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128B1 -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질화탄소 구체 - Google Patents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질화탄소 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128B1
KR100957128B1 KR1020090073899A KR20090073899A KR100957128B1 KR 100957128 B1 KR100957128 B1 KR 100957128B1 KR 1020090073899 A KR1020090073899 A KR 1020090073899A KR 20090073899 A KR20090073899 A KR 20090073899A KR 100957128 B1 KR100957128 B1 KR 100957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ckel
carbon nitride
spheres
sphere
mel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구
김세윤
권준호
허승준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73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128B1/ko
Priority to US12/824,099 priority patent/US811909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C04B35/632Organic additives
    • C04B35/634Polymers
    • C04B35/63448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35/6347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 C04B35/6348Melamine-formaldehyde condensation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1/00Nitrogen; Compounds thereof
    • C01B21/06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metals, with silicon, or with boron, or with carbon, i.e. nitrides; Compounds of nitrogen with more than one metal, silicon or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1/00Nitrogen; Compounds thereof
    • C01B21/06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metals, with silicon, or with boron, or with carbon, i.e. nitrides; Compounds of nitrogen with more than one metal, silicon or boron
    • C01B21/0605Binary compounds of nitrogen with 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CAMMONIA; CYANOGEN; COMPOUNDS THEREOF
    • C01C3/00Cyanogen;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ides or oxycarb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45Thermal treatment of powders or mixtures thereof other than sintering
    • C04B35/6267Pyrolysis, carbonisation or auto-combustion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C04B35/632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8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 C01P2002/85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by XPS, EDX or EDAX dat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4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TEM, STEM, STM or AF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3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hree dimensions
    • C01P2004/32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3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hree dimensions
    • C01P2004/32Spheres
    • C01P2004/34Spheres hol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8Non-oxide ceramic constituents or additives
    • C04B2235/3852Nitrides, e.g. oxynitrides, carbonitrides, oxycarbonitrides, lithium nitride, magnesium nit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8Non-oxide ceramic constituents or additives
    • C04B2235/3852Nitrides, e.g. oxynitrides, carbonitrides, oxycarbonitrides, lithium nitride, magnesium nitride
    • C04B2235/3856Carbonitrides, e.g. titanium carbonitride, zirconium carbonit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44Metal salt constituents or additives chosen for the nature of the anions, e.g. hydrides or acetylacetonate
    • C04B2235/444Halide containing anions, e.g. bromide, iodate, chlo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50Constituents or additives of the starting mixture chosen for their shape or used because of their shape or their physical appearance
    • C04B2235/52Constituents or additiv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 C04B2235/528Spheres

Abstract

본원발명은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포름알데히드 수용액과 멜라민을 혼합 및 교반하여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에 니켈염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니켈-멜라민수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니켈-멜라민수지 혼합물에 스프레이 열분해 공정을 처리하여 니켈이 포함된 고체분말로 만드는 단계 및 상기 니켈이 포함된 고체분말을 에탄올 수용액으로 씻은 후, 진공건조하여 니켈-질화탄소 구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니켈-질화탄소 구체에 추가적으로 수소 분위기 또는 질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스프레이 열분해 공정의 온도, 니켈염의 양, 수소 분위기 또는 질소 분위기에서의 열처리를 조절함으로써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구조를 제어할 수 있다.
니켈, 질화탄소, 스프레이 열분해, 열처리, 기공, 제어

Description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질화탄소 구체{Method For Preparation Of Nickel―Carbonitride Spheres And The Nickel―Carbonitride Spheres Thereof}
본원발명은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구조를 제어할 수 있는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질화탄소 구체에 관한 것이다.
다공성 물질은 단위무게당 표면적이 넓으며 그 내부에도 큰 공간이 있기 때문에 금속 촉매의 지지, 기체 분자의 표면 흡착이나 화학물질의 저장 등의 응용분야에서 많이 연구되고 있다. 상기 다공성 물질은 기공의 크기에 따라 세 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 기공의 크기가 2 나노미터 미만인 다공성 물질은 마이크로세공체(Microporous Materials), 기공의 크기가 2 나노미터 이상 50 나노미터 미만인 다공성 물질은 메조세공체(Mesoporous Materials), 기공의 크기가 50 나노미터 이상인 다공성 물질인 마크로세공체(Macroporous Materials)로 나뉠 수 있다.
또한, 질화탄소는 그 내부에 존재하는 질소에 의해 나노크기의 금속입자가 잘 흡착되며, 순수한 탄소보다 리튬 등을 더 잘 저장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따라서 질화탄소로 이루어져 있는 다공성 물질은 화학물질 등의 저장이나 금속촉매 등의 지지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하므로, 간단한 공정을 이용하여 이러한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
본원발명은 간단한 스프레이 열분해 공정을 통해서, 다양한 구조의 니켈-질화탄소 구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은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포름알데히드 수용액과 멜라민을 혼합 및 교반하여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에 니켈염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니켈-멜라민수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니켈-멜라민수지 혼합물에 스프레이 열분해 공정을 처리하여 니켈이 포함된 고체분말로 만드는 단계 및 상기 니켈이 포함된 고체분말을 에탄올 수용액으로 씻은 후, 진공건조하여 니켈-질화탄소 구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스프레이 열분해 공정의 온도, 니켈염의 양, 수소 분위기 또는 질소 분위기에서의 열처리를 조절함으로써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구조를 제어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포름알데히드 수용액과 멜라민을 혼합 및 교반하여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에 니켈염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니켈-멜라민수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니켈-멜라민수지 혼합물에 스프레이 열분해 공정을 처리하여 니켈이 포함된 고체분말로 만드는 단계 및 상기 니켈이 포함된 고체분말을 에탄올 수용액으로 씻은 후, 진공건조하여 니켈-질화탄소 구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니켈-질화탄소 구체에 추가적으로 수소 분위기 또는 질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니켈-질화탄소 구체 내에 니켈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구조는 스프레이 열분해 공정의 공정온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쉘(shell) 두께는 니켈염의 양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질화탄소 구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는 본원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 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제조예, 실시예, 비교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조예 1> : 니켈-질화탄소 구체
본원발명의 니켈-질화탄소 구체를 제조하는 공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250 mL의 둥근 플라스크에 포름알데히드 8.924 mL 와 물 100 mL를 넣어 포름알데히드 수용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포름알데히드 수용액에 멜라민 5.044 g, 1M NaOH 수용액 0.2 mL를 넣고 혼합한 후 교반하면서 100 ℃에서 15 분 동안 가열하였다. 그 결과 투명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melamine-formaldehyde resin)를 얻었으며, 상기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가 상온이 될 때까지 식혔다.
상기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와 니켈염인 염화니켈 6수화물(nickel chloride hexahydrate) 0.951 g, 계면활성제인 CTAB(Cetyl Trimethylammonium Bromide) 4 g을 혼합하여 니켈-멜라민수지 혼합물을 만들었다. 이때, 니켈염에 포함된 니켈 이온은 상기 멜라민 대비 5 at%(atomic percent)에 해당된다.
그 후, 스프레이 열분해 공정에 따라, 바늘(needle) 주위로 질소가스(N2)를 흘려주면서 상기 니켈-멜라민수지 혼합물을 스프레이 하여, 구형의 방울로 만들었다. 상기 구형의 니켈-멜라민수지 혼합물은 퍼니스(furnace)를 통과하면서 고형화 되어 니켈이 포함된 고체분말로 변하여, 필터(filter) 위에 포집되었다.
상기 니켈이 포함된 고체분말을, 물과 에탄올이 1:1의 부피비로 혼합된 에탄올 수용액으로 씻은 후, 60 ℃에서 진공분위기(vacuum) 하에서 건조하여 니켈-질화탄소 구체를 얻었다.
<제조예 2> : 니켈-질화탄소 구체를 수소 분위기에서 열처리
상기 제조예 1의 니켈-질화탄소 구체를 수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추가하였다.
그 결과, 니켈-질화탄소 구체 내에 니켈 입자가 형성되거나, 기공(메조세공 또는 마이크로세공)이 형성되었다.
<제조예 3> : 니켈-질화탄소 구체를 질소 분위기에서 열처리
상기 제조예 1의 니켈-질화탄소 구체를 질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추가하였다.
그 결과, 니켈-질화탄소 구체 내에 니켈 입자가 형성되거나, 기공(메조세공 또는 마이크로세공)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1> : 스프레이 열분해 공정의 온도에 따른 니켈-질화탄소 구체
스프레이 열분해 공정의 온도를 조절하여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구조를 살펴보았다.
상기 제조예 1에 따라 니켈-질화탄소 구체를 제조하되, 퍼니스의 온도를 400 ℃, 500 ℃, 600 ℃로 설정하여 세번의 실험을 하여, 세가지 형태의 니켈-질화탄소 구체 A, B, C를 얻었다. 이들의 TEM 사진을 찍어서 각각 도 2, 도 3, 도 4에 나타냈다. 이들을 요약하면, 하기의 표 1과 같다.
<표 1>
구분 퍼니스의 온도(℃)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모양
니켈-질화탄소 구체 A 400 속이 찬 구조(도 2)
니켈-질화탄소 구체 B 500 속이 찬 구조(도 3)
니켈-질화탄소 구체 C 600 속이 빈 구조,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쉘(shell)에 나노크기의 기공 형성(도 4)
도 2 및 도 3의 니켈-질화탄소 구체들은 속이 찬 구조를 갖고 있지만, 도 4의 니켈-질화탄소 구체는 속이 빈 구조를 갖고 있었다. 즉, 본원발명에 의하면, 스프레이 열분해 공정의 온도를 조절하여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모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 2> : 니켈염의 양에 따른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쉘 두께
니켈염의 양을 조절하여, 변화하는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쉘(shell) 두께를 살펴보았다.
상기 제조예 1에 따라 니켈-질화탄소 구체를 제조하되, 니켈염에 포함된 니켈 이온이 양을 멜라민 대비 5 at%(atomic percent), 10 at%, 15 at%, 30 at%가 되도록 하여 네 번의 실험을 하였다. 이때, 스프레이 열분해 공정에 있어서 퍼니스의 온도는 600℃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4가지 니켈-질화탄소 구체 C, D, E, F를 얻었 고, 이들의 TEM 사진은 각각, 도 4, 도 5, 도 6, 도 7에 해당된다. 각각의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크기가 다른 점을 고려하여, 쉘의 두께와 입자의 반경의 비율을 계산하여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쉘의 두께를 비교하였다. 이들을 요약하면, 하기의 표 2와 같다.
<표 2>
구분 니켈염(at%)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쉘/반경의 비율(%)
니켈-질화탄소 구체 C 5 14.63%(도 4)
니켈-질화탄소 구체 D 10 20.47%(도 5)
니켈-질화탄소 구체 E 15 34.19%(도 6)
니켈-질화탄소 구체 F 30 66.94%(도 7)
도 4에서 도 7로 갈수록(멜라민 대비 니켈염의 양이 증가할수록)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쉘/반경의 비율이 높아졌으며, 이로부터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쉘의 두께가 두꺼워졌음을 알 수 있다. 즉, 본원발명에 의하면, 니켈염의 양을 조절하여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쉘 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 3> : 니켈-질화탄소 구체를 수소 분위기에서 열처리
상기 실시예 1의 니켈-질화탄소 구체 A, B, C를, 제조예 2에 따라 400 ℃의 수소 분위기에서 3시간 동안 열처리 하여, 그 구조를 살펴보았다. 열처리 결과 얻은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TEM 사진을 찍어서 각각 도 8, 도 9, 도 10에 나타냈고, 이들의 XPS(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그래프를 각각 도 11, 도 12, 도 13에 나타냈다. 이들을 요약하면, 하기의 표 3과 같다.
<표 3>
구분 퍼니스의 온도 (℃) 수소 분위기의 온도 (℃)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구조
니켈-질화탄소 구체 A 400 400 니켈-질화탄소 구체 내에 직경 약 5nm의 니켈입자 형성 (도 8, 도 11)
니켈-질화탄소 구체 B 500 400 니켈-질화탄소 구체 내에 직경 약 14nm의 기공 형성 (도 9, 도 12)
니켈-질화탄소 구체 C 600 400 니켈-질화탄소 구체 내에 직경 약 9nm의 니켈입자 형성 (도 10, 도 13)
니켈-질화탄소 구체 A를 수소 분위기에서 열처리 한 경우 니켈-질화탄소 구체 내에 직경 약 5nm의 니켈 입자가 형성되었고(도 8 참조), 니켈-질화탄소 구체 C를 수소 분위기에서 열처리 한 경우 니켈-질화탄소 구체 내에 직경 약 9nm의 니켈 입자가 형성되었다(도 10 참조).
또한, 도 11과 도 13의 그래프를 보면, C-Ni의 결합세기 보다 C-C 의 결합세기가 훨씬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합세기의 차이로 인해, 니켈-질화탄소 구체 A와 니켈-질화탄소 구체 C의 내부에는 니켈 입자가 형성되었다. 반면, 도 12의 그래프를 보면, C-Ni 결합세기와 C-C 의 결합세기의 차이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합세기로 인해 니켈은 원자상태로 니켈-질화탄소 구체 B에 고르게 분산되어 있고, 그 결과 니켈-질화탄소 구체 내에 니켈 입자가 형성되지 않고 기공만이 형성되었다.
즉, 본원발명에 의하면, 스프레이 열분해 공정의 온도(퍼니스의 온도)를 조절하고, 수소 분위기에서의 열처리를 통하여 니켈-질화탄소 구체 내에 형성되는 니켈 입자의 크기를 제어하거나, 니켈-질화탄소 구체 내에 기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4에 니켈-질화탄소 구체를 수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과정에 의해 제조되는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구조를 도식화하여 나타냈다. 이하에서는 도 14를 이용하여 대략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니켈-질화탄소 구체 A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프레이에 의해 형성된 구형의 니켈-멜라민수지 혼합물(Nickel-Melamine Resin Mixture)에는 CTAB가 분산되어 있다. 상기 니켈-멜라민 수지 혼합물이 400 ℃의 퍼니스(Furnace@400℃)를 통과하면서 구형의 니켈-멜라민수지 혼합물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고형화가 진행되어 속이 꽉 찬 구조의 니켈-질화탄소 구체 A(Nickel-Carbonitride Sphere A)가 된다. 그 후, 400 ℃의 수소 분위기(400 ℃ in H2)에서 상기 니켈-질화탄소 구체 A를 열처리하면 니켈-질화탄소 구체에 분산되어 있던 니켈 이온은 니켈 원자로 변하면서 니켈 입자(Ni Particle)를 형성한다. 이와 동시에 니켈-질화탄소 구체에 기공이 형성되다가, 열처리가 완료되면 완전히 기공이 사라진다. 이와같이 기공이 사라진 이유는, 비교적 낮은 온도인 400 ℃의 퍼니스를 통과하면서 니켈-멜라민 수지 혼합물의 불완전한 고형화가, 수소 분위기에서의 열처리를 통해 비로소 완전해지면서, 기공의 빈공간을 채워졌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니켈-질화탄소 구체 B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프레이에 의해 형성된 구형의 니켈-멜라민수지 혼합물(Nickel-Melamine Resin Mixture)이 500 ℃의 퍼니스(Furnace@500℃)를 통과하면서 구형의 니켈-멜라민수지 혼합물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고형화가 진행되어 기공(pore)이 형성된 속이 꽉 찬 구조의 니켈-질화탄소 구체 B(Nickel-Carbonitride Sphere B)가 된다. 그 후, 400 ℃의 수소 분위기(400 ℃ in H2)에서 상기 니켈-질화탄소 구체 B를 열처리하면, 니켈-질화탄소 구체 내에 니켈 입자가 형성되지 않고(도 12관련 설명 참조) 기공만 형성된다.
또한, 니켈-질화탄소 구체 C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프레이에 의해 형성된 구형의 니켈-멜라민수지 혼합물(Nickel-Melamine Resin Mixture)이 600 ℃의 퍼니스(Furnace@600℃)를 통과하면서 구형의 니켈-멜라민수지 혼합물의 바깥쪽에서 고형화가 진행되어 기공(pore)을 갖는 쉘(shell)이 형성된다. 반면, 퍼니스의 높은 온도로 인해, 니켈-멜라민수지 혼합물의 안쪽에서는 열분해가 일어나 빈 공간으로 변하게 된다. 그 결과, 쉘이 형성된 속이 빈 구조의 니켈-질화탄소 구체 C(Nickel-Carbonitride Sphere C)가 된다. 그 후, 400 ℃의 수소 분위기(400 ℃ in H2)에서 상기 니켈-질화탄소 구체 C를 열처리하면 니켈-질화탄소 구체에 분산되어 있던 니켈 이온은 니켈 원자로 변하면서 니켈 입자(Ni Particle)를 형성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쉘에 기공이 형성된다.
<실시예 4> : 니켈-질화탄소 구체를 질소 분위기에서 열처리
상기 실시예 1의 니켈-질화탄소 구체 C를, 제조예 3에 따라 500 ℃의 질소 분위기에서 4시간 동안 열처리 하여, 그 구조를 살펴보았다. 열처리 결과 얻은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SEM 사진 및 TEM 사진을 찍어서 각각 도 15, 도 16에 나타냈 다. 이들을 요약하면, 하기의 표 4와 같다.
<표 4>
구분 퍼니스의 온도 (℃) 질소 분위기의 온도 (℃)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구조
니켈-질화탄소 구체 C 600 500 SEM 사진(도 15)
니켈-질화탄소 구체 C 600 500 TEM 사진(도 16)
도 15 및 도 16에서 볼 수 있듯이, 니켈-질화탄소 구체 내에 나노크기의 니켈산화물 입자가 형성되었으며, 쉘 부분에 메조세공과 마이크로세공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본원발명에 의하면, 질소 분위기에서의 열처리를 통하여 니켈-질화탄소 구체 내에 니켈 입자를 형성하고 쉘 부분에 기공(메조세공 또는 마이크로세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설명된 실시형태를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의 물질은 당업자가 공지된 다양한 물질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하여 대체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요소 중 일부를 성능의 열화 없이 생략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구성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당업자는 공정 환경이나 장비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 단계의 순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도 1은 본원발명의 니켈-질화탄소 구체를 제조하는 공정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니켈-질화탄소 구체 A의 T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니켈-질화탄소 구체 B의 T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니켈-질화탄소 구체 C의 T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시예 2의 니켈-질화탄소 구체 D의 T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2의 니켈-질화탄소 구체 E의 T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2의 니켈-질화탄소 구체 F의 T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니켈-질화탄소 구체 A를 400 ℃의 수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얻은 니켈-질화탄소의 T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니켈-질화탄소 구체 B를 400 ℃의 수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얻은 니켈-질화탄소의 T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실시예 1의 니켈-질화탄소 구체 C를 400 ℃의 수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얻은 니켈-질화탄소의 T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실시예 1의 니켈-질화탄소 구체 A를 400 ℃의 수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얻은 니켈-질화탄소의 XPS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실시예 1의 니켈-질화탄소 구체 B를 400 ℃의 수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얻은 니켈-질화탄소의 XPS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실시예 1의 니켈-질화탄소 구체 C를 400 ℃의 수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얻은 니켈-질화탄소의 XPS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니켈-질화탄소 구체를 수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과정에 의해 제조되는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구조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15는 실시예 1의 니켈-질화탄소 구체 C를 500 ℃의 질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얻은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S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실시예 1의 니켈-질화탄소 구체 C를 500 ℃의 질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얻은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T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5)

  1. 포름알데히드 수용액과 멜라민을 혼합 및 교반하여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에 니켈염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니켈-멜라민수지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니켈-멜라민수지 혼합물에 질소가스(N2)를 흘려주면서 니켈-멜라민수지 혼합물을 스프레이하여 구형의 방울로 만들고 이 구형의 니켈-멜라민수지 혼합물을 퍼니스(furnace)를 통과하면서 고형화시키는 스프레이 열분해 공정으로 처리하여 니켈이 포함된 고체분말로 만드는 단계; 및
    상기 니켈이 포함된 고체분말을 에탄올 수용액으로 씻은 후, 진공건조하여 니켈-질화탄소 구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질화탄소 구체에 추가적으로 수소 분위기 또는 질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니켈-질화탄소 구체 내에 니켈 입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구조는 스프레이 열분해 공정의 공정온도에 따라 변화하되 스프레이 열분해 공정온도가 400℃ 또는 500℃의 경우 니켈-질화탄소 구체가 속이 찬 구조이고, 스프레이 열분해 공정온도가 600℃의 경우 니켈-질화탄소 구체는 속이 빈 구조이며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쉘(shell)에 나노크기의 기공이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쉘(shell) 두께는 니켈염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090073899A 2009-08-11 2009-08-11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질화탄소 구체 KR100957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899A KR100957128B1 (ko) 2009-08-11 2009-08-11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질화탄소 구체
US12/824,099 US8119090B2 (en) 2009-08-11 2010-06-25 Nickel-carbonitride spher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899A KR100957128B1 (ko) 2009-08-11 2009-08-11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질화탄소 구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7128B1 true KR100957128B1 (ko) 2010-05-11

Family

ID=42281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899A KR100957128B1 (ko) 2009-08-11 2009-08-11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질화탄소 구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19090B2 (ko)
KR (1) KR1009571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16486A1 (de) * 2012-08-17 2014-05-15 Georg Vogt Übergangsmetallverbindungen der allgemeinen Zusammensetzung Me a C b N c H d mit Me = Übergangsmetall, a = 1 - 4, b = 6 - 9, c = 8 - 14, d = 0 - 8,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CN114308109A (zh) * 2022-01-27 2022-04-12 杭州师范大学 一种ZnO/C-g-C3N4光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三氯生废水处理方法
KR20230012314A (ko) * 2021-07-15 2023-01-2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니켈 및 질소를 포함하는 상호 연결된 흑연 나노 큐브의 제조방법 및 응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3511A (ja) * 2015-08-26 2017-03-02 国立大学法人 鹿児島大学 窒化炭素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6202A (en) * 1995-05-23 1999-02-0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of manufacturing metallized polymeric particles, and polymeric material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ethod
US5898564A (en) * 1995-02-21 1999-04-2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apacitor with a composite carbon foam electrode
KR100438210B1 (ko) 2001-12-28 2004-07-01 브이케이 주식회사 다공성 일체형 탄소의 제조 방법, 그러한 방법에 의하여제조된 다공성 일체형 탄소 및 그러한 다공성 일체형탄소의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에의 응용
US20050008562A1 (en) 2003-07-10 2005-01-13 Seoul National University Nanostructured carbon materials having excellent crystallinity and large surface area suitable for fuel cell electrode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7427B2 (en) * 2005-05-18 2010-03-30 Enerage, Inc. Supported metal electrocatalyst materials and the method for form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8564A (en) * 1995-02-21 1999-04-27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apacitor with a composite carbon foam electrode
US5866202A (en) * 1995-05-23 1999-02-0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of manufacturing metallized polymeric particles, and polymeric material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method
KR100438210B1 (ko) 2001-12-28 2004-07-01 브이케이 주식회사 다공성 일체형 탄소의 제조 방법, 그러한 방법에 의하여제조된 다공성 일체형 탄소 및 그러한 다공성 일체형탄소의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에의 응용
US20050008562A1 (en) 2003-07-10 2005-01-13 Seoul National University Nanostructured carbon materials having excellent crystallinity and large surface area suitable for fuel cell electrodes and method for synthesizing the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16486A1 (de) * 2012-08-17 2014-05-15 Georg Vogt Übergangsmetallverbindungen der allgemeinen Zusammensetzung Me a C b N c H d mit Me = Übergangsmetall, a = 1 - 4, b = 6 - 9, c = 8 - 14, d = 0 - 8,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102012016486B4 (de) * 2012-08-17 2017-04-06 Georg Vog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Übergangsmetallverbindungen der allgemeinen Zusammensetzung Mea Cb Nc Hd mit Me = Übergangsmetall, a = 1 - 4, b = 6 - 9, c = 8 - 14, d = 0 - 8 und deren Verwendung.
US9701705B2 (en) 2012-08-17 2017-07-11 Georg Vogt Method for producing transition metal compounds, transition metal compounds and use thereof
KR20230012314A (ko) * 2021-07-15 2023-01-2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니켈 및 질소를 포함하는 상호 연결된 흑연 나노 큐브의 제조방법 및 응용
KR102647488B1 (ko) * 2021-07-15 2024-03-1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니켈 및 질소를 포함하는 상호 연결된 흑연 나노 큐브의 제조방법 및 응용
CN114308109A (zh) * 2022-01-27 2022-04-12 杭州师范大学 一种ZnO/C-g-C3N4光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三氯生废水处理方法
CN114308109B (zh) * 2022-01-27 2023-11-14 杭州师范大学 一种ZnO/C-g-C3N4光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三氯生废水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38780A1 (en) 2011-02-17
US8119090B2 (en) 201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9715B2 (en) Method of producing a porous crystalline material with a highly uniform structure
Liu et al. Yolk–shell hybrid materials with a periodic mesoporous organosilica shell: ideal nanoreactors for selective alcohol oxidation
Tan et al. Self-templating synthesis of hollow spheres of MOFs and their derived nanostructures
Lee et al. Well-dispersed hollow porous carbon spheres synthesized by direct pyrolysis of core–shell type metal–organic frameworks and their sorption properties
Hong et al. Hollow Co@ C prepared from a Co-ZIF@ microporous organic network: magnetic adsorbents for aromatic pollutants in water
WO2017045273A1 (zh) 一种气凝胶-金属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175084B (zh) 一种金属有机骨架-酚醛树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926794B1 (ko) 멜라민―포름알데히드 구체의 제조방법
Zhou et al. Coupling multiphase-Fe and hierarchical N-doped graphitic carbon as trifunctional electrocatalysts by supramolecular preorganization of precursors
Zhu et al. Tailorable MOF architectures for high-efficiency electromagnetic functions
KR100957128B1 (ko) 니켈―질화탄소 구체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니켈―질화탄소 구체
Bian et al. Pd nanoparticles partially embedded in the inner wall of nitrogen-doped carbon hollow spheres as nanoreactors for catalytic reduction of 4-nitrophenol
Zhang et al. Facilely controlled synthesis of a core-shell structured MOF composite and its derived N-doped hierarchical porous carbon for CO 2 adsorption
Chen et al. Mesoporous carbonaceous materials prepared from used cigarette filters for efficient phenol adsorption and CO 2 capture
Zhang et al. Encapsulation of Au nanoparticles with well-crystallized anatase TiO 2 mesoporous hollow spheres for increased thermal stability
Zhu et al. Enhanced stability and metallic modification of polymeric and carbonaceous nanospheres through precursor engineering via a one-pot aqueous strategy assisted by iron ions
Xu et al. Zinc cobalt bimetallic nanoparticles embedded in porous nitrogen-doped carbon frameworks for the reduction of nitro compounds
Miao et al. Facile synthesis of metal nanoparticles decorated magnetic hierarchical carbon microtubes with polydopamine-derived carbon layer for catalytic applications
KR20120137111A (ko) 메조기공을 갖는 코어-쉘 실리카 입자 제조방법
KR101431953B1 (ko) 카본나노튜브용 균질 담지 촉매의 제조방법
Hamidi et al. Silver nanoparticles modified mesoporous titanosilicate materials for high oxidation of carbon monoxide
Sun et al. MOFs derived Fe/Co/C heterogeneous composite absorbers for efficient microwave absorption
Carriazo et al. Deep‐Eutectic‐Assisted Synthesis of Bimodal Porous Carbon Monoliths with High Electrical Conductivities
Zheng et al. One step synthesis process for fabricating NiFe2O4 nanoparticle loaded porous carbon spheres by ultrasonic spray pyrolysis
CN108017047B (zh) 一种类红毛丹型氮杂中空介孔碳球纳米材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