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5753A - 줌 렌즈 시스템 - Google Patents

줌 렌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5753A
KR20120135753A KR1020110054645A KR20110054645A KR20120135753A KR 20120135753 A KR20120135753 A KR 20120135753A KR 1020110054645 A KR1020110054645 A KR 1020110054645A KR 20110054645 A KR20110054645 A KR 20110054645A KR 20120135753 A KR20120135753 A KR 20120135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group
refractive power
zoom lens
lens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3900B1 (ko
Inventor
김지성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4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900B1/ko
Priority to US13/459,868 priority patent/US8736974B2/en
Priority to CN2012101864825A priority patent/CN102819103A/zh
Publication of KR20120135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wo groups only
    • G02B15/1425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wo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negativ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4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ontinuous faces that are rotationally symmetrical but deviate from a true sphere, e.g. so called "aspheric"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es (AREA)

Abstract

줌 렌즈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줌 렌즈 시스템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을 포함하며, 다음 조건들을 만족한다.
1.2 ≤ Fnow ≤ 2,2
2.5 < ft/fw ≤ 3
BFL = 6
여기서, Fnow는 광각단에서의 F수, ft, fw는 각각 망원단에서 전체 초점거리 및 광각단에서의 전체 초점거리, BFL은 mm단위로 나타낸 후초점거리이다.

Description

줌 렌즈 시스템{Zoom lens system}
본 개시는 줌 렌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를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비디오 카메라(Video Camera), 감시용 카메라, 핸드폰용 카메라 등과 같은 전자 촬상 장치용 렌즈는 편이상의 이유로 대부분 줌 렌즈를 채용하고 있으며, 점점 더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화 요구가 반영된 줌 렌즈는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전자 촬상 소자의 개발과 디지털 저장 장치의 발전으로 고화소화가 가능해져 메가 픽셀 대응용 렌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CCTV등의 감시 카메라용 줌 렌즈의 경우 어두운 장소를 넓은 범위로 감시할 수 있도록 광각 대구경 렌즈로 특성화 되고 있으며, 또한, 피사체가 가지는 작은 특성 정보까지 확인이 가능하도록 주변부의 광학 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실시예들은 화각이 넓고 밝은 줌 렌즈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유형에 따른 줌 렌즈 시스템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을 포함하며, 다음 조건들을 만족한다.
1.2 ≤ Fnow ≤ 2,2
2.5 < ft/fw ≤ 3
BFL = 6
여기서, Fnow는 광각단에서의 F수, ft, fw는 각각 망원단에서 전체 초점거리 및 광각단에서의 전체 초점거리, BFL은 mm단위로 나타낸 후초점거리이다.
상기 줌 렌즈 시스템은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주밍시,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 사이의 간격이 변하도록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줌 렌즈 시스템은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주밍시, 상기 제1렌즈군은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렌즈군은 물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 사이에 조리개가 배치되고, 상기 조리개는 주밍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줌 렌즈 시스템은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3.0 < f/fw < -2.5
여기서 f는 상기 제1렌즈군의 초점거리이고, fw는 광각단에서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상기 제1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된 것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줌 렌즈 시스템은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3.0 < f/fw < -2.5
여기서 f는 상기 제1렌즈군의 초점거리이고, fw는 광각단에서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상기 제2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6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군의 물체측으로부터 두번째 렌즈의 아베수 vd22는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vd22 < 30
상기 제2렌즈군의 물체측으로부터 첫번째 렌즈의 d선 굴절률 nd21는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nd21 > 1.58
상기 줌 렌즈 시스템은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v(G2+) > 50
여기서, v(G2+)는 상기 제2렌즈군에서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들의 아베수 평균이다.
상기 제2렌즈군은 적어도 한 면의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군에서 가장 상측에 배치된 렌즈면이 비구면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2렌즈군에서 가장 물체측에 배치된 렌즈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일 유형에 따르는 촬상 장치는 상기 줌 렌즈 시스템과, 상기 줌 렌즈 시스템이 형성한 광학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한다.
상술한 줌 렌즈 시스템은 중심부뿐만 아니라 주변부까지 해상력이 높으면서 작은 F수 및 광각의 시야각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줌 렌즈 시스템은 다양한 수차 보정 등, 양호한 광학 성능을 적은 렌즈 매수로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줌 렌즈 시스템을 채용한 촬상 장치는 어둡고 넓은 영역에 분포하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및 망원단에서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및 왜곡을 보인 수차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및 망원단에서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및 왜곡을 보인 수차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및 망원단에서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및 왜곡을 보인 수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 시스템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도면들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줌 렌즈 시스템은 물체(OBJ)측에서 상(IMG)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G1)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G2)을 포함한다.
상기 줌 렌즈 시스템은 다음 조건들을 만족하도록 제1렌즈군(G1)과 제2렌즈군(G2)을 이루는 렌즈들이 설계되어 있다.
1.2 ≤ Fnow ≤ 2,2 (1)
2.5 < ft/fw ≤ 3 (2)
BFL = 6 (3)
여기서, Fnow는 광각단에서의 F수, ft, fw는 각각 망원단에서 전체 초점거리 및 광각단에서의 전체 초점거리, BFL은 mm단위로 나타낸 후초점거리이다.
상기 줌 렌즈 시스템은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주밍(zooming)시, 제1렌즈군(G1)과 제2렌즈군(G2) 사이의 간격이 변하도록 제1렌즈군(G1)과 제2렌즈군(G2)이 이동하며, 예를 들어, 제1렌즈군(G1)은 상측으로 이동하고, 제2렌즈군(G2)은 물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렌즈군(G1)과 제2렌즈군(G2) 사이에는 조리개(ST)가 배치되며, 조리개(ST)는 주밍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제1렌즈군(G1)은 예를 들어,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된 것으로 각각 부의 굴절력, 부의 굴절력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3매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굴절력 배치에 다라 왜곡 수차가 효과적으로 줄어들고, 또한, 코마 수차가 보정된다.
또한, 제2렌즈군(G2)은 예를 들어,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된 것으로 각각 정의 굴절력, 부의 굴절력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3매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군(G2)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군(G2) 중 가장 상측의 렌즈면은 비구면일 수 있으며, 또는, 제2렌즈군(G2) 중 가장 물체측 렌즈면이 비구면일 수 있으며, 또는, 제2렌즈군(G2)의 가장 상측의 렌즈면과 가장 물체측의 렌즈면이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2렌즈군(G2) 중 가장 물체측 렌즈면을 비구면으로 구성함으로써 적은 렌즈 매수로도 고화질의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제2렌즈군(G2) 중 가장 상측의 렌즈면을 비구면으로 구성함으로써, 비점 수차 및 상면 만곡을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줌 렌즈 시스템은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3.0 < f/fw < -2.5 (4)
여기서 f는 상기 제1렌즈군의 초점거리이고, fw는 광각단에서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상기 조건은 광각단의 초점거리에 대한 제1 렌즈군(G1)의 초점거리의 비를 정의한 것이다. 상기 조건의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 배율이 커지지만 제1 렌즈군(G1)에서 수차가 많이 발생하여 줌 렌즈 시스템의 해상력이 저하된다. 상기 조건의 하한을 벗어나는 범위에서 줌 렌즈 시스템의 화각이 작아지고 배율이 작아지며, 또한, 줌 렌즈 시스템의 전장이 길어져 소형화를 이루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 시스템은 또한, 다음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vd22 < 30 (5)
여기서, vd22는 제2렌즈군(G2) 중 물체측으로부터 두 번째 배치된 렌즈의 d선 아베수이다.
상기 조건은 제2렌즈군(G2) 중 물체측으로부터 두번째 배치된 렌즈의 d선의 아베수를 정의한 것으로, 이 값이 30보다 크면 색수차가 커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 시스템은 또한, 다음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v(G2+) > 50 (6)
여기서, v(G2+)는 제2렌즈군(G2) 중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들의 아베수 평균을 나타낸다.
상기 조건은 제2렌즈군(G2)에 포함된 렌즈들 중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들의 아베수의 평균값을 정의한 것으로서, 이 값이 50보다 작아지면 색수차가 커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 시스템은 또한, 다음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nd21 > 1.58 (7)
여기서, nd21는 제2렌즈군(G2) 중 가장 물체측에 배치된 렌즈의 d선의 굴절율이다.
상기 조건은 제2 렌즈군(G2) 중 가장 물체측에 배치된 렌즈의 d선의 굴절율을 정의한 것으로서, 이 값이 1.58보다 작으면 색수차가 일어나며 구면수차가 증가한다. 또한, 상기 조건은 조건 (5)와 함께 축상 색수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 시스템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렌즈 데이터들을 기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나타나는 비구면(ASP)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8)
여기서, x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이고, y는 광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이며, K는 코닉상수(conic constant), A, B, C, D는 비구면계수, c'은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반경의 역수(1/R)이다.
이하에서, EFL는 줌 렌즈 시스템 전체의 합성 초점거리를, Fno는 F수를, FOV는 화각을 나타낸다. 면 번호에 표시된 *은 비구면임을 의미한다. 각 실시예에서 가변거리를 D1, D2, D3로 나타낸다.
<제1실시예>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줌 렌즈 시스템은 물체(OBJ)측에서 상면(IMG)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된, 제1렌즈군(G1), 조리개(ST), 제2렌즈군(G2)을 포함한다. 제1렌즈군(G1)은 부렌즈인 제1렌즈(111), 부렌즈인 제2렌즈(121), 정렌즈인 제3렌즈(141)를 포함하며, 제2렌즈군(G2)은 정렌즈인 제4렌즈(211), 부렌즈인 제5렌즈(221), 정렌즈인 제6렌즈(231)를 포함한다. 제2렌즈(121)와 제3렌즈(141)는 접합렌즈를 이룰 수 있다. 참조부호 300으로 표시한 것은 더미(dummy) 글래스로, 예를 들어, 적외선 차단 필터나, 커버 글래스가 여기에 배치될 수 있다. 상면(IMG)은 CCD (Charge Coupled Device)나 CMOS와 같은 촬상 소자(미도시)의 촬상면을 의미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 시스템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종방향 구면 수차, 상면 만곡(astigmatic field curvature), 왜곡 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종방향 구면수차는 파장이 656.28(nm), 587.56(nm), 546.07(nm), 486.13(nm), 435.84(nm)인 광에 대해 각각 나타내었고, 상면 만곡은 파장 546.07(nm)인 광에 대해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과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을 나타내며, 왜곡은 파장 546.07 (nm)인 광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다음 표 1 내지 표 3은 제1실시예의 렌즈데이터이다.
R(곡률반경) D(렌즈간 거리 또는 두께) Glass(굴절률, 아베수)
1 21.415 1.7 835000.429
2 6.28 5.92
3 -16.497 0.73 610248.566
4 8.912 3.7 805184.254
5 74.79 D1
6 infinity D2
7* 6.507 4.3 615160.630
8* -15.71 0.6
9 92.59 0.7 805184.254
10 6.282 0.7
11* 8.762 3 615160.630
12* -15.578 D3
13 infinity 2.75 516798.641
14 infinity 5.006281
A B C K
7 -0.000202598236867 -2.18923211048e-006 -1.96632595214e-007 0.00E+00
8 -0.000202598236867 -4.45612286367e-005 7.0849791643e-007 0.00E+00
11 0.000875369899462 -4.14144528227e-005 -2.77971441114e-007 -0.379688907104
12 0.000215233316027 2.26584221517e-006 -6.9549988622e-007 -1.27631479598
EFL FOV Fno D1 D2 D3
광각단 2.85 65.48 1.27 11.8352 6.3407 0.5
망원단 7.7 22.33 2.13 2.07 0.5 6.3407
<제2실시예>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제1렌즈군(G1)은 부렌즈인 제1렌즈(112), 부렌즈인 제2렌즈(122), 정렌즈인 제3렌즈(132)를 포함하며, 제2렌즈군(G2)은 정렌즈인 제4렌즈(212), 부렌즈인 제5렌즈(222), 정렌즈인 제6렌즈(232)를 포함한다. 제2렌즈(122)와 제3렌즈(132)는 접합렌즈를 이룰 수 있으며, 또한, 제5렌즈(222)와 제6렌즈(232)도 접합렌즈를 이룰 수 있다.
도 4a, 4b 및 도 4c는 제2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 시스템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종방향 구면 수차, 상면 만곡(astigmatic field curvature), 왜곡 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표 4 내지 표 6은 제2실시예의 렌즈데이터이다.
R(곡률반경) D(렌즈간 거리 또는 두께) Glass(굴절률, 아베수)
1 13.57 0.7 804000.465
2 4.668 4.18  
3 -12.318 0.7 608010.462
4 6.264 3.5 805184.254
5 48.134 D1  
6 infinity D2  
7* 6.863 2.55 615340.630
8* -267.489 0.79  
9 74.68 0.7 805184.254
10 7.055 3.5 615340.630
11* -7.06003 D3  
12 infinity 2.75 516798.641
13 infinity 5.006281  
A B C K
7* 0.0002980918780424 1.402191246915e-005 6.222144652229e-007 0.1251826462082
8* 0.001854889024112 2.527652032471e-005 2.750913919344e-006 68.65083007041
11* -0.0002007984353037 -4.777344069079e-006 -2.548830965281e-007 -0.9879986832523
EFL FOV Fno D1 D2 D3
광각단 2.33 63.82 1.23 8.408 5.7223 0.5
망원단 6.7 20.46 2.13 0.5923 0.25 5.9723
<제3실시예>
도 5는 제3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제1렌즈군(G1)은 부렌즈인 제1렌즈(113), 부렌즈인 제2렌즈(123), 정렌즈인 제3렌즈(133)를 포함하며, 제2렌즈군(G2)은 정렌즈인 제4렌즈(213), 부렌즈인 제5렌즈(223), 정렌즈인 제6렌즈(233)를 포함한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제3실시예에 따른 줌 광학계의 광각단 및 망원단에서의 종방향 구면 수차, 상면 만곡(astigmatic field curvature), 왜곡 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 표 7 내지 표 9는 제3실시예의 렌즈데이터이다.
R(곡률반경) D(렌즈간 거리 또는 두께) Glass(굴절률, 아베수)
1 21.3374 1.5 617998.633
2 4.967 3.914  
3 -15.3479 0.7 617998.633
4 8.4259 0.5  
5 8.8875 3.5 805184.254
6 27.1936 D1  
7 infinity D2  
8* 6.9789 2.1126 615340.63
9( -53.627 1.5651  
10 -12.3329 0.7 805184.254
11 15.2828 0.25  
12* 6.9488 2.6353 615340.63
13* -6.4624 D3  
14 infinity 2.75 516798.641
15 infinity 5.006281  
# A B C k
8 -0.000388311 3.07E-06 1.12E-06 0
9 -0.00072229 5.91E-05 7.92E-07 0
12 -0.001592056 4.84E-05 -7.15E-07 -2.608226812
13 0.000434048 -4.68E-06 7.25E-07 0.437465354
  EFL FOV Fno D1 D2 D3
광각단 2.33 65.0166 1.31 8.5553 4.8177 0.25
망원단 6 23.002 2.0499 0.7966 0.25 4.8177
이상, 설명한 실시예들은 상술한 렌즈 구성을 통해, 화각이 크고 밝은 줌 렌즈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줌 렌즈 시스템은 줌 렌즈 시스템이 형성한 광학 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와 함께 촬상 장치에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촬상 장치는 상술한 줌 렌즈 시스템의 화각이 크고 밝은 성능에 따라 어둡고 넓은 영역에 분포하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어, 예를 들어, 감시용 카메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줌 렌즈 시스템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8)

  1.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을 포함하며,
    다음 조건들을 만족하는 줌 렌즈 시스템.
    1.2 ≤ Fnow ≤ 2,2
    2.5 < ft/fw ≤ 3
    BFL = 6
    여기서, Fnow는 광각단에서의 F수, ft, fw는 각각 망원단에서 전체 초점거리 및 광각단에서의 전체 초점거리, BFL은 mm단위로 나타낸 후초점거리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주밍시,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 사이의 간격이 변하도록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이 이동하는 줌 렌즈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주밍시,
    상기 제1렌즈군은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렌즈군은 물체측으로 이동하는 줌 렌즈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 사이에 조리개가 배치되며,
    상기 조리개는 주밍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줌 렌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줌 렌즈 시스템.
    -3.0 < f/fw < -2.5
    여기서 f는 상기 제1렌즈군의 초점거리이고, fw는 광각단에서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된 것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1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3렌즈를 포함하는 줌 렌즈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줌 렌즈 시스템.
    -3.0 < f/fw < -2.5
    여기서 f는 상기 제1렌즈군의 초점거리이고, fw는 광각단에서의 전체 초점거리이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은,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4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5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6렌즈를 포함하는 줌 렌즈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에서 물체측으로부터 두번째 렌즈의 아베수 vd22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줌 렌즈 시스템.
    vd22 < 30
  10. 제8항에 있어서,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줌 렌즈 시스템.
    v(G2+) > 50
    여기서, v(G2+)는 상기 제2렌즈군에서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들의 아베수 평균이다.
  11. 제9항에 있어서,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줌 렌즈 시스템.
    v(G2+) > 50
    여기서, v(G2+)는 상기 제2렌즈군에서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들의 아베수 평균이다.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에서, 물체측으로부터 첫번째 렌즈의 d선 굴절률 nd21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줌 렌즈 시스템.
    nd21 > 1.58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에서, 물체측으로부터 첫번째 렌즈의 d선 굴절률 nd21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줌 렌즈 시스템.
    nd21 > 1.58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은 적어도 한 면의 비구면을 포함하는 줌 렌즈 시스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에서 가장 상측에 배치된 렌즈면이 비구면으로 된 줌 렌즈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에서 가장 물체측에 배치된 렌즈면이 비구면으로 된 줌 렌즈 시스템.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에서 가장 물체측에 배치된 렌즈면이 비구면으로 된 줌 렌즈 시스템.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줌 렌즈 시스템;
    상기 줌 렌즈 시스템이 형성한 광학 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KR1020110054645A 2011-06-07 2011-06-07 줌 렌즈 시스템 KR101383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645A KR101383900B1 (ko) 2011-06-07 2011-06-07 줌 렌즈 시스템
US13/459,868 US8736974B2 (en) 2011-06-07 2012-04-30 Zoom lens system
CN2012101864825A CN102819103A (zh) 2011-06-07 2012-06-07 变焦镜头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645A KR101383900B1 (ko) 2011-06-07 2011-06-07 줌 렌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753A true KR20120135753A (ko) 2012-12-17
KR101383900B1 KR101383900B1 (ko) 2014-04-10

Family

ID=47292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645A KR101383900B1 (ko) 2011-06-07 2011-06-07 줌 렌즈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36974B2 (ko)
KR (1) KR101383900B1 (ko)
CN (1) CN1028191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93648B (zh) * 2013-06-04 2016-08-10 嘉兴中润光学科技有限公司 1080p对应手动变焦镜头
KR102092319B1 (ko) * 2014-05-26 2020-03-2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줌렌즈계
KR102422126B1 (ko) * 2015-06-09 2022-07-1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줌 렌즈계
CN105158885B (zh) * 2015-10-13 2017-11-21 福建福光股份有限公司 高分辨率日夜共焦变焦非球面镜头
TWI742038B (zh) * 2016-04-20 2021-10-11 佳能企業股份有限公司 光學鏡頭
CN106443990A (zh) * 2016-10-18 2017-02-22 中山联合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大光圈小体积低成本变焦光学系统
CN110221417A (zh) * 2019-06-17 2019-09-10 深圳市永诺摄影器材股份有限公司 广角光学系统及光学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201B1 (ko) 1996-09-19 2000-05-15 유무성 소형 줌렌즈
US6771430B2 (en) * 2001-09-28 2004-08-03 Nikon Corporation Zoom lens system
US6917477B2 (en) 2003-02-05 2005-07-12 Fujinon Corporation Two-group zoom lens
JP4657624B2 (ja) 2004-05-06 2011-03-23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JP4647255B2 (ja) * 2004-07-26 2011-03-09 Hoya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系
US7177096B2 (en) 2004-10-07 2007-02-13 Pentax Corporation Zoom lens system
JP4776948B2 (ja) * 2005-03-11 2011-09-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変倍光学系
JP4687194B2 (ja) * 2005-03-30 2011-05-25 株式会社ニコン ズームレンズ
JP2008112000A (ja) 2006-10-31 2008-05-15 Nidec Copal Corp ズームレンズ
KR20090033754A (ko) * 2007-10-01 2009-04-0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광각 줌 광학계
JP5330760B2 (ja) 2008-08-13 2013-10-30 株式会社タムロン ズームレンズ
JP5629090B2 (ja) * 2008-12-26 2014-11-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変倍光学系および撮像装置
JP5253997B2 (ja) 2008-12-26 2013-07-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変倍光学系およ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19103A (zh) 2012-12-12
KR101383900B1 (ko) 2014-04-10
US8736974B2 (en) 2014-05-27
US20120314297A1 (en) 201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931B1 (ko) 광각 렌즈계
KR102422126B1 (ko) 줌 렌즈계
KR101758622B1 (ko) 줌 렌즈계
US8988587B2 (en) Zoom lens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40013406A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장치
KR101994284B1 (ko) 줌 렌즈계
KR102052126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383900B1 (ko) 줌 렌즈 시스템
KR20130029256A (ko) 고정 초점 렌즈 시스템
KR20150062803A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20170054335A (ko)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KR102094508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20160069389A (ko) 촬영 렌즈 광학계
KR20140014710A (ko) 광각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724264B1 (ko) 촬영 렌즈계
KR101880633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20110046015A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2369803B1 (ko) 어안 렌즈계
JP2005352317A (ja)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KR20210114794A (ko) 줌 렌즈계
KR20110027124A (ko)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2003779B1 (ko) 줌 렌즈계
KR101758680B1 (ko)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971475B1 (ko) 줌 렌즈계
KR101925056B1 (ko) 줌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