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747A - 에어 댐핑 마운트 - Google Patents

에어 댐핑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747A
KR20120136747A KR1020110055881A KR20110055881A KR20120136747A KR 20120136747 A KR20120136747 A KR 20120136747A KR 1020110055881 A KR1020110055881 A KR 1020110055881A KR 20110055881 A KR20110055881 A KR 20110055881A KR 20120136747 A KR20120136747 A KR 20120136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air
upper plate
housing
damping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동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5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6747A/ko
Publication of KR20120136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2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lso a pneumatic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05Throttling passages in or on piston body, e.g. sl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8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2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 F16F2224/025Elasto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4Fluids
    • F16F2224/046Fluids pneuma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36Holes, slo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에 장착되어 파워트레인의 하중을 지지하는 에어 댐핑 마운트에 있어서, 차체에 장착되되 상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측면에 장입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측을 차폐하도록 결합되고 에어홀이 타공된 어퍼플레이트;와 탄성을 갖는 재질이며 상기 어퍼플레이트 아래로 장착되는 러버; 및 바(bar) 형상으로서 일단은 장입홀에 삽입되어 러버와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파워트레인과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러버 사이에서 에어챔버가 형성되어 러버의 탄성변형에 따라 에어챔버 내의 공기가 에어홀을 통하여 출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브라켓이 러버의 하단에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러버의 위에서 하중이 작용하는 종래의 에어 마운트 구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러버의 크립 현상을 억제 및/또는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 댐핑 마운트{Air damping mount}
본 발명은 에어 댐핑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속적인 하중에 따른 러버의 크립(creep) 현상을 방지함으로서 진동 감쇠기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행거형 에어 댐핑 마운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은 시동 이후 진동을 유발하므로 차체에 장착될 때 차량의 댐핑 마운트에 거치되어 장착된다. 따라서, 댐핑 마운트는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동력전달계통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파워트레인의 진동을 최대한 억제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서 개발되어 왔다.
차량의 댐핑 마운트는 러버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진동을 감쇠시키는 러버 마운트, 공기를 작동유체로 사용하여 공기의 출입에 따라 진동을 감쇠시키는 에어 댐핑 마운트(공압식 마운트) 및 액체를 작동유체로 사용하는 하이드로 마운트(유체봉입식 마운트)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의 마운트들은 파워트레인이 안착되는 엔진룸 주변에 장착되어 파워트레인(특히, 엔진과 트랜스미션)의 하중을 지지하며, 내부 구조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 을 참조하면, 러버 마운트는 엔진(또는 트랜스미션)이 결합되는 센터볼트가 하우징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되, 센터볼트는 코어 및 러버와 함께 하우징 내에 장착된다. 센터볼트를 통하여 전달되는 진동은 러버의 탄성변형을 통하여 감쇠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하이드로마운트의 경우, 하우징 내에서 센터볼트, 코어, 러버, 노즐플레이트 및 다이어프램이 장착되되, 상기 노즐플레이트의 위아래로 상측 및 하측 챔버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챔버 내부에는 소정 량의 하이드로액이 채워지되, 상기 하이드로액은 러버의 탄성변형에 따라 노즐플레이트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상측챔버와 하측챔버 사이를 유동하며 (엔진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쇠시킨다. 이때, 멤브레인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하이드로액의 유동에 따라 진동하며 고주파영역의 진동을 더 효율적으로 감쇠시키기도 한다.
상기 러버마운트는 가격이 저럼하나 댐핑 효과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단점이 있는 반면, 상기 하이드로마운트는 더 효율적인 댐핑 효과를 가지나 요구되는 부품 수가 많아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에어 댐핑 마운트는 일반적으로 러버마운트와 하이드로마운트 사이의 생산비용과 댐핑효율을 갖는다. 상기 에어 댐핑 마운트는 러버의 하부에서 소정의 용적을 갖는 에어챔버를 형성하도록 로워플레이트를 장착하되, 상기 러버의 탄성변형에 따라 (로워플레이트에 타공된 에어홀을 통하여) 공기의 출입이 발생하는 구성을 갖는다. 즉, 러버의 탄성력과 공기 유동 변화에 따라 댐핑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에어 댐핑 마운트는 작동 유체가 공기이므로 하이드로 마운트 대비 진동 제어 성능은 낮지만 (작동 유체 없이 러버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댐핑 작동하는) 러버 마운트 대비 높은 성능을 가지며, 작동유체가 유동하는 유로의 구성방식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이 용이하여 원가 및 중량 측면에서 하이드로 마운트 대비 유리하므로 소형 승용차량 등에 사용할 경우 원가 및 중량 대비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하지만, 종래의 에어 댐핑 마운트의 경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볼트를 통하여) 파워트레인의 하중이 위에서 항시 가압하도록 작용하는 구조이므로 러버의 크립(creep)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크립 현상은 러버의 탄성변형률을 저하키며 에어챔버의 용적을 축소시켜 감쇠기능의 저하 및 접촉부분의 파손이나 변형을 유발시킬 수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는 (행거형) 에어 댐핑 마운트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에 장착되어 파워트레인의 하중을 지지하는 에어 댐핑 마운트에 있어서, 차체에 장착되되 상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측면에 장입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측을 차폐하도록 결합되고 에어홀이 타공된 어퍼플레이트;와 탄성을 갖는 재질이며 상기 어퍼플레이트 아래로 장착되는 러버; 및 바(bar) 형상으로서 일단은 장입홀에 삽입되어 러버와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파워트레인과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러버 사이에서 에어챔버가 형성되어 러버의 탄성변형에 따라 에어챔버 내의 공기가 에어홀을 통하여 출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러버에는 나사홀이 형성된 코어가 (일체로 제조되도록 가류성형 또는 인서트 성형 등을 통하여) 결합되되 상기 나사홀의 입구는 러버의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은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에 의하여 러버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플레이트는 상측으로 볼록한 판(plate) 형상이며 상기 러버의 상면은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되되, 상기 어퍼플레이트의 바닥면과 러버의 상면 사이의 간극은 상측으로 점점 더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어퍼플레이트의 중앙에는 평평한 플랫부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홀은 플랫부의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브라켓이 러버의 하단에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러버의 위에서 하중이 작용하는 종래의 에어 마운트 구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러버의 크립 현상을 억제 및/또는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파워트레인과 마운트 사이의 체결위치(러버와 브라켓 같의 결합 높이)가 종래 보다 낮아짐으로 차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강성 확보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플랫부의 면적과 러버의 간극 조절을 튜닝인자로 제공하여 설계자에게 더 넓은 설계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고무마운트, 하이드로마운트 및 종래의 에어마운트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부분절개도 및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의 사시도 및 차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참고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의 부분절개도 및 확대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에어 댐핑 마운트는 에어 댐핑 마운트와 파워트레인을 연결하는 브라켓(40)이 센터볼트 위에 거치되는 방식이 아니라 하우징(10) 내부에서 러버(30)의 하부에 행거(hangered)된 형태를 갖는다.(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에어 댐핑 마운트는 엔진 및 트랜스미션으로 구성된 파워트레인의 각 부분을 엔진룸을 형성하는 차체의 3지점 또는 4지점에서 지지하므로, 엔진 마운트 또는 트랜스미션 마운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 와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의 하우징(10)은 상측이 개구된 컵(cup) 형상이되, 차체에 볼트 체결될 수 있도록 레그부(12)가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브라켓(40)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장입홀(11)이 형성된다.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판 형상의 어퍼플레이트(20)는 하우징(10)의 상면을 차폐하도록 장착되며, 테두리부분이 둘레를 따라 상기 하우징(10)의 상측 테두리 (및 러버의 하단을 지지하는 스토퍼)와 컬링(curling)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퍼플레이트(20)의 중앙에는 소정의 넓이를 갖도록 평평한 원반모양을 형성하는 플랫부(22)가 형성되고, 상기 플랫부(22)의 중앙에 소정의 내경을 갖도록 에어홀(21)이 타공된다.
본 발명의 러버(30)는 스토퍼(도 3 참조)와 어퍼플레이트(20) 사이에서 위아래로 가압되어 고정되도록 하우징(10)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러버(30)는 상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어퍼플레이트(20)와 사이에 간극(間隙)이 형성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간극은 상측으로 점점 더 커지도록 형성되며(즉, 어퍼플레이트의 경사면이 러버의 경사면 보다 더 큰 각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이와 같은 간극으로 인해 생성된 공간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운트의 에어챔버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러버(30)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또는 합성플라스틱재)로 제조되되, (가류성형 또는 인서트 성형 등 고무재와 금속재를 일체로 제조하는 방법을 통하여) 중앙에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인) 코어(50)가 일체로 성형된다. 상기 코어(50)는 고정볼트(5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홀이 형성되되, 상기 나사홀의 입구는 아래쪽을 향하도록 장착된다.
그러므로, 브라켓(40)의 일측이 하우징(10)의 장입홀(11)을 통하여 상기 코어(50)의 나사홀 아래에 위치하면 고정볼트(51)를 나사홀에 삽입시킴으로서 브라켓(40)은 러버(30)와 결합된다.
한편, 상기 브라켓(40)의 타측 끝단은 파워트레인의 엔진 또는 트랜스미션이 거치되어, 브라켓(40)에 작용하는 트랜스미션의 하중과 진동은 러버(30)로 전달된다.
따라서, 엔진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브라켓(40)을 통하여 러버(30)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러버(30)는 탄성변형하게 된다. 러버(30)의 탄성변형에 따라 에어챔버는 용적이 변화하게 되고, 이러한 용적 변화는 어퍼플레이트(20)의 내측과 외측 간의 기압 차를 발생시켜 에어홀(21)을 통하여 공기의 출입을 유도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댐핑 마운트는 에어챔버로의 공기 출입과 러버의 탄성변형을 통하여 파워트레인에서 발생한 진동을 감쇠시키되, 어퍼플레이트(20)와 러버(30) 사이의 간극 조절(에어챔버의 용적 조절), 플랫부(22)의 넓이 변경 등과 같은 더 다양한 튜닝 요소를 제공함으로 설계자에게 더 넓은 설계자유도를 제공함으로 마운트 제작시 요구되는 목표성능을 더 용이하게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하우징
20 : 어퍼플레이트
30 : 러버
40 : 브라켓

Claims (4)

  1. 차체에 장착되어 파워트레인의 하중을 지지하는 에어 댐핑 마운트에 있어서,
    차체에 장착되되 상측이 개구된 형상으로 측면에 장입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측을 차폐하도록 결합되고 에어홀이 타공된 어퍼플레이트;와
    탄성을 갖는 재질이며 상기 어퍼플레이트 아래로 장착되는 러버; 및
    바(bar) 형상으로서 일단은 장입홀에 삽입되어 러버와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파워트레인과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플레이트와 러버 사이에서 에어챔버가 형성되어 러버의 탄성변형에 따라 에어챔버 내의 공기가 에어홀을 통하여 출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댐핑 마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에는 나사홀이 형성된 코어가 결합되되 상기 나사홀의 입구는 러버의 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브라켓은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에 의하여 러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댐핑 마운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플레이트는 상측으로 볼록한 판 형상이며 상기 러버의 상면은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되되,
    상기 어퍼플레이트의 바닥면과 러버의 상면 사이의 간극은 상측으로 점점 더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댐핑 마운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플레이트의 중앙에는 평평한 플랫부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홀은 플랫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댐핑 마운트.
KR1020110055881A 2011-06-10 2011-06-10 에어 댐핑 마운트 KR20120136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881A KR20120136747A (ko) 2011-06-10 2011-06-10 에어 댐핑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881A KR20120136747A (ko) 2011-06-10 2011-06-10 에어 댐핑 마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747A true KR20120136747A (ko) 2012-12-20

Family

ID=4790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881A KR20120136747A (ko) 2011-06-10 2011-06-10 에어 댐핑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67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2541B2 (en) 2013-08-06 2016-01-26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type engine mount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2541B2 (en) 2013-08-06 2016-01-26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type engine mount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562B1 (ko) 에어 댐핑 마운트
KR102478146B1 (ko) 댐퍼 내장형 엔진마운트
KR101676257B1 (ko) 엔진마운트
EP2221503B1 (en) Liquid-filled vibration isolator
JP6214893B2 (ja) 流体封入型マウント
KR101510350B1 (ko) 진동을 흡수하는 마운팅 장치
KR101005096B1 (ko) 진동 감쇄를 위한 연료펌프 모듈
US9222542B2 (en) Engine-mount
US20090250852A1 (en) Hydraulically damped mounting device
CN203832224U (zh) 一种刚度与阻尼可调式发动机悬置装置
KR101165210B1 (ko) 가변형 오리피스홀을 구비한 에어 댐핑 마운트
KR20120136747A (ko) 에어 댐핑 마운트
KR101324533B1 (ko) 하이드로 엔진마운트
CN210686806U (zh) 减振器、减振结构及减振总成
CN205523647U (zh) 一种车辆动力总成液压悬置、车辆动力总成和车辆
KR20210122422A (ko)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JP2018204675A (ja) 防振装置
KR20090130930A (ko) 하이드로릭 엔진 마운트
KR102169368B1 (ko) 엔진마운트
KR20140046901A (ko) 하이드로엔진마운트의 오리피스플레이트
KR20110135302A (ko) 종횡방향 에어 댐핑 마운트
JP2011038599A (ja) 冷蔵庫
KR20170029677A (ko) 엔진마운트
KR102347074B1 (ko) 엔진마운트의 구조
JP2021014890A (ja) 防振ユニット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79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609

Effective date: 2018013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