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6015A -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6015A
KR20110046015A KR1020090102817A KR20090102817A KR20110046015A KR 20110046015 A KR20110046015 A KR 20110046015A KR 1020090102817 A KR1020090102817 A KR 1020090102817A KR 20090102817 A KR20090102817 A KR 20090102817A KR 20110046015 A KR20110046015 A KR 20110046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group
zoom
positiv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0841B1 (ko
Inventor
츠요시 카키모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2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841B1/ko
Priority to US12/905,233 priority patent/US8358471B2/en
Priority to CN201010528437.4A priority patent/CN102053346B/zh
Publication of KR20110046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 G02B15/1441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 G02B15/144113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arrang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4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ontinuous faces that are rotationally symmetrical but deviate from a true sphere, e.g. so called "aspheric"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es (AREA)

Abstract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줌 렌즈는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군를 포함하고,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주밍시 상기 제1렌즈군, 상기 제2렌즈군, 상기 제3렌즈군, 및 상기 제4렌즈군이 이동하여,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의 간격이 증가하고 상기 제2렌즈군과 상기 제3렌즈군의 간격이 줄어들며, 상기 제3렌즈군과 제4렌즈군의 간격이 늘어난다.

Description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Zoom lens and image pickup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형이고, 높은 줌 배율을 가지는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과 같은 고체 촬상 소자를 가진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나 비디오 카메라(video camera)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메가 픽셀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증대되고, 보급형 디지털 카메라에서도 500만 이상의 화소와 고화질의 성능을 가지는 카메라가 등장하고 있다. CCD 또는 CMOS와 같은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혹은 핸드폰 카메라와 같은 결상 광학 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저 비용화가 요구된다. 더 나아가 보다 넓은 범위의 피사체의 모습을 담기 위해 광각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체 길이가 짧고 줌 배율이 큰 줌 렌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체 길이가 짧고 줌 배율이 큰 줌 렌즈를 채용한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군를 포함하고,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주밍시 상기 제1렌즈군, 상기 제2렌즈군, 상기 제3렌즈군, 및 상기 제4렌즈군이 이동하여,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의 간격이 증가하고 상기 제2렌즈군과 상기 제3렌즈군의 간격이 줄어들며, 상기 제3렌즈군과 제4렌즈군의 간격이 늘어나고, 상기 제1렌즈군이 부렌즈와 정렌즈를 포함하며, 다음 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를 제공한다.
<식>
1.9<nd1n<2.1
1.7<nd1p<2.1
15<vd1p-vd1n 
여기서, nd1n은 제1렌즈군의 부렌즈의 d선에 대한 굴절률을, nd1p는 제1렌즈군의 정렌즈의 d선에 대한 굴절률을, vd1n은 제1렌즈군의 부렌즈 의 d선에 대한 아베수를, vd1p는 제1렌즈군의 정렌즈의 d선에 대한 아베수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줌 렌즈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0.3<D3t/Lt<0.5
여기서, D3t는 망원단에서의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의 광축 상에서의 공기 간격을, Lt는 망원단에서의 제1렌즈군의 가장 물체측 렌즈면에서 상면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를 나타낸다.
상기 줌 렌즈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0.5<|f2/fw|<2 
0.5<f3/fw<3
여기서, f2는 제2렌즈군의 초점거리를, f3은 제3렌즈군의 초점거리를, fw는 광각단에서의 전체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상기 줌 렌즈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0.8 < T1/T3 < 1.5
여기서, T1은 광각단으로부터 망원단으로의 주밍시 제1렌즈군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를, T3은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주밍시 제3렌즈군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를 나타낸다.
상기 줌 렌즈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0.2< Da/ft < 0.4
여기서, Da는 제1렌즈군, 제2렌즈군, 제3렌즈군, 및 제4렌즈군의 광축상에서의 각 렌즈군의 두께의 총합을, ft는 망원단에서의 전체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상기 제1렌즈군의 부렌즈와 정렌즈가 접합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렌즈군은 부렌즈와 정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군의 부렌즈는 양면 비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렌즈군은 정렌즈와, 정렌즈와 부렌즈의 접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군의 가장 물체측에 있는 정렌즈는 적어도 한 면의 비구면을 가질 수있다.
상기 제4렌즈군은 정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군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줌 렌즈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5.0<ft/fw<10
여기서, ft는 망원단에서의 초점거리, fw는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상기 제3렌즈군이 광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손 떨림 보정을 할 수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줌 렌즈; 및
상기 줌렌즈에 의해 결상된 상을 수광하는 이미징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줌 렌즈는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군를 포함하고,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주밍시 상기 제1렌즈군, 상기 제2렌즈군, 상기 제3렌즈군, 및 상기 제4렌즈군이 이동하여,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의 간격이 증가하고 상기 제2렌즈군과 상기 제3렌즈군의 간격이 줄어들며, 상기 제3렌즈군과 제4렌즈군의 간격이 늘어나고, 상기 제1렌즈군이 부렌즈와 정렌즈를 포함하며, 다음 식을 만족한다.
<식>
1.9<nd1n<2.1
1.7<nd1p<2.1
15<vd1p-vd1n 
여기서, nd1n은 제1렌즈군의 부렌즈의 d선에 대한 굴절률을, nd1p는 제1렌즈군의 정렌즈의 d선에 대한 굴절률을, vd1n은 제1렌즈군의 부렌즈의 d선에 대한 아베수를, vd1p는 제1렌즈군의 정렌즈의 d선에 대한 아베수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높은 줌 배율을 가지고 소형이다. 이러한 줌 렌즈를 채용한 촬상 장치는 휴대하기에 편하고, 먼 거리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 및 이를 채용한 촬상 장치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도 1을 참조하면, 물체측(O)에서 상측(I)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G1)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G2)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G3)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군(G4)을 포함한다.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주밍시 상기 제1렌즈군(G1), 상기 제2렌즈군(G2), 상기 제3렌즈군(G3), 및 상기 제4렌즈군(G4)이 모두 이동하여, 상기 제1렌즈군(G1)과 상기 제2렌즈군(G2)의 간격이 늘어나고 상기 제2렌즈군(G2)과 상기 제3렌즈군(G3)의 간격이 줄어들며, 상기 제3렌즈군(G3)과 제4렌즈군(G4)의 간격이 늘어난다.
줌 렌즈의 소형화를 위해서는 렌즈 침통시의 전체 렌즈계의 두께를 얇게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광학 성능을 고려하면서 줌 렌즈의 전체 렌즈 매수를 가능한 한 줄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줌 렌즈는 총 8매의 렌즈를 포함하여 소형화를 도모한다. 그리고, 제1렌즈군(G1)과 제3렌즈군(G3)에서 접합 렌즈를 포함하여 렌즈 간 간격을 줄임으로써 줌 렌즈를 더욱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렌즈군(G1)은 물체측(O)에서 순서대로 제1렌즈(L11) 및 제2렌즈(L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렌즈(L11)는 부렌즈이고, 제2렌즈(L12)는 정렌즈일 수 있으며, 상기 부렌즈와 정렌즈가 접합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렌즈군(G2)은 제3렌즈(L21) 및 제4렌즈(L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L21)는 부렌즈이고, 제4렌즈(L22)는 정렌즈일 수 있다. 제2렌즈군의 부렌즈가 양면 비구면을 가질 수 있다. 줌 렌즈의 전체 길이를 작게 하면서, 줌 배율을 높이기 위해서 제2렌즈군에서의 광선의 입사 위치의 변화량이 높아질 수 있다. 여기서, 제2렌즈군이 비구면을 가짐으로써 광각단에서의 축외 수차의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3렌즈군(G3)은 제5렌즈(L31), 제6렌즈(L32) 및 제7렌즈(L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L31)는 정렌즈이고, 상기 제6렌즈(L32)는 정렌즈이고, 제7렌즈(L33)는 부렌즈이며, 상기 제6렌즈(L32)와 제7렌즈(L33)가 접합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군의 가장 물체측에 있는 정렌즈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가질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제3렌즈군에서 발생하는 구면 수차, 코마 수차를 보정할 수 있으며, 제3렌즈군 전체의 굴절력을 강하게 하여 줌 렌즈를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군(G3)이 광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손 떨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4렌즈군(G4)은 제8렌즈(L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8렌즈(L41)는 정렌즈일 수 있다. 상기 제8렌즈(L41)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가질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제1렌즈군, 제2렌즈군 및 제3렌즈군에서 보정할 수 없었던 비점 수차를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망원단에서의 비점수차의 보정에 유리하다.
한편, 상기 제1렌즈군(G1)과 제2렌즈군(G2)에서는 광축상으로부터의 축외 광선의 높이가 높아지기 때문에 축외 광선의 광량을 확보하기 위해 렌즈의 엣지 부분이 어느 정도 두꺼워야 한다. 그런데, 렌즈의 엣지 부분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렌즈의 축상 렌즈 두께도 두꺼워지기 쉽다. 또한 제1렌즈군 및 제2렌즈군의 렌즈 매수가 늘면 물체측(O)에서 볼 때 입사동 위치가 멀어지기 때문에 제1렌즈군 및 제2렌즈군을 통과하는 축외 광선 높이가 더욱 높아져 렌즈의 엣지 두께 확보를 위한 축상 렌즈 두께가 더욱 두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렌즈 매수가 늘어나면 렌즈의 축상 두께도 두꺼워진다. 따라서, 렌즈 매수가 늘어남에 따라 해당 렌즈군의 직경이나 광축 상 렌즈 두께가 필요 이상으로 두꺼워지기 때문에 줌 렌즈를 소형화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예를 들어, 제1렌즈군(G1) 및 제2렌즈군(G2)을 각각 2매의 렌즈로 구성함으로써 줌 렌즈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주밍에 많이 기여하는 제3렌즈군을 3 매의 렌즈로 구성함으로써, 수차 보정을 하여 고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제3렌즈군의 렌즈 매수를 작게 하여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4렌즈군을 1 매의 렌즈로 구성하여 줌 렌즈를 소형화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주밍시 제1 내지 제4렌즈군(G1)(G2)(G3)(G4)이 모두 이동되도록 하여 각 렌즈군에 주밍 작용을 효율적으로 분배시킴으로써 주밍시의 수차 변동을 억제하고, 높은 줌 배율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각 렌즈군의 이동량을 적게 하여 줌 렌즈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1.9<nd1n<2.1
여기서, nd1n은 제1렌즈군에 있는 부렌즈의 d선에 대한 굴절률을 나타낸다. 제1렌즈군의 부렌즈의 굴절률이 수학식 1의 상한을 넘으면, 재료의 양산이나 입수가 곤란해져, 비용이 상승한다. 제1렌즈군의 부렌즈의 굴절률이 수학식 1의 하한보다 작으면, 원하는 굴절력을 얻기 위해 렌즈면의 곡률 절대값을 크게 해야 한다.곡률 절대값이 커지면, 광각단에서의 왜곡 수차나 상면만곡, 광각단 및 망원단에서의 코마 수차 등의 보정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1.7<nd1p<2.1
여기서, nd1p은 제1렌즈군에 있는 정렌즈의 d선에 대한 굴절률을 나타낸다. 제1렌즈군의 정렌즈의 굴절률이 수학식 2의 상한을 넘으면, 재료의 양산이나 입수가 곤란해져, 비용이 증가된다. 제1렌즈군의 정렌즈의 굴절률이 수학식 2의 하한보다 작으면, 원하는 굴절력을 확보하기 위해 렌즈면의 곡률 절대값을 크게 해야 한다, 곡률 절대값이 커지면, 광각단에서의 왜곡 수차나 상면만곡, 광각단 및 망원단에서의 코마 수차 등의 보정이 어려워진다. 그리고, 렌즈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를 확보하기 위해, 렌즈의 광축 상의 두께가 증가될 것이 요구되어, 제1렌즈 군의 소형화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다음을 만족할 수 있다.
15<vd1p-vd1n
vd1n은 제1렌즈군에 있는 부렌즈의 d선에 대한 아베수를, vd1p은 제1렌즈군에 있는 정렌즈의 d선에 대한 아베수를 나타낸다. (vd1p-vd1n)이 수학식 3의 하한보다 작으면, 줌 배율을 크게 하는 경우, 구면 수차의 변동이 커질 뿐만 아니라, 색수차의 변동도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다음의 식을 만족할 수 있다.
0.3<D3t/Lt<0.5
여기서, D3t는 망원단에서의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과의 광축 상에서의 공기 간격을, Lt는 망원단에서의 제1렌즈군의 가장 물체측에서의 렌즈면의 정점으로부터 상면(IM)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를 나타낸다. D3t/Lt 가 수학식4의 상한을 넘으면, 망원단에서의 전체 길이가 커져, 경통의 두께 방향의 사이즈를 작게 하는 것이 어렵다. D3t/Lt 가 수학식4의 하한보다 작으면 각 렌즈군의 파워가 커져, 구면 수차 등의 보정이 어렵고, 줌 배율을 크게 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이하의 식을 만족할 수 있다.
0.5<|f2/fw|<2
여기서, f2는 제2렌즈군의 초점거리를, fw는 광각단에서의 전체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f2/fw|이 수학식 5의 상한을 넘으면, 제2렌즈군의 파워가 너무 약해지기 때문에, 주밍을 위한 이동량이 커져, 소형화가 어렵게 된다. |f2/fw|이 수학식 5의 하한보다 작으면, 줌 렌즈의 전체 길이는 짧아지지만, 제2렌즈군의 초점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수차 보정, 특히 왜곡 수차의 보정이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이하의 식을 만족할 수 있다.
0.5<f3/fw<3
여기서, f3은 제3렌즈군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f3/fw 이 수학식 6의 상한을 넘으면, 큰 줌 배율을 얻기 위해 제2렌즈군이나 제4렌즈군의 굴절력을 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제2렌즈군이나 제4렌즈군의 굴절력이 강해지면, 망원단에서 코마 수차나 비점수차의 보정이 어렵게 된다. f3/fw 이 수학식 6의 하한보다 작으면, 제3렌즈군의 굴절력이 커져, 수차 보정이 어렵게 된다. 또한, 손떨림 보정을 위해 광축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때의 수차 변동이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이하의 식을 만족할 수 있다.
0.8<T1/T3<1.5
여기서, T1은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주밍시 제1렌즈군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를, T3은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주밍시 제3렌즈군의 광축 방 향으로의 이동 거리를 나타낸다. T1/T3가 수학식 7의 상한을 넘으면, 제1렌즈군의 이동거리가 커지고, 망원단에서의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의 간격이 커져, 줌 렌즈 전체 길이가 길어지므로 소형화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 또, 광각단과 망원단에서의 줌 렌즈 전체 길이의 차이가 커져, 줌 렌즈의 구동을 위한 캠의 두께가 커지고, 이로 인해 심동시의 전체 사이즈가 커진다. T1/T3가 수학식 7의 하한보다 작으면, 제3렌즈군의 이동거리가 커져, 광각단에 대해 가장 물체측의 렌즈로부터의 입사동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전제 직경이 증대해, 소형화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이하의 식을 만족할 수 있다.
0.2<Da/ft<0.4
여기서, Da는 제1렌즈군, 제2렌즈군, 제3렌즈군, 및 제4렌즈군의 광축 상에서의 각 렌즈군의 두께의 총합을, ft는 망원단에서의 전체 줌 렌즈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Da/ft 가 수학식 8의 상한을 넘으면, 줌 렌즈의 두께의 총합이 커져, 심동시 소형화가 어려워진다. Da/ft 가 수학식 8의 하한보다 작으면, 각 렌즈군의 파워가 너무 커져 수차의 보정이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다음의 줌 배율을 가질 수 있다.
5.0<ft/fw<10.0
ft/fw 가 수학식 9의 상한을 넘으면, 광학 성능의 확보나 소형화가 어려 워진다. ft/fw 가 수학식 9의 하한보다 작으면, 줌 배율이 작아지기 때문에 고 줌배율의 줌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오는 비구면의 정의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의 비구면 형상은 광의 진행 방향을 양으로 하고, z를 렌즈 정점으로부터 공축 방향으로의 거리, h를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의 거리, c를 곡률, k를 코닉 상수, A,B,C,D를 비구면 계수로 할 때, 비구면의 새그(z)는 다음 식으로 정의된다.
Figure 112009066125283-PAT00001
각 도면에서 가장 오른쪽에 기재된 직선은 상면(IM)의 위치를 나타내고, 그 물체측(O)에는 IR(적외선) 차단 필터(P1)나 이미징 소자의 커버 글라스(P2)가 구비된다.
<제1 실시예>
도 1은 제1 실시예의 줌 렌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제1 실시예의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에서의 수차도이다.
이하, 제1 실시예의 줌 렌즈의 렌즈 데이터, 비구면 데이터, 촬영 거리가 ∞인 경우의 초점 거리(f),(FNo), 화각(2ω), 줌 렌즈 전체 길이(L) 및 렌즈간 가변 거리(D3,D7,D12,D14)를 나타낸다.
렌즈면 곡률 두께 굴절률 아베수
S1 21.214 0.60 2.00069 25.5
S2 12.320 2.55 1.80420 46.5
S3 768.900 D3
S4 -26.427 1.00 1.80470 40.9
S5 4.754 1.03
S6 6.592 1.35 1.94595 18.0
S7 11.409 D7
S8 4.658 1.33 1.58913 61.0
S9 -16.578 0.10
S10 4.987 1.18 1.69350 53.3
S11 -30.616 0.40 1.80610 33.3
S12 2.985 D12
S13 11.298 1.80 1.51470 63.8
S14 -97.180 D14
S15 Infinity 0.30 1.51680 64.2
S16 Infinity 0.30
S17 Infinity 0.50 1.51680 64.2
S18 Infinity

비구면계수
S4
k= 1.56162E+01
A= 3.00667E-05
B= 1.70519E-05
C= -4.65906E-07
D= 6.26780E-09
S5
k= -1.81813E+00
A= 1.52043E-03
B= 2.46960E-06
C= 1.57961E-06
D= -4.73432E-08
S8
k= -1.00000E+00
A= 2.32462E-04
B= -5.29122E-06
C= 0.00000E+00
D= 0.00000E+00
S9
k= 0.00000E+00
A= 2.97814E-04
B= 0.00000E+00
C= 0.00000E+00
D= 0.00000E+00
S13
k= 0.00000E+00
A= -9.31562E-04
B= 9.66587E-05
C= -6.62536E-06
D= 1.10546E-07
S14
k= 0.00000E+00
A= -1.39882E-03
B= 1.15129E-04
C= -7.83441E-06
D= 1.40850E-07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초점거리 5.72 14.80 38.27
FNo 3.57 4.74 5.95
69.95 30.25 11.93
L 35.28 37.44 44.58
가변거리
D3 0.88 6.96 14.91
D7 13.80 5.04 0.76
D12 5.71 8.29 14.07
D14 2.04 4.31 1.99
<제2 실시예>
도 3은 제2 실시예의 줌 렌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제4 실시예의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에서의 수차도이다.
렌즈면 곡률 두께 굴절률 아베수
S1 21.266 0.60 2.00069 25.5
S2 12.330 2.55 1.80420 46.5
S3 825.624 D3
S4 -25.459 1.00 1.80470 40.9
S5 4.824 1.00
S6 6.407 1.35 1.94595 18.0
S7 10.679 D7
S8 4.706 1.32 1.58913 61.0
S9 -17.037 0.10
S10 4.847 1.18 1.69350 53.3
S11 -39.885 0.40 1.80610 33.3
S12 2.959 D12
S13 11.312 1.80 1.51470 63.8
S14 -100.000 D14
S15 Infinity 0.30 1.51680 64.2
S16 Infinity 0.30
S17 Infinity 0.50 1.51680 64.2
S18 Infinity
비구면 계수
S4
k= -4.33743E+01
A= -6.96591E-05
B= -2.35344E-06
C= 2.25691E-07
D= -3.22516E-09
S5
k= -1.55877E+00
A= 1.61471E-03
B= -8.75409E-06
C= 5.56161E-07
D= 2.85896E-08
S8
k= -1.00000E+00
A= 2.64506E-04
B= -3.05503E-06
C= 0.00000E+00
D= 0.00000E+00
S9
k= 0.00000E+00
A= 3.09456E-04
B= 0.00000E+00
C= 0.00000E+00
D= 0.00000E+00
S13
k= 0.00000E+00
A= -9.63638E-04
B= 9.58945E-05
C= -6.62536E-06
D= 1.10546E-07
S14
k= 0.00000E+00
A= -1.44953E-03
B= 1.15194E-04
C= -7.83441E-06
D= 1.40850E-07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초점거리 5.72 14.81 38.40
FNo 3.55 4.76 5.94
69.98 30.22 11.89
L 35.09 37.35 44.60
가변거리
D3 0.90 6.86 14.95
D7 13.69 5.04 0.80
D12 5.66 8.39 14.05
D14 2.04 4.26 2.00
<제3 실시예>
도 5는 제3 실시예의 줌 렌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제3 실시예의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에서의 수차도이다.
렌즈면 곡률 두께 굴절률 아베수
S1 25.107 0.60 2.00178 19.3
S2 13.559 2.55 1.91082 35.3
S3 288.604 D3
S4 -26.112 0.72 1.80470 40.9
S5 4.823 0.98
S6 6.421 1.35 1.94595 18.0
S7 10.716 D7
S8 4.587 1.33 1.58913 61.0
S9 -17.078 0.10
S10 4.857 1.18 1.69350 53.3
S11 -49.940 0.40 1.80610 33.3
S12 2.906 D12
S13 11.831 1.80 1.51470 63.8
S14 -90.066 D14
S15 Infinity 0.30 1.51680 64.2
S16 Infinity 0.30
S17 Infinity 0.50 1.51680 64.2
S18 Infinity
비구면 계수
S4
k= 1.50762E+01
A= 1.99891E-05
B= 1.88710E-05
C= -4.93356E-07
D= 5.79296E-09
S5
k= -1.71473E+00
A= 1.43908E-03
B= -8.73554E-06
C= 3.25128E-06
D= -9.90370E-08
S8
k= -9.72646E-01
A= 2.85067E-04
B= -5.09863E-05
C= 0.00000E+00
D= 0.00000E+00
S9
k= 0.00000E+00
A= 3.75261E-04
B= -5.47427E-05
C= 0.00000E+00
D= 0.00000E+00
S13
k= 0.00000E+00
A= -9.41271E-04
B= 9.58343E-05
C= -7.29861E-06
D= 1.39391E-07
S14
k= 0.00000E+00
A= -1.59807E-03
B= 1.40543E-04
C= -1.01860E-05
D= 2.05191E-07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초점거리 5.76 14.80 38.02
FNo 3.56 4.68 5.87
69.56 30.25 12.01
L 34.49 36.65 44.00
가변거리
D3 0.90 7.07 15.10
D7 13.51 4.91 0.80
D12 5.51 7.57 13.59
D14 2.07 4.59 2.00
각 실시예의 구면 수차도에서, 종축은 FNo를 나타내고, C-line (656.3nm), d-line(587.6nm), g-line(435.8nm)에 대한 구면 수차를 나타낸다. 상면만곡에서 종축은 최대 상높이(IH)를 나타내고, 실선은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 점선은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을 나타낸다. 왜곡수차도에서 종축은 최대 상높이(IH)를 나타낸다.
다음은,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가 위에서 설명한 각 식의 조건을 만족시킴을 보여준 것이다.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
nd1n 2.00069 2.00069 2.00178
nd1p 1.80420 1.80420 1.91082
vd1p-vd1n 21.00 21.00 15.93
D3t/Lt 0.334 0.335 0.343
|f2/fw| 1.346 1.342 1.337
f3/fw 1.588 1.574 1.548
T1/T3 1.119 1.139 1.187
Da/ft 0.296 0.295 0.290
ft/fw 6.693 6.719 6.60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고 줌배율을 가지고, 소형화를 실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CCD나 CMOS 등의 고체촬상소자를 사용하는 디지탈 스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단말기 등의 결상 광학 장치에 적합하게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광각화를 구현하여 피사체를 보다 넓은 범위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를 가진 촬상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촬상 장치는 앞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 줌 렌즈(11)와 이 줌 렌즈(11)에 의해 결상된 광을 수광하는 이미징 센서(12)를 포함한다.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이미징 센서(12)로부터 광전 변환된 피사체 상에 대응되는 정보가 기록된 기록 수 단(13)과, 피사체상을 관찰하기 위한 파인더(finder)(14)를 포함한다. 그리고, 피사체 상이 표시되는 액정 디스플레이(1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촬상 장치는 일 예일 뿐이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메라 이외에 다양한 광학 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줌 렌즈를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소형이면서 높은 줌 배율을 가지고 광각으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광학 기기를 실현한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중간단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구성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중간단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구성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중간단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G1...제1렌즈군, G2...제2렌즈군
G3...제3렌즈군, G4...제4렌즈군

Claims (17)

  1.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군를 포함하고,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주밍시 상기 제1렌즈군, 상기 제2렌즈군, 상기 제3렌즈군, 및 상기 제4렌즈군이 이동하여,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2렌즈군의 간격이 증가하고 상기 제2렌즈군과 상기 제3렌즈군의 간격이 줄어들며, 상기 제3렌즈군과 제4렌즈군의 간격이 늘어나고, 상기 제1렌즈군이 부렌즈와 정렌즈를 포함하며, 다음 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
    <식>
    1.9<nd1n<2.1
    1.7<nd1p<2.1
    15<vd1p-vd1n 
    여기서, nd1n은 제1렌즈군의 부렌즈의 d선에 대한 굴절률을, nd1p는 제1렌즈군의 정렌즈의 d선에 대한 굴절률을, vd1n은 제1렌즈군의 부렌즈의 d선에 대한 아베수를, vd1p는 제1렌즈군의 정렌즈의 d선에 대한 아베수를 각각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
    <식>
    0.3<D3t/Lt<0.5
    여기서, D3t는 망원단에서의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의 광축 상에서의 공기 간격을, Lt는 망원단에서의 제1렌즈군의 가장 물체측 렌즈면에서 상면까지의 광축 상의 거리를 나타낸다.
  3. 제1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
    <식>
    0.5<|f2/fw|<2 
    0.5<f3/fw<3
    여기서, f2는 제2렌즈군의 초점거리를, f3은 제3렌즈군의 초점거리를, fw는 광각단에서의 전체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4.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
    <식>
    0.8 < T1/T3 < 1.5
    여기서, T1은 광각단으로부터 망원단으로의 주밍시 제1렌즈군의 광축 방향으 로의 이동 거리를, T3은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주밍시 제3렌즈군의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를 나타낸다.
  5. 제1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
    <식>
    0.2< Da/ft < 0.4
    여기서, Da는 제1렌즈군, 제2렌즈군, 제3렌즈군, 및 제4렌즈군의 광축상에서의 각 렌즈군의 두께의 총합을, ft는 망원단에서의 전체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의 부렌즈와 정렌즈가 접합 렌즈로 이루어진 줌 렌즈.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은 부렌즈와 정렌즈를 포함하는 줌 렌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의 부렌즈는 양면 비구면을 가지는 줌 렌즈.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군은 정렌즈와, 정렌즈와 부렌즈의 접합 렌즈를 포함하는 줌 렌즈.
  10. 제9항에 있어서,
    제3렌즈군의 가장 물체측에 있는 정렌즈는 적어도 한 면의 비구면을 가지는 줌 렌즈.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렌즈군은 정렌즈를 포함하는 줌 렌즈.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4렌즈군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하는 줌 렌즈.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
    <식>
    5.0<ft/fw<10
    여기서, ft는 망원단에서의 초점거리, fw는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1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렌즈군이 광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손 떨림 보정을 하는 줌 렌즈.
  15.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줌 렌즈; 및
    상기 줌렌즈에 의해 결상된 상을 수광하는 이미징 센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은 부렌즈와 정렌즈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만족하는 촬상 장치.
    <식>
    5.0<ft/fw<10
    여기서, ft는 망원단에서의 초점거리, fw는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KR1020090102817A 2009-10-28 2009-10-28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660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817A KR101660841B1 (ko) 2009-10-28 2009-10-28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US12/905,233 US8358471B2 (en) 2009-10-28 2010-10-15 Zoom lens and image pickup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010528437.4A CN102053346B (zh) 2009-10-28 2010-10-28 变焦镜头和包括所述变焦镜头的图像拾取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817A KR101660841B1 (ko) 2009-10-28 2009-10-28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015A true KR20110046015A (ko) 2011-05-04
KR101660841B1 KR101660841B1 (ko) 2016-09-28

Family

ID=4389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817A KR101660841B1 (ko) 2009-10-28 2009-10-28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58471B2 (ko)
KR (1) KR101660841B1 (ko)
CN (1) CN10205334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6936A (ko) * 2013-07-09 2015-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3414A (zh) * 2012-11-15 2013-05-29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一种可携式电子装置与其光学成像镜头
JP6045442B2 (ja) * 2013-06-13 2016-12-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7413044B2 (ja) 2020-01-27 2024-01-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およ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
CN111694139A (zh) * 2020-07-27 2020-09-22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变焦镜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9124A (ja) * 1993-12-28 1995-08-04 Nikon Corp 防振機能を備えたズームレンズ
JP2008052113A (ja) * 2006-08-25 2008-03-06 Olympus Imaging Corp ズームレンズ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撮像装置
US20090109546A1 (en) * 2007-10-30 2009-04-30 Masahito Watanabe Electronic imag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9150B2 (ja) 2002-12-27 2010-06-09 株式会社ニコン 可変焦点距離レンズ系
JP4948027B2 (ja) 2006-04-19 2012-06-06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4866120B2 (ja) 2006-03-23 2012-02-01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5013599B2 (ja) * 2007-03-15 2012-08-29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撮像装置
JP2009139701A (ja) * 2007-12-07 2009-06-25 Olympus Imaging Corp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US7885013B2 (en) * 2008-01-08 2011-02-08 Olympus Imaging Corp. Zoom lens and image pickup apparatus equipped with same
US7848029B2 (en) * 2008-02-21 2010-12-07 Sony Corporation Retractable zoom lens
JP5241281B2 (ja) * 2008-03-17 2013-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2010271643A (ja) * 2009-05-25 2010-12-02 Sony Corp 可変焦点距離レンズ系及び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9124A (ja) * 1993-12-28 1995-08-04 Nikon Corp 防振機能を備えたズームレンズ
JP2008052113A (ja) * 2006-08-25 2008-03-06 Olympus Imaging Corp ズームレンズ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撮像装置
US20090109546A1 (en) * 2007-10-30 2009-04-30 Masahito Watanabe Electronic imag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6936A (ko) * 2013-07-09 2015-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53346A (zh) 2011-05-11
CN102053346B (zh) 2014-10-29
US8358471B2 (en) 2013-01-22
KR101660841B1 (ko) 2016-09-28
US20110096408A1 (en) 201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8321B2 (ja) ズームレンズ系、撮像装置及びカメラ
KR101630282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932722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20140013406A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장치
KR20120025338A (ko) 광각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US8144402B2 (en) Zoom lens and imaging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52126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890304B1 (ko) 줌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JP2018146855A (ja)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KR20110040463A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20150062803A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20110040245A (ko)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383900B1 (ko) 줌 렌즈 시스템
KR101507808B1 (ko) 줌 렌즈 및 이를 채용한 결상 광학 장치
KR101880633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660841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20110004089A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결상 광학 장치
KR20140086623A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660839B1 (ko)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JP5335373B2 (ja)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KR20150060398A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20110056105A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564418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결상 광학 장치
KR101925056B1 (ko) 줌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758680B1 (ko)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