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668A - 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화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668A
KR20120136668A KR1020110055731A KR20110055731A KR20120136668A KR 20120136668 A KR20120136668 A KR 20120136668A KR 1020110055731 A KR1020110055731 A KR 1020110055731A KR 20110055731 A KR20110055731 A KR 20110055731A KR 20120136668 A KR20120136668 A KR 20120136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support
planter
wate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0158B1 (ko
Inventor
노유진
Original Assignee
노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유진 filed Critical 노유진
Priority to KR1020110055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0158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화분이 수용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측벽부; 화분이 수용되는 상기 바닥부 및 측벽부의 내면에 돌출되어 화분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바닥부의 일부에 형성되는 배출구; 및 일단이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배출수 통로를 가지는 배출호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기존의 화분 받침대의 큰 형상 변경없이 기존 차지하는 용적 및 형상을 유지하면서 간단하게 내부에 물 배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금형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화분을 통과한 남은 물, 흙 및 부유물이 외부로 흘러넘치지 않게 하여 화분 주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분 받침대{Flowerpot support}
본 발명은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나무 또는 꽃이 심어진 화분에 주기적으로 물을 줄 때 화분을 통과한 물이 외부로 흘러 넘치지 않게 하여 바닥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기관 등에는 인테리어용 소재로서 꽃이나 나무 등이 심어진 화분이 진열되며, 관리자는 이러한 화분에 물을 주기적으로 주게 된다.
화분에 준 물 중에서 화분 흙에서 흡수되지 못한 남은 물은 화분 밑바닥을 통해 흙 및 부유물과 함께 흘러내려 더러워지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분 받침대가 사용된다.
기존의 화분 받침대는 화분 밑바닥을 수용할 수 있는 오목한 용기 형상을 가져 내부에 화분을 통과한 남은 물을 수용할 수 있지만, 화분 받침대가 수용할 수 없을 정도의 많은 물을 화분에 주면 화분 받침대를 통해 남은 물, 흙 및 부유물이 흘러넘쳐 외부의 바닥이 더러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관리자가 여러 다수의 화분에 물을 주는 경우, 해당 화분으로 여러번 옮겨가면서 화분 밑바닥으로 넘치는 물을 하나씩 처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화분내에서 공급된 물의 수용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다수의 화분 또는 무거운 화분이 있을시 대부분 관리자는 물을 충분히 주고, 남아 흐르는 물을 뒷처리하는 등의 작업을 위해 아파트의 베란다나 사무실의 화장실 등으로 화분을 옮겼다가 제자리로 원위치시키는 등의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관리자가 여러 화분으로 옮겨가면서 공급된 물이 화분 밑바닥으로 흐르는 것을 일일이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여 다수의 화분 밑바닥으로 흐르는 물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다수의 화분 또는 무거운 화분이 있을시 물을 충분히 주고 남은 물을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아파트의 베란다나 사무실의 화장실 등으로 옮길 필요없이 화분이 있는 자리에서 물을 충분히 주고, 뒷처리가 용이하도록 하며, 화분에 과도한 물을 주게 되어도 외부로 흘러넘치지 않고, 남은 물은 안전하게 유출되어 외부의 더러워짐을 방지하면서도 해당 형상의 화분 받침대가 차지하는 체적의 증가 없이 기존의 화분 받침대의 용적내에서 안전한 물 배출 수단을 구비하고, 기존 화분 받침대를 이용하면서 간편한 잔여 물 배출 수단을 갖는 내부 구조의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화분이 수용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측벽부; 화분이 수용되는 상기 바닥부 및 측벽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화분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바닥부의 일부에 형성되는 배출구; 및 일단이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배출수 통로를 가지는 배출호스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3개이상의 원통 형상 돌출 지지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부의 높이는 상기 지지부의 최고 높이보다 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벽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호스의 타단이 연결되는 유입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 바닥부 및 배출구는 별도의 화분 받침대의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분리 및 조립 결합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벽부(30), 지지부(20) 및 배출호스(4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시온안료(감온안료)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기존의 화분 받침대의 큰 형상 변경없이 기존 차지하는 용적 및 형상을 유지하면서 기존 화분 받침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내부에 선택적으로 탈부착식의 물 배출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화분 받침대 또는 기존의 금형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여러 화분으로 옮겨가면서 공급된 물이 화분 밑바닥으로 흐르는 것을 일일이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하여 다수의 화분 밑바닥으로 흐르는 물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고, 화분을 통과한 남은 물, 흙 및 부유물이 외부로 흘러넘치지 않게 하여 화분 물 공급 관리 작업의 간편화 및 화분 주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화분 받침대에 적용되는 시온안료를 통한 색상 변화를 통해 관리자가 공급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여 식물에 최적 온도대의 물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용상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측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1 내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100)는 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대응되는 형상의 용기로서, 일부에 형성되는 배출구(15)를 가지는 바닥부(10) 및 바닥부(10)의 둘레를 따라 상부로 형성되는 측벽부(30)를 포함하며, 화분(50)이 수용되는 상기 바닥부(10) 및 측벽부(30)의 내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화분의 밑바닥과 접촉되어 화분을 지지하는 지지부(20)가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배출구(15)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15)와 연통되는 배출수 통로를 가지는 배출호스(4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0)는 바닥부(10)상에 돌출 형성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 돌출 지지부로서, 화분의 밑바닥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안정적인 지지 평면을 형성하기 위해 최소한 3개이상, 본 실시예에서는 4개 형성된다. 이때, 통공은 배출호스(40)가 지나가는 공간이 되며, 별도의 추가적인 배출호스(40)가 지나가는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 화분 받침대의 용적이 증가되지 않는다.
상기 바닥부(10)의 높이는 상기 지지부(20)의 최고 높이에 있는 지지부의 지점(21)보다 더 낮게 형성됨으로써, 지지부(20)가 지지하는 화분의 밑바닥이 배출구(15)를 막지 못하게 하며, 화분(50)으로부터 흘러나온 물, 부유물 및 흙이 고여 배출호스(40)를 따라 용이하게 나가도록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배출호스(40)의 일단은 상기 배출구(15)과 연통되며, 타단은 별도의 용기(60)에 배치되어 화분을 통과하고 남은 물, 부유물 및 흙을 포함한 배출수는 하수구 또는 별도의 용기(60)로 흐르게 된다. 이때, 유입구(35)를 가지는 유입노즐(36)이 상기 측벽부(30)의 상부에 형성되어, 배출호스(40)를 통해 배출수가 대부분 배출되고 나면, 배출호스(40)의 타단을 유입노즐(36)에 연결하여 추가로 남아있는 잔여 배출수가 화분 받침대(100)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구(15)에 합성수지제의 배출관(45)이 연결되고, 배출관(45)과 측벽부(30)가 만나는 부분에 배출노즐(37)이 형성되어, 배출노즐(37)에 선택적으로 배출호스(40)를 연결하여 다수의 다른 화분마다 배출노즐(37)에 배출호스(40)를 탈부착해가면서 화분밑으로 나오는 물 및 이물질을 용기(60)에 받아낼 수 있게 되어 무거운 화분이나, 다수의 화분에서의 물 주입 관리 작업시 보다 간편하면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5에서는 바닥부(10), 지지부(20) 및 배출관(45)이 측벽부(30)에 일체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바닥부(10), 지지부(20) 및 배출관(45)을 포함한 물 배출 수단이 기존 또는 별도의 화분 받침대의 바닥면에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채, 조립 결합 수단에 의해 안착 구비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배출관(45)이 외부의 배출호스와 연통될 수 있는 별도의 출수구를 기존의 화분 받침대의 측벽부에 간단히 가공할 수도 있으며, 기존 화분 받침대의 밑바닥에 외부와 연결될 수 있는 개구부가 있는 경우 이를 통해 배출관(45)을 외부의 배출호스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 화분 받침대 또는 기존 화분 받침대의 금형 변경없이 기존의 화분 받침대를 폐기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하면서 내부에 물 배출 수단을 구비시켜 다수의 화분을 화장실 또는 베란다 등으로 옮기지 않은 채, 각 화분의 각 제자리로 이동해가며 관리자의 물 주기 및 배수 관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물 배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관리자가 화분에 과도한 물을 주게 되어도 외부로 흘러넘치지 않고, 남은 물은 안전하게 배출호스(40)를 따라 외부로 유출되어 외부의 더러워짐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부(10), 측벽부(30) 및 지지부(20)가 일체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기존의 화분 받침대의 바닥면에 올려 끼워 조립 및 분리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하고 있는 기존의 화분 받침대상에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여 별도의 화분 받침대용 금형 제작이 필요치 않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요소인 측벽부(30), 지지부(20) 및 배출호스(4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시온안료(감온안료)를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각 화분에서 자라는 식물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각 원 색상이 다른 색상으로 변했다가 다시 원 색상으로 되돌아오는 가역성 시온안료를 통해 식물에 공급되는 적정 온도 및 부적정 온도의 정보를 외부 및 관리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즉, 한 가지 시온안료 또는 다른 온도대별로 색상이 변화가능한 두 가지 이상의 가역성 시온안료를 혼합하여 계절별로 화분에 공급되는 물의 온도에 의해 색상이 달라지는 등 다채로운 시각효과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25℃에서 색상이 변화하는 오렌지 시온안료(OT-25)인 경우, 화분에 공급되는 물이 해당 화분의 식물에 적합한 최대 적정 온도인 25℃를 초과하면, 완전히 색상이 없어졌다가 물의 온도가 25℃ 이하이면 다시 원래 색이 돌아오는 등 문양의 색이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가역성 시온안료를 선택 또는 상호 혼합하고서 여러가지로 응용하여 관리자가 화분에 공급하는 물의 최적 온도대를 화분 받침대의 색상 변화를 통해 알게 되어 물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화분에서 자라는 식물에 최적 온도의 물을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부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바닥부 15 : 배출구
20 : 지지부 30 : 측벽부
35 : 유입구 36 : 유입노즐
40 : 배수호스 50 : 화분
60 : 용기 100 : 화분 받침대

Claims (6)

  1. 화분이 수용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측벽부;
    화분이 수용되는 상기 바닥부 및 측벽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화분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바닥부의 일부에 형성되는 배출구; 및
    일단이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배출수 통로를 가지는 배출호스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내부에 통공이 형성된 3개이상의 원통 형상 돌출 지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높이는 상기 지지부의 최고 높이보다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호스의 타단이 연결되는 유입노즐을 더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바닥부 및 배출구는 별도의 화분 받침대의 바닥면에 안착되도록 분리 및 조립 결합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30), 지지부(20) 및 배출호스(4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시온안료(감온안료)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받침대.
KR1020110055731A 2011-06-09 2011-06-09 화분 받침대 KR101260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731A KR101260158B1 (ko) 2011-06-09 2011-06-09 화분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731A KR101260158B1 (ko) 2011-06-09 2011-06-09 화분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668A true KR20120136668A (ko) 2012-12-20
KR101260158B1 KR101260158B1 (ko) 2013-05-06

Family

ID=4790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731A KR101260158B1 (ko) 2011-06-09 2011-06-09 화분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01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8776A (zh) * 2015-11-19 2017-05-31 陈能谟 一种可种花的流水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6047B2 (ja) * 1992-02-14 2000-09-11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
KR200302956Y1 (ko) * 2002-10-29 2003-02-05 서종일 조립식 화분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8776A (zh) * 2015-11-19 2017-05-31 陈能谟 一种可种花的流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0158B1 (ko) 201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6542B1 (en) Hydroponic plant cultivating apparatus
US4174589A (en) Bathroom planter box
CN101336604B (zh) 浇花盘
KR20160099909A (ko) 물 저장 및 가습형 화분
US20010052199A1 (en) Stackable planter
KR100991332B1 (ko) 가로등 화분의 급수장치
KR20120136668A (ko) 화분 받침대
KR100997306B1 (ko)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KR101899720B1 (ko)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KR101327568B1 (ko) 화분용 급수장치
KR100982629B1 (ko) 급수통과 화분받침대가 일체화된 조형 화분
WO2019086242A1 (en) Vertical growing system and use thereof
JP2015077128A (ja) 植木鉢用水位表示装置
KR200367528Y1 (ko) 급수식 다용도 화분
KR20100007706U (ko) 물받이 일체형 화분
JPH04158724A (ja) 植物育成器の給水装置
KR20150019469A (ko) 조립식 화분 장치
JP2003340331A (ja) 噴水鉢
KR20120055025A (ko) 텃밭용 화분
KR20170003332U (ko) 포트 꽂이 화분
JP2002153366A (ja) 花 器
KR200446453Y1 (ko) 화분 외장용기
KR200245614Y1 (ko) 화분받침대
CN107624422A (zh) 可蓄水的花盆结构
KR102653506B1 (ko) 자동 관수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