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541A - 자동화장치를 이용한 레벨링 친환경 단면 및 표면 처리공법 - Google Patents

자동화장치를 이용한 레벨링 친환경 단면 및 표면 처리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541A
KR20120136541A KR1020110055539A KR20110055539A KR20120136541A KR 20120136541 A KR20120136541 A KR 20120136541A KR 1020110055539 A KR1020110055539 A KR 1020110055539A KR 20110055539 A KR20110055539 A KR 20110055539A KR 20120136541 A KR20120136541 A KR 20120136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ructure
adhesive
filler
rebar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6090B1 (ko
Inventor
정재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정재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정재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110055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6090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6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6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4Filling pas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은,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정리하는 표면 전처리단계, 상기 콘크리트가 탈락되어 노출된 철근의 녹을 제거하고 방청제를 도포하는 방청단계, 상기 구조물 및 철근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를 도포한 표면 상부로 충전재를 충전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재를 보호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 전처리단계는 상기 구조물의 표면을 연삭하는 연삭단계와, 상기 연삭 공정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화장치를 이용한 레벨링 친환경 단면 및 표면 처리공법{Drove and Leveling Machine Repair Method}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및 단면을 보수하는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상된 구조물의 표면을 정리하는 표면 전처리단계, 노출된 철근에 방청제를 도포하는 철근 방청단계, 손상된 구조물 및 철근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충전재를 타설하는 충전단계 및 표면 마감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지하차도 및 터널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풍화작용이나 중성화 현상에 의해 콘크리트가 탈락 되거나, 균열부위를 통한 우수나 염분의 침투에 의해 내부 철근이 부식될 수 있다. 이처럼 부식이 발생하는 경우 보수가 필요하게 되며, 이를 위해, 손상된 부분을 연삭하고, 철근에 방청제를 도포한 후 충전재를 타설하여 보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은,
첫째, 파손된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에서 작업자가 직접 브레이커 또는 그라인더 등을 사용하여 표면을 연삭하고 세척함으로써 위험에 노출되고, 비산된 먼지로 인해 2차적인 피해를 발생할 수 있다.
둘째, 점도가 강한 재질의 약품을 사용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미장하는 경우 표면을 균일하게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작업자에 따라 그 품질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셋째, 교량을 보수하는 경우와 같이 일정 높이 이상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며, 보수 하려는 구조물의 위치가 연직방향을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경우 연삭 및 도장 공정에서 그 시공의 어려움이 발생한다.
넷째,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는 경우 각각의 공정들이 작업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진행됨으로써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되어 노무자의 피로도를 증가시킨다.
다섯째, 기존 포장(모체)과 보수공사에 의해 재포장된 포장 사이의 접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응력집중에 의한 균열, 박리 등의 국부파손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복구된 단면 전체의 파손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보수공법인 아스팔트 덧씌우기 공법과 아크릴계 폴리머 콘크리트 박층 포장 보수공법은 기존 포장과 보수 공사에 의해 재포장된 포장 사이의 접합이 견고하지 못하며, 작업 중에 발생하는 비산 먼지로 인해 작업자의 건강상 위험을 도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다양한 위치에서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보수 후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는 전 공정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일체화함으로써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은,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정리하는 표면 전처리단계, 상기 콘크리트가 탈락되어 노출된 철근에 방청제를 도포하는 철근 방청단계, 상기 구조물 및 철근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 상기 접착제 위로 충전재를 타설하는 충전단계 및 표면 마감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 전처리단계는 상기 구조물의 표면을 연삭하는 연삭단계와, 상기 연삭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삭단계와 흡입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면 전처리단계는 상기 구조물의 위치 또는 높이를 센싱하는 센싱단계 및 상기 센싱단계에서 얻은 데이터를 통해 작업공간의 위치 또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단계를 포함한다.
바랍직하게는,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는 도포면의 먼지, 기름때, 물기, 녹, 레이턴스 및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고, 에어 콤프레서를 이용하여 상기 접착제를 분사하여 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청단계는 상기 콘크리트의 탈락부분을 완전히 제거 후 고압수 세정기, 압축공기 또는 진공 흡입기를 사용하여 청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단계는 상기 충전재를 모체와 동일한 재질로 마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 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구조물의 보수 공정을 일체화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둘째, 구조물을 보수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위생적인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보수 공법에 관한 절차 흐름도,
도 2a,2b,2c,2d 및 2e는 본 발명의 보수 공법에 따른 구조물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구조물 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보수가 완료된 구조물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 보수 공법에 사용되는 자동화 장치에 관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공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 ,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및 이에 따른 구조물의 단면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은 표면 전처리단계(S10), 철근 방청단계(S30), 접착제 도포단계(S50), 충전단계(S70) 및 표면 마감단계(S90)로 구분 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전처리단계(S10)는, 각종 원인(풍화, 중성화, 동결융해)에 의해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기 이전에 표면을 고르게 가공하고 세척하는 것이다.
상기 표면 전처리 단계는 표면을 치핑(chipping)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핑하는 단계는 구조물의 표면을 다듬거나, 충전재(171) 등과의 결합력을 우수하게 하기 위해 표면을 정리하는 것이다.
상기 표면 전처리단계(S10)는 철근(30)의 설치 위치를 표시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철근(30)이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철근위치 표시단계에 의해 표시된 지점을 피하면서 전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전처리단계(S10)는 연삭단계(S11)를 포함하며, 이를 위해 그라인더(미도시) 등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작업자는 연삭하려는 부분에 상기 그라인더를 직접 이용하여 연삭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연삭기능과 자동화 레벨링 기능을 갖는 D.L.M(Drove and Level Machine)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D.L.M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장치에 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연삭단계(S11)는 상기 철근의 상면을 향하여 고압수를 분사하도록 형성된 분사노즐을 구비한 고압살수장치(미도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고압 살수장치에 장착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표면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압살수장치의 상기 분사노즐 주변에는 비산방지망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전처리단계(S10)는 상기 연삭단계(S11)에서 비산되는 먼지를 제거하는 흡입단계(S13)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진공흡입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진공 흡입장치는 적재함 및 흡입호스를 구비하고, 상기 흡입호스의 일단은 상기 적재함의 상부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흡입호스의 보관시 상기 흡입호스를 말아서 상기 적재함의 상부에 적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단계(S13)는 상기 연삭단계(S11)와 동시에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흡입을 위한 흡입장치 또는 흡입부는 상기 연삭 공정을 위한 연삭장치 또는 연삭부의 후면에 마련되어, 연삭 시 발생하는 먼지 등을 뒤에서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연삭단계(S11)는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교량의 상판과 같이 구조물이 일정 높이 이상에 존재하는 경우, 작업자는 상기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가설물을 설치하고, 높이에 따라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높이 조절단계에서 작업자의 수동적인 조작없이 센서에 의한 센싱단계를 통해 자동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표면 전처리단계(S10)는 세척 및 청소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콘크리트의 탈락부분을 제거 후 고압수 세정기 등을 사용하여 표면에 남아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압축공기나 진공흡입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세척 및 청소단계가 끝나면, 일정기간 이상 구조물의 탈락된 표면 및 철근의 건조를 위한 건조단계가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철근 방청단계(S30)는 노출된 철근(131)의 표면의 부식 부위를 제거한 후 방청제(133)를 도포하여 녹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방청단계(S30)는 수용성 아질산 리튬 금속염과 실란화합물로 이루어진 방청 환원제를 탈락된 콘크리트 부위의 노출된 철근(131) 표면에 도포할 수 있으며, 상기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내에 함유된 수분, 염화물 이온과의 전지작용에 의한 전위차에 따라 철근(131)이 부식된 부분을 도포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방청제(133)를 도포하는 경우, 부식된 철근(131) 주변 및 손상된 콘크리트 표면에 수용성 규산리튬 금속염과 실란화합물로 이루어진 표면강화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강화제를 도포하는 것은, 상기 철근(131)이 부식됨에 따른 팽창압으로 인하여 피복 콘크리트가 탈락된 부위나, 또는 중성화, 동해 또는 알칼리 골재반응에 의하여 알칼리 상실, 표면 다공질화, 미세균열 발생 등과 같은 결함에 의해 손상된 콘크리트 표면에 표면강화제를 도포하여 알칼리성을 초기 상태인 Ph 12 정도로 회복시키고, 콘크리트의 표면 응집력을 향상시켜 기타 마감재와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철근(131)에 방청제(133)를 도포하기 전에 상기 철근(131)의 녹슨 부위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근(131)의 녹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기계적인 마찰이나 충격에 의해 제거할 수 있으며, 화학약품에 의해 상기 철근(131)의 녹을 제거할 수도 있다.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50)는, 구조물의 표면에 접착제(151)를 도포하는 것으로 상기 방청단계(S30)을 마치고 충전재(171)로 탈락된 공간을 채우기 전에 상기 충전재(171)와 구조물의 표면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접착제(151)로는 프라이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151)를 도포하기 전에, 도포하려는 표면의 먼지, 기름때, 물기, 녹, 레이턴스 및 기타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151)는 도포하기 전에 내용물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잘 저어주고, 도포하는 중에도 저어 줌으로써, 균일한 성질의 접착제(151)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도포시에 너무 과다하게 도포하게되면, 건조고형물이 표면에 남게 되어 부착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충전단계(S70)는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과 같은 재질의 충전재(171)를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탈락된 부위에 채우는 것을 말한다. 상기 충전재(171)는 모체 즉, 기존의 콘크리트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는 경우 모체와 충전재(171)의 팽창계수 및 열전도율이 동일하여, 결합부위의 결속력이 우수하며 추가적인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표면 마감단계(S90)는 상기 충전재(171)를 타설하고, 타설된 상기 충전재(171)의 표면을 정리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충전재(171)를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재(171)를 양생하는 경우 상기 충전재(171)가 바람 및 직사광선에 노출되면 표면건조가 일어나 균열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급속건조 되지 않도록 방풍장치 및 습기를 포함한 부직포 등으로 습윤 양생을 할 수 있다.
상기 표면 마감단계(S90)는 보수된 콘크리트 탈락부위의 표면에 방수성 수지재 또는 표면마감재(191)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면복구된 콘크리트 탈락부위가 물과 거의 접하지 않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콘크리트 내구성 저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유해가스나 수분의 침투를 제어,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의 방수재를 로울러 또는 스프레이 등을 통하여 도포한다.
도 2a 내지 2e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에 따라 보수되는 구조물의 단면을 순차적으로 보여준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원인(중성화, 풍화)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이 탈락되어 철근(131)이 노출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철근(131)의 녹을 제거하거나 방청제(133)를 도포한다. 상기 방청제(133)를 도포하기 전에 녹을 제거하거나, 상기 철근(131)의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할 수도 있으며.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철근(131)과 탈락 된 구조물의 표면에 접착제(151)를 도포한다, 상기 접착제(151)는 프라이머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151)는 탈락 된 부분에 충전재(171)를 채우기 전에 상기 충전재(171)와 구조물의 표면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제(151)가 도포된 철근(131) 및 구조물의 표면 위로 충전재(171)를 타설한다. 상기 충전재(171)로는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구조물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전재(171)를 타설하고 양생을 마친 후, 표면을 도장하거나 보호하기 위한 코팅재 또는 표면마감재(191)를 도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은 도 1,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추가적인 구성 및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 완료한 후의 구조물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철근(131)의 표면에는 방청제(133)를 도포하고, 상기 철근(131) 및 탈락된 구조물의 표면에 접착제(151)가 도포되며, 상기 접착제(151) 위로 충전재(171)가 마련되며, 마지막으로 상기 충전재(171) 위에 표면마감재(191) 또는 표면 코팅재가 시공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에 사용되는 자동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장치는 표면전처리부(110), 철근방청부(130), 접착제 도포부(150), 충전부(170) 및 표면마감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화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앞서 설명한 표면 전처리단계(S10), 철근 방청단계(S30), 접착제 도포단계(S50), 충전단계(S70) 및 표면 마감단계(S90)에 사용되는 장치를 결합하여 마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전처리부(110)는 연삭부와 세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삭부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된 부위를 보수하기 용이하도록 표면을 다듬는 것을 말하며, 상기 세척부는 상기 연삭부에 의해 표면이 다듬어지고 난 후 접착제(151) 또는 충전재(171)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표면을 세척하는 것이다.
상기 연삭부는 작업자가 그라인더 등의 연삭장비를 사용하여 연삭 할 수 있으며, 상기 세척부는 수압에 의해 세척할 수 있다.
상기 표면전처리부는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구조물의 표면을 전처리하기 위한 연삭부 및 흡입부가 구동하는 경우, 상기 높이 조절부에 의해 작업하려는 높이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부는 센싱부를 포함하여, 작업자가 높이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상기 센싱부에 마련된 높이 및 위치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높이가 조절 될 수도 있다.
상기 표면전처리부(110)는 연삭기능과 자동화 레벨링 기능을 갖는 D.L.M(Drove and Level Machine)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D.L.M 은 구조물의 표면을 연삭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연삭하고자 하는 부분의 높이가 다른 경우, 작업자가 위치를 이동하지 않더라도, 상기 D.L.M 의 높이조절장치를 이용하여 필요한 높이를 연삭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D.L.M은 자동화 기계장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연삭기능 외에도 연삭 중에 발생하는 먼지를 흡수하도록 흡입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산되는 먼지를 흡수하여 작업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면전처리부(110)에는 흡입부가 함께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는 상기 연삭부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연삭시에 발생하는 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는 비산되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진공흡입장치를 이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상기 D.L.M은 단면 복구시 연삭날을 레벨기로 교체하여 자동으로 수평작업을 하기 때문에 단면복구 마감시 미세공극을 없애고 평활성을 높여 외부 유해 환경으로부터 모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압축력과 휨응력을 높여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철근 방청부(130)는 상기 철근(131)에 녹을 제거하는 녹제거부와, 상기 철근(131)에 방청제(133)를 도포하는 도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철근(131)에 발생한 녹을 제거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정한 강도를 갖는 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철근(131)의 표면을 스크래치함으로써 제거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녹 제거를 위한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도 있다.
녹이 제거된 상기 철근(131)에는 방청제(133)를 도포하는데, 상기 방청제(133)는 컴프레서에 의해 뿜칠하여 도포될 수 있으며, 붓이나 로울러에 의해 철근(131)에 도포될 수도 있다.
상기 접착제도포부(150)는 방청부에 의해 방청작업이 끝난 후, 상기 철근(131)과 구조물에 충전재(171)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접착제(151)를 도포하는 것이다.
상기 접착제도포부(150)는 상기 접착제(151)를 도포하는 하나 이상의 노즐과, 상기 접착제(151)를 보관하는 저장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충전부(170)는 상기 접착제(151)가 도포된 구조물의 표면과 철근(131)에 모르타르 등의 충전재(171)를 충전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충전재(171)는 기존의 구조물과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장치는 상기 표면전처리부(110), 철근방청부(130), 접착제도포부(150), 충전부(170) 및 표면마감부(190)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적인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화 장치는 각각의 구성을 일체화 하여 하나의 장치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이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전처리부(110), 철근방청부(130), 접착제 도포부(150), 충전부(170) 및 표면마감부(190)는 그 형상에 한정이 없으며,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따라 그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 실시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자동화 장치는 각각의 구성 및 이들에 따른 공정 사이의 유기적 결합관계는 변합이 없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은 교량, 고가차도, 지하차도, 터널, 하수암거, 수리시설물(하수처리장, 정수장), 항만시설물 및 지하철 등의 폭 넓은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보수공법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S10: 표면 전처리단계 S11: 연삭단계
S13: 흡입단계 S30: 철근 방청단계
S50: 접착제 도포단계 S70: 충전단계
S90: 표면 마감단계 110: 표면 전처리부
111: 콘크리트 구조물 130: 철근 방청부
131: 철근 133: 방청제
150: 접착제 도포부 151: 접착제
170: 충전부 171: 충전재
190: 표면마감부 191: 표면마감재

Claims (8)

  1. 콘크리트가 탈락되어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함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정리하는 표면 전처리단계(S10);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출된 철근에 방청제(133)를 도포하는 철근 방청단계(S30);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및 상기 철근에 접착제(151)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50); 및
    상기 접착제(151) 위로 충전재(171)를 타설하는 충전단계(S70)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 전처리단계(S10)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연삭하는 연삭단계(S11)와, 상기 연삭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단계(S13)를 포함하며, 상기 연삭단계(S11)와 흡입단계(S13)는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전처리단계(S10)는,
    상기 구조물의 위치 또는 높이를 센싱하는 센싱단계 및 상기 센싱단계에서 얻은 데이터를 통해 작업공간의 위치 또는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50)는,
    상기 접착제(151)를 도포하려는 표면의 먼지, 기름때, 물기, 녹, 레이턴스 및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고, 에어 콤프레서를 이용하여 상기 접착제(151)를 분사하여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방청단계(S30)는, 상기 노출된 철근의 녹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 방청단계(S30)는,
    상기 콘크리트의 탈락부분을 고압수 세정기, 압축공기 또는 진공 흡입기를 사용하여 청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171)는 모체(구조물)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7. 제1항에 있어서,
    표면 마감단계(S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계(S70)는,
    상기 충전재(171)를 양생하는 충전재 양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20110055539A 2011-06-09 2011-06-09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및 이 보수공법에 사용되는 자동화장치 KR101376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539A KR101376090B1 (ko) 2011-06-09 2011-06-09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및 이 보수공법에 사용되는 자동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539A KR101376090B1 (ko) 2011-06-09 2011-06-09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및 이 보수공법에 사용되는 자동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541A true KR20120136541A (ko) 2012-12-20
KR101376090B1 KR101376090B1 (ko) 2014-03-19

Family

ID=4790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539A KR101376090B1 (ko) 2011-06-09 2011-06-09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및 이 보수공법에 사용되는 자동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60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742B1 (ko) * 2020-09-11 2021-03-11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교각 보강 방법
KR102486732B1 (ko) * 2021-12-27 2023-01-11 합자회사 건축사사무소태백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주차장 방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919B1 (ko) * 2014-08-07 2015-01-13 송병창 단면이 결손된 콘크리트 또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접착력 및 접착내구성 향상을 위한 단면복구 보수공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7100A (ja) * 1996-02-02 1997-08-12 Ebara Corp 構造物の表面処理装置
KR100736884B1 (ko) * 2007-01-19 2007-07-09 (주)넥트 하이브리드 보수 모르타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의 보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742B1 (ko) * 2020-09-11 2021-03-11 주식회사 하이콘엔지니어링 교각 보강 방법
KR102486732B1 (ko) * 2021-12-27 2023-01-11 합자회사 건축사사무소태백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주차장 방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6090B1 (ko) 201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9546A (ko) 관로 녹과 스케일 제거장치, 도료 분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갱생공법
CN103669230B (zh) 一种混凝土的预防性养护处理方法
CN102220813A (zh) 一种混凝土维修加固处理方法
CN108625618B (zh) 一种针对卫生间防水层破裂渗水的不拆砖快修方法
KR102016387B1 (ko) 콘크리트 바닥 표면 준비 방법
CN105797939A (zh) 基于铁树脂喷涂的管道修复方法
CN110886179A (zh) 道路砼制品缺陷修复及保护层涂刷施工工法
KR10137609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및 이 보수공법에 사용되는 자동화장치
US20190049053A1 (en) Corrugated metal pipe repair system and method
CN103306383A (zh) 钢筋混凝土剪力墙外墙螺栓孔防渗水方法
CN112227233A (zh) 一种使用渗透类防水防腐喷涂材料修复桥梁的施工工艺
CN110512891A (zh) 一种铁皮天沟锈蚀穿孔后防渗漏方法
CN110714781A (zh) 一种隧洞伸缩缝的修补方法
CN204252572U (zh) 一种外边梁混凝土结构的加固结构
KR102076259B1 (ko) 콘크리트 건물의 박락 부위 또는 균열 부위 보수용 보수유닛 및 그 보수유닛을 이용한 박락 부위 또는 균열 부위 보수방법
CN112408851A (zh) 一种抗辐射半永久纳米渗透结晶密封致密剂及其使用方法
CN106381816B (zh) 桥梁构件钢筋锈胀类破损的修复处理方法
KR100734176B1 (ko) 엠보 스프레이 코팅시스템을 이용하여 엠보싱 무늬층을형성하는 건물 옥상이나 바닥면의 우레탄도막형 방수공법
CN205907910U (zh) 斜屋面速凝喷涂橡胶防水结构
CN110863670A (zh) 一种输电钢制杆塔塔脚腐蚀的修复方法
KR20170040146A (ko) 건물 벽면의 콘크리트 탈착 부위 보수용 흙손 겸용 붓 및 그 흙손 겸용 붓을 이용한 탈착 부위 보수 방법
JP2003013608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方法
CN104452813B (zh) 一种地下厂房闸门井防浸水方法
CN103806630B (zh) 金属地砖安装工艺
JP2013032633A (ja) 既設床の改修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