조포러스 실리카 입자 |
KR101644927B1 (ko) * | 2015-02-25 | 2016-08-0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에그-쉘 형 고분산 나노 입자-산화금속 지지체 혼성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CN107694491A (zh) * | 2016-08-08 | 2018-02-16 | 上海复元纳米介孔材料有限责任公司 | 一种核壳结构复合微球及其制备方法和用途 |
KR20200089922A (ko) * | 2019-01-18 | 2020-07-28 | 주식회사 오상엠엔이티 | 3차원 다공성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WO2021071233A1 (ko) * | 2019-10-11 | 2021-04-1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실리콘 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및 리튬이차전지 |
KR20210062451A (ko) * | 2019-11-21 | 2021-05-31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민작용기가 도입된 이산화탄소 및 질소산화물 흡착용 이중쉘 메조다공성 중공형 실리카 물질의 제조방법 |
-
2011
- 2011-06-10 KR KR1020110056445A patent/KR2012013711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4198A (ko) * | 2014-10-15 | 2016-04-25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메조포러스 실리카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메조포러스 실리카 입자 |
WO2016060367A1 (ko) * | 2014-10-17 | 2016-04-21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에그-쉘 형 고분산 나노 입자-산화금속 지지체 혼성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US10112172B2 (en) | 2014-10-17 | 2018-10-30 |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 Egg-shell type hybrid structure of highly dispersed nanoparticle-metal oxide support,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use thereof |
KR101644927B1 (ko) * | 2015-02-25 | 2016-08-0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에그-쉘 형 고분산 나노 입자-산화금속 지지체 혼성 구조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CN107694491A (zh) * | 2016-08-08 | 2018-02-16 | 上海复元纳米介孔材料有限责任公司 | 一种核壳结构复合微球及其制备方法和用途 |
KR20200089922A (ko) * | 2019-01-18 | 2020-07-28 | 주식회사 오상엠엔이티 | 3차원 다공성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WO2021071233A1 (ko) * | 2019-10-11 | 2021-04-1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실리콘 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및 리튬이차전지 |
KR20210062451A (ko) * | 2019-11-21 | 2021-05-31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민작용기가 도입된 이산화탄소 및 질소산화물 흡착용 이중쉘 메조다공성 중공형 실리카 물질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Lu et al. | Chemical synthesis of carbon materials with intriguing nanostructure and morphology | |
KR20120137111A (ko) | 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제조방법 | |
KR101750584B1 (ko) | 다공질 실리카의 제조 방법 및 다공질 실리카 | |
Muylaert et al. | Ordered mesoporous phenolic resins: Highly versatile and ultra stable support materials | |
Chen et al. | Constructing POSS and viologen-linked porous cationic frameworks induced by the Zincke reaction for efficient CO 2 capture and conversion | |
Hou et al. | A co-sol-emulsion-gel synthesis of tunable and uniform hollow carbon nanospheres with interconnected mesoporous shells | |
US9295982B2 (en) | MOF-based hierarchical porous materials and methods for preparation | |
Kim et al. | Direct synthesis of uniform mesoporous carbons from the carbonization of as-synthesized silica/triblock copolymer nanocomposites | |
Xu et al. | A two-step synthesis of ordered mesoporous resorcinol–formaldehyde polymer and carbon | |
Ghimire et al. | Tetraethyl orthosilicate-assisted synthesis of nitrogen-containing porous carbon spheres | |
Chen et al. | Nitrogen-doped dual mesoporous carbon for the selective oxidation of ethylbenzene | |
KR20010082910A (ko) | 무기질 주형 입자를 이용한 나노세공을 가진 탄소재료의제조방법 | |
JP2004161590A (ja) | 向上された機械的強度を有するナノ多孔性炭素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って製造されるナノ多孔性炭素 | |
US20100021366A1 (en) | Making mesoporous carbon with tunable pore size | |
Shi et al. | Polyelectrolyte–surfactant mesomorphous complex templating: A versatile approach for hierarchically porous materials | |
Choma et al. | Development of microporosity in mesoporous carbons | |
Zhang et al. | Facilely controlled synthesis of a core-shell structured MOF composite and its derived N-doped hierarchical porous carbon for CO 2 adsorption | |
Wu et al. | Flexible cage-like carbon spheres with ordered mesoporous structures prepared via a soft-template/hydrothermal process from carboxymethylcellulose | |
Choma et al. | Organic acid-assisted soft-templating synthesis of ordered mesoporous carbons | |
US20220209234A1 (en) | Fibrous carbon aerogels coated with nano-thin silicon as lithium battery anodes | |
KR100933740B1 (ko) | 메조다공성 껍질을 갖는 코어-쉘 형태의 실리카 입자 및이의 제조방법 | |
KR20170036287A (ko) | 소수성 실리카 에어로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수성 실리카 에어로겔 | |
Xiao et al. | Synthesis of core–shell structured porous nitrogen-doped carbon@ silica material via a sol–gel method | |
KR101011525B1 (ko) | 다공성 중공 캡슐의 제조방법 | |
KR100957128B1 (ko) |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질화탄소 구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WITB |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